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113A - 수배전반 장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113A
KR20200028113A KR1020180106360A KR20180106360A KR20200028113A KR 20200028113 A KR20200028113 A KR 20200028113A KR 1020180106360 A KR1020180106360 A KR 1020180106360A KR 20180106360 A KR20180106360 A KR 20180106360A KR 20200028113 A KR20200028113 A KR 20200028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gear
vane
weight
parts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962B1 (ko
Inventor
조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06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9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함체의 내부에 먼지가 많아지게 되면 자동적으로 집진부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먼지의 축적으로 인한 전기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를 집적해 놓은 개폐기함을 함체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먼지 축적 및 화재 발생의 가능성을 줄여줌과 동시에, 함체의 내부면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복합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고, 개폐기함의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음으로써 전기 사고 및 화재 발생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수배전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면에는 결로방지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함체와, 상기한 함체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면에는 결로방지 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함체 도어와, 상기한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는 개폐기함과, 상기한 개폐기함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는 개폐기함 도어와, 상기한 개폐기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와, 상기한 개폐기함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한 개폐기함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배전반 장치{Switch gear}
이 발명은 수배전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를 집적해 놓은 개폐기함을 함체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먼지 축적 및 화재 발생의 가능성을 줄여줌과 동시에, 함체의 내부에 먼지가 많아지게 되면 자동적으로 집진부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먼지의 축적으로 인한 전기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함체의 외부면에는 결로방지 패드를 부착하고, 개폐기함의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을 코팅함으로써 전기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수배전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공장, 빌딩, 병원, APT 단지, 및 각종 산업 시설 등에 한전으로부터 공급된 특고압(22,900V)의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각종 설비 및 장비의 정격에 맞는 낮은 전압(220V/380V) 및 정격 용량으로 변환시켜 전기 시설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 제어 및 감시하는 장치로서 기초 바닥 위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수배전반은 대부분 철재로 제작되고, 전면측에 유지관리를 위한 개폐도어가 구비된 폐쇄형의 함체로 제작된다.
상기한 수배전반의 내부에는, 수전단 및 배전 선로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자동 또는 수동 조작으로 선로를 차단 및 투입하여 설비 및 장치의 보수 또는 점검과 정전시 예비전원으로 자동 전환시켜 항상 안정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부하전환개폐기반(ALTS PANEL), 계통 전압 22.9KV-Y 수전 선로용 계폐기로서 정격 부하 전류, 여자 전류, 충전 전류를 임의 개폐 및 정상 선로의 구분 개폐를 목적으로 하는 기중부하개폐기반(LBS PANEL), 교류전력계통에서 낙뢰 또는 회로개폐에 의한 이상과 전압을 제한하며 속류를 차단하여 부하측 선로 및 기기를 보호하는 전력용 피뢰기(LA), 특고압, 전류를 110V, 5A로 변성시키며, 변류기와 계기용 변압기를 한데 묶어 전력량 측정 및 요금 징수를 목적으로 하는 전력수급용 계기용변성기(MOF), 선로 또는 전기기계 기구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전력 휴즈(PF), 22.9KV-Y 계통 수전 선로용 주 차단기반으로서 운전 중 부하측 전력계통(전로 및 전기 기기, 설비)에서 고장으로 인한 고장전류를 건전한 선로와 분리 및 차단시켜 수전단에 고장파급을 억제하고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며, 보수 점검 시 전로를 구분 개폐하는 진공차단기반(VCB PANEL), 22.9KV-Y 계통 수전 용 T.R반으로서 공급받은 특고압 전력을 부하설비(동력, 조명, 전열, 공조 등)의 용량에 맞게 2차 전압, 전류를 유지시켜 정격의 전력 공급으로 하는 특고압 변압기반(TR PANEL) 등이 내장된다.
