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153A - 피부 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153A
KR20200035153A KR1020207007635A KR20207007635A KR20200035153A KR 20200035153 A KR20200035153 A KR 20200035153A KR 1020207007635 A KR1020207007635 A KR 1020207007635A KR 20207007635 A KR20207007635 A KR 20207007635A KR 20200035153 A KR20200035153 A KR 2020003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ater
composition
external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0832B1 (ko
Inventor
겐이치로 하타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데이코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데이코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데이코쿠
Publication of KR2020003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xides or 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12Magnesium silic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2Manganese;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9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8, 9,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Ferrates; Cobaltates; Nickelates; Ruthenates; Osmates; Rhodates; Iridates; Palladates; Plati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소 운동을 적극적으로 행하지 않는 주부, 학생, 장년이나 중년의 남녀, 고령자 등의 스포츠 선수 이외의 일반인이어도 스포츠 경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능망간광이 물에 의해 추출된 능망간광 추출물과, 적철광이 물에 의해 추출된 적철광 추출물과, 능아연광이 물에 의해 추출된 능아연광 추출물과, 감람석이 물에 의해 추출된 감람석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 등에 의해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외용 조성물
본 발명은 손가락, 손, 팔, 발, 다리, 체간 등의 신체에 분무, 도포 등 접촉시켜, 신체의 균형을 조정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축구, 테니스, 야구 등의 스포츠에서 손발 등을 움직이는 동작을 할 때, 사지의 움직임의 기점이 되는 체간의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어, 체간 트레이닝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 체간 트레이닝에 의해, 예를 들면, 다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힘이나 에너지가 체간을 통해 효율적으로 팔이나 손의 동작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체간 트레이닝 중에서도 밸런스 보드, 밸런스 볼 등을 조합함으로써, 일부러 불안정한 상태하에서 신체를 유지시키는 트레이닝을 행함으로써, 각종 근육을 포함하여 체간에 위치하는 근육도 단련하여, 경기 중에 중요시되는 신체의 밸런스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간 트레이닝은 서적, 동영상, web 등에서 이미 널리 알려져 있고, 스포츠 선수뿐만 아니라 주부, 학생, 고령자 등에게도 확산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착용함으로써 높은 신체 균형이나 신체 지지력을 얻을 수 있고, 운동 효과를 최대한으로 끌어 낼 수 있는 타이츠 등의 의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00116호
그러나, 종래 알려져 있는 체간 트레이닝에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들여 트레이닝을 행할 필요가 있고, 평소 운동을 적극적으로 행하지 않는 주부, 학생, 장년이나 중년의 남녀, 고령자 등의 스포츠 선수 이외의 일반인에게는 문턱이 높게 느껴지기 때문에,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상기 일반인의 요구에 대해 충분히 응할 수 없다는 과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선행문헌 1에 기재된 의류에서는 항상 착용하고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고, 스포츠의 종류에 따라서는 착용할 수 없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평소 운동을 적극적으로 행하지 않는 주부, 학생, 장년이나 중년의 남녀, 고령자 등의 스포츠 선수 이외의 일반인이어도 스포츠 경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즉, 본 발명은 능망간광이 물에 의해 추출된 능망간광 추출물과, 적철광이 물에 의해 추출된 적철광 추출물과, 능아연광이 물에 의해 추출된 능아연광 추출물과, 감람석이 물에 의해 추출된 감람석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이다.
[2] 그리고, 상기 능망간광 추출물에서 망간의 함유 비율이 1.0∼3.5g/L이고, 상기 적철광 추출물에서 철의 함유 비율이 0.2∼1.2g/100g이고, 상기 능아연광 추출물에서 아연의 함유 비율이 1.2∼2.5g/L이고, 상기 감람석 추출물에서 마그네슘의 함유 비율이 2.0∼4.5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피부 외용 조성물이다.
[3] 그리고, 상기 능망간광 추출물이 0.2∼0.5중량%, 상기 적철광 추출물이 0.2∼0.5중량%, 상기 능아연광 추출물이 0.2∼0.5중량%, 상기 감람석 추출물이 0.2∼0.5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피부 외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소 운동을 적극적으로 행하지 않는 주부, 학생, 장년이나 중년의 남녀, 고령자 등의 스포츠 선수 이외의 일반인이어도 간편하게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조성물을 함침시킨 천을 접촉시킨 쥐에서의 혈중 일산화질소(NO)량을 측정한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함침시킨 셔츠를 입은 피험자에서의 체온 변화를 측정한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을 함침시킨 셔츠를 입은 피험자에서의 체온 변화를 측정한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조성물을 함침시킨 셔츠를 입은 피험자에서의 체온 변화를 측정한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평가를 위해, 피험자가 준비를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평가를 위해, 피험자가 시험자에 의해 시험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명 중에서의 범위를 나타내는 표기가 있는 경우에는 상한과 하한을 함유하는 것이다.
