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111A - Dryer stand - Google Patents

Dryer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111A
KR20200033111A KR1020190021182A KR20190021182A KR20200033111A KR 20200033111 A KR20200033111 A KR 20200033111A KR 1020190021182 A KR1020190021182 A KR 1020190021182A KR 20190021182 A KR20190021182 A KR 20190021182A KR 20200033111 A KR20200033111 A KR 20200033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light emitting
disposed
lighting device
dry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현선
김성경
김주겸
전재흥
김명선
은유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9197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26116B1/en
Priority to EP22163732.5A priority patent/EP4039127A1/en
Priority to US16/576,359 priority patent/US11559176B2/en
Priority to CN201910886354.3A priority patent/CN110926194B/en
Publication of KR2020003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1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05D3/12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 G05D3/125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using discrete position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20/126Stan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oxic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ir dryer stand, comprising: a base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to perform a supporter function; a seating portion on which a hair dryer is mounted; a side cover forming a side appearance; and a lighting device disposed in an interior spac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light therap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air dryer or separately from the operation of the hair dryer, and can alleviate seasonal depression due to lack of going out.

Description

드라이어 거치대 {Dryer stand}Dryer stand {Dryer stand}

본 발명은 드라이어를 탑재하여 소정의 대상물을 건조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드라이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holder mounted with a dryer to dry a predetermined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er holder provided with a lighting device.

인체를 건조하기 위하여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드라이어를 파지하고 드라이어의 공기 토출구가 건조하고자 하는 부위를 향하도록 드라이어를 이동시키면서 건조를 실시한다.In the case of using a dryer to dry the human body, the user usually holds the dryer and performs drying while moving the dryer so that the air outlet of the dryer faces the part to be dried.

특히, 건조를 실시하고자 하는 대상이 유아 또는 반려동물인 경우, 고온에 약한 유아 또는 반려동물의 피부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가열공기로 건조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신체전체를 건조시킬 필요가 있어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사용자가 드라이어를 파지하여 건조를 실시할 경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object to be dried is an infant or a companion animal, in addition to drying with heated air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skin of an infant or companion animal that is weak to high temperature, it is necessary to dry the entire body. Since it takes a long time to dry,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when a user grips the dryer and performs drying.

이에 따라, 애완견 드라이용 거치장치(공개특허공보 10-2103-0039983)등 드라이어를 거치할 수 있는 스탠드가 출시되고 있으나, 상기 애완견 드라이어용 거치장치뿐만 아니라, 드라이어를 거치할 수 있는 장치들은 드라이어를 거치하는 스탠드 이외의 기능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Accordingly, a stand for mounting a dryer, such as a mounting device for dry dogs (Patent Publication No. 10-2103-0039983) has been released. No function other than the mounting stand is disclosed.

한편, 장마철, 여름 및 겨울에는 날씨의 영향으로 반려동물의 외출이 부족한 경우가 많고, 사람 또는 반려동물은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적을 때에는 계절적 우울증을 겪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known that in the rainy season, summer and winter, companion animals often go ou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eather, and humans or companion animals may experience seasonal depression when there is little exposure to sunlight.

또한, 건조를 실시하고자 하는 대상이 유아 또는 반려동물인 경우, 드라이어의 작동시 유발되는 소음에 의하여, 두려움을 느껴 드라이어를 이용한 건조를 기피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object to be dried is an infant or a companion anim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dryer is operated may be feared and avoid drying using the dry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드라이어를 파지하여 이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피건조 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드라이어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er holder capable of drying an object to be dried without gripping and manipulating the dry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외출부족으로 인한 계절적 우울증을 완화할 수 이있는 드라이어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er cradle capable of alleviating seasonal depression due to lack of going out.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유아 또는 반려동물이 호기심을 가지고 드라이어 거치대로 접근하여, 드라이어를 이용한 건조를 기피하는 것을 방지하는 드라이어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er holder that prevents an infant or a companion animal from approaching the dryer holder with curiosity and avoiding drying using the dry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드라이어 거치대 내부에 구비된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된 빛이 넓은 영역으로 방사되어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드라이어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er holder capable of preventing glare from being irradiated from a light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dryer holder to a wide area.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는, 상기 드라이어 거치대의 하측부에 배치되어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드라이어가 탑재되는 안착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커버와, 상기 측면 커버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발광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dryer holder and a base for performing a pedestal func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in the upward direction, the dryer is mounted It includes a seating portion, a side cover forming a side appearance between the base and the seating portion, and an illumination device disposed in an interior space defined by the side cover and having a light emitting body.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드라이어가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측인 전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cover may include a front cover forming a front appearance that is a direction side in which the dryer discharges air.

상기 전방커버는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된 빛을 외부로 방사시키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cove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o e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device to the outside.

상기 전방커버는 단면이 호(ar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cover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드라이어 거치대는 상기 안착부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템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하측 플레이트와, 상기 하측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er holder may include a stem that supports the seating portion spaced upwardly from the base, and the stem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base, and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base and an upper side from the lower plate. It may include a vertical plate extending.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방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전방면으로부터 상기 조명장치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오목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plate may be formed with a recess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ighting device from the front surface, and the lighting device may be installed in the recess.

상기 드라이어 거치대는,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체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향하여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ryer holder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include a reflector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and the reflector may be convex up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상기 발광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er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드라이어가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측인 전방의 외관을 형성하고, 단면이 호(arc)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단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커버의 내측면과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ide cover may form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front side, which is a direction in which the dryer discharges air, and may include a front cover formed in an arc shape, and the front cove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has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상기 조명장치는 발광 패널과 상기 발광 패널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조명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anel and an lighting frame disposed on an edge of the light emitting panel.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드라이어 거치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dryer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드라이어가 거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드라이어를 파지하여 조작하지 않고도 피건조 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고,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including the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dryer is mounted, the object to be dried can be dried without gripping and manipulating the dryer,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reducing fatigue of the user even when the drying time is long.

둘째, 드라이어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드라이어의 작동 중 또는 드라이어의 작동과 별도로 라이트 테라피를 수행할 수 있고, 외출부족으로 인한 계절적 우울증을 완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Second,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nd a lighting device that the dryer is seated, it is possible to perform light therap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ryer or separately from the operation of the dryer,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alleviating seasonal depression due to lack of going out.

셋째, 드라이어의 공기 토출방향 측에 조명장치를 배치하여, 유아 또는 반려동물이 호기심을 가지고 드라이어 거치대로 접근하도록 유도하고, 조명장치로 관심을 돌려 드라이어를 이용한 건조를 기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by placing a lighting device o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side of the dryer, induces infants or pets to approach the dryer stand with curiosity, and turn the attention to the lighting device to avoid avoiding drying using the dryer. There is also.

넷째,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측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커버를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전방커버는 단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면광원을 형성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포함하여,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된 빛이 넓은 영역으로 방사되어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Fourth, the front cover forming the exterior of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the front cover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forming a surface light source. Therefor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ing device is radiated to a wide area, thereby preventing glar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에 드라이어가 탑재된 상태가 표현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와 도킹 스테이션이 결합된 상태가 표현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상측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상측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에 드라이어가 탑재된 상태가 표현된 상측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하측부와 도킹 스테이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킹 스테이션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dryer is mounted on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yer holder and a docking station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ryer cra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portion of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portion of a state in which a dryer is mounted on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wer portion of a dryer holder and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cking station shown in FIG. 9.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드라이어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a dryer hold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하측부에 배치되어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드라이어가 거치되는 안착부(20, 50)와,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안착부(20, 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드라이어 거치대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커버(40)와, 상기 드라이어 거치대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조명장치(70)를 포함한다.1 and 2,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yer holder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base 10 and the base 10 to perform a pedestal function. And, the seating portion (20, 50) on which the dryer is mounted, and the side cover (40) disposed between the base (10) and the seating portion (20, 50) to form a side appearance of the dryer holder, And a lighting device 70 disposed in the space inside the dryer holder.

베이스(10)는 측면커버(40)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고, 측면커버(40)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측면커버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대략 중앙부 아래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10)는 측면커버(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10 may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side cover 4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cover 40 may gradually have a larger width toward the lower side. The side cov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base 10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ide cover 40 It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이와 같은 형상으로, 드라이어 거치대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드라이어(1)가 탑재되는 안착부(20, 50)를 일정정도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긴 형상으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With such a shape, the dryer holder is stably supported, although it is formed in a vertically long shape so that the seating portions 20 and 50 on which the dryer 1 is mounted ar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or user convenience. You can.

측면커버(40)는, 스템(3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측면 외곽을 형성하여 드라이어 거치대의 외부(드라이어 거치대가 배치되는 실내 공간 등)와 구별되는 내부 공간을 규정한다. The side cover 4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stem 30, and forms an outer side to define an inner space distinct from the outside of the dryer holder (such as an indoor space where the dryer holder is disposed).

안착부(20, 50)는, 드라이어(1)가 착탈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수납용기(receptacle, 20)와, 수납용기(20)를 이동가능하도록(movably) 지지하는 서포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50)는 수납용기(20)와 후술하는 스템(30) 사이에 수납용기(20)를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s 20 and 50 may include a receptacle 20 in which the dryer 1 is detachably mounted, and a supporter 50 that movably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 20. have. The supporter 50 may support the storage container 20 to be movable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20 and the stem 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에서 '이동'은 전, 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틸팅 회전, 좌, 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좌, 우 회전, 또는 상, 하 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직진 이동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이하 같다.In the above, 'move' is used in a comprehensive sense including a tilting rotation rotat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left and right rotation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a straight movement moving in the up, down or vertical direction. , Is as follows.