이와 같이, 수배전반 함체의 내부에는 많은 전자부품들과 전기장치들이 탑재되어 있는데, 폐쇄형의 함체에 의해 공기 갇힘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내부 공간에 먼지가 쌓여 안착이 된 후 습한 기후가 형성될 때 고착이 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누적된 먼지로 인한 전기적 단락 및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내부의 먼지 농도 및 두께를 측정하여 기준값 이상일 경우 관리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내부 청소를 통해 전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더불어 관리자에게 경보를 빌생하도록 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006205호(공개일자 2015년 01월 16일)의 "수밴전반"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번호 10-2015-0006205호를 포함한 종래의 수배전반 장치는, 함체 내부에 먼지가 많이 쌓이게 되면 작업자가 먼지를 청소해주어야 하는데 작업인력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청소를 하지 않게 되면 전기 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배전반 장치는, 함체 내부에서 열이 발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함체 외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차갑게 되면 함체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결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대책이 없어서 결로로 인한 전기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0062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를 집적해 놓은 개폐기함을 함체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먼지 축적 및 화재 발생의 가능성을 줄여줌과 동시에, 함체의 내부에 먼지가 많아지게 되면 자동적으로 집진부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먼지의 축적으로 인한 전기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배전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체의 외부면에는 결로방지 패드를 부착하고, 개폐기함의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을 코팅함으로써 전기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수배전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면에는 결로방지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함체와, 상기한 함체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면에는 결로방지 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함체 도어와, 상기한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는 개폐기함과, 상기한 개폐기함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는 개폐기함 도어와, 상기한 개폐기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와, 상기한 개폐기함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한 개폐기함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결로방지 패드는, 사각형의 PET 필름층과, 상기한 PET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 박층과, 상기한 알루미늄 박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특정 색상 또는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층과, 상기한 PET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PET 필름층의 표면 평탄도를 높이기 위한 탄성층과, 상기한 탄성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함체 및 함체 도어의 외부면에 자기점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점착 부착층과, 상기한 점착 부착층의 하부에 부착되어 점착 부착층을 보호하며 점착 부착층이 함체 및 함체 도어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경우에 점착 부착층로부터 제거되는 이형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점착부착층은 부틸고무(Isobutylene rubber), 폴리부틸렌(Polybutylene), 석유수지(Petroleum resin), 난연제(Flame retardant)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한 폴리부틸렌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250 중량부, 상기한 석유수지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110 중량부, 상기한 난연제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300 중량부를 가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는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서 에틸렌비닐초산 코폴리머(EVA) 20~23 중량부, 폴리우레탄 12~15 중량부, 중합체 1~3 중량부로 구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로서 Sodium bicarbonate(NaHCO3) 20~25 중량부를 배합함으로써 비중을 낮추고 절연성을 높이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는 0.10~0.15㎛의 미세공이 형성된 실리카 입자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블랜딩시켜서 생성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집진부는, 역깔때기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흡입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후드와, 상기한 후드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메쉬 망과, 상기한 후드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클론관과, 상기한 후드의 내부 상단과 상기한 사이클론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베인 댐퍼와, 상기한 사이클론관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나선형 베인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베인관과, 상기한 외부 베인관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경사형 베인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베인관과, 상기한 외부 베인관과 내부 베인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길이조절용 연결링과, 상기한 사이클론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분진 토출부와, 상기한 후드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센서와, 상기한 사이클론관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분진센서와, 상기한 유량 센서와 분진센서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와, 상기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한 베인 댐퍼 및 분진 토출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외부 베인관은, 원통형으로서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부는 내부 베인관과 결합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밀봉되어 있으며, 하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는 나선형 베인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내부 베인관은, 원통형으로서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부는 개구되어 닥트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밀봉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경사형 베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내주면에도 경사형 베인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베인 댐퍼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사각이 가변됨으로써 사이클론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량을 조절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를 집적해 놓은 개폐기함을 함체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먼지 축적 및 화재 발생의 가능성을 줄여줌과 동시에, 함체의 내부에 먼지가 많아지게 되면 자동적으로 집진부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먼지의 축적으로 인한 전기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함체의 외부면에는 결로방지 패드를 부착하고, 개폐기함의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을 코팅함으로써 전기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결로방지 패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집진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집진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집진부의 내부 베인관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방향에 관한 표현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연결된다"거나 "접속된다"라는 표현은 직접적인 연결 또는 접속뿐만이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는 연결 또는 접속을 포함한다. 