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123A -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123A
KR20200033123A KR1020190023600A KR20190023600A KR20200033123A KR 20200033123 A KR20200033123 A KR 20200033123A KR 1020190023600 A KR1020190023600 A KR 1020190023600A KR 20190023600 A KR20190023600 A KR 20190023600A KR 20200033123 A KR20200033123 A KR 20200033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dried
dryer
size
targe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현선
김성경
김주겸
전재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3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1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05D3/12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 G05D3/125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using discrete position sens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8/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ynamo-electric motors rotating step by step
    • H02P8/22Control of step size; Intermediate stepping, e.g. microstep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20/126Stan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oxic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dryer holder, which includes a stem for supporting a storage container on which a dryer capable of drying operation of discharging air for drying is mounted, and capable of adjusting a rotation (hereinafter, horizontal rotation) ang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dryer holder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 receiving a drying signal; (b) detecting whether an object to be dried is present; (c) calculating a horizontal rotation angle of the stem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when the object to be dried is detected; (d) adjusting the stem to the calculated horizontal rotation angle; and (e) performing the drying operation, wherein the step (c)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horizontal rotation angle of the stem such that a direction where the air for drying is discharged faces a part (hereinafter, target area) among areas occupied by the object to be dried, which is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Description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dryer stand}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본 발명은 건조용 공기를 토출하는 드라이어가 탑재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dryer holder in which a dryer for discharging drying air is mounted, and more specifically, a dryer holder for adjusting the direction in which drying air is discharged from side to side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인체를 건조하기 위하여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드라이어를 파지한 채로 건조 부위를 향해 드라이어를 이동시키면서 건조를 실시한다.When a dryer is used to dry the human body, the user typically performs drying while holding the dryer while moving the dryer toward the drying site.

사용자가 드라이어를 파지한 채로 건조를 실시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드라이어를 탑재할 수 있는 거치대가 제시되었으나, 건조 부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거치대의 방향을 조정하거나, 거치대에 탑재된 드라이어의 공기 토출방향이 건조 부위를 향하도록 인체를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carry out drying while holding the dryer, a cradle capable of mounting the dryer has been proposed, but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drying area, the user can adjust the orientation of the cradle or mount it on the cradl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human body had to be moved such that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dried dryer was directed to the drying site.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대는 피건조 대상이 유아 또는 반려동물인 경우와 같이 피건조 대상의 위치 변경이 잦은 경우에, 드라이어의 공기 토출방향을 수시로 변경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difficulty in changing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dryer from time to time when the loca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is changed frequently, such as when the object to be dried is an infant or a companion animal.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대는 드라이어의 공기 토출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어 로직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In addition,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es not present control logic for adjusting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dryer left and right.

특히, 건조를 실시하는 동안에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되는 정도에 따라 공기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In particular, a method of adjusting the air discharge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is changed during drying is not sugges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드라이어의 공기 토출방향을 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dryer holder that can adjust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dryer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되는 정도에 따라 공기 토출방향의 조절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dryer cradle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o adjust the air discharge dir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and size of an object to be dri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 과제는, 드라이어 거치대에 인접하는 피건조 대상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 thir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dryer holder that can search for a location of an object to be dried adjacent to the dryer hold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드라잉 운전이 가능한 드라이어가 탑재되는 수납용기를 지지하며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이하, 좌우 회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스템을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dryer holder including a stem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of rotation (hereinafter, left and right rotation)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while supporting a storage container equipped with a dryer capable of drying operation in which drying air is discharged. will b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은, (a) 드라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드라이어 거치대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대상(이하, 피건조 대상)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면, 상기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산출된 좌우 회전 각도로 상기 스템을 조절하는 단계; 및 (e) 상기 드라잉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상기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설정되는 피건조 대상이 차지하는 영역 중 일부(이하, 목표영역)를 향하도록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ontrol method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a drying signal; (b)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hereinafter, an object to be dried)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dryer holder; (c) when the object to be dried is detected, calculating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d) adjusting the stem with the calculated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And (e) performing the drying operation. At this time, in step (c),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ing air is discharged is directed to a part (hereinafter, a target area) of the area occupied by the object to be dried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It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right and left rotation angle.

상기 (c) 단계는, 상기 피건조 대상의 현재 위치 및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측정된 피건조 대상의 위치(이하, 기존 위치) 및 크기(이하, 기존 크기)에 따라 설정된 기존 목표영역을 향해 상기 드라이어가 기 드라잉 운전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어가 기 드라잉 운전 중이면, 상기 피건조 대상의 기존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이하, 위치 차이)의 절대값이 제1 소정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1 소정값 미만이면, 상기 피건조 대상의 기존 크기와 현재 크기의 차이(이하, 크기 차이)의 절대값이 제2 소정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크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2 소정값 미만이면, 상기 목표영역을 상기 기존 목표영역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영역에 대응해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c) may include measuring a current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Determining whether the dryer is in a driving operation toward an existing target area set according to a previously measured position (hereinafter, an existing position) and a size (hereinafter, an existing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Determining whether an absolute value of a difference (hereinafter, a position difference) between an existing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and a current position (hereinafter, a position difference) is less than a first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dryer is in a drying operation;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on difference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determining whether an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and the current size (hereinafter, the siz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setting the target area equal to the existing target area; And calculating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ea.

상기 소정 범위는,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상기 피건조 대상을 감지하는 감지기구의 소정 감지 범위이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피건조 대상의 전체가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range is a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of a sensor device that detects the object to be dried that is rotated alo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em, and in step (b), the entirety of the object to be dried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It may be a step of detecting whether or not.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피건조 대상의 일부만이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스템을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제1 탐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object to be dried is not detected in step (b) or only a part of the object to be dried is sensed to be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sensing range, a first search step of rotating the stem at a predetermined angle may be further included. You can.

상기 제1 탐색 단계 이후에,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피건조 대상의 일부만이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수납용기를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제2 탐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search step, if the object to be dried is not detected or if only a part of the object to be dried is detected to be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a second search step of rotating the storage container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제2 탐색 단계 이후에,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피건조 대상의 일부만이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드라잉 운전이 가능한 범위를 이탈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econd search step, if the object to be dried is not detected or only a part of the object to be dried is detected to be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a step of notifying the user that the drying operation is out of a possible range is provided.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ving means of the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can be sufficiently deriv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드라이어가 탑재되는 수납용기를 지지하는 스템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산출함으로써,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지속적으로 피건조 대상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First, by calculating the rotation ang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tem supporting the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dryer is moun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ing air is discharged can be continuously directed to the object to be dried. have.

둘째, 스템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데 기준이 되는 목표영역을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되는 정도에 따라 설정함으로써,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비효율적으로 또는 불필요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by setting the target area, which is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rotational ang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tem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ing air is discharged is inefficiently or unnecessarily Can be prevented.

셋째,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지 않으면 스템 또는 수납용기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드라이어 거치대에 인접하는 피건조 대상을 탐색할 수 있다.Third, if the object to be dried is not detected, the object to be dried adjacent to the dryer holder can be searched by rotating the stem or the storage contain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에 드라이어가 탑재된 상태가 표현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에 도킹 스테이션이 결합된 상태가 표현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전방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후방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에 드라이어가 탑재된 상태가 표현된 상측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하측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도킹 스테이션 및 스템회동기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상측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상측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 계통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yer is mounted on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a docking station coupled to a dryer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dryer is mounted on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a lower portion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station and a stem rotation mechanism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part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trol system diagram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flow charts of a control method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각각이 전방(front), 후방(rear), 상방(upper), 하방(lower), 좌방(left) 및 우방(right)로 명명된 3차원 좌표계로 설명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ach shown in Figure 1 (front), front (rear), up (upper), lower (lower), left (left) and right (right)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can be described as have.

본 발명은, 도 2a 등에 도시된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전후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여 X축, Y축 및 Z축을 정의한다. 각 축 방향(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 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based on a spatial Cartesian coordinate system by X-axis, Y-axis and Z-axis orthogonal to each other shown in FIG. In this specification, X-axis, Y-axis, and Z-axis are defined with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Z-axis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as the X-axis direction. Each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both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The '+' sign in front of each axis direction (+ X-axis direction, + Y-axis direction, + Z-axis direction) means a positive direction, which is one of both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The '-' sign in front of each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the negative direction, which is the other of the two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이하, 도 1, 도 2a, 도 2b,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A, 2B, 3, and 4.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에 드라이어가 탑재된 상태가 표현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에 도킹 스테이션이 결합된 상태가 표현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전방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yer is mounted on a dryer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cking station is coupled to a dryer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of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of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이하, 간략히 거치대로 부르도록 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어(1)를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가 드라이어(1)를 파지하는 것 없이 피건조 대상의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dry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 dryer holde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holder) to be dried without a user gripping the dryer 1 The object can be dried.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하측부에 배치되어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10)와, 드라이어(1)가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는 수납용기(receptacle)(20)와, 베이스(10)와 수납용기(20)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입설되어 베이스(1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소정 높이의 위치에서 수납용기(20)를 지지하는 스템(30)을 포함한다.1, 2A and 2B,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to perform a pedestal function, and the base 10 and the dryer 1 are detachably mounted. The stem (20), the base 10 and the storage container 2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base 10 in the upward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height position to support the storage container 20 stem ( 30).