능망간광 추출물은 망간의 탄산염 광물인 능망간광이 물에 의해 추출되어 얻어진 추출물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능망간광 추출물은 능망간광의 원석이 소정의 입자 직경 정도까지 분쇄되고, 그 분쇄물에 물 및 필요에 따라 산성 화합물, 가용화제 및 방부제가 첨가되어 교반 혼합된 후에, 필터 등으로 여과된 여과액인 수용액이다. 또한, 추출될 때의 물은 20∼30℃ 정도의 상온수 뿐만 아니라, 그보다도 온도가 낮은 냉수나 반대로 온도가 높은 온수 및 열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능망간광 추출물에서의 망간의 함유 비율이 1.0∼3.5g/L인 것이 바람직하고, 1.5∼3.0g/L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능망간광 추출물에서의 망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이 액상으로 수개월이나 수년 등 장기간 보존해도 침전물이 생성되는 경우가 없고, 다른 추출물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망간의 함유 비율은 원자 흡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농도가 이미 알려진 망간 표준액에 의해 검량선을 작성하여, 검량선법에 따라 정량을 행하는 등의 방법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의 능망간광 추출물의 함유 비율은 0.2∼0.5중량%가 바람직하고, 0.3∼0.4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의 능망간광 추출물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능망간광 추출물은 스스로 상기 추출 작업을 행하여 얻을 수도 있지만, 시판품을 구입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로도라이트 2(이케다 물산사 제조)를 입수할 수 있다.
적철광 추출물은 산화철의 광물인 적철광이 물에 의해 추출되어 얻어진 추출물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적철광 추출물은 적철광의 원석이 소정의 입자 직경 정도까지 분쇄되고, 그 분쇄물에 물 및 필요에 따라 산성 화합물, 가용화제 및 방부제가 첨가되어 교반 혼합된 후에, 필터 등으로 여과된 여과액인 수용액이다. 또한, 추출될 때의 물은 20∼30℃ 정도의 상온수 뿐만 아니라, 그보다도 온도가 낮은 냉수나 반대로 온도가 높은 온수 및 열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적철광 추출물에서의 철의 함유 비율이 0.2∼1.2g/1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9g/100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적철광 추출물에서의 철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이 액상으로 수개월이나 수년 등 장기간 보존해도 침전물이 생성되는 경우가 없고, 다른 추출물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철의 함유 비율은 원자 흡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농도가 이미 알려진 철 표준액에 의해 검량선을 작성하여, 검량선법에 따라 정량을 행하는 등의 방법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의 적철광 추출물의 함유 비율은 0.2∼0.5중량%가 바람직하고, 0.3∼0.4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의 적철광 추출물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철광 추출물은 스스로 상기 추출 작업을 행하여 얻을 수도 있지만, 시판품을 구입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헤마타이트(이케다 물산사 제조)를 입수할 수 있다.
능아연광 추출물은 아연의 탄산염 광물인 능아연광이 물에 의해 추출되어 얻어진 추출물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능아연광 추출물은 능아연광의 원석이 소정의 입자 직경 정도까지 분쇄되고, 그 분쇄물에 물 및 필요에 따라 산성 화합물, 가용화제 및 방부제가 첨가되어 교반 혼합된 후에, 필터 등으로 여과된 여과액을 필요에 따라 소정량의 감마선으로 조사한 수용액이다. 또한, 추출할 때의 물은 20∼30℃ 정도의 상온수 뿐만 아니라, 그보다도 온도가 낮은 냉수나 반대로 온도가 높은 온수 및 열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능아연광 추출물에서의 아연의 함유 비율이 1.2∼2.5g/L인 것이 바람직하고, 1.5∼2.0g/L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능아연광 추출물에서의 아연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이 액상으로 수개월이나 수년 등 장기간 보존해도 침전물이 생성되는 경우가 없고, 다른 추출물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연의 함유 비율은 원자 흡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농도가 이미 알려진 아연 표준액에 의해 검량선을 작성하여, 검량선법에 따라 정량을 행하는 등의 방법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의 능아연광 추출물의 함유 비율은 0.2∼0.5중량%가 바람직하고, 0.3∼0.4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의 능아연광 추출물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능아연광 추출물은 스스로 상기 추출 작업을 행하여 얻을 수도 있지만, 시판품을 구입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징크사이트(이케다 물산사 제조)를 입수할 수 있다.
