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155A -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Google Patents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155A
KR20200033155A KR1020190087781A KR20190087781A KR20200033155A KR 20200033155 A KR20200033155 A KR 20200033155A KR 1020190087781 A KR1020190087781 A KR 1020190087781A KR 20190087781 A KR20190087781 A KR 20190087781A KR 20200033155 A KR20200033155 A KR 20200033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grip
storage container
home appliance
positi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김성경
김주겸
전재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1759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33097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L19197912T priority Critical patent/PL3626112T3/pl
Priority to EP22151274.2A priority patent/EP4014785B1/en
Priority to EP19197912.9A priority patent/EP3626112B1/en
Priority to US16/576,452 priority patent/US11666188B2/en
Priority to CN201910884778.6A priority patent/CN110916548A/zh
Publication of KR2020003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6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spending hairdressers' machines, e.g. trolleys for electro-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20/126Stands therefor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는, 건조용 공기를 토출하고,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을 구비하는 드라이어; 및 상기 그립이 탑재되는 수납용기를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드라이어를 파지하는 것 없이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은, 상기 그립 및 수납용기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에 탑재될 시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 상의 소정의 위치(이하,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은, 실시예에 따라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거나,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거나,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면서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어, 상기 그립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지셔닝 유닛에 의해 상기 그립의 상기 정위치로의 탑재 위치가 안내되고, 상기 그립이 상기 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INCLUDING DRYER}
본 발명은 건조용 공기를 토출하는 드라이어와, 드라이어가 탑재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어가 거치대에 탑재될 시 드라이어를 거치대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드라이어가 거치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건조하기 위하여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드라이어를 파지한 채로 건조 부위를 향해 드라이어를 이동시키면서 건조를 실시한다.
사용자가 드라이어를 파지한 채로 건조를 실시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부터 드라이어를 탑재할 수 있는 거치대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대는 건조 부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거치대의 방향을 조정하거나, 거치대에 탑재된 드라이어의 공기 토출방향이 건조 부위를 향하도록 인체를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대는 피건조 대상이 유아 또는 반려동물인 경우와 같이 피건조 대상의 위치 변경이 잦은 경우에, 드라이어의 공기 토출방향을 수시로 변경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미국 공개특허 제2010-0307019호는 거치대에 탑재된 드라이어를 기울이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드라이어가 거치대에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드라이어를 휴대, 파지하며 건조를 실시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한 미국 공개특허와 달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1643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43526호는 드라이어가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드라이어를 거치대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구성과, 거치대의 높이 및/또는 각도 조절 간에 드라이어가 거치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3330호도 드라이어가 탑재되는 거치대의 높이 뿐만 아니라, 회전 및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을 개시하나, 이와 같은 거치대의 자세 변동 간에 드라이어가 거치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사용자가 드라이어를 파지하는 것 없이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드라이어가 거치대에 탑재될 시 드라이어가 거치대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 과제는, 거치대에 탑재된 드라이어가 의도치 않게 거치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는, 건조용 공기를 토출하고,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을 구비하는 드라이어; 및 상기 그립이 탑재되는 수납용기를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드라이어를 파지하는 것 없이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은, 상기 그립 및 수납용기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에 탑재될 시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 상의 소정의 위치(이하,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은, 실시예에 따라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거나,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거나,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면서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어, 상기 그립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지셔닝 유닛에 의해 상기 그립의 상기 정위치로의 탑재 위치가 안내되고, 상기 그립이 상기 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그립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될 시,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자석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자석과의 사이에서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 및/또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이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는 경우에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면서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는 경우에는, 이들 모두가 상호 반대되는 극성의 자석을 포함하되,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드라이어의 그립이 거치대의 수납용기에 탑재됨으로써, 사용자가 드라이어를 파지하는 것 없이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둘째, 포지셔닝 유닛에 의해 그립의 수납용기 상의 소정의 위치(이하, 정위치)로의 탑재 위치가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립 및 수납용기 각각에 배치되는 포지셔닝 유닛은,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거나,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거나,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면서 상호 접촉하며 결합될 수 있다.