또한, 거치대는 스템(3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거치대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커버(40)는 전방커버(41) 및 후방커버(42)를 포함할 수 있고, 측면커버(40)의 하단부(401)는 베이스(10)와 후술하는 하측 플레이트(31)에 의하여 형성되는 링형 홈(101)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dle may include a side cover 40 tha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stem 30 to form the side appearance of the cradle. The side cover 40 may include a front cover 41 and a rear cover 42, the lower end 401 of the side cover 40 is formed by the base 10 and the lower plate 31 to be described later Ring-shaped groove 101 may be fitted and installed.

한편, 상기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템(30)이 생략되어 측면커버(40)가 상기한 스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측면커버(40)를 스템으로 지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m 30 may be omitted so that the side cover 4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stem, and in this case, the side cover 40 may be referred to as a stem. .

도 2a, 도 2b,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조명장치(70) 및 공기정화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2A, 2B, 3 and 4,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llumination device 70 and an air purification device 80.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70)는 발광패널(71)과, 조명프레임(72)을 포함할 수 있고, 발광패널(71)은 LED가 다수 내장된 LED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2A, 2B, and 3, the lighting device 7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anel 71 and a lighting frame 72, and the light emitting panel 71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It can be formed into a plate.

후술하는 수직 플레이트(32)의 전방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된 오목부(321)에 조명프레임(72)이 삽입됨으로써, 조명장치(70)가 오목부(321)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조명장치(7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커버(41)는 조명장치(70)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lighting frame 72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321 recessed rea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2 to be described later, the lighting device 70 can be detachably seated on the recessed part 321. The front cover 41 disposed in front of the lighting device 7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device 70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한편, 실시예에 따라 조명장치(70)는 유연성이 양호한 OLED 패널을 사용하여, 전방커버(4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곡률지게 형성됨으로써, OLED 패널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방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hting device 70 is formed of a curvatur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41 by using an OLED panel having good flexibility, thereby improving the radia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OLED panel.

도 2a,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80)는 후술하는 수직 플레이트(32)와 후방커버(42)의 사이에 배치된 필터(81)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필터(81)를 경유한 후 다시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흡입팬(83) 및 토출팬(8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기의 유입 및/또는 토출은 후방커버(42)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421)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2A, 2B, and 4, the air purifying device 80 includes a filter 81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plate 32 and the rear cover 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flows in from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suction fan 83 and a discharge fan 84 that causes a flow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81. At this time, the inflow and / or discharge of air may be mad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1 formed in the rear cover 42.

한편, 실시예에 따라 필터(81)는 반려동물 냄새 또는 노인취 제거 기능(즉, 탈취 기능)도 겸할 수 있는 광촉매 필터일 수 있고, 이 경우 필터(81)의 전방에 광촉매 필터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청색 발광 패널(82)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lter 81 may be a photocatalyst filter that can also function as a companion animal odor or elderly odor removal function (that is, a deodorization function), in this case, activating the function of the photocatalyst filter in front of the filter 81 The blue light emitting panel 82 can be disposed.

도 2a,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플레이트(32)의 중공부(35)에는 배터리(1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100)의 후방에는 제어부(110)가 배치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상기한 조명장치(70)와, 공기정화장치(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 후술하는 드라이어(1)의 공기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스템회동기구, 회동기구, 승강기구, 틸팅기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히는 후술한다.2A, 2B, and 4, the battery 10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35 of the vertical plate 32. The control unit 11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attery 100,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above-described lighting device 70 and the air purifying device 80, and furthermore, a dryer (described later) The operation of the stem rotating mechanism, the rotating mechanism, the lifting mechanism, and the tilt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1) can be controlled, and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배터리(100)는 상기한 구성 중 전력이 필요한 구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드라이어(1)가 수납용기(20)에 탑재되는 경우에 드라이어(1)에 내장된 배터리(5)를 충전할 수 있다.The battery 10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a configuration requiring power amo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charge the battery 5 built in the dryer 1 when the dryer 1 is mounted in the storage container 20. You can.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는 도킹 스테이션(90)을 포함한다. 도킹 스테이션(90)을 통해 상기한 배터리(100) 및/또는 거치대의 구성 중 전력이 필요한 구성에 외부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the cradle includes a docking station (90). Through the docking station 90, external power may be applied to the battery 100 and / or the cradle that requires power.

본 발명은 상기한 거치대에 드라이어(1)를 탑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드라이어(1)의 공기 토출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해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mounting the dryer 1 on the above-mentioned cradl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cradl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dryer 1 towar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It was devised to provide.

본 명세서에서는 드라이어(1)의 스템(30)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 토출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해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제어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구조적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스템(30)과 독립적으로 수납용기(20)를 좌우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적 구성도 후술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tructural configuration capable of realizing a control method of a cradl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air discharge direction towar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rotating the stem 30 of the dryer 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Furthermore, the structural configuration capable of rotating the storage container 20 independently of the stem 30 in the left and right and / or front and rear directions or moving (elev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lso described later.

이하, 도 1, 도 2a, 도 2b,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구성 중 드라이어(1)의 공기 토출방향을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구성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2A, 2B, and 3 to 10, a configuration capable of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dryer 1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lated thereto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에 드라이어가 탑재된 상태가 표현된 상측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하측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도킹 스테이션 및 스템회동기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상측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상측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 계통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state in which the dryer is mounted on the dryer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dryer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station and a stem rotation mechanism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upper sectional view of an upper part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part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ontrol system diagram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드라이어(1)는 토출구(3)를 통해 토출되는 건조용 공기를 이용해, 사람 또는 반려동물 등 피건조 대상을 상대로 건조를 실시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상기한 드라이어(1)가 탑재되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dryer 1 is a device for drying against an object to be dried, such as a person or a companion animal, using dry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 As described above, the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on which the above-mentioned dryer 1 is mounted.

도 2a, 도 2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는 상하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템(30)과, 스템(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10)와, 스템(30)의 상측에 배치되고 드라이어(1)가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는 수납용기(20)와, 베이스(10)에 배치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도킹 스테이션(90)과, 스템(30)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회동)시키는 스템회동기구를 포함한다.2A, 2B, and 5, the cradle is a stem 30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Z-axis direction, the base 10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m 30, and the stem 30 )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dryer 1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storage container 20, the base 10 is disposed on the docking station 90 for applying external power, and the stem 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ncludes a stem rotating mechanism that rotates (rotates).

도 2a,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30)은 도킹 스테이션(90)의 상측에 배치되는 하측 플레이트(31)와, 하측 플레이트(31)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32)와, 수직 플레이트(32)의 상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다음 하측으로 절곡되는 연장부(33)를 포함할 수 있다.2A, 2B, and 4, the stem 30 includes a lower plate 31 disposed above the docking station 90 and a vertical plat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plate 31 ( 32),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32 to the rear and then bent downward (33).

상기한 조명장치(70)는 스템(30)의 전방에 배치되어 광을 발산할 수 있고, 상기한 공기정화장치(80)는 스템(30)의 후방에 배치되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lighting device 7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tem 30 to emit light, and the above-described air purifying device 80 is disposed behind the stem 30 to decompose harmful substances present in the air To remove the odor.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 플레이트(32)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구획벽(34)에 상기한 공기정화장치(80)가 배치될 수 있고, 수직 플레이트(32)의 중앙 하측부에 형성된 중공부(35)에 상기한 배터리(100)가 설치될 수 있고, 중공부(35)의 상측에 거치대에 포함되는 각 구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홀(3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 플레이트(32)의 상측에서 후술하는 수직로드(39)를 매개로 수납용기(20)가 결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air purifying device 80 may be disposed on the partition wall 34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plate 32 to the rear, and the hollow portion formed at the central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late 32 ( The above-described battery 100 may be installed in 35), and a hole 36 through which an electric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radle pass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35. In addition, the storage container 20 may be coupled via the vertical rod 39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plate (32).

수직 플레이트(32)의 상측,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37)에 수직로드(39)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직로드(39)의 적어도 일부가 홈(37)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보다 상세히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vertical rod 39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groove 37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upper and rear sides of the vertical plate 32. In other words, at least a portion of the vertical rod 39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37 and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는 거치대의 받침대로서 기능하고, 스템(30) 또는 하측 플레이트(31)가 도킹 스테이션(90)에 올려지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2A and 2B, the base 10 functions as a pedestal of the cradle, and can provide a space for the stem 30 or the lower plate 31 to be placed on the docking station 90.

즉, 베이스(10)는 가운데에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부(12)가 형성되고, 도킹 스테이션(90)은 베이스의 중공부(12)에 배치(즉, 삽입 설치)되어 스템(30) 또는 하측 플레이트(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base 10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12 penetrating up and down in the center, and the docking station 90 is disposed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12 of the base, such as the stem 30 or the lower side. It may be disposed under the plate (31).

도킹 스테이션(9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거치대에 포함되는 배터리(100) 및/또는 후술하는 회전모터(60)와 같이 거치대의 구성 중 전력이 필요한 구성에 외부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cking station 90 may apply external power to a configuration requiring power 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cradle, such as the battery 100 included in the cradle and / or the rotary motor 60 to be described later.

