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869A - 그림자 동화 영사기 - Google Patents

그림자 동화 영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869A
KR20200032869A KR1020180112033A KR20180112033A KR20200032869A KR 20200032869 A KR20200032869 A KR 20200032869A KR 1020180112033 A KR1020180112033 A KR 1020180112033A KR 20180112033 A KR20180112033 A KR 20180112033A KR 20200032869 A KR20200032869 A KR 20200032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ack
shadow
protrusion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314B1 (ko
Inventor
이남진
Original Assignee
(주)두두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두스토리 filed Critical (주)두두스토리
Priority to KR102018011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314B1/ko
Priority to CN201822181303.4U priority patent/CN209461132U/zh
Priority to US16/242,423 priority patent/US11011067B2/en
Publication of KR2020003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869A/ko
Priority to KR1020200186073A priority patent/KR102269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1Slide proj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7Combinations of audio and projected visual presentation, e.g. film, sli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1/00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화 영상을 제공하는 그림자 동화 영사기이다.
본 발명은 외측면으로 제1렌즈모듈이 돌출된 헤드부; 제1렌즈모듈과 중첩되는 타공홀이 형성되고 헤드부와 연결되며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팩슬릿을 형성하고, 팩슬릿으로 삽입되는 팩과 치합되어 팩의 내부에 형성된 필름을 회전시키는 제1치합회전모듈, 팩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모듈, 팩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돌기모듈을 포함하는 슬릿부;
내부에 제1치합회전모듈과 연결되어 제1치합회전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모듈, 판별돌기모듈과 결합되며 팩판별신호를 발생시키고 구동모듈의 회전에 대응해 사운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사운드신호를 수신하여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모듈, 구동모듈, 제어모듈 및 스피커모듈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림자 동화 영사기{Projector of Shadow fairytale}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과 관련된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난감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동화는 어린아이의 상상력을 키우고 이해력을 넓혀 가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과거에는 입체적이고, 움직이는 그림이 있는 동화책이 많이 개발되었다. 즉, 과거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5452호와 같은 입체 책이 많이 개발되었다.
현재에는 이러한 입체 동화책에 발전하여, 동화책에 그려진 그림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운드 북이 개발되고 있다. 사운드 북은 책에 있는 그림을 아이가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사운드 북의 호응에 따라 많은 부모는 동화의 이야기와 함께 동화의 장면을 보여주고, 그 장면을 이야기 해주는 장치를 찾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5452호 (2016.05.18)
본 발명은 현재 많이 요구되고 있는 사항에 맞춘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영화처럼 동화 내용을 보여주고, 리듬감 있게 내용을 이야기 해주는 그림자 동화 영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그림자 동화 영사기는, 외측면으로 제1렌즈모듈이 돌출된 헤드부;
상기 제1렌즈모듈과 중첩되는 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며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팩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팩슬릿으로 삽입되는 팩과 치합되어 상기 팩의 내부에 형성된 필름을 회전시키는 제1치합회전모듈, 상기 팩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모듈, 상기 팩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돌기모듈을 포함하는 슬릿부;
내부에 상기 제1치합회전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1치합회전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모듈, 상기 판별돌기모듈과 결합되며 팩판별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모듈의 회전에 대응해 사운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사운드신호를 수신하여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모듈, 상기 구동모듈,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스피커모듈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팩은 상기 제1치합회전모듈과 결합되는 제2피니언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치합회전모듈은 상기 제2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제1피니언기어가 될 수 있다.
상기 판별수용홈은 복수 개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판별수용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팩판별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팩은 원판의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 부착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외주면은 상기 제2피니언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팩은 일면에 상기 고정돌기모듈을 수용하는 고정수용홈과 상기 판별돌기모듈을 수용하는 판별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용홈은 상단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테두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고정돌기모듈, 상기 판별돌기모듈 및 상기 구동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돌기모듈과 상기 판별돌기모듈의 작동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기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구동모듈에 인가해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림자 동화 영사기는 전원이 켜지면 자동적으로 그림자 영상과 리듬감 있는 사운드로 동화 이야기를 출력하며, 어린아이가 동화 이야기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의성어와 의태어 등과 같은 소리를 출력하며 어린아이가 생동감 있는 동화 이야기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자 동화 영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자 동화 영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팩슬릿에 팩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팩의 테두리부와 제1치합회전모듈과 치합되어, 팩의 필름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팩슬릿에 결합되는 다양한 실시 예의 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몸체부에 형성된 제어모듈와 연결되는 스피커모듈, 배터리 및 구동모듈 등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자 동화 영사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단지 충실 및 완전하게 하여,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상에서 표시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자 동화 영사기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자 동화 영사기의 사시도이다.
