KR20200035924A -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 Google Patents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924A
KR20200035924A KR1020200035022A KR20200035022A KR20200035924A KR 20200035924 A KR20200035924 A KR 20200035924A KR 1020200035022 A KR1020200035022 A KR 1020200035022A KR 20200035022 A KR20200035022 A KR 20200035022A KR 20200035924 A KR20200035924 A KR 20200035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u
ser
ala
gly
th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굳티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굳티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굳티셀
Priority to KR102020003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5924A/ko
Publication of KR2020003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924A/ko
Priority to KR1020200185239A priority patent/KR10231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72Intracellular protein regulatory factors and their receptors, e.g. including ion chan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12N15/1138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against receptors or cell surface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narcotics or drugs or pharmaceuticals, neurotransmitters or associated receptors
    • G01N33/9493Immunosupres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4Type of nucleic acid interfering 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78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miRNA, siRNA or ncR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표면단백질 Lrig-1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표면단백질 Lrig-1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포함하는 면역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Lrig1의 단백질 또는 이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억제하는 면역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부작용이 적고 특이성이 높은 면역억제제를 개발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Use of a novel transmembrane protein of Lrig-1 in a regulatory T cell}
본 발명은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표면단백질 Lrig-1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은 다양한 염증세포와 면역세포를 이용하여 외부의 해로운 물질(세균, 바이러스)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매우 중요한 생체현상으로, 이 세포들 중에서 T세포는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을 총괄 조절하는 뇌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로 다른 다양한 유전적, 환경적 요인을 가진 인간은 선천적으로 염증 반응과 면역반응이 과다하게 일어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생체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내부위험인자(높은 콜레스테롤, 혈당등)에 의해 만성염증과 면역과민반응을 일으켜, 자가면역질환(천식, 아토피,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과 만성염증질환(심근 경색, 당뇨병, 퇴행성 뇌 혈괄질환)이 발생하여 결국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몸의 T세포 중에의 한 subset인 조절자 T세포 (Treg)는 과다한 염증과 면역반응의 발생을 자연적으로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자가면역질환과 만성염증성질환이 생기면 오히려 조절자 T세포의 기능과 숫자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면역질환과 염증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조절자 T세포가 많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은 가장 중요하면서 자연적인 치료법이다. 지금까지 조절자 T세포 (Treg)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 및 단백질들이 아래와 같이 몇 개 발굴되어 발표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Treg은 높은 수준의 CD25를 발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D25는 α, β, γ-chain과 함께 헤테로트라이머 IL-2 수용체를 구성한다. 이 것은 기존의 미접촉 T 세포에 존재하는 β, γ-체인 헤테로다이머 IL-2 수용체에 비해 IL-2에 대해 100배 이상의 친연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 세포 증식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IL-2에 대한 경쟁을 통해 미접촉 T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게 된다. 현재까지 IL-2가 조절자 T 세포에 대한 표시물질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높은 수준의 상동관계인 IL-2 수용체가 다른 종류의 T 세포의 활성화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고 있기 때문에 확정적인 표시물질이 되기는 어렵다.
Treg은 CTLA4를 발현하고 있어 다른 면역 T 세포나 항원제시세포(antigen presenting 세포)에서 발현되는 CD80나 CD86와 결합하여 이들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T 헬퍼 1이나 T 헬퍼 2 세포와 같은 다른 종류의 면역 T 세포 또한 활성화가 진행 된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 IL-2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시점에서 CTLA4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CTLA4 또한 Treg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물질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조절자 T 세포를 구분하기 위해 CD62L, CD38, CD103, GITR 및 CD45RB의 낮은 발현정도 등의 대안적인 표시물질들이 제시되었다. 이 중 전사인자인 Foxp3(Forkhead box 3)는 자연 CD4+ 조절자 T 세포의 분화와 활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발견됨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표시물질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말초에서 면역 조절기능을 보이는 CD4+ IL-10+ Tr1 세포에서는 Foxp3의 발현이 필수적이지 않은 것으로 발견됨으로서, Foxp3의 조절자 T세포 (Treg)특이적 마커로써의 가능성이 점차 희석되었다(IL-35-mediated induction of a potemt regulatory T cell population, Laren W Collison et al., Vol. 11, Nature Immunology, 1093-1952, 2010). 나아가, Foxp3의 기능 또는 발현을 조절하여 조절자 T세포 (Treg)의 기능을 조절한 경우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한편, LRIG1(leucine-rich and immunoglobulin-like domains 1) 단백질은 막관통 단백질로서, LRIG1 유전자는 정상 피부에서 높게 발현하고 있으며, 기저와 모낭세포에 발현하여 상피 줄기세포의 증식을 조절한다. 따라서 표피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하며 없을 경우 건선이나 피부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 LRIG1이 위치한 염색체 3p14.3 부분이 잘리는 경우에 암세포로 발전할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실제로 신장암(renal cell carcinoma)과 편평상피암(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에서는 LRIG1의 발현이 매우 감소되어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LRIG1은 c-Cbl을 통해 EGFR(Epidermarl growth factor receptor)의 유비퀴틴화를 일으켜 단백질 분해시킴으로써 그 하위에 존재하고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MAPK 및 AKT의 인산화에 의한 신호전달을 차단하고, 카스파아제 -8의 분비를 증가시켜 자기유도사(apoptosis)를 일으킴으로써 암억제제로써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찾기 위하여, 마이크로어레이, 프로테오믹스 및 기능적 유전자 네트워크(functional gene network)라는 생물정보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조절자 T 세포에 Lrig-1이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그 발현이 조절자 T세포 (Treg)의 기능, 분화 및 성장에 중요하다는 것을 발명하여 본원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3092호
본 발명은 (a) Lrig(Leucine-rich repeats and immunoglobulin-like domains protein)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절자 T 세포 (Regulatory T cell)분석할 시료를 접촉시키는 단계; (b) 상기 단백질의 양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백질의 양 또는 활성이 감소 또는 증가조절(down or upregulation)되는 것으로 측정될 때, 상기 시료가 면역억제제 또는 면역활성화제임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억제제 또는 면역활성화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Lrig1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 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면역관련 질환"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나, 자가면역질환, 이식편대숙주 질환, 장기이식거부반응, 천식, 아토피 및 급성 및 만성염증 질환등과 같이 다양한 면역세포 및 염증세포들의 과도화된 활성화 및 발현에 의하여 유도되는 질환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Lrig1(leucine-rich and immunoglobulin-like domains 1)"은 109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막관통 단백질로서, 세포외 혹은 루멘 쪽의 루신 반복 서열(leucine-rich repeat(LRR))과 세개의 면역항체 유사 도메인(immunoglobulin-like domains), 세포막 관통 서열 및 세포질 꼬리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LRIG 유전자 패밀리는 LRIG1, LRIG2와 LRIG3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간의 아미노산들은 매우 보전적이다.
