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019U - 영상 복합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019U
KR20080004019U KR2020070004415U KR20070004415U KR20080004019U KR 20080004019 U KR20080004019 U KR 20080004019U KR 2020070004415 U KR2020070004415 U KR 2020070004415U KR 20070004415 U KR20070004415 U KR 20070004415U KR 20080004019 U KR20080004019 U KR 200800040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ette
image
unit
sound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계화
Original Assignee
문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계화 filed Critical 문계화
Priority to KR2020070004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019U/ko
Publication of KR20080004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0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 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는 스크린상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렌즈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디스켓 삽입부, 스피커 및 조작부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상기 몸체의 디스켓 삽입부 내부에 삽입되고, 다수의 영상 정보가 입력된 원판 디스크가 내장된 영상디스켓; 상기 몸체 내부의 영상디스켓과 렌즈부 사이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디스켓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상기 렌즈부로 투사되도록 소정각도를 이루며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반사경; 상기 몸체의 디스켓 삽입부 내부에 삽입되고, 음향 정보가 입력된 IC칩이 내장되어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디스켓; 상기 몸체 내부의 디스켓 삽입부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영상디스켓의 중앙측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서보모터와 연결된 기어박스; 상기 영상디스켓과 이격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켜 영상디스켓으로 빛을 발산하는 램프부 및 IC칩이 내장되어 상기 스피커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구비되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복합장치에 의하면, 고가의 장비 추가 없이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유아에게 정서적으로 안정을 주는 편안한 영상과 함께 자장가 등의 음악을 들려주어 정서적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어린이에게 교육적 영상과 소리를 들려주어 학습용 교구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요양원이나 병원에서의 심리치료, 집중력 향상 및 장애아들을 대상으로 한 재활치료 등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구비된 렌즈부의 위치를 상부로 위치시켜 천장부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상기 렌즈부를 통해 영상 및 음향을 상부로 출력시킴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치매환자 등이 편안히 누운 상태로 영상과 음악을 감상할 수 있어 치료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몸체, 렌즈부, 영상디스켓, 기어박스, 제어부.

Description

영상 복합장치{Image Composite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복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복합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복합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11': 디스켓 삽입부,
12: 스피커, 13: 조작부,
14: 영상조작부, 15: 음향조작부,
16: 디스켓 보관부, 17: 고정부재,
20: 렌즈부, 21: 초점 조절렌즈,
22: 크기 조절렌즈, 23: 반사경,
30: 영상디스켓, 31: 원판 디스크,
32: 음향디스켓, 40: 회전기어,
50: 기어박스, 51: 제 1베벨기어,
52: 제 2베벨기어, 53: 연결기어,
60: 서보모터, 70: 회로기판,
71: 램프부, 72: 음향출력부,
80: 전원부, 90: 제어부.
본 고안은 영상 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의 디스켓 삽입부 내부에 영상 정보가 입력된 영상디스켓을 삽입하고, 영상 또는 음향 조작부를 조작하여 동시에 영상 및 음향을 다양하게 출력함으로써, 고가의 장비 추가 없이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유아에게 정서적으로 안정을 주는 편안한 영상과 함께 자장가 등의 음악을 들려주어 정서적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특히 어린이에게 교육적 영상과 소리를 들려주어 학습용 교구로도 활용할 수 있는 영상 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와 같은 영상장치는 메탈 할로이드 램프나 기타 방전등에서 발생한 광원을 렌즈로 확대하여 스크린에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가정 또는 회사 등의 장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새롭게 부각되는 홈씨어터 분야에서도 PDP나 HD TV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CRT(Cathode Ray Tube) 방식의 프로젝터 영상장치는, TV 브라운관과 같은 CRT 3개에 칼라 화상의 색상을 청색, 적색 및 녹색의 화상으로 각각 분리하여 표현한 후 3개의 렌즈를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함으로서 화상을 구현하고 있으며, 또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의 프로젝터 영상장치는, LCD를 이용한 프로젝터로서 LCD 패널상의 각 화소가 자체적인 스위치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동되며 다양한 칼라 지원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장치들의 경우, 내부 구성이 복잡하고 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별도로 고가의 장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함은 물론, 이동 및 설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몸체의 디스켓 삽입부 내부에 영상디스켓 및 음향디스켓을 삽입하고, 영상 또는 음향 조작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영상 및 음향을 다양하게 출력함으로써, 고가의 장비 추가 없이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유아에게 정서적으로 안정을 주는 편안한 영상과 함께 자장가 등의 음악을 들려주어 정서적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어린이에게 교육적 영상과 소리를 들려주어 학습용 교구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요양원이나 병원에서의 심리치료, 집중력 향상 및 장애아들을 대상으로 한 재활치료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구비된 렌즈부의 위치를 상부로 위치시켜 천장부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상기 렌즈부를 통해 영상 및 음향을 상부로 출력시킴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치매환자 등이 편안히 누운 상태로 영상과 음악을 감상할 수 있어 치료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영상 복합장치에 의하면, 일측에는 스크린상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렌즈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디스켓 삽입부, 스피커 및 조작부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상기 몸체의 디스켓 삽입부 내부에 삽입되고, 다수의 영상 정보가 입력된 원판 디스크가 내장된 영상디스켓; 상기 몸체 내부의 영상디스켓과 렌즈부 사이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디스켓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상기 렌즈부로 투사되도록 소정각도를 이루며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반사경; 