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206A - Diy 인테리어 제품 - Google Patents

Diy 인테리어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206A
KR20200030206A KR1020180108762A KR20180108762A KR20200030206A KR 20200030206 A KR20200030206 A KR 20200030206A KR 1020180108762 A KR1020180108762 A KR 1020180108762A KR 20180108762 A KR20180108762 A KR 20180108762A KR 20200030206 A KR20200030206 A KR 20200030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odule
pattern module
diy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913B1 (ko
Inventor
신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앤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앤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앤씨티
Priority to KR102018010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9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IY 인테리어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다양한 정면부 모양이나 미감 형성이 가능한 문양 모듈을 삽입 수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주는 동시에, 인테리어 목적에 맞게 사용자가 다양하게 제품 구성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DIY 인테리어 제품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DIY 인테리어 제품 {DIY Interior products}
본 발명은 한국의 전통건축 및 전통가구에서 사용되어 왔던 전통문양 패턴 디자인을 적용한 DIY(Do it yourself) 인테리어 제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한국의 전통건축 및 전통가구 등 한국의 전통 구조물에서 흔히 사용되는 짜맞춤 기법을 응용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전통문양의 패턴을 스스로 만들어 실내 공간의 인테리어 목적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에 관한 발명이다.
경제발전과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실내외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수요와 시장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경제주체들에 의해 실내외 인테리어 소품이나 제품 등이 개발, 판매하고 있다.
또한 인테리어 제품에 개성도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인테리어 제품을 만들 수 있는 DIY 형태의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 역시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내 또는 실외 인테리어 제품들이 한국적 정서를 반영하지 못한 국적 불명의 인테리어 디자인 제품이 많은 것이 현실이며, DIY 형식의 인테리어 제품 역시 구성품 간의 표준화나 모듈화가 충분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조립 및 사용은 물론 분리 후 재조립 등에 불편함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일부의 경우 전통적인 한옥 문양을 인테리어 디자인으로 도입한 사례는 있으나, 한국의 전통건축 및 전통가구 등에 사용되어 왔던 전통문양을 현대적 트랜드에 맞게 디자인하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하고, 보다 편리하게 다양한 디자인으로 재구성 및 재사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요구는 지속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385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373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국의 전통건축 및 전통가구 등에 사용되어 왔던, 짜맞춤 기법 및 전통문양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여 자유롭게 인테리어 제품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DIY 방식의 인테리어 제품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쉽게 실내 또는 실외 인테리어 제품을 조립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분해 및 재조립, 재사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주요 구성품을 모듈화, 표준화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테리어 제품을 조립,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DIY 인테리어 제품을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문양판을 상호 겹쳐 다양한 정면부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문양 모듈; 및 상기 문양 모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의 제공을 통해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부 프레임은, 좌우측 프레임을 형성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일단부와 양 단부가 각각 체결되어 하단 프레임을 형성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의 타단부와 양 단부가 각각 체결되어 상단 프레임을 형성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문양 모듈이 슬라이딩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설정된 위치에 홈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와 상기 마감부재는 각각 전통맞춤(연귀산지, 연귀장부, 턱걸이주먹장부맞춤, 두겁주먹장부맞춤 등 한국의 전통건축 및 전통가구 등에서 사용되어 왔던, 다양한 전통 방식의 자재 맞춤 방식을 지칭한다)으로 체결되어, 제품의 조립과 분해, 그리고 재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의 제공을 통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목적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DIY 인테리어 제품은, 이웃하는 복수개의 상기 문양 모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감잡이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감잡이 모듈은, 외부로 각각 노출되는 수직지지체; 및 상기 수직지지체 사이에 십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수평지지체;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지지체에 이웃하는 상기 문양 모듈의 모서리가 각각 수용되어 상기 문양 모듈의 안정적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수직지지체의 표면에 도형, 문양 또는 로고 중 어느 하나를 양각 및/또는 음각으로 표시함으로써 인테리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의 제공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고려 가능하다.