이를 위해, 하측 플레이트(31)의 하부면에는 도킹 스테이션(90)을 통해 외부전원이 거치대에 인가될 수 있도록 도킹 스테이션(90)에 구비된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n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provided in the docking station 9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 so that external power can be applied to the cradle through the docking station 90. .

도 2a, 도 2b,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용기(20)는 드라이어(1)의 그립(2)이 삽입되는 그루브(20a)를 형성하는 터브(21, 22)를 포함하고, 터브(21, 22)는 상측 터브(21) 및 하측 터브(22)를 포함할 수 있다.2A, 2B, 5, 8 and 9, the storage container 20 is a tub 21, 22 forming a groove 20a into which the grip 2 of the dryer 1 is inserted. ), And the tubs 21 and 22 may include an upper tub 21 and a lower tub 22.

상측 터브(21)는 상광하협의 대략적으로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터브본체(211)와, 터브본체(2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하측 돌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tub 21 may include a tub body 211 formed in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canals, and a lower protrusion 2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ub body 211.

터브본체(211)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부(213)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터브본체(211) 중, 오목부(213)와 그루브(20a)의 사이에 위치한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되므로, 드라이어(1)의 가동 중에 그루브(20a)에 삽입된 드라이어(1)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오목부(213)를 통해 방열될 수 있다.A recess 213 recessed inward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ub body 211, whereby a portion of the tub body 211 located between the recess 213 and the groove 20a is different. Since the thickness is thinner than that of the site, heat generated inside the dryer 1 inserted into the groove 20a during operation of the dryer 1 may be radiated through the concave portion 213.

하측 돌출부(212)의 하측면에는 돌기(215)가 형성되고, 하측 터브(22)의 상측면에서 하측 돌기(215)가 삽입되는 홈(2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측 터브(21) 및 하측 터브(22)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A protrusion 215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212, and a groove 225 into which the lower protrusion 215 is inser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ub 22 may be formed. Accordingly, the upper tub 21 and the lower tub 22 may be integrally combined.

또한, 수납용기(20)는 상측 터브(21)의 외각에 씌워지는 터브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커버(23)는 상광하협의 대략적으로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터브본체(211)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측 터브(21)와 일체가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container 20 may include a tub cover 23 that is covered with the outer shell of the upper tub 21. The tub cover 23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canals, and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b body 211 and may be combined to be integral with the upper tub 21.

수납용기(20)는 수직로드(39)의 상측에 배치되는 서포터(5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upporter 5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rod 39.

서포터(50)는 수납용기(20)와 스템(30)의 사이에서 수납용기(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여기서 이동은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즉, Z축을 중심으로 회전),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즉, Z축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 또는 전후 방향으로의 회동(즉, Y축을 중심으로 회전)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이하 같다.The supporter 50 can movably support the storage container 20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20 and the stem 30, where the movement is rota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ie, rotation about the Z axis), Used in a generic sense including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e., linear movement in the Z-axis direction) or rot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e., rotation around the Y-axis),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서 그립(2)이 그루브(20a)에 삽입되면, 그립(2)은 자석(M1, M2)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그루브(20a)에 고정되므로, 수납용기(20)를 이동시킴으로써 드라이어(1)의 토출구(3)를 통해 토출되는 건조용 공기의 토출 방향을 변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ip 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0a, the grip 2 is fixed to the groove 20a at a specific position by means of fixing means such as magnets M1 and M2,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20 By mov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ry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 of the dryer 1 can be changed.

도 2a, 도 2b,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50)는 수직로드(39)의 상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포터 본체(51)와, 서포터 본체(51)의 상측면에 셋트나사(514)에 의해 고정되고 서포터 본체(51)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이드 서포터(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포터(50)의 상측에 링형의 상부커버(53)가 씌워질 수 있다.2A, 2B, 5, 8, and 9, the supporter 50 is a supporter body 51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rod 39, and a supporter body 51 ) Is fixed by the set screw 514 on the upper side and may include a guide supporter 52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er body 51. Meanwhile, a ring-shaped upper cover 53 may be cover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50.

서포터 본체(51)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부가 대략적으로 반구형의 터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서포터(52)에는 상기한 수납용기(20)가 결합되어 수납용기(20)의 이동을 안내하거나 수납용기(20)와 함께 이동될 수 있고, 보다 상세히는 후술한다.The supporter body 51 has an upper side open, and a lower side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tub shape. The above-described storage container 20 is coupled to the guide supporter 52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torage container 20 or may be moved together with the storage container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용기(20)는 서포터(50)에 결합되고, 서포터(50)는 스템(30)의 홈(37)에 삽입된 수직로드(39)에 결합되므로, 스템(30)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면 수직로드(39), 서포터(50) 및 수납용기(20)도 함께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이로써 수납용기(20)에 탑재되는 드라이어(1)의 토출구(3)로부터의 공기 토출방향을 좌우로 변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container 20 is coupled to the supporter 50, the supporter 50 is coupled to the vertical rod 39 inserted into the groove 37 of the stem 30, the stem 30 When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vertical rod 39, the supporter 50, and the storage container 20 can also be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us from the discharge port 3 of the dryer 1 mounted in the storage container 20.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can be switched left and right.

도 2a, 도 2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템회동기구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스템회동모터(64)와, 스템회동모터(64)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스템회동피니언(641)과, 스템회동피니언(641)에 기어결합되는 스텝회동기어(313a)와, 스템회동모터(64)를 어느 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로드(642)를 포함할 수 있다.2A, 2B, and 6, the stem rotation mechanism includes an electrically driven stem rotation motor 64 and a stem rotation pinion 641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of the stem rotation motor 64, A step rotation gear 313a geared to the stem rotation pinion 641 and a fixed rod 642 for fixing the stem rotation motor 64 to any one position may be included.

상기 스템회동기구는 하측 플레이트(31)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em rotation mechanism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plate 31, a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하측 플레이트(31)는 제1 플레이트(311)와, 제2 플레이트(312)와, 제3 플레이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lower plate 31 may include a first plate 311, a second plate 312, and a third plate 313.

제1 플레이트(311)는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도킹 스테이션(90)의 상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예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90)의 횡단면(즉, XY 평면 상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고, 고정된 도킹 스테이션(90)에 대해 제1 플레이트(311)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며 좌우 방향으로 회전(즉,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1 may be slidably contact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ocking station 90. For this,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docking station 90 (ie, the cross section on the XY plane) may be circular, and the first plate (for the fixed docking station 90) ( 311) is relatively sliding and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e, rotated around the Z axis).

제2 플레이트(312)는 상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수직 플레이트(3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12)는 수직 플레이트(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312 may be coupled to the vertical plate 32. The second plate 31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vertical plate 32.

제3 플레이트(313)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311, 312)의 사이에 개재(介在)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플레이트(311, 312, 3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plate 31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311 and 312. The first, second, and third plates 311, 312, and 313 may be integrally formed.

이 경우, 상기한 스템회동모터(64)를 어느 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로드(642)는 도킹 스테이션(90)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311)에는 고정로드(642)가 삽입되는 로드홀(311h)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ed rod 642 for fixing the above-described stem rotation motor 64 to any one position may be formed to extend above the docking station 90. At this time, a rod hole 311h into which the fixed rod 642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311.

상기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템회동기구는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된 베이스(10) 및 도킹 스테이션(90)에 대해서 스템(30) 및 수납용기(20)를 상대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를 위해 고정로드(642)는 도킹 스테이션(90)의 상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d below, the stem rot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 to the stem 30 and the storage container 20 relative to the base 10 and the docking station 90 fixed at any one position. Rotat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fixed rod 64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ocking station 90.

즉, 상기 스템회동기구의 동작에 따라, 고정로드(642)에 대해 제1 플레이트(311)가 상대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므로, 고정로드(642)가 삽입되는 로드홀(311h)은 제1 플레이트(311)의 회전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em rotation mechanism, the first plate 311 relative to the fixed rod 642 must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oad hole 311h into which the fixed rod 642 is inserted is the first It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plate 311.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311)의 회전궤적이 이루는 각도는 360° 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회전궤적이 이루는 각도는 제1 플레이트(311)의 상측에 배치된 반사판(38)에 고정로드(642) 또는 스템회동모터(64)가 간섭될 때까지의 각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a, the angle formed by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first plate 3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maller than 360 °, and the angle formed by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first plate 311 It may be an angle until the fixed rod 642 or the stem rotation motor 64 interferes with the reflector 38 disposed on the upper side.

여기서, 반사판(38)은 상기한 조명장치(70)로부터 발산된 광을 전방커버(41)를 향해 반사하는 부재이다.Here, the reflector 38 is a member that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above-described lighting device 70 toward the front cover 41.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311)의 회전궤적은 360° 일 수 있고, 이를 위해 반사판(38)에도 홀이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311)가 회전되는 동안에 고정로드(642) 또는 스템회동모터(64)가 반사판(38)에 의해 간섭되지 않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b,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first plate 3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360 °, and for this purpose, a hole is also formed in the reflector 38 so that the first plate 311 is During the rotation, the fixed rod 642 or the stem rotation motor 64 may be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by the reflector 38.

즉, 본 발명에서는 제1 플레이트(311)의 회전궤적이 이루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하고 있지 않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formed by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first plate 3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제3 플레이트(313)의 일측에 상기한 스템회동기어(31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3 플레이트(313)가 스템회동기어(313a)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stem rotation gear 313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plate 313.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hird plate 313 may be formed of a stem rotation gear 313a.