셋째, 포지셔닝 유닛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그립이 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은, 상호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인력) 또는 물리적 접촉에 의한 결합력에 의해 그립이 정위치에 위치될 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넷째, 그립과 수납용기 간의 결합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포지셔닝 유닛이 전자석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 상호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섯째, 그립과 수납용기 간의 결합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포지셔닝 유닛이 복수 개의 자극 픽셀을 구비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자극 픽셀 각각의 극성을 조절함으로써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여섯째, 수납용기의 자세 변동 유무에 대응해 그립과 수납용기 간의 결합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포지셔닝 유닛이 복수 개의 자극 픽셀을 구비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경우로서, 수납용기의 자세 변동이 있는 경우가 자세 변동이 없는 경우에 비해,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크게 설정되도록 복수 개의 자극 픽셀 각각의 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수납용기의 자세 변동이 있는 경우가 자세 변동이 없는 경우에 비해, 그립 및 수납용기 간의 결합력이 커지게 되어 그립이 무빙하는 수납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의 자세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그립이 고정된 수납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필요한 전력만이 소모되므로,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일곱째, 그립과 수납용기 간의 결합을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 중, 어느 하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덟째,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에 포함되는 돌출부 및 삽입부가 건조용 공기의 토출 방향과 서로 어긋나는 방향에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그립을 파지한 상태에서 돌출부 및/또는 삽입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홉째, 그립과 수납용기 간의 물리적 접촉에 의한 결합을 통해 그립이 수납용기 상의 기설정된 경로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는 그립이 수납용기에 탑재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리브를 포함하고, 삽입부는 돌출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열째, 그립과 수납용기 간의 물리적 접촉에 의한 결합을 통해 그립이 수납용기 상의 기설정된 경로 내지는 지점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는 탄성 재질의 돌기를 포함하고, 삽입부는 돌기의 그립이 수납용기에 탑재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무빙을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패스와 돌기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는 압축된 상태로 수직 가이드패스 상에서 슬라이딩 무빙된 후에 원래의 상태(혹은, 이에 근접한 상태)로 제1 안착홈 상에 안착됨으로써, 돌기에 소정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립이 수납용기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열한째, 그립은 수납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 없이, 그립이 수납용기에 탑재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건조용 공기 토출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부는 돌기의 그립이 수납용기에 탑재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무빙을 안내하는 수평 가이드패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열두째, 그립은 그립이 수납용기에 탑재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건조용 공기 토출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되, 복수 개의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의도치 않게 그립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부는 수평 가이드패스 중 일부에 형성되고, 돌기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제2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는 압축된 상태로 수평 가이드패스 상에서 슬라이딩 무빙된 후에 원래의 상태(혹은, 이에 근접한 상태)로 제1 안착홈 및 복수 개의 제2 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됨으로써, 돌기에 소정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립이 수납용기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의 종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의 케이싱의 일부가 절개된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의 내부구성이 표현된 절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상측부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가 거치대에 탑재되는 모습이 표현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유닛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자극 픽셀 각각의 극성을 조절하는 모습이 표현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유닛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자극 픽셀 각각의 극성을 조절하여 드라이어와 거치대 간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각각이 전방(front), 후방(rear), 상방(upper), 하방(lower), 좌방(left) 및 우방(right)로 명명된 3차원 좌표계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7 등에 도시된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전후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여 X축, Y축 및 Z축을 정의한다. 각 축 방향(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 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의 종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의 케이싱의 일부가 절개된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드라이어의 내부구성이 표현된 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대의 상측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이하, 간략히 '홈 어플라이언스'로 부르도록 함)(1)는 드라이어(100)와, 거치대(200)를 포함한다.
드라이어(100)는 토출구(174)를 통해 토출되는 건조용 공기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반려동물 등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어(100)에는 배터리(80)가 내장되어 사용자는 드라이어(100)를 휴대하며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배터리를 대체하는 외부 전원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드라이어(100)에 인가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드라이어(100)를 파지한 채로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거치대(200)에는 상기한 드라이어(100)가 착탈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어 사용자는 드라이어(100)를 파지하는 것 없이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드라이어(100)를 파지하여야 하는 행동의 제약 없이도,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 각각은 상기한 건조용 공기의 토출과 드라이어(100)의 탑재 외에도, 피건조 대상을 케어(care)하거나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 각각에 구비되는 구성과 함께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라이어의 구성 및 기능 설명>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어(100)는 중공의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150)과,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H)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은 토출튜브(17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일 예로써, 토출튜브(170)는 모터(1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원통 형상의 가이더(180)에 형성된 그루브(184)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로써, 토출튜브(170)가, 미회전 할 시에는 건조용 공기를 소정의 건조 영역에 집중 토출하는 집중풍이 구현될 수 있고, 회전할 시에는 건조용 공기를 보다 넓은 영역에 확산 토출하는 