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896A - 표시 장치 및 적외광 차단 필름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적외광 차단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896A
KR20200033896A KR1020207004683A KR20207004683A KR20200033896A KR 20200033896 A KR20200033896 A KR 20200033896A KR 1020207004683 A KR1020207004683 A KR 1020207004683A KR 20207004683 A KR20207004683 A KR 20207004683A KR 20200033896 A KR20200033896 A KR 20200033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infrared light
polymer film
light blocking
visib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사이토
노보루 이와타
아츠시 오노
켄타로 타무라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20003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5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B60K2370/1529
    • B60K2370/25
    • B60K2370/33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정보를 갖도록 구성되고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 가시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가시광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되고, 표시 유닛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적외광 차단부; 및 적외광 차단부를 통과한 가시광을 반사하도록 구성된 반사부를 포함한다. 적외광 차단부는 제1 중합체 필름 및 제2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고, 제1 중합체 필름은 적외광 투과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적외광 차단 층을 포함하고, 제2 중합체 필름은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고 제1 중합체 필름과 표시 유닛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적외광 차단 필름
본 발명은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및 적외광 차단 필름(infrared cut-off film)에 관한 것이다.
차량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는 표시 장치의 일례이다. 차량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에 위치되는 계기판(instrument panel) 내에 배치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한다. 액정 패널은 표시 정보를 갖는다. 백라이트(backlight)에 의해 방출된 가시광은 액정 패널을 통과하고, 이어서 반사경(reflective mirror)에 의해 반사되고, 전방 윈드실드(front windshield)에 도달한다. 방출된 광은 전방 윈드실드에 의해 반사되고, 후속적으로 운전자의 눈에 도달한다. 운전자는 액정 패널로부터의 표시 정보를 허상(virtual image)의 형태로 시각적으로 인식한다. 차량이 액정 패널에 대한, 외부 광(태양광) 내에 포함된 적외선(적외광)으로부터의 열 에너지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특허문헌 1은 액정 패널에 입사하는 적외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액정 패널의 전방에 필터가 제공되는 차량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개시한다.
액정 패널의 전방에 제공되는 필터는, 예를 들어 연신된 중합체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굴절률 이방성이 필터에서 발생하여, 복굴절이 얻어지게 한다. 따라서, 액정 패널과 같은 표시 유닛에 의해 방출된 선형 편광된 가시광이 필터를 통과할 때, 광은 선형 편광된 파로부터 타원 편광된 파로 변환될 수 있다. 전방 윈드실드에 의해 반사될 때의 타원 편광된 가시광은 편광 성분에 따라 광 반사율이 변한다. 그 결과, 표시 유닛에 의해 방출된 직후의 표시 정보와 운전자에 의해 인지되는 표시 정보 사이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열등한 가시성을 초래한다. 운전자에 대한 가시성을 유지하면서 표시 유닛 상에 입사되는 적외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필터의 추가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정보를 갖도록 구성되고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 가시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가시광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되고, 표시 유닛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적외광 차단부; 및 적외광 차단부를 통과한 가시광을 반사하도록 구성된 반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이다. 적외광 차단부는 제1 중합체 필름 및 제2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며, 제1 중합체 필름은 적외광 투과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적외광 차단 층을 포함하고, 제2 중합체 필름은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고 제1 중합체 필름과 표시 유닛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태양에 따르면, 적외광 차단부는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가시광을 투과시키고, 표시 유닛에 입사되는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표시 유닛에 대한, 예를 들어 태양광 내의 적외광으로부터의 열 에너지의 영향이 감소된다. 적외광 차단부는 가시광을 투과시킴으로써, 표시 정보를 갖는 가시광이 반사부에 도달하게 한다. 게다가, 적외광 차단부의 제2 중합체 필름은 제1 중합체 필름과 표시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그 결과, 표시 유닛에 의해 방출되는 가시광은 제1 중합체 필름에 입사하기 전에 제2 중합체 필름을 통과한다. 제2 중합체 필름은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며, 그 결과, 제2 중합체 필름을 통과한 가시광의 편광 방향은 필름의 높은 위상차로 인해 파장에 대해 주기적으로 변하는 반면, 편광 방향이 변하는 파장 간격은 크게 단축되어, 파장에 대해 평균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준-탈편광 상태(quasi-depolarized state)가 얻어지게 한다. 이러한 준-탈편광 상태에 의해, 제1 중합체 필름이 제2 중합체 필름을 통과한 가시광에 타원형 편광 특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타원형 편광은 광이 반사부에 의해 반사될 때 눈에 띄지 않게 됨으로써, 무지개 눈부심(rainbow glare)을 감소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표시 유닛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은 표시 정보의 가시성이 유지되면서 더 용이하게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예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외광 차단 필름의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고-위상차 필름에서의 가시광 파장과 s-파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그래프.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고-위상차 필름에서의 가시광 파장과 s-파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그래프.
도 5는 적외광 차단 필름을 통과한 가시광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
도 6a 내지 도 6c는 실시예 1에 따른 적외광 차단 필름, 및 액정 디스플레이의 투과 축과 고-위상차 필름의 느린 축(slow axis)의 방향들의 예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표시 정보를 갖도록 구성되고,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 가시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가시광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되고, 표시 유닛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적외광 차단부; 및 적외광 차단부를 통과한 가시광을 반사하도록 구성된 반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이다. 적외광 차단부는 제1 중합체 필름 및 제2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며, 제1 중합체 필름은 적외광 투과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적외광 차단 층을 포함하고, 제2 중합체 필름은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고 제1 중합체 필름과 표시 유닛 사이에 배치된다.