이로써, 스템회동모터(64)의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고정된 베이스(10) 및 도킹 스테이션(9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템(30)과, 수직로드(39)와 서포터(50)를 매개로 스템(30)에 결합된 수납용기(2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즉,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드라이어(1)의 토출구(3)로부터의 공기 토출방향이 좌우로 조절될 수 있다.Thus, the stem 30, the vertical rod 39 and the supporter 50 relative to the fixed base 10 and the docking station 9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tem rotation motor 64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The storage container 20 coupled to the stem 30 may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e, rotated about the Z axis). Thereby, the air discharge direction from the discharge port 3 of the dryer 1 can be adjusted left and right.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템(30)의 전방에 조명장치(70)가 배치되고, 스템(30)의 후방에 공기정화장치(80)가 배치되어, 스템회동모터(64)의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고정된 베이스(10) 및 도킹 스테이션(9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템(30)과, 수납용기(20)와, 스템(30)에 결합된 조명장치(70)와, 공기정화장치(8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즉, Z축을 중심을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ighting device 7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tem 30, the air purifying device 80 is disposed in the rear of the stem 3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of the stem rotation motor 64 According to the rotation, relative to the fixed base 10 and docking station 90, the stem 30, the storage container 20, the lighting device 70 coupled to the stem 30, and air purification The device 80 can rotate in the left-right direction (ie, rotate around the Z axis).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커버(40)는 거치대의 측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전방커버(41) 및 후방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de cover 40 forms a side surface appearance of the cradle, and may include a front cover 41 and a rear cover 42.

이와 같은 측면커버(40)의 회동은, 스템(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전방커버(41)를 마주하고 있는 조명장치(70)와, 스템(30)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방커버(42)를 마주하고 있는 공기정화장치(80)가 온전히 동작될 수 있게 하는 데 필요하다.The rotation of the side cover 40 is arranged in front of the stem 30, the lighting device 70 facing the front cover 41, and disposed behind the stem 30, the rear cover 42 It is necessary to enable the air purifying device 80 facing to be operated completely.

즉, 조명장치(70)로부터 발산된 광이 전방커버(41)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거나, 공기정화장치(80)를 통해 정화되는 공기가 후방커버(42)에 형성된 통공(421)을 통해 유출입될 수 있어야 상기한 조명장치(70) 및 공기정화장치(80)가 온전히 동작될 수 있다.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device 70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cover 41, or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air purifying device 80 flows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421 formed in the rear cover 42 The lighting device 70 and the air purifying device 80 described above can be completely operated.

이를 위해, 측면커버(40)는 제1 플레이트(3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측면커버(40)와 제1 플레이트(311)는 스냅핏 결합 등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일단 측면커버(40)가 제1 플레이트(311)에 결합되면 제1 플레이트(311)의 회동에 따라 측면커버(40)도 함께 회동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ide cover 40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first plate 311. That is, the side cover 40 and the first plate 311 are detachably fastened by a snap fit or the like, and once the side cover 40 is coupled to the first plate 311, the first plate 311 is rotated. Depending on the side cover 40 can also be rotated together.

이로써, 스템회동모터(64)의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고정된 베이스(10) 및 도킹 스테이션(9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템(30)과, 수납용기(20)와, 조명장치(70)와, 공기정화장치(80)와, 전방커버(41)와, 후방커버(42)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즉, Z축을 중심을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em 30, the storage container 20, and the lighting device 70 relative to the fixed base 10 and the docking station 9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tem rotation motor 64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 The air purifying device 80, the front cover 41, and the rear cover 42 can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is, rotate about the Z axis).

도 2a, 도 2b, 도 3,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피건조 대상의 위치, 크기 등을 감지하는 감지기구(S)를 포함하고, 감지기구(S)는 카메라 등의 영상촬영기구 또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2a, 2b, 3, 5, 8 and 9,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or (S) for detecting the position, size, etc. of the object to be dried And, the detector (S) may be a video imaging device such as a camera or a proximity sensor.

감지기구(S)는 전방커버(41)에 형성된 감지홀(402)을 통해 거치대 외부에 위치하는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 등을 감지할 수 있다.The detector (S) may detect the location and size of an object to be dried located outside the cradle through the detection hole 402 formed in the front cover 41.

감지기구(S)는 서포터 본체(51)의 전방면에 설치되어 서포터 본체(51)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홀(402)은 감지기구(S)의 이동 범위 및 화각을 고려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detector (S)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body 51 and can be moved togeth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pporter body 51. In this case, the detection hole 402 is preferab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range and the angle of view of the detector (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지기구(S)는 서포터 본체(51)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서포터 본체(51)의 이동과 상관없이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홀(402)은 감지기구(S)의 고정 위치 및 화각을 고려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or (S)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er body 51 and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supporter body 51. In this case, the detection hole 402 is preferab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fixed position and angle of view of the detector (S).

스템회동모터(64)의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고정된 베이스(10) 및 도킹 스테이션(90)에 대해 상대적으로 감지기구(S)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즉, Z축을 중심을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감지기구(S)의 화각을 좌우로 조절하여, 거치대에 인접하는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As the stem rotation motor 64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detector S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lative to the fixed base 10 and the docking station 90 (ie, rotates around the Z axis) can do. Thus, by adjusting the angle of view of the detector (S) from side to sid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adjacent to the crad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템회동기구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em rotation mechanism, as shown in FIG. 10.

제어부(110)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and controllers (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제어부(110)는 감지기구(S)가 감지한 피건조 대상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를 토대로, 스템회동모터(64)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해 스템(30)과, 수납용기(20)와, 감지기구(S)의 좌우로의 회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adjusts the rot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stem rotation motor 64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be dried (e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sensed by the detector S 30, the storage container 20, and the detection mechanism (S)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이상, 상기 스템회동기구를 이용해 스템(30)을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템(30)에 결합된 수납용기(20), 조명장치(70), 공기정화장치(80), 측면커버(40), 감지기구(S)를 좌우로 시키는 구성을 설명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container 20 coupled to the stem 30, the lighting device 70, the air purifying device 80, the side cover 40, sensing by rotating the stem 30 from side to side using the stem rotation mechanism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echanism S is left and right has been described.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스템(30)의 회동을 거치지 않고, 수납용기(20)를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going through the rotation of the stem 30, the storage container 20 is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r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

도 2a, 도 2b,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수납용기(20)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기구는 서포터(50)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2a, 2b, 5, 8 and 9,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storage container 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otation mechanism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er 50.

상기 회동기구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회동모터(63)와, 회동모터(63)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동피니언(631)과, 회동피니언(631)에 기어결합되는 회동기어치(5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mechanism includes an electrically driven rotation motor (63), a rotation pinion (631)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motor (63), and a rotation gear (512) geared to the rotation pinion (631). You can.

회동기어치(512)는 서포터(5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동기어치(512)는 서포터 본체(51)의 하측부의 곡률진 외주면을 따라 측면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gear 5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er 50. 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gear 512 may be formed to extend in an arc shape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curved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er body 51.

상기한 바와 같이 서포터 본체(51)의 하부에는 수직로드(39)의 상측면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수직로드(39)는 상측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되고, 서포터 본체(51)의 하측면 또는 저면 중앙에는 상기 홈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기(511)가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rod 39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er body 51. At this time, the vertical rod 39 is formed with a recess recessed inward on the upper side, and a protrusion 511 tha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or the bottom of the supporter body 51.

이로써 상기 홈에 삽입된 돌기(511)를 중심으로 회동모터(6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서포터 본체(51), 및 가이드 서포터(52)를 매개로 서포터 본체(51)에 결합되는 수납용기(20)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즉,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us, by rotating the rotating motor 63 around the projection 511 inserted into the groov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storage coupled to the supporter body 51 via the supporter body 51 and the guide supporter 52 The container 20 can be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ie, rotated about the Z axi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수직로드(39) 및 서포터(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는 스템(30)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mechanism for moving the vertical rod 39 and the supporter 5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fting mechanism may be disposed on the stem 30.

상기 승강기구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승강모터(62)와, 승강모터(62)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승강피니언(621)과, 승강피니언(621)에 기어결합되는 승강랙크(391)가 후측면에 형성되며 스템(3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로드(39)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mechanism includes an elevating motor 62 that is electrically driven, an elevating pinion 621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elevating motor 62, and an elevating rack 391 geared to the elevating pinion 621 on the rear side. And it may include a vertical rod 39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tem (30).

이로써 승강모터(6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수직로드(39)의 상측면이 연결된 서포터 본체(51), 및 가이드 서포터(52)를 매개로 서포터 본체(51)에 결합되는 수납용기(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즉,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us, by rotating the elevating motor 62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storage container coupled to the supporter body 51 via the supporter body 51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rod 39 and the guide supporter 52 ( 20)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e, in the Z-axis direction).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3)는 서포터 본체(51)가 최하 위치에 있는 경우, 서포터 본체(51)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서포터 본체(51)의 하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고, 이로써 수납용기(20)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이 보다 안정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extension 33 is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er body 51 to enable the supporter body 51 to rotate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en the supporter body 51 is in the lowest pos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can be supported, whereby the rot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20 in the left-right direction can be more stabilized.