확산풍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어(100)의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10)와, 이온을 토출하는 이온발생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조명장치(10)에 구비되는 발광패널(11)로부터 발산된 광이 광 확산모듈(12) 및 광 가이드(13)를 거쳐 드라이어(100)의 전방을 향해 조사됨으로써, 어두운 장소에서 건조가 실시되는 경우에도 피건조 대상의 피부 또는 모발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이온발생기(20)에서 생성된 이온이 이온 분사노즐(21)을 거쳐 드라이어(100)의 전방을 향해 토출됨으로써, 피건조 대상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흐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건조 대상의 피부 및 모질을 촉촉하게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어(100)의 후방부에는 상기한 기능을 비롯해 드라이어(100)에서 구현되는 각종 기능의 동작 여부와, 외부온도 감지센서(S1) 및 토출온도 감지센서(S2) 각각에 의해 감지되는 피건조 대상의 체온과 건조용 공기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하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120, 13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립(120, 130)은 그립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그립 본체(120)와, 그립 본체(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그립의 하면을 형성하는 그립 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그립 본체(1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립 단부(130)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그립(120, 130)의 외둘레 및 수납용기(220)의 내둘레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후술하는 그립(120, 130)이 탑재되는 수납용기(220)의 내둘레도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립(120, 130)의 내부에는 상기한 팬(150), 히터(H), 모터(160), 조명장치(10), 이온발생기(20) 및 디스플레이부(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형의 배터리(80)가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의 구성 및 기능 설명>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00)는 상하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템(230)과, 스템(2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210)와, 스템(230)의 상측에 배치되고 드라이어의 그립(120, 130)이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는 수납용기(220)와, 거치대(2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240)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00)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의 공기는 팬(283, 284)에 의해 거치대(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정화장치(280)를 통과함으로써 정화될 수 있다. 일 예로써, 공기정화장치(280)는 스템(230)의 후방면에 배치되고, 광화학 반응에 의해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원리에 의해 반려동물냄새 또는 노인취를 제거할 수 있는 광촉매 필터(281) 및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는 발광모듈(28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00)의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케어장치(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광케어장치(270)는 스템(230)의 전방면에 배치되고, OLED(Organic Light Emiiting Diode) 패널로부터 자연광과 유사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외출 부족으로 인한 사용자 및 반려동물의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용기(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좌우 방향으로 회동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수납용기(220)에 탑재된 드라이어(100)의 건조용 공기 토출 방향을 상하, 좌우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수납용기(220)는, 수납용기(220)와 결합되는 서포터(250) 및 서포터(250)에 연결되는 수직로드(239)를 통해 승강모터(26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220)는, 서포터(250)를 통해 회동모터(26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직로드(239)에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 삽입된 돌기(251b)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220)는 일측에 형성된 틸팅 기어치(223a)를 통해 틸팅모터(26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방향으로 회동(즉, 틸팅)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230)에는 상기한 팬(283, 284), 공기정화장치(280), 광케어장치(270), 승강모터(262), 회동모터(263), 틸팅모터(261)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형의 배터리(291)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291)는 베이스(210)에 결합되는 도킹 스테이션(294)을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도 4d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20, 130)에 한 쌍의 전극단자(E11, E12)가 배치되고, 이에 대응해 수납용기(220)에 한 쌍의 전극단자(E21, E2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시, 상기한 전극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이 드라이어의 배터리(80)로 인가되어 배터리(8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E11 및 이와 접촉하는 도면부호 E21은 점 단자로 형성되고, 도면부호 E12 및 이와 접촉하는 도면부호 E22는 환형 단자로 형성됨으로써,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 상에서 회전되더라도 상기한 충전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1)에 구비되는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의 구성 및 기능을 간략히 설명하였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용기(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좌우 방향으로 회동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이하, 이와 같은 수납용기(220)의 무빙을 수납용기(220)의 자세 변동으로 총칭함)됨에 따라, 수납용기(220)에 탑재된 드라이어의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드라이어의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시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여, 수납용기(220)의 자세 변동 간에 의도치 않게 드라이어(100)가 거치대(200)로부터 이탈되어 드라이어(100)가 파손되거나 화재 등의 안전상의 위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출되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구성 중,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 내지는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가 거치대에 탑재되는 모습이 표현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유닛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자극 픽셀 각각의 극성을 조절하는 모습이 표현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지셔닝 유닛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자극 픽셀 각각의 극성을 조절하여 드라이어와 거치대 간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상기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1)에서,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 각각은, 그립(120, 130) 및 수납용기(220) 각각에 배치되는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을 포함한다.