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419A -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419A
KR20200030419A KR1020180109265A KR20180109265A KR20200030419A KR 20200030419 A KR20200030419 A KR 20200030419A KR 1020180109265 A KR1020180109265 A KR 1020180109265A KR 20180109265 A KR20180109265 A KR 20180109265A KR 20200030419 A KR20200030419 A KR 20200030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lothing
clothing management
steam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경렬
김도행
김동석
방제우
이동규
정영돈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0419A/ko
Priority to PCT/KR2019/011622 priority patent/WO2020055058A1/ko
Priority to US17/271,063 priority patent/US20210214883A1/en
Publication of KR2020003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2Humidity or dryness of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의류관리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의류관리장치는, 메모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 장치, 스팀 발생 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을 의류에 분출하는 스팀 토출 부재, 의류관리장치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온도 센서에 감지된 온도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감지된 온도 및 의류 관리 개시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스팀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의류 관리 개시 명령에 따른 기능 수행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 내에 추가 의류 관리 명령이 입력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정보 및 추가 의류 관리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스팀 발생 장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개시는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관리장치의 연속적인 동작 수행 여부를 기초로 의류관리장치의 주변 온도를 결정하는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세탁기와는 별도로 의류를 간편하게 처리 또는 관리하는 장치로서, 스팀을 통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먼지 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 의류관리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의류관리장치의 주변 온도를 정확히 검지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있지 않아, 의류관리장치의 의류 관리 동작으로 인해 내부 온도가 올라간 상황에도 이를 주변 온도로 인식하여, 추가적인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 시 이상 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의류관리장치의 연속적인 동작 수행 여부를 기초로 의류관리장치의 주변 온도를 결정하는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는, 메모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 장치,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을 의류에 분출하는 스팀 토출 부재, 상기 의류관리장치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온도 센서에 감지된 온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 및 상기 의류 관리 개시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팀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의류 관리 개시 명령에 따른 기능 수행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 내에 추가 의류 관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정보 및 상기 추가 의류 관리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팀 발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주변 온도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감지된 온도를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온 감지 시 의류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 내 부하 크기를 이용한 의류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관리장치(100)는 스팀 발생 장치(110), 스팀 토출 부재(120), 온도 센서(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로 구성된다.
스팀 발생 장치(110)는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스팀 발생 장치(110)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할 수 있고, 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가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팀 발생 장치(110)는 생성한 스팀을 스팀 토출 부재(120)로 공급할 수 있다.
스팀 토출 부재(120)는 의류관리장치(100) 내 수용 공간에 스팀을 분출한다. 구체적으로, 스팀 토출 부재(120)는 호스를 통하여 스팀 발생 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스팀을 수용 공간에 분출하여 의류의 직물조직을 유연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호스를 통하여 스팀 발생 장치(110)에서 발생된 스팀이 스팀 토출 부재(120)로 전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호스는 파이프, 유로 등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온도 센서(130)는 의류관리장치(100) 내 온도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130)는 의류관리장치(100)의 수용 공간에 유입되는 스팀, 압축 공기 또는 수용 공간에 배치된 의류 등으로 인해 의류관리장치(100) 내 공기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센서(1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스팀 발생 장치(110), 스팀 토출 부재(120) 및 온도 센서(130)의 배치 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5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의류관리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40)는 의류관리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의류관리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액세스 되며, 프로세서(150)에 의한 데이터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의류관리장치(100) 내의 저장매체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 매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온도 센서(130)에서 감지한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온도 센서(130)에서 감지한 의류관리장치(100) 내 온도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된 온도 또는 현재 감지된 온도를 의류관리장치의 주변 