적외광 차단부는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가시광을 투과시키고, 표시 유닛에 입사되는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표시 유닛에 대한, 예를 들어 태양광 내의 적외광으로부터의 열 에너지의 영향이 감소된다. 적외광 차단부는 가시광을 투과시킴으로써, 표시 정보를 갖는 가시광이 반사부에 도달하게 한다. 게다가, 적외광 차단부의 제2 중합체 필름은 제1 중합체 필름과 표시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그 결과, 표시 유닛에 의해 방출되는 가시광은 제1 중합체 필름에 입사하기 전에 제2 중합체 필름을 통과한다. 제2 중합체 필름은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며, 그 결과, 제2 중합체 필름을 통과한 가시광의 편광 방향은 필름의 높은 위상차로 인해 파장에 대해 주기적으로 변하는 반면, 편광 방향이 변하는 파장 간격은 크게 단축되어, 파장에 대해 평균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준-탈편광 상태가 얻어지게 한다. 이러한 준-탈편광 상태에 의해, 제1 중합체 필름이 제2 중합체 필름을 통과한 가시광에 타원형 편광 특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타원형 편광은 광이 반사부에 의해 반사될 때 눈에 띄지 않게 됨으로써, 무지개 눈부심을 감소시킬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표시 정보"는 넓게는, 이 정보를 볼 때 특정 의미를 파악하거나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온-보드(on-board) 표시 장치의 경우에, 정보의 예는 넓게는 지도, 교통 표지, 및 다른 내비게이션 정보를 포함한다. 용어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 가시광"은, 상이한 파장들에서 강도(intensity)의 차이를 나타내지만, 파장들의 중단되지 않는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 가시 스펙트럼 내의 광을 지칭한다. 표현 "표시 유닛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의 감소"는 흡수되거나 반사됨으로써 감소되는, 표시 유닛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을 지칭한다. "제2 중합체 필름"이 "제1 중합체 필름과 표시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은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가시광이 먼저 제2 중합체 필름을 통과하고, 투과된 광이 이어서 제1 중합체 필름을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태양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른 표지 장치에서,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5000 nm 내지 30000 nm(둘 모두 포함함)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적외광 차단부는 반사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적외광 차단 필름은 일 면으로부터의 가시광을 투과시키고 다른 면으로부터의 입사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적외광 차단 필름이며, 적외광 차단 필름은 입사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제1 중합체 필름, 및 제1 중합체 필름 상에 배치된 제2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고, 제2 중합체 필름은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 따른 적외광 차단 필름은 반사 편광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 및 적외광 차단 필름의 실시 형태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하게 라벨링될(labeled) 것이며, 그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예시이다. 도 1은 차량 헤드-업 디스플레이로서 적용되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례를 예시한다. 차량(2) 내의 표시 장치(1)는 광원(10), 표시 유닛(20), 제1 광 경로 변환기(25a), 제2 광 경로 변환기(25b), 적외광 차단부(30), 및 반사부(40)를 포함한다. 광원(10)은, 예를 들어 제논 램프, 할로겐 램프, 또는 냉음극관(cold cathode tube)을 포함하고, 선형 편광된 가시광(L1)을 표시 유닛(20)을 향해 방출한다. 표시 유닛(20)은, 예를 들어 액정 패널, 유기 EL 패널, 디지털 미러 장치, 또는 MEMS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 유닛(20)은 광원(10)으로부터 가시광(L1)을 받고 표시 정보를 형성하며, 표시 정보를 갖는 가시광(L2)이 적외광 차단부(30)를 향해 방출된다. 가시광(L2)은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다. 표시 유닛(20)이 예를 들어 유기 EL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에, 표시 유닛(20) 및 광원(10)은 통합될 수 있다. 제1 광 경로 변환기(25a) 및 제2 광 경로 변환기(25b)는 필요에 따라 제공되며, 제1 광 경로 변환기(25a)는 제2 광 경로 변환기(25b)와 쌍을 형성하여 가시광(L1)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적외광 차단부(30)는 적외광 차단 필름(3)을 포함한다. 적외광 차단부(30)는 표시 유닛(20)으로부터의 가시광(L2)을 투과시키고, 투과된 가시광(L3)을 반사부(40)를 향해 방출한다. 적외광 차단부(30)는 표시 유닛(20)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킨다. 반사부(40)는, 예를 들어 전방 윈드실드를 포함하고, 적외광 차단부(30)를 통과한 가시광(L3)을 운전자(D1)를 향해 반사한다. 반사부(40)가 전방 윈드실드인 경우에, 전방 윈드실드에 의해 반사되는 가시광(L4)을 받는 운전자(D1)는, 전방 윈드실드를 통해, 차량(2)의 외부 전방의 시계(field of view)에 더하여 표시 정보가 가상 위치(SR)에 존재하는 것처럼 이 정보를 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적외광 차단 필름의 예시이다. 적외광 차단 필름(3)은 일 면으로부터의 가시광을 투과시키고, 다른 면으로부터의 입사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킨다.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외광 차단 필름(3)은 제1 중합체 필름(31) 및 제2 중합체 필름(32)을 포함한다. 적외광 차단 필름(3)이 특정 위치에 설치될 때, 제2 중합체 필름(32)은 제1 중합체 필름(31)과 표시 유닛(20) 사이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시 유닛(20)으로부터의 가시광(L2)은 먼저 제2 중합체 필름(32)에 입사한다. 제2 중합체 필름(32)을 통과한 가시광은 제1 중합체 필름(31)에 입사한다. 일단 제1 중합체 필름(31)을 통과하면, 가시광(L2)은 반사부(4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1 중합체 필름(31)은 표시 유닛(20)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외광-감소 필름이고, 단층 중합체 필름 또는 다층 중합체 필름일 수 있다. 제1 중합체 필름(31)이 단층 중합체 필름인 경우에, 단층 중합체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올레핀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단층 중합체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50 내지 200 μm이다. 제1 중합체 필름(31)이 다층 중합체 필름인 경우에, 다층 중합체 필름은, 예를 들어 교번하는 제1 중합체 층들 및 제2 중합체 층들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갖는다.