조명장치(70)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체를 구비한다.The lighting device 70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er for irradiating ligh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10)와 안착부(20, 50) 사이에 상, 하 방향으로 입설되어 수납용기(20)를 베이스(1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스템(30)을 포함할 수 있다.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10 and the seating portion (20, 50) is plac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the storage container 20 from the base 10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It may include a stem 30 to support the position.

또한, 상기 드라이어 거치대는 상기 드라이어 거치대 내부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er holder may include an air purifying device 80 for purifying air in the space inside the dryer holder.

또한, 상기 드라이어 거치대는 상기 안착부(20, 50)를 이동시키는 모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yer holder may include a motor 60 for moving the seating portion (20, 5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는 피건조 대상물의 크기 또는 위치 등을 감지하는 피건조 대상물 감지 기구(S)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지 기구에 의하여 감지된 피건조 대상물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모터(60)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안착부(20, 50)를 이동시키는 모터(60) 뿐만 아니라, 조명장치(70)를 포함하여 드라이어 거치대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bject to be dried sensing device (S) for sensing the size or loca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dried detected by the sensing mechanism, o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60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ryer holder, including the lighting device 70 as well as the motor 60 for moving the seating portions 20 and 5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는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도킹 스테이션(90)에 올려지는 경우 외부전원을 상기 거치대 내부로 인가하는 전력 공급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device that applies external power to the interior of the cradle when placed on the docking station 90 that supplies external power.

이하, 상기한 드라이어 거치대의 구성요소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dryer hold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템(30)은 안착부(20, 50)를 지지할 수 있고, 조명장치(70) 및 공기정화장치(8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템(30)은 측면커버의 하단부(401)와 맞물리는 하측 플레이트(31)와, 하측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플레이트(32)와, 수직 플레이트의 상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33)를 포함할 수 있다.2, 3 and 5, the stem 30 may support the seating portions 20 and 50, and the lighting device 70 and the air purifying device 80 may be installed. The stem 30 includes a lower plate 31 engaged with a lower end 401 of the side cover, a vertical plate 32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plate, and a rear extens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 33).

하측 플레이트(31)는, 베이스(10)의 상측에 위치되어 베이스(10)와 셋트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저면은 중앙에 중공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저면은 링 형으로 형성되어, 드라이어 거치대를 아래에서 볼 때, 하측 플레이트(31)의 저면이 노출될 수 있다. The lower plate 3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and may be combined wit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ase 10 and set screw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may be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12 in the center. Therefor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when viewed from below the dryer holder,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 may be exposed.

드라이어 거치대가 도킹 스테이션(90)상에 탑재되면, 도킹 스테이션(90)의 상측면이 베이스(10)의 중공부(12)를 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측 플레이트(31)의 저면에 접촉될 수 있다. 하측 플레이트(31)의 저면, 도킹 스테이션(90)의 상측면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dryer holder is mounted on the docking station 90, the upper surface of the docking station 90 protrudes upward through the hollow portion 12 of the base 10 and can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 .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ocking station 90.

하측 플레이트(31)의 전방 상측면에는 후술하는 반사판(38)이 설치될 수 있고, 후방 상측면에는 후술하는 흡입팬(83)이 설치될 수 있다. 하측 플레이트(31)의 외측 둘레면은 측면커버(40)의 하단부의 내측 둘레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측 플레이트(31)는 측면커버의 하단부(401)와 맞물릴 수 있다.A reflective plate 38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31, and a suction fan 8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upper 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ide cover 40, and the lower plate 31 may engage the lower end 401 of the side cover.

수직 플레이트(32)는 하측 플레이트(3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드라이어 거치대의 내부 공간을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획할 수 있다. 전방은 안착부(20, 50)에 거치되는 드라이어(1)가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공기토출구(3)가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상기 전방과 반대방향을 의미한다.The vertical plate 32 extends from the lower plate 32 to the upper side, and can divide the interior space of the dryer holder into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The front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er 1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s 20 and 50 discharges air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discharge port 3 is disposed), and the rear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ront.

수직 플레이트(32)의 하측에 후방으로 돌출된 구획벽(34)이 형성될 수 있다. 구획벽(34)은 내부 공간의 후방부를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과 공기가 정화되고 토출되는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구획벽(34)에는 홀이 형성되어 흡입팬(83)을 감쌀 수 있다. 즉, 구획벽(34)은 흡입팬(83)의 하우징으로 기능할 수 있다. A partition wall 34 protruding rearward may be formed under the vertical plate 32. The partition wall 34 may divide a rear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into a space in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space in which air is purified and discharged. A hole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34 to surround the suction fan 83. That is, the partition wall 34 may function as a housing of the suction fan 83.

구획벽(34)의 외측 둘레면은, 후술하는 후방커버(42)의 내측면 중 구획벽(34)의 외측 둘레면과 대향하는 부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측 플레이트(31)의 외측 둘레면은 후방커버(4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방커버(42)는 하측 플레이트(31) 및 구획벽(34)의 외측 둘레면과 맞닿게 배치됨으로써 흡입팬(83)의 작동시 외부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 및 상측으로 송출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3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34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rear cover 42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cover 42, and the rear cover 42 fi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 and the partition wall 34. Arranged to be in contact, the external air can be efficiently sucked and sent upward when the suction fan 83 is operated.

수직 플레이트(32)의 전방면에는 조명장치(70)가 설치될 수 있다. 수직 플레이트(32)의 후방면에는 토출팬(84)과 필터(81)와 발광모듈(8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 플레이트(32)의 중앙 하측부에 중공부(35)가 형성되어 중공부(35)에 배터리(1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상측에 전선 통과용 홀(36)이 형성될 수 있고, 배터리(100)의 후방에 제어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7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2. A discharge fan 84, a filter 81, and a light emitting module 82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2. In addition, the hollow portion 35 is formed in the central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late 32 may be installed in the battery portion 100 in the hollow portion 35, a hole 36 for passing the wire on the upper side may be formed The control unit 11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attery 100.

또한, 수직 플레이트(32)의 상측, 후방에 상, 하 방향으로 기다란 홈(37)이 형성되어 상기 홈(37)에 후술하는 수직로드(39)가 상, 하 이동가능하도록 수직로드(39)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vertical grooves 39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rear side of the vertical plate 32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so that the vertical rods 39 to be described later are movable up and down in the grooves 37. At least a portion of the can be inserted.

수직 플레이트(32)의 좌, 우 양측단은 전방커버(41) 및 후방커버(42)의 좌, 우 양측단과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플레이트(32)의 좌, 우 양측단과 측면커버(40)는 서로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vertical plate 32 are formed in shapes corresponding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front cover 41 and the rear cover 42,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and the side covers of the vertical plate 32 are formed. The 40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후방 연장부(33)는 수직 플레이트(32)의 상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다음 하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후방 연장부(33)의 상측면은 서포터 본체(51)의 하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부(20, 50)의 하측 후방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extension portion 33 may extend back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32 and then bend downward. The upper side of the rear extension portion 33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er body 51 and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rear side of the seating portions 20 and 50.

도 2를 참조하면, 드라이어 거치대는 안착부(20, 50)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직로드(39)를 포함한다. 수직로드(39)는 수직 플레이트(32)에 결합되어 안착부(20, 50)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ryer holder includes a vertical rod 39 disposed under the seating portions 20 and 50. The vertical rod 39 is coupled to the vertical plate 32 to support the seating portions 20 and 50 to be movable up and down.

수직로드(39)의 후측면에 랙기어(391)가 형성되고, 랙기어(391)는 승강모터(62)의 회전축에 고정된 피니언기어(621)와 기어결합되어, 승강모터(62)가 정, 역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직로드(39)가 승강된다.The rack gear 391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rod 39, and the rack gear 391 is geared with the pinion gear 621 fix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lifting motor 62, so that the lifting motor 62 is The vertical rod 39 is lifted as it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수직로드(39) 상측에 서포터(50)가 배치될 수 있고, 서포터(50)에 드라이어(1)가 탑재되는 수납용기(20)가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The supporter 5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rod 39, and the storage container 20 in which the dryer 1 is mounted on the supporter 50 may be accommodated to be movable.

도 2, 도 6, 도 7 및 도8을 참조하면, 안착부(20, 50)는, 드라이어(1)가 착탈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수납용기(20)와, 수납용기(20)를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터(50)를 포함할 수 있다.2, 6, 7 and 8, the seating portions 20 and 50 are configured to move the storage container 20 and the storage container 20 in which the dryer 1 is mounted to be detachable. It may include a supporter 50 to support.

상기 서포터(50)는, 수직로드(39)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서포터 본체(51)와, 서포터 본체(51)의 상측면에 셋트나사(514)로서 고정되고 서포터 본체(51) 내에 수용되는 가이드 서포터(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er 50, the supporter body 5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rod 39 and the supporter body 51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body 51 as a set screw 514 It may include a guide supporter 52 accommodated therein.

상기 서포터 본체(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부가 대략적으로 반구형의 터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돌기(511)가 형성되어, 돌기(511)가 수직로드(39)의 상측면에 형성된 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The supporter body 51 has an upper side open as illustrated in FIG. 7, a lower por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tub shape, and a protrusion 5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protrusion 511 is a vertical rod ( 39) can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ide.