또한, 회동모터(63)가 수직로드(39)에 결합됨으로써 수직로드(39)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 회동모터(63)도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한 서포터 본체(51) 및 수납용기(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과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이 동시 또는 이시에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rotating motor 63 is coupled to the vertical rod 39, as the vertical rod 39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ting motor 63 is also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gether, and the supporter body 51 and the storage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of the container 20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rota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at this tim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수납용기(2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즉, Y축을 중심으로 틸팅회전)시키는 틸팅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용기(20)는 서포터 본체(51)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il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storage container 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ilting rotation about the Y axis). In this case, the storage container 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in the supporter body 51 in a tiltable manner.

상기 틸팅기구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틸팅모터(61)와, 틸팅모터(6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틸팅피니언(611)과, 틸팅피니언(611)에 기어결합되는 틸팅기어치(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틸팅기어치(231)는 터브커버(23)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tilting mechanism includes an electrically driven tilting motor 61, a tilting pinion 611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tilting motor 61, and a tilting gear 231 geared to the tilting pinion 611. You can. At this time, the tilting gear 231 may be formed to extend in an arc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 cover 23.

또한, 상기 틸팅기구는 수납용기(20)의 틸팅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한 가이드 서포터(5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lting mechanism may include the guide supporter 52 described above as a configuration for guiding the tilting of the storage container 20.

가이드 서포터(52)는 하측 중앙부(522)가 개방되고 내측면이 상하 방향으로 호형상을 이루는 나팔형상의 가이드 본체(521)와, 가이드 본체(521)의 양측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호형상의 가이드 홈(524)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5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supporter 52 is a trumpet-shaped guide body 521 in which the lower central portion 522 is opened and the inner surface is arc-shap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otrudes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521 a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 arc-shaped guide groove 524 may include a pair of guide rails 523 formed.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523)에는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마찰력을 저감시길 수 있는 완충레일(525)이 삽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9, a buffer rail 525 capable of performing a cushioning function and reducing frictional force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523.

수납용기(20)는 상기한 가이드 서포터(52)에 결합되어 틸팅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하측 터브(22)의 양측면에서 셋트나사(227)에 의해 체결되는 돌출편(224)이 가이드 레일(523)에 형성된 가이드 홈(524)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20 can be tilted by being coupled to the guide supporter 52 described above, and more specifically, the protruding piece 224 fastened by the set screw 227 on both sides of the lower tub 22 has a guide rail ( 523) may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524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로써 틸팅모터(6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돌출편(224)을 가이드 홈(524)을 따라 이동시켜 수납용기(2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즉,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us, by rotating the tilting motor 61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protruding piece 224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524 to rotate the storage container 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ie, rotate about the Y axis). have.

이때 상기한 수납용기(20)의 전후 방향으로의 회동(틸팅)을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터브커버(23)의 외측면에 돌기(232)가 형성되고 가이드 본체(521)의 내측면에 돌기(232)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홈(526)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more stably guide the rotation (til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20, the protrusion 23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 cover 23 an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body 521. A groove 526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232 is inserted and guided may be formed.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스템(30)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 또는 이시에, 스템(30)의 회동과 독립적으로 수납용기(20)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 상하 방향으로 이동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In summary,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stem 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rotates the storage container 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dependently of the rotation of the stem 30. It can move in the direction and / or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어부(110)는 감지기구(S)가 감지한 피건조 대상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를 토대로, 스템회동모터(64), 회동모터(63), 승강모터(62) 및 틸팅모터(61)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해 스템(30) 또는 스템(30)과 독립적으로 수납용기(20)의 이동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is based 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detected by the detector S, and the stem rotation motor 64, the rotation motor 63, and the lifting motor By adjust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angle of at least one of the 62 and the tilting motor 61, the movement of the storage container 20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independently of the stem 30 or the stem 30.

이하, 상기한 거치대의 구성 및 동작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based 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cradle.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11 to 13 are flowcharts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제어방법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계들은, 상기한 제어부(11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Each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110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드라잉 운전이 가능한 드라이어(1)가 탑재되는 수납용기(20)를 지지하며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이하, 좌우 회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스템(30)을 포함하는 거치대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storage container (20) on which a dryer (1) capable of drying operation in which drying air is discharged is mounted, and a stem (30)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of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hereinafter, left and right rotation).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the included cradle.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의 제어방법은 드라잉 신호 수신 단계(S1)와, 피건조 대상 유무 감지 단계(S10)와, 좌우 회전 각도 산출 단계(S30)와, 스템 조절 단계(S50)와, 드라잉 운전 수행 단계(S60)를 포함한다.11 to 13, the control method of the cradle includes a drying signal receiving step (S1), a presence / absence target sensing step (S10), a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 calculation step (S30), and a stem adjustment step (S50) and a drying operation step (S60).

드라잉 신호 수신 단계(S1)는 상기 드라잉 운전의 수행을 명령하는 신호(이하, 드라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The drying signal reception step (S1) is a step of receiving a signal (hereinafter, a drying signal) instructing to perform the drying operation.

상기 드라잉 신호는 드라이어(1), 거치대 또는 그 밖의 통신 수단에 의해 발령된 신호일 수 있다. S1 단계에서 상기 드라잉 신호가 수신되면, 피건조 대상 유무 감지 단계(S10)가 실행될 수 있다.The drying signal may be a signal issued by the dryer 1, a cradle, or other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drying signal is received in step S1, the presence / absence of an object to be dried is detected (S10).

피건조 대상 유무 감지 단계(S10)는 거치대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대상(이하, 피건조 대상)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presence / absence of an object to be dried (S10) may be a step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hereinafter, an object to be dried)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cradle.

S10 단계에서의 상기 소정 범위는, 스템(30)의 좌우 회전(보다 정확히는, 스템(30)의 좌우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수납용기(20)의 좌우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상기 피건조 대상을 감지하는 감지기구(S)의 소정 감지 범위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range in step S10 is the object to be dried that is rotated together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em 30 (more precisely,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20 rotated together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em 30). It may be a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of the detector (S) for detecting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감지기구(S)는 피건조 대상의 위치, 크기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의 영상촬영기구 또는 근접센서이고, 상기 소정 감지 범위는 감지기구(S)의 소정 화각(angle of view) 범위로 이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or (S) is an imaging device or a proximity sensor such as a camera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size, etc. of an object to be dried, and the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is a predetermined value of the detector (S). It can be understood as an angle of view range.

S10 단계는 상기 피건조 대상의 전체(즉, 어느 한 개체의 외형 전체)가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Step S10 may be a step of sensing whether the entire object to be dried (ie, the entire external appearance of an individual object) is within the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본 발명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 단계에서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피건조 대상의 일부(즉, 어느 한 개체의 외형 중 일부)만이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스템(30)을 소정 방향(즉,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제1 탐색 단계(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2 and 13, in step S10, the object to be dried is not detected or only a part of the object to be dried (ie, part of the appearance of an individual object)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When it is sens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arch step (S11) for rotating the stem 30 a predetermined ang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at is,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스템(30)의 좌우 회전과 독립적으로 수납용기(2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 경우 감지기구(S)는 스템(30) 및 수납용기(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container 20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dependently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em 30, in this case the detector (S) is the stem 30 and the storage container At least one of the (20) may be rotated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본 발명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탐색 단계(S11) 이후에, S12 단계에서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피건조 대상의 일부(즉, 어느 한 개체의 외형 중 일부)만이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수납용기(20)를 소정 방향(즉,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제2 탐색 단계(S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3, after the first search step (S11), in step S12 the object to be dried is not detected or part of the object to be dried (ie, part of the appearance of an individual) When only the bay is detected to be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sensing range, the second search step (S13) of rotating the storage container 2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e,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a predetermined angl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탐색 단계(S13) 이후에, S14 단계에서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피건조 대상의 일부(즉, 어느 한 개체의 외형 중 일부)만이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드라잉 운전이 가능한 범위를 이탈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피건조 대상의 위치를 조절해 드라잉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3, after the second search step (S13), in step S14, the object to be dried is not detected or part of the object to be dried (ie, part of the appearance of an individual) When it is sensed that only the bay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sensing range, a step (S15) of notifying the user that the drying operation is out of a possible range may be further included.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the drying opera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S10 단계에서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면, 좌우 회전 각도 산출 단계(S30)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탐색 단계(S11)가 실행된 이후에 S12 단계에서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면 S30 단계로 이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제2 탐색 단계(S13)가 실행된 이후에 S14 단계에서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면 S30 단계로 이행될 수 있다.When the object to be dried is detected in step S10, a step S30 for calculating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target to be dried is detected in step S12 after the above-described first search step S11 is executed,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30. Similarly, when the target to be dried is detected in step S14 after the second search step S13 is performed,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30.

좌우 회전 각도 산출 단계(S30)는 상기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 calculation step S30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30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S30 단계는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상기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설정되는 피건조 대상이 차지하는 영역 중 일부(이하, 목표영역)를 향하도록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In step S30,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30 are directed such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ing air is discharged is directed to a part (hereinafter, a target area) of the area occupied by the object to be dried, which is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This is the calculating step.