본 발명의 "siRNA(small interfering RNA)"는 짧은 19-30개의 이중 리보핵산쇄(double strand RNA duplex)로 세포내 도입하면 비특이적 저해(non-specific inhibition) 없이 특정 유전자의 발현만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siRNA의 작용기작은 세포 내에서 RISC (RNA-induced silencing complex)와 결합하여 mRNA에 해당하는 유전자의 sense strand가 잘려나가고 sense strand에 상보적인 antisense stand는 RISC와 복합체로 있다가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진 mRNA 즉 표적 유전자의 mRNA와 결합하여 이를 분해함으로써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shRNA (short hairpin RNA)"는 타겟유전자 siRNA 염기서열의 sense와 상보적인 nonsense 사이에 3-10개의 염기 linker를 연결하는 올리고 DNA를 합성한 후 프라즈미드 벡터에 클로닝하거나 또는 shRNA를 레트로바이러스인 렌티바이러스 (lentivirus) 및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에 삽입하여 발현시키면 loop가 있는 헤어핀 구조의 shRNA가 만들어지고 세포 내의 Dicer에 의해 siRNA로 전환되어 RNAi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말하여, shRNA는 비교적 장기간 RNAi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siRNA는 생체내 핵산 분해효소에 의한 빠른 분해를 막기 위해 화학적으로 변형된 형태일 수 있다. siRNA는 이중나선 구조를 가지므로, 단일나선 구조의 리보핵산이나 안티센스 올리고핵산(antisense oligonucleotide)보다는 상대적으로 안정한 구조이지만 생체내 핵산 분해효소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화학적 변형을 통해 분해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siRNA가 쉽게 분해되지 않도록 안정하고 저항적이도록 하기 위한 siRNA의 화학적 변형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siRNA의 화학적 변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보라노포스페이트(boranophosphate) 또는 포스포로티오에이트 (phosphorothioate) 수식 방법(modification)이다. 이들 물질은 siRNA의 뉴클레오사이드(nucleoside) 간의 연결을 안정하게 형성하어, 결과적으로 핵산 분해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한다. 보라노포스페이트로 수식된 리보핵산은 핵산 분해가 잘 되지 않는 특징이 있지만, 화학 반응에 의하여 만들어 지지 않고 in vitro 전사 반응에 의해 라노포스페이트가 리보핵산에 들어가는 방식으로만 합성이 된다. 보라노포스페이트 수식방법은 비교적 손쉬운 방법에 속하지만, 특정 위치에 수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수식 방법은 원하는 부분에 황(sulfur) 원소를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정도가 심한 포스포티오에이션 (phosphothioation)은 효능 감소, 독성, 비특이적 RISC(RNAinduced silencing complex) 형성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위의 두 가지 방법 외에 리보핵산의 종결 위치(3'말단 초과부위)에만 화학적 변형을 하여 핵산 분해효소에 저항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보다 선호되고 있다. 또한 리보스 환(ribose ring)을 화학적으로 수식하여도 핵산 분해효소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본래 세포내 존재하는 리보오스 2'-위치의 변이는 siRNA를 안정화시킨다. 그러나 이 위치에 정확히 메틸기가 들어가야 안정성이 증가되며 너무 많은 메틸기는 반대로 리보핵산 매개 간섭현상이 상실되는 등의 문제도 있다. 이러한 화학적 변형의 이유는 생체 내에서의 약물동력학적(pharmacokinetic)인 체류시간의 증대 및 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다 (Mark et. al., Molecular Therapy, 13:644-670, 2006). 화학적 수식방법 외에, siRNA의 세포 내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달 시스템이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siRNA는 핵산 전달체(nucleic acid delivery system)와의 복합체 형태로 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세포 내로 핵산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핵산 전달체는 크게 바이러스성 벡터와 비바이러스성 벡터로 구분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은 바이러스 벡터 (viral vector)로 전달 효율이 높고 지속 시간이 길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의 바이러스벡터 중 레트로바이러스 벡터(retroviral vector), 아데노바이러스 벡터(adenoviral vector),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 벡터(adeno-associated viral vector) 등이 주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 벡터는 리보핵산의 세포내 전달 면에서는 효율적이지만, 생체 내에서의 활성을 가진 바이러스로의 재조합, 면역 반응 유발, 숙주 염색체로의 무작위 삽입 등 안전성(safety)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비바이러스 벡터(nonviral vector)는 바이러스 벡터에 비해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독성과 면역 반응이 작고, 반복적으로 투여가 가능하며, 리보핵산과의 복합체 형성이 간편하고,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또한, 질환 세포나 조직부위에 특이적 리간드를 비바이러스성 벡터에 접합하여, 장기·세포 선택적 핵산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비바이러스성 벡터로서는 리포좀, 양이온성 고분자를 비롯하여, 미셀, 에멀젼, 나노입자 등의 다양한 제형이 사용될 수 있다. 핵산 전달체는 동물 세포 내에 목적하는 핵산의 수송 효율을 현저히 증강시킬 수 있으며 전달하고자 하는 핵산의 사용 목적에 따라 어떤 동물 세포로도 핵산 전달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모노클로날 항체 제작 방법을 통해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고,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는 일반적으로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alkaline phosphatase, AP) 또는 호올스래디쉬 퍼록시다제(horseradish peroxidase, HRP) 등의 효소가 컨쥬게이션된 2차 항체 및 이들의 기질을 사용하여 발색반응시킴으로써 정량분석할 수도 있고, 아니면 직접 상기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에 AP 또는 HRP 효소 등이 컨쥬게이션된 것을 사용하여 정량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모노클로날 항체 대신에 상기 단백질을 인식하는 폴리클로날 항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항혈청 제작 방법을 통해 제작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서 상기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시험대상물질 간의 반응 확인은 단백질-단백질, 단백질-화합물 간의 반응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백질과 시험대상물질을 반응시킨 후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 효모 이중 혼성법(yeast two-hybrid).