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 상의 소정의 위치(이하,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은,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립(120, 130)의 위치가 상기 정위치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포지셔닝 유닛은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거나,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거나,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면서 상호 접촉하며 결합됨으로써,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각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각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전에 설명한 바 있는 구성으로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 포지셔닝 유닛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경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은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여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드라이어(100)의 포지셔닝 유닛(이하, 제1 포지셔닝 유닛)(PU1)(M11, M12)은 그립(120, 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제1 포지셔닝 유닛(PU1) 이 그립 단부(13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립 본체(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포지셔닝 유닛(PU1)은 각각이 상호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포지셔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어(100)는 각각이 상호 각도 180° 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2 개의 포지셔닝 유닛(M11, M12)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200)의 포지셔닝 유닛(이하, 제2 포지셔닝 유닛)(PU2)(M21, M22)은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될 시 제1 포지셔닝 유닛(PU1)과 마주하도록 수납용기(2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용기(220)는 그립(120, 130)이 삽입되는 그루브(220a)를 형성하는 상측 및 하측터브(221, 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220)는 상측터브(221)의 외곽에 씌워지는 터브 커버(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시 상측터브(221)의 내측면은 그립 본체(120)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하측터브(222)의 내측면은 그립 단부(130)의 외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제2 포지셔닝 유닛(PU2)이 수납용기(220) 중 하측터브(222)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측터브(221)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포지셔닝 유닛(PU2)은 각각이 상호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포지셔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00)는 각각이 상호 각도 180° 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2 개의 포지셔닝 유닛(M21, M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포지셔닝 유닛(M11, M12) 및 제2 포지셔닝 유닛(M21, M22)이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단일 개수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그립(120, 130)과 수납용기(220)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결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포지셔닝 유닛(M11, M12) 및 제2 포지셔닝 유닛(M21, M22)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포지셔닝 유닛(M11, M12) 및 제2 포지셔닝 유닛(M21, M22)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석과의 사이에서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magnetic substan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1 포지셔닝 유닛(M11, M12) 및 제2 포지셔닝 유닛(M21, M22) 각각은, 상호 반대되는 극성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자석-자성체 혹은 자석-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힘으로서, 다른 종류의 극(N극-S극)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고, 같은 종류의 극(N극-N극, S극-S극)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 및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시 제1 포지셔닝 유닛(M11, M12) 중 도면부호 M11은, 제2 포지셔닝 유닛(M21, M22)과 서로 마주하는 면을 기준으로, 도면부호 M21과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자극이 형성되어 상호 간에 인력이 작용하고, 도면부호 M22와는 서로 같은 종류의 자극이 형성되어 상호 간에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시 제1 포지셔닝 유닛(M11, M12) 중 도면부호 M12는, 제2 포지셔닝 유닛(M21, M22)과 서로 마주하는 면을 기준으로, 도면부호 M22과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자극이 형성되어 상호 간에 인력이 작용하고, 도면부호 M21와는 서로 같은 종류의 자극이 형성되어 상호 간에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 결과,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시 상기한 자기력(인력 또는 척력)에 따라, 도면부호 M11은 도면부호 M22로부터는 멀어지고 M21에는 가까워지고, 도면부호 M12는 도면부호 M21로부터는 멀어지고 M22에는 가까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정위치는 도면부호 M11 및 M12 각각이, 도면부호 M21 및 M22 각각과 마주하는 위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라이어의 토출구(174)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토출 방향이 전방 또는 +X축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그립(120, 130)을 수납용기(220)에 탑재하는 방향에 상관없이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로 위치되도록 안내될 수 있고, 또한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된 채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포지셔닝 유닛(M11, M12) 및 제2 포지셔닝 유닛(M21, M22)이 각각 2 개씩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이들 각각은 단일 개수씩 구비되거나, 3 개 이상씩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그립(120, 130)의 외둘레는 사용자의 그립감을 고려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립(120, 130)의 형상에 대응해 수납용기(220)의 내둘레도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포지셔닝 유닛에 의한 그립(120, 130)의 상기 정위치로의 안내 내지는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그립(120, 130) 및 수납용기(22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예 - 포지셔닝 유닛이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는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은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어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드라이어(100)의 포지셔닝 유닛(이하, 제1 포지셔닝 유닛)(PU1')(121)은 그립(120, 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b에서는 제1 포지셔닝 유닛(PU1')이 그립 본체(12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립 단부(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b에서는 제1 포지셔닝 유닛(PU1')이 단일 개수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이 상호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포지셔닝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거치대(200)의 포지셔닝 유닛(이하, 제2 포지셔닝 유닛)(PU2')(p0)은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될 시 제1 포지셔닝 유닛(PU1')과 접촉하도록 수납용기(2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b에서는 제2 포지셔닝 유닛(PU2')이 수납용기(220) 중 상측터브(221)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측터브(222)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b에서는 제2 포지셔닝 유닛(PU2')이 단일 개수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이 상호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포지셔닝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포지셔닝 유닛(PU1') 및 제2 포지셔닝 유닛(PU2')이 각각 단일 개수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수리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제1 포지셔닝 유닛(PU1') 및 제2 포지셔닝 유닛(PU2')은 상호 접촉하며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포지셔닝 유닛(PU1') 및 제2 포지셔닝 유닛(PU2') 중 어느 하나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지셔닝 유닛(PU1')이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포지셔닝 유닛(PU2')이 상기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는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되는 