서포터 본체(51)의 하측부 외주면을 따라 측면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된 기어치(512)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치(512)는 회전모터(63)의 회전축에 고정된 피니언(631)과 기어결합되어, 회전모터(63)가 정, 역 회전되면 서포터 본체(51) 및 이에 고정된 가이드 서포터(52)는 수직축(AX)을 중심으로 좌, 우로 회전된다.A gear tooth 512 extending in an arc shape in a lateral direction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er main body 51, and the gear tooth 512 is a pinion 631 fix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rotary motor 63 When geared, the rotation motor 63 is rotated forward or backward, the supporter main body 51 and the guide supporter 52 fixed thereto are rotated left and right around the vertical axis AX.

따라서, 서포터(51, 52)는 승강모터(62)가 가동되면 상, 하로 승강되고 회전모터(63)가 가동되면 좌, 우로 회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pporters 51 and 52 may be moved up and down when the elevating motor 62 is operated, and may be rotated left and right when the rotating motor 63 is operated.

상기 가이드 서포터(52)는 하측 중앙부(522)가 개방되고 내측면이 상, 하 방향으로 호형상을 이루는 나팔형상의 가이드 본체(521)와, 상기 가이드 본체(521)의 양측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전, 후 방향으로 호형상의 가이드 홈(524)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52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523)에는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마찰력을 저감시길 수 있는 완충레일(525)이 삽입될 수 있다.The guide supporter 52, the lower central portion 522 is opened and the inner surface is a trumpet-shaped guide body 521 having an arc shape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protrudes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521. Being able to include a pair of guide rails 523 with an arc-shaped guide groove 524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guide rail 523 can perform a cushioning function and reduce the frictional force. The rail 525 can be inserted.

드라이어(1)가 탑재되는 수납용기(20)는, 드라이어의 그립(2)이 삽입되는 그루브(20a)를 형성하는 터브(21, 2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브는 상측 터브(21)와 하측 터브(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측 터브(21)의 외각에 씌워지는 터브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20 in which the dryer 1 is mounted may include tubs 21 and 22 forming grooves 20a into which the grips 2 of the dryer are inserted, and the tub is provided with the upper tub 21. The lower tub 22 may be included, and the tub cover 23 may be covered with the outer shell of the upper tub 21.

상측 터브(21)는 상광하협의 대략적으로 반구형 형상을 갖는 터브본체(211)와 상기 터브본체(2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하측 돌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고, 터브본체(211)의 적어도 일측면에 내측으로 들어간 오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tub 21 may include a tub body 211 having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canals, and a lower protrusion 2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ub body 211, at least of the tub body 211 A concave portion 213 that is inwardly formed on one side surface may be formed.

상기 오목부(213)로 인하여, 오목부(213)와 그루브(20a) 사이에 위치한 부위(214)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되므로, 드라이어(1) 가동중에 그루브(20a)에 삽입된 드라이어의 그립(2)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오목부(213)를 통하여 방열될 수 있다. Due to the concave portion 213, the portion 214 located between the concave portion 213 and the groove 20a is thinner than other portions, so that the dryer 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0a during operation. Heat generated inside the grip 2 of the heat may be radiated through the concave portion 213.

하측 터브(22)는 상측면에 홈(225)이 형성되어 상기 홈(225)에 상측 터브(21)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215)가 삽입되어, 상측 터브(21)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하측 터브(22)의 양측면에 돌출편(224)이 셋트나사(227)로서 체결되고, 상기 돌출편(224)은 전술한 가이드 서포터(52)의 가이드 레일(523)에 형성된 가이드 홈(524)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The lower tub 22 is formed with a groove 225 on the upper side, the protrusion 21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tub 2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25, and can be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upper tub 21. There is, the protruding piece 224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tub 22 as a set screw 227, the protruding piece 224 is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rail 523 of the guide supporter 52 described above ( 524).

한편, 터브커버(23)는 대략적으로 상광하협의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 터브의 터브본체(211)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측 터브(21)와 일체가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ub cover 2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canals, and i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b body 211 of the upper tub, and may be combined to be integral with the upper tub 21.

터브커버(23)의 외측면에 상, 하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된 기어치(231)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치(231)에 틸팅모터(61)의 회전축에 고정된 피니언(611)이 기어결합되어, 틸팅모터(61)가 정, 역 회전하면, 수납용기(21, 22, 23)는 돌출편(224)이 가이드 서포터의 가이드 홈(524)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하면서 전, 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A gear tooth 231 extending in an arc shap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 cover 23, and a pinion 611 fix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tilting motor 61 is formed on the gear tooth 231. When geared, the tilting motor 61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he storage containers 21, 22, and 23 move forward and backward while the protruding piece 224 is guided and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524 of the guide supporter. Can be tilted.

따라서, 드라이어(1)가 탑재되는 수납용기(20)는 틸팅모터(61)의 가동으로 전, 후 방향으로 틸팅되고, 승강모터(62)의 가동으로 상, 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으며, 회전모터(63)의 가동으로 좌, 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드라이어(1)의 공기 토출구(3)의 방향이 다양하게 변환될 수 있다.Therefore, the storage container 20 on which the dryer 1 is mounted is til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motor 61, and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otor 62, and rotated. Since the motor 63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operation, the direction of the air outlet 3 of the dryer 1 can be variously changed.

한편, 상기 서포터(50)의 상측에 링형의 상부커버(53)가 씌워질 수 있다.Meanwhile, a ring-shaped upper cover 53 may be cover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50.

또한, 서포터 본체(51)의 전방면에 피건조 대상물의 크기 및 위치 등을 감지하기 위한 영상촬영 기구 또는 근접센서등의 피건조 대상물 감지 기구(S)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bject sensing mechanism S to be dried, such as an image capturing mechanism or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body 5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드라이어 거치대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커버(40)는 전, 후방커버(41, 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커버(41)는 조명장치(70)의 전방에 배치되고 후방커버(42)는 공기정화장치의 후방에 배치된다. 측면커버(40)는 하단부(401)가 베이스(10)와 하측 플레이트(31)에 의하여 형성되는 링형 홈(101)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3 to 5, the side cover 40 forming the side appearance of the dryer holder may include front and rear covers 41 and 42. The front cover 4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ighting device 70 and the rear cover 42 is disposed in the rear of the air purifying device. The side cover 40 may be installed by fitting the lower end 401 into the ring-shaped groove 101 formed by the base 10 and the lower plate 31 (see FIG. 2).

전방커버(41)는 드라이어(1)가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측인 드라이어 거치대의 전방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전방커버(41)는 조명장치(70)로부터 조사된 광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cover 41 may form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front of the dryer cradle, which is a side in which the dryer 1 discharges air. The front cover 4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device 70 can be radiated to the outside.

상기 전방커버(41)는 단면이 호(ar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커버(41) 대략적으로 호 형상의 기둥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호 형상의 기둥일 수 있다. 전방커버(4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단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명장치(70)로부터 조사된 빛이 외부를 향하여 방사될 수 있다.The front cover 41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That is, the front cover 4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arc-shaped columnar shape, an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ortion may be an arc-shaped pillar having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The front cover 41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a cross-section is formed in an arc shape so that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ing device 70 can be emitted toward the outside.

전방커버(41)의 후방에 후방커버(42)가 배치되어 전방커버(41)와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cover 42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ront cover 41 to be combined with the front cover 41.

후방커버(42)는 상기 전방의 반대방향측인 드라이어 거치대의 후방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후방커버(42)에는 다수의 통공(421)이 형성되어, 흡입팬(83) 또는/및 토출팬(84)이 가동되면 상기 통공(421)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후방커버(42) 내부로 흡입된 다음, 필터(81)를 거쳐 통공(42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rear cover 42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rear of the dryer holder,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1 are formed in the rear cover 42. When the suction fan 83 or / and the discharge fan 84 is operated,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rear cover 42 through the through hole 421. Then,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lter 81 through the through-hole 421.

상기 통공(421)은 후방커버(42)의 적어도 구획벽(34)과 하측 플레이트(31) 사이의 높이에 형성되고, 토출팬(84)이 배치된 높이에 형성된다. 통공(421)은 후방커버(42)의 하측 플레이트(31)와 맞닿는 부위부터 토출팬(84)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421 is formed at a height between at least the partition wall 34 of the rear cover 42 and the lower plate 31, and is formed at a height at which the discharge fan 84 is dispos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1 may be formed along the up-down direction from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plate 31 of the rear cover 42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discharge fan 84.

후방커버(42)는 수직 플레이트(32)의 좌, 우 양측단과 하측 플레이트(31)의 후방 외측 둘레면과, 구획벽(34) 및 후방 연장부(33)의 외측 둘레면과 맞닿게 배치됨으로써, 공기정화장치(88)가 설치되는 내부 공간의 후방부를 기밀하게 덮을 수 있고, 이로써, 후방커버(42)에 형성된 통공(421)을 통하여 공기가 유, 출입되게 하여 효율적으로 공기정화를 실시할 수 있다.The rear cover 42 is disposed to abu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plate 32 and the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lower plate 3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 34 and the rear extension portion 33. , It is possible to airtightly cover the rear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in which the air purifying device 88 is installed, thereby allowing air to flow in and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421 formed in the rear cover 42 to efficiently purify the air. You can.

한편, 전, 후방커버(41, 42)의 상측부는 서포터 본체(51)를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서포터 본체(51)의 상측에 결합된 링형상의 상부커버(53)는 상기 전, 후방커버(41, 42)의 상측면에 이동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covers 41 and 42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supporter body 51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he ring-shaped upper cover 53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body 51 is the The front and rear covers 41 and 42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on the upper side.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조명장치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a lighting device for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70)는 발광체를 구비하고, 수직 플레이트(32)의 전방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체는 전구 또는 형광등 형상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널에 발광다이오드(LED)가 내장되거나,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가 내장된 발광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7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body, and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2. The light emitter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in the shape of a light bulb or a fluorescent lamp. In addition, the panel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anel in which a light emitting diode (LED) is built-in,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built i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광체는 전력소비량이 적고,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의 우울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의 발광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발광체는 발광 패널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uminous body has a small amount of power consumption, and in order to alleviate depression of a user or a companion animal, it is preferable that the luminescent panel is the above. Hereinafter, the light emitting bod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light emitting panel.

