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615A -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615A
KR20200033615A KR1020180113126A KR20180113126A KR20200033615A KR 20200033615 A KR20200033615 A KR 20200033615A KR 1020180113126 A KR1020180113126 A KR 1020180113126A KR 20180113126 A KR20180113126 A KR 20180113126A KR 20200033615 A KR20200033615 A KR 20200033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jade
composition
calligraphy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618B1 (ko
Inventor
이호규
Original Assignee
이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규 filed Critical 이호규
Priority to KR102018011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6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옥촉서예 추출물은 멜라닌 형성 및 IL-6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바,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zea mays linne}
본 발명은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벼과의 옥수수(zea mays linne)의 꽃대와 암술머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적으로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하고, 생화학적 및 물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피부는 건성, 중성 및 지성 피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는 고정된 상태로 일생 동안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계절, 나이, 식생활 습관 및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즉, 피부 상태가 중성이라 할지라도 식생활 습관 및 환경적 요인 등에 따라 민감성으로, 또는 건성 및 지성이 피부 부위에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복합성 피부로 변해 피부 트러블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날로 심각해지는 공기오염 문제와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의 노출 등으로 피부 손상의 우려가 매우 높다.
이러한 피부 트러블의 증상은 가려움증 및 염증을 동반하는 알레르기성 및 아토피성 피부, 세균 및 호르몬 변화에 따른 여드름성 피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및 아토피성 피부와 같이 외부 환경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피부 트러블의 경우, 과거에는 10대 이하의 젊은 세대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나, 현재는 전 세대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다.
한편, 피부 트러블 뿐만 아니라 자외선, 염증 및 호르몬 등에 의한 피부 손상 및 색소 침착 등으로 인하여 하얀 피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보다 맑고 깨끗한 피부를 추구함에 따라 피부 미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색소 침착은 표피 기저층에 있는 멜라닌 세포에서 일어나며 현재까지는 주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발현 제어에 의하여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페놀류의 생 고분자 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로 환경에 대한 세포의 생존력과 경쟁력을 높여주는 물질이다.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면서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나 멜라닌의 과잉 생산은 인체에 기미, 주근깨 등을 형성하고 피부 노화를 촉진하거나 피부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오존층 파괴로 자외선 노출이 심각해지면서 발생하는 멜라닌의 과잉 합성은 인체의 피부 노화에 치명적인 해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부작용이 없고 인체 친화적이며, 특이 체질이나 아토피 피부 또는 민감성 피부에도 안심하고 사용될 수 있는 화장품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식물성 추출물은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트러블 개선, 미백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종래부터 피부 트러블 개선, 미백 기능을 가지는 식물을 선별하여 안전성이 뛰어나고 기능성 물질들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한편, 옥촉서예는 열대 아메리카 원산지인 옥수수의 수염을 채집하여 건조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벼과 옥수수(zea mays Linne)의 신선한 꽃대와 암술머리를 일컫는다. 옥촉서예는 특유의 냄새 및 달고 담담한 맛을 가지며, 한방에서는 소변을 잘 통하게 하여 신우신염으로 생긴 부종, 황달성 간염, 담낭염, 담낭 결석, 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옥촉서예를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 또는 미백 효과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8133호 (2018.08.0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옥촉서예 추출물은 멜라닌 형성 및 IL-6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바,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옥촉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마우스 멜라닌 세포(B16F10)를 이용하여 옥촉서예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마우스 대식세포(RAW264.7)를 이용하여 옥촉서예 추출물에 의한 IL-6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옥촉서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 공정도를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옥촉서예 추출물, 상세하게는 벼과의 옥수수(zea mays linne)의 꽃대와 암술머리 추출물이 멜라닌 형성 및 IL-6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트러블 개선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옥촉서예는 벼과의 옥수수(zea mays linne)의 꽃대와 암술머리를 의미한다.