제1 중합체 필름(31)은 굴절률이 최대인 제1 축을 갖는다. 제조 동안 필름이 단 하나의 방향으로 연신되는(일축 배향되는) 경우에, 연신 방향은 제1 축에 대응한다. 필름이 제조 동안 2개의 방향으로 연신되는(이축 배향되는) 경우에, 2개의 연신 방향 중 하나는 제1 축에 대응한다.
제1 중합체 필름(31)은 투과된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외광 차단 층(31a)을 포함한다. 적외광 차단 층(31a)은, 예를 들어 금속, 금속 합금,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고, 1 μm 이상의 파장을 갖는 근적외광 및 적외광을 주로 반사한다. 금속은, 예를 들어 은, 금,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은이 특히 바람직한 금속인데, 은은 박막으로 용이하게 작업될 수 있고 근적외광 및 적외광을 쉽게 반사하기 때문이다. 금속 합금은 은 합금, 스테인리스강, 및 인코넬(Inconel)을 포함한다. 금속 합금들 중에서, 30 질량% 이상의 은을 함유하는 은 합금이 특히 바람직한 재료인데, 그러한 것이 박막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것이고 근적외광 및 적외광을 쉽게 반사하기 때문이다. 은 및 50 질량% 미만의 금 및/또는 20 질량% 미만의 구리를 함유하는 은 합금이 또한 바람직한 재료인데, 그러한 것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산화물 반도체는, 예를 들어 이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 및 인듐 주석 산화물(ITO)을 포함하며, 이때 ITO가 특히 바람직하게 포함된다. 금속, 금속 합금, 또는 산화물 반도체는 단일 층 또는 다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중합체 필름(32)은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합체 필름(32)은 굴절률이 최대인 느린 축, 및 굴절률이 최저인 빠른 축(fast axis)을 갖는다. 제조 동안 필름이 주어진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에, 연신 방향은 느린 축(Sx1)에 대응할 수 있다. 빠른 축은 느린 축(Sx1)에 직교하는 축일 수 있다.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내지 300 μm이다.
도 3 및 도 4는 고-위상차 필름이 편광기와 분석기 사이에 직교 니콜(crossed-nicol) 배열로 배치된 때 분석기를 통과한 가시광의 s-파 투과율에 대한 결과를 예시하는, 고-위상차 필름에서의 가시광 파장과 s-파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가시광은 연속 스펙트럼을 갖고, 고-위상차 필름의 느린 축(Sx1)은 편광기의 편광축에 대해 45°의 경사를 갖는다. 도 3a는 3000 nm의 위상차(Re)에 대한 결과를 예시한다. 도 3b는 5000 nm의 위상차에 대한 결과를 예시하고, 도 3c는 8000 nm의 위상차에 대한 결과를 예시한다. 도 4a는 10000 nm의 위상차에 대한 결과를 예시하고, 도 4b는 30000 nm의 위상차에 대한 결과를 예시한다.