감람석 추출물은 마그네슘 등의 네소규산염 광물인 감람석이 물에 의해 추출되어 얻어진 추출물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감람석 추출물은 감람석의 원석이 소정의 입자 직경 정도까지 분쇄되고, 그 분쇄물에 물 및 필요에 따라 산성 화합물, 가용화제 및 방부제가 첨가되어 교반 혼합된 후에, 필터 등으로 여과된 여과액인 수용액이다. 또한, 추출할 때의 물은 20∼30℃ 정도의 상온수 뿐만 아니라, 그보다도 온도가 낮은 냉수나 반대로 온도가 높은 온수 및 열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감람석 추출물에서의 마그네슘의 함유 비율이 2.0∼4.5g/L인 것이 바람직하고, 2.5∼4.0g/L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감람석 추출물에서의 마그네슘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이 액상으로 수개월이나 수년 등 장기간 보존해도 침전물이 생성되는 경우가 없고, 다른 추출물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의 함유 비율은 원자 흡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농도가 이미 알려진 마그네슘 표준액에 의해 검량선을 작성하여, 검량선법에 따라 정량을 행하는 등의 방법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의 감람석 추출물의 함유 비율은 0.2∼0.5중량%가 바람직하고, 0.3∼0.4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의 감람석 추출물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신체의 균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감람석 추출물은 스스로 상기 추출 작업을 행하여 얻을 수도 있지만, 시판품을 구입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올리바인(이케다 물산사 제조)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 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피부 외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각 추출물에 함유될 수 있는 유성 화합물을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양이온 계면 활성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 활성제는 수중에서 해리했을 때 양이온이 되는 계면 활성제이고, 예를 들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알킬디메틸암모늄염,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염 등이 바람직하다. 이 중, 알킬기는 탄소수 12∼22인 것이 바람직하고, 카운터 음이온으로서 염화물 이온, 수산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음이온 계면 활성제는 수중에서 해리할 때 음이온이 되는 계면 활성제이고, 예를 들면, 지방산염, 모노알킬황산염, 알킬폴리옥시에틸렌황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모노알킬인산염 등이 바람직하다. 이 중 알킬기는 탄소수 12∼22인 것이 바람직하고, 카운터 양이온으로서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쪽성 계면 활성제는 분자 내에 음이온성 부위와 양이온성 부위의 양방을 겸비하고 있고, 용액의 pH에 따라 양이온, 음이온 및 양이온과 음이온의 양쪽성이 되는 계면 활성제이고, 예를 들면,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카르복시베타인 등이 바람직하다. 이 중 알킬기는 탄소수 12∼22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친수부가 이온화되지 않는 친수성 부위를 갖는 활성제이고,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나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나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부가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 계면 활성제 중, 그리핀의 식으로 산출되는 HLB가 3∼1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 계면 활성제에서 폴리옥시에틸렌 골격을 갖는 것은 적절하게 옥시에틸렌의 부가 몰수를 변경할 수 있다. HLB가 상기 범위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이면, 피부 외용 조성물을 장기 보존해도 앙금이나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아, 보존 안정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알코올을 배합할 수 있다. 알코올을 배합함으로써, 피부 외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각 추출물을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의약품, 의약부외품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에탄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알코올은 1종만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 물을 추가하여 배합할 수 있다. 물을 배합함으로써, 피부 외용 조성물의 유효성 성분인 각 추출물의 농도를 희석하고,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피부에 염증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거나, 또는 그 피부를 통해 혈류로 흘러 들어갔을 때 다른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로는 일본 약국방 규격의 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수돗물, 우물물 등인 상수, 그리고 증류, 이온 교환막에 의한 이온 교환 처리, 한외 여과막에 의한 한외 여과 처리 중 어느 것,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상수를 처리한 정제수, 그리고 가열 등에 의해 정제수를 멸균 처리한 멸균 정제수 등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풀브산(휴머스 엑기스), 염화벤잘코늄,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등의 살균제, 메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토코페롤, 비타민 C, BHT 등의 항산화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등의 보습 성분,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분무나 도포 가능한 용기에 넣고, 팔, 다리, 체간 등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분무하거나 도포함으로써 접촉시켜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신체에 장착하는 코르셋, 리스트 밴드나 의복 등에 분무 또는 도포하여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포함시켜, 팔, 다리, 체간 등의 피부에 간접적으로 서서히 접촉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실시예 1](EX1)
