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758A -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758A
KR20200031758A KR1020180110592A KR20180110592A KR20200031758A KR 20200031758 A KR20200031758 A KR 20200031758A KR 1020180110592 A KR1020180110592 A KR 1020180110592A KR 20180110592 A KR20180110592 A KR 20180110592A KR 20200031758 A KR20200031758 A KR 20200031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lymph
pain
lymph circulation
ede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502B1 (ko
Inventor
류형준
Original Assignee
류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형준 filed Critical 류형준
Priority to KR102018011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5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0Aceraceae (Map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Abstract

체내에서의 림프 순환을 촉진하여 세포 주변의 환경을 개선하고 세포의 대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도록 돕는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메이플시럽, 죽력, 메틸설포닐메탄(MSM) 및 사탕수수당밀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한다.

Description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COMPOSITION FOR LYMPHOKINESIS FACILITATOR}
본 발명은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체내 림프순환을 촉진하여 세포 주변의 환경을 개선하고 세포의 대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도록 돕는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수많은 임상 경험을 통하여, 병에 잘 안 걸리는 몸 상태를 만들고 유지하는 방법과 병에서 빨리 벗어나는 방법은 대부분 동일하며, 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라고 판단하기에 이르렀다.
첫째, 림프순환 촉진이다. 혈액순환과 림프순환을 중심으로 한 체액순환을 통한 원활한 물질 교환이다. 특히 운동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림프순환부족증과 림프순환촉진의 효과를 밝혀서 지금까지 크게 주목받지 못한 림프순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원활한 림프순환은 평소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도, 질병을 예방하는 데에도, 그리고 병을 이겨내는 데에도 모두 필요한 무병장수의 핵심 사항이다.
둘째,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면역력(저항력) 및 이들의 퇴치이다. 바이러스, 세균, 진균, 모낭충 등의 병원성 미생물의 퇴치이다. 특히 현대의학이 아직까지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대응하지 못하는 바이러스에 관한 문제이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과 병행하여 광범위 효과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고, 그동안 임상 예들을 통해, 현대의학에서 제대로 된 치료법을 제시하지 못하는 많은 질환들 중 대부분이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인해 발병한다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병을 이기는 방법으로 바이러스의 퇴치가 핵심이고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셋째, 정상적인 이담건위작용의 유지이다. 이담건위작용은 정상적인 소화기능의 회복뿐 아니라 담즙배출과 함께 일어나는 체내 독성물질의 배출이다. 이는 급격히 악화 되는 증상에서 체내의 독성물질을 빠르게 배출하게 하여 증상의 안정에 많은 도움을 준다.
넷째, 부신피질의 기능 회복이다. 부신피질의 기능회복에 따른 호르몬계의 기능회복이다. 부신피질호르몬은 30여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인체에서 30여종의 중요한 일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부신피질의 기능회복은 부신피질호르몬의 합성을 촉진하여 30여종의 중요한 신체 기능이 정상적으로 회복되게 한다.
다섯째, 신경계의 기능 회복이다. 중추신경계의 안정과 기능회복이다. 인체의 최고의 조절기관인 중추신경계의 기능회복은 육체적인 기능과 정신적인 기능을 동시에 회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경계의 기능 회복을 통해, 아직 까지 해결하지 못했던 많은 질환에서 치유되는 길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 가운데 특히 림프순환을 촉진하여 세포 주변의 환경을 개선하고 세포의 대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도록 돕는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액순환은 혈액순환과 림프순환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체내의 물리적인 물질순환을 담당한다. 혈액순환은 심혈관계를 중심으로 체내 물질순환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림프순환은 림프계를 중심으로 심혈관계의 물질순환을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림프계는 림프액, 림프관, 림프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조직 사이에 과도하게 존재할 수 있는 체액을 심장으로 되돌리는 체액순환의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또 조직으로부터 세포대사를 마친 후 남은 노폐물과 모세혈관을 통과하지 못하는 분자량이 큰 지방이나 단백질 등과 같은 세포 대사물들을 대정맥을 통해 혈액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부에 인접한 모세 림프관은 가벼운 피부손상에도 쉽게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되기 쉬운 구조를 갖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림프절은 림프액에 있을지 모를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이나 세포 찌꺼기 등을 여과하는 작용을 하며 면역세포인 림프구를 생산하여 질병에 대항하고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기능에도 크게 관여한다. 모세림프관은 모세혈관과 인접해서 존재하며 전신에 분포되어 있다. 조직에 있는 조직액은 모세림프관으로 들어가면서 림프액이 된다. 체액이 림프관으로 들어갈 때는 모세혈관과 달리 막을 통하는 것이 아니라 모세림프관 끝에 있는 작은 구멍들을 통과하면 된다. 