또한 DIY 인테리어 제품은, 상기 외부 프레임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 부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DIY 인테리어 제품을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 시키거나, 벽체에 고정 부착할 수 있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DIY 인테리어 제품의 장식적 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으로도 구성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문양 모듈은, 다른 색채와 소재로 구성된 복수개의 문양판을 상호 겹쳐 다양한 정면부의 모양과 장식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즉 복수개의 문양판을 상호 겹침하지 않고서도, 일정한 높이와 너비를 가지며, 내부에 설정된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문양 모듈(즉, 하나의 문양판으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 모듈의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1문양 모듈과 상하 및/또는 좌우로 이웃하는 제2문양 모듈을 연결하는 감잡이 모듈; 및 상기 제1문양 모듈 및 제2문양 모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1문양 모듈은, 일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용홈은, 상기 제2문양 모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수용홈과 맞닿아 결합 수용홈을 형성하며, 상기 감잡이 모듈은, 상기 결합 수용홈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1문양 모듈 및 제2문양 모듈의 안정적 체결(“외부 프레임”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인테리어 부재의 제공을 통해서도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DIY 인테리어 제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한국의 전통건축 및 전통가구에서 사용된 짜맞춤 기법과 현대적인 디자인 트랜드를 반영한 전통문양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스스로 조립할 수 있는 DIY 인테리어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여, 사용자가 표준화 및 모듈화된 구성품의 자유로운 조립을 통해 실내 벽체나 천장 등에 부착할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은 물론, 사무공간의 칸막이, 책상이나 탁자 등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인테리어 소품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 모듈의 결합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잡이 모듈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10)의 조립 순서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을 파티션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 수직지지부와 마감부재가 상호 체결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 모듈을 구성하는 예시들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양 모듈과 감잡이 모듈의 체결 방식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10)은 수직지지부(100), 수평지지부(200), 마감부재(300), 문양 모듈(400), 감잡이 모듈(500) 및 받침부(600)를 포함한다.
수직지지부(100)는 단위 DIY 인테리어 제품(10)의 수직 높이를 결정하는 지지부재(“외부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단부를 형성)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폭과 넓이, 수직방향으로 설정된 높이를 가진다. 또한 수직지지부(100)는 내측에 이하 후술할 문양 모듈(400)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일부가 슬라이딩 끼움맞춤 체결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지지부(100)는 좌우측의 양 단부가 이하 후술할 수평지지부(200)와 “연귀맞춤(“연귀장부맞춤”이나 “연귀산지맞춤” 등)될 수 있는 돌출홈 및 이와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된 수직지지부(100)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체결될 수 있는 체결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지지부(100)는 하나 이상의 수직지지부(100)가 상호 맞닿음 체결되거나 끼움 연결되거나, 체결재(볼트-너트, 본드 등) 이용 결합을 통해 필요에 따라 수직지지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수평지지부(200)는 설정된 내측에 이하 후술할 문양 모듈(400) 하단부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며, 좌우측 단부는 수직지지부(100)와 체결되는 지지부재를 지칭(“외부 프레임”의 하단부를 구성)한다. 또한 수평지지부(200)는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 이하 후술할 문양 모듈(400)의 일부가 삽입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지지부(200) 역시, 수직지지부(100)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의 수평지지부(200)가 상호 맞닿음 체결 또는 끼움 연결 또는 체결재(볼트-너트, 본드 등) 이용 결합 등을 통해 필요에 따라 수평지지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마감부재(300)는 좌우측의 수직지지부(100)와 하부의 수평지지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끼움맞춤하면서, 벽체의 구성을 형성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문양 모듈(400)을 안정적으로 수용 마감할 수 있는 지지부재(“외부 프레임”의 상단부를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마감부재(300)는 내측의 설정된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최상단에 위치하는 문양 모듈(400)의 상단부 일부를 수용하는 동시에, 좌우측 양 단부는 인접하는 수직지지부(100)와 각각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재(300)는 좌우측의 양 단부가 수직지지부(100)와 “연귀 장부맞춤”이나 “연귀 산지맞춤”될 수 있는 돌출홈 및 이와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된 수직지지부(100)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체결될 수 있는 체결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