상기 단백질에 결합하는 파지 디스플레이 펩티드 클론(phage-displayed peptide clone)의 검색, 천연물 및 화학 물질 라이브러리(chemical library) 등을 이용한 HTS(high throughput screening), 드럭 히트 HTS(drug hit HTS), 세포 기반 스크리닝(cell-based screening), 또는 DNA 어레이(DNA array)를 이용하는 스크리닝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단백질 외에도, 단백질의 구조 또는 생리 활성을 안정하게 유지시키는 완충액 또는 반응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체 내(in vivo) 실험을 위해, 상기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 또는 전사율을 조절할 수 있는 프로모터 하에 상기 단백질을 발현하는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세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서, 시험대상물질은 통상적인 선정방식에 따라 암전이 억제제로서의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추정되거나 또는 무작위적으로 선정된 개별적인 핵산, 단백질, 기타 추출물 또는 천연물, 화합물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통해 얻은, 유전자 발현을 증진시키거나 단백질의 기능을 증진시키는 활성을 나타내는 시험대상물질 및 반대로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키거나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시키는 활성을 나타내는 시험대상 물질은, 전자의 경우, 시험대상물질에 대한 억제제를 개발함으로써 면역억제제 후보물질이 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는 면역억제제 후보물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역억제제 후보물질은 이후의 면역억제제 개발과정에서 선도물질(leading compound)로서 작용하게 되며, 선도물질이 상기 유전자 또는 그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기능 억제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그 구조를 변형시키고 최적화함으로써, 새로운 면역억제제를 개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외에도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가용화제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되는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제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피복정, 정제, 캡슐제, 좌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및 활성 화합물의 서방출형 제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 있어서, "유효량"은 암을 억제하는 효과를 이루는데 요구되는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의 "유효량"은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성인의 경우, 상기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억제제를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siRNA일 경우 0.01ng/kg~10㎎/kg, shRNA일 경우 0.01ng/kg~10㎎/kg, 상기 유전자의 mRNA에 대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인 경우 0.01ng/kg~10㎎/kg, 화합물일 경우 0.1ng/kg~10㎎/kg, 상기 단백질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일 경우 0.1ng/kg~10㎎/kg, 저분자화합물일 경우 0.1ng/kg~10㎎/kg, 천연물일 경우 0.1ng/kg~10㎎/kg, 생체유용단백질일 경우 0.1ng/kg~10㎎/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Lrig1은 Treg에 특이적으로 발현되어 Treg을 조절함으로써, 면역억제제의 새로운 타겟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미접촉 T 세포, Th1, Th2, Th17, iTreg 및 nTreg에서의 Lrig1의 발현정도를 Micro array를 통해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조절 T세포에 특이적인 Foxp3 유전자를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발현양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미접촉 T세포(CD44low,CD62Lhigh)와 기억 T세포(CD44high, CD62Llow)에서의 Lrig1의 발현정도와 Foxp3+ 조절자 T세포의 발현정도를 RT-PCR을 통해 비교하였다(2회 실험)
도 4는 T 세포에서 Lrig1의 mRNA 발현양을 상대적으로 비교한 것이다.
도 5는 CD4+CD25high 세포와 CD4+CD25low세포, CD4+Foxp3+세포에서 LRIG1의 발현 여부를 웨스턴블롯(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고(A), CD4+CD25high 세포와 CD4+CD25low세포를 CD4 양성 세포만을 구획한 경우 각각의 세포군에서 대조군 항체와 비교하여 LRIG1의 발현 정도를 FACS로 분석하여 그 차이를 %로 나타내었다(B). 자연 조절 T세포(nTreg)에서는 LRIG1의 발현이 증가한 것(0%에서 6.24%로)을 알 수 있다.
도 6은 대조군 siRNA와 Lrig1 특이적인 siRNA를 증식시킨 CD4+Foxp3+에 전달한 후 LRIG1의 발현 감소를 역전사 중합연쇄반응으로 확인한 것이고(A), LRIG1의 발현이 감소된 조절 T세포는 팽창시 그 수의 증가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B). 여기서 파란색은 Treg cell (CD4+CD25high)을 Lrig-1에 특이적인 siRNA로 처리하였을 때 Treg cell의 expansion (proliferation)이 증가되지 않고, 처리하지 않은 Treg cell (붉은 색)은 정상적으로 expansion된 것으로, 파란 것은 (siRNA + CD4+CD25high), 붉은 색은 CD4+CD25high로 표시됨(B).
도 7은 anti-CD3+anti-CD28 mAb로 자극한naive T cell (CD4+CD25low )를 Treg cell (CD4+CD25high)과 같이 배양하였을때 활성화된 T cell의 증식을 림프구혼합배양반응 에서 Lrig-1발현이 높은 Treg cell은 T cell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나, Lrig-1에 특이적인 siRNA를 처리하여 Lrig-1발현을 낮춘 Treg cell은 T cell의 증식을 저해하지 못함을 나타내서 CD4+CD25high 세포에서의 LRIG1의 발현과 면역억제활성에 관계를 나타내고(A), A의 연구결과를 CFSE희석반응법을 이용하여 다시 확인함으로써 CD4+CD25high 세포에서 LRIG1의 발현이 Treg cell의 면역억제활성에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세포의 분리 및 배양
C57BL6(H-2b) 야생형 마우스와 Foxp3-GFP 유전자변형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마우스는 온도 및 습도가 적절히 조절되는 청결조건에서 (SPF)에서 사육시켰으며 연세대학교 동물실험위원회에서 승인한 동물실험계획서에 준하여 8~12주령 시기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C57BL/6 쥐의 비장세포를 분리한 후 항-CD4-자석비드이 붙어있는 항체를 첨가하여 자기활성세포분석기(MACS) (MiltenyiBiotec)를 통과시켜 CD4 양성 세포를 분리하였다(90~95%). 그 다음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를 하기 위해 상기 CD4 양성 세포를 항-CD4-항체(Clone RM4-5, BD bioscience), 항-CD25-항체(Clone 7D4, BD bioscience), 항-CD44-항체(Clone IM7, BD bioscience) 및 항-CD62L-항체(Clone MEL-14, BD bioscience)로 염색한 후 유세포분석기(FACS, BD FACSAriaTMII)를 통해 미접촉 T 세포(Naive T 세포), CD4+CD62L+CD44-CD25-, 자연조절T세포(natural regulatory T cell, nTreg), CD4+CD25high 세포 및 CD4+CD25low세포를 분리하였다.