따라서 모세혈관의 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분자량이 큰 물질도 쉽게 통과할 수 있어 조직액의 성분들이 대부분 림프액에 포함된다. 모세림프관의 끝부분은 림프관으로 들어온 체액이 빠져나가기 힘든 구조로 되어 있다. 림프액의 구성은 조직액과 비슷하여 물과 죽은 세포, 지방과 단백질, 염분, 당, 요소, 그리고 림프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림프관은 림프액을 조직에서 대정맥까지 운반하는 통로이다. 또 위치에 따라 피부와 근막 사이에 있는 천부 림프관과 근막아래 위치한 심부 림프관으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천부 림프관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천부 림프관은 림프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위치상 물리적으로 피부를 자극하는 림프마사지를 통한 림프순환 촉진이 가능하다. 림프액의 이동은 주로 림프관에 있는 판막과 근육의 수축 이완 운동이 연계하여 생기는 작은 동력에 의해 일어난다. 근육이 수축하면 부분적으로 굵어진 근육에 의해 림프관이 눌리면서 림프관 내부의 부피가 줄어든다. 이때 림프액은 줄어든 림프관의 부피만큼 판막에 의해 막힌 원위부로 가지 못하고 근위부(심장부근)로 이동한다. 반대로 근육이 이완되면 부분적으로 가늘어지면서 눌렸던 림프관이 회복되면서 림프관 내부의 부피가 늘어난다. 이때 늘어난 부피만큼 림프액이 보충되어야 하는데 판막으로 막히는 근위부(심장부근)에서 오지 못하고 원위부에서 이동하여 채우게 된다. 따라서 판막의 한 구간은 근육의 운동에 따라 림프순환을 돕는 작은 심장과 같은 펌프 역할을 한다. 또 이러한 작은 펌프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팔과 다리와 같은 긴 구간의 근육운동은 강력하게 림프액의 이동을 촉진하는 동력원으로 작용한다. 모세혈관보다도 피부에 근접해 있는 모세림프관은 구조상 피부의 가벼운 손상에도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되기 쉬운 곳에 위치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림프관이 대정맥에 도달하기 전에 림프절이 존재한다. 림프절은 그물상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부의 그물상 구조가 잘 막힐 수 있어서 근육의 움직임이 많거나 큰 부위인 귀 밑, 혀 밑,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주로 분포한다. 림프절은 병원체에 의한 침입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림프구를 생산하고, 혈액으로 돌아가기 전의 림프액에 있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 그리고 죽은 세포와 노폐물 등을 걸러서 분해하고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림프액의 이동은 조직액이 모세림프관으로 들어가면서부터 시작된다. 모세 림프관이 합쳐져서 림프관을 형성하고 림프관에는 정맥처럼 림프액의 역류를 막아주고 림프액의 순환 동력을 만드는 판막이 있다. 다시 림프액은 미생물의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림프절을 통과하고 대정맥에서 혈액과 합쳐지면서 림프액의 경로는 끝난다. 따라서 림프순환은 손끝, 발끝, 머리끝에서 시작하여 심장을 향해 진행하다가 각각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귀밑과 혀 밑 등에서 림프절을 통과하면서 병원성 미생물과 노폐물들을 걸러내고 대정맥과 합쳐지면서 대정맥으로 들어가 혈액이 된다.
이와 같이, 림프계는 심혈관계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체액순환을 도와주는 보조 순환계이다. 모세혈관과 조직 사이에서 물질이 교환될 때 구조적으로 모세혈관에서 조직으로 나오는 체액의 양은 조직에서 모세혈관으로 들어가는 양보다 항상 많다. 이때 남아도는 체액이 그대로 쌓이면 조직에 부종이 생기고 정수압은 증가 된다. 또 혈액은 부족해진 체액들로 인해 수분을 잃어서 건조하고 끈끈해진다. 만약 이러한 현상들이 개선되지 못하고 지속 되면 심각한 체액순환 장애를 야기하게 되어 많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림프계는 조직에서 대정맥까지 체액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림프관으로 조직에 쌓여있는 체액들을 대정맥까지 이동할 수 있게 하여 그러한 불균형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림프순환은 몸 안 구석구석 정체된 체액을 모아 대정맥을 통해 혈액으로 돌려보내는 기능으로 그 과정에서 노폐물의 배출은 촉진하고 필요한 것은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 내의 리사이클 역할을 한다. 단순히 체액순환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림프순환보다 혈액순환이 중요하지만 세포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환경의 관점에서 보면 직접적으로 조직액의 순환에 관여하는 림프순환이 혈액순환보다 더 중요한 면이 있다. 림프순환은 먼저 심혈관계의 혈액순환을 도와 세포에 필요한 물질인 영양분, 수분, 산소, 호르몬 등의 공급을 촉진하고, 동시에 조직이나 세포에 쌓여있는 노폐물, 독성물질, 염증물질 등을 빠르게 제거하여 세포가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돕는다. 이는 몸 안에 있는 영양분과 산소를 세포가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즉각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또 섭취하는 약이나 음식물의 흡수를 돕고 필요한 부위로 빠르게 전달하여 효과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림프순환은 세포가 활동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조성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며 이는 인체가 건강하게 활동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필요한 에너지를 스스로 만들어 생활하므로 움직일 필요성이 적다. 하지만 동물은 필요한 에너지를 스스로 만들지 못하여 이미 만들어진 에너지원을 가진 다른 동물이나 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따라서 먹이가 되는 다른 식물이나 동물에 우선 도달해야 하는 움직임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움직임을 위해 많은 기관들이 만들어지고 활용된다. 또 이러한 움직임은 체액순환을 촉진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정맥 혈관과 림프관에 존재하는 판막구조를 보면 움직임 자체가 체액순환을 촉진하도록 진화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활동은 교통수단이 발달하고 음식물의 섭취가 용이 해 짐으로써 생존을 위해 움직여야 하는 운동량이 이전 시대보다 훨씬 줄어들게 되었다. 이로 인한 절대적인 운동량의 부족은 움직임에 따른 근육운동이 담당하였던 체액순환의 절대적인 부족을 가져왔다. 특히 심장이라는 동력기관이 있는 심혈관계와는 달리 심장과 같은 동력원이 없으면서 근육의 움직임으로 생기는 잉여의 작은 동력만을 순환에너지로 활용하는 림프순환에서 체액순환의 부족은 매우 심각하여 건강상 커다란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림프순환 장애는 조직에 쌓인 체액이 림프순환을 통해 혈액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조직에 남아있는 것이므로 국소적 혹은 전신적인 부종을 유발한다. 