마감부재(300) 역시, 수평지지부(200)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의 마감부재(300)가 상호 맞닿음 체결되어나 끼움 연결되거나, 체결재(볼트-너트, 본드 등) 이용 결합을 통해 수평지지부(200)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대응될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10)은 수직지지부(100), 수평지지부(200) 및 마감부재(300)를 통해 DIY 인테리어 제품(10)의 외부 골조(“외부 프레임”)가 형성되고, 수직지지부(100) , 수평지지부(200) 및 마감부재(300)로 구획된 공간 내부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문양 모듈(400)이 삽입되어 내부의 구획된 공간에 한국의 전통건축 및 전통가구 문양을 이용한 벽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문양 모듈(400)은, 이하 후술할 바와 같이, 다양한 문양 패턴을 가지는 문양판(410, 420, 430)들을 복수개 조합하여 하나의 문양 모듈(400)을 구성(짜맞춤)할 수 있으며, 각각의 수직지지부(100), 수평지지부(200) 및 마감부재(300)의 내측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홈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끼워맞춤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문양 모듈(400)이 “외부 프레임” 내에 수용되어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프레임”은 서로 대응되는 양 단부들의 구성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귀장부맞춤”이나 “연귀산지맞춤”과 같은 전통맞춤 체결 방식 및 구조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분해하고, 다시 조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프레임”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10)이 활용되는 목적, 즉 벽체 장식(바닥에 놓은 형태, 천정에 붙은 형태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공간 구획(파티션으로 이용 등), 책상이나 탁상, 작업대 위에 장식적인 목적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부분을 감안하여, 수직지지부(100), 수평지지부(200) 및/또는 마감부재(300)의 길이나 너비, 폭을 추가 체결 등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외부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문양 모듈(400)의 종류나 크기, 형태도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10)의 사용 목적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인테리어 소품이나 제품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받침부(600)는 수평지지부(200)와,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평지지부(200)의 하단부 중 설정된 위치에서, 상부가 체결되고, 하부는 바닥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DIY 인테리어 제품(10)을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받침 부재를 지칭한다.
받침부(600)는 DIY 인테리어 제품(10)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구조체인 동시에,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DIY 인테리어 제품(10)을 이격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소재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맞닿는 “하부 받침대” 및 하부 받침대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받침대”, 즉 수평지지부(200)의 하단부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하 후술), 상면에 수평지지부(20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부재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600)는, 전술한 설명과 달리, 하단부가 마감부재(300)의 설정된 부위와 체결(끼움체결, 볼트 등과 같은 체결재를 통한 체결 등)되고, 상단부는 실내 구조물의 벽체나 기둥, 천장(콘크리트 노출 천장 등), 실내 천장 마감재 등에 부착되는 형태로도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 모듈(400)과 감잡이 모듈(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 모듈(400)의 결합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잡이 모듈(500)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문양 모듈(400)은 수직지지부(100), 수평지지부(200) 및 마감부재(300)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형성되는 외부 골조인 “외부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다양한 문양판(410, 420, 430)의 집합체(동일 평면-정면부를 기준으로- 상에 복수개의 문양판을 상호 겹쳐-맞대음-형성)를 지칭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양 모듈(400)은 일정한 높이와 너비를 가지며, 내부에 설정된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양판(410, 420, 430)은 한국의 전통건축 및 전통가구에서 사용되어 왔던 