미접촉 T세포와 항-Thy1.2 항체와 토끼 보체(rabbit complement, Cedarlance Laboratories Limited)를 통해 T세포가 제거하고, 30Gy(3000 rad)로 방사선 조사로 분리한 항원제시세포(Antigen-Presenting Cells, APCs)를 1:5의 비율로 넣고, 항-CD3 항체 1㎍/㎖ (clone 145-2C11, BD bioscience)과 항-CD28 항체 3㎍/㎖ (clone 37.51, BD bioscience) 자극시킨 후, 각각의 T세포 군으로 분화시키는 항체와 사이토카인을 넣고 72시간 세포를 배양하였다. iTreg을 제외한 나머지 세포군에 IL-2(100 U/㎖)을 넣고 4일간 더 배양하였다. 각각의 세포군에 대한 항체의 종류와 양은 다음과 같았다:
Th1 - 항-IL-4 (10㎍/㎖), IL-12 (10 ng/㎖), IL-2 (100 U/㎖)
Th2 - 항-IFN-g (10 ㎍/㎖), 항-IL-12 (10 ng/㎖), IL-4 (5000 U/㎖) 및 IL-2 (100 U/㎖)
Th17 - 항-IL-4 (10㎍/㎖), 항-IFN-λ(10 ㎍/㎖), 항-IL-12 (10 ㎍/㎖), TGF-β(5 ng/㎖), IL-6 (10 ng/㎖), IL-1β(10 ng/㎖)
iTreg - 항-IL-4 (10㎍/㎖), 항-IFN-λ(10 ㎍/㎖), 항-IL-12 (10 ㎍/㎖), TGF-β(5 ng/㎖), IL-2 (100 U/㎖)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Reverse transcription-PCR.)을 수행하기 위하여, CD4+CD25low 세포와 CD4+CD25high세포에서 키트(Allprep DNA/RNA Mini KitTM Qiagen)을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고 키트(Transcriptor High Fidelity cDNA Synthesis kitTM Roche)를 이용하여 상보적DNA(cDNAs)를 합성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은 정제된 상보적DNA를 직접 디자인한 올리고 프라이머(oligonucleotide primers) 와 PCR 조성물(master mix, Qiagen)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조절 T세포(Treg)의 전사인자인 foxp3와 감마 엑틴1(ACTG1)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과 같다:
단백질 증폭용 프라이머
단백질 서열번호 서열 방향
LRIG1
1 ACCACCGTAGGCATCTTCAC 순방향
2 GAGCCACTGTGTGCTGTTGT 역방향
FOXP3 3 CCCTTGGCCCATCCCCAGGA 순방향
4 CCGAGCGTGGGAAGGTGCAG 역방향
ACTG1 5 GGCGTCATGGTGGGCATGGG 순방향
6 ATGGCGTGGGGAAGGGCGTA 역방향
CD4 + CD25 + nTreg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Lrig-1표면단백질의 확인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세포 CD4+CD25high 세포, CD4+CD25low세포 및 CD4+Foxp3+ 세포를 RIPA 세포 용해 완충액(Sigma)로 용해시킨 후 BCA정량법(Thermo Science)을 이용하여 같은 양의 세포 현탁액을 SDS PAGE gel을 통해 전기영동하고, 이를 맴브레인으로 이동시켰다 항-LRIG1-항체(SantaCruz), 항-Foxp3-항체(ebioscience), 및 항-beta actin(Cell Signaling)을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진행하였다.
표면단백질 염색을 통한 유세포분석기로 분리한 세포 CD4+CD25high 세포와 CD4+CD25low에 LRIG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항-LRIG-항체(R&D systems)와 대조군 항체(Goat- IgG control, R&D systems)를 넣고 4℃ 암시야에서 30분간 반응한 후, FACS 완충액 (0.05% sodium azide, 0.5% BSA/PBS)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유세포 분석기(FACSCalibur, BD Bioscience)을 통해 유세포분석을 하였다.
Treg에서의 Lrig-1발현과 Treg의 증식의 관계 확인
마우스 Lrig1 특이적인 siRNAs (Thermo Fisher Scientific)를 리포좀-siRNA 복합체(Lipofectamin 2000TM Invitrogen)를 제조하여 최종 siRNA의 양이 5~50 pmol이 되도록 만든 후에 증식시킨 CD4+Foxp3+ T세포 1 x 105 / 2 ㎖ 세포 배양액 (RPMI1640, Fetal Bovine Sereum, L-glutamin, antibiotics, Lonza)에 트랜스팩션 시켰다. 24시간이 지난 후에 역전사중합연쇄반응을 통해 발현감소를 확인하였다. 사용한 Lrig1 특이적인 siRNAs서열은 다음과 같다.
발현 억제용 siRNA
서열번호 명칭 서열
7 SMARTpool siRNA J-046693-09 CCGAACGGCCUGCGUAUAA
8 SMARTpool siRNA J-046693-10 GGAGCCAGCUGAAGUCGUA
9 SMARTpool siRNA J-046693-11 GGUCUGUAGUUGAGGACGA
10 SMARTpool siRNA J-046693-12 CCUGGAAGGUGACGGAGAA
Treg의 증식배양물에서 분리한 CD4+Foxp3+ T세포를 미리 항-CD3 항체 (clone 145-2C11) (2.5㎍/㎖)이 고정화된 96-well 플레이트에 각 well당 4 x 105가 들어가도록 세포 배양액(RPMI1640, Fetal Bovine Sereum, L-glutamin, antibiotics 이상 Lonza)으로 재현탁하여 첨가하고, 100 U/ml의 유전자 재조합 마우스형 IL-2(PeproTech)을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3일 간격으로 배양상청액 절반을 IL-2가 첨가된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였고, 일주일이 지난 후 자극 배양을 반복하였다. 3~4번 정도 분열한 2~3 x 106 세포수가 되었을 때 둘로 나누어서 배양하였다. 각 시간 별 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Treg에서의 Lrig-1발현감소와 Treg의 suppressive activity의 관계 확인
<림프구혼합배양반응 (mixed lymphocyte reaction) 억제법>
미리 항-CD3 항체 (clone 145-2C11) (5㎍/㎖)를 고정화시킨 96-well 플레이트에 각 well당 2.5 x 105개의 C57BL/6 마우스 유래 CD4+CD25low T 세포를 넣고 수용액 상태의 항-CD28 항체 (clone 37.51) (2.5 ㎍/㎖)를 넣어 자극시켰다. 여기에 단계적으로 희석시킨 nTreg과 siRNA를 첨가한 후 하루가 지난 nTreg을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72시간을 혼합 배양하였다. 마지막 6시간 전에 well당 1 μci의 [3H]-thymidine (185 GBq/mmol, Amersham Biosciences)을 넣었다. 세포수집기를 이용하여 세포를 여과지에 수집하고 세포내로 병합된 [3H]-thymidine의 양을 TopCount NXT 베타 계수기(PerkinElmer)로 측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림프구 혼합배양 반응(mixed lymphocyte reaction)후 [3H]-thymidine 병합을 통해 CD4+CD25high 세포에서 LRIG1의 발현이 면역억제활성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7(a)).