일 예로써, 상기 피건조 대상이 차지하는 영역은, 상기 피건조 대상이 차지하는 위치에서 상기 피건조 대상의 크기에 따라 설정되되, 스템(30)의 회전 축과 평행하고, 스템(30)의 회전 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2차원 면들 중 어느 하나와 직교하는 가상의 2차원 영역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rea occupied by the object to be dried is se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at a position occupied by the object to be dried,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tem 30,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tem 30 It may be a virtual two-dimensional area orthogonal to any one of the included virtual two-dimensional surfaces.

이 경우, 상기 목표영역은, 상기 피건조 대상이 차지하는 영역 중 좌우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의 영역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target region may be a reg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mong the regions occupied by the object to be dried.

S30 단계는, 피건조 대상의 현재 위치 및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S31)와, 이전에 측정된 피건조 대상의 위치(이하, 기존 위치) 및 크기(이하, 기존 크기)에 따라 설정된 기존 목표영역을 향해 드라이어(1)가 기 드라잉 운전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Step S30 is a step (S31) of measuring the current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and an existing target area set according to the previously measured position (hereinafter, the existing position) and size (hereinafter, the existing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It may include a step (S32)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ryer (1) is driving the device toward.

한편, S10 단계 및 S31 단계는 상기한 감지기구(S)를 이용해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steps S10 and S31 may be performed using the above-described detector (S).

S30 단계는, S32 단계에서 드라이어(1)가 기 드라잉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피건조 대상의 기존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이하, 위치 차이)의 절대값이 제1 소정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3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2 that the dryer 1 is in the dry oper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and the current position (hereinafter, the position difference)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S33).

S30 단계는, S33 단계에서 상기 위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1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건조 대상의 기존 크기와 현재 크기의 차이(이하, 크기 차이)의 절대값이 제2 소정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3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3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on difference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and the current size (hereinafter, the size difference) is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less than (S34).

S30 단계는, S34 단계에서 상기 크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2 소정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목표영역을 상기 기존 목표영역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S35)와, 상기 목표영역에 대응해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S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Step S3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4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setting the target area to be the same as the existing target area (S35), and a system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ea The step (S39) of calculating the right and left rotation angle of (30) may be further included.

이로써, 드라잉 운전 중에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소정값 이내로 변경된 것이면, 상기 목표영역을 기존 목표영역으로 유지해 비효율적으로 또는 불필요하게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even if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are changed during the drying oper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ing air is discharged inefficiently or unnecessarily by maintaining the target area as the existing target area if it is changed within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values.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S30 단계는, S33 단계에서 상기 위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1 소정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목표영역을 상기 현재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설정하는 단계(S36)와, 상기 목표영역에 대응해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S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Step S3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3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on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setting the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and size (S36), and a system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ea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 of (30) (S39) may be further included.

S30 단계는, S34 단계에서 상기 크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2 소정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목표영역을 상기 현재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설정하는 단계(S36)와, 상기 목표영역에 대응해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S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Step S3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4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setting the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and size (S36), and a system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ea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 of (30) (S39) may be further included.

이로써, 드라잉 운전 중에 피건조 대상의 위치 또는 크기가 상기 제1 또는 제2 소정값 이상으로 변경되면, 기존 목표영역을 피건조 대상의 현재 위치 및 크기에 따라 갱신하여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피건조 대상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Thus, when the position or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is changed to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or second predetermined value during the drying operation, the existing target area is upd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to discharge the drying air. It can be directed to the object to be dried.

S30 단계는, S32 단계에서 드라이어(1)가 기 드라잉 운전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목표영역을 상기 현재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설정하는 단계(S37)와, 상기 목표영역에 대응해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S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3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2 that the dryer 1 is not in the drying operation, step S37 of setting the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and size, and the stem 30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ea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S39) of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

이로써, 기 드라잉 운전 중이 아니면, 상기 목표영역을 신규로 생성하여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피건조 대상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not in the drying operation, the target area can be newly generat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ing air is discharged is directed to the object to be dried.

S39 단계는 상기 목표영역에 대응해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Step S39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30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ea.

S39 단계는 상기 목표영역의 좌우 방향과 상기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즉, 드라이어(1)의 토출구(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이 되는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step S39,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m 30 at which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arget area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ing air is discharged (that is, th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3 of the dryer 1) is a right angle It may be a step of calculating the rotation angle.

즉, 스템(30)의 좌우 회전에 따라, 스템(30) 뿐만 아니라 스템(30)에 결합된 수납용기(20)도 좌우로 회전하고, 수납용기(20)에 탑재된 드라이어(1)도 스템(30) 및 수납용기(20)와 함께 좌우로 회전되므로, 드라이어(1)의 토출구(3)로부터의 상기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피건조 대상의 정면을 향할 수 있어 드라이어(1)를 이용한 건조를 보다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em 30, not only the stem 30, but also the storage container 20 coupled to the stem 30 rotates left and right, and the dryer 1 mounted in the storage container 20 is also a stem. Since it is rotated left and right together with the 30 and the storage container 20,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ing ai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 of the dryer 1 can face the front of the object to be dried, so that the dryer 1 is opened. The used drying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본 발명은 상기한 목표영역 및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해당 단계에 저장된 상기 목표영역 및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에 관한 정보는 상기한 기존 목표영역 확인 및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 산출에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tor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target area and the stem 30, and the information on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target area and the stem 30 stored in the corresponding step is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It can be used to check the target area and calculate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 of the stem 3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0 단계 이후에, S30 단계에서 산출된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가 스템(30)의 허용 회전 각도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가 실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after the step S30, a step S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30 calculated in the step S30 is within the allowabl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stem 30 may be executed.

S40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가 스템(30)의 허용 회전 각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스템(30)의 자세 변경이 불가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S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4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culated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30 are outside the allowable rotation angle of the stem 30, the step S41 of notifying the user that the posture change of the stem 30 is impossible is further provided. It can contain.

이로써, 사용자는 피건조 대상의 위치를 변경해 피건조 대상의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Thereby, 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to dry the object to be dried.

S40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가 스템(30)의 허용 회전 각도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스템 조절 단계(S50)가 실행될 수 있다.In step S4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culated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30 are within the allowabl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stem 30, the stem adjustment step S50 may be executed.

스템 조절 단계(S50)는 상기 산출된 스템(30)의 좌우 회전 각도로 스템(30)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건조용 공기의 토출 방향이 피건조 대상을 향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Stem adjustment step (S50) is a step of rotating the stem 3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t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 of the calculated stem 30. Thereby,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rying air can be adjusted to face the object to be dried.

S50 단계는 스템(30)에 연결된 스템회동모터(64)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해 스템(30)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Step S50 may be a step of rotating the stem 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djust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stem rotation motor 64 connected to the stem 30.

S50 단계에서 스템(30)의 좌우 회전이 조절되면, 드라잉 운전 수행 단계(S60)가 실행될 수 있다.I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em 30 is controlled in step S50, a drying operation step (S60) may be executed.

드라잉 운전 수행 단계(S60)는 드라이어(1)로부터 기 설정된 온도, 풍량으로 건조용 공기를 토출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피건조 대상에 대한 건조가 실시될 수 있다.The drying operation step (S60)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drying air from the dryer 1 at a preset temperature and air volume. Thereby, drying on the object to be dried can be performed.

상기한 S60 단계, S41 단계 또는 S15 단계 이후에는 드라잉 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가 실행될 수 있다.After the above steps S60, S41 or S15, a step S2 of receiving a drying end signal may be performed.

S2 단계는 드라이어(1)의 상기 드라잉 운전의 종료를 명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S2 단계에서 드라잉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드라잉 운전이 종료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S2 단계에서 드라잉 종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S1 단계로 리턴되어 드라잉 신호에 따라 상기한 단계들이 차례로 실행될 수 있다.Step S2 is a step of receiving a signal instructing the termination of the drying operation of the dryer 1. When the drying end signal is received in step S2, the drying operation may be terminated. Otherwise, if the drying end signal is not received in step S2,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 and the above steps may be sequentially executed according to the drying signal.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및 거치대의 제어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나 균등한 범위내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control method of the cradle and the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s implemented within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ranges predict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is possible.