전통문양 패턴 디자인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문양판(410, 420, 430)은 같은 폭과 너비,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소재나 재질, 표면 색채 등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소재와 입면(정면) 형태, 모양, 색채로 형성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문양판(410, 420, 430)을 조합하여 하나의 단위 문양 모듈(40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인테리어 소품이나 제품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문양판(410, 420, 430)을 재조합(상호 덧댐, 붙임 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문양 모듈(400)은 3개의 문양판(410, 420, 430)이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문양판(410, 420, 430)은 같은 폭과 길이, 너비로 형성되나 내부의 모양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다양하고, 자신만의 패턴으로 형성된 문양 모듈(400)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하나의 문양 모듈(400)을 구성할 수 있는 문양판의 개수는 3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홈의 크기나 폭 및/또는 각각의 문양판(410, 420, 430) 폭이나 너비, 두께 등에 따라 결합되는 문양판(410, 420, 43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하나의 문양판이 문양 모듈(4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서로 다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문양판(410, 420, 430)을 상호 겹쳐 다양한 정면부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문양 모듈(4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문양 모듈(400)을 구성하는 문양판(410, 420, 430)의 소재나 색채를 각기 달리하여 문양 모듈(400)을 구성할 경우, 보다 다양한 인테리어 관점에서의 미관이나 장식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경우, 하나의 문양판(410)만으로도 문양 모듈(4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양판(410)은 다양한 두께와 폭, 길이와 너비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감잡이 모듈(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웃하는 문양 모듈 (400)을 맞춤고정할 수 있는 부재를 지칭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감잡이 모듈(500)은 4개의 이웃하는 문양 모듈(400)의 단부를 설정된 깊이만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감잡이 모듈(500)은 외부로 노출되는 “수직지지체” 사이에 십자(+) 모양으로 형성된 “수평지지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문양 모듈(400)의 일단부는 수평지지체에 끼워져 이웃하는 문양 모듈(400)들과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잡이 모듈(5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수직지지체가 별도의 문양을 포함하지 않은 정사각형(또는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 부재로 제공될 수 있지만, 추가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체에 동식물, 곤충 등의 모양이나 글자, 도형 등이 양각 및/또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장식미를 보다 강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잡이 모듈(500)은 전술한 수직지지체를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수직지지체의 외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문양이나 로고, 글자, 도형 등을 양각이나 음각 등으로 새겨 넣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감잡이 모듈(500)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부(100)와 맞닿는 부위에 수용되는 문양 모듈(400, 즉 수직지지부(100)에 형성된 홈을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끼워맞춤 삽입 체결되는 문양 모듈(400)을 지칭)을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일측은 수직지지부(100)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하되, 타측의 내부에는 상하로 인접하는 문양 모듈(400)을 각각 상부와 하부에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수평지지체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문양 모듈(400, 또는 개별 문양판(410, 420, 430)) 및 감잡이 모듈(500)의 체결 방식은 전술한 내용이나 도 3의 내용과 달리, 도 8(이하 후술)에서 도시된 방식 등으로도 다양한 체결 형태나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10)의 조립 순서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DIY 인테리어 제품(10)은 좌우측의 수직지지부(100) 하단부와 수평지지부(200)의 양단을 체결하여 상부가 오픈된 “외부 프레임”을 우선적으로 구성하게 되며, 상부가 오픈된 “외부 프레임”에 문양 모듈(400)을 하나씩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내부 벽체 공간을 형성해 나가게 된다. 