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833A - 지중 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지중 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833A
KR20200031833A KR1020180110785A KR20180110785A KR20200031833A KR 20200031833 A KR20200031833 A KR 20200031833A KR 1020180110785 A KR1020180110785 A KR 1020180110785A KR 20180110785 A KR20180110785 A KR 20180110785A KR 20200031833 A KR20200031833 A KR 20200031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veyor
underground
main body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285B1 (ko
Inventor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18011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2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2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conveyors arranged above the siev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측판이 하나 이상의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본체; 상기 이송 공간의 전방 하부에서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지중 작물을 채굴하고 이를 이송 공간으로 전달하는 채굴판; 상기 이송 공간에서 상기 채굴판의 후단과 연계되도록 장착되어 채굴판으로부터 채굴된 지중 작물을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하여 낙하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본체의 후방으로 낙하하는 지중 작물을 밭이랑 상에 안착시키는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지중 작물과 함께 채굴되는 흙, 돌 등의 이물이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과정에서 보다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안착수단을 마련하여 지중 작물이 수확기의 후방에 안착될 수 있게 되어 작물 수거에 따른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지죽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작물 수확기{Underground crop harvester}
본 발명은 지중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 작물이 수확기의 후방에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지중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작물은 뿌리가 땅속에서 덩어리로 생성되어 영양분을 저장하는 괴근작물과 줄기가 덩어리로 땅속에서 생성되는 괴경작물을 포함한다. 괴근작물에는 고구마가 있고, 괴경작물에는 감자가 있다.
지중 작물은 지면을 호미와 같은 농기구로 지면을 파내어 수확할 수 있다. 작물의 재배면적이 소규모일 경우에는 적은 노동력으로 쉽게 수확할 수 있지만, 대규모 재배에 있어서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한 수확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지중 작물 수확장치는 구근의 채굴을 위해 지중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삽날부 및 삽날부의 후방영역에 삽날부에 의해 채굴된 흙 및 구근을 후방의 지상으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송 컨베이어는 삽날부에 의해 제공된 구근을 흙으로부터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를 가지는 무한궤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방향을 따라 삽날부에 인접된 영역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지중 작물 수확장치는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의 후방영역에 결합되고, 견인차량이 전진함에 따라 삽날부가 지중으로 소정 깊이로 경사지게 삽입된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흙 및 구근이 삽날부에 의해 후방영역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된 흙 및 구근은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에 재치되고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흙이나 작은 돌 등의 이물은 로드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지상으로 낙하하여 분리된다. 여기서, 구근은 후방 영역으로 이송되어 장치의 양측으로 낙하하여 진행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그러나 낙하하는 지중 작물들은 봉긋하게 돌출되는 밭이랑 영역에 낙하할 경우 일정한 위치에 낙하하지 못하고 밭고랑 영역 등으로 구르거나 이탈하여 이들을 별도로 수집해야 하는 인력(人力)이 추가로 소모됨과 아울러 작업시간이 더 소요되어 전체으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64387호(2002.12.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 작물과 함께 채굴되는 흙, 돌 등의 이물을 컨베이어에서 보다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지중 작물이 수확기의 후방에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지중 작물 수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작물 수확기는 이송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측판이 하나 이상의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본체; 상기 이송 공간의 전방 하부에서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지중 작물을 채굴하고 이를 이송 공간으로 전달하는 채굴판; 상기 이송 공간에서 상기 채굴판의 후단과 연계되도록 장착되어 채굴판으로부터 채굴된 지중 작물을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하여 낙하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본체의 후방으로 낙하하는 지중 작물을 밭이랑 상에 안착시키는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착수단은, 한 쌍의 상기 측판 내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지중 작물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 및 낙하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베이어의 중심부에 모이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본체의 후단 하부에 구성되어 본체의 이동시 밭이랑을 평탄화시키는 평탄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과 나란한 구조로 상기 측판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과 예각구조로 연결되며 그 