상기 옥촉서예 추출물은 열수 추출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옥촉서예 추출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옥촉서예 추출물은 멜라닌 형성 및 IL-6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클렌징폼, 파우더, 팩, 젤, 연고, 패치, 스틱, 유액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피부 흡수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스킨, 토너, 로션, 에센스, 선 스크린,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팩, 젤, 연고, 패치, 스틱, 샴푸, 린스, 스프레이,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과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솔,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 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바, 상기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 mg/kg 내지 50 mg/kg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건강식품 조성물인 경우,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합성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 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 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랭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 첨가 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 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세포 배양 및 옥촉서예 추출물 처리
시험물질 1(HG-WH140403-2, HGM)은 무혈청 배지로 10배 및 20배 희석하여 각 최종 처리 농도가 890 ppm 및 445 ppm이 되도록 제조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물질 2(HG-WH140403-3, HGM)는 무혈청 배지로 10배 및 20배 희석하여 각 최종 처리 농도가 445 ppm 및 223 ppm이 되도록 제조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물질 추출방법 성상 농도
HG-WH140403-2
(옥촉서예 추출물)
열수 추출 옅은 노란색 액체 0.89% (8,900 ppm)
HG-WH140403-3
(옥촉서예 추출물)
열수 추출 옅은 노란색 액체 0.45% (4,500 ppm)
양성대조물질로는 알부틴(Lot No: BCBH0889V, Sigma-Aldrich Co., U.S.A.)을 사용하였다. 알부틴을 칭량하여 조제 용기에 넣고, 부형제로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Lot No: K41064631, Merck, Germany)를 첨가한 후 교반하였다. 이후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추가로 첨가하여 25,000 ppm의 농도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양성대조물질은 무혈청 배지로 100배 희석하여 최종 처리 농도가 250 ppm이 되도록 제조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음성대조물질로는 3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10% 무혈청 배지를 제조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시험물질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마우스 멜라닌 세포인 B16F10 세포(Lot No: 80008, 한국세포주은행)를 사용하였다. 시험물질 처리 전, 세포 계대에는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Lot No: 1295617, Gibco, U.S.A.)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Lot No: 1393883, Gibco)이 첨가된 DMEM 배지(Lot No: 0000343372, Lonza, U.S.A.)를 사용하였으며, 시험물질 처리 후에는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무혈청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B16F10 세포를 5 X 104 세포/mL의 농도로 준비하고 6 웰 플레이트의 각 웰 당 3 mL씩 분주(1.5 Х 105 세포/웰)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농도 별로 제조된 시험물질, 양성대조물질 또는 음성대조물질을 각 웰 당 3 mL씩 첨가하였다.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웰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D-PBS 1 mL을 첨가하여 세포를 세척하였다. 세척액을 제거한 후, 각 웰 당 1 mL의 용해 버퍼(1% 트리톤 X-100을 포함하는 50 mM 인산 나트륨 버퍼, pH 6.8)를 첨가한 다음 -80 내지 -60℃의 냉동고(DFU-657CL, Operon, Korea)에 플레이트를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하여 해동하였다. 각 웰에서 세포를 수거하여 원심분리(4℃, 13,000 rpm, 30분)한 후, 상층액은 단백질 정량에 사용하고, 세포 펠렛은 60℃의 건조기에서 2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멜라닌 정량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옥촉서예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분석
건조된 세포 펠렛에 DMSO-NaOH 혼합 용액[100% DMSO:1 N NaOH(Lot No: RNBC7103)=1:9]을 0.5 mL씩 첨가한 후, 60℃의 건조기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여 세포 펠렛의 멜라닌을 용해시켰다.
합성 멜라닌(Lot No: SLBB1239V, Sigma-Aldrich. Co.)에는 DMSO-NaOH 혼합 용액에 첨가하여 120 μg/mL(저장 용액)의 농도로 제조한 후, 단계 희석하여 60, 30, 15, 7.5 및 3.75 μg/mL 농도의 용액(표준 용액)으로 제조하였다.