이 때, “외부 프레임”과 일 측이 맞닿는 문양 모듈(400)은 수직지지부(100)의 내측(“외부 프레임” 내측 방향)에 형성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문양 모듈(400)의 경우, 최종적으로는 수평지지부(200)의 내측(“외부 프레임” 내측 방향)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여 수용될 수 있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아래층을 형성한 문양 모듈(400)의 상측으로 새로운 문양 모듈(400)이 동일한 방식으로, 수직지지부(100)의 내측 홈을 따라 슬라이딩 끼워맞춤 형태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각 층을 구성하게 되는 문양 모듈(400)들의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체결 상태 유지를 위해 각 문양 모듈(400)의 단부(모서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감잡이 모듈(500)이 이용될 수 있다. 즉, 감잡이 모듈(500)을 통해 상측과 하측에 놓이게 되는 복수개의 문양 모듈(4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장 최외곽에 위치하는 문양 모듈(400)과 달리, “외부 프레임”과 떨어져 내측에 위치하는 문양 모듈(400)의 경우(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4에서는 각 층을 구성하는 문양 모듈(400)이 2개인 것을 가정하였으나, 이와 달리 각 층을 구성하는 문양 모듈(400)이 3개 이상인 경우를 생각해 볼 때), 좌우측으로 이웃하는 문양 모듈(400)들도 감잡이 모듈(500)을 통해 일단부(모서리 등)이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300)의 양 단부를 수직지지부(100)의 타단부와 각각 체결하여 “외부 프레임”을 완성하는 동시에, “외부 프레임” 내부에 수용된 문양 모듈(400)이 임의 이탈하지 않도록 하게 되며, 추가적으로 받침부(600)를 설정된 위치에 부착(수평지지부(200) 또는 마감부재(300) 등에 삽입 수용하는 형태 등)하여 본 발명에 의한 DIY 인테리어 제품(10)을 완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10)을 공간 구획이 가능한 파티션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IY 인테리어 제품(10)은 사무실 공간 구획(자리 배치 등)에 이용할 수 있는 파티션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프레임” 내부에 설정된 폭과 너비, 크기로 형성된 문양판 및/또는 문양 모듈(400)을 감잡이 모듈(500)을 활용하여 상호 연결 체결하고, 하부에는 받침부(600)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무실 구획 공간에 따라 파티션의 너비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사무실 공간 재배치는 물론 사무실 공간 등의 이전에도 추가적인 파티션이나 인테리어 제품의 구매 없이도 지속적으로 파티션 등의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 수직지지부와 마감부재가 상호 체결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프레임”은 “연귀산지맞춤” 또는 “연귀장부맞춤” 또는 “턱걸이주먹장부맞춤”이나 “두겁주먹장부맞춤”과 같은 전통적인 방식(본 발명에서는 한국의 전통건축 및 전통가구 등에서 상호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부재들간의 전통적인 체결 방식을 통일적으로 “전통맞춤”이라 한다)으로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지지부(100), 수평지지부(200) 및/또는 마감부재(300)가 상호 맞닿아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외부 프레임” 문양 모듈(400), 감잡이 모듈(500) 및/또는 받침부(600)는 목재 소재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인테리어 장식성 등을 감안하여 전부 또는 일부는 금속소재나 플라스틱 소재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 모듈(400)을 구성하는 예시들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 모듈(400)은 하나 이상의 다양한 패턴(정면부를 기준으로)을 가지도록 형성된 문양판(410, 420, 430)을 상호 겹쳐 새롭고 다양한 문양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된 문양 모듈(400)이 “외부 프레임”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다양한 인테리어 가능을 가지는 DIY 인테리어 제품(10)을 사용자 니즈에 따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된 정면부를 가지는 복수개의 문양판(410, 420, 430)를 상호 조합(상호 겹침-맞대음-)하여 새로운 정면부(패턴)를 가지도록 형성된 문양 모듈(400)을 창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달리, 사용자는 다양한 패턴(정면부의 형상 및 모양)을 가지는 문양판(410, 420, 430)을 상호 겹침 없이도, 상호 이웃(상하, 좌우)하게 감잡이 모듈(500)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외부 프레임”의 내부에서 다양한 패턴들로 형성된 문양판들의 조합도 구성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양 모듈(400)과 감잡이 모듈(500)의 체결 방식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문양판(410, 420, 430)이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문양판(410, 420, 430)이 상호 겹쳐(정면이 상호 맞대어) 다양한 정면부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문양 모듈(400)의 설정된 위치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삽입홈(40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호 이웃(상하 및/또는 좌우로 이웃)하는 문양판(410, 420, 430)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문양판(410, 420, 430)이 상호 겹쳐(정면이 상호 맞대어) 형성되는 문양 모듈(400)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삽입홈(400a, 제1문양 모듈의 일측에 형성) 및 제2삽입홈(400a, 제1문양 모듈과 이웃하는 제2문양 모듈의 일측에 형성)이 만나 보다 큰 “결합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8에서는 이러한 “결합 삽입홈”이 문양판 또는 문양 모듈(400)의 단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이와 달리 각 문양판 또는 문양 모듈(400)의 4면의 모서리에 형성(이 경우 이웃하는 4개의 문양 모듈이 하나의 감잡이 모듈(500)에 의해 연결-체결-될 수 있게 된다)되거나, 단부의 