도 3a 내지 도 4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장이 변화함에 따라 분석기를 통과한 가시광의 s-파 투과율이 반복적으로 증가 및 감소하며, 이러한 증가 및 감소의 파장 간격은 위상차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이들 결과는, 고-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가시광의 편광 방향이 파장에 대해 주기적으로 증가 및 감소하면서, 편광 방향이 변하는 파장 간격이 크게 단축되어, 파장에 대해 평균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준-탈편광 상태가 얻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준-탈편광 상태에 의해, 제1 중합체 필름(31)이 제2 중합체 필름(32)을 통과한 가시광에 타원형 편광 특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타원형 편광은 광이 반사부(40)에 의해 반사될 때 눈에 띄지 않게 됨으로써, 무지개 눈부심을 감소시킬 것이다.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5000 nm 내지 30000 nm(둘 모두 포함함)의 범위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5000 nm 이상의 위상차 값을 갖는 것은 편광 방향이 변하는 파장 간격을 크게 단축시켜, 파장에 대해 평균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준-탈편광 상태가 얻어지게 한다. 이러한 준-탈편광 상태에 의해, 제1 중합체 필름(31)이 제2 중합체 필름(32)을 통과한 가시광에 타원형 편광 특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타원형 편광은 광이 반사부(40)에 의해 반사될 때 눈에 띄지 않게 됨으로써, 무지개 눈부심을 감소시킬 것이다.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8000 nm 이상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8000 nm 이상의 위상차 값을 갖는 것은 편광 방향이 변하는 파장 간격을 크게 단축시켜, 파장에 대해 평균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준-탈편광 상태가 얻어지게 한다. 이러한 준-탈편광 상태에 의해, 제1 중합체 필름(31)이 제2 중합체 필름(32)을 통과한 가시광에 타원형 편광 특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타원형 편광은 광이 반사부(40)에 의해 반사될 때 더욱 더 눈에 띄지 않게 됨으로써, 무지개 눈부심을 추가로 감소시킬 것이다. 30000 nm 이하의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위상차 값을 갖는 것은 무지개 눈부심의 가시성을 개선하고 필름의 제조 용이성, 기계적 강도 등을 유지하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에서, 적외광 차단부(30)는 표시 유닛(20)으로부터 가시광을 투과시키고, 표시 유닛(20)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표시 유닛(20)에 대한, 예를 들어 태양광 내의 적외광으로부터의 열 에너지의 영향이 감소된다. 적외광 차단부(30)는 가시광을 투과시킴으로써, 표시 정보를 갖는 가시광이 반사부에 도달하게 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적외광 차단 층(31a)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제1 중합체 필름(31)은 적외광 차단 층(31a)이 포함되지 않을지라도 표시 유닛(20)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소정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게다가, 표시 장치(1)의 적외광 차단부(30)의 제2 중합체 필름(32)은 제1 중합체 필름(31)과 표시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그 결과, 표시 유닛(20)에 의해 방출되는 가시광은 제1 중합체 필름(31)에 입사하기 전에 제2 중합체 필름(32)을 통과한다. 제2 중합체 필름(32)은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며, 그 결과, 제2 중합체 필름(32)을 통과한 가시광의 편광 방향은 필름의 높은 위상차로 인해 파장에 대해 주기적으로 변하는 반면, 편광 방향이 변하는 파장 간격은 크게 단축되어, 파장에 대해 평균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준-탈편광 상태가 얻어지게 한다. 이러한 준-탈편광 상태에 의해, 제1 중합체 필름(31)이 제2 중합체 필름(32)을 통과한 가시광에 타원형 편광 특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타원형 편광은 광이 반사부(40)에 의해 반사될 때 눈에 띄지 않게 됨으로써, 무지개 눈부심을 감소시킬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도 2b 및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외광 차단 필름(3)은 반사 편광 필름(3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반사 편광 필름(33)은 다수의 광학적으로 이방성인 층을 적층함으로써 제조되는 광학 필름이며, 편광판의 것과 유사한 광학 투명도를 갖는다. 이들 필름은 쓰리엠(3M)(상표명) DBEF 필름(쓰리엠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이중 휘도 향상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및 쓰리엠(상표명) APF 필름(쓰리엠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어드밴스드 폴라라이저 필름(Advanced Polarizer Film))을 포함한다. 태양광 내의 적외광은 다양한 편광 상태를 가지며, 따라서 반사 편광 필름(33)을 통과할 때의 편광 상태에 따라 필터링될 것이다. 예를 들어, 태양광 내의 다양한 유형의 편광된 광 중에서, 반사 편광 필름(33)을 통과하는 선형 편광된 광은 주로 완전히 통과함으로써, 표시 유닛(20)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킨다.
반사 편광 필름(33)은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중합체 필름(31) 상에, 또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중합체 필름(3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어느 배열에서도, 반사 편광 필름(33)은 유사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중합체 필름(31) 위에 제2 중합체 필름(32)을 배치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또는 제1 중합체 필름(31) 또는 제2 중합체 필름(32) 위에 반사 편광 필름(33)을 배치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은 필름들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사용될 수 있는 접착제의 구체적인 예는 감압(pressure-sensitive) 접착제, 핫 멜트(hot melt) 접착제, 활성-에너지-경화성 접착제, 수분-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및 혐기성(anaerobic) 접착제이며, 사용되는 접착제의 유형은, 예를 들어 각자의 필름들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적절한 대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투명 접착제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크릴, 비닐 알코올,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또는 다른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접착제는 예를 들어 중합체 필름의 표면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접착제의 테이프 또는 시트와 같은 층이 중합체 필름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접합될 수 있다. 필름을 배치하는 다른 가능한 방법은 중합체 필름들의 단부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는 프레임을 제조하고, 프레임을 사용하여 필름들을 적층 및 고정시키는 것이다.
제1 중합체 필름(31)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필름은 단층 필름이 생성되든지 또는 다층 필름이 생성되든지 간에 필름에 사용되는 중합체 재료(들)를 동시에 압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필름은 주어진 온도에서 연신됨으로써 배향 처리를 받게 되어, 원하는 두께의 필름이 형성되게 한다. 필름은 필요한 대로 주어진 온도에서 열경화 처리를 받을 수 있다. 압출 및 배향 처리들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또한 제1 중합체 필름(31)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제1 중합체 필름(31)에 포함된 제1 중합체 층은, 예를 들어 결정질, 반결정질, 및 액정 중합체들 및 공중합체들을 포함한다. 제1 중합체 층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0.5 마이크로미터 이하이다. PEN이 제1 중합체 층 내에 포함시키기에 특히 바람직한 재료이며, 약 155℃ 내지 약 230℃ 의 범위 내에서 열안정성이다. PEN 이외의 특히 바람직한 재료의 예는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다른 결정질 나프탈렌 다이카르복실산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제1 중합체 필름(31)의 제2 중합체 층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coPEN을 함유할 수 있다. 제2 중합체 층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0.5 마이크로미터 이하이며, 제1 중합체 층 내에 함유된 수지와 제2 중합체 층 내에 함유된 수지의 굴절률들은 0.03 이상만큼 상이할 수 있다.