조명장치(70)는, 발광 패널(71)과, 조명프레임(7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 패널(71)은 발광다이오드(LED)가 다수 내장된 LED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패널(71)은 상하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조명프레임(72)은 상기 발광 패널(71)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발광 패널(71)의 테두리를 둘러쌀 수도 있다.The lighting device 7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anel 71 and a lighting frame 72, and the light emitting panel 71 may be formed of an LED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are embedded. The light emitting panel 7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is vertically long and vertical, and the lighting frame 72 may b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light emitting panel 71 and may surround the edge of the light emitting panel 71. have.

도 3을 참조하면, 수직 플레이트(32)의 전방면에 후방으로 함몰된 오목부(321)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321)에 조명프레임(72)이 삽입됨으로서, 조명장치(70)가 상기 오목부(321) 내에 착탈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오목부(321)는 수직 플레이트(32)의 전방면으로부터, 조명장치(7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recess 321 recessed rearwar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2 so that the lighting frame 72 is inserted into the recess 321, so that the lighting device 70 is It can be seated to be detachable in the recess (321). The concave portion 321 may be recess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2 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ighting device 70.

조명장치(70)가 상기 오목부(321)에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무게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도록 하여, 드라이어 거치대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lighting device 7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recess 321, the center of gravity is not biased to either side, and the dryer holder can be prevented from tipping over.

발광 패널(71)은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가 내장된 OLED 패널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부터 조사된 빛은 현재 개발된 다른 발광체보다 자연광과 가장 비슷한 빛의 스펙트럼을 띄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발광 패널(71)을 OLED로 제조한 경우, 사용자 및 반려동물의 외출부족으로 인한 계절적 우울증을 완화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panel 71 may be formed of an OLED panel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embedded. It is known that light irradiated from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has a spectrum of light most similar to natural light than other luminaries currently developed. Therefore, when the light emitting panel 71 is made of OLED, seasonal depression due to lack of outing of the user and companion animals can be alleviated.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청색광이 적게 발생한다. 청색광은 380 내지 500nm 사이의 낮은 파장에 속하는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서, 가시광선 중에서 가장 강한 에너지를 가진다. 청색광은 집중과 각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나,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를 교란시켜 수면장애를 유발하고, 안구건조증 및 황반변성을 유발한다. 따라서, 발광 패널(71)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제조하여, 계절적 우울증을 완화하면서, 빛 공해에 따른 수면장애 등의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generates less blue light. Blue light is a blue-based light belonging to a low wavelength between 380 and 500 nm, and has the strongest energy among visible light. Blue light is effective in increasing concentration and arousal, but disturbs the secretion of melatonin hormone, causing sleep disorders, dry eye syndrome and macular degeneration.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panel 71 is ma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while reducing seasonal depres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advantages such as sleep disorder due to light pollution.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면을 이루도록 제조되어, 면 광원을 형성하고, 빛을 넓은 면적으로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눈부심이 적고, 그림자가 강하게 드리우지 않아 실내공간의 품격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manufactured to form a surface, and forms a surface light source, and can uniformly irradiate light with a large area. Therefore, there is little glare and shadows are not strongly cast, so that the quality of the interior spa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하측 플레이트(31)의 전방 상측면에는 발광 패널(71)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반사판(38)이 구비될 수 있다. 하측 플레이트(31)의 후방 상측면은 수평한 면을 구비하는데 비하여, 전방 상측면은 하측 플레이트(31)의 중앙부를 향하여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반사판(38) 또한 이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광 패널(71)로부터 조사된 빛이 고르게 전방커버(41)를 향할 수 있다.I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31 of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lector 38 for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nel 71 may be provided. The rear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31 has a horizontal surface, whereas the front upper side is convex up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31, and the reflector 38 is also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nel 71 can be evenly directed to the front cover 41.

하측 플레이트(31)의 전방측 내부에는 소정의 질량을 갖는 무게추(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드라이어 거치대의 내부 공간의 후방부에는 공기정화장치(80)가 스템(30)에 설치되나, 수직 플레이트(32)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무게중심이 후방쪽으로 치우칠 수 있다. 하측 플레이트(31) 전방측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무게추는 이와 같이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지는 것을 방지하고, 무게중심이 낮게 배치되도록하여, 드라이어 거치대가 안정적으로 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 weight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mass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ont side of the lower plate 31. An air purifying device 80 is installed on the stem 30 in the rear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dryer holder, but is disposed toward the rear from the vertical plate 32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biased toward the rear. The weight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lower plate 31 prevents the center of gravity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and allows the center of gravity to be disposed low, so that the dryer holder can be stably raised.

조명장치(70)에 각각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 및/또는 OLED가 실장되어, 피건조 대상물에 따라 피건조 대상물이 선호하는 색상의 광이 선택되어 조사되도록 할 수 있고, 건조 실시중에 건조대상 부위의 건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건조도에 따라 다른 색상의 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70 is mounted with a plurality of LEDs and / or OLEDs that irradiate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so that light of a desired color can be selected and irradiated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dried, and drying is performed. Among them, the dryness of the target area may be sensed so that light of different colors may be irradiated according to the detected dryness.

또한, 발광 패널(71)의 전체 영역 중 일부만 점등되도록 하여 배터리(100)의 충전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발광 패널(71)의 전체 영역 중 배터리(100)의 충전율(또는, 전력 잔여량)과 동일한 비율의 영역을 점등시켜 배터리(100)의 충전 정도를 표시할 수 있고, 발광 패널(71)의 일측에서 상기 충전율에 해당하는 비율의 영역까지 점등시켜, 사용자가 한눈에 배터리(100)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entire area of the light emitting panel 71 is lit so that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100 can be displayed. As an example, the charge rate of the battery 100 may be displayed by lighting an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light-emitting panel 71 equal to a charge rate (or remaining amount of power) of the battery 100, and the light-emitting panel 71 ), The user can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00 at a glance by lighting up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rate on one side.

예를들어 설명하면, 배터리(100)의 충전율이 70%인 경우에, 발광 패널(71)의 최하측에서부터 전체 높이의 70%에 해당하는 영역까지 점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배터리(100) 충전율이 70%임을 알릴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harge rate of the battery 100 is 70%, the battery 100 charge rate is 70 to the user by lighting up from the bottom of the light emitting panel 71 to an area corresponding to 70% of the total height. %.

또한, 조명장치(70)를 통하여 배터리(100)의 전력 잔여량이 부족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외부로부터 전력공급이 중단된 경우, 드라이어 거치대는 배터리(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므로 배터리(100)의 전력량이 드라이어 거치대의 조명장치(70), 공기정화장치(80) 또는 드라이어(1)를 구동시키기에 충분치 않은 전력량이 남은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100 is insufficient through the lighting device 70.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is stopped, the dryer holder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00, so the amount of power of the battery 100 is applied to the lighting device 70, the air purifying device 80, or the dryer 1 of the dryer holder. When there is not enough power left to drive,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by notifying the user.

외부로부터 전력공급이 중단되고, 배터리(100)의 전력 잔여량이 기 설정된 기준 잔여량 이하인 경우, 조명장치(70)를 통하여 배터리(100)의 전력 잔여량이 상기 기준 잔여량 이하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전력공급이 중단되고, 배터리(100)의 전력 잔여량이 상기 기준 잔여량 이하인 경우, 자연광과 비슷한 스펙트럼의 백생광과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배터리(100)의 전력 잔여량이 상기 기준 잔여량 이하임을 사용자에게 알릴수 있다.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is stopped, and the power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0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residual amount, the user can be notified through the lighting device 70 that the power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00 is less than the reference residual amount. When the power supply is stopped from the outside, and the residual amount of power of the battery 100 is less than the reference residual amount, the user is irradiated with light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white light of the spectrum similar to natural light to allow the user to apply the residual amount of power of the battery 100 to the reference It can inform the user that it is below the remaining amount.

상기의 다른 색상은 예를들어 적색광일 수 있다. The other color may be red light, for example.

상기의 기준 잔여량은 드라이어 거치대의 조명장치(70), 공기정화장치(80) 또는 드라이어(1)를 구동시키기에 충분치 않은 전력량일 수 있고, 예를들어 드라이어(1)에 내장된 배터리를 1회 충전할 수 있는 정도의 전력량일 수 있다. 또는, 드라이어(1)가 드라이어에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시간동안 발광 패널(71)을 점등시킬 수 있는 정도의 전력량일 수도 있다. 또는, 배터리(100) 전체 용량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배터리(100) 용량의 10%정도 수준의 전력량일 수도 있다.The reference residual amount may be an amount of power that is not sufficient to drive the lighting device 70, the air purifying device 80, or the dryer 1 of the dryer holder, for example, once the battery built in the dryer 1 It may be an amount of power that can be charged. Alternatively, the dryer 1 may be an amount of electric power capable of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panel 71 during a time period during which drying can be performed using a battery built in the dryer. Alternatively, it may be set based on the total capacity of the battery 100, or may be an amount of power of about 10% of the capacity of the battery 100.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조명장치를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의 조명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4, a lighting device for a dryer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lighting device of the dryer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omitt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70)는 발광체를 구비하고, 발광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701)을 포함한다.The lighting device 7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body, and the light emitting body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701.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두께가 얇고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발광 패널(701)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제조되고, 단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커버(41)의 내측면과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701)로부터 발산된 광의 방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may be thin and bendable.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panel 701 is ma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an arc shape so that it can be disposed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41, where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 701),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adioactivity of the light emitt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701)은 곡률지게 형성되어 전방커버(41)의 내측면과 밀착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701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to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41.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701)은, 곡률지게 형성되고, 양측 테두리(또는, 테두리에 배치되는 조명프레임(702))가 수직 플레이트(32)에 결합되고, 전방커버(41)의 내측면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701 is formed to be curved, and both side edges (or lighting frames 702 disposed on the edge) are coupled to the vertical plate 32, and the front cover 41 of the It can be arranged to face the inner surfac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직 플레이트의 전방면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701)과 대응하도록 곡률지게 형성된 조명장치 지지부(미도시)가 결합되고,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701)이 상기 조명장치 지지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수직 플레이트(32)의 전방면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701)과 대응하도록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이 상기 수직 플레이트(32)의 곡률진 전방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lighting device support (not shown) formed to be curved to correspon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701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 701) may be installed on the lighting device support. Alternatively,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2 is formed to be curved to correspon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701, so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is formed on the curved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2. It may be installed.