후단부가 상기 컨베이어의 후단보다 돌출되는 안내판; 및 상단부는 상기 안내판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에 밀착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길이가 긴 탄성재질의 제 1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가이드부; 및 상기 안내판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 하측으로 연장되는 고정판; 일단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평탄화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탄성재질의 제 2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한 쌍의 상기 제 2가이드판은 하단부로 갈수록 상호 간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평탄화부는 절곡지점이 상기 본체의 선단을 향하도록 'V'자 형태로 구성되며, 그 양단 간 간격은 한 쌍의 상기 제 2가이드판의 하단 간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탄화부는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써, 상기 결합판과 안내판은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상호 간 각도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결합판과 안내판의 각 선단을 힌지구조로 결합하는 힌지부재; 상기 결합판과 안내판의 각 후단 간을 연결하는 탄성부재; 상기 결합판과 안내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판과 안내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조절부재; 및 상기 각조절부재를 상기 결합판에 착탈시키는 착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지중 작물 수확기는 지중 작물과 함께 채굴되는 흙, 돌 등의 이물이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과정에서 보다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안착수단을 마련하여 지중 작물이 수확기의 후방에 안착될 수 있게 되어 작물 수거에 따른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작물 수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작물 수확기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안착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이드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평탄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가이드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작물 수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작물 수확기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안착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이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평탄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가이드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작물 수확기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채굴판(20), 컨베이어(30) 및 안착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어 트랙터의 이동에 따라 지중 작물을 수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공간(100)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측판(110)과 상기 측판(1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측판(110) 간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선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와 연결되도록 하나 이상의 견인링크(13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채굴판(20)은 상기 이송 공간(100)의 전방 하부에서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10)의 이동에 따라 지중 작물을 채굴하고 이를 이송 공간(10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전방이라 함은 본체(10)가 트랙터에 견인되어 진행하는 방향을 뜻하며,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 방향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 구성들의 선단 및 후단이라 함은 본체(10)가 진행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진행방향의 가장 앞 부분을 선단, 진행방향의 가장 뒷부분을 후단이라 정의한다.
이어서, 상기 컨베이어(30)는 상기 이송 공간(100)에서 상기 채굴판(20)의 후단과 연계되도록 장착되어 채굴판(20)으로부터 채굴된 지중 작물을 이송 공간의 후방으로 이송하여 본체(10)의 후방에 낙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30)에는 상기 지지대(120)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이송바(31)가 채굴되는 작물들을 이송 공간(100)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순환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데,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바(31)는 상기 본체(10)의 전방 하부와 후방 상부에 각각 한 쌍이 마주보고 배치되는 스프로킷(부호 미도시)에 맞물려 각각 순환운동을 하는 한 쌍의 체인(부호 미도시) 간을 연결하되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이송바(31)들은 체인의 순환운동에 연동함으로써 채굴판(20)에 의해 채굴된 작물들을 이송바(31) 간 이격된 사이에 안착되어 본체(10)의 후방으로 이송하여 낙하시킬 수 있으며, 이송바(31)의 사이 공간보다 작은 흙이나 자갈 등과 같은 이물은 컨베이어(30)의 하부로 낙하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 설치되는 이송바(31)들의 사이 간격은 작물의 크기보다 좁으며 흙이나 자갈의 크기 보다는 넓게 구성시킴이 타당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컨베이어(30)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진동수단(50)이 마련될 수 있는 바, 상기 진동수단(50)에 의해 컨베이어(30)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채굴판(20)으로부터 채굴된 덩어리진 흙이나 돌과 같은 이물이 이송바(31)들 간 간격을 통해 원활히 낙하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진동에 의해 채굴된 작물에 고착된 흙 등과 같은 이물이 분리될 수 있는 능동적인 분리작용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보다 후단부가 높게 배치됨으로써, 이송되는 지중 작물들이 본체(10)의 후방으로 낙하할 때, 후방측으로 팅겨 나가지 않고 수직 