능망간광의 수추출물인 능망간광 추출물(이케다 물산사 제조 「로도라이트 2」, 망간의 함유 비율이 1.93g/L)을 0.35중량%, 적철광의 수추출물인 적철광 추출물(이케다 물산사 제조 「헤마타이트」, 철의 함유 비율이 0.6g/100g)을 0.35중량%, 능아연광의 수추출물인 능아연광 추출물(이케다 물산사 제조 「징크사이트」, 아연의 함유 비율이 1.9g/L)을 0.35중량%, 감람석의 수추출물인 감람석 추출물(이케다 물산사 제조 「올리바인」, 마그네슘의 함유 비율이 3.2g/L)을 0.35중량%, 휴머스 엑기스(니혼 후민 화학사 제조 「FX21 도갼나」)를 0.35중량%, 메틸파라벤을 0.15중량%, 에탄올을 7중량%, 물을 91.1중량% 배합하여 100중량%의 조성물을 제조하고, 소정 시간 3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균일 혼합함으로써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CF1)
능망간광 추출물을 배합하지 않고, 물을 91.4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CF2)
적철광 추출물을 배합하지 않고, 물을 91.4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CF3)
능아연광 추출물을 배합하지 않고, 물을 91.4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CF4)
감람석 추출물을 배합하지 않고, 물을 91.45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혈중 일산화질소(NO)량 시험]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성능 평가에 대해, 생체에서의 혈중 일산화질소의 농도 변화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카테터형 일산화질소 센서를 마취한 쥐의 간장 내의 문맥에 삽입한 후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소정량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의 천을 상기 쥐의 흉부 및 복부에 접촉시켜, 시간 경과에 따라 혈중 일산화질소의 농도를 전기 화학 측정 장치(주식회사 인터메디컬 제조, IMEC-601)로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도 1에서 각각의 차트의 가로축이 측정 시간(분)이고, 세로축이 혈중 일산화질소의 양으로, 그 세로축의 상측만큼 혈중 일산화질소의 양이 많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2분 후(화살표를 표시하고 있는 시점)에 피부 외용 조성물을 소정량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의 천을 쥐에 부착시키면, 실시예 1에서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약 2분 30초 후(부착시키고 나서 약 30초 후)에 혈중 일산화질소의 양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4에서 명확하게는 혈중 일산화질소의 양이 증가하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능망간광 추출물, 적철광 추출물, 능아연광 추출물, 감람석 추출물의 4종 모두가 함유되어 있을 때, 혈중 일산화질소의 양이 빠르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일산화질소는 생체 내에서 평활근에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생체 내에서 혈관 확장이 일어나고 있는 것도 시사된다.
[체온 변화 시험]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성능 평가에 대해, 생체에서의 체온 변화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피험자인 인간에게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소정량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의 셔츠를 입힌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체온 변화를 휴대용 서모그래피 카메라(FLIR C2)로 측정하였다. 도 2∼도 4에 상기 셔츠를 착용한 직후, 2분 후, 4분 후에서의 체온을 나타내는 서모그래프를 나타낸다. 또한, 각 시험에서의 피험자는 동일 인물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피험자의 가슴 및 어깨 부근의 온도가 2분 후, 4분 후로 시간의 경과와 함께 상승하고 있는 것이 분명해졌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4에서 피험자의 가슴 및 어깨 부근의 온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승되지 않거나, 또는 실시예 1만큼 상승되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능망간광 추출물, 적철광 추출물, 능아연광 추출물, 감람석 추출물의 4종 모두가 함유되어 있을 때, 피험자의 체온이 가장 상승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생체 내에서의 일산화질소량 결과를 감안하면 생체 내에서 발생한 일산화질소의 작용에 의해 혈관이 확장되어, 혈류가 증가해 신체 표면의 온도가 상승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체 균형 시험 1]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성능 평가에 대해, 신체에 힘을 가했을 때 흔들리는지와 같은 신체의 균형 유지성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58세 여성, 45세 여성, 25세 여성, 42세 남성, 29세 남성, 28세 남성의 건강한 성인 남녀 6명으로, 제조한 피부 외용 조성물에 침지시킨 허리 둘레에 감는 코르셋을 장착시키고, 수분간 기립한 상태에서 안정시켰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험자 B가 손을 뒤로 하여 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험자 A가 그 피험자 B의 손에 수직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힘으로 눌러 내리고, 신체의 흔들림 정도를 신체의 균형 유지성으로서 평가하였다. 피험자 A가 피험자 B의 손을 눌러 내려도, 좌우의 발이 1보도 흔들리지 않는 상황을 ○, 좌우의 발이 1보 흔들리는 상황을 △, 좌우의 발이 2보 이상 흔들리는 상황을 ×로 구분하고, 「○」가 바람직하고, 「△」및「×」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은 이중 맹검법에 의해, 즉 피험자 A 및 피험자 B 모두 사용한 조성물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응하는지 알 수 없는 상황하에서 행하였다.