방향(즉, -Z축 방향)(이하,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리브(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돌출리브(12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p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0b에서는, 삽입홈(p0)이 상측터브(221)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측터브(22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2 개의 리브 사이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리브(121)가 삽입홈(p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정위치는 돌출리브(121)가 삽입홈(p0)에 접촉하며 결합되는 위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라이어의 토출구(174)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토출 방향이 전방 또는 +X축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탑재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고, 또한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된 채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돌출부 및 삽입부는, 드라이어의 건조용 공기의 토출 방향과 서로 어긋나는 방향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 및 삽입부가 그립(120, 130)의 전방 중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그립(120, 130)을 파지할 시 상기 돌출부 및 삽입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3 내지 제5 실시예 - 포지셔닝 유닛이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는 경우>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어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드라이어(100)의 포지셔닝 유닛(이하, 제1 포지셔닝 유닛)(PU1'')(122) 및 거치대(200)의 포지셔닝 유닛(이하, 제2 포지셔닝 유닛)(PU2'')(p1, p2)은 상호 접촉하며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포지셔닝 유닛(PU1'’) 및 제2 포지셔닝 유닛(PU2’') 중 어느 하나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지셔닝 유닛(PU1’')이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포지셔닝 유닛(PU2’')이 상기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제2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출부는 탄성 재질의 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돌기(122)는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길이 및/또는 형상이 변화되되, 상기 소정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다시 원길이 및/또는 원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돌기(12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화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용수철을 구비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그립(120, 130)으로터 돌출된 정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는 수직 가이드패스(p1)와, 제1 안착홈(p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가이드패스(p1)는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되는 방향(즉, -Z축 방향)(이하,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 가이드패스(p1)는 상측터브(221)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되, 돌기(122)가 그립 본체(12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정도보다 작은 길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시 수직 가이드패스(p1)는 돌기(122)가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압축되도록 돌기(122)에 후방 또는 -X축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가이드패스(p1)는 돌기(122)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무빙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그립(120)을 수납용기(220)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소정의 힘을 가하며 돌기(122)를 수직 가이드패스(p1)에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돌기(122)가 수직 가이드패스(p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그립(120, 13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정위치는 돌기(122)가 수직 가이드패스(p1)에 접촉하며 결합되는 위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라이어의 토출구(174)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토출 방향이 전방 또는 +X축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착홈(p2)은 수직 가이드패스(p1)의 아래 또는 -Z축 방향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홈(p2)은 상측터브(221)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되, 수직 가이드패스(p1)가 함몰된 정도보다 큰 길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안착홈(p2)은 수직 가이드패스(p1)에 의해 돌기(122)에 가해진 압력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홈(p2)에 돌기(122)가 안착될 수 있고, 돌기(122)가 제1 안착홈(p2)에 안착될 시 사용자는 조작감을 느낄 수 있어 사용자 친화적이다.
이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소정의 힘에 따라 수직 가이드패스(p1)를 통과한 돌기(122)는 점차 부피가 증가하며 제1 안착홈(p2)에 안착 및 안착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안착홈(p2)에 안착된 돌기(122)는 소정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1 안착홈(p2)에 안착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탑재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고, 또한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된 채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는 돌기(122)가 삽입되는 수직 가이드패스(p1) 및 제1 안착홈(p2) 외에도, 수평 가이드패스(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가이드패스(p3)는 상기한 제1 안착홈(p2)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즉,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이하,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 가이드패스(p3)는 상측터브(221)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되, 돌기(122)가 그립 본체(12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정도보다 작은 길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수납용기(220)에 탑재된 그립(120, 130)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시 수평 가이드패스(p3)는 돌기(122)가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압축되도록 돌기(122)에 그립(120, 130)의 반경 방향 또는 XY 평면 상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수평 가이드패스(p3)는 돌기(122)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슬라디이 무빙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돌기(122)가 제1 안착홈(p2)을 벗어나 수평 가이드패스(p3)에 진입 및 이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수납용기(220)에 탑재된 그립(120)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드라이어의 토출구(174)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토출 방향을 좌우로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는 돌기(122)가 삽입되는 수직 가이드패스(p1), 제1 안착홈(p2) 및 수평 가이드패스(p3) 외에도, 복수 개의 제2 안착홈(p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안착홈(p4)은 수평 가이드패스(p3) 중 일부에 형성되고, 제1 안착홈(p2)과 함께 각각이 상호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안착홈(p4)은 상측터브(221)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되, 수평 가이드패스(p3)가 함몰된 정도보다 큰 길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안착홈(p4)은 수평 가이드패스(p3)에 의해 돌기(122)에 가해진 압력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홈(p4)에는 돌기(122)가 안착될 수 있고, 돌기(122)가 복수 개의 제2 안착홈(p4) 각각에 안착될 시 사용자는 조작감을 느낄 수 있어 사용자 친화적이다.