이러한 부종이 단기간이면 큰 문제가 아니지만 장기간 지속 되면 해당부위의 대사기능을 저하시켜 많은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근육운동이 림프순환의 유일한 동력임을 감안하면 운동부족으로 생길 수 있는 모든 증상이 림프순환장애의 증상이고, 운동으로 좋아질 수 있는 모든 효과가 림프순환 촉진에 따른 효과이다. 림프순환 장애는 근육통, 관절통, 수족냉증, 변비, 소화불량, 설사, 면역력 저하, 근육실조, 하지 부종, 기억력장애, 생리통, 생리불순, 갱년기장애, 성장부진, 아토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당뇨, 고혈압, 류머티즘, 암 등 거의 모든 질환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거의 모든 병적 증상에서 림프순환만 제대로 이루어져도 어느 정도 증상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림프순환은 근육운동에 의해서만 순환동력을 얻는데, 생존을 위한 움직임의 필요성이 적어진 현대인은 근육운동의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에 림프순환도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절대적으로 운동량이 부족하여 체액순환이 부족한 현대인에게 림프순환촉진방법을 찾는 것은 건강 유지를 위해 시급한 일이다. 그럼에도, 혈액순환에 대해서는 많이 논의되고 대응하는 방법이 많이 개발되었지만, 림프순환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에 비해서 논의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림프순환의 개념은 현실적인 중요도에 비해 아직까지 의학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지 못하고 있고 의약품의 개발도 부족한 실정이다. 단지 대부분의 림프관이 피부와 피하조직 사이에 존재하는 구조적인 위치를 응용하여, 림프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마사지법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정도이다(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97707, 제10-171796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97707호 (등록일 : 2017.01.12)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17962호 (등록일 : 2017.03.14)
본 발명은 종래 체액 순환에 따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체내 림프순환을 촉진하여 세포 주변의 환경을 개선하고 세포의 대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도록 도울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림프순환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적용을 통해, 이제까지 막연히 알고 있던 림프순환의 개념을 뛰어넘어 림프순환을 광범위한 질병관리의 핵심 역할의 위치에 가져다 놓을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메이플시럽, 죽력, 메틸설포닐메탄(MSM) 및 사탕수수당밀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하는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체내에서 림프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세포 주변의 환경을 개선하고, 세포의 대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도록 도우며, 체내의 세포들이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준다. 직접적으로는, 체내 림프 순환을 촉진하여, 부종개선, 노폐물과 독성물질의 배출 촉진으로 인한 통증의 개선, 피멍제거, 약물 전달 촉진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이를 4가지 효과들은 모두 림프순환과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효과들이고, 이들 4가지 효과들로부터 림프순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1) 부종 개선 효과 : 본 발명에 의한 림프 순환 촉진은 기본적으로 조직에 쌓여있는 체액을 림프관을 통해 순환시켜 대정맥에서 혈액과 합쳐지게 하고, 이를 통해 체액이 전신 순환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가장 먼저 나타나는 효과가 바로 국소적인 부종의 개선 효과이다.
2)노폐물과 독성물질의 배출 촉진으로 인한 통증의 빠른 개선 효과 : 조직에 쌓여 있는 노폐물이나 독성물질의 배출을 촉진하므로 그로 인한 염증과 병증을 개선하여 통증을 개선한다. 근육 통증은 주로 근육의 과도한 사용에 의하여 발생한다. 근섬유에는 신경섬유(감각 신경)가 코일처럼 느슨하게 감겨 있다. 따라서, 근섬유가 과도하게 수축하거나 젖산, 염증물질 등의 축적으로 부종이 발생하여 근섬유가 일정 정도 이상 굵어지게 되면 감각 신경이 물리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져서 통증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것은 근육의 과도한 수축이나 부종 발생으로 인하여 발생하기 쉬운 근육, 인대, 관절, 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임상적으로 근육에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는, 가만히 있거나 가볍게 운동을 할 때에는 통증이 없지만 운동을 강하게 할 때에는 통증이 오는 경우와,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의 두 가지이다. 가만히 있거나 가볍게 운동을 할 때에는 통증이 없지만 운동을 강하게 할 때에는 통증이 오는 경우는 근섬유의 부종이 조금 있는 상태로써 평소에는 근육이 이완되거나 적당하게 수축하여 감각 신경 섬유가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아서 통증이 없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이상의 근육 수축 시에는 근섬유가 부종으로 굵어져 있는 것과 근섬유의 수축으로 굵어지는 것이 합쳐져서 근섬유의 감각 신경섬유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어 통증이 유발되는 것이다.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는, 근섬유의 부종이 심해서 근육의 수축이 없어도 근섬유를 감고 있는 감각 신경 섬유가 팽팽하게 당겨져서 통증이 유발되는 것이다. 두 경우 모두 본 발명에 의한 림프순환 촉진으로 근섬유의 부종을 빠르게 개선하면 통증은 줄고 동시에 부종을 일으키던 염증물질도 빠져나가게 되어 염증상태도 개선된다. 힘줄(腱) 통증도 주로 근육의 과도한 사용에 의하여 발생한다. 힘줄에는 감각 신경섬유가 거미줄처럼 느슨하게 붙어있다. 따라서, 젖산, 염증물질 등의 축적으로 힘줄에 부종이 발생하거나 근섬유의 과도한 수축으로 힘줄이 필요 이상으로 늘어나게 되면 감각 신경이 물리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져서 통증을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근육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하여 발생하기 쉬운 근육, 힘줄, 인대, 관절, 뼈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임상적으로 힘줄에서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를 보면, 가만히 있거나 가볍게 운동을 하면 통증이 없지만 심한 운동을 하면 통증이 오는 경우와,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이다. 