<CFSE희석 반응법(Carboxyfluorescein succinimidyleester)>
CD4+CD25low 세포를 1μM CFSE(sigma)로 미리 표지한 후, 항-CD3 항체 (clone 145-2C11) (5㎍/㎖)를 고정화시킨 96-well 플레이트에 각 well당 1x06개의 세포를 넣고 37℃, 5% CO2 배양기에서 48 또는 96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또한, 수용액 상태의 항-CD28 항체 (clone 37.51) (2.5 ㎍/㎖)를 넣어 자극시켰다. 여기에 단계적으로 희석시킨 nTreg과 siRNA를 첨가한 후 하루가 지난 nTreg을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72시간을 혼합 배양하였다. 항-CD4-항체(clone RM4-5, BD bioscience)를 넣고 4℃ 암시야에서 30분간 반응한 후, FACS buffer (0.05% sodium azide, 0.5% BSA/PBS)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분석하기 10분전에 7-AAD(ebioscience)를 넣어 살아있는 세포만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FACSCalibur (BD Bioscience)을 통해 CD4 세포내 CFSE 희석정도를 측정하여 세포증식이 일어난 세포 빈도와 증식횟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CFSE염색시킨 CD4+CD25low 세포를 림프구 혼합배양반응 후 CFSE 희석 정도를 통해 CD4+CD25high 세포에서 LRIG1의 발현이 면역억제활성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7(b)) 참조).
<110> Good T Cells, Inc. <120> Use of a novel transmembrane protein of Lrig-1 in a regulatory T cell <130> PDPB187132d01d02 <160> 1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accaccgtag gcatcttca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gagccactgt gtgctgttgt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cccttggccc atccccagga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ccgagcgtgg gaaggtgcag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gcgtcatgg tgggcatggg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atggcgtggg gaagggcgta 20 <210> 7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J--046693-09 <400> 7 ccgaacggcc ugcguauaa 19 <210> 8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J-046693-10 <400> 8 ggagccagcu gaagucgua 19 <210> 9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J-046693-11 <400> 9 ggucuguagu ugaggacga 19 <210> 10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J-046693-12 <400> 10 ccuggaaggu gacggagaa 19 <210> 11 <211> 109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1 Met Ala Arg Pro Val Arg Gly Gly Leu Gly Ala Pro Arg Arg Ser Pro 1 5 10 15 Cys Leu Leu Leu Leu Trp Leu Leu Leu Leu Arg Leu Glu Pro Val Thr 20 25 30 Ala Ala Ala Gly Pro Arg Ala Pro Cys Ala Ala Ala Cys Thr Cys Ala 35 40 45 Gly Asp Ser Leu Asp Cys Gly Gly Arg Gly Leu Ala Ala Leu Pro Gly 50 55 60 Asp Leu Pro Ser Trp Thr Arg Ser Leu Asn Leu Ser Tyr Asn Lys Leu 65 70 75 80 Ser Glu Ile Asp Pro Ala Gly Phe Glu Asp Leu Pro Asn Leu Gln Glu 85 90 95 Val Tyr Leu Asn Asn Asn Glu Leu Thr Ala Val Pro Ser Leu Gly Ala 100 105 110 Ala Ser Ser His Val Val Ser Leu Phe Leu Gln His Asn Lys Ile Arg 115 120 125 Ser Val Glu Gly Ser Gln Leu Lys Ala Tyr Leu Ser Leu Glu Val Leu 130 135 140 Asp Leu Ser Leu Asn Asn Ile Thr Glu Val Arg Asn Thr Cys Phe Pro 145 150 155 160 His Gly Pro Pro Ile Lys Glu Leu Asn Leu Ala Gly Asn Arg Ile Gly 165 170 175 Thr Leu Glu Leu Gly Ala Phe Asp Gly Leu Ser Arg Ser Leu Leu Thr 180 185 190 Leu Arg Leu Ser Lys Asn Arg Ile Thr Gln Leu Pro Val Arg Ala Phe 195 200 205 Lys Leu Pro Arg Leu Thr Gln Leu Asp Leu Asn Arg Asn Arg Ile Arg 210 215 220 Leu Ile Glu Gly Leu Thr Phe Gln Gly Leu Asn Ser Leu Glu Val Leu 225 230 235 240 Lys Leu Gln Arg Asn Asn Ile Ser Lys Leu Thr Asp Gly Ala Phe Trp 245 250 255 Gly Leu Ser Lys Met His Val Leu His Leu Glu Tyr Asn Ser Leu Val 260 265 270 Glu Val Asn Ser Gly Ser Leu Tyr Gly Leu Thr Ala Leu His Gln Leu 275 280 285 His Leu Ser Asn Asn Ser Ile Ala Arg Ile His Arg Lys Gly Trp Ser 290 295 300 Phe Cys Gln Lys Leu His Glu Leu Val Leu Ser Phe Asn Asn Leu Thr 305 310 315 320 Arg Leu Asp Glu Glu Ser Leu Ala Glu Leu Ser Ser Leu Ser Val Leu 325 330 335 Arg Leu Ser His Asn Ser Ile Ser His Ile Ala Glu Gly Ala Phe Lys 340 345 350 Gly Leu Arg Ser Leu Arg Val Leu Asp Leu Asp His Asn Glu Ile Ser 355 360 365 Gly Thr Ile Glu Asp Thr Ser Gly Ala Phe Ser Gly Leu Asp Ser Leu 370 375 380 Ser Lys Leu Thr Leu Phe Gly Asn Lys Ile Lys Ser Val Ala Lys Arg 385 390 395 400 Ala Phe Ser Gly Leu Glu Gly Leu Glu His Leu Asn Leu Gly Gly Asn 405 410 415 Ala Ile Arg Ser Val Gln Phe Asp Ala Phe Val Lys Met Lys Asn Leu 420 425 430 Lys Glu Leu His Ile Ser Ser Asp Ser Phe Leu Cys Asp Cys Gln Leu 435 440 445 Lys Trp Leu Pro Pro Trp Leu Ile Gly Arg Met Leu Gln Ala Phe Val 450 455 460 Thr Ala Thr Cys Ala His Pro Glu Ser Leu Lys Gly Gln Ser Ile Phe 465 470 475 480 Ser Val Pro Pro Glu Ser Phe Val Cys Asp Asp Phe Leu Lys Pro Gln 485 490 495 Ile Ile Thr Gln Pro Glu Thr Thr Met Ala Met Val Gly Lys Asp Ile 500 505 510 Arg Phe Thr Cys Ser Ala Ala Ser Ser Ser Ser Ser Pro Met Thr Phe 515 520 525 Ala Trp Lys Lys Asp Asn Glu Val Leu Thr Asn Ala Asp Met Glu Asn 530 535 