[신체 균형 시험 2]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성능 평가에 대해, 눈을 가리고 한 발 서기를 했을 때, 소정 시간 서 있을 수 있는지 신체의 균형 유지성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8 내지 22세의 남녀인 피험자 22명에게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소정량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의 셔츠를 입힌 후, 아이 마스크를 착용시키고, 오른발을 축이 되는 발로 하여 한 발 서기를 하게 하고, 20초간 정치시켰다. 그리고, 그 20초간에 있어서, 균형을 잃고 올리고 있던 발을 디딘 인원수를 카운트하였다. 또한, 플라시보 효과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피험자에게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별을 전달하지 않았다.
실시예 1, 비교예 1∼4에 대해, 각종 조성물의 배합 성분에 관한 배합 비율과, 이들에 대한 성능 평가에 관한 신체 균형 1 및 신체 균형 2의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놀랍게도 능망간광 추출물, 적철광 추출물, 능아연광 추출물, 감람석 추출물의 4종 모두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유의차를 가져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쉬운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쉬운 효과는 조성물 중에서의 능망간광 추출물, 적철광 추출물, 능아연광 추출물, 감람석 추출물에 포함되는 미네랄분이 피부의 외피에서 침투하여 혈관의 내측에 있는 근육을 이완시키는 물질(EDRF: 평활근 이완 인자)에 작용시키고, 일산화질소(NO)를 합성하는 힘을 증강시키고, 혈관을 넓혀 혈액의 흐름을 촉진하고, 그리고 혈관이 넓어져 혈액의 흐름이 좋아짐으로써, 신체의 근육이나 힘줄 속에 있는 「근방추」「건방추」와 같은 센서가 자극되어, 그 때의 신체의 변형이나 근육, 힘줄의 수축 등의 정보를 즉시 말단 신경에서 뇌로 전달하고, 뇌에서 신체의 균형을 취하도록 지시가 주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는 해명되지 않았지만, 대학 등의 연구 기관에서 검증을 진행시키는 중으로, 상술한 혈중 일산화질소(NO)량 시험이나 체온 변화 시험의 결과에서 타당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3)

  1. 능망간광이 물에 의해 추출된 능망간광 추출물과,
    적철광이 물에 의해 추출된 적철광 추출물과,
    능아연광이 물에 의해 추출된 능아연광 추출물과,
    감람석이 물에 의해 추출된 감람석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능망간광 추출물에서 망간의 함유 비율이 1.0∼3.5g/L이고,
    상기 적철광 추출물에서 철의 함유 비율이 0.2∼1.2g/100g이고,
    상기 능아연광 추출물에서 아연의 함유 비율이 1.2∼2.5g/L이고,
    상기 감람석 추출물에서 마그네슘의 함유 비율이 2.0∼4.5g/L인, 피부 외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능망간광 추출물이 0.2∼0.5중량%,
    상기 적철광 추출물이 0.2∼0.5중량%,
    상기 능아연광 추출물이 0.2∼0.5중량%,
    상기 감람석 추출물이 0.2∼0.5중량% 함유되어 있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1020207007635A 2017-09-04 2018-08-28 피부 외용 조성물 KR102150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69233 2017-09-04
JP2017169233 2017-09-04
PCT/JP2018/031635 WO2019044788A1 (ja) 2017-09-04 2018-08-28 皮膚外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153A true KR20200035153A (ko) 2020-04-01
KR102150832B1 KR102150832B1 (ko) 2020-09-01

Family

ID=6552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635A KR102150832B1 (ko) 2017-09-04 2018-08-28 피부 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33092B2 (ko)
EP (1) EP3679937A4 (ko)
JP (1) JP6557442B1 (ko)
KR (1) KR102150832B1 (ko)
CN (1) CN111315389B (ko)
TW (1) TWI736792B (ko)
WO (1) WO2019044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30775A1 (en) * 2021-10-07 2023-04-13 Unilever Global Ip Limited A topical composition for providing energizing glow on sk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116A (ja) 2002-09-12 2004-04-02 Mizuno Corp 衣類、姿勢形成方法およびトレーニング指導方法
CN104784071A (zh) * 2015-03-17 2015-07-22 广州丽丰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皮肤全面抗衰老水凝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0902C2 (de) * 1985-08-29 1997-07-17 Roller Iris Verwendung von reinem Edelsteinpulver als allergenschwacher Farbstoff für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FR2891138B1 (fr) * 2005-09-23 2007-11-16 Gattefosse Sas Soc Par Actions Utilisation du fer comme stimulant de la synthese du collagene par les fibrolastes cutanes