가만히 있거나 가볍게 운동을 하면 통증이 없지만 심한 운동을 하면 통증이 오는 경우는 힘줄의 부종이 조금 있는 상태로 평소 힘줄이 가만히 있거나 가벼운 운동을 하는 정도에서는 힘줄에 붙어있는 감각 신경섬유가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아서 통증이 없다. 하지만 그 이상의 근육수축 시에는 힘줄이 부종으로 굵어져 있는 것과 근섬유의 수축으로 힘줄이 늘어나는 것이 합쳐져서 근섬유의 감각 신경섬유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어 통증이 유발되는 것이다.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는, 힘줄의 부종이 심해서 근육의 수축이 없어도 힘줄을 감고 있는 감각 신경섬유가 팽팽하게 당겨져서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이다. 두 경우 모두 본 발명에 의한 림프 순환 촉진으로 힘줄의 부종을 개선하면 통증은 줄고 동시에 부종을 일으키던 염증물질도 줄어들어 염증도 감소한다. 림프 순환이 체액의 순환을 도와 물리적인 방법으로 근육과 힘줄에서 통증을 개선하는 것이다.
3) 피멍제거 효과: 피멍은 타박이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혈관 밖으로 나와 피부 밑에 멍울을 형성하고 혈액 속에 있던 적혈구로 인해서 붉거나 혹은 검붉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때 피멍 속에 포함된 적혈구는 분자량이 커서 모세혈관 벽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그 자리에서 분해되거나 아니면 림프순환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림프 순환 촉진은 이처럼 모세혈관 벽을 통과하지 못하는 분자량이 큰 물질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피멍을 빠르게 제거한다.
4) 약물 전달 촉진 효과: 특정 질환으로 처방받은 약을 복용하거나 주사제를 투여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하여 림프순환을 촉진할 경우 병소까지 약물이 빠르고 확실하게 이동하여 투약한 약물이 효과적으로 병소에 작용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은 메이플시럽, 죽력, 메틸설포닐메탄(MSM) 및 사탕수수당밀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혼합비율은 메이플시럽 100중량부에 대하여, 죽력 40~80중량부, 메틸설포닐메탄(MSM) 30 ~ 90중량부 및 사탕수수당밀 50~120중량부이다. 필요에 따라 혼합비율은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는 자일리톨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이플시럽의 바람직한 혼합비율은 메이플시럽 100중량부에 대하여 20~50중량부이다. 필요에 따라 혼합비율은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는 천궁, 지각, 해동피 또는 의이인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천궁, 지각, 해동피 또는 의이인의 바람직한 혼합비율은, 메이플시럽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궁 80~120중량부, 지각 40~60중량부, 해동피 20~50중량부, 율무 3~30중량부이다. 필요에 따라 혼합비율은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상기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은, 내복용의 환제, 과립제, 산제 또는 액제로 만들 수 있다.
메이플 시럽은, 캐나다 단풍나무의 수액을 모아서 농축한 것으로 설탕의 대용품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죽력(천연죽향)은, 대나무로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강한 열에 의해 증발되는 대나무의 수액을 모은 것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한의학에서 심경(心經), 위경(胃經)에 작용하고, 열을 내리고 가래를 삭인다고 알려져 있다.
당밀은 사탕수수로 설탕을 제조할 때에 부산물로 생산되는 자당을 함유하는 액체의 총칭으로 더 이상 설탕을 회수하기 어려운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당밀은 정제당, 분밀당과 사탕무당을 제조할 때에, 백하(白下; 진공결정관에서 전당하여 얻은 설탕의 결정과 모액의 혼합물)에서 설탕을 분리한 잔사액(모액)을 말한다. 그대로도 식용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식용당밀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담황색의 투명하고 점조한 당액으로 수분 20~30%, 당분 60~70%(이중 자당 20~30%, 환원당 30~50%), 회분 5~10%, 유기비당분 2~3%이다. 용도는 과자류 착색용으로 쓰지만 알코올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메틸설포닐메탄(MSM:methylsulfonylmethane)의 화학식은 (CH3)2SO2이고, 이 화합물의 34중량%가 유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나무등 각종 수목류로부터 추출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수나무등으로부터 추출된 MSM은 식물성 천연식이유황이라고 부른다.
자일리톨은 자작나무과(Betulaceae)에 속한 낙엽교목자작나무(학명: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자작나무), 만주자작나무(학명:Betula platyphylla Sukatschev, 만주자작나무) 등의 껍질과 수액으로부터 추출한 5탄당(C5H12O5. 분자량 152.15)이다. 한의학에서는 자작나무는 껍질과 수액이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자작나무 껍질은, 한의서에 백화피, 화피, 화수피 등으로 불리며, 해열(解熱), 이수(利水), 해독(解毒), 소종(消腫)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감기로 인한 기관지염, 폐렴과 간염, 황달, 신장염, 방광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천궁은, 미나리과 식물인 궁궁이나 산궁궁이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으로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한의학에서, 심포경(心包經), 간경(肝經), 담경(膽經), 삼초경(三焦經)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며 풍사(風邪)를 몰아내며 아픔을 완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약리 실험에서 진정(鎭靜) 작용, 혈압 강하 작용, 자궁 수축 작용, 항균 작용 등이 밝혀져 있다.
지각(광귤나무열매)은, 광귤나무의 성숙한 과실로 정체된 기를 돌게 하고, 소화불량을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다.