그림자 동화 영사기(1)은 영화처럼 동화 내용의 장면을 보여주고, 장면에 대해 이야기를 출력한다. 이때,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전원모듈()이 턴-온 되면, 팩슬릿(210)에 삽입된 팩(40-1~40-6)을 자동적으로 구동시키며 팩에 들어 있는 이미지를 벽 또는 천장 등에 투영하여 150초 내외로 상영할 수 있다.
특히,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영상과 함께 그림책에서 제공할 수 없는 의성어 효과음 및 의태어 효과음 등을 리듬감 있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아이에게 생생한 그림 이야기를 제공하며 아이가 보다 쉽게 동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그림자로 영상을 제공하여. 아이가 영상을 보며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헤드부(10), 슬릿부(20), 몸체부(30) 및 동화 필름을 포함하는 팩(40-1~40-6, 도 2참조)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그리고 동화 영상기(1)는 헤드부(10)에 돌출 형성된 제1거치모듈(111)과 몸체부(30)에 돌출 형성된 제2거치모듈(311) 등을 구성요소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와 전술한 도 1을 참조하여, 그림자 동화 영사기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자 동화 영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헤드부(10)는 슬릿부(20) 및 몸체부(30)와 결합되는 본 발명의 전단부이다. 이러한 헤드부(10)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하나의 제1렌즈모듈(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버튼모듈(120)이 형성되고, 하나의 전원모듈(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렌즈모듈(110)은 팩에 그려진 그림을 확대하는 렌즈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렌즈모듈(110)의 일단은 헤드부(1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슬릿부(20)의 타공홀(20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버튼모듈(120)은 슬릿부(20)에 형성된 제1치합회전모듈(21)의 회전을 구동시키는 플레이(PLAY)버튼과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STOP)버튼, 스피커모듈의 출력음의 크기 조절을 하는 볼륨조절버튼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모듈(130)은 몸체부(30)에 설치된 제어모듈(300)과 배터리(320) 간 전류경로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슬릿부(20)는 헤드부(10)와 몸체부(30) 사이에 위치한다. 슬릿부(20)는 일면이 몸체부(30)와 연결되어 몸체부(30)에 고정되고, 타면이 헤드부(10)와 연결되어 팩슬릿(210)을 형성할 수 있다.
슬릿부(20)는 팩슬릿(210) 안으로 복수 개의 팩(40-1~40-6) 중 어느 하나의 팩을 수용할 수 있다. 일례로, 슬릿부(20)는 팩슬릿(210)안으로 제1팩(40-1)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릿부(20)의 타측면에는 제1렌즈모듈(110)의 타단과 중첩되는 타공홀(200)이 형성된다. 그리고, 팩슬릿(210) 내부로 삽입되는 팩(40-1~40-6)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모듈(22), 삽입된 팩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돌기모듈(23)을 포함한다. 또한, 팩이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팩받침모듈(24)이 돌출 형성되어 팩(40-1~40-6)을 받칠 수 있다. 그리고, 슬릿부(20)의 타측면에는 슬릿부(20) 내부로 삽입된 팩(40-1~40-6)의 필름을 회전시키는 제1치합회전모듈(21)을 포함한다.