상기 몸체의 디스켓 삽입부 내부에 삽입되고, 음향 정보가 입력된 IC칩이 내장되어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디스켓; 상기 몸체 내부의 디스켓 삽입부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영상디스켓의 중앙측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서보모터와 연결된 기어박스; 상기 영상디스켓과 이격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켜 영상디스켓으로 빛을 발산하는 램프부 및 IC칩이 내장되어 상기 스피커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구비되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영상디스켓 또는 음향디스켓을 다수개 보관하도록 일정 깊이를 갖는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뚜껑부를 포함하는 디스켓 보관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천장, 바닥 또는 벽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영상디스켓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초점 조절렌즈; 및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크기 조절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온·오프버튼, 실행버튼, 정지버튼이 각각 구비되는 영상조작부; 및 온·오프 버튼, 실행버튼, 정지버튼 및 선택버튼이 각각 구비되는 음향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는 상기 서보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직각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 1베벨기어 및 제 2베벨기어가 치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베벨기어와 동일축 상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연결기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전원배터리 또는 전원케이블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복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복합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복합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합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영상디스켓(30), 반사경(23), 음향디스켓(32), 회전기어(40), 기어박스(50), 회로기판(70) 및 제어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에 스크린상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렌즈부(20)가 구비되고, 타측에 한 쌍의 디스켓 삽입부(11, 11'), 스피커(12) 및 조작부(13)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외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영상디스켓(30) 또는 음향디스켓(32)을 다수개 보관하도록 일정 깊이를 갖는 수용공간부(16a)와, 상기 수용공간부(16a)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뚜껑부(16b)를 포함하는 디스켓 보관부(16)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켓 보관부(16)는, 상기 영상디스켓(30) 또는 음향디스켓(32)을 상기 수용공간부(16a) 내부에 수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뚜껑부(16b)를 개방하여 영상디스켓(30) 또는 음향디스켓(32)을 꺼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외면에는 천장, 바닥 또는 벽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17)가 더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17)는 체결수단 또는 압착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10)에 구비된 렌즈부(20)의 위치를 상부로 위치시킨 후, 천장부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상기 렌즈부(20)를 통해 영상 및 음향을 상부로 출력시킬 경우,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치매환자 등이 편안히 누운 상태로 영상과 음악 을 감상할 수 있어 치료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2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초점 조절렌즈(21) 및 크기 조절렌즈(2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초점 조절렌즈(21)는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크기 조절렌즈(22)는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형성된 조작부(13)는 영상조작부(14)와 음향조작부(1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영상조작부(14)는 온·오프버튼(14a), 실행버튼(14b), 정지버튼(14c)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음향조작부(15)는 온·오프 버튼(15a), 실행버튼(15b), 정지버튼(15c) 및 선택버튼(15d)이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영상디스켓(30)은 상기 몸체(10)의 외부로부터 디스켓 삽입부(11)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영상 정보가 입력된 원판 디스크(31)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경(23)은 상기 몸체(10) 내부의 영상디스켓(30)과 렌즈부(20) 사이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디스켓(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상기 렌즈부(20)로 투사되도록 소정각도를 이루며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음향디스켓(31)은 상기 몸체(10)의 디스켓 삽입부(11')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음향 정보가 입력된 IC칩이 내장되어 상기 조작부(13)와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13)의 조작 신호에 의해 상기 스피커(12)로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기어(40)는 상기 몸체(10) 내부의 디스켓 삽입부(11)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영상디스켓(30)의 중앙측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기어박스(50)는 상기 회전기어(40)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서보모터(6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50)의 내부에는, 상기 서보모터(60)의 축과 연결되어 직각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 1베벨기어(51) 및 제 2베벨기어(52)가 치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베벨기어(52)와 동일축 상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기어(40)와 치합되는 연결기어(5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70)은 상기 영상디스켓(30)과 이격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13)의 조작 신호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켜 영상디스켓(30)으로 빛을 발산하는 램프부(71) 및 IC칩이 내장되어 상기 스피커(12)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72)가 구비되며, 전원공급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공급부(80)는 전원배터리 또는 전원케이블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80)는 필요에 따라 가정용으로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거나, 전원배터리를 통해 충전될 수 있어 이동시에도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회로기판(70)과 상기 서보모터(60)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복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전원공급부(8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13)의 영상 조작부(14) 및 음향 조작부(13)에 형성된 각 실행버튼(14b, 15b)를 누른다.