온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프로세서(150)는 의류관리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해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의류관리장치(100)의 복수의 기능 중 특정 기능과 관련된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스팀 기능의 수행이 필요한 경우 스팀 발생 장치(110) 및 스팀 토출 부재(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변 온도 및 입력된 의류 관리 개시 명령에 따라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가 주변 온도를 고려하여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이유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의류관리장치(100)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관리장치(100)는 히팅/스팀/건조/먼지 제거 등의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기능 중 히팅/스팀/건조 기능을 수행 시 의류관리장치(100)가 배치된 주변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여 수행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의류관리장치(100)의 히팅/스팀/건조 등의 기능은 고온의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다. 이때 의류관리장치(100)가 저온을 갖는 환경에 설치된 상태에서 히팅/스팀/건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고온의 스팀 또는 압축 공기가 의류관리장치(100) 내 수용 공간 내에 배출되더라도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환경과의 온도 차이로 인해 열평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의류관리장치(100) 내 수용 공간의 온도는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여 의류관리장치(100)의 기능이 갖는 본래의 효과가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환경의 영향에 따른 열평형을 고려하여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바,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변 온도 및 입력된 의류 관리 개시 명령에 따라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의류관리장치()의 현재의 주변 온도를 온도 센서(130)를 통해 감지된 온도 및 메모리(140)에 기저장된 주변 온도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의류관리장치(100)가 연속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상황인지 확인하고, 연속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상황이 아닌 경우 온도 센서(130)를 통해 감지된 온도를 현재의 주변 온도로 결정하고, 연속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상황인 경우 메모리(140)에 기저장된 주변 온도를 현재의 주변 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의류관리장치(100)가 연속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를 결정하는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결정된 주변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의류 관리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가 주변 온도를 고려하여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이유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관리장치(100)의 기능은 주변 환경의 영향에 따라 기능의 효과가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50)는 주변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면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고, 주변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보다 낮으면 별도의 저온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범위는, 상온을 포함하는 온도 범위일 수 있으며, 15도씨 이상의 온도 범위일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범위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저온 설정 정보는, 저온에서 의류관리장치(100)가 동작하는 상황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제어 정보로, 스팀 발생 장치(110)의 압축기의 기동 패턴, 스팀 발생 장치(110)의 스팀 온도 또는 의류관리장치(100) 내 목표 온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온 설정 정보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변 온도가 10도씨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기설정된 정보가 아닌 저온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고, 주변 온도가 25도씨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기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의류관리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류관리장치(100)는 스팀 발생 장치(110), 스팀 토출 부재(120), 온도 센서(130), 메모리(140), 프로세서(150), 공기 순환 장치(160), 디스플레이(170) 및 입력 장치(180)로 구성될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110), 스팀 토출 부재(120), 온도 센서(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 순환 장치(160)는 의류관리장치(100)의 수용 공간 내 공기를 압축하여 고온의 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순환 장치(160)는 압축된 고온의 공기를 다시 수용 공간으로 배출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공기의 순환은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순환 장치(160)는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 공기를 이동 시키는 팬(Fan), 공기에 열을 제공하는 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순환 장치(160)는 의류관리장치(100)의 수용 공간 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수용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순환 장치(160)의 유입부에는 제1 온도 센서(130-1), 배출부에는 제2 온도 센서(130-3)가 배치되어 공기 순환 장치(160)에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공기 순환 장치(160)에 배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130-1, 130-3)에서 감지한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수용 공간 내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제1 온도 센서(130-1) 및 제2 온도 센서(130-3)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수용 공간 내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의 건조 상태는 의류의 부하 크기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에 수분이 많이 포함된 경우 의류의 부하 크기가 크며, 의류에 수분이 적게 포함된 경우 의류의 부하 크기가 작으므로, 의류의 부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관리장치(100)에 터치 센서(미도시)가 구비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의류의 