적외광 차단 층(31a)은, 예를 들어 열분해, 분말 코팅, 증착, 캐소드 스퍼터링, 또는 이온 도금을 통해 형성되고, 금속, 산화물 반도체, 또는 금속 합금으로부터 중합체 필름 상에 형성된다. 캐소드 스퍼터링 및 이온 도금이 바람직한 방법인데, 이는 균일한 필름 구조 및 두께가 얻어지게 하기 때문이다. 적외광 차단 층(31a)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다층 중합체 필름 상에 라미네이팅된 별개의 금속화된 중합체 또는 유리 시트일 수 있다. 접착제의 예는 핫 멜트 접착제(예컨대, 비텔(VITEL) 3300, 미국 44333 오하이오주 애크론 엠바시 파크웨이 4040 소재의 셸 케미칼 컴퍼니(Shell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감압 접착제(예컨대, 미국 55144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쓰리엠 컴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한 90/10 IOA/AA 및 95/5 IOA/아크릴아미드 아크릴 접착제)를 포함한다.
적외광 차단 층(31a)에 포함된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은 약 10 nm 내지 약 40 nm, 바람직하게는 약 12 nm 내지 약 30 nm의 두께로 적용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 층은 약 20 nm 내지 약 200 nm, 바람직하게는 약 80 nm 내지 약 120 nm의 두께로 적용될 수 있다. 적외광 차단 층(31a)이 다층 중합체 필름 상에 라미네이팅된 금속화된 중합체 또는 유리 시트인 경우에, 시트 상의 금속 또는 금속 합금 코팅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10 nm 내지 약 40 nm일 것이고, 시트 상의 산화물 반도체 코팅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20 nm 내지 약 200 nm일 것이다.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움으로 표시 장치 및 적외광 차단 필름이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5는 실시예 1의 적외광 차단 필름을 통과한 가시광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측정 시스템은, 광원(10) 및 표시 유닛(20)을 위해 액정 모니터(LM)(듀라비전(DuraVision) FDX1503 15-인치 TN 컬러 액정 모니터, 에이조 (EIZO)로부터 입수가능함)를 사용하고, 반사부(40)를 위해 플로트 유리(FG)를 사용한다. 액정 모니터(LM)는 액정 디스플레이(LC)를 포함한다. 플로트 유리(FG)는 가시 스펙트럼에 대해 실질적으로 투명하고, 약 1 mm의 두께를 갖는다. 반사부(40)에 대한 가시광(L3)의 입사각(φ)은 약 45°이다. 운전자(D1)에 대응하는 관찰자에 대한 가시광(L4)의 반사각은 또한 약 45°이고, 관찰자는 반사부의 전방에서 반사부(40)를 관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외광 차단 필름(3)은 액정 모니터(LM)의 액정 디스플레이(LC) 위에 놓여진다. 실시예 1에서, 제1 중합체 필름(31)(적외광 감소 필름) 및 제2 중합체 필름(고-위상차 필름)(32)을 적외광 차단 필름(3)을 위해 사용하였다. 고-위상차 필름은 액정 모니터(LM) 위에 놓여지며, 그 후에 적외광 감소 필름이 고-위상차 필름 위에 놓여진다. 적외광 감소 필름은 고-위상차 필름과 적외광 감소 필름이 서로 접합됨이 없이 적외광 감소 필름 위에 놓여진다. 도 6a에서, 층상 디스플레이 및 필름의 상호 관계를 예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 필름의 위치들이 이동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LC)는 선형 편광된 가시광(L2)을 적외광 차단 필름(3)을 향해 방출한다. 방출된 가시광(L2)의 편광 방향은 실질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편광 축, 즉 투과 축(Px1)을 따른다.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과 축(Px1)은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하나의 축(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135°의 경사각을 갖는다. y-축은 x-축에 직교한다.
실시예 1에서, 적외광 감소 필름은 쓰리엠(상표명) 스카치틴트(Scotchtint)(상표명) 나노 90S 멀티-레이어드 윈도우 필름(쓰리엠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적외광 감소 필름의 크기는 접착제 층 및 표면 하드 코트(hard coat) 층을 제외하고 약 20 cm × 약 30 cm이다. 적외광 감소 필름은 200개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고-위상차 필름은 10000 nm의 위상차를 갖는 초고 복굴절 하드 코팅 필름(파나소닉(Panasonic)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도 6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위상차 필름의 느린 축(Sx1)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90°의 경사각을 갖고,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과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적외광 감소 필름의 연신 축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0° 또는 90°의 경사각을 갖는다.