이때, 상기 조작부(13)의 조작 신호에 의해 소정의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회로기판(70)의 램프부(71)를 통해 상기 디스켓 삽입부(11)에 삽입된 상기 영상디스켓(30) 측으로 빛을 발산하게 되며, 상기 음향출력부(72)를 통해 음향을 증폭시켜 상기 스피커(12)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음향의 출력은 내부 고정음향과 외부 입력음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내부 고정음향은 상기 음향이 저장된 IC칩이 장착된 상기 회로기판(70)을 통해 상기 스피커(12)로 출력되는 것이고, 외부 입력음향은 IC칩이 내장된 음향디스켓(32)을 통해 상기 스피커(12)로 출력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음향디스켓(32)을 상기 몸체(10)의 디스켓 삽입부(11') 내부로 삽입할 경우, 상기 조작부(13)의 음향조작부(15)를 실행시키면 상기 음향디스켓(32) 내부의 음향정보가 인식되어 상기 스피커(12)로 출력이 된다.
한편, 상기 영상조작부(14)의 실행버튼(14b)를 실행시킬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회로기판(70)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게 되고, 상기 서보모터(6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서보모터(60)의 축과 연결된 제 1베벨기어(51)가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제 1베벨기어(51)와 치합된 제 2베벨기어(52)가 회전되어 직각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베벨기어(52)와 동일축 상에 수직하게 연결된 연결기어(53)가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연결기어(53)와 치합된 회전기어(40)를 회전시키 게 된다.
이어서, 상기 디스켓 삽입부(11)에 삽입된 영상디스켓(30)은 중앙측이 회전기어(40)의 축과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램프부(71)에 의해 발산되는 빛이 회전되는 영상디스켓(30) 내부의 영상을 비추게 되고, 상기 영상디스켓(30)의 원판 디스크(31)를 통해 영상이 확대되어 상기 렌즈부(20) 측으로 투사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경(23)은 상기 몸체(10) 내부의 영상디스켓(30)과 렌즈부(20) 사이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예컨데, 상기 영상디스켓(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상측에 위치된 반사경(23)을 통해 굴절되고, 상기와 같이 굴절된 영상은 또 다른 반사경(23)을 통해 렌즈부(20) 측으로 영상을 투사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렌즈부(20)를 통해 확대된 영상이 벽이나 천장 또는 임의로 설치된 스크린 상을 비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부(20)의 초점 조절렌즈(21) 및 크기 조절렌즈(22)를 통해 영상의 초점 또는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영상장치는, 고가의 장비 추가 없이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 유아에게 정서적으로 안정을 주는 편안한 영상과 함께 자장가 등의 음악을 들려주어 정서적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특히 어린이에게 교육적 영상과 소리를 들려주어 학습용 교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복합장치에 의하면, 고가의 장비 추가 없이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유아에게 정서적으로 안정을 주는 편안한 영상과 함께 자장가 등의 음악을 들려주어 정서적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어린이에게 교육적 영상과 소리를 들려주어 학습용 교구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요양원이나 병원에서의 심리치료, 집중력 향상 및 장애아들을 대상으로 한 재활치료 등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구비된 렌즈부의 위치를 상부로 위치시켜 천장부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상기 렌즈부를 통해 영상 및 음향을 상부로 출력시킴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치매환자 등이 편안히 누운 상태로 영상과 음악을 감상할 수 있어 치료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일측에는 스크린상에 영상이 투사되도록 렌즈부(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디스켓 삽입부(11, 11'), 스피커(12) 및 조작부(13)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디스켓 삽입부(11) 내부에 삽입되고, 다수의 영상 정보가 입력된 원판 디스크(31)가 내장된 영상디스켓(30);
    상기 몸체(10) 내부의 영상디스켓(30)과 렌즈부(20) 사이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디스켓(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상기 렌즈부(20)로 투사되도록 소정각도를 이루며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반사경(23);
    상기 몸체(10)의 디스켓 삽입부(11') 내부에 삽입되고, 음향 정보가 입력된 IC칩이 내장되어 상기 조작부(13)와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12)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디스켓(31);
    상기 몸체(10) 내부의 디스켓 삽입부(11)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영상디스켓(30)의 중앙측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기어(40);