발광 패널(71)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제조된 경우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조명프레임(72, 702)이 패널(71, 701) 전체의 테두리를 둘러싸지 않고, 어느 일측의 테두리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When the light emitting panel 71 is ma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s shown in FIG. 4, the lighting frames 72 and 702 do not surround the entire border of the panels 71 and 701, and either side It can be placed only on the border.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정화장치(80)는, 측면커버(40)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정화장치(80)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83, 84)과, 송풍팬(83, 84)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 유로상에 설치되는 필터(8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정화장치(80)는 내부 공간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커버(40)에는 공기가 유, 출입되는 통공(4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통공(421)은 후방커버(42)에 형성될 수 있다.2 and 5, the air purifying device 80 may be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defined by the side cover 40. The air purifying device 80 may include air blowing fans 83 and 84 for generating air flow, and a filter 81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s flowing by the air blowing fans 83 and 84. The air purifying device 80 may be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A through hole 421 through which air flows in and out may be formed in the side cover 40, and the through hole 421 may be formed in the rear cover 42.

따라서, 피건조체의 드라이어(1)를 통한 건조와, 조명장치(70)를 이용한 우울증 완화 등의 라이트 테라피(Light Therapy)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전방에서 이루어지고, 공기순환 및 정화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후방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light therapy such as drying through the dryer 1 of the object to be dried and depression relief using the lighting device 70 is performed in front of the dryer holder, and air circulation and purification are performed from the rear of the dryer holder. It can be done.

공기정화장치(80)는, 필터(81)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81)는 광화학 반응에 의해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광촉매 필터(8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81)'에 대한 설명은, 광촉매 필터(81)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device 80 may include a filter 81, and the filter 81 may include a photocatalyst filter 81 that decomposes harmful substances by a photochemical reaction. The description of the 'filter 81' may be applied to the photocatalyst filter 81 as it is.

공기정화장치(80)는, 광촉매 필터를 활성화시키는 발광모듈(82)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device 8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module 82 that activates the photocatalyst filter.

또한, 상기 드라이어 거치대의 공기정화장치(80)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83, 84)을 포함할 수 있고, 송풍팬(83, 84)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83)과 광촉매 필터(81)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팬(84)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device 80 of the dryer holder may include a blower fan (83, 84) for generating air flow, the blower fan (83, 84) and a suction fan (83) for sucking outside air It may include a discharge fan 84 for discharg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hotocatalyst filter 81 to the outside.

흡입팬(83)과 토출팬(84) 각각은, 회전날개와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흡입팬(83)과 토출팬(84)을 구동시키는 모터는 회전속도가 가변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Each of the suction fan 83 and the discharge fan 84 may include a rotor blade and a motor, and the motor driving the suction fan 83 and the discharge fan 84 may be a motor having a variable rotation speed.

흡입팬(83)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을 향하여 송출할 수 있고, 토출팬(84)은 흡입팬(83)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하여 필터(81)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The suction fan 83 can suck external air and send it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discharge fan 84 flows upward by the suction fan 83 to discharg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81 to the outside. have.

흡입팬(83)은 하측 플레이트(31)의 후방 상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팬(83)의 회전날개가 하측 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모터가 하측 플레이트(31) 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날개는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uction fan 83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31. The motor is disposed on the lower plate 31 so that the rotary blades of the suction fan 83 ar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and the rotary blades may be disposed to face the upper side.

또한, 전술한 구획벽(34)은 하측 플레이트(3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구획벽(34)에는 홀이 형성되어 흡입팬(흡입팬의 회전날개)을 감쌀 수 있다. 따라서, 흡입팬(83)이 작동하면, 외부 공기는 후방커버(42)의 하측에 형성된 통공(421)을 통하여 구획벽(34)과 하측 플레이트(3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흡입팬(83)을 감싸는 홀을 통하여 상측으로 송출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artition wall 34 is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plate 31, and a hole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34 to surround the suction fan (rotating blade of the suction fan). Therefore, when the suction fan 83 is operated,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34 and the lower plate 31 through the through hole 421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rear cover 42, and the suction fan ( 83) is sent upward through the hole surrounding it.

토출팬(84)은 수직 플레이트(32)의 후방면에 배치되고, 흡입팬(83)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구획벽(34)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팬(84)의 모터가 수직 플레이트(32)를 향하고, 회전날개는 후방커버(42)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fan 84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2 and may be disposed above the suction fan 83. That is, it may be disposed above the partition wall 34. The motor of the discharge fan 84 may be disposed to face the vertical plate 32 and the rotary blades to face the rear cover 42.

토출팬(8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플레이트(32)에 결합되는 토출팬 지지부(84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토출팬 지지부(845)는 수직 플레이트(32)의 후방면과 결합될 수 있고, 수직 플레이트(32)의 후방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다음 측면방향으로 절곡되어, 토출팬(84)이 수직로드(39)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팬 지지부(845)에 토출팬(84)의 모터가 설치되고, 토출팬(84)의 회전날개는 후방커버(42)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fan 84 may be supported by a discharge fan support portion 845 coupled to the vertical plate 32, as shown in FIG. 4. The discharge fan support portion 845 may be combin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2, extend toward the rear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2, and then ben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discharge fan 84 is a vertical rod It can be arranged at the rear of (39). The motor of the discharge fan 84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fan support part 845, and the rotary blades of the discharge fan 84 may be arranged to face the rear cover 42.

토출팬(84)은 토출팬 지지부(845)에 의해 수직 플레이트(3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수직 플레이트(32)와 토출팬(84)이 이격된 사이에 수직로드(39)가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fan 84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rearward from the vertical plate 32 by the discharge fan support 845, and the vertical rod 39 between the vertical plate 32 and the discharge fan 84 are spaced apart. Can be placed.

흡입팬(83) 및 토출팬(84)이 둘다 작동되는 경우, 흡입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상측으로 송출된 공기는 빠르게 필터(81)를 통과하고, 토출팬(84)에 의해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드라이어 거치대 외부(실내 등) 공기의 오염도가 높은 경우, 흡입팬(83) 및 토출팬(84)을 모두 작동시켜 빠르게 공기를 순환 및 정화시킬 수 있다.When both the suction fan 83 and the discharge fan 84 are operated,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by the suction fan and sent to the upper side quickly passes through the filter 81,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discharge fan 84 do. Therefore,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outside the dryer holder (such as indoors) is high, both the suction fan 83 and the discharge fan 84 can be operated to quickly circulate and purify the air.

흡입팬(83) 및 토출팬(84) 중 어느 하나만을 가동하는 경우 공기의 유동속도가 느려지며, 공기가 공기정화장치(80) 내에서 체류할 수 있는 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의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공기가 필터에 접촉되는 시간을 늘려 소량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분해 또는 걸러내고, 송풍팬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When only one of the suction fan 83 and the discharge fan 84 is operated, the flow rate of air is slowed, and the time for air to stay in the air purifying device 80 may be extended. Accordingly,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outside air is relatively low, it is possible to decompose or filter out a small amount of contaminants by increasing the time for the air to contact the filter, and reduce the noise of the blower fan.

흡입팬(83) 및 토출팬(84) 중 어느 하나만을 가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토출팬(84)만을 가동할 경우, 토출팬(84)에 의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어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된 공간내에 압력이 감소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나, 구획벽보다 상측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공기가 필터를 거치지 않고 토출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only one of the suction fan 83 and the discharge fan 84 is operated, when only the discharge fan 84 is oper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discharge fan 84 to install an air purifying device. The pressure may decrease to intake air, but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above the partition wall, and in this case, air may be discharged without going through a filter.

반면에, 흡입팬(83)만을 가동할 경우, 구획벽(34)과 하측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의 공기가 구획벽(34) 상측으로 송출되어 압력이 감소하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한 뒤, 상측에 쌓여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따라서, 흡입팬(83)만을 가동하는 경우에는 공기가 공기정화장치(80)내에 체류하는 시간을 길게 하면서도, 흡입된 공기가 필터(81)를 통과한 후 토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only the suction fan 83 is operated, the air in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34 and the lower plate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34, so that the pressure decreases, so that external air flows in and the introduced air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it is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when only the suction fan 83 is operated, while the air stays in the air purifying device 80 for a long time, the sucked air may be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81.

따라서, 흡입팬(83) 및 토출팬(84) 중 어느 하나만을 가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흡입팬(83)만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only one of the suction fan 83 and the discharge fan 84 is operated, it is preferable to operate only the suction fan 83.