부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반면, 터치 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50) 복수의 온도 센서(130-1, 130-3)에서 감지된 온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의류의 부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산출한 부하 크기를 기초로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가 복수의 온도 센서(130-1, 130-3)에서 감지된 온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의류의 부하 크기를 감지하고 감지한 부하 크기를 기초로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의류의 건조 상태를 기초로 의류 관리 동작의 동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의류의 건조 상태를 기초로 의류관리장치(100)의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이거나 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의류에 수분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늘일 수 있고, 의류에 수분이 적게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의류의 건조 상태를 기초로 동작 시간을 조정하는 기능은 건조 기능에 한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170)는 의류관리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70)는 의류관리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70)는 LCD, CRT, OLED와 같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 장치(18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히팅/스팀/건조/먼지 제거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 장치(180)는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제어 메뉴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180)는 복수의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7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는 의류관리장치 외부에 온도 센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의류관리장치 내에 구비된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관리장치의 주변 온도를 결정할 수 있는바,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주변 온도의 값에 따라 의류 관리 동작을 상이하게 수행하여 주변 환경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본래 기능이 목표로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의류관리장치 내에 구비된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바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팀 발생 장치(110), 스팀 토출 부재(120), 온도 센서(130) 및 공기 순환 장치(160)의 구체적인 배치 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의류관리장치(100) 내 수용 공간의 상부에는 옷걸이 형태의 의류 지지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류 지지 장치에 의류를 지지 및 고정시킨 상태에서 의류관리장치(100)을 사용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00) 내 수용 공간의 하부에는 스팀 발생 장치(1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팀 발생 장치(110)와 스팀 토출 부재(120)는 호스로 연결될 수 있다.
스팀 토출 부재(120)는 스팀 발생 장치(110)에서 생성한 스팀을 호스를 통해 제공받아, 의류관리장치(100) 내 수용 공간에 배치된 의류를 향해 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팀 토출 부재(120)는 의류관리장치(100) 내 수용 공간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하로 이동하면서 스팀을 골고루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스팀 토출 부재(120)의 설치 위치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스팀 토출 부재(120)의 호스가 이탈된 경우, 스팀 발생 장치(110)에서 생성된 스팀은 수용 공간의 하단에 위치하는 공기 순환 장치(160), 내부 회로 또는 전장 부품으로 누출되거나 의류관리장치(100)의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누출된 스팀은 의류관리장치(100)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온도 센서(130)는 의류관리장치(100) 내 수용 공간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의 공기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1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온도 센서(130-1, 130-3)는 각각 공기 순환 장치(160)의 유입부 및 배출부에 배치되어 공기 순환 장치(160)에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온도 센서(130)의 설치 위치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의류관리장치(100)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면 족하다.
공기 순환 장치(160)는 의류관리장치(100) 내 수용 공간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순환 장치(160)는 수용 공간 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수용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순환 장치(160)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통해 화살표 방향을 따라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00)는 의류 지지 장치로 의류를 지지 및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팀 발생 장치(110), 스팀 토출 부재(120) 및 공기 순환 장치(160)를 이용하여 의류 관리를 위한 기설정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관리장치(100)는 스팀 발생 장치(110), 스팀 토출 부재(120) 및 공기 순환 장치(160)를 이용하여 히팅/스팀/건조/먼지 제거 기능 순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히팅 기능은, 수용 공간의 하부에 배치된 공기 순환 장치(160)를 이용하여 수용 공간 내에 고온의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고온의 공기가 옷의 직물 조직을 유연한 상태로 변화시키도록 하는 기능이다. 옷의 직물 조직이 유연한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후속으로 이루어지는 스팀 기능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스팀 기능은 스팀 발생 장치(110) 및 스팀 토출 부재(120)를 이용하여 옷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는 기능으로, 옷의 전면 또는 후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로 인해 옷은 압착될 수 있다. 이때 스팀 토출 부재(120)는 수용 공간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옷에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기능은 공기 순환 장치(160)를 이용하여 수용 공간 내에 고온의 공기를 유입하여 옷에 남은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이다.
또한, 먼지 제거 기능은 수용 공간의 상단에 배치된 의류 지지 장치에 연결된 분사 장치가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의류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이다.