    상기 회전기어(40)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서보모터(60)와 연결된 기어박스(50);
    상기 영상디스켓(30)과 이격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13)의 조작 신호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켜 영상디스켓(30)으로 빛을 발산하는 램프부(71) 및 IC칩이 내장되어 상기 스피커(12)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72)가 구비되며, 전원공 급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70); 및
    상기 회로기판(70)과 상기 서보모터(6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는 영상 복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영상디스켓(30) 또는 음향디스켓(32)을 다수개 보관하도록 일정 깊이를 갖는 수용공간부(16a)와, 상기 수용공간부(16a)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뚜껑부(16b)를 포함하는 디스켓 보관부(16)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외면에는, 천장, 바닥 또는 벽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17)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20)는, 상기 영상디스켓(3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초점 조절렌즈(21); 및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 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크기 조절렌즈(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3)는, 온·오프버튼(14a), 실행버튼(14b), 정지버튼(14c)이 각각 구비되는 영상조작부(14); 및
    온·오프 버튼(15a), 실행버튼(15b), 정지버튼(15c), 선택버튼(15d)이 각각 구비되는 음향조작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50)의 내부에는, 상기 서보모터(60)의 축과 연결되어 직각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 1베벨기어(51) 및 제 2베벨기어(52)가 치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베벨기어(52)와 동일축 상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기어(40)와 치합되는 연결기어(5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80)는, 전원배터리 또는 전원케이블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합장치.
KR2020070004415U 2007-03-16 2007-03-16 영상 복합장치 KR200800040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415U KR20080004019U (ko) 2007-03-16 2007-03-16 영상 복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415U KR20080004019U (ko) 2007-03-16 2007-03-16 영상 복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019U true KR20080004019U (ko) 2008-09-19

Family

ID=4149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415U KR20080004019U (ko) 2007-03-16 2007-03-16 영상 복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0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11Y1 (ko) * 2013-03-22 2014-12-05 (주)재능이아카데미 휴대 가능한 아동용 프로젝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11Y1 (ko) * 2013-03-22 2014-12-05 (주)재능이아카데미 휴대 가능한 아동용 프로젝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5175B2 (en) Image projecting light bulb
JP2005520207A (ja) 内蔵型システムとなるマイクロプロセッサ一体型デジタル媒体源、画像映写装置および音響部品
CN102484688A (zh) 多媒体投影管理
US20030002016A1 (en) Projecstor
ES2636782B1 (es) Sistema para proyectar contenidos audiovisuales inmersivos
US20120079555A1 (en) System for screen dance studio
CN104581314B (zh) 一种病床智能互动迷你演播间
JP2004015332A (ja)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102444298B (zh) 屏幕舞蹈房系统
KR101422001B1 (ko)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ES2700676T3 (es) Sistema de demostración de productos y procedimiento para utilizar el mismo
KR102233314B1 (ko) 그림자 동화 영사기
US20050012909A1 (en) Projection system with flexible orientation
KR20080004019U (ko) 영상 복합장치
CN105717994A (zh) 穿戴式智能设备
CN107532794A (zh) 照明装置
JP3742761B2 (ja) 投写装置付き教卓
JP4814606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CN111629287A (zh) 投影本体模组、智能音箱、信息显示方法及存储介质
KR20080075640A (ko) 네 방향 프로젝터
CN106205241A (zh) 多功能地理教学设备
JP2005315994A (ja) 講演装置
CN207332379U (zh) 全息音响体验室
JPH10104551A (ja) 体感型立体表示構造物
CN220707165U (z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