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589B1 -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 Google Patents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589B1
KR101194589B1 KR1020110039480A KR20110039480A KR101194589B1 KR 101194589 B1 KR101194589 B1 KR 101194589B1 KR 1020110039480 A KR1020110039480 A KR 1020110039480A KR 20110039480 A KR20110039480 A KR 20110039480A KR 101194589 B1 KR101194589 B1 KR 101194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lamp
motor
proj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Priority to KR102011003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2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motion-picture projection
    • G03B21/43Driving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2Overhead projectors, i.e. capable of projecting hand-writing or drawing during a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에 형성되고 내부와 연통되며 광원에 의해 표면에 상이 맺히도록 된 트레싱지(P)가 설치되는 투영부(115a)을 갖춘 영사기본체(100): 다수개의 조명등장착공(210)을 갖추고서, 영사기본체(100)에 내설되는 조명등지지대(200): 모터장착공(310)을 갖추고서, 조명등지지대(200)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모터지지대(300): 조명등장착공(210)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투영부(115a)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조명등(410)과; 외향으로 돌출되는 구동축(421)을 갖추고서, 모터장착공(310)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축(421)을 회전시키는 모터(420)와; 빛투과부(431)을 갖추고서, 구동축(421)에 설치되며, 구동축(421)과 함께 회전되어 조명등(410)으로부터 투영부(115a)로 향하는 빛을 투과 및 차단하는 회전판(430)과; 모터(420)의 구동축(421)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다이오드(440)와; 영사기본체(100)에 내설되어 조명등(410)과 모터(4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50)을 갖춘 영사기 구동유닛(400): 투영부(115a)와 회전판(430) 사이에 설치되어 조명등(41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이미지가 트레싱지(P)의 표면에 맺히도록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이미지필름(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이 별물로 제작된 영사기본체와 조명등지지대, 모터지지대, 영사기 구동유닛 및 이미지필름을 이용하여 직접 제작해보고 제작된 영사기를 실험해 봄으로서, 만드는 유익함과 더불어 영사기의 구조 및 원리에 따른 잔상효과에 대한 기본 개념을 쉽게 전달 및 이해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Education Device For Projector Using Afterimage Effect}
본 발명은 학습교구용 영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영사기본체와 영사기본체에 내설되는 영사기 구동유닛 및 이미지가 인쇄된 이미지필름을 통해 잔상효과를 이용한 영사기를 직접제작 및 실험해 봄으로서, 그 구조와 원리를 초등학생 또는 중학생들이 쉽게 체득할 수 있는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시각, 후각, 미각, 청각, 촉각 등을 매개로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이러한 정보 중 70% 이상은 시각을 통해 얻게 되는데, 인간의 눈은 사물에서 반사된 다양한 빛을 인식해 이미지를 만들고, 그러한 이미지들은 뇌에서 해석하게 된다.
일 예로서, 한쪽에는 빨간 어항 속에 물고기 그림이 있고, 반대쪽에는 어항 속에 점이 찍혀 있는 그림이 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빨간 어항 속에 물고기 그림을 지속적으로 20초 정도 주시하다가 반대쪽에 어항 속에 점을 응시하게 되면, 물고기가 어항 속에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빛의 자극이 제거된 이후에도 시각기관에 어떤 흥분상태가 지속되어 상이 남아 있는 현상을 잔상효과(Afterimage Effect)라고 한다.
이와 같이, 물체가 사라지더라도 그 물체의 상이 잠시 동안 뇌에 남아 있게 되는 잔상효과 때문에 인간의 눈은 아주 짧은 순간의 변화는 인식할 수 없으며, 첫 이미지를 보고 난 후 다음 이미지가 1/20초 이내에 비춰지게 되면 뇌에서는 두 개의 이미지를 기억하고 있다가 하나의 이미지로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다음의 이미지가 빠른 속도로 비춰지게 되면 뇌는 이러한 이미지를 모두 합성해 마치 동작을 계속하는 것처럼 인식하게 되고, 이와 같은 잔상효과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영사기이다.