실시예 1의 적외광 차단 필름(3)을 통과한 후에 플로트 유리(FG)에 의해 반사된 가시광에 대한 무지개 눈부심의 휘도 및 존재를 관찰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 고-위상차 필름, 적외광 감소 필름, 및 반사 편광 필름을 이 순서로 적외광 차단 필름(3)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 위에 놓았다.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135°의 경사각을 갖는다. 고-위상차 필름의 느린 축(Sx1)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135°의 경사각을 갖고,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과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적외광 감소 필름의 연신 축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0° 또는 90°의 경사각을 갖는다.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0°의 경사각을 갖고,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과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고-위상차 필름은 초고 복굴절 하드 코팅 필름(파나소닉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적외광 감소 필름은 쓰리엠(상표명) 스카치틴트(상표명) 나노 90S 멀티-레이어드 윈도우 필름(쓰리엠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반사 편광 필름은 쓰리엠(상표명) DBEF 필름(쓰리엠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실시예 2의 플로트 유리(FG)에 의해 반사된 가시광에 대한 무지개 눈부심의 휘도 및 존재를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들과 유사한 기기(apparatus) 및 절차를 사용하여 관찰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 고-위상차 필름, 적외광 감소 필름, 및 반사 편광 필름을 이 순서로 적외광 차단 필름(3)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 위에 놓았다.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90°의 경사각을 갖고,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과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적외광 차단 필름(3)은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의 방향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실시예 3의 플로트 유리(FG)에 의해 반사된 가시광에 대한 무지개 눈부심의 휘도 및 존재를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들과 유사한 기기 및 절차를 사용하여 관찰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 반사 편광 필름, 고-위상차 필름, 및 적외광 감소 필름을 이 순서로 적외광 차단 필름(3)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 위에 놓았다.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135°의 경사각을 갖는다.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135°의 경사각을 갖고,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과 0°의 각도를 형성한다. 고-위상차 필름의 느린 축(Sx1)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90°의 경사각을 갖고,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과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반사 편광 필름은 쓰리엠(상표명) DBEF 필름(쓰리엠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적외광 감소 필름의 연신 축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0° 또는 90°의 경사각을 갖는다. 고-위상차 필름은 초고 복굴절 하드 코팅 필름(파나소닉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적외광 감소 필름은 쓰리엠(상표명) 스카치틴트(상표명) 나노 90S 멀티-레이어드 윈도우 필름(쓰리엠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실시예 4의 플로트 유리(FG)에 의해 반사된 가시광에 대한 무지개 눈부심의 휘도 및 존재를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들과 유사한 기기 및 절차를 사용하여 관찰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 반사 편광 필름, 고-위상차 필름, 및 적외광 감소 필름을 이 순서로 적외광 차단 필름(3)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 위에 놓았다.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45°의 경사각을 갖고,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과 90°의 각도를 형성한다. 적외광 차단 필름(3)은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의 방향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실시예 5의 플로트 유리(FG)에 의해 반사된 가시광에 대한 무지개 눈부심의 휘도 및 존재를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들과 유사한 기기 및 절차를 사용하여 관찰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고-위상차 필름, 적외광 감소 필름, 반사 편광 필름, 및 다른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을 이 순서로 적외광 차단 필름(3)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 위에 놓았다.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135°의 경사각을 갖는다. 고-위상차 필름의 느린 축(Sx1)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90°의 경사각을 갖고,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과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적외광 감소 필름의 연신 축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0° 또는 90°의 경사각을 갖는다.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0°의 경사각을 갖고,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과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고-위상차 필름은 초고 복굴절 하드 코팅 필름(파나소닉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적외광 감소 필름은 쓰리엠(상표명) 스카치틴트(상표명) 나노 90S 멀티-레이어드 윈도우 필름(쓰리엠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반사 편광 필름은 쓰리엠(상표명) DBEF 필름(쓰리엠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실시예 6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달리, 필름들을 접착제로 서로 접합시켰다.
실시예 6의 플로트 유리(FG)에 의해 반사된 가시광에 대한 무지개 눈부심의 휘도 및 존재를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들과 유사한 기기 및 절차를 사용하여 관찰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 적외광 감소 필름을 적외광 차단 필름(3)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 위에 놓았다. 액정 디스플레이(LC)의 투과 축(Px1)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135°의 경사각을 갖는다. 적외광 감소 필름의 연신 축은 x-축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0° 또는 90°의 경사각을 갖는다. 적외광 감소 필름은 쓰리엠(상표명) 스카치틴트(상표명) 나노 90S 멀티-레이어드 윈도우 필름(쓰리엠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비교예 1의 플로트 유리(FG)에 의해 반사된 가시광에 대한 무지개 눈부심의 휘도 및 존재를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들과 유사한 기기 및 절차를 사용하여 관찰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표 1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대한 적외광 차단 필름 구성 및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표 2는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에 대한 적외광 차단 필름 구성 및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3은 비교예 1에 대한 적외광 차단 필름 구성 및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내지 표 3은 액정 모니터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투과 축의 방향들, 액정 디스플레이 상의 적외광 차단 필름들을 구성하는 필름들 및 그의 투과 축 또는 느린 축의 방향들, 및 관찰자에 의한 시각적 관찰에 의해 얻어진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내지 표 3에서, 액정 모니터의 액정 디스플레이 위에 놓여진 다양한 필름은 그들이 놓여진 순서에 따라 "제1 시트", "제2 시트" 등으로 라벨링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 1에서, 고-위상차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위에 놓여지며, 적외광 감소 필름이 고-위상차 필름 위에 놓여지고, 따라서, 고-위상차 필름은 제1 시트로서 라벨링되고, 적외광 감소 필름은 제2 시트로서 라벨링된다. 표들에서, 실시예 1의 "액정 디스플레이(135°)"에서의 표기 "135°"는,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의 각도로 x-축에 대한 투과 축의 경사를 의미한다.