한편, 의류관리장치(100)가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은 히팅/스팀/건조/먼지 제거 기능에 한하지 않으며, 상술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식 또한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한편, 도 3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스팀 발생 장치, 스팀 토출 부재 및 공기 순환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복수의 스팀 발생 장치, 복수의 스팀 토출 부재 및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의류 지지 장치가 일반적인 옷걸이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의류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주변 온도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의류관리장치(100)가 연속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를 결정하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의류관리장치(100)의 외부에 온도 센서가 구비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외부의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 의류관리장치(100)의 외부에 온도 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50)는 의류관리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된 온도 센서(130)를 이용하여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관리장치(100)가 충분한 시간 동안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열평형으로 인해 온도 센서(130)가 감지한 의류관리장치(100) 내 온도는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관리장치(100)에 외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온도 센서가 없더라도, 프로세서(150)는 의류관리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된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한 온도를 주변 온도로서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의류관리장치(100)가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한 후, 열평형이 이루어지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지나기 전에 추가적인 의류 관리 동작에 대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이전에 수행한 의류 관리 동작에서 배출된 고온의 스팀 또는 압축된 공기에 의해 의류관리장치(100)의 내부 온도는 높은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실제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와 큰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50)는 온도 센서(130)에서 감지한 온도가 아닌 기저장된 주변 온도 정보를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온도 센서(130)에서 감지한 온도를 주변 온도로 메모리(140)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기저장된 주변 온도 정보는, 이전 의류 관리 동작 수행 시 프로세서(150)가 주변 온도로 결정하고 메모리(140)에 저장한 온도 정보이다. 만약, 의류관리장치(100)가 최초로 동작하는 경우, 기저장된 주변 온도는 출하 시에 디폴트로 설정된 온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의류관리장치(100)의 외부에 온도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도 의류관리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된 온도 센서(130)를 이용하여 주변 온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주변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 의류관리장치(100)가 연속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의류관리장치(100)가 연속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이전 의류 관리 동작으로부터 열평형이 이루어지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지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이전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120분 경과한 상태 또는 스팀 발생 장치(110)의 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50도씨 이하인 상태 등에 해당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기설정된 조건의 만족 시, 온도 센서(130)에서 감지된 온도를 주변 온도로 결정하고, 기설정된 조건의 불만족 시, 기저장된 주변 온도를 주변 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50)가 의류관리장치(100)가 연속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를 결정하는 동작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150)는 이전 의류 관리 동작의 종료 후 2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10).
만약, 이전 의류 관리 동작의 종료 후 2시간이 경과한 경우(S410-Y), 프로세서(150)는 스팀 발생 장치(110)의 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50도씨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S420).
만약, 스팀 발생 장치(110)의 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50도씨 이하인 경우(S420-Y), 프로세서(150)는 의류관리장치(100)가 연속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로 인식할 수 있다(S430).
한편, 상술한 S410 및 S420은 의류관리장치(100)가 연속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로, 의류관리장치(100)가 연속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로서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S440).
반면, 이전 의류 관리 동작의 종료 후 2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S410-N), 또는 스팀 발생 장치(110)의 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50도씨를 초과하는 경우(S420-N), 프로세서(150)는 의류관리장치(100)가 연속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140)에 기저장된 주변 온도를 현재 의류관리장치(100)의 주변 온도로 인식할 수 있다(S450).