하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체(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에 연결되는 트랙터 등과 같은 견인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140)을 마련하여 상기 컨베이어(30)에 동력원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수단(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30)에 의해 본체(10)의 후방으로 낙하하는 지중 작물이 낙하하는 지점에서 벗어나지 않게 즉, 밭이랑 상에 안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안착수단(4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안착수단(4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41) 및 평탄화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가이드부재(41)는 도 3에서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측판(110)의 내측면에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 지중 작물이 상기 컨베이어(3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후방으로 이송 및 낙하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30)의 중심부에 모이도록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재(41)는 제 1가이드부(410) 및 제 2가이드부(4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가이드부(4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411), 안내판(412) 및 제 1가이드판(413)을 포함하는 바, 상기 결합판(411)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30)의 상면과 나란한 구조로 상기 측판(1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안내판(412)은 상기 결합판(411)과 예각구조로 연결되어 상호 간 'V'형태를 취하며 그 후단부가 상기 컨베이어(30)의 후단보다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가이드판(413)은 그 상단부가 도면에서와 같이 볼트 너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안내판(412)에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컨베이어(30)의 상면에 밀착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길게 구성되어 컨베이어(30)의 후방측으로 갈 수록 한 쌍의 제 1가이드판(413) 간 간격이 좁아지므로 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되는 지중 작물이 컨베이어(30)의 중심으로 모아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가이드판(413)은 고무판과 같은 탄성재질로 마련하여 컨베이어(30)에 그 하단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컨베이어(30)의 구동이 원활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가이드부(41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416) 및 제 2가이드판(41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판(416)은 상기 안내판(412)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의 후방 하측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가이드판(417)은 탄성재질로서 그 일단이 상기 고정판(416)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평탄화부(42)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 2가이드판(417)은 도면에서와 같이 그 하단부로 갈수록 상호 간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하여 낙하하는 지중 작물이 중심부로 모아질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평탄화부(42)는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단 하측에 구성되어 본체(10)의 이동시 밭이랑을 평탄화시켜 낙하하는 작물이 밭이랑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평탄화부(42)는 'V'자 형태로 마련되며 뾰족한 절곡지점이 상기 본체(10)의 선단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양단 간 간격은 한 쌍의 상기 제 2가이드판(417)의 하단 간 간격보다 크게 마련하여, 제 2가이드판(417)에 가이드되어 낙하하는 지중 작물들이 평탄화부(42)에 의해 평탄하게 다져진 영역에 안착하여 밭고랑 등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중 작물(C)들은 밭이랑과 밭고랑으로 개간된 토양 중 밭이랑 속에서 재배되고 수확시, 수확기는 밭이랑을 따라 전진하면서 채굴되는 작물을 밭이랑 상에 낙하시키게 되는 바, 상대적으로 볼록한 구조를 취하는 밭이랑 상에 낙하하는 감자 등과 같은 둥근 형태의 지중 작물(C)들은 도 5a에서와 같이 낙하하면서 밭고랑 등으로 굴러 떨어지는 등 밭이랑으로부터 이탈하기 쉬어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별도의 수집 작업 추가적으로 실시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즉, 지중 작물(C)의 수확시,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후방 하측에 구성되는 평탄화부(42)에 의해 도 5b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돌출하는 평탄화부(42)의 하단 높이에 대응되게 밭이랑을 평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평탄화부(42)가 'V'자 형태로 전방은 뾰족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도 5b에서와 같이 평탄화부(42)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뾰족한 절곡지점에 의해 밭이랑은 평탄화부(42)의 하단 높이에 대응하는 평탄면(F)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의 평탄화부(42)에 의해 평탄면(F)보다 높게 위치하여 평탄화부(42)에 의해 다져진 토양은 양측면으로 밀려나 밭이랑의 양측에는 평탄면(F)보다 높게 돌출부(E)를 형성시키게 되므로 도 5c에서와 같이 낙하하는 지중 작물(C)들이 밭이랑 상에 모두 안정적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형성된 돌출부(E)에 의해 밭이랑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평탄화부(42)는 높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밭이랑과 밭고랑의 높이 차 및 작업 환경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한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탄화부(42)와 상기 측판(110) 사이에 고정프레임(422)과 고정바(421)가 개재되어 이들이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고정프레임(422)은 한 쌍이 이격되는 측판(110)의 후단 하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421)는 그 양단이 한 쌍의 