540 Phe Val His Val His Ala Gln Asp Gly Glu Val Met Glu Tyr Thr Thr 545 550 555 560 Ile Leu His Leu Arg Gln Val Thr Phe Gly His Glu Gly Arg Tyr Gln 565 570 575 Cys Val Ile Thr Asn His Phe Gly Ser Thr Tyr Ser His Lys Ala Arg 580 585 590 Leu Thr Val Asn Val Leu Pro Ser Phe Thr Lys Thr Pro His Asp Ile 595 600 605 Thr Ile Arg Thr Thr Thr Met Ala Arg Leu Glu Cys Ala Ala Thr Gly 610 615 620 His Pro Asn Pro Gln Ile Ala Trp Gln Lys Asp Gly Gly Thr Asp Phe 625 630 635 640 Pro Ala Ala Arg Glu Arg Arg Met His Val Met Pro Asp Asp Asp Val 645 650 655 Phe Phe Ile Thr Asp Val Lys Ile Asp Asp Ala Gly Val Tyr Ser Cys 660 665 670 Thr Ala Gln Asn Ser Ala Gly Ser Ile Ser Ala Asn Ala Thr Leu Thr 675 680 685 Val Leu Glu Thr Pro Ser Leu Val Val Pro Leu Glu Asp Arg Val Val 690 695 700 Ser Val Gly Glu Thr Val Ala Leu Gln Cys Lys Ala Thr Gly Asn Pro 705 710 715 720 Pro Pro Arg Ile Thr Trp Phe Lys Gly Asp Arg Pro Leu Ser Leu Thr 725 730 735 Glu Arg His His Leu Thr Pro Asp Asn Gln Leu Leu Val Val Gln Asn 740 745 750 Val Val Ala Glu Asp Ala Gly Arg Tyr Thr Cys Glu Met Ser Asn Thr 755 760 765 Leu Gly Thr Glu Arg Ala His Ser Gln Leu Ser Val Leu Pro Ala Ala 770 775 780 Gly Cys Arg Lys Asp Gly Thr Thr Val Gly Ile Phe Thr Ile Ala Val 785 790 795 800 Val Ser Ser Ile Val Leu Thr Ser Leu Val Trp Val Cys Ile Ile Tyr 805 810 815 Gln Thr Arg Lys Lys Ser Glu Glu Tyr Ser Val Thr Asn Thr Asp Glu 820 825 830 Thr Val Val Pro Pro Asp Val Pro Ser Tyr Leu Ser Ser Gln Gly Thr 835 840 845 Leu Ser Asp Arg Gln Glu Thr Val Val Arg Thr Glu Gly Gly Pro Gln 850 855 860 Ala Asn Gly His Ile Glu Ser Asn Gly Val Cys Pro Arg Asp Ala Ser 865 870 875 880 His Phe Pro Glu Pro Asp Thr His Ser Val Ala Cys Arg Gln Pro Lys 885 890 895 Leu Cys Ala Gly Ser Ala Tyr His Lys Glu Pro Trp Lys Ala Met Glu 900 905 910 Lys Ala Glu Gly Thr Pro Gly Pro His Lys Met Glu His Gly Gly Arg 915 920 925 Val Val Cys Ser Asp Cys Asn Thr Glu Val Asp Cys Tyr Ser Arg Gly 930 935 940 Gln Ala Phe His Pro Gln Pro Val Ser Arg Asp Ser Ala Gln Pro Ser 945 950 955 960 Ala Pro Asn Gly Pro Glu Pro Gly Gly Ser Asp Gln Glu His Ser Pro 965 970 975 His His Gln Cys Ser Arg Thr Ala Ala Gly Ser Cys Pro Glu Cys Gln 980 985 990 Gly Ser Leu Tyr Pro Ser Asn His Asp Arg Met Leu Thr Ala Val Lys 995 1000 1005 Lys Lys Pro Met Ala Ser Leu Asp Gly Lys Gly Asp Ser Ser Trp Thr 1010 1015 1020 Leu Ala Arg Leu Tyr His Pro Asp Ser Thr Glu Leu Gln Pro Ala Ser 1025 1030 1035 1040 Ser Leu Thr Ser Gly Ser Pro Glu Arg Ala Glu Ala Gln Tyr Leu Leu 1045 1050 1055 Val Ser Asn Gly His Leu Pro Lys Ala Cys Asp Ala Ser Pro Glu Ser 1060 1065 1070 Thr Pro Leu Thr Gly Gln Leu Pro Gly Lys Gln Arg Val Pro Leu Leu 1075 1080 1085 Leu Ala Pro Lys Ser 1090 <210> 12 <211> 3282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2 atggcgcggc cggtccgggg agggctcggg gccccgcgcc gctcgccttg ccttctcctt 60 ctctggctgc ttttgcttcg gctggagccg gtgaccgccg cggccggccc gcgggcgccc 120 tgcgcggccg cctgcacttg cgctggggac tcgctggact gcggtgggcg cgggctggct 180 gcgttgcccg gggacctgcc ctcctggacg cggagcctaa acctgagtta caacaaactc 240 tctgagattg accctgctgg ttttgaggac ttgccgaacc tacaggaagt gtacctcaat 300 aataatgagt tgacagcggt accatccctg ggcgctgctt catcacatgt cgtctctctc 360 tttctgcagc acaacaagat tcgcagcgtg gaggggagcc agctgaaggc ctacctttcc 420 ttagaagtgt tagatctgag tttgaacaac atcacggaag tgcggaacac ctgctttcca 480 cacggaccgc ctataaagga gctcaacctg gcaggcaatc ggattggcac cctggagttg 540 ggagcatttg atggtctgtc acggtcgctg ctaactcttc gcctgagcaa aaacaggatc 600 acccagcttc ctgtaagagc attcaagcta cccaggctga cacaactgga cctcaatcgg 660 aacaggattc ggctgataga gggcctcacc ttccaggggc tcaacagctt ggaggtgctg 720 aagcttcagc gaaacaacat cagcaaactg acagatgggg ccttctgggg actgtccaag 780 atgcatgtgc tgcacctgga gtacaacagc ctggtagaag tgaacagcgg ctcgctctac 840 ggcctcacgg ccctgcatca gctccacctc agcaacaatt ccatcgctcg cattcaccgc 900 aagggctgga gcttctgcca gaagctgcat gagttggtcc tgtccttcaa caacctgaca 960 cggctggacg aggagagcct ggccgagctg agcagcctga gtgtcctgcg tctcagccac 1020 aattccatca gccacattgc ggagggtgcc ttcaagggac tcaggagcct gcgagtcttg 1080 gatctggacc ataacgagat ttcgggcaca atagaggaca cgagcggcgc cttctcaggg 1140 ctcgacagcc tcagcaagct gactctgttt ggaaacaaga tcaagtctgt ggctaagaga 1200 gcattctcgg ggctggaagg cctggagcac ctgaaccttg gagggaatgc gatcagatct 1260 gtccagtttg atgcctttgt gaagatgaag aatcttaaag agctccatat cagcagcgac 1320 agcttcctgt gtgactgcca gctgaagtgg ctgcccccgt ggctaattgg caggatgctg 1380 caggcctttg tgacagccac ctgtgcccac ccagaatcac tgaagggtca gagcattttc 1440 tctgtgccac cagagagttt cgtgtgcgat gacttcctga agccacagat catcacccag 1500 ccagaaacca ccatggctat ggtgggcaag gacatccggt ttacatgctc agcagccagc 1560 agcagcagct cccccatgac ctttgcctgg aagaaagaca atgaagtcct