해동피(엄나무껍질)은, 오갈피나무과의 엄나무 껍질을 말린 것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한의학에서, 비경(脾經), 위경(胃經), 간경(肝經), 신경(腎經)에 작용하고, 풍습사(風濕邪)를 없애고 경맥을 잘 통하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약리 실험에서 중추 신경 계통 흥분 작용(적은 양), 진정 작용(많은 양), 위액 분비 항진 작용, 거담(祛痰) 작용, 소염 작용, 항균 작용 등이 밝혀졌다.
의이인은 의이인은 벼과 식물인 율무의 여문 씨를 말린 것으로, 해려, 옥담, 기실, 또는 공미라고도 한다. 율무는 우리 나라의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씨가 익은 다음 전초를 베서 말려 두드려 씨를 털어 씨껍질을 벗긴다.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차다. 비경(脾經), 폐경(肺經)에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열을 내리고 고름을 빼낸다. 약리 실험에서 소염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 작용, 항암 작용, 항지간 작용, 진정 · 진통 작용 등이 밝혀졌다. 한방에서는 부종, 배뇨 장애, 각기(脚氣), 비허(脾虛)에 의한 설사, 폐농양(pulmonary ab-scess), 급성 충수염, 대하증, 만성 위염, 위암, 만성 간염, 신염, 영양 실조증 등에도 쓴다.
림프 순환 촉진은 세포의 대사활동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만드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은, 세포 대사환경이 적절하지 못하여 생기는 거의 모든 증상에 활용할 수 있다. 림프순환이 촉진되면 부종개선, 통증개선, 피멍 제거, 약물 전달 촉진 등으로 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부종개선, 통증개선, 피멍 제거, 약물 전달 촉진 등의 측정을 통하여 림프순환 개선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기능을 갖는 처방과 혼용을 하여도 대부분의 경우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오히려 유효성분의 흡수와 전달에도 도움을 주고, 증상을 일으키는 부위의 세포 환경개선에도 도움을 주므로 유효성분의 효능효과를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은, 비타민C, 지용성 혈액순환제, 항바이러스제 등과 함께 복용할 경우 이들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효과도 있다. 비타민C와 함께 복용하는 경우, 통증개선, 면역력 증강, 체력증강 등에서 림프순환 촉진효과와 비타민C의 효과가 상승작용을 나타낸다.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은 주로 수용성 성분을 주로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용성 혈액순환제를 함께 복용하면 상승효과를 나타낸다. 항바이러스제와 함께 복용하는 경우,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이 항바이러스제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흡수를 돕고 환부까지의 전달을 원활하게 하여 상승작용을 나타내고, 염증물질의 배출을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일시적인 명현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림프 순환은 조직액이 림프관을 통해 대정맥에서 혈액과 합쳐지는 데, 이때 조직에 쌓여있던 노폐물과 독성물질 등이 조직액과 함께 혈액에 섞여서 간과 신장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혈중농도가 높아지면서 일시적으로 피로감을 유발하고 간이나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는 노폐물과 독성물질들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므로 대부분 일시적으로 가볍게 지나간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견디기 힘들 경우에는 따뜻한 물이나 레몬차를 많이 마셔서 노폐물이나 독성물질 등이 소변으로 빨리 나가게 하거나 이담건위작용이 있는 간장약이나 소화제를 먹어서 담즙으로 빨리 배출되도록 도우면 명현증상으로 인한 불편한 증상이 빨리 개선된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의 임상 실험 및 약효 확인을 위하여 내복용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 환을 다음과 같은 양으로 수차례 제조하였다.
메이플시럽 3,000g과 죽력(천연죽향) 1,700g과 MSM 2,300g과 사탕수수당밀 3,000g을 혼합 및 동결 건조하여 직경 3-5mm의 작은 환으로 약 10,000g을 만들고 이들을 4.8g 단위로 포장하였다.
림프순환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알려진바 없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림프순환이 촉진되면 부종개선, 통증개선, 피멍 제거, 약물 전달 촉진 등으로 그 효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부종개선, 통증개선, 피멍 제거, 약물 전달 촉진 등의 측정을 통하여 림프순환 개선을 확인하였다.
<부종 개선 효과의 측정>
부종은 림프순환 장애로 인하여 조직 내에 림프액이나 조직의 삼출물 등의 액체가 고여 과잉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피부와 연부 조직에 부종이 발생하면 임상적으로 부풀어 오르고, 푸석푸석한 느낌을 갖게 되며, 누르면 피부가 일시적으로 움푹 들어간다. 림프액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면 이러한 증상은 사라진다. 따라서, 부종의 개선은 곧 림프 순환의 개선을 의미한다. 부종 개선이 확인되면, 림프 순환의 개선이 있다고 단정할 수 있는 것이다.
50대 이상의 나이로, 하지 부종이 있는 여자 환자 50명을 선정하여, 이들 환자들에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1일 2회, 1회 2포씩 복용하게 하였으며, 7일간 연속 복용한 후, 각 환자에게 i) 체중 변화(체중계 사용), ii)허벅지, 종아리, 발등 중 부종이 가장 심한 부위의 둘레 길이 변화(플라스틱 줄자 사용), iii) 부종상태(육안관찰)을 측정하게 하였다.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아래의 측정 결과로부터, 50명의 환자 가운데 43명(86%)의 환자에게서 하지 부종 중 가장 심한 부위의 둘레 길이가 줄었음을 확인하였고, 38명(76%)의 환자에게서 체중이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으며, 45명(90%)의 환자에게서 부종상태가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부종부위 둘레는 복용전 둘레의 1.1%~9.5% 범위에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체중은 복용전 체중의 0.6%~4.5% 범위에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 조직내에 정체 되어 있던 체액(림프액이나 조직의 삼출물)이 소변이나, 담즙을 통해 대변으로 배출되어 체중 변화가 발생된 것이다. 부종이 개선되면 그에 상당한 체중 감소가 수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부종의 개선, 즉 림프 순환의 개선을 확인할 수 있다.