시험물질, 양성대조물질 또는 음성대조물질을 처리하여 얻어진 세포 펠렛 용해물과 각 농도별 표준 용액을 96 웰 플레이트 각 웰에 0.2 mL씩 첨가하였다. ELISA 리더기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용액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표준 곡선을 작성하고, 표준 곡선으로부터 얻어진 수식에 흡광도를 대입하여 시험물질, 양성대조물질 또는 음성대조물질이 처리된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멜라닌의 양은 총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여 계산하였으며, 멜라닌 생성 억제율(inhibition rate of melanin formation; IR)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계산식 1]
IR(%) = (B-A)/B X 100
A: 시험물질 또는 양성대조물질의 멜라닌 양
B: 음성대조물질의 멜라닌 양
그 결과, 하기 표 2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445 및 890 ppm 농도의 시험물질 1 처리군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각각 91.7 및 89.3%, 223 및 445 ppm 농도의 시험물질 2 처리군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각각 94.8 및 90.0%로 음성대조군 대비 멜라닌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250 ppm 농도의 양성대조군(알부틴)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음성대조군 대비 67.2%인 것을 확인하였다.

농도
(ppm)
멜라닌
(μg/mL)
단백질
(mg/mL)
멜라닌/단백질
(μg/mg)
%IR
G1 음성대조물질 0 80.5 0.369 218.0 0.0
G2 시험물질 1 445 9.2 0.507 18.1 91.7
890 14.0 0.601 23.2 89.3
G3 시험물질 2 223 5.5 0.486 11.3 94.8
445 7.4 0.342 21.8 90.0
G4 양성대조물질 250 13.1 0.381 34.35 67.2
실시예 4: 옥촉서예 추출물의 항염 효과 분석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킨 마우스 대식세포(RAW264.7)에 시험물질을 농도 별로 처리하고 20시간 동안 배양한 후 IL-6의 발현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음성대조군(0 ppm)과 비교하였을 때, 시험물질 처리군에서 IL-6의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LPS는 인터루킨, TNF-α, iNOS 및 COX-2와 같은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시험물질 처리시 IL-6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옥촉서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성분 및 각 성분에 대한 함량으로 옥촉서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간략하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내지 7번의 성분을 50℃에서 1차 교반하고, 8 내지 12번의 성분을 70℃에서 2차 교반하고, 13 내지 19번의 성분을 50℃에서 3차 교반하고, 20 내지 27번의 성분을 50℃에서 4차 교반하였다. 이후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혼합 교반하고, 3차 혼합물을 첨가하여 다시 혼합 교반한 후 60℃로 냉각하였다. 이후 4차 혼합물을 첨가하여 혼합 교반한 후 35℃로 냉각하고 여과 과정을 수행하여 옥촉서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성분 %(W/W)
1 정제수
(water)
42.43
2 글리세린
(glycerin)
7.50
3 디메티콘
(dimethicone)
7.50
4 옥촉서예 추출물
(zea mays (corn) silk extract)
7.00
5 미네랄 워터
(mineral water)
5.50
6 프로필렌 글라이콜
(propylene glycol)
5.50
7 카프릴릭/카프릭 트라이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0
8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100 스테아레이트
(glyceryl stearate/PEG-100 stearate)
3.00
9 1,2-헥산디올
(1,2-hexanediol)
2
10 카프릴릴 글라이콜
(caprylyl glycol)
11 부틸렌 글라이콜
(butylene glycol)
12 스타아니스 추출물
(Illicium verum (anise) fruit extract)
13 세테아릴 알코올
(cetearyl alcohol)
1.80
14 해바라기씨 오일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1.50
1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sorbitan stearate)
0.80
16 폴리솔베이트 80
(polysorbate 80)
0.80
17
(fragrance)
0.60
18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58
19 알지닌
(arginine)
0.58
20 장미 추출물
(rose extract)
0.30
21 캐모마일 꽃 추출물
(chamomilla recutita (matricaria) flower extract)
0.30
22 쌀 추출물
(oryza sativa (rice) extract)
0.30
23 알로에베라잎수(aloe barbadensis leaf water) 0.30
24 베타인
(betaine)
0.25
25 알란토인
(allantoin)
0.20
26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tocopheryl acetate)
0.10
27 디소듐 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4
실시예 5: 옥촉서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분석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옥촉서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성분, 미생물 및 스테로이드제 검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KTR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하기 표 4 내지 6과 같이, 중금속, 방부제, 미생물, 스테로이드제 등이 검출되지 않거나 화장품 기준에 적합한 수준으로 미량 검출되어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 항목 분석 결과
외관 갈색 액체 통과
냄새 특이적 통과
비중 (d20/20) 0.950~1.050 1.002
pH (25℃) 5.0~7.5 6.1
중금속 (ppm) <20 통과
As(ppm) <2 통과
미생물 (cfu/ml) <100 통과
방부제 (%) 검출안됨 통과
시험 항목 단위 결과
총 호기성 생균수(세균수) 개/ml <20
시험 항목 단위 결과
베클로메타손 mg/kg 검출안됨
베클로메타손 17-프로피오네이트 mg/kg 검출안됨
베클로메타손 17,21-디프로피오네이트 mg/kg 검출안됨
베클로메타손 21-아세테이트 mg/kg 검출안됨
베클로메타손 21-헤미석시네이트 mg/kg 검출안됨