표 1 내지 표 3의 "등급" 필드에서, "A(특히 양호)"는 반사된 가시광이 충분한 휘도를 가졌고 관찰된 무지개 눈부심을 갖지 않았음을 관찰자에 의한 시각적 평가가 드러내었음을 나타낸다. "B(양호)"는 반사된 가시광이 "A"의 등급보다 더 적은 휘도를 가졌지만 관찰된 무지개 눈부심을 갖지 않았음을 관찰자에 의한 시각적 평가가 드러내었음을 나타낸다. "등급" 필드에서, "C(허용불가능)"는 반사된 가시광이 "A"의 등급보다 더 적은 휘도를 가졌고 무지개 눈부심을 나타내었음을 관찰자에 의한 시각적 평가가 드러내었음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실시예 1에서, 고-위상차 필름이 액정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어, 적외광 감소 필름의 복굴절 특성이 타원형 편광 특성에 의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C)에 의해 방출되는 선형 편광된 가시광을 부여하지만, 고-위상차 필름 이후에 적외광 감소 필름을 통과한 가시광이 플로트 유리(FG)에 의해 반사된 후에 무지개 눈부심의 감소된 발생을 나타내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플로트 유리(FG)에 의한 s-파 반사율은 가시 스펙트럼에서의 p-파 반사율보다 큰 반면, 가시광의 편광 방향이 변하는 파장 간격이 크게 단축되어, 파장에 대해 평균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준-탈편광 상태가 얻어지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적외광 감소 필름이 고-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가시광에 타원형 편광 특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타원형 편광은 플로트 유리(FG)에 의해 반사될 때 눈에 띄지 않아, 감소된 무지개 눈부심이 얻어지게 한다. 고-위상차 필름의 느린 축은 바람직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투과 축에 대해 45°의 각도를 형성하며, 이 각도를 15° 내지 75°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것은 관찰자가 적외광 차단 필름으로부터 밝은 가시광을 인지하게 한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반사 편광 필름이 실시예 1의 적외광 차단 필름 위에 놓여진다. 실시예 2에서,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의 방향은 적외광 차단 필름을 통과한 광의 편광된 성분들 중 s-파가 주로 투과하는 방향이며, 실시예 3에서,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의 방향은 p-파가 주로 투과하는 방향이다. 가시 스펙트럼의 대부분에서, 플로트 유리(FG)의 s-파 반사율은 그의 p-파 반사율보다 더 크고, 따라서, 실시예 2의 적외광 차단 필름은 관찰자가 실시예 3의 적외광 차단 필름이 하는 것보다 더 밝은 광을 인지하게 한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고-위상차 필름이 제공되고, 관찰자는 무지개 눈부심을 관찰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2에서,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은 x-축에 대해 0°의 경사각을 갖고, 이러한 경사각을 -25° 내지 25°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것은 관찰자가 적외광 차단 필름으로부터 밝은 가시광을 인지하게 한다.
실시예 4 및 실시예 5에서, 반사 편광 필름이 실시예 1의 적외광 차단 필름과 액정 디스플레이 사이에 놓여진다. 실시예 4에서,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의 방향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투과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액정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선형 편광된 광의 대부분이 투과된다. 실시예 5에서,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의 방향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투과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액정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선형 편광된 광의 대부분이 차단된다.
실시예 4에서 플로트 유리(FG)를 향해 이동하는 가시광의 광 강도는 실시예 5에서 플로트 유리(FG)를 향해 이동하는 가시광의 것보다 더 크고, 따라서, 실시예 4의 적외광 차단 필름은 관찰자가 실시예 5의 적외광 차단 필름이 하는 것보다 더 밝은 광을 관찰하게 한다. 실시예 4 및 실시예 5 둘 모두에서, 고-위상차 필름이 제공되며, 따라서, 관찰자는 적외광 차단 필름에 의해 야기되는 무지개 눈부심을 관찰하지 못한다. 실시예 4에서, 반사 편광 필름의 투과 축은 x-축에 대해 135°의 경사각을 갖고, 이러한 경사각을 120° 내지 160°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것은 관찰자가 적외광 차단 필름으로부터 밝은 가시광을 인지하게 한다.
실시예 6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들이 실시예 3의 적외광 차단 필름의 양면 상에 놓여진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의 복굴절 특성이 타원 편광 특성에 의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방출되는 선형 편광된 가시광을 부여할 수 있지만, 고-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가시광은 관찰자의 눈에서의 무지개 눈부심의 감소된 발생을 나타낸다. 이러한 감소는 적외광 차단 필름으로부터의 가시광의 타원형 편광이 플로트 유리(FG)에 의해 반사될 때 눈에 띄지 않게 되어, 감소된 무지개 눈부심이 얻어지게 하였음을 나타낸다.