측정 항목

환자 수(명)

환자 비율



허벅지, 종아리, 또는 발등 가운데 부종이 가장 심한 부위의 둘레 길이 변화

부종부위 둘레 길이가 줄었다

43

86%

부종부위 둘레 길이가 변화없다

5

10%

부종부위 둘레 길이가 늘었다

2

4%




체중 변화

체중이 줄었다.

38

76%

체중의 변화가 없다

10

20%

체중이 늘었다

2

4%




부종상태

부종상태가 완화되었다

45

90%

부종상태의 변화가 없다

3

6%

부종상태가 악화되었다

1

1%
<부종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 예>
복용시 부종이 발생한다고 알려진 갑상선약 신지로이드(Synthroid)를 복용하는 환자 6명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1회 1포씩 t.i.d로 복용하게 하였다. 복용전, 이들 환자들은 장기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서 약독으로 아침마다 얼굴과 손가락 뿐만 아니라 전신이 붓는 증상이 지속 된 환자들이었다. 3일 후, 복용 환자 가운데 5명에게서 얼굴, 손가락 및 전신에서 붓기가 빠진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뇨제를 투여할 경우 일반적으로 부기 제거에 7일정도 소요되는 것에 비하여 매우 빠른 효과이다.
<통증 완화 효과의 측정>
위 실시 예에 대한 비교 예로 사용하기 위하여 통증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천궁을 포함한 다음 조성물을 이용하여 환을 제조하였다.
<비교 예>
천궁분말 2,700g, 광귤나무열매(지각)분말 1,400g, 엄나무껍질(해동피)분말 1,100g, 율무분말 800g의 혼합분말을 동결 건조하여 직경 3-5mm의 작은 환으로 약 6,000g을 만들고 이들을 4.8g 단위로 포장하였다.
움직임이 없어도 허리 통증을 느끼는 요통환자 10명을 선발하여, 5명(M1-M5)에게는 본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을 28일간 1회 1포씩 1일 3회 복용하게 하고, 나머지 5명(m1-m5)에게는 <비교 예>로 제조한 환을 28일간 1회 1포씩 1일 3회 복용하게 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28일간의 복용 후, 움직여도 통증이 느껴지지 않은 경우 4점, 움직이지 않을 때는 통증이 느껴지지 않으나 움직일 때는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 2점,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계속 느껴지는 경우 0점을 부여하게 하였다.
측정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았다.
아래 측정 결과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의 복용 환자의 통증 개선 정도가 비교 예에 따른 환의 복용 환자의 통증 개선 정도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 예> 복용 환자