필터(81)는 흡입팬(83)과 토출팬(8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81)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 면과 공기가 토출되는 제2 면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면이 흡입팬(83)을 향하고, 상기 제2 면이 상기 토출팬(84)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8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fan 83 and the discharge fan 84. The filter 81 may include a first surfac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second surface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e first surface toward the suction fan 83, and the second surface toward the discharge fan 84 It may be arranged to face.

필터(81)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81)는 상측이 수직 플레이트(32)에 지지되고, 하측이 구획벽(34)에 지지될 수 있다.The filter 81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interior space toward the upper side. The filter 81 has an upper side supported by a vertical plate 32 and a lower side supported by a partition wall 34.

따라서, 드라이어 거치대는 적은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공기가 접촉되는 필터(81)의 면적을 넓혀 효율적으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dryer holder can purify the air efficiently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filter 81 in contact with the air while occupying a small volume.

한편, 스템(30)은, 수직 플레이트(32)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측 걸림편(322)과 구획벽(34)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하측 걸림편(341)을 포함할 수 있고, 필터(81)는 상측 걸림편(322)과 하측 걸림편(34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em 30 may include an upper locking piece 322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vertical plate 32 and a lower locking piece 341 protruding upward from the partition wall 34, and the filter 81 )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locking piece 322 and the lower locking piece 341.

상측 걸림편(322)은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필터(81)의 상측을 지지하고, 하측 걸림편(341)은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필터(81)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필터(81)는 한 쌍의 상측 걸림편(322) 및 한 쌍의 하측 걸림편(341) 사이에 끼워져, 하측부가 상측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경사지게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locking piece 322 is provid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81, and the lower locking piece 341 is provid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81. have. The filter 8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upper engaging pieces 322 and the pair of lower engaging pieces 341 so that the lower part protrudes rearward than the upper part so as to be detachably detachable.

한편, 필터(81)는 탈취기능도 겸할 수 있는 광촉매 필터(81)가 사용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81)는 광화학 반응에 의해 유해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 광촉매 필터(81)의 배치위치, 구조 등은 전술한 필터(81)와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81 may be used a photocatalyst filter 81 that can also serve as a deodorizing function. The photocatalyst filter 81 may decompose harmful substances by a photochemical reaction.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photocatalyst filter 81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lter 81 described above.

광촉매 필터(81)는, 공기 중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통기성 흡착기재와, 통기성 흡착기재에 부착되는 광촉매와, 광촉매의 활성화를 돕는 조촉매로 이루어진다.The photocatalyst filter 81 is composed of a breathable adsorption material that adsorbs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a photocatalyst attached to the breathable adsorption material, and a cocatalyst that helps activate the photocatalyst.

통기성 흡착기재는 공기가 통과하며 접촉되는 면적이 크도록 펄프를 기재로 한 수겹으로 적층된 주름으로 형성된다. 통기성 흡착기재는 유해물질이 흡착되도록 다공질재료가 포함될 수 있다. 다공질재료로서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활성알루미나, 점토성형체, 섬유성형체, 세라믹스, 금속, 플라스틱 등이 바람직하다.The breathable adsorption base material is formed of multiple layers of corrugated laminations based on pulp so that the area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and is in contact is large. The breathable adsorption substrate may include a porous material to adsorb harmful substances. As the porous material, activated carbon, zeolite, activated alumina, clay molding, fiber molding, ceramics, metal, plastic and the like are preferable.

광촉매는 통기성 흡착기재에 흡착된 유해물질을 광화학반응에 의하여 분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는 햇빛뿐만 아니라 형광등, 백열등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에서 작용할 수 있는 가시광촉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촉매는 산화텅스텐(WO3),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산화지르코늄(ZrO2) 또는 이러한 고용체로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catalyst decomposes harmful substances adsorbed on the breathable adsorption substrate by a photochemical reaction.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a visible photocatalyst capable of acting on visible light from fluorescent lamps and incandescent lamps as well as sunlight. The photocatalyst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ungsten oxide (WO3), titanium oxide (TiO2), zinc oxide (ZnO), zirconium oxide (ZrO2) or such solid solution.

조촉매는 백금(Pt), 로듐(Rh), 루테늄(Ru), 팔라듐(Pd), 은(Ag), 구리(Cu), 아연(Zn)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촉매는 가시광에 의한 광촉매 활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백금(Pt)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catalyst includes at least one metal, oxide or compound selected from platinum (Pt), rhodium (Rh), ruthenium (Ru), palladium (Pd), silver (Ag), copper (Cu), zinc (Zn) can do. In this embodiment, the cocatalyst is preferably platinum (Pt) to maximize photocatalytic activity by visible light.

공기정화장치는 광촉매 필터(81)를 활성화시키는 발광모듈(82)을 포함할 수 있고, 발광모듈(82)은 청색 발광 모듈(82)일 수 있다. 발광모듈(82)은 복수개의 발광체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발광체는 청색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발광모듈(82)은 청색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하는 청색 LED패널 일 수 있다.The air purifying devic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module 82 that activates the photocatalyst filter 81,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82 may be a blue light emitting module 82. The light emitting module 82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and the light emitters may be blue light emitting diodes (LEDs). The light emitting module 82 may be a blue LED panel having a blue light emitting diode (LED).

발광모듈(82)은 수직 플레이트에 설치될 수 있고, 수직 플레이트(32)와 광촉매 필터(81) 사이에서 수직 플레이트(32)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odule 82 may be installed on a vertical plate, and may be installed parallel to the vertical plate 32 between the vertical plate 32 and the photocatalyst filter 81.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외부 전원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 거치대에 인가하기 위한 전력공급수단을 설명한다.2, 9 and 10, a power supply means for applying an external power supply to a dryer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드라이어 거치대는 충전을 위하여 도킹 스테이션(90) 상에 올려지는 데, 도킹 스테이션(90)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저면에 외부전원과 연결된 전선이 통과되는 요홈(92)과 상기 전선의 일단에 연결된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91)이 형성될 수 있고, 전극단자로서 상측면 중앙에 제1 외부단자(93)와 그 외곽에 링형의 제2 외부단자(94)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dryer holder is mounted on the docking station 90 for charging. 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docking station 90 is provided with a groove 92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is passed and a wire of the wire. A socket 91 into which a plug connected to one end is inserted may be formed, and as the electrode terminal, a first external terminal 93 and a ring-shaped second external terminal 94 may be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have.

상기 도킹 스테이션(90)상에 거치대가 탑재되면 도킹 스테이션(90)의 상측면이 베이스(10)의 중공부(12)를 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측 플레이트(31)의 저면에 접촉되는 데, 상기 하측 플레이트(31)의 중앙에는 제1 외부단자(9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부단자(103)가 배치되고, 제1 내부단자(103)의 외곽에 제2 외부단자(9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내부단자(104)가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cradle is mounted on the docking station 90, the upper surface of the docking station 90 protrudes upward through the hollow portion 12 of the base 10 and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 The first inner terminal 10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terminal 93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31, and the second outer terminal 9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inner terminal 103. A second internal terminal 104 connected to the may be disposed.

상기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 외부단자(103, 93)는 하측 플레이트(31) 및 도킹 스테이션(90)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2 내, 외부단자(104, 94)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라이어 거치대와 도킹 스테이션(90)이 서로 별개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상기 단자들은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first inner and outer terminals 103 and 93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r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31 and the docking station 90, and the second inner and outer terminals 104 and 94 are ring-shaped. Since it is formed, even if the dryer holder and the docking station 90 are rota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 terminals can always remain electrically connected.

또한,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납용기(20)의 내부에 상기 제1, 2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배터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2 접촉단자(217, 218)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6, and 7,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terminal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terminals,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00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20. Contact terminals 217 and 218 may be disposed.

한편, 드라이어의 그립(2)에는 상기 수납용기(2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2 접촉단자(217, 2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2 피접촉단자(2a, 2b)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first and second contact terminals 2a and 2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terminals 217 and 218 when disposed in the storage container 20 are disposed on the grip 2 of the dryer. Can be.

상기에서 제1 접촉단자(217) 및 제1 피접촉단자(2a)는 각각 수납용기의 그루브(20a)의 저면부 중앙 또는 드라이어 그립(2)의 저면부 중앙에 배치되고, 제2 접촉단자(218) 및 제2 피접촉단자(2b)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어의 그립(2) 및 수납용기(20)가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도 상기 접촉단자는 항상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first contact terminal 217 and the first contact terminal 2a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groove 20a of the storage container or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dryer grip 2,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 218)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2b are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even when the grip 2 and the storage container 20 of the dryer are relatively rotated, the contact terminal can always maintain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상기 제1, 2 접촉단자(217, 218)는 배터리(100) 및 제1, 2 내부단자(103, 104)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 사이에 절환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ntact terminals 217 and 218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terminals 103 and 104, respectively, and a switching switch (not shown) may be installed therebetween. have.

제어부(110)는 드라이어(1)가 수납용기(20)에 탑재되고, 도킹 스테이션(90)으로부터 외부전원이 제1, 2 내부단자(103, 104)로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절환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1, 2 접촉단자(217, 218)가 제1, 2 내부단자(103, 104)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게 하고 제1, 2 접촉단자(217, 218)와 배터리(100)는 전기적 연결상태가 단절되도록 하여 외부전원이 배터리(100)를 거치지 않고 드라이어로 직접 인가되게 할 수 있다.When the dryer 1 is mounted in the storage container 20 and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terminals 103 and 104 from the docking station 90, the control unit 110 operates the switching switc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terminals 217 and 218 ar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terminals 103 and 104,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terminals 217 and 218 and the battery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It can be disconnected so that external power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dryer without going through the battery 100.