한편, 도 4를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S410 및 S420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양 단계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양 단계 중 하나의 단계가 수행되지 않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감지된 온도를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하 크기가 큰 의류가 수용된 경우의 제1 온도 센서(130-1)에서 감지한 온도(①) 및 제2 온도 센서(130-3)에서 감지한 온도(②)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부하 크기가 작은 의류가 수용된 경우의 제1 온도 센서(130-1)에서 감지한 온도(③) 및 제2 온도 센서(130-3)에서 감지한 온도(④)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제1 온도 센서(130-1) 및 제2 온도 센서(130-3)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의류의 부하 크기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한 부하 크기에 기초하여 수용 공간 내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순환 장치(160)의 유입부에는 제1 온도 센서(130-1), 배출부에는 제2 온도 센서(130-3)가 배치되어 공기 순환 장치(160)에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온도 센서(130-3)는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로 인해 높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온도 센서(130-1)는 의류에 열을 전달한 공기가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므로 낮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온도 센서(130-1) 및 제2 온도 센서(130-3) 각각에서 감지한 온도는 차이를 갖게 된다.
그리고 제1 온도 센서(130-1) 및 제2 온도 센서(130-3) 각각에서 감지한 온도는 차이는 의류의 부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의 부하 크기가 큰 경우 의류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하므로, 의류의 부하 크기가 큰 경우에는 공기 순환 장치(160)에서 배출된 고온의 공기가 의류에 포함된 수분에 많은 양의 열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온도 센서(130-1)에서 감지한 온도(①) 및 제2 온도 센서(130-3)에서 감지한 온도(②)는 큰 차이를 갖게 된다.
반면, 의류의 부하 크기가 작은 경우 의류에 수분이 적게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하므로, 의류의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공기 순환 장치(160)에서 배출된 고온의 공기가 의류에 포함된 수분에 적은 양의 열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온도 센서(130-1)에서 감지한 온도(③) 및 제2 온도 센서(130-3)에서 감지한 온도(④)는 작은 차이를 갖게 된다.
상술한 특징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50)는 제1 온도 센서(130-1) 및 제2 온도 센서(130-3)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의류의 부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산출한 부하 크기가 큰 경우 의류에 수분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산출한 부하 크기가 작은 경우 의류에 수분이 적게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온도 센서(130-1, 130-3)를 이용하여 감지된 온도를 이용 시 의류관리장치(100)의 의류 관리 동작 시작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된 온도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된 온도 정보를 기초로 의류의 부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의류 관리 동작 시작 후 40분 동안 복수의 온도 센서(130-1, 130-3)에서 감지된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의 부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온도 센서(130-1, 130-3)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 시, 의류관리장치(100)의 의류 관리 동작 시작 후 복수의 온도 센서(130-1, 130-3) 중 하나의 온도 센서가 기설정된 온도 값을 가지는 시점까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의류 관리 동작 시작 후 제1 온도 센서(130-1)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40도씨를 갖는 시점까지 복수의 온도 센서(130-1, 130-3)에서 감지된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의 부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정확도 향상을 위해 제1 온도 센서(130-1) 및 제2 온도 센서(130-3)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이 중 가장 큰 차이값에 대응되는 부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한 부하 크기에 기초하여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140)는 온도의 차이값에 대응되는 부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의류의 건조 상태를 기초로 의류 관리 동작의 동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의류의 건조 상태를 기초로 의류관리장치(100)의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이거나 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의류에 수분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늘일 수 있고, 의류에 수분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산출한 부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 공간에 배치된 의류에 적은 양의 수분이 포함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수용 공간에 배치된 의류가 완전히 물에 젖은 상태임에도 의류 자체의 크기가 작아, 산출된 부하의 크기가 작은 값을 갖는 경우도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에 젖은 손수건에 수용 공간에 배치된 경우, 산출된 부하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산출한 부하 크기가 작은 경우, 의류의 수분이 적은 것으로 판단하여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일 수 있으나, 상술한 크기가 작은 의류가 수용 공간에 배치된 경우에도 본래의 건조 기능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시간 이하로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이는 것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한 부하 크기가 작은 경우, 프로세서()는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이되, 건조 기능이 전체 동작 시간이 50분 이하로 줄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의류의 건조 상태를 기초로 동작 시간을 조정하는 기능은 건조 기능에 한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610). 구체적으로, 의류관리장치의 히팅/스팀/건조/먼지 제거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고,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센서를 통해 의류관리장치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S620).