고정프레임(422)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고정프레임(422)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장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판(110)과의 결합시 형성된 장공의 길이 만큼 상기 평탄화부(42)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이송되는 지중작물의 크기, 무게, 개수 및 종류 등에 따라 상기 결합판(411)과 안내판(412)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본체(10)의 하부로 낙하는 지중 작물(C)이 넓은 영역에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중심부에 더욱 모이도록 하여 작물 수확에 따른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판(411) 및 안내판(412)은 각도조절수단(450)에 의해 상호 간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각도조절수단(450)은 힌지부재(451), 탄성부재(452), 각조절부재(453) 및 착탈부재(4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힌지부재(4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판(411)과 안내판(412)의 선단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힌지부재(451)에 의해 상기 결합판(411)과 안내판(412)은 상호 회동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52)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판(411)과 안내판(412)의 각 후단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452)는 결합판(411)과 안내판(412) 사이에서 항상 인력(引力)이 작용하도록 하여 결합판(411)과 안내판(412) 간 형성 각도를 유지시켜 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되는 지중작물의 진행이 차단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조절부재(453)는 상기 결합판(411)과 안내판(41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판(411)과 안내판(412)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조절부재(453)가 결합판(411)과 안내판(412)의 사이에서 그 선단과 후단을 향해 전진 및 후진함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결합판(411)과 안내판(412) 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조절부재(453)의 양측면 중 상기 결합판(411)을 향하는 면은 결합판(411)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안내판(412)을 향하는 면은 선단면을 향해 좁아지는 경사면(부호 미도시)으로 구성되어 경사구조인 결합판(411)과 안내판(412)과의 밀착면 증가로 인한 구조적 안정성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부재(454)는 상기 각조절부재(453)를 상기 결합판(411)에 착탈시키는 수단이다.
일례로써 상기 착탈부재(454)는 그 일면이 상기 결합판(411)을 향하는 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면이 상기 결합판(411)에서 볼트 너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판(411)에는 일정 간격마다 복수의 볼트공(미도시)을 형성시켜 상기 착탈부재(454)가 상기 결합판(411)의 일정지점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써, 상기 착탈부재(454)는 그 일면이 상기 결합판(411)을 향하는 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착탈부재(454)의 재질을 마그네틱으로 마련하여 각조절부재(453)를 강재질로 구성되는 결합판(411)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되며, 결합판(411) 상에서의 그 위치제어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채굴판(20)의 후단에는 복수의 배출홈(22)이 형성된 회동판(21)이 컨베이어(30)를 향해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회동판(21)은 컨베이어(30)의 작동 시, 이송바(31)에 타격되도록 하여 회동판(144)에 지속적인 진동을 발생시켜 회동판(144) 상에 인입되는 흙과 자갈 등이 진동에 의해 어느 정도 배출홈(145)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본체 20 : 채굴판
30 : 컨베이어 40 : 안착수단
41 : 가이드부재 42 : 평탄화부
410 : 제 1가이드부 415 : 제 2가이드부

Claims (7)

  1. 이송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호 나란히 이격되는 한 쌍의 측판이 하나 이상의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본체;
    상기 이송 공간의 전방 하부에서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지중 작물을 채굴하고 이를 이송 공간으로 전달하는 채굴판;
    상기 이송 공간에서 상기 채굴판의 후단과 연계되도록 장착되어 채굴판으로부터 채굴된 지중 작물을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하여 낙하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본체의 후방으로 낙하하는 지중 작물을 밭이랑 상에 안착시키는 안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작물 수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수단은,
    한 쌍의 상기 측판 내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지중 작물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 및 낙하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베이어의 중심부에 모이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본체의 후단 하부에 구성되어 본체의 이동시 밭이랑을 평탄화시키는 평탄화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작물 수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과 나란한 구조로 상기 측판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과 예각구조로 연결되며 그 후단부가 상기 컨베이어의 후단보다 돌출되는 안내판; 및 상단부는 상기 안내판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에 밀착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길이가 긴 탄성재질의 제 1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가이드부;
    상기 안내판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 하측으로 연장되는 고정판; 일단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평탄화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탄성재질의 제 2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가이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작물 수확기.