일반적으로 영사기(Motion Picture Projector)라 함은, 영상필름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영사막에 비추고, 눈의 잔상현상을 이용해 운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기계장치로서, 작동을 위한 전동기와, 필름을 공급하는 릴과, 필름을 투영하는데 필요한 광원(전구)와, 영사막에 영상을 맺게 하는 광학계(반사경, 집광렌즈)와, 필름을 구동하는 기구(스프로킷, 롤러)와, 음향재생을 위한 기계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영사기의 원리 및 구조를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에게 설명한다 하더라도 평소에 아이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니므로, 이를 이해시키기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에게 영사기에 대한 원리 및 기본 개념을 쉽게 설명할 수 있는 학습교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잔상효과를 이용한 영사기를 직접제작 및 실험해 봄으로서, 만드는 재미와 더불어서 그 구조와 원리를 쉽게 체득할 수 있는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면에 형성되고 내부와 연통되며 광원에 의해 표면에 상이 맺히도록 된 트레싱지가 설치되는 투영부를 갖춘 영사기본체:
다수개의 조명등장착공을 갖추고서, 영사기본체에 내설되는 조명등지지대):
모터장착공을 갖추고서, 조명등지지대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모터지지대:
조명등장착공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투영부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조명등과; 외향으로 돌출되는 구동축을 갖추고서, 모터장착공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빛투과부을 갖추고서, 구동축에 설치되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어 조명등으로부터 투영부로 향하는 빛을 투과 및 차단하는 회전판과; 모터의 구동축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다이오드와; 영사기본체에 내설되어 조명등과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갖춘 영사기 구동유닛:
투영부와 회전판 사이에 설치되어 조명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이미지가 트레싱지의 표면에 맺히도록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이미지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이 별물로 제작된 영사기본체와 조명등지지대, 모터지지대, 영사기 구동유닛 및 이미지필름을 이용하여 직접 제작해보고 제작된 영사기를 실험해 봄으로서, 만드는 유익함과 더불어 영사기의 구조 및 원리에 따른 잔상효과에 대한 기본 개념을 쉽게 전달 및 이해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의 설치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에서 영사기 구동유닛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회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는, 영사기본체(100), 조명등지지대(200), 모터지지대(300), 영사기 구동유닛(400), 이미지필름(500)으로 구성되어, 이미지필름(500)에 인쇄된 다양한 이미지를 실험자에게 제공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영사기본체(100)는 상자모형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종이재질의 전개도로서, 일단부에 후판(160)이 일체로 형성된 하판(110)을 기준으로 좌우에 좌판(120)과 우판(1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우판(130)의 우측에는 일단부에 전판(150)이 일체로 형성된 상판(140)이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판(1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와 연통되는 필름삽입부(141), 회전판돌출부(142), 모터지지대돌출부(143), 스위치설치부(144), 가변저항돌출부(14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판(150)의 중앙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투영부(151)가 형성되며, 투영부(151)에는 트레싱지(P)가 접착수단(양면테이프, 본드, 풀 등)을 매개로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트레싱지(P)는 공지의 기름종이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각 판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90방향으로 절곡한 다음 상호 결합시켜 주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박스타입의 암실 즉, 영사기본체(100)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하판(110)의 양단에 형성된 좌판(120)과 우판(130)을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절곡하고, 우판(130)에 우측에 형성된 상판(140)을 절곡하여 하판(110)과 마주보도록 한다. 그리고, 상판(140)의 우측에 형성된 짜투리부분을 90도로 절곡한 다음 접착수단(양면테이프,본드,풀 등)을 매개로 좌판(120)의 내측면에 짜투리부분을 부착하여 내부가 전후방으로 관통된 사각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짜투리부분이 절곡된 전판(150)과 후판(160)을 절곡한 다음, 짜투리부분이 사각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사각관의 양단부를 폐쇄하면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사각박스타입의 영사기본체(100)를 도시 및 기재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공지형상을 갖는 영사기본체(100)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등지지대(200)는 각 분면에 조명등장착공(210)이 형성된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플레이트로서, 