중앙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치우치거나, 다양한 단면의 형상(예컨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웃하는 삽입홈(400a)이 붙어 형성되는 “결합 삽입홈” 역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결합 삽입홈”에는 이와 대응 가능한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된 감잡이 모듈(500e)이 삽입되어 상호 이웃(상하 및/또는 좌우)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문양판이나 문양 모듈(4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상호 지지되며,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외부로 노출되는 감잡이 모듈(500)의 표면에도 글자나 문양, 로고, 숫자 등의 내용을 양각 및/또는 음각으로 삽입하여 디자인적 기능을 강화하는 동시에, 상업적(기업 로고 홍보 등)으로 활용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사용자는 상호 이웃하는 하나의 문양판(410, 이 경우 정면부의 형상과 모양이 각기 다른 문양판을 상호 이웃하여 연결하여, 인테리어 기능, 즉 장식미를 부가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복수개의 문양판(410, 420, 430)들이 돌일 평면(정면을 기준으로)상호 겹쳐 형성되는 문양 모듈(400)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정면부 모양을 형성(이 경우에는 다양한 정면부의 형태와 모양 구성을 가진 문양판을 상호 겹쳐 하나의 정면부의 형상과 모양을 만들되, 상호 이웃하는 문양 모듈(400)들의 정면부 형상과 모양이 각기 상이하도록 문양 모듈(400)간의 상호 연결-또는 체결-하여 인테리어 기능성을 더욱 부가할 수 있게 된다)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공간이나 거주자, 사용자에 따라 차별화된 인테리어 미감, 장식미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는 동시에, 이웃하는 문양판 및/또는 문양 모듈(400)을 다양한 감잡이 모듈(500, 500e)를 통해 쉽게 체결하여 인테리어 장식미를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과 분해, 재조립이 보다 손쉽게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DIY 인테리어 제품
100: 수직지지부
200: 수평지지부
300: 마감부재
400: 문양 모듈
400a: 삽입홈, 결합 삽입홈
410, 420, 430: 문양판
500: 감잡이 모듈
600: 받침부

Claims (6)

  1. 서로 다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문양판을 상호 겹쳐 다양한 정면부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문양 모듈; 및
    상기 문양 모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은,
    좌우측 프레임을 형성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일단부와 양 단부가 각각 체결되어 하단 프레임을 형성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의 타단부와 양 단부가 각각 체결되어 상단 프레임을 형성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문양 모듈이 슬라이딩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설정된 위치에 홈이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와 상기 마감부재는 각각 전통맞춤으로 체결되어,
    제품의 조립과 분해, 그리고 재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IY 인테리어 제품은,
    이웃하는 복수개의 상기 문양 모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감잡이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감잡이 모듈은,
    외부로 각각 노출되는 수직지지체; 및 상기 수직지지체 사이에 십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수평지지체;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지지체에 이웃하는 상기 문양 모듈의 모서리가 각각 수용되어 상기 문양 모듈의 안정적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수직지지체의 표면에 도형, 문양 또는 로고 중 어느 하나를 양각 및/또는 음각으로 표시함으로써 인테리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
  4. 청구항 1에 있어서,
    DIY 인테리어 제품은,
    상기 외부 프레임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 부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DIY 인테리어 제품을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시키거나, 벽체에 고정 부착할 수 있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DIY 인테리어 제품의 장식적 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양 모듈은,
    다른 색채와 소재로 구성된 복수개의 문양판을 상호 겹쳐 다양한 정면부의 모양과 장식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
  6. 일정한 높이와 너비를 가지며, 내부에 설정된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문양 모듈;
    상기 제1문양 모듈과 상하 및/또는 좌우로 이웃하는 제2문양 모듈을 연결하는 감잡이 모듈; 및
    상기 제1문양 모듈 및 제2문양 모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DIY 인테리어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1문양 모듈은,
    일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용홈은,
    상기 제2문양 모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수용홈과 맞닿아 함께 결합 수용홈을 형성하며,
    상기 감잡이 모듈은,
    상기 결합 수용홈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제1문양 모듈 및 상기 제2문양 모듈의 안정적 체결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인테리어 부재.