그리고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의 연속적인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30). 구체적으로, 이전 의류 관리 동작이 완료된 때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스팀 발생 장치의 수조 내 저장된 물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값 이하를 갖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의 연속적인 입력 여부에 따라 주변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S640). 만약, 입력된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이 연속적으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저장된 주변 온도를 현재의 주변 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입력된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이 연속적으로 입력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현재의 주변 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주변 온도는 메모리에 의류관리장치의 주변 온도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주변 온도 및 입력된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을 기초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650).
따라서, 본 개시의 의류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의류관리장치 외부에 온도 센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의류관리장치 내에 구비된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관리장치의 정확한 주변 온도를 결정할 수 있는바, 비용 절감의 효과 및 이상 동작 발생 가능성 방지 효과를 갖는다. 도 6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의류관리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의류관리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비일시적인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온 감지 시 의류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710). 구체적으로, 의류관리장치의 히팅/스팀/건조/먼지 제거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고,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관리장치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S720). 한편,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이 입력된 때에 의류관리장치가 연속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상황인 경우에는 기저장된 온도를 불러올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30). 여기서 기설정된 범위는 상온을 포함하는 온도 범위일 수 있으며, 15도씨 이상의 온도 범위일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범위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S720 단계에서 의류관리장치가 연속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어 기저장된 온도를 불러온 경우에는, 기저장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온도에 대한 기설정된 범위의 해당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및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을 기초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740).
구체적으로,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면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고,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보다 낮으면 별도의 저온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저온 설정 정보는, 저온에서 의류관리장치(100)가 동작하는 상황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제어 정보로, 스팀 발생 장치(110)의 압축기의 기동 패턴, 스팀 발생 장치(110)의 스팀 온도 또는 의류관리장치(100) 내 목표 온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온 설정 정보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의류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감지된 온도의 값에 따라 의류 관리 동작을 상이하게 수행하여 주변 환경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본래 기능이 목표로 하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7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의류관리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의류관리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비일시적인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 내 부하 크기를 이용한 의류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810). 구체적으로, 의류관리장치의 히팅/스팀/건조/먼지 제거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고,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관리장치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S820). 구체적으로, 의류관리장치 내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관리장치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온도 센서는 공기 순환 장치의 유입부 및 배출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 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온도를 감지하거나 복수의 온도 센서 중 하나의 온도 센서가 기설정된 온도 값을 가지는 시점까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온도 센서가 감지한 온도를 이용하여 의류관리장치 내 의류의 부하량을 산출할 수 있다(S830). 구체적으로 복수의 온도 센서 각각이 감지한 온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의류의 부하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온도 센서 각각이 감지한 온도의 차이 중 가장 큰 차이값에 대응되는 부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한 부하량을 이용하여 의류관리장치 내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840). 구체적으로, 산출한 부하 크기가 큰 경우 의류에 수분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산출한 부하 크기가 작은 경우 의류에 수분이 적게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의류의 건조 상태를 기초로 의류 관리 동작의 동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S850). 구체적으로, 의류의 건조 상태를 기초로 의류관리장치(100)의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이거나 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에 수분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늘일 수 있고, 의류에 수분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S840 단계에서 산출한 부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 공간에 배치된 의류에 적은 양의 수분이 포함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수용 공간에 배치된 의류가 완전히 물에 젖은 상태임에도 의류 자체의 크기가 작아, 산출된 부하의 크기가 작은 값을 갖는 경우도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에 젖은 손수건에 수용 공간에 배치된 경우, 산출된 부하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산출한 부하 크기가 작은 경우, 의류의 수분이 적은 것으로 판단하여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일 수 있으나, 상술한 크기가 작은 의류가 수용 공간에 배치된 경우에도 본래의 건조 기능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시간 이하로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이는 것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한 부하 크기가 작은 경우,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줄이되, 건조 기능이 전체 동작 시간이 50분 이하로 줄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S840 단계에서 산출한 부하 크기를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산출한 부하 크기만을 이용하여 건조 기능의 동작 시간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의류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터치 센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의류관리장치 내에 구비된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바,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도 8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의류관리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의류관리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비일시적인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의류관리장치 110: 스팀 발생 장치