이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소정의 힘에 따라 수평 가이드패스(p3)를 통과한 돌기(122)는 점차 부피가 증가하며 제2 안착홈(p4)에 안착 및 안착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안착홈(p4)에 안착된 돌기(122)는 소정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2 안착홈(p4)에 안착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수납용기(22)에 탑재된 그립(120)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드라이어의 토출구(174)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토출 방향을 좌우로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되, 복수 개의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의도치 않게 그립(12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을 정리하면, 돌기(122)가 삽입되는 수직 가이드패스(p1), 수평 가이드패스(p3), 제1 안착홈(p2) 및 제2 안착홈(p4)은, 돌기(122)의 돌출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p2, p4)의 함몰 정도가 상기 수직 및 수평 가이드패스(p1, p3)의 함몰 정도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및 제2 안착홈(p2, p4)에 안착된 돌기(122)가 수직 및 수평 가이드패스(p1, p3)를 지나 수납용기(220) 외부로 이탈되기 위해서는 소정의 힘이 필요하므로, 수납용기(220)의 자세 변동 간에 그립(120)이 수납용기(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 포지셔닝 유닛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고,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는 경우>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결합예로써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은, 그립(120, 13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될 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제1 포지셔닝 유닛(M11, M12) 및 제2 포지셔닝 유닛(M21, M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여기서 제1 포지셔닝 유닛(M11, M12) 및 제2 포지셔닝 유닛(M21, M22)은 상호 반대되는 극성의 자석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한 제2 실시예의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는 제1 포지셔닝 유닛(121) 및 제2 포지셔닝 유닛(p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여기서 제1 포지셔닝 유닛(121)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로서 돌출리브(121)이고, 제2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로서 삽입홈(p0)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 각각과 비교해, 그립(120, 130)과 수납용기(220)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결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제1 실시예에 제2 실시예를 결합한 예 뿐만 아니라, 제1 실시예에 제2 실시예 및/또는 제3 내지 제5 실시예를 결합한 다양한 예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 중 포지셔닝 유닛이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석은 영구자석 및 전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magnetization)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자석이다. 이로써, 상기 포지셔닝 유닛이 상기 전자석을 구비할 시 전류의 공급 여부 및 공급량에 따라, 그립(120, 130)과 수납용기(220) 간의 결합 여부 및 결합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석은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의 극성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자극 픽셀(magnetic 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극 픽셀은 어느 일 영역에 형성되는 자극으로서, 하나의 자극 픽셀은 N극 또는 S극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1)는 상기 복수 개의 자극 픽셀 각각의 극성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드라이어(100) 및 거치대(200)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 간의 상호 반대되는 극성의 자극 픽셀의 수(이하, 반대 자극 픽셀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제어부는 제1 포지셔닝 유닛(M11, M12)의 자극 픽셀이 배열되는 영역(1a, 1b) 중 제1 영역(1a)에 N극의 자극 픽셀이 배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 포지셔닝 유닛(M21, M22)의 자극 픽셀이 배열되는 영역(2a, 2b) 중 제2 영역(2a)에 S극의 자극 픽셀이 배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에서 제1 포지셔닝 유닛(M11, M12) 및 제2 포지셔닝 유닛(M21, M22) 간에 자기력(인력)이 작용하여, 그립(120)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반대 자극 픽셀의 수를 조절(즉, 상호 자기력이 작용하는 영역을 조절)함으로써, 그립(120)과 수납용기(220) 간의 결합 유무 및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제어부는 그립(12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된 경우로서, 수납용기의 자세 변동이 없다고 판단될 시 상기 반대 자극 픽셀의 수를 제1 픽셀 수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그립(120)이 수납용기(220)에 탑재된 경우로서, 수납용기의 자세 변동이 있다고 판단될 시 상기 반대 자극 픽셀의 수를 상기 제1 픽셀 수보다 큰 제2 픽셀 수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수납용기의 자세 변동이 있는 경우가 자세 변동이 없는 경우에 비해, 그립 및 수납용기 간의 결합력이 커지게 되어 그립(120)이 무빙하는 수납용기(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220)의 자세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그립(120)이 고정된 수납용기(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필요한 전력만이 소모되므로,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복수 개의 자극 픽셀 각각의 극성을 조절하여 그립(120)과 수납용기(220) 간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후술하는 제어방법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계들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포지셔닝 유닛을 온(ON)하는 단계(S10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포지셔닝 유닛을 ON 하는 것은, 포지셔닝 유닛에 구비되는 전자석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수납용기(220)에 그립(120)이 탑재될 시 그립(120)과 수납용기(220)를 서로 자기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준비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S10 단계 이후에, 수납용기(220)의 무게 변동을 감지하는 단계(S20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용기(220)의 무게는 수납용기(220)에 그립(120)이 탑재되는지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수납용기(220)의 무게 변동을 감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1)는 수납용기(220)의 무게 변동을 감지할 수 있는 로드셀(load cell)을 구비할 수 있다.