gaccaatgca 1620 gacatggaga actttgtcca cgtccacgcg caggacgggg aagtgatgga gtacaccacc 1680 atcctgcacc tccgtcaggt cactttcggg cacgagggcc gctaccaatg tgtcatcacc 1740 aaccactttg gctccaccta ttcacataag gccaggctca ccgtgaatgt gttgccatca 1800 ttcaccaaaa cgccccacga cataaccatc cggaccacca ccatggcccg cctcgaatgt 1860 gctgccacag gtcacccaaa ccctcagatt gcctggcaga aggatggagg cacggatttc 1920 cccgctgccc gtgagcgacg catgcatgtc atgccggatg acgacgtgtt tttcatcact 1980 gatgtgaaaa tagatgacgc aggggtttac agctgtactg ctcagaactc agccggttct 2040 atttcagcta atgccaccct gactgtccta gagaccccat ccttggtggt ccccttggaa 2100 gaccgtgtgg tatctgtggg agaaacagtg gccctccaat gcaaagccac ggggaaccct 2160 ccgccccgca tcacctggtt caagggggac cgcccgctga gcctcactga gcggcaccac 2220 ttgacccctg acaaccagct cctggtggtt cagaacgtgg tggcagagga tgcgggccga 2280 tatacctgtg agatgtccaa caccctgggc acggagcgag ctcacagcca gctgagcgtc 2340 ctgcccgcag caggctgcag gaaggatggg accacggtag gcatcttcac cattgctgtc 2400 gtgagcagca tcgtcctgac gtcactggtc tgggtgtgca tcatctacca gaccaggaag 2460 aagagtgaag agtacagtgt caccaacaca gatgaaaccg tcgtgccacc agatgttcca 2520 agctacctct cttctcaggg gaccctttct gaccgacaag aaaccgtggt caggaccgag 2580 ggtggccctc aggccaatgg gcacattgag agcaatggtg tgtgtccaag agatgcaagc 2640 cactttccag agcccgacac tcacagcgtt gcctgcaggc agccaaagct ctgtgctggg 2700 tctgcgtatc acaaagagcc gtggaaagcg atggagaaag ctgaagggac acctgggcca 2760 cataagatgg aacacggtgg ccgggtcgta tgcagtgact gcaacaccga agtggactgt 2820 tactccaggg gacaagcctt ccacccccag cctgtgtcca gagacagcgc acagccaagt 2880 gcgccaaatg gcccggagcc gggtgggagt gaccaagagc attctccaca tcaccagtgc 2940 agcaggactg ccgctgggtc ctgccccgag tgccaagggt cgctctaccc cagtaaccac 3000 gatagaatgc tgacggctgt gaagaaaaag ccaatggcat ctctagatgg gaaaggggat 3060 tcttcctgga ctttagcaag gttgtatcac ccggactcca cagagctaca gcctgcatct 3120 tcattaactt caggcagtcc agagcgcgcg gaagcccagt acttgcttgt ttccaatggc 3180 cacctcccca aagcatgtga cgccagtccc gagtccacgc cactgacagg acagctcccc 3240 gggaaacaga gggtgccact gctgttggca ccaaaaagct ag 3282 <210> 13 <211> 75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3 Ala Gly Pro Arg Ala Pro Cys Ala Ala Ala Cys Thr Cys Ala Gly Asp 1 5 10 15 Ser Leu Asp Cys Gly Gly Arg Gly Leu Ala Ala Leu Pro Gly Asp Leu 20 25 30 Pro Ser Trp Thr Arg Ser Leu Asn Leu Ser Tyr Asn Lys Leu Ser Glu 35 40 45 Ile Asp Pro Ala Gly Phe Glu Asp Leu Pro Asn Leu Gln Glu Val Tyr 50 55 60 Leu Asn Asn Asn Glu Leu Thr Ala Val Pro Ser Leu Gly Ala Ala Ser 65 70 75 80 Ser His Val Val Ser Leu Phe Leu Gln His Asn Lys Ile Arg Ser Val 85 90 95 Glu Gly Ser Gln Leu Lys Ala Tyr Leu Ser Leu Glu Val Leu Asp Leu 100 105 110 Ser Leu Asn Asn Ile Thr Glu Val Arg Asn Thr Cys Phe Pro His Gly 115 120 125 Pro Pro Ile Lys Glu Leu Asn Leu Ala Gly Asn Arg Ile Gly Thr Leu 130 135 140 Glu Leu Gly Ala Phe Asp Gly Leu Ser Arg Ser Leu Leu Thr Leu Arg 145 150 155 160 Leu Ser Lys Asn Arg Ile Thr Gln Leu Pro Val Arg Ala Phe Lys Leu 165 170 175 Pro Arg Leu Thr Gln Leu Asp Leu Asn Arg Asn Arg Ile Arg Leu Ile 180 185 190 Glu Gly Leu Thr Phe Gln Gly Leu Asn Ser Leu Glu Val Leu Lys Leu 195 200 205 Gln Arg Asn Asn Ile Ser Lys Leu Thr Asp Gly Ala Phe Trp Gly Leu 210 215 220 Ser Lys Met His Val Leu His Leu Glu Tyr Asn Ser Leu Val Glu Val 225 230 235 240 Asn Ser Gly Ser Leu Tyr Gly Leu Thr Ala Leu His Gln Leu His Leu 245 250 255 Ser Asn Asn Ser Ile Ala Arg Ile His Arg Lys Gly Trp Ser Phe Cys 260 265 270 Gln Lys Leu His Glu Leu Val Leu Ser Phe Asn Asn Leu Thr Arg Leu 275 280 285 Asp Glu Glu Ser Leu Ala Glu Leu Ser Ser Leu Ser Val Leu Arg Leu 290 295 300 Ser His Asn Ser Ile Ser His Ile Ala Glu Gly Ala Phe Lys Gly Leu 305 310 315 320 Arg Ser Leu Arg Val Leu Asp Leu Asp His Asn Glu Ile Ser Gly Thr 325 330 335 Ile Glu Asp Thr Ser Gly Ala Phe Ser Gly Leu Asp Ser Leu Ser Lys 340 345 350 Leu Thr Leu Phe Gly Asn Lys Ile Lys Ser Val Ala Lys Arg Ala Phe 355 360 365 Ser Gly Leu Glu Gly Leu Glu His Leu Asn Leu Gly Gly Asn Ala Ile 370 375 380 Arg Ser Val Gln Phe Asp Ala Phe Val Lys Met Lys Asn Leu Lys Glu 385 390 395 400 Leu His Ile Ser Ser Asp Ser Phe Leu Cys Asp Cys Gln Leu Lys Trp 405 410 415 Leu Pro Pro Trp Leu Ile Gly Arg Met Leu Gln Ala Phe Val Thr Ala 420 425 430 Thr Cys Ala His Pro Glu Ser Leu Lys Gly Gln Ser Ile Phe Ser Val 435 440 445 Pro Pro Glu Ser Phe Val Cys Asp Asp Phe Leu Lys Pro Gln Ile Ile 450 455 460 Thr Gln Pro Glu Thr Thr Met Ala Met Val Gly Lys Asp Ile Arg Phe 465 470 475 480 Thr Cys Ser Ala Ala Ser Ser Ser Ser Ser Pro Met Thr Phe Ala Trp 485 490 495 Lys Lys Asp Asn Glu Val Leu Thr Asn Ala Asp Met Glu Asn Phe Val 500 505 510 His Val His Ala Gln Asp Gly Glu Val Met Glu Tyr Thr Thr Ile Leu 515 520 525 His Leu Arg Gln Val Thr Phe Gly His Glu Gly