KR20090073622A (ko) * 2007-12-31 2009-07-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로도크로사이트 추출물, 스미스소나이트 추출물 및피토스테릴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8496948B2 (en) * 2009-12-02 2013-07-30 Bath And Body Works Brand Management, Inc. Topical skin composition comprising mineral yeast ferments
CA2826897A1 (en) * 2011-02-08 2012-08-16 Jorge Cueto Garcia Biological thixotropic adhesive for use in the human body internal cavities
CH704629B1 (de) * 2012-01-17 2012-09-28 Labo Cosprophar Ag Auf Stammzellen der Epidermis und Dermis und auf deren Mikro-Umgebung wirken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CN103961288B (zh) * 2014-05-28 2017-01-11 广州丽丰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含有赤铁矿提取液和胶原蛋白的精华液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116A (ja) 2002-09-12 2004-04-02 Mizuno Corp 衣類、姿勢形成方法およびトレーニング指導方法
CN104784071A (zh) * 2015-03-17 2015-07-22 广州丽丰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皮肤全面抗衰老水凝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76024A1 (en) 2020-12-03
KR102150832B1 (ko) 2020-09-01
US10933092B2 (en) 2021-03-02
CN111315389A (zh) 2020-06-19
CN111315389B (zh) 2021-03-23
JPWO2019044788A1 (ja) 2019-11-07
WO2019044788A1 (ja) 2019-03-07
JP6557442B1 (ja) 2019-08-14
TWI736792B (zh) 2021-08-21
EP3679937A1 (en) 2020-07-15
TW201912146A (zh) 2019-04-01
EP3679937A4 (en)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wson et al. Effects of immediate post-game recovery procedures on muscle soreness, power and flexiblity levels over the next 48 hours
JP2023097387A (ja) バイオセラミック組成物およびその生体修飾的使用
CN105287284B (zh) 一种婴幼儿用含有艾叶提取物的沐浴露
KR101850405B1 (ko) 외용 조성물
US20110052740A1 (en) Skin Circulation-Improving Agent And Skin Temperature-Elevating Agent
JP4889954B2 (ja) 女性ホルモン調節機能調整用香料組成物
CN106473996A (zh) 一种控油焕肤祛痘修复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102150832B1 (ko) 피부 외용 조성물
KR20190081558A (ko) 피부장벽 강화효과가 우수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360944B2 (ja) 皮膚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137003A (zh) 通鼻抗菌的复方精油、生活用纸及其制备方法
JPS61280417A (ja) 弱酸性入浴剤
KR101303131B1 (ko) 견운모를 함유하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Park et al. Comparison of underwater and overground treadmill walking exercise to improve gait and physical function in people after stroke
CN107898711A (zh) 一种氨基酸型保湿洁面泡沫
KR20190047866A (ko) 피부 개선용 쿨링 크림
US20170007535A1 (en) Catechin-free tea wat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20050123651A1 (en) Mineral water composition
Woods et al. Diet Containing EGCG and Beta-Alanine Decreases Mortality, But Has No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and Variably Affects Muscle Function in Aged Mice.: 1281 Board# 74 May 28, 9: 00 AM-10: 30 AM
Ghasemi et al. 19 Sex-dependent differences on knee frontal moment in pre-adolescent and adolescent ages during a cutting maneuver task
Pinthong et al. Community-based Social Dance Exercise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 Pilot Study: 1280 Board# 73 May 28, 8: 00 AM-9: 30 AM
JP2020180116A (ja) ドロマイトを含む入浴剤
JPH05148130A (ja) 入浴剤
KR20220114895A (ko) 호두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컨디셔닝용 조성물
JP6184758B2 (ja) 足アーチ崩れ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