120: 스팀 토출 부재 130: 온도 센서
140: 메모리 150: 프로세서
160: 공기 순환 장치 170: 디스플레이
180: 입력 장치

Claims (7)

  1. 의류관리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 장치;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을 의류에 분출하는 스팀 토출 부재;
    상기 의류관리장치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의류 관리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온도 센서에 감지된 온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 및 상기 의류 관리 개시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팀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의류 관리 개시 명령에 따른 기능 수행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 내에 추가 의류 관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정보 및 상기 추가 의류 관리 명령에 따른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팀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의류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이면,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팀 발생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보다 낮으면 상기 기설정된 설정 정보와 다른 저온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팀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의류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압축기의 기동 패턴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출력 스팀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인 의류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온도 센서 각각에서 감지된 온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의류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수용 공간의 공기를 순환하는 공기 순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공기 순환 장치의 유입부에 위치하는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공기 순환 장치의 배출부에 위치하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제2 온도 센서 각각에서 감지된 온도 간의 차이 중 가장 큰 차이값에 대응되는 부하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부하 크기에 기초하여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의류관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건조 상태에 기초하여 의류 관리 동작의 동작 시간을 조정하는 의류관리장치.
KR1020180109265A 2018-09-12 2018-09-12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30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265A KR20200030419A (ko) 2018-09-12 2018-09-12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19/011622 WO2020055058A1 (ko) 2018-09-12 2019-09-09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7/271,063 US20210214883A1 (en) 2018-09-12 2019-09-09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265A KR20200030419A (ko) 2018-09-12 2018-09-12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419A true KR20200030419A (ko) 2020-03-20

Family

ID=6977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265A KR20200030419A (ko) 2018-09-12 2018-09-12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14883A1 (ko)
KR (1) KR20200030419A (ko)
WO (1) WO20200550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1798B2 (ja) * 2002-06-06 2008-05-28 シャープ株式会社 乾燥機
KR101280378B1 (ko) * 2006-12-20 2013-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JP2009219582A (ja) * 2008-03-14 2009-10-01 Panasonic Corp 除湿装置
JP5755036B2 (ja) * 2011-06-09 2015-07-29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KR101728757B1 (ko) * 2015-07-08 201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80223B1 (ko) * 2016-05-31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616492B1 (ko) * 2017-01-13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25946A (ko) * 2018-08-31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38996B1 (ko) * 2018-09-12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14883A1 (en) 2021-07-15
WO2020055058A1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28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895041B1 (en) Pedestal dryer for laundry machine and combined laundry machine
US8424141B2 (en) Cloth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627707B1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64289B1 (ko) 의류 건조기의 건조 방법
US20170183811A1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00132130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101661994B1 (ko) 세탁 건조 시스템
KR20200030420A (ko)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10017690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197612A1 (zh) 干衣机的烘干控制方法及系统
US8468717B2 (en) Method to detect an end of cycle in a clothes dryer
CN112020580B (zh) 干衣机及其控制方法
KR20200030419A (ko) 의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146523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87494A1 (en) Heat pump type laundry dryer and method of drying laundry using the same
JP2014054375A (ja) 衣類乾燥装置
KR20170068820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3226249A (ja) 衣類乾燥機
US11332878B2 (en)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095710A (ko) 건조기의 행정 제어방법
US20240068147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345914B1 (ko) 히트펌프식 건조기의 건조 종료 제어방법
KR101199365B1 (ko) 자동 건조 장치의 건조 제어 방법
US20230399792A1 (en)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