1: 드라이어 10: 베이스
20: 수납용기 30: 스템
31: 하측 플레이트 311: 제1 플레이트
311h: 로드홀 312: 제2 플레이트
313: 제3 플레이트 313a: 스템회동기어
32: 수직 플레이트 39: 수직로드
40: 측면커버 50: 서포터
51: 서포터 본체 52: 가이드 서포터
61: 틸팅모터 62: 승강모터
63: 회동모터 64: 스템회동모터
641: 스템회동피니언 642: 고정로드
70: 조명장치 80: 공기정화장치
100: 배터리 110: 제어부
S1: 드라잉 신호 수신 단계 S10: 피건조 대상 유무 감지 단계
S30: 좌우 회전 각도 산출 단계 S50: 스템 조절 단계
S60: 드라잉 운전 수행 단계
1: Dryer 10: Base
20: storage container 30: stem
31: lower plate 311: first plate
311h: Road hole 312: Second plate
313: third plate 313a: stem rotation gear
32: vertical plate 39: vertical rod
40: side cover 50: supporter
51: supporter body 52: guide supporter
61: tilting motor 62: lifting motor
63: rotating motor 64: stem rotating motor
641: Stem rotation pinion 642: Fixed rod
70: lighting device 80: air purification device
100: battery 110: control unit
S1: Drying signal reception step S10: Presence or absence detection target
S30: Step of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 S50: Step of adjusting the stem
S60: Drying operation step

Claims (15)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드라잉 운전이 가능한 드라이어가 탑재되는 수납용기를 지지하며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이하, 좌우 회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스템을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드라잉 운전의 수행을 명령하는 신호(이하, 드라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드라이어 거치대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대상(이하, 피건조 대상)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면, 상기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산출된 좌우 회전 각도로 상기 스템을 조절하는 단계; 및
(e) 상기 드라잉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상기 피건조 대상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설정되는 피건조 대상이 차지하는 영역 중 일부(이하, 목표영역)를 향하도록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ryer holder including a stem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rotation (hereinafter, left and right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ile supporting a storage container equipped with a dryer capable of drying operation in which drying air is discharged,
(a) receiving a signal (hereinafter, a drying signal) instructing to perform the drying operation;
(b)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hereinafter, an object to be dried)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dryer holder;
(c) when the object to be dried is detected, calculating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d) adjusting the stem with the calculated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And
(e) performing the drying operation,
Step (c) is,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ing air is discharged faces a portion (hereinafter, a target area) of the area occupied by the object to be dried, which is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범위는,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상기 피건조 대상을 감지하는 감지기구의 소정 감지 범위이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피건조 대상의 전체가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redetermined range,
It is a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of the detector device that detects the object to be dried that is rotated together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em,
Step (b) is,
The method of controlling a dryer holder, which is a step of sensing whether the entire object to be dried is within the predetermined sensing ran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피건조 대상의 현재 위치 및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측정된 피건조 대상의 위치(이하, 기존 위치) 및 크기(이하, 기존 크기)에 따라 설정된 기존 목표영역을 향해 상기 드라이어가 기 드라잉 운전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드라이어가 기 드라잉 운전 중이면, 상기 피건조 대상의 기존 위치와 현재 위치의 차이(이하, 위치 차이)의 절대값이 제1 소정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1 소정값 미만이면, 상기 피건조 대상의 기존 크기와 현재 크기의 차이(이하, 크기 차이)의 절대값이 제2 소정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크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2 소정값 미만이면, 상기 목표영역을 상기 기존 목표영역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영역에 대응해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2,
Step (c) is,
Measuring the current position and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Determining whether the dryer is in a driving operation toward an existing target area set according to a previously measured position (hereinafter, an existing position) and a size (hereinafter, an existing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Determining whether an absolute value of a difference (hereinafter, a position difference) between an existing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and a current position (hereinafter, a position difference) is less than a first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dryer is in a drying operation;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on difference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determining whether an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and the current size (hereinafter, the siz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setting the target area equal to the existing target area; And
And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in response to the target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위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1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목표영역을 상기 현재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영역에 대응해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3,
Step (c) is,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position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setting the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and size; And
And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in response to the target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크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2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목표영역을 상기 현재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영역에 대응해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3,
Step (c) is,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predetermined value, setting the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and size; And
And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in response to the target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드라이어가 기 드라잉 운전 중이 아니면, 상기 목표영역을 상기 현재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영역에 대응해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3,
Step (c) is,
Setting the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and size, if the dryer is not in a drying operation; And
And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in response to the target area.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건조 대상이 차지하는 영역은,
상기 피건조 대상이 차지하는 위치에서 상기 피건조 대상의 크기에 따라 설정되되, 상기 스템의 회전 축과 평행하고, 상기 스템의 회전 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2차원 면들 중 어느 하나와 직교하는 가상의 2차원 영역이고,
상기 목표영역은,
상기 피건조 대상이 차지하는 영역 중 좌우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의 영역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The area occupied by the object to be dried is
It is se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at a position occupied by the object to be dried, is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tem, and a virtual two-dimensional orthogonal to any one of the virtual two-dimensional faces including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tem Area,
The target area,
A control method of a dryer holder, which is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a left-right direction among areas occupied by the object to be dri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영역에 대응해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영역의 좌우 방향과 상기 건조용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이 되는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Comput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 of the stem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ea,
A control method of a dryer holder, which is a step of calculating an angle of rota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m at which the angle betwee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arget area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ing air is discharged is a right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영역 및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 각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d storing the target region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of the 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피건조 대상의 일부만이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스템을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제1 탐색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object to be dried is not detected in step (b) or only a part of the object to be dried is sensed to be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a first search step of rotating the stem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스템의 좌우 회전과 별개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감지기구는,
상기 스템 및 수납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orage container,
Separately from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em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etector,
Control method of a dryer holder that is rotated together according to rot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tem and the storage contain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탐색 단계 이후에,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피건조 대상의 일부만이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수납용기를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제2 탐색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the first search step, if the object to be dried is not detected or only a part of the object to be dried is detected to be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a second search step of rotating the storage container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Control method of the dryer holder further compris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탐색 단계 이후에, 상기 피건조 대상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피건조 대상의 일부만이 상기 소정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드라잉 운전이 가능한 범위를 이탈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fter the second search step, when the object to be dried is not detected or when only a part of the object to be dried is detected to be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a step of notifying the user that the drying operation is out of a possible range is provided. Control method of the dryer holder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좌우 회전 각도가, 상기 스템의 허용 회전 각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템의 자세 변경이 불가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the calculated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are determined to be outside the allowable rotational angles of the stem, further informing the user that the posture of the stem is impossible to ch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스템에 연결된 스템회동모터의 회전을 이용해 상기 산출된 좌우 회전 각도로 상기 스템을 조절하는 단계인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Step (d) is,
The method of controlling a station, which is a step of adjusting the stem to the calculated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using the rotation of a stem rotation motor connected to the stem.
KR1020190023600A 2018-09-19 2019-02-28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2020003312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3478P 2018-09-19 2018-09-19
US62/733,478 2018-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123A true KR20200033123A (en) 2020-03-27

Family

ID=69959065

Family Applications (4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777A KR102584429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58778A KR102532472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58776A KR102584430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62189A KR102548935B1 (en) 2018-09-19 2018-12-14 Dryer
KR1020190006768A KR20200033093A (en) 2018-09-19 2019-01-18 Dryer
KR1020190017596A KR20200033097A (en) 2018-09-19 2019-02-15 Dry apparatus
KR1020190019326A KR20200033101A (en) 2018-09-19 2019-02-19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19325A KR20200033100A (en) 2018-09-19 2019-02-19 Dryer
KR1020190019324A KR20200033099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3A KR20200033098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8A KR20200033103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7A KR20200033102A (en) 2018-09-19 2019-02-19 Dry apparatus
KR1020190019671A KR20200033104A (en) 2018-09-19 2019-02-20 Dryer Stand
KR1020190020471A KR20200033106A (en) 2018-09-19 2019-02-21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1020190020470A KR20200033105A (en) 2018-09-19 2019-02-21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1020190021178A KR20200033107A (en) 2018-09-19 2019-02-22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21180A KR20200033109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90021184A KR20200033113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81A KR20200033110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83A KR20200033112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82A KR20200033111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79A KR20200033108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2023A KR20200033116A (en) 2018-09-19 2019-02-25 Dryer machine
KR1020190021879A KR20200033115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7A KR20200033120A (en) 2018-09-19 2019-02-25 Dryer and Holder
KR1020190021878A KR20200033114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6A KR20200033119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5A KR20200033118A (en) 2018-09-19 2019-02-25 Dryer machine
KR1020190022024A KR20200033117A (en) 2018-09-19 2019-02-25 Dryer holder
KR1020190024050A KR20200033127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90024047A KR102657350B1 (en) 2018-09-19 2019-02-28 Dryer
KR1020190024052A KR20200033129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4049A KR20200033126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4051A KR20200033128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3598A KR20200033121A (en) 2018-09-19 2019-02-28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23599A KR20200033122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3600A KR20200033123A (en) 2018-09-19 2019-02-28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1020190024048A KR20200033125A (en) 2018-09-19 2019-02-28 Dryer
KR1020190065850A KR20200033141A (en) 2018-09-19 2019-06-04 Dryer stand
KR1020190065851A KR20200033142A (en) 2018-09-19 2019-06-04 Dryer stand
KR1020190070283A KR20200033150A (en) 2018-09-19 2019-06-13 Dryer stand
KR1020190070279A KR20200033146A (en) 2018-09-19 2019-06-13 Dryer stand
KR1020190070280A KR20200033147A (en) 2018-09-19 2019-06-13 Control method of dryer and dryer stand
KR1020190073976A KR20200033153A (en) 2018-09-19 2019-06-21 Dryer stand
KR1020190073975A KR20200033152A (en) 2018-09-19 2019-06-21 Dryer stand