한편, 외부전원이 제1, 2 내부단자(103, 104)로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절환 스위치가 반대로 조작되어 제1, 2 접촉단자(207, 208)와 배터리(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external power is not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terminals 103 and 104, the switching switch is operated in revers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terminals 207 and 208 and the battery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can do.

이와 마찬가지로, 도킹 스테이션(90)으로부터 외부전원이 제1, 2 내부단자(103, 104)로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110)가 제1, 2 내부단자(103, 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여, 외부전원이 배터리(100)를 거치지 않고 제어부(110), 조명장치(70) 및 공기정화장치(80)로 인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전원이 제1, 2 내부단자(103, 104)로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배터리(100)가 제어부(110), 조명장치(70) 및 공기정화장치(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Similarly, when external power is applied from the docking station 90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terminals 103 and 104, the control unit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terminals 103 and 104, , External power may be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10, the lighting device 70, an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80 without going through the battery 100. In addition, when external power is not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terminals 103 and 104, the battery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0, the lighting device 70, an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80. You ca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100)는, 수직 플레이트(32)의 하측부에 형성된 중공부(35)에 배치되고, 제어부(110)는 배터리(100)와 발광모듈(8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부는 드라이어 거치대의 상하방향의 중앙보다 아래인 부분을 의미하고, 다른 구성에 비하여 무게가 많이 나가는 배터리(100)가 배치되는 중공부(35)는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가능한 아래쪽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2 to 5, the battery 100 is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35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late 32, and the control unit 110 is between the battery 10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82 Can be placed on. Here, the lower part means a part that is lower than the center of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ryer holder, and the hollow part 35 in which the battery 100, which weighs a lot compared to other configurations, is disposed, is formed at the bottom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goo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직 플레이트(32)의 하측 후방을 향하여 구획벽(3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중공부(35)는 구획벽(34)과 드라이어 거치대의 상하방향으로 대략 중앙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rtition wall 34 is formed toward the lower rear side of the vertical plate 32, the hollow portion 35 is approximately between the partition wall 34 and the centr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ryer holder. Can be formed.

제어부(110)는 배터리(100)와 근접하게 배치되어, 배터리(100)와 제어부(110)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수직 플레이트(32)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공기의 유로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is disposed close to the battery 100, can shorten the length of the cable connecting the battery 100 and the control unit 110,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vertical plate 32, the flow path resistance of air Can be minimiz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 드라이어 20: 수납용기(안착부)
30: 스템 31: 하측 플레이트
32: 수직 플레이트 40: 측면커버
41: 전방커버 70: 조명장치
71: 발광 패널 72: 조명프레임
90: 도킹 스테이션 100: 배터리
110: 제어부 S: 피건조 대상물 감지 기구
1: Dryer 20: Storage container (seat)
30: stem 31: lower plate
32: vertical plate 40: side cover
41: front cover 70: lighting device
71: light emitting panel 72: lighting frame
90: docking station 100: battery
110: control unit S: object detection mechanism to be dried

Claims (10)

하측부에 배치되어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드라이어가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커버; 및
상기 측면커버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발광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
A base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to perform a pedestal function;
A seating part which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in an upward direction and on which a dryer is mounted;
A side cover forming a side appearance between the base and the seating portion; And
It is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defined by the side cover, the dryer holder comprising a ligh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드라이어가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측인 전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커버는,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된 빛을 외부로 방사시키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드라이어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cover includes a front cover forming a front appearance that is in a direction side in which the dryer discharges air,
The front cover, a dryer holder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o e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device to the out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는 단면이 호(arc) 형상으로 형성된 드라이어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2,
The front cover has a dryer holder formed in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스템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하측 플레이트; 및
상기 하측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It includes a stem for supporting the seating portion spaced upwardly from the base,
The stem,
A lower plate disposed above the base and coupled to the base; And
A dryer holder comprising a vertical plate extending from the lower plate to the upper s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방면에 설치되는 드라이어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The lighting device is a dryer holder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전방면으로부터 상기 조명장치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는 드라이어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5,
The vertical plate is formed with a recess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ighting device from the front surface,
The lighting device is a dryer holder installed in the reces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체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향하여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드라이어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5,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and includes a reflector for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The reflector is a dryer holder formed convex up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er is a dryer holder compri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드라이어가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측인 전방의 외관을 형성하고, 단면이 호(arc)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단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커버의 내측면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드라이어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8,
The side cover includes a front cover formed in an arc shape with a cross section forming a front appearance that is in a direction side in which the dryer discharges air,
The front cov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is formed in an arc shape in cross-section, and the dryer holder is disposed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발광 패널과 상기 발광 패널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조명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라이어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device is a dryer holder comprising a light emitting panel and an illumination fram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light emitting panel.
KR1020190021182A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20200033111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7928.5A EP3626116B1 (en) 2018-09-19 2019-09-18 Dryer stand
EP22163732.5A EP4039127A1 (en) 2018-09-19 2019-09-18 Dryer stand
US16/576,359 US11559176B2 (en) 2018-09-19 2019-09-19 Dryer stand
CN201910886354.3A CN110926194B (en) 2018-09-19 2019-09-19 Dryer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3478P 2018-09-19 2018-09-19
US62/733,478 2018-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111A true KR20200033111A (en) 2020-03-27

Family

ID=69959065

Family Applications (4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777A KR102584429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58778A KR102532472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58776A KR102584430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62189A KR102548935B1 (en) 2018-09-19 2018-12-14 Dryer
KR1020190006768A KR20200033093A (en) 2018-09-19 2019-01-18 Dryer
KR1020190017596A KR20200033097A (en) 2018-09-19 2019-02-15 Dry apparatus
KR1020190019326A KR20200033101A (en) 2018-09-19 2019-02-19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19325A KR20200033100A (en) 2018-09-19 2019-02-19 Dryer
KR1020190019324A KR20200033099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3A KR20200033098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8A KR20200033103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7A KR20200033102A (en) 2018-09-19 2019-02-19 Dry apparatus
KR1020190019671A KR20200033104A (en) 2018-09-19 2019-02-20 Dryer Stand
KR1020190020471A KR20200033106A (en) 2018-09-19 2019-02-21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1020190020470A KR20200033105A (en) 2018-09-19 2019-02-21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1020190021178A KR20200033107A (en) 2018-09-19 2019-02-22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21180A KR20200033109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90021184A KR20200033113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81A KR20200033110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83A KR20200033112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82A KR20200033111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79A KR20200033108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2023A KR20200033116A (en) 2018-09-19 2019-02-25 Dryer machine
KR1020190021879A KR20200033115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7A KR20200033120A (en) 2018-09-19 2019-02-25 Dryer and Holder
KR1020190021878A KR20200033114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6A KR20200033119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5A KR20200033118A (en) 2018-09-19 2019-02-25 Dryer machine
KR1020190022024A KR20200033117A (en) 2018-09-19 2019-02-25 Dryer holder
KR1020190024050A KR20200033127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90024047A KR102657350B1 (en) 2018-09-19 2019-02-28 Dryer
KR1020190024052A KR20200033129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4049A KR20200033126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4051A KR20200033128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3598A KR20200033121A (en) 2018-09-19 2019-02-28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23599A KR20200033122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3600A KR20200033123A (en) 2018-09-19 2019-02-28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1020190024048A KR20200033125A (en) 2018-09-19 2019-02-28 Dryer
KR1020190065850A KR20200033141A (en) 2018-09-19 2019-06-04 Dryer stand
KR1020190065851A KR20200033142A (en) 2018-09-19 2019-06-04 Dryer stand
KR1020190070283A KR20200033150A (en) 2018-09-19 2019-06-13 Dryer stand
KR1020190070279A KR20200033146A (en) 2018-09-19 2019-06-13 Dryer stand
KR1020190070280A KR20200033147A (en) 2018-09-19 2019-06-13 Control method of dryer and dryer stand
KR1020190073976A KR20200033153A (en) 2018-09-19 2019-06-21 Dryer stand
KR1020190073975A KR20200033152A (en) 2018-09-19 2019-06-21 Dryer stand