S20 단계 이후에, 수납용기(220)에 그립(120)이 탑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수납용기(220)에 그립(120)이 미탑재되었다고 판단될 시 S2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수납용기(220)에 그립(120)이 탑재되었다고 판단될 시 수납용기(220)의 자세 변동을 감지하는 단계(S40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용기(220)의 자세 변동은 별도의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수납용기(220)의 자세 변동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가 발령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감지될 수도 있다.
S40 단계 이후에, 수납용기(220)의 자세 변동이 없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S50 단계에서 수납용기(220)가 자세 변동없이 고정된 상태로 판단될 시 상기 반대 자극 픽셀의 수를 제1 픽셀 수로 제어하는 단계(S51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S50 단계에서 수납용기(220)의 자세 변동이 있다고 판단될 시 상기 반대 자극 픽셀의 수를 상기 제1 픽셀 수보다 큰 제2 픽셀 수로 제어하는 단계(S52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S51 단계 또는 S52 단계 이후에는, 상기한 포지셔닝 유닛이 오프(OFF)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60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포지셔닝 유닛을 OFF 하는 것은, 포지셔닝 유닛에 구비되는 전자석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수납용기(220)와 그립(120) 간의 자기적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는 해제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드라이어(100)를 휴대하며 피건조 대상에 대해 건조를 실시하고 있는 경우이거나, 수납용기(220)에 탑재된 그립(120)이 수납용기(220)로부터 이탈될 위험이 없을 경우에, 불필요한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S60 단계에서 포지셔닝 유닛이 OFF 되었다고 판단될 시 상기한 제어방법은 종료되되, OFF 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시 S2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나 균등한 범위내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00: 드라이어 110: 케이싱
120, 130: 그립 121: 돌출리브
122: 돌기 200: 거치대
210: 베이스 220: 수납용기
221: 상측터브 222: 하측터브
p0: 삽입홈 p1: 수직 가이드패스
p2: 제1 안착홈 p3: 수평 가이드패스
p4: 제2 안착홈

Claims (20)

  1. 건조용 공기를 토출하고,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을 구비하는 드라이어; 및
    상기 그립이 탑재되는 수납용기를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은,
    상기 그립 및 수납용기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에 탑재될 시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여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 상의 소정의 위치(이하,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을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의 포지셔닝 유닛(이하, 제1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그립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포지셔닝 유닛(이하, 제2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그립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될 시 상기 제1 포지셔닝 유닛과 마주하도록 상기 수납용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셔닝 유닛은,
    각각이 상호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포지셔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지셔닝 유닛은,
    각각이 상호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포지셔닝 유닛을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포지셔닝 유닛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석과의 사이에서 인력이 작용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포지셔닝 유닛 각각은,
    상호 반대되는 극성의 자석을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영구자석 및 전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의 극성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자극 픽셀(magnetic pixel)을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자극 픽셀 각각의 극성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포지셔닝 유닛 간의 상호 반대되는 극성의 자극 픽셀의 수(이하, 반대 자극 픽셀의 수)를 조절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에 탑재된 경우로서,
    상기 수납용기의 자세 변동이 없다고 판단될 시 상기 반대 자극 픽셀의 수를 제1 픽셀 수로 제어하고,
    상기 수납용기가 소정의 방향으로 무빙함에 따라 상기 수납용기의 자세 변동이 있다고 판단될 시 상기 반대 자극 픽셀의 수를 상기 제1 픽셀 수 보다 큰 제2 픽셀 수로 제어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0. 건조용 공기를 토출하고,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을 구비하는 드라이어; 및
    상기 그립이 탑재되는 수납용기를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은,
    상기 그립 및 수납용기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에 탑재될 시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어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 상의 소정의 위치(이하,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을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의 포지셔닝 유닛(이하, 제1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그립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포지셔닝 유닛(이하, 제2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그립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될 시 상기 제1 포지셔닝 유닛과 접촉하도록 상기 수납용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포지셔닝 유닛 중,