KR1020180108762A 2018-09-12 2018-09-12 Diy 인테리어 제품 KR10212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762A KR102121913B1 (ko) 2018-09-12 2018-09-12 Diy 인테리어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762A KR102121913B1 (ko) 2018-09-12 2018-09-12 Diy 인테리어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206A true KR20200030206A (ko) 2020-03-20
KR102121913B1 KR102121913B1 (ko) 2020-06-11

Family

ID=6995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762A KR102121913B1 (ko) 2018-09-12 2018-09-12 Diy 인테리어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91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878U (ko) * 2011-09-09 2013-03-19 최미희 페어 글라스 창문
KR101343850B1 (ko) 2011-05-09 2013-12-20 주식회사 한샘 조립식 수납장
KR20160001854U (ko) * 2014-11-21 2016-05-31 조강원 기역니은디귿 조립식 가구
KR101663734B1 (ko) 2014-08-22 2016-10-07 안종훈 조립식 책장
KR20170001101A (ko) * 2015-06-25 2017-01-04 (주)삼정하이테크 장식파티션
KR101816301B1 (ko) * 2017-04-05 2018-01-08 주식회사 우드앤씨티 짜맞춤 기법을 이용한 전통문양 장식체를 갖는 장식용 목재패널의 조립구조
KR101816300B1 (ko) * 2017-04-05 2018-01-30 주식회사 우드앤씨티 짜맞춤 기법을 이용한 전통문양 장식체를 갖는 장식용 목재패널의 조립 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850B1 (ko) 2011-05-09 2013-12-20 주식회사 한샘 조립식 수납장
KR20130001878U (ko) * 2011-09-09 2013-03-19 최미희 페어 글라스 창문
KR101663734B1 (ko) 2014-08-22 2016-10-07 안종훈 조립식 책장
KR20160001854U (ko) * 2014-11-21 2016-05-31 조강원 기역니은디귿 조립식 가구
KR20170001101A (ko) * 2015-06-25 2017-01-04 (주)삼정하이테크 장식파티션
KR101816301B1 (ko) * 2017-04-05 2018-01-08 주식회사 우드앤씨티 짜맞춤 기법을 이용한 전통문양 장식체를 갖는 장식용 목재패널의 조립구조
KR101816300B1 (ko) * 2017-04-05 2018-01-30 주식회사 우드앤씨티 짜맞춤 기법을 이용한 전통문양 장식체를 갖는 장식용 목재패널의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913B1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155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10136730B2 (en) Chair, stool assembly, and system
US6808074B1 (en) Showcase system and method
USD839229S1 (en) TV receiver
KR101338361B1 (ko) 다양한 모서리부재를 갖는 분할형 조립식 인테리어 선반 세트
WO2014122155A1 (en) Construction kit with closed surfaces for building modular displays
USD557725S1 (en) Laser beam projector
US9027299B2 (en) Themed modular ceiling and wall decor kit and system
KR102121913B1 (ko) Diy 인테리어 제품
KR101535243B1 (ko) Diy용 다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diy용 가구
BE1018282A3 (nl) Wandpaneel en bijhorende modulaire inrichting.
JP2020058746A (ja) 組立式の個室箱型ベッド
US20060037719A1 (en) Stackable folding screen
KR20160000210U (ko) 조립식 가구 및 교육완구
US6837556B1 (en) Method and kit for constructing a cabinet
US20170311735A1 (en) Construction kit for display
CN212729479U (zh) 穿鞋凳
GB2196773A (en) Display units for room planning and toys
US20020139058A1 (en) Small-room structure for indoor installation
AU2011101646A4 (en) Table
JP3205141U (ja) 飾り台及びこれを収容する収容箱
KR200276735Y1 (ko) 주름장식판이 결합된 장식대
KR200335033Y1 (ko) 데코시트판을 이용한 접합식 상다리
US2725273A (en) Cabinet and furniture construction
KR20230083426A (ko) 다양한 용도로 변형 가능한 조립식 서랍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