부호의 설명
1 표시 장치
3 적외광 차단 필름
10 광원
20 표시 유닛
30 적외광 차단부
31 제1 중합체 필름
31a 적외광 차단 층
32 제2 중합체 필름
40 반사부
L1, L2, L3, L4 가시광

Claims (6)

  1. 표시 장치(display device)로서,
    표시 정보를 갖도록 구성되고,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 가시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가시광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되고, 표시 유닛에 입사하는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적외광 차단부; 및
    적외광 차단부를 통과한 가시광을 반사하도록 구성된 반사부
    를 포함하고,
    적외광 차단부는 제1 중합체 필름 및 제2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며,
    제1 중합체 필름은 적외광의 투과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적외광 차단 층을 포함하고,
    제2 중합체 필름은 고-위상차(high-retarda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고 제1 중합체 필름과 표시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5000 nm 내지 30000 nm(둘 모두 포함함)의 위상차를 갖는,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외광 차단부는 반사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일 면으로부터의 가시광을 투과시키고 다른 면으로부터의 입사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적외광 차단 필름(infrared cut-off film)으로서,
    필름은 입사 적외광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제1 중합체 필름, 및 제1 중합체 필름 상에 배치된 제2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고,
    제2 중합체 필름은 고-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적외광 차단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반사 편광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적외광 차단 필름.
KR1020207004683A 2017-08-02 2018-07-27 표시 장치 및 적외광 차단 필름 KR202000338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0198A JP2019028373A (ja) 2017-08-02 2017-08-02 表示装置、及び赤外光カットフィルム
JPJP-P-2017-150198 2017-08-02
PCT/IB2018/055640 WO2019025923A1 (en) 2017-08-02 2018-07-27 DISPLAY DEVICE AND INFRARED BLOCKAGE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896A true KR20200033896A (ko) 2020-03-30

Family

ID=6523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683A KR20200033896A (ko) 2017-08-02 2018-07-27 표시 장치 및 적외광 차단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22075B2 (ko)
EP (1) EP3662309A4 (ko)
JP (1) JP2019028373A (ko)
KR (1) KR20200033896A (ko)
TW (1) TW201910866A (ko)
WO (1) WO2019025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072208U (zh) * 2019-05-29 2020-02-14 3M创新有限公司 显示装置
JP7314294B2 (ja) * 2019-09-27 2023-07-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映像表示用部材、ウインドシールドガラス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WO2021152480A1 (en) * 2020-01-31 2021-08-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arization beam splitter and hot mirror for heads up display
CN114236838A (zh) * 2021-12-15 2022-03-25 浙江水晶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hud光路系统及抬头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97A (ja) 1997-07-02 1999-01-29 Denso Corp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US20020120916A1 (en) * 2001-01-16 2002-08-29 Snider Albert Monroe Head-up display system utilizing fluorescent material
WO2003091794A1 (fr) 2002-04-24 2003-11-06 Nitto Denko Corporation Systeme de convergence lumineuse et 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de transmission
JP4233431B2 (ja) 2003-04-01 2009-03-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素子、偏光素子、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248974B2 (ja) * 2003-09-02 2009-04-0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8859648B2 (en) * 2005-05-25 2014-10-14 Toray Industries, Inc. Retardation film and polyester resin for optical use
JP4788882B2 (ja) * 2005-08-29 2011-10-05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4888853B2 (ja) * 2009-11-12 2012-02-29 学校法人慶應義塾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110107546A (ko) * 2010-03-25 2011-10-04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필터 및 그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표시장치
JP5827161B2 (ja) * 2012-03-28 2015-1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コレステリック液晶性混合物、フィルム、赤外反射板、積層体および合わせガラス
US20150168617A1 (en) * 2012-04-23 2015-06-18 Dai Nippon Printing Co., Ltd. Infrared-ray reflective member
JP5835128B2 (ja) * 2012-06-29 2015-12-2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5923441B2 (ja) * 2012-12-21 2016-05-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5370601B1 (ja) * 2013-02-08 2013-12-18 東洋紡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6234339B2 (ja) * 2014-07-25 2017-11-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446259B2 (ja) * 2014-12-24 2018-12-26 旭化成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579821B2 (ja) * 2015-06-24 2019-09-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車両用の画像表示機能付きミラー
JP6455339B2 (ja) 2015-06-26 2019-01-23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743385B2 (ja) * 2015-12-25 2020-08-1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カバー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5923A1 (en) 2019-02-07
TW201910866A (zh) 2019-03-16
EP3662309A4 (en) 2021-03-31
US11822075B2 (en) 2023-11-21
JP2019028373A (ja) 2019-02-21
EP3662309A1 (en) 2020-06-10
US20200166749A1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1621B2 (en) Light-transmitting pane for displaying an image of a head-up display for polarized sunglasses
US11822075B2 (en) Display device and infrared light cut-off film
KR102418069B1 (ko)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CN108700690B (zh) 显示装置和红外光截止膜
US10207645B2 (en) Vehicle including mirror with image display apparatus
US20220187602A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head-up display system
JP2022527539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ガラスラミネート
JP2024056995A (ja) 結晶性低屈折率層を有する多層反射偏光子
JP2021510856A (ja) 結晶性低屈折率層を有する多層反射偏光子
WO2018221598A1 (ja) 赤外域及び可視域の光制御装置
JP2021530741A (ja) 結晶性低屈折率層を有する赤外線反射体及び多層反射偏光子を含む光学フィルム
JP7535538B2 (ja) 表示装置
JPH10142423A (ja) 広視野偏光板
JP6677494B2 (ja) 車両用映像表示ミラー
JP2019120719A (ja) 表示部材
WO2016088709A1 (ja) 車両用画像表示機能付きミラー
JP2022039134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