<비교 예> 복용 환자

M1

M2

M3

M4

M5

m1

m2

m3

m4

m5

4

2

4

4

2

2

0

2

2

0
<피멍제거 효과의 측정1>
매선시술로 눈 주위 혈관이 터져 피멍이 생긴 여자 환자 10명에 대하여, 5명(M1~M5)에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환을 1회 2포씩 1일 3회 지속적으로 복용하게 하고, 나머지 5명(m1~m5)에게는 피멍 주위를 1일 6회씩 1회 5분이상 계란 맛사지를 하게 하였다. 피멍이 육안으로 더 이상 관찰되지 않게 되는 데 소요 되는 기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복용환자

계란 맛사지 환자

M1

M2

M3

M4

M5

m1

m2

m3

m4

m5

16일

18일

14일

14일

15일

56일

65일

60일

71일

75일
이 측정 결과로부터, 본원 발명의 실시 예를 복용한 환자의 피멍 제거 속도가 계란 맛사지만 환자의 피멍 제거 속도보다 3배 이상 빠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멍제거 효과의 측정2>
타박상으로 눈 주위가 비슷한 정도로 퍼렇게 멍이든 남자 환자 10명에 대하여, 5명(M1~M5)에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환을 1회 2포씩 1일 3회 지속적으로 복용하게 하고, 나머지 5명(m1~m5)에게는 피멍 주위를 1일 6회씩 1회 5분이상 계란 맛사지를 하게 하였다. 피멍이 육안으로 더 이상 관찰되지 않게 되는 데 소요 되는 기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복용환자

계란 맛사지 환자

M1

M2

M3

M4

M5

m1

m2

m3

m4

m5

6일

5일

5일

7일

6일

15일

17일

21일

18일

19일
타박상으로 인한 피멍환자에 대해서도 측정 결과로부터, 본원 발명의 실시 예를 복용한 환자의 피멍 제거 속도가 계란 맛사지만 환자의 피멍 제거 속도보다 2배 내지 3배 빠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물전달 촉진 효과의 측정>
무모 마우스(hairless mouse)의 10마리의 머리 부위 한 지점을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Microsporium canis 및 효모균에 감염시켜 홍반 및 염증 등을 일어나게 하였다.
시험군으로 선정된 무모 마우스 5마리에는 홍반 및 염증 발생 직후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0.5g씩을 분말상태로 갈아 온수에 섞어 6시간 단위로 계속해서 경구 투여하면서, 반코마이신 30 mg을 12시간 간격으로 무모 마우스 하지에 주사하였다. 비교군으로 선정된 무모 마우스 5마리에는 홍반 및 염증 발생 직후부터 반코마이신 30 mg을 12시간 간격으로 무모 마우스 하지에 주사하였다. 시험군 및 비교군에 대하여 최초 주사후 12 시간 경과 후마다 피부 상태를 84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시험군의 마우스의 경우, 마우스 3마리에서 12시간 경과 후부터 염증이 가라앉고 홍반이 완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나머지 마우스 2마리에서는 24시간 경과 후부터 염증이 가라앉고 홍반이 완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72시간후, 4마리의 마우스에서 홍반과 염증이 더이상 관찰되지 않았다. 84긴 경과 후 모든 마우스에서 홍반과 염증이 더이상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시험 동안 무모 마우스에 어떠한 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비교군의 마우스의 경우, 마우스 2마리에서 48시간 경과 후에 홍반이 완화되는 듯한 경향을 보였으며, 나머지 3마리에서는 72시간이 경과한 후에 홍반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비교군의 마우스는 84시간 경과 후에도 여전히 염증이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약물전단촉진 효과에 대한 임상 예>
방광염 증상이 나타났다 사라졌다를 반복하는 만성방광염 여자 환자 5명과 남자 환자 3명에 대하여 방광염의 증상이 발생시 셉트린(급만성방광염, 신우신염, 요도염, 전립선염 치료용 항생제)을 1일 2회 1회 2알씩 복용하게 하고, 그 효과 발생 시기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셉트린을 복용하고 3일내에 효과가 발생한(방광염 증상이 일시 사라진) 환자가 1명, 7일내에 효과가 발생한(방광염 증상이 일시 사라진) 환자가 3명, 10일내 효과가 발생한(방광염 증상이 일시 사라진) 환자가 2명, 10일간 복용후에도 효과가 발생하지 않은(방광염 증상이 지속된) 환자가 2명이었다. 이 환자들에게 2개월 ~ 6개월 후, 방광염 증상이 재발했을 때, 셉트린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복용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셉트린을 복용하고 3일내에 효과가 발생한(방광염 증상이 일시 사라진) 환자가 3명, 7일내에 효과가 발생한(방광염 증상이 일시 사라진) 환자가 3명, 10일내 효과가 발생한(방광염 증상이 일시 사라진) 환자가 2명, 10일간 복용후에도 효과가 발생하지 않은 환자는 없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의하여 방광까지 셉트린의 유효성분이 빠르고 확실하게 이동하여 셉트린이 효과적으로 병소인 방광에 작용한 결과라고 판단되었다.