  4. 제 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 2가이드판은 하단부로 갈수록 상호 간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작물 수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부는 절곡지점이 상기 본체의 선단을 향하도록 'V'자 형태로 구성되며, 그 양단 간 간격은 한 쌍의 상기 제 2가이드판의 하단 간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작물 수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부는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작물 수확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과 안내판은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상호 간 각도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결합판과 안내판의 각 선단을 힌지구조로 결합하는 힌지부재;
    상기 결합판과 안내판의 각 후단 간을 연결하는 탄성부재;
    상기 결합판과 안내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판과 안내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조절부재;
    상기 각조절부재를 상기 결합판에 착탈시키는 착탈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작물 수확기.



KR1020180110785A 2018-09-17 2018-09-17 지중 작물 수확기 KR102127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785A KR102127285B1 (ko) 2018-09-17 2018-09-17 지중 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785A KR102127285B1 (ko) 2018-09-17 2018-09-17 지중 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833A true KR20200031833A (ko) 2020-03-25
KR102127285B1 KR102127285B1 (ko) 2020-06-29

Family

ID=7000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785A KR102127285B1 (ko) 2018-09-17 2018-09-17 지중 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2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2Y1 (ko) * 2000-06-02 2000-10-16 송병우 농산물 채취기
KR100364387B1 (ko) 2000-06-26 2002-12-12 김재근 지중작물 채취기
KR101669615B1 (ko) * 2016-03-29 2016-10-27 정다운 지중 작물 수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2Y1 (ko) * 2000-06-02 2000-10-16 송병우 농산물 채취기
KR100364387B1 (ko) 2000-06-26 2002-12-12 김재근 지중작물 채취기
KR101669615B1 (ko) * 2016-03-29 2016-10-27 정다운 지중 작물 수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285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942B1 (ko) 구근류 수확장치
KR101669615B1 (ko) 지중 작물 수확장치
CN103314698B (zh) 分级式薯类联合收获机
KR101323850B1 (ko) 뿌리작물 수확장치
WO2021092982A1 (zh) 一种小型马铃薯联合收获机
KR102005430B1 (ko) 수집형 감자 수확기
CN103947366A (zh) 一种西洋参切秧收获机
KR20100034610A (ko) 진동장치를 구비한 땅속작물 수확기
KR20190048066A (ko)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CN114600619B (zh) 一种分段式根茎收获装置
CN103858581B (zh) 一种马铃薯收获机
CN105009777B (zh) 一种振动铲生姜挖掘与生姜三级筛土清洁机构
KR102127285B1 (ko) 지중 작물 수확기
RU144488U1 (ru) Картофелекопатель
KR20140032592A (ko) 땅속작물 수확기
KR20180072141A (ko) 알뿌리 작물 수확기
JP6115984B2 (ja) 農作業機
WO2021049411A1 (ja) 鱗茎野菜収穫機
KR20230030796A (ko) 뿌리작물 수확기
US20180325008A1 (en) A sieve and a device for picking stones from soil
Gulati Design and development of two row tractor operated potato combine harvester
CN206658487U (zh) 甘草收获机
KR102249157B1 (ko) 구근작물 수확기
CN206227001U (zh) 一种多行大葱收获机的汇集装置
RU129346U1 (ru) Картофелеуборочная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