베클로메타손 21-프로피오네이트 mg/kg 검출안됨
베타메타손 mg/kg 검출안됨
베타메타손 17-발레레이트 mg/kg 검출안됨
베타메타손 17,21-디프로피오네이트 mg/kg 검출안됨
베타메타손 21-아세테이트 mg/kg 검출안됨
베타메타손 21-헤미석시네이트 mg/kg 검출안됨
베타메타손 21-발레레이트 mg/kg 검출안됨
부데소니드 mg/kg 검출안됨
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mg/kg 검출안됨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옥촉서예는 벼과의 옥수수(zea mays linne)의 꽃대와 암술머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옥촉서예 추출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옥촉서예 추출물은 멜라닌 형성 및 IL-6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클렌징폼, 파우더, 팩, 젤, 연고, 패치, 스틱, 유액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180113126A 2018-09-20 2018-09-20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7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26A KR102176618B1 (ko) 2018-09-20 2018-09-20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126A KR102176618B1 (ko) 2018-09-20 2018-09-20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615A true KR20200033615A (ko) 2020-03-30
KR102176618B1 KR102176618B1 (ko) 2020-11-09

Family

ID=7000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126A KR102176618B1 (ko) 2018-09-20 2018-09-20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49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099A (ko) * 2013-03-06 2014-09-18 한국식품연구원 옥촉서예, 유향 또는 상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0245A (ko) * 2013-04-02 2014-10-13 광동제약 주식회사 옥수수 수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068217A (ko) * 2015-12-09 2017-06-19 (주)제주사랑농수산 갯질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064202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파마진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8133B1 (ko) 2016-02-12 2018-08-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맑은누리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099A (ko) * 2013-03-06 2014-09-18 한국식품연구원 옥촉서예, 유향 또는 상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0245A (ko) * 2013-04-02 2014-10-13 광동제약 주식회사 옥수수 수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068217A (ko) * 2015-12-09 2017-06-19 (주)제주사랑농수산 갯질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88133B1 (ko) 2016-02-12 2018-08-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맑은누리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4202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파마진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49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618B1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151B1 (ko)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10134719A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9105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아토피 및 무좀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088069B1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KR102176618B1 (ko)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58568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9271A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098736A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US2022007207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omprising bridalwreath spirea
KR20160040969A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0941133B1 (ko) 방부활성과 항염 활성을 가지는 카프릴릴 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과 노간주나무 추출물 부추 추출물과 산들깨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0114B1 (ko) 석창포 정유 추출물과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KR20170091804A (ko)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0528B1 (ko) 레드비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차단 및 미백용 가지는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80050798A (ko) 생강과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항상성 무독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0480B1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144688A (ko)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Passiflora incarnate)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97843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75552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401490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