몸체부(30)는 헤드부(10)와 결합되는 본 발명의 후단부이다. 몸체부(30)는 내부에 팩 수용부를 포함하고, 팩 수용부에 복수 개의 팩(40-1~40-6)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는 내부에 제1치합회전모듈(21)과 연결되어 제1치합회전모듈(21)을 구동시키는 구동모듈(330, 도 6참조), 판별돌기모듈(23)과 결합되며 팩판별신호를 발생시키고 구동모듈의 회전에 대응해 사운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300, 도 6참조), 제어모듈(300)과 연결되어 사운드신호를 수신하여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모듈(310, 도 6참조), 구동모듈(330), 제어모듈(300) 및 스피커모듈(310)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는 배터리(320, 도 6참조)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팩슬릿에 팩이 결합되는 상태와 팩의 필름이 제1치합회전모듈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팩슬릿에 팩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팩의 테두리부와 제1치합회전모듈과 치합되어, 팩의 필름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몸체부의 팩 수용부에 수용된 복수 개의 팩 가운데 어느 하나를 슬릿부(20)에 꽂을 수 있다. 복수 개의 팩은 하단부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하단부의 일면에는 내부에 설치된 필름(420)이 보일 수 있도록 하는 홀이 형성된다. 필름(420)은 동화의 이야기 가운데 여섯 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홀(411)은 각 장면을 외부로 노출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팩(40-1) 내지 제6팩(40-6)은 슬릿부(20)에 위에서 팩받침모듈(24)에 닿을 때까지 아래로 이동하며 슬릿부(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팩(40-1) 내지 제6팩(40-6)은 일면에 형성된 고정수용홈(440)이 슬릿부(20)에 형성된 고정돌기모듈(22)에 결합되며 슬릿부(20)에 고정된다.
팩(40-1~40-6)의 내부에는 필름이 부착되고, 외주면이 피니언기어로 형성된 테두리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니언기어는 제1피니언기어가 되는 제1치합회전모듈(21)과 치합되는 제2피니언기어가 될 수 있다.
테두리부(410)는 제1피니언기어와 치합되어, 제1피니언기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테두리부(410)는 제1피니언기어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필름에 그려진 그림이 홀을 통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치합회전모듈(21)은 제어모듈(300)에 의해 작동하며 테두리부(410)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1치합회전모듈(21)의 한 번의 작동은 필름(420)에 프린팅된 장면 하나가 영상홀(411)과 중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치합회전모듈(21)과 치합되어 작동하는 테두리부(410)의 회전을 통해 필름(420)에 프린팅된 여섯 장면은 순차적으로 영상홀(411)로 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모듈(300)은 고정돌기모듈(22) 및 판별돌기모듈(23)과 연결되어 각 모듈에서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연산하여 구동모듈(330)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제어모듈(300)은 팩슬릿(210)에 팩이 삽입되면 팩의 필름(420)에 프린팅된 여섯 장면 가운데 첫 번째 장면(IM1)이 영상홀(411)에 노출되도록 제1치합회전모듈(25)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모듈(300)은 제1치합회전모듈(21)을 초기 상태로 구동시킨 후, 제1치합회전모듈(21)을 1~25초 동안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며 팩슬릿(210)에 삽입된 팩의 필름(420)의 첫 번째 장면(IM1)이 영상홀(411)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제어모듈(300)은 제1치합회전모듈(21)을 반 시계방향으로 일정량 회전시켜 필름(420)에 형성된 두 번째 장면(IM2)이 영상홀(411)과 중첩 되도록 한 후, 제1치합회전모듈(21)을 26~50초 동안 정지 상태로 유지시켜 두 번째 장면(IM2)이 영상홀(411)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어모듈(300)은 제1치합회전모듈(21)을 반 시계방향으로 일정량 회전시켜 필름(420)에 형성된 세 번째 장면(IM3)이 영상홀(411)과 중첩 되도록 한 후, 제1치합회전모듈(21)을 51~75초 동안 정지 상태로 유지시켜 세 번째 장면(IM3)이 영상홀(411)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어모듈(300)은 제1치합회전모듈(21)을 반 시계방향으로 일정량 회전시켜 필름(420)에 형성된 네 번째 장면(IM4)이 영상홀(411)과 중첩 되도록 한 후, 제1치합회전모듈(21)을 76~100초 동안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며 네 번째 장면(IM4)이 영상홀(411)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어모듈(300)은 제1치합회전모듈(21)을 반 시계방향으로 일정량 회전시켜 필름(420)에 형성된 다섯 번째 장면(IM5)이 영상홀(411)과 중첩 되도록 한 후, 제1치합회전모듈(21)을 101~125초 동안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며 다섯 번째 장면(IM5)이 영상홀(411)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후 제어모듈(300)은 제1치합회전모듈(21)을 