하단부를 절곡한 상태에서 영사기본체(100)에 접착수단(양면테이프, 본드, 풀 등)을 매개로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조명등장착공(210)으로 조명등(41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등지지대(200)의 하단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으로 모터(420)의 전선이 삽입관통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지지대(300)는 중앙에 모터장착공(310)이 형성된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부재로서, 영사기본체(100)에 내설되어 모터장착공(310)을 매개로 모터(4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대향되게 절곡하고, 절곡된 부분의 말단부를 외향으로 절곡하여 역‘T’자 모양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말단부의 저면을 접착수단(양면테이프, 본드, 풀 등)을 매개로 조명등지지대(20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영사기본체(100)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모터지지대(300)의 상단부는 영사기본체(100)의 상판(140)에 형성된 모터지지대돌출부(14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모터지지대(300)의 양단 중앙에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플레이트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날개편(320)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모터지지대(300)를 형성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모터지지대(3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것이라면 모두 적용실시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영사기 구동유닛(400)는 조명등(410), 모터(420), 회전판(430), 다이오드(440), 전원공급부(450)로 구성되며, 여기에 스위치(460), 가변저항(470)이 보강 구비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등(410)은 공지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er Dioie)로서, 조명등지지대(200)의 조명등장착공(210)에 각각 설치되어 전원공급을 받아 발광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선과 외향으로 돌출된 조명등(410)의 다리를 납땜을 통해 상호 접합하여 연결할 수 있겠으나, 초등학생 또는 중학생의 아이들이 납땜을 하는 과정에 손을 다칠 우려가 있으므로, 조립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측에 전선이 연결된 커넥터(C)에 조명등(410)의 다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420)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구동축(421)을 갖추고서, 모터장착공(310)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축(421)을 회전시키는 공지의 구동수단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판(430)은 외향으로 절개된 빛투과부(413)를 갖춘 불투명재질의 원판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모터(420)의 구동축(421)에 회전판(430)이 끼워져 고정되며, 구동축(421)과 함께 회전되어 조명등(410)으로부터 투영부(115a)로 향하는 빛을 투과 및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420)와 회전판(430)에 의해 이미지필름(500)에 인쇄된 다양한 이미지가 트레싱지(P)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맺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판(430)의 중앙이 모터(420)의 구동축(421)에 고정될 시 상판(140)에 형성된 회전판돌출부(142)을 뚫고 일부가 노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다이오드(440)는 모터(420)의 구동축(421)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다이오드(440)의 경우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공급부(450)는 건전지케이스(451)와 건전지(452)로 구성되며, 영사기본체(100)에 내설되어 조명등(410)과 모터(4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조명등(410), 모터(420), 회전판(430), 다이오드(440), 전원공급부(450)로 구성된 구동유닛(400)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위치(460), 가변저항(470)이 더 보강 구비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460)는 전원공급부(450)로부터 조명등(410)과 모터(4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스위치(460)는 영사기본체(100)의 상판(140)에 형성된 스위치설치부(144)에 고정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저항(470)은 조작핸들(471)을 갖추고서, 영사기본체(100)에 조작핸들(471)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모터(4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가변저항(470)은 영사기본체(100)의 상판(140) 저면에 설치되되, 실험자가 조작핸들(471)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핸들(471)은 가변저항돌출부(14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저항(470)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레이트에 의해 고정되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상부에 위치되는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접착수단(양면테이프,풀,본드 등)을 매개로 영사기본체(100)의 상판(140) 저면에 부착되도록 하였다.