Family Applications Before (2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777A KR102584429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58778A KR102532472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58776A KR102584430B1 (en) 2018-09-19 2018-12-11 Dryer
KR1020180162189A KR102548935B1 (en) 2018-09-19 2018-12-14 Dryer
KR1020190006768A KR20200033093A (en) 2018-09-19 2019-01-18 Dryer
KR1020190017596A KR20200033097A (en) 2018-09-19 2019-02-15 Dry apparatus
KR1020190019326A KR20200033101A (en) 2018-09-19 2019-02-19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19325A KR20200033100A (en) 2018-09-19 2019-02-19 Dryer
KR1020190019324A KR20200033099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3A KR20200033098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8A KR20200033103A (en) 2018-09-19 2019-02-19 Dryer Stand
KR1020190019327A KR20200033102A (en) 2018-09-19 2019-02-19 Dry apparatus
KR1020190019671A KR20200033104A (en) 2018-09-19 2019-02-20 Dryer Stand
KR1020190020471A KR20200033106A (en) 2018-09-19 2019-02-21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1020190020470A KR20200033105A (en) 2018-09-19 2019-02-21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1020190021178A KR20200033107A (en) 2018-09-19 2019-02-22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21180A KR20200033109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90021184A KR20200033113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81A KR20200033110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1183A KR20200033112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Family Applications After (2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179A KR20200033108A (en) 2018-09-19 2019-02-22 Dryer stand
KR1020190022023A KR20200033116A (en) 2018-09-19 2019-02-25 Dryer machine
KR1020190021879A KR20200033115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7A KR20200033120A (en) 2018-09-19 2019-02-25 Dryer and Holder
KR1020190021878A KR20200033114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6A KR20200033119A (en) 2018-09-19 2019-02-25 Dryer
KR1020190022025A KR20200033118A (en) 2018-09-19 2019-02-25 Dryer machine
KR1020190022024A KR20200033117A (en) 2018-09-19 2019-02-25 Dryer holder
KR1020190024050A KR20200033127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90024047A KR102657350B1 (en) 2018-09-19 2019-02-28 Dryer
KR1020190024052A KR20200033129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4049A KR20200033126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4051A KR20200033128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3598A KR20200033121A (en) 2018-09-19 2019-02-28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20190023599A KR20200033122A (en) 2018-09-19 2019-02-28 Dryer Stand
KR1020190023600A KR20200033123A (en) 2018-09-19 2019-02-28 Control method of dryer stand
KR1020190024048A KR20200033125A (en) 2018-09-19 2019-02-28 Dryer
KR1020190065850A KR20200033141A (en) 2018-09-19 2019-06-04 Dryer stand
KR1020190065851A KR20200033142A (en) 2018-09-19 2019-06-04 Dryer stand
KR1020190070283A KR20200033150A (en) 2018-09-19 2019-06-13 Dryer stand
KR1020190070279A KR20200033146A (en) 2018-09-19 2019-06-13 Dryer stand
KR1020190070280A KR20200033147A (en) 2018-09-19 2019-06-13 Control method of dryer and dryer stand
KR1020190073976A KR20200033153A (en) 2018-09-19 2019-06-21 Dryer stand
KR1020190073975A KR20200033152A (en) 2018-09-19 2019-06-21 Dryer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5) KR1025844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691B1 (en)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102366462B1 (en) * 2020-04-10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102364690B1 (en) *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Hair dryer
KR102364689B1 (en) *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102366461B1 (en) * 2020-04-10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102364681B1 (en) *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102364692B1 (en)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Hair dryer
KR102364682B1 (en) 2020-04-10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 dryer having the same
KR20220023943A (en) 2020-08-23 2022-03-03 정준효 neckpillow dryer
CN112113103A (en) * 2020-09-14 2020-12-22 浙江炜宇通风机电有限公司 Self-locking angle post type fan
GB2600913B8 (en) * 2020-09-30 2024-02-21 Dyson Technology Ltd A docking station for decontaminating a domestic appliance
WO2022100037A1 (en) * 2020-11-10 2022-05-19 深圳市华思旭科技有限公司 Cordless blow dryer
WO2022100036A1 (en) 2020-11-10 2022-05-19 深圳市华思旭科技有限公司 Wireless hair dryer system and wireless electric hair dryer
CN213936623U (en) * 2020-11-10 2021-08-10 深圳市华思旭科技有限公司 Wireless hair drier and charging socket thereof
KR102477154B1 (en) * 2020-12-08 2022-12-1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Bidirectional hair dryer
JP2023059332A (en) * 2021-10-15 2023-04-27 株式会社ニコリオ light emitting unit
KR20230085734A (en) * 2021-12-07 202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Hair dryer
KR102585497B1 (en) * 2021-12-10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Hair dryer
KR102585496B1 (en) * 2021-12-10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Hair dryer
WO2023136381A1 (en) * 2022-01-17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ffuser and hairdryer comprising same
GB2622023A (en) * 2022-08-31 2024-03-06 Dyson Technology Ltd An air treatment apparatus
KR20240047054A (en) * 2022-10-04 2024-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Hair dryer
WO2024076018A1 (en) * 2022-10-06 2024-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module and air cleaning device
GB2623115A (en) * 2022-10-07 2024-04-10 Dyson Technology Ltd Haircare appliance with a visual indicator device
WO2024106729A1 (en) * 2022-11-14 2024-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nd-type drying device
KR102626330B1 (en) * 2023-02-15 2024-01-17 곽송희 All-in-one laser processing device having coaxial nozzle and off-axis nozzle integral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828A (en) * 1983-08-11 1985-02-28 Nec Corp Digital and analog-contained integrated circuit device
JP3106986B2 (en) * 1996-05-02 2000-11-06 株式会社パトライト LED illuminator
JP3402323B2 (en) * 2000-12-25 2003-05-06 松下電工株式会社 Hair dryer
KR200277189Y1 (en) * 2001-12-11 2002-06-03 (주)메디온테크 Hair dryer having anion apparatus
EP1707070A3 (en) * 2002-12-27 2006-10-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air dryer with minus ion generator
KR200369612Y1 (en) 2004-08-06 2004-12-09 김영선 Hairdrier with photocatalyst
KR200369961Y1 (en) * 2004-09-09 2004-12-13 김유수 Hair dryer having a laser emission function
KR200462505Y1 (en) * 2010-07-09 2012-09-14 (주)아모레퍼시픽 Vibration type cosmetic brush
JP2012239535A (en) * 2011-05-17 2012-12-10 Sharp Corp Hair dryer
KR101511627B1 (en) 2013-09-16 2015-04-16 노태완 Stand type hair dryer
KR20160067006A (en) * 2014-12-03 2016-06-13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Hair dryer
CN105639981B (en) * 2016-03-25 2019-01-01 中国地质大学(武汉) A kind of intelligent frequency-conversion hair drier and its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17196395A (en) * 2016-04-26 2017-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Hair Dryer
TWM532205U (en) * 2016-05-13 2016-11-21 Univ Far East Hair dryer capable of sensing hair humidity and spraying
US10405630B2 (en) * 2016-07-29 2019-09-10 Spur Concep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heat in a battery powered blow dryer
GB2553516B (en) * 2016-09-01 2020-01-08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CN108433318B (en) * 2018-03-27 2021-07-30 南京地平线机器人技术有限公司 Electric hair dr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hair d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106A (en) 2020-03-27
KR20200033100A (en) 2020-03-27
KR20200033103A (en) 2020-03-27
KR20200033128A (en) 2020-03-27
KR20200033098A (en) 2020-03-27
KR102584429B1 (en) 2023-09-27
KR20200033124A (en) 2020-03-27
KR20200033085A (en) 2020-03-27
KR20200033105A (en) 2020-03-27
KR20200033093A (en) 2020-03-27
KR20200033152A (en) 2020-03-27
KR20200033129A (en) 2020-03-27
KR20200033086A (en) 2020-03-27
KR20200033127A (en) 2020-03-27
KR20200033126A (en) 2020-03-27
KR20200033101A (en) 2020-03-27
KR20200033097A (en) 2020-03-27
KR20200033153A (en) 2020-03-27
KR20200033120A (en) 2020-03-27
KR20200033087A (en) 2020-03-27
KR20200033116A (en) 2020-03-27
KR20200033121A (en) 2020-03-27
KR20200033107A (en) 2020-03-27
KR20200033118A (en) 2020-03-27
KR102657350B1 (en) 2024-04-12
KR20200033125A (en) 2020-03-27
KR20200033122A (en) 2020-03-27
KR102548935B1 (en) 2023-06-27
KR20200033115A (en) 2020-03-27
KR20200033113A (en) 2020-03-27
KR20200033110A (en) 2020-03-27
KR20200033117A (en) 2020-03-27
KR20200033102A (en) 2020-03-27
KR20200033142A (en) 2020-03-27
KR20200033112A (en) 2020-03-27
KR102532472B1 (en) 2023-05-12
KR20200033123A (en) 2020-03-27
KR20200033109A (en) 2020-03-27
KR20200033099A (en) 2020-03-27
KR20200033141A (en) 2020-03-27
KR20200033119A (en) 2020-03-27
KR20200033146A (en) 2020-03-27
KR20200033150A (en) 2020-03-27
KR20200033104A (en) 2020-03-27
KR20200033147A (en) 2020-03-27
KR20200033114A (en) 2020-03-27
KR20200033108A (en) 2020-03-27
KR102584430B1 (en) 2023-09-27
KR20200033088A (en)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3111A (en) Dryer stand
CN110926194B (en) Dryer support
US11471010B2 (en) Dryer stan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76565B1 (en) Ceiling type air cleaner with led lighting function
KR101168913B1 (en) Electric heater with a sterilizing function and treatment function
CN215062718U (en) Large-angle upper-layer space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JP3160820U (en) Ozone generator combined with lighting
JP6748964B2 (en) lighting equipment
CN215062725U (en) Multifunctional air purifier
CN212940650U (en) Multifunctional sterilizing lamp
CN210163691U (en) Front panel structure, mask structure of disinfection lamp, main machine part and clothes airing machine
CN214016473U (en) Tooth brush
KR20130000530U (en) An air sterilizer of stand type
CN210266956U (en) Lighting lamp with built-in mirror surface
CN211260733U (en) Atmosphere lamp fragrance machine capable of heating to disperse fragrance
CN216158906U (en) LED multifunctional combined lamp
CN212080936U (en) Seat type desk lamp and seat type sterilizing lamp
CN216244151U (en) Follow-up control LED shot-light
CN216204167U (en) Floor type upper layer flat-projection multipurpose sterilizing lamp
CN211327250U (en) Breast pump with ultraviolet sterilization function and breast pump host thereof
CN214762363U (en) Portable sterilizer
KR20110024317A (en) Air purity and sterilization and dust collection function having led desk lamp
CN208595450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LED desk lamp
KR200459313Y1 (en) Ultraviolet Sterilizer for beddings
CN115823688A (en) Air disinfection machine and air disinf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