Family Applications Before (3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777A KR102584429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58778A KR102532472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58776A KR102584430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62189A KR102548935B1 (en) 2018-09-19 2018-12-14 Dryer
KR1020190006768A KR20200033093A (en) 2018-09-19 2019-01-18 Dryer
KR1020190017596A KR20200033097A (en) 2018-09-19 2019-02-15 Dry apparatus
KR1020190019326A KR20200033101A (en) 2018-09-19 2019-02-19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19325A KR20200033100A (en) 2018-09-19 2019-02-19 Dryer
KR1020190019324A KR20200033099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3A KR20200033098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8A KR20200033103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7A KR20200033102A (en) 2018-09-19 2019-02-19 Dry apparatus
KR1020190019671A KR20200033104A (en) 2018-09-19 2019-02-20 Dryer Stand
KR1020190020471A KR20200033106A (en) 2018-09-19 2019-02-21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1020190020470A KR20200033105A (en) 2018-09-19 2019-02-21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1020190021178A KR20200033107A (en) 2018-09-19 2019-02-22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21180A KR20200033109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90021184A KR20200033113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81A KR20200033110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83A KR20200033112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82A KR20200033111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79A KR20200033108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2023A KR20200033116A (en) 2018-09-19 2019-02-25 Dryer machine
KR1020190021879A KR20200033115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7A KR20200033120A (en) 2018-09-19 2019-02-25 Dryer and Holder
KR1020190021878A KR20200033114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6A KR20200033119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5A KR20200033118A (en) 2018-09-19 2019-02-25 Dryer machine
KR1020190022024A KR20200033117A (en) 2018-09-19 2019-02-25 Dryer holder
KR1020190024050A KR20200033127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90024047A KR102657350B1 (en) 2018-09-19 2019-02-28 Dryer
KR1020190024052A KR20200033129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4049A KR20200033126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4051A KR20200033128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3598A KR20200033121A (en) 2018-09-19 2019-02-28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23599A KR20200033122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Family Applications After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048A KR20200033125A (en) 2018-09-19 2019-02-28 Dryer
KR1020190065850A KR20200033141A (en) 2018-09-19 2019-06-04 Dryer stand
KR1020190065851A KR20200033142A (en) 2018-09-19 2019-06-04 Dryer stand
KR1020190070283A KR20200033150A (en) 2018-09-19 2019-06-13 Dryer stand
KR1020190070279A KR20200033146A (en) 2018-09-19 2019-06-13 Dryer stand
KR1020190070280A KR20200033147A (en) 2018-09-19 2019-06-13 Control method of dryer and dryer stand
KR1020190073976A KR20200033153A (en) 2018-09-19 2019-06-21 Dryer stand
KR1020190073975A KR20200033152A (en) 2018-09-19 2019-06-21 Dryer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5) KR1025844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691B1 (en)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102366462B1 (en) * 2020-04-10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102364690B1 (en) *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Hair dryer
KR102364689B1 (en) *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102366461B1 (en) * 2020-04-10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102364681B1 (en) *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102364692B1 (en)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Hair dryer
KR102364682B1 (en)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20220023943A (en) 2020-08-23 2022-03-03 정준효 neckpillow dryer
CN112113103A (en) * 2020-09-14 2020-12-22 浙江炜宇通风机电有限公司 Self-locking angle post type fan
GB2600913B8 (en) * 2020-09-30 2024-02-21 Dyson Technology Ltd A docking station for decontaminating a domestic appliance
WO2022100037A1 (en) * 2020-11-10 2022-05-19 深圳市华思旭科技有限公司 Cordless blow dryer
WO2022100036A1 (en) 2020-11-10 2022-05-19 深圳市华思旭科技有限公司 Wireless hair dryer system and wireless electric hair dryer
CN213936623U (en) * 2020-11-10 2021-08-10 深圳市华思旭科技有限公司 Wireless hair drier and charging socket thereof
KR102477154B1 (en) * 2020-12-08 2022-12-1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Bidirectional hair dryer
JP2023059332A (en) * 2021-10-15 2023-04-27 株式会社ニコリオ light emitting unit
KR20230085734A (en) * 2021-12-07 202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Hair dryer
KR102585497B1 (en) * 2021-12-10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Hair dryer
KR102585496B1 (en) * 2021-12-10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Hair dryer
WO2023136381A1 (en) * 2022-01-17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dryer comprising same
GB2622023A (en) * 2022-08-31 2024-03-06 Dyson Technology Ltd An air treatment apparatus
KR20240047054A (en) * 2022-10-04 2024-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Hair dryer
WO2024076018A1 (en) * 2022-10-06 2024-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module and air cleaning device
GB2623115A (en) * 2022-10-07 2024-04-10 Dyson Technology Ltd Haircare appliance with a visual indicator device
WO2024106729A1 (en) * 2022-11-14 2024-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nd-type drying device
KR102626330B1 (en) * 2023-02-15 2024-01-17 곽송희 All-in-one laser processing device having coaxial nozzle and off-axis nozzle integral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828A (en) * 1983-08-11 1985-02-28 Nec Corp Digital and analog-contained integrated circuit device
JP3106986B2 (en) * 1996-05-02 2000-11-06 株式会社パトライト LED illuminator
JP3402323B2 (en) * 2000-12-25 2003-05-06 松下電工株式会社 Hair dryer
KR200277189Y1 (en) * 2001-12-11 2002-06-03 (주)메디온테크 Hair dryer having anion apparatus
EP1707070A3 (en) * 2002-12-27 2006-10-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air dryer with minus ion generator
KR200369612Y1 (en) 2004-08-06 2004-12-09 김영선 Hairdrier with photocatalyst
KR200369961Y1 (en) * 2004-09-09 2004-12-13 김유수 Hair dryer having a laser emission function
KR200462505Y1 (en) * 2010-07-09 2012-09-14 (주)아모레퍼시픽 Vibration type cosmetic brush
JP2012239535A (en) * 2011-05-17 2012-12-10 Sharp Corp Hair dryer
KR101511627B1 (en) 2013-09-16 2015-04-16 노태완 Stand type hair dryer
KR20160067006A (en) * 2014-12-03 2016-06-13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Hair dryer
CN105639981B (en) * 2016-03-25 2019-01-01 中国地质大学(武汉) A kind of intelligent frequency-conversion hair drier and its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17196395A (en) * 2016-04-26 2017-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Hair Dryer
TWM532205U (en) * 2016-05-13 2016-11-21 Univ Far East Hair dryer capable of sensing hair humidity and spraying
US10405630B2 (en) * 2016-07-29 2019-09-10 Spur Concep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heat in a battery powered blow dryer
GB2553516B (en) * 2016-09-01 2020-01-08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CN108433318B (en) * 2018-03-27 2021-07-30 南京地平线机器人技术有限公司 Electric hair dr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hair d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106A (en) 2020-03-27
KR20200033100A (en) 2020-03-27
KR20200033103A (en) 2020-03-27
KR20200033128A (en) 2020-03-27
KR20200033098A (en) 2020-03-27
KR102584429B1 (en) 2023-09-27
KR20200033124A (en) 2020-03-27
KR20200033085A (en) 2020-03-27
KR20200033105A (en) 2020-03-27
KR20200033093A (en) 2020-03-27
KR20200033152A (en) 2020-03-27
KR20200033129A (en) 2020-03-27
KR20200033086A (en) 2020-03-27
KR20200033127A (en) 2020-03-27
KR20200033126A (en) 2020-03-27
KR20200033101A (en) 2020-03-27
KR20200033097A (en) 2020-03-27
KR20200033153A (en) 2020-03-27
KR20200033120A (en) 2020-03-27
KR20200033087A (en) 2020-03-27
KR20200033116A (en) 2020-03-27
KR20200033121A (en) 2020-03-27
KR20200033107A (en) 2020-03-27
KR20200033118A (en) 2020-03-27
KR102657350B1 (en) 2024-04-12
KR20200033125A (en) 2020-03-27
KR20200033122A (en) 2020-03-27
KR102548935B1 (en) 2023-06-27
KR20200033115A (en) 2020-03-27
KR20200033113A (en) 2020-03-27
KR20200033110A (en) 2020-03-27
KR20200033117A (en) 2020-03-27
KR20200033102A (en) 2020-03-27
KR20200033142A (en) 2020-03-27
KR20200033112A (en) 2020-03-27
KR102532472B1 (en) 2023-05-12
KR20200033111A (en) 2020-03-27
KR20200033109A (en) 2020-03-27
KR20200033099A (en) 2020-03-27
KR20200033141A (en) 2020-03-27
KR20200033119A (en) 2020-03-27
KR20200033146A (en) 2020-03-27
KR20200033150A (en) 2020-03-27
KR20200033104A (en) 2020-03-27
KR20200033147A (en) 2020-03-27
KR20200033114A (en) 2020-03-27
KR20200033108A (en) 2020-03-27
KR102584430B1 (en) 2023-09-27
KR20200033088A (en)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3123A (en)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EP3626117B1 (en) Dryer stand
US11559177B2 (en) Dryer stand
US20150261068A1 (en) Strobe device and imaging device provided with strobe device
EP3626116B1 (en) Dryer stand
US11666188B2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ryer
FI126595B (en) Operating room lighting arrangement
US9228730B1 (en) Variable radius multi-lamp illumination system
US11154167B2 (en) Dryer stand
JP2017085231A (en) Imaging device
KR20180121233A (en) Smart lighting device
EP4014785A1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ryer
US5713798A (en) Bowler's training device
JP2015092086A (en) Electric fan
JP2019170946A (en) Cosmetic mirror unit
JP6388204B2 (en) Medical lighting device with imaging device
JP2003197006A (en) Projector
KR101450729B1 (en) Multi-joint type double side mirror having led lamps
CN113197772A (en) Automatic moxibustion device
KR20200033155A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