상기 스위치(460)와 가변저항(470)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필름(500)은 투영부(115a)와 회전판(430) 사이에 설치되어 조명등(41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이미지가 트레싱지(P)의 표면에 맺히도록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이미지필름(500)의 OHP필름(Over Head Projector Film)으로서, 표면에 다양한 동작의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필름(500)은 쉽게 잘 구부러져 고정을 담보하기 어려움으로, 필름패드(510)에 이미지필름(500)을 부착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미지필름(500)이 부착된 필름패드(510)는 영사기본체(100)의 상판(140)에 형성된 필름삽입부(141)를 통해 투영부(115a)와 회전판(430) 사이로 용이하게 삽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경우 이미지가 인쇄된 이미지필름(500)에 대해 도시 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아무런 이미지도 인쇄되어 있지 않은 이미지필름(500) 상에 실험자가 각자 개성에 맞게 그림을 그려 본 후, 이를 영사기 구동유닛(400)의 조명등(410)과 모터(420) 및 회전판(430)을 통해 트레싱지(P)에 맺힌 자신의 그림을 투영부(151)를 통해 봄으로서, 매우 유익한 실험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a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필름(500)이 부착된 필름패드(510)를 영사기본체(100)의 상판(140)에 형성된 필름삽입부(141)에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삽입한 상태에서 영사기본체(100)의 상판(140)에 설치된 스위치(460)를 OFF에서 ON으로 전환시켜 주게 되면, 전원공급부(450)의 건전지(452)로부터 전원이 조명등(410)과 모터(420)로 전달되어, 조명등(410)에는 불이 켜지게 되고, 모터(420)는 구동축(421)을 강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421)에 고정된 회전판(430)은 구동축(421)과 함께 회전되어져 조명등(410)으로부터 투영부(151)로 향하는 빛을 투과 및 차단을 반복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430)의 빛투과부(431)가 11시 방향에 설치된 조명등(410)에 위치할 경우, 11시 방향에 설치된 조명등(410)의 불빛은 빛투과부(431)을 통해 이미지필름(500)으로 전달되지만, 나머지 7시 방향, 5시 방향, 1시 방향에 설치된 조명등(410)의 불빛은 회전판(430)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420)에 의해 회전판(430)의 빛투과부(431)에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경됨으로써, 조명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미지필름(500)에 인쇄된 각기 다른 이미지가 조명등(410)의 빛에 의해 트레싱지(P)의 표면상에 맺히게 되며, 트레싱지(P)에 맺힌 이미지를 실험자가 투영부(151)를 통해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터(420)가 너무 빠르게 회전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영사기본체(100)의 가변저항돌출부(145)로 노출된 가변저항(470)의 조작핸들(471)을 조작하여 모터(420)의 회전수를 조절하면 된다.
상기 모터(420)의 회전수는 가변저항(470)을 조작하여 1초에 6회 정도 회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트레싱지(P)에는 다양한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맺히게 되고, 이를 실험자 외부에서 볼 때에는 마치 이미지가 살아 움직이는 동적인 영상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이 별물로 제작된 영사기본체(100)와 조명등지지대(200), 모터지지대(300), 영사기 구동유닛(400) 및 이미지필름(500)을 이용하여 직접 제작해보고 제작된 영사기를 실험해 봄으로서, 만드는 유익함과 더불어 영사기의 구조 및 원리에 따른 잔상효과에 대한 기본 개념을 쉽게 전달 및 이해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영사기본체 141: 필름삽입부 142: 회전판돌출부
143: 모터지지대돌출부 144: 스위치설치부 145: 가변저항돌출부
151: 투영부 200: 조명등지지대 210: 조명등장착공
300: 모터지지대 310: 모터장착공 320: 날개편
400: 영사기 구동유닛 410: 조명등 420: 모터
430: 회전판 440: 다이오드 450: 전원공급부
451: 건전지케이스 452: 전전지 460: 스위치
470: 가변저항 471: 조작핸들 500: 이미지필름
P: 트레싱지 C: 커넥터

Claims (4)

  1. 일면에 형성되고 내부와 연통되며 광원에 의해 표면에 상이 맺히도록 된 트레싱지(P)가 설치되는 투영부(115a)을 갖춘 영사기본체(100):
    다수개의 조명등장착공(210)을 갖추고서, 영사기본체(100)에 내설되는 조명등지지대(200):
    모터장착공(310)을 갖추고서, 조명등지지대(200)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모터지지대(300):