Claims (3)

  1. 메이플시럽, 죽력, 메틸설포닐메탄(MSM) 및 사탕수수당밀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하는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자일리톨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천궁, 지각, 해동피 또는 의이인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는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0180110592A 2018-09-16 2018-09-16 인체의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102198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92A KR102198502B1 (ko) 2018-09-16 2018-09-16 인체의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92A KR102198502B1 (ko) 2018-09-16 2018-09-16 인체의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758A true KR20200031758A (ko) 2020-03-25
KR102198502B1 KR102198502B1 (ko) 2021-01-05

Family

ID=7000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592A KR102198502B1 (ko) 2018-09-16 2018-09-16 인체의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5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830A (ko) * 2008-01-21 2010-09-2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Ⅴegfc 생성 촉진제
KR20120093993A (ko) * 2009-10-30 2012-08-23 아벨라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퇴행성 관절염 치료를 위한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메틸설포닐메탄 제제
KR101697707B1 (ko) 2015-05-07 2017-01-19 장태순 림프 순환을 돕는 피부운동 마사지기
KR101717962B1 (ko) 2015-12-31 2017-03-20 배삼훈 림프관 및 노폐물 배설촉진용 공기압파동 연질 마사지봉
KR20170134582A (ko) * 2015-04-06 2017-12-06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이브루티닙을 함유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830A (ko) * 2008-01-21 2010-09-2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Ⅴegfc 생성 촉진제
KR20120093993A (ko) * 2009-10-30 2012-08-23 아벨라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퇴행성 관절염 치료를 위한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메틸설포닐메탄 제제
KR20170134582A (ko) * 2015-04-06 2017-12-06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이브루티닙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697707B1 (ko) 2015-05-07 2017-01-19 장태순 림프 순환을 돕는 피부운동 마사지기
KR101717962B1 (ko) 2015-12-31 2017-03-20 배삼훈 림프관 및 노폐물 배설촉진용 공기압파동 연질 마사지봉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류형준 약사, ‘천기누설 건강법’ 저술. 약사공론. 2017.05.12.* *
홀리스틱-림프 부종. 네이버블로그. 2010.11.2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502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66544A (zh) 一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umar et al. Green blood therapy of wheat grass-Nature’s finest medicine’-A literature review
CN101933970B (zh) 治疗毒蛇咬伤的植物性药
CN104096047A (zh) 一种治疗毒蛇咬伤的外敷解毒软膏及其制备方法
KR100374416B1 (ko) 고지혈증 및 협심증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CN105250913B (zh) 一种治疗蛋鸡脂肪肝综合症的药物组合物
KR102234576B1 (ko) 피멍의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CN105031408B (zh) 一种改善痛风的组合物
KR102198502B1 (ko) 인체의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CN100563681C (zh) 一种治疗生殖器、直肠疾病的药物
CN105055799A (zh) 一种傣药痔疮膏及其制备方法
KR102251435B1 (ko)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US10912324B2 (en) Food product for improving lymphatic circulation
CN108096536A (zh) 一种治疗偏瘫的中药组合物
RU2606835C1 (ru) Фитокомплекс для лечения цирроза печени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 его применением
KR20190042147A (ko) 부종 개선 식품조성물
KR20200131787A (ko) 림프순환개선 식품조성물
Mishra et al. A REVIEW OF IMPORTANT FACTS DESCRIBE IN AYURVEDA WHILE CONSUMPTION OF HONEY FOR HEALTH BENEFITS
CN104435883A (zh) 一种治疗跟痛症的中药制剂
CN112439028A (zh) 用于治疗高血压的柠檬草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13230297A (zh) 筋骨舒积液散及其制备方法
CN109939145A (zh) 一种中草药理气消肿止痛液及其制作方法
RO126833B1 (ro) Produs fitoterapeutic pentru obţinerea scăderii ponderale
KR20190046313A (ko) 이명 증상 완화를 위한 식품조성물
CN110433254A (zh) 一种用珍珠母复方制备平衡血压的牛奶片形固形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