반 시계방향으로 일정량 회전시켜, 필름(420)에 형성된 여섯 번째 장면(IM6)이 영상홀(411)과 중첩 되도록 한 후, 제1치합회전모듈(21)을 126~150초 동안 정지 상태로 유지시켜 여섯 번째 장면(IM6)이 영상홀(411)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제어모듈(300)은 제1치합회전모듈(21)을 통해 한 장면을 25초간 영상홀(411)로 노출 시키며 필름의 전체 영상 즉, 여섯 장면이 150초 동안 상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모듈(300)이 제1치합회전모듈(21)을 구동시키고, 일정시간 정시 시키는 작동은 전원모듈(130)이 턴-온 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팩슬릿(210)에 팩이 새롭게 삽입되면, 즉 고정돌기모듈 및 판별돌기모듈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신호가 턴-오프에서 턴-온이 되면, 팩의 필름(420)의 첫 번째 장면(IM1)이 영상홀(411)에 노출되도록 제1치합회전모듈(25)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제어모듈(300)은 팩이 팩슬릿(210)에 삽입되어 일부가 상영되거나 전부가 상영된 후에 다시 팩슬릿(210)에 끼워지더라도 필름(420)의 첫 번째 장면이 영상홀(411)을 통해 상영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작동은 제어모듈(300)에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팩은 서로 다른 영상 필름을 가지는 팩으로 형성될 수 있다다. 일례로, 팩은 여러 다른 영상 필름을 가진 제1팩(40-1) 내지 제6팩(40-6)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팩(40-1)은 아기 돼지 삼형제의 동화 내용이 담긴 필름을 가진 팩이 되고, 제2팩(40-2)은 미운 아기 오리의 동화 내용이 담긴 필름을 가진 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3팩(40-3)은 빨간 모자의 동화 내용이 담긴 필름을 가진 팩이 될 수 있고, 제4팩(40-4)은 브레멘 음악대의 동화 내용이 담긴 필름을 가진 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5팩(40-5)은 백설공주의 동화 내용이 담긴 필름이 가진 팩이 될 수 있고, 제6팩(40-6)은 금발머리 소녀와 곰 세마리 동화의 내용을 가진 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팩(40-1) 내지 제6팩(40-6)는 각 팩만이 독특한 형상의 판별수용홈(430)을 가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팩(40-1)에는 제1판별수용홈(430)이 형성되고, 제2팩(40-2)에는 제2판별수용홈(4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3팩(40-3)에는 제3판별수용홈(430)이 형성되고, 제4팩(40-4)에는 제4판별수용홈(4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5팩(40-5)에는 제5판별수용홈(430)이 형성되고, 제6팩(40-6)에는 제6판별수용홈(4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판별수용홈(430) 내지 제6판별수용홈(430)은 판별돌기모듈(23)과 결합된다. 판별돌기모듈(23)은 제어모듈(300)과 연결되어, 각 판별수용홈(430-1~430-6)에 의해 눌려지는 상태에 대응해 제어모듈(300)에서 서로 다른 팩판별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어모듈 그리고 제어모듈과 연결되는 스피커모듈, 배터리 및 구동모듈에 대해 설명하고, 각 모듈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몸체부에 형성된 제어모듈와 연결되는 스피커모듈, 배터리 및 구동모듈 등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어모듈(30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가 될 수 있다. 제어모듈(300)은 배터리(32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이러한 제어모듈(300)은 내부에 복수 개의 동화 이야기 그리고 복수 개의 효과음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모듈(300)은 판별돌기모듈(23)과 연결되어 판별돌기모듈(23)에 작동에 대응해 서로 다른 팩판별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어모듈(300)은 팩판별신호에 대응해 메모리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스피커모듈(310)에 전기신호로 인가하며 스피커모듈(310)을 통해 동화 이야기 및 효과음 등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모듈(300)은 팩발별신호에 대응해 제1팩의 동화 내용의 이야기 및 효과음, 제2팩의 동화 내용의 이야기 및 효과음, 제3팩의 동화 내용의 이야기 및 효과음, 제4팩의 동화 내용의 이야기 및 효과음, 제5팩의 동화 내용의 이야기 및 효과음, 제6팩의 동화 내용의 이야기 및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300)은 복수 개의 고정돌기모듈(22)과 연결되어, 팩의 회전에 따라 출력되는 고정돌기모듈(22)이 서로 다르게 가압되면, 가압된 부분에 대응해 팩의 동화 이야기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모듈(300)은 배터리(320)와 연결되는 사이에 개재되는 Low Drop Out Voltage(LDO) 모듈을 더 포함한다. Low Drop Out Voltage 모듈은 배터리(3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강하시켜 제어모듈(300)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인가 시킨다. 