    조명등장착공(210)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투영부(115a)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조명등(410)과; 외향으로 돌출되는 구동축(421)을 갖추고서, 모터장착공(310)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축(421)을 회전시키는 모터(420)와; 빛투과부(431)을 갖추고서, 구동축(421)에 설치되며, 구동축(421)과 함께 회전되어 조명등(410)으로부터 투영부(115a)로 향하는 빛을 투과 및 차단하는 회전판(430)과; 모터(420)의 구동축(421)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다이오드(440)와; 영사기본체(100)에 내설되어 조명등(410)과 모터(4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50)을 갖춘 영사기 구동유닛(400):
    투영부(115a)와 회전판(430) 사이에 설치되어 조명등(41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이미지가 트레싱지(P)의 표면에 맺히도록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이미지필름(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기 구동유닛(400)에는,
    전원공급부(450)로부터 조명등(410)과 모터(4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스위치(460)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기 구동유닛(400)에는,
    조작핸들(471)을 갖추고서, 영사기본체(100)에 조작핸들(471)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모터(4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가변저항(470)이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기본체(100)에는,
    이미지필름(500)을 투영부(115a)와 회전판(430) 사이에서 삽탈될 수 있도록 내부와 연통되는 필름삽입부(141)가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KR1020110039480A 2011-04-27 2011-04-27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KR101194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80A KR101194589B1 (ko) 2011-04-27 2011-04-27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80A KR101194589B1 (ko) 2011-04-27 2011-04-27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589B1 true KR101194589B1 (ko) 2012-10-25

Family

ID=4728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480A KR101194589B1 (ko) 2011-04-27 2011-04-27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48B1 (ko) * 2015-03-24 2017-05-1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형태 지각 교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063Y1 (ko) 2000-12-28 2001-05-15 남병욱 오버헤드 프로젝터의 필름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063Y1 (ko) 2000-12-28 2001-05-15 남병욱 오버헤드 프로젝터의 필름 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48B1 (ko) * 2015-03-24 2017-05-1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형태 지각 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3840A (en) Mannequin
US6997772B2 (en) Interactive device LED display
DK2809990T3 (en) SYSTEM TO PROJECT A SIMULATED LIQUID SURFACE
US20060199468A1 (en) Interactive entertainment apparatus
CN1383115A (zh) 关联于产品的电子展示工具
US20100213880A1 (en) Led light with special effects
US86519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realistic eyes
US6802755B2 (en) Light illuminated toy device
WO2018002391A1 (es) Mochila interactiva
US20080129963A1 (en) Animation by selected strobing of rotating images
WO2015092785A1 (en) Slides projector book device
KR20120023293A (ko) 레이저투광기를 이용한 광고장치
US11011067B2 (en) Shadow fairytale projector
KR101194589B1 (ko) 잔상효과를 이용한 학습교구용 영사기
US20020009701A1 (en)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enes animated by sequences of light
JP2012078730A (ja) 球面投影表示装置
JP2002544571A (ja) 動くパネル画
CA2861374A1 (en) Animated projection system
JP3770316B2 (ja) 画像表示玩具
CN107170332A (zh) 一种展示视觉暂留现象的空间网格结构演示装置
US6527607B1 (en) Luminescent kite apparatus
JP2010264240A (ja) 教育及び遊戯の機能を持つ多機能セラピー装置
US7926211B2 (en) Illuminated display with simulated motion
JP2004166771A (ja) ゲームボーイアドバンス専用導光装置
KR20110098558A (ko) 광섬유 동영상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