Arg Tyr Gln Cys Val 530 535 540 Ile Thr Asn His Phe Gly Ser Thr Tyr Ser His Lys Ala Arg Leu Thr 545 550 555 560 Val Asn Val Leu Pro Ser Phe Thr Lys Thr Pro His Asp Ile Thr Ile 565 570 575 Arg Thr Thr Thr Met Ala Arg Leu Glu Cys Ala Ala Thr Gly His Pro 580 585 590 Asn Pro Gln Ile Ala Trp Gln Lys Asp Gly Gly Thr Asp Phe Pro Ala 595 600 605 Ala Arg Glu Arg Arg Met His Val Met Pro Asp Asp Asp Val Phe Phe 610 615 620 Ile Thr Asp Val Lys Ile Asp Asp Ala Gly Val Tyr Ser Cys Thr Ala 625 630 635 640 Gln Asn Ser Ala Gly Ser Ile Ser Ala Asn Ala Thr Leu Thr Val Leu 645 650 655 Glu Thr Pro Ser Leu Val Val Pro Leu Glu Asp Arg Val Val Ser Val 660 665 670 Gly Glu Thr Val Ala Leu Gln Cys Lys Ala Thr Gly Asn Pro Pro Pro 675 680 685 Arg Ile Thr Trp Phe Lys Gly Asp Arg Pro Leu Ser Leu Thr Glu Arg 690 695 700 His His Leu Thr Pro Asp Asn Gln Leu Leu Val Val Gln Asn Val Val 705 710 715 720 Ala Glu Asp Ala Gly Arg Tyr Thr Cys Glu Met Ser Asn Thr Leu Gly 725 730 735 Thr Glu Arg Ala His Ser Gln Leu Ser Val Leu Pro Ala Ala Gly Cys 740 745 750 Arg Lys Asp Gly Thr Thr 755

Claims (2)

  1. Lrig1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 염증 질환인 퇴행성 뇌혈관 질환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Lrig1 단백질은 서열번호 11 또는 13으로 표시되는 약학 조성물.
KR1020200035022A 2020-03-23 2020-03-23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KR20200035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022A KR20200035924A (ko) 2020-03-23 2020-03-23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KR1020200185239A KR102317415B1 (ko) 2020-03-23 2020-12-28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022A KR20200035924A (ko) 2020-03-23 2020-03-23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883A Division KR102094747B1 (ko) 2019-03-08 2019-03-08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239A Division KR102317415B1 (ko) 2020-03-23 2020-12-28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924A true KR20200035924A (ko) 2020-04-06

Family

ID=7028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022A KR20200035924A (ko) 2020-03-23 2020-03-23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59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92B1 (ko) 2002-01-29 2008-02-18 주식회사 포스코 면역 조절 펩타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92B1 (ko) 2002-01-29 2008-02-18 주식회사 포스코 면역 조절 펩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2686B2 (en) Use of regulatory T cell-specific surface protein LRIG-1
KR101959237B1 (ko)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Thomas et al. TGF-β directly targets cytotoxic T cell functions during tumor evasion of immune surveillance
US10351851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anti-tumor T cells
EP2903692B1 (en) Therapies based on control of regulatory t cell stability and function via a neuropilin-1:semaphorin axis
US928324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PIAS3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or immune disease
US2021027710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 tumor suppressor deficient cancer
US20220096543A1 (en) Tollip deficient neutrophils and uses thereof
KR102067402B1 (ko)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JP2022512922A (ja) キメラ抗原受容体記憶様(carml)nk細胞ならびにその産生および使用方法
JP2020530993A (ja) キメラ抗原受容体または改変tcrを発現し、選択的に発現されるヌクレオチド配列を含む細胞
JP6078633B2 (ja) 治療用のチオレドキシン相互作用タンパク質(txnip)のインヒビター
KR20190080217A (ko) Chi3l1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의 폐 전이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94747B1 (ko)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KR102317415B1 (ko)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KR20200035924A (ko) 조절자 T 세포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표면단백질 Lrig-1의 용도
KR102179381B1 (ko) Mal이 발현된 줄기세포 유사 기억 t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또는 항암활성 증진용 조성물
KR102569644B1 (ko) Gdf15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33542B1 (ko) Pacsin-3의 유전자 억제를 위한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nkt 림프구 활성억제용 조성물
KR20220088294A (ko) Oligodendrocyte transcription factor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흑색종 치료 효과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142928A (ko) 뇌암의 침윤 및 이동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99567B1 (ko) JunB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Baine Helios regulates interleukin-2 expression and suppressive function in natural regulatory T cells
Youn Immune Regulation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Superfamily Cytok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