강하된 전압을 인가 받은 제어모듈(300)은 정전압을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모듈(300)은 출력되는 정전압을 기반으로 연결된, 엘이디(LED), 엘이디와 연결된 제1NPN 트랜지스터(Q1), 구동모듈(330) 그리고 구동모듈(330)과 연결된 제2NPN 트랜지스터(Q2), 판별돌기모듈(23) 그리고 스피커모듈(310)에 일정한 크기의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장치에 전기신호를 일정하게 인가하며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특히, 구동모듈(330)은 제어모듈(300)로부터 정전압을 인가 받아 일정한 속도로 구동하며 팩의 테두리부(4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자 동화 영사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벽(A)에 필름(420)에 프린팅된 그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헤드부(10)에 형성된 제1거치모듈(111)과 몸체부(30)에 형성된 제2거치모듈(311)에 의해 바닥에 일정각도로 세워질 수 있다. 바닥에 거치된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슬릿부(20)에 삽입된 제1팩(40-1)을 구동시키며 제1팩(40-1)에 담긴 동화 내용을 벽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벽(A)뿐만 아니라, 천장 등에도 빛을 조사하며 팩에 담긴 필름을 출력한다. 이때,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최대 25m 이내에서 벽 및 천장 등에 그림자 영상을 출력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출력되는 영상에 맞춰 “첫째 돼지가 지푸라지 집을 지었어요. 못된 늑대가 후우~, 지루라기 집이 포르르♪"와 같이 소리를 생동감 있게 출력한다.
그림자 동화 영사기(1)는 어린아이에게 생생한 동화 이야기를 들려주며 아이가 보다 집중하여 동화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그림자 동화 영사기
10: 헤드부 110: 제1렌즈모듈
111: 제1거치모듈
120: 버튼모듈 130: 전원모듈
20: 슬릿부 21: 제1치합회전모듈
22: 고정돌기모듈 23: 판별돌기모듈
24: 팩받침모듈 200: 타공홀
210: 팩슬릿
30: 몸체부 300: 제어모듈
310: 스피커모듈 311: 제2거치모듈
320: 배터리
330: 구동모듈
40-1~40-6: 제1팩 내지 제6팩 410: 테두리부
411: 영상홀
420: 필름 430: 판별수용홈
440: 고정수용홈
A: 벽 B: 그림자 영상

Claims (6)

  1. 외측면으로 제1렌즈모듈이 돌출된 헤드부;
    상기 제1렌즈모듈과 중첩되는 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며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팩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팩슬릿으로 삽입되는 팩과 치합되어 상기 팩의 내부에 형성된 필름을 회전시키는 제1치합회전모듈, 상기 팩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모듈, 상기 팩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돌기모듈을 포함하는 슬릿부;
    내부에 상기 제1치합회전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1치합회전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모듈, 상기 판별돌기모듈과 결합되며 팩판별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모듈의 회전에 대응해 사운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사운드신호를 수신하여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모듈, 상기 구동모듈,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스피커모듈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그림자 동화 영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은 상기 제1치합회전모듈과 결합되는 제2피니언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치합회전모듈은 상기 제2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제1피니언기어가 되는, 그림자 동화 영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은 서로 다른 형상의 상기 판별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판별돌기모듈은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판별수용홈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제어모듈에서 서로 다른 팩판별신호를 발생시키는, 그림자 동화 영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팩은 원판의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 부착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외주면은 상기 제2피니언기어로 형성되는, 그림자 동화 영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은 일면에 상기 고정돌기모듈을 수용하는 고정수용홈과 상기 판별돌기모듈을 수용하는 판별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용홈은 상단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테두리부를 나타내는, 그림자 동화 영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고정돌기모듈, 상기 판별돌기모듈 및 상기 구동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돌기모듈과 상기 판별돌기모듈의 작동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기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구동모듈에 인가해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시키는, 그림자 동화 영사기.