    어느 하나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에 탑재되는 방향(이하,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출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탄성 재질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에 탑재되는 방향(이하,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압축되도록 상기 돌기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돌기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무빙을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패스; 및
    상기 수직 가이드패스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패스에 의해 상기 돌기에 가해진 압력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하며, 상기 돌기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을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이하,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소정의 비율 이상으로 압축되도록 상기 돌기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돌기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무빙을 안내하는 수평 가이드패스를 더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평 가이드패스 중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홈과 함께 각각이 상호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패스, 수평 가이드패스, 제1 안착홈 및 제2 안착홈은,
    상기 돌기의 돌출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의 함몰 정도가 상기 수직 및 수평 가이드패스의 함몰 정도보다 큰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삽입부는,
    상기 드라이어의 건조용 공기의 토출 방향과 서로 어긋나는 방향에서 형성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9. 건조용 공기를 토출하고,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을 구비하는 드라이어; 및
    상기 그립이 탑재되는 수납용기를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은,
    상기 그립 및 수납용기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에 탑재될 시 상호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고, 상호 접촉하며 결합되어 상기 그립이 상기 수납용기 상의 소정의 위치(이하,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을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 및 거치대 각각의 포지셔닝 유닛은,
    상기 그립이 상기 정위치에 위치될 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호 반대되는 극성의 자석을 포함하되, 어느 하나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0190087781A 2018-09-19 2019-07-19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200033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19197912T PL3626112T3 (pl) 2018-09-19 2019-09-18 Urządzenie gospodarstwa domowego zawierające suszarkę
EP22151274.2A EP4014785B1 (en) 2018-09-19 2019-09-18 Home appliance including dryer
EP19197912.9A EP3626112B1 (en) 2018-09-19 2019-09-18 Home appliance including dryer
US16/576,452 US11666188B2 (en) 2018-09-19 2019-09-19 Home appliance including dryer
CN201910884778.6A CN110916548A (zh) 2018-09-19 2019-09-19 包括干燥器的家用电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3478P 2018-09-19 2018-09-19
US62/733,478 2018-09-19
KR1020190017596A KR20200033097A (ko) 2018-09-19 2019-02-15 드라이 장치
KR1020190017596 2019-02-15
KR1020190019327 2019-02-19
KR1020190019327A KR20200033102A (ko) 2018-09-19 2019-02-19 드라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155A true KR20200033155A (ko) 2020-03-27

Family

ID=6995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781A KR20200033155A (ko) 2018-09-19 2019-07-19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31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6188B2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ryer
KR101997045B1 (ko) 살균이 가능한 피부 관리 미용 기기
KR20200033104A (ko) 드라이어 거치대
ES2897877T3 (es) Pelota de fitness vibrante
CN203989490U (zh) 便携式按摩及磁光治疗仪
US11376426B2 (en) Hand-held device for electrically powered skin treatment
EP3626112B1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ryer
EP4085790B1 (en) Dryer stand
US20120112100A1 (en) Bactericidal Lighting Device
KR20200033155A (ko) 드라이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1604635B1 (ko) 자외선을 이용한 개인용 컵 살균 장치
JP2005310496A (ja) 照明装置
US20190060660A1 (en) Sterilizable skin care device for wrinkle care
CN111656862A (zh) 便携式感应加热器
KR20120097429A (ko) 휴대용 자외선 살균소독기
WO2021215395A1 (ja) 充電装置及びファン付きウェア
CN213852169U (zh) 一种消毒机器人
CN215350836U (zh) 一种新型的杀菌装置
US20230092631A1 (en) Iontophoresis-based patch type medicine absorption device
WO2020026095A1 (en) Handheld device with a battery and a battery chassis
KR200482930Y1 (ko) 음이온발생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배터리의 소모를 절감하는 충전식 소형 공기청정기
JP3762511B2 (ja) 赤外線治療器
BR122020009316B1 (pt) Dispositivo portátil para tratamento da pele acionado eletricamente
KR20200054649A (ko) 필터 사용량 측정 제어 기능을 갖는 겔 필터 케이스
JP2003275329A (ja) 電気治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