KR1020180112033A 2018-09-19 2018-09-19 그림자 동화 영사기 KR102233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33A KR102233314B1 (ko) 2018-09-19 2018-09-19 그림자 동화 영사기
CN201822181303.4U CN209461132U (zh) 2018-09-19 2018-12-24 影子童话放映机
US16/242,423 US11011067B2 (en) 2018-09-19 2019-01-08 Shadow fairytale projector
KR1020200186073A KR102269624B1 (ko) 2018-09-19 2020-12-29 그림자 동화 영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33A KR102233314B1 (ko) 2018-09-19 2018-09-19 그림자 동화 영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073A Division KR102269624B1 (ko) 2018-09-19 2020-12-29 그림자 동화 영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869A true KR20200032869A (ko) 2020-03-27
KR102233314B1 KR102233314B1 (ko) 2021-03-29

Family

ID=6804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033A KR102233314B1 (ko) 2018-09-19 2018-09-19 그림자 동화 영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11067B2 (ko)
KR (1) KR102233314B1 (ko)
CN (1) CN20946113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9002B (zh) * 2020-03-20 2021-12-07 温州大学 一种应用于教学的多媒体设备
US11796157B2 (en) * 2021-11-29 2023-10-24 Chase A. Behmke Interchangeable shadow making flashlight system
US11692680B1 (en) * 2022-09-28 2023-07-04 Shenzhen Xianzhuo Technology Co., Ltd Projection lamp and lamp hol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452A (ko) 2014-11-10 2016-05-18 한경진 입체 책
KR101796557B1 (ko) * 2016-11-07 2017-11-10 (주)피티인사이트 수면의식 그림자놀이 교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3033A (en) * 1996-09-03 1998-03-31 Coleman; Thomas J. Novelty candy holding device with a sound making device and light device
US6402326B1 (en) * 1997-01-30 2002-06-11 Daniel Bortz Fixed image projecting apparatus
US6623124B2 (en) * 2000-05-16 2003-09-23 Hal Corporation Projection type illuminating device
US6481853B2 (en) * 2000-12-11 2002-11-19 Mr. Christmas, Inc. Image projector forming rotating image
US9661869B2 (en) * 2004-10-26 2017-05-30 Pamela Saha Polariscope toy and ornament with accompanying photoelastic and/or photoplastic devices
US20080277302A1 (en) * 2007-05-11 2008-11-13 Jeongmin Yoon Confectionery container with image projection device
US10146120B1 (en) * 2018-06-07 2018-12-04 Gemmy Industries Corporation Rotation proj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452A (ko) 2014-11-10 2016-05-18 한경진 입체 책
KR101796557B1 (ko) * 2016-11-07 2017-11-10 (주)피티인사이트 수면의식 그림자놀이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314B1 (ko) 2021-03-29
US20200090535A1 (en) 2020-03-19
US11011067B2 (en) 2021-05-18
CN209461132U (zh)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314B1 (ko) 그림자 동화 영사기
US8341858B2 (en) Video device and method
JP4372385B2 (ja) 製品に関連づけられた電子ディスプレイ素材
US20100052934A1 (en) Novelty video device and method
US20100052876A1 (en) Novelty device and method
JP2005520207A (ja) 内蔵型システムとなるマイクロプロセッサ一体型デジタル媒体源、画像映写装置および音響部品
US10276052B2 (en) Audio demonstration kit
Connor Sounding out film
US20160293030A1 (en) Slides projector book device
KR102269624B1 (ko) 그림자 동화 영사기
WO2015042001A1 (en) Audio demonstration kit
KR200320364Y1 (ko) 슬라이드 북 투영기
RU2784678C1 (ru) Дет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звучивания текста
KR20050116911A (ko) 유아 지능개발용 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189220U1 (ru) Ширма для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кукольного театра
KR101256843B1 (ko) 모빌장치
KR101194589B1 (ko)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CN219872601U (zh) 播放设备
KR20080004019U (ko) 영상 복합장치
US20130254973A1 (en) System and Device for Active Hat
TWM256867U (en) Product packaging for demonstrative use of a packaged product and product using the same
Satz She recalibrates
KR200324162Y1 (ko) 롤브로마이드를 이용한 학습용 책
KR101447706B1 (ko) 우주선 형태의 별자리 학습이 가능한 조명 시계
JP2017135480A (ja) 動画観賞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