또한, "~부"라는 표현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등을 포함하며, 1개의 유닛은 1개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면에는 결로방지패드(20, 도 2 참조)가 부착되어 있는 함체(10)와, 상기한 함체(10)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면에는 결로방지 패드(20, 도 2 참조)가 부착되어 있는 함체 도어(11a, 11b)와, 상기한 함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는 개폐기함(13)과, 상기한 개폐기함(13)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는 개폐기함 도어(14a, 14b)와, 상기한 개폐기함(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15)와, 상기한 개폐기함(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15)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12)와, 상기한 개폐기함(13)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함체(10) 및 함체 도어(11a, 11b)의 외부면에는 결로방지 패드(20)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결로방지 패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결로방지 패드(20)는, 사각형의 PET 필름층(21)과, 상기한 PET 필름층(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 박층(22)과, 상기한 알루미늄 박층(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특정 색상 또는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층(23)과, 상기한 PET 필름층(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PET 필름층(21)의 표면 평탄도를 높이기 위한 탄성층(24)과, 상기한 탄성층(2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함체(10) 및 함체 도어(11a, 11b)의 외부면에 자기점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점착 부착층(25)과, 상기한 점착 부착층(25)의 하부에 부착되어 점착 부착층(25)을 보호하며 점착 부착층(25)이 함체(10) 및 함체 도어(11a, 11b)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경우에 점착 부착층(25)으로부터 제거되는 이형필름층(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PET 필름층(21)은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축합중합하여 얻어지는 포화 폴리에스터로서, 강성, 내열성, 내유성, 전기적 성질 등이 뛰어나고, 특성상 표면에 색상이나 패턴 인쇄가 가능하다. 상기한 PET 필름층(21)은 20~150㎛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두께가 20㎛ 이하일 경우에는 결로방지 패드(20)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약간만 휘어지더라도 구겨짐과 같은 잔상이 남게 되고, 두께가 150㎛ 이상일 경우에는 PET 필름층(21)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롤형태로 감을 때 표면에서 구겨짐이 발생된다. 참고적으로, PET 필름층(21)은 T 다이에서 토출되는 PET 원료를 여러개의 롤러를 거치면서 필름형태가 되고, 롤러를 거친 PET 필름을 롤 형태로 감아 보관 및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제조되는 PET 필름의 두께가 150㎛ 이상일 경우 롤 형태로 감을 때 내직경이 작은 롤 부분에서 구겨짐 현상이 발생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상기한 PET 필름층(21)은 T 다이에서 토출되는 PET 원료를 여러개의 롤러를 거치면서 필름 형태가 되고, 롤러를 거친 PET 필름을 롤형태로 감아 보관 및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제조되는 PET 필름의 두께가 150㎛ 이상일 경우, 롤 형태로 감을 때 내직경이 작은 롤 부분에서 구겨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알루미늄박층(22)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열이 PET 필름층(21)으로 곧바로 전도되도록 하여 PET 필름층(21)에서 울거나 구겨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부측에 인쇄층(23)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알루미늄박층(22)은 3~20㎛의 두께를 가진다. 알루미늄박층(22)의 두께가 3㎛ 이하이면 외부에서 인가되는 열이 PET 필름층(21)으로 대부분 전도되어 PET 필름층(21)을 손상시키게 되고, 20㎛ 이상일 경우에는 PET 필름층(21)의 가장자리에서 온도 및 습도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될 때 PET 필름층(21)으로부터 분리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인쇄층(23)은 알루미늄박층(22)에 특정 색상 또는 패턴이 형성된 것으로서, 수성은 물론 유성 잉크에도 도포가 용이한 아크릴 계열의 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인쇄층(23)은 결로방지 패드(20)가 함체(10) 및 함체 도어(11a, 11b)의 외부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시공후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하는 인테리어 측면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탄성층(24)은 PET 필름층(21)의 표면 평탄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섬유 조각이 열접착 또는 화학 약품에 의하여 엉키게 접합되어 펠트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한 탄성층(24)은 PET 필름층(21)의 표면 구겨짐을 방지하고, 그 자체로 공기를 함유하기 때문에 결로방지 패드(20)의 단열성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한 탄성층(24)은 2~3 데이나이의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스테르(PE) 재질의 다수의 장섬유가 열압착되어 펠트(felt)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한 탄성층(24)은 단위질량이 30~110g/㎡으로서, 단위질량이 30g/㎡ 이하일 경우에는 두께가 과도하게 얇아지게 되어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고, 단위질량이 110g/㎡ 이상일 경우에는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져 PET 필름층(21)의 표면 구겨짐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한 점착부착층(25)은 결로방지 패드(20)를 별도의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함체(10) 및 함체 도어(11a, 11b)의 외부면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틸고무(Isobutylene rubber), 폴리부틸렌(Polybutylene), 석유수지(Petroleum resin), 난연제(Flame retardant)를 혼합하여 구현한다. 즉, 폴리부틸렌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250 중량부, 석유수지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110 중량부, 난연제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300 중량부를 가진다.
상기한 부틸고무는 기체와 수분에 대하여 낮은 투과성을 가지며, 천연고무나 스틸렌부타디엔 고무에 비하여 내공기 투과성은 7~8배 이상 우수하고, 내수분 투과성은 10배 이상의 특성을 갖는다.
상기한 폴리부틸렌은 액상의 형태로서 부틸고무와 혼합되어 자기 점착성 능력을 강화시킨다.
상기흔 석유유지는 액상의 점착부여제인 폴리부틸렌을 단독으로만 사용할 경우 내열성 및 점착성이 떨어지므로 이러한 내열성 및 점착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고상 점착부여제이다.
상기한 난연제는 탄산칼슘으로서 대리석, 방해석, 선석, 석회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데기, 달걀껍데기, 산호 등을 사용하며, 점착부착층(25)의 내구성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난연성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한 점착부착층(25)은 0.7~3mm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두께가 0.7mm 이하이면 너무 얇아서 견고하게 부착이 되지 않고, 두께가 3mm 이상이면 자체 무게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로방지 패드(20)가 함체(10) 및 함체 도어(11a, 11b)로부터 탈락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한 개폐기함(13) 및 개폐기함 도어(14a, 14b)의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개폐기함(13) 및 개폐기함 도어(14a, 14b)의 내부면의 제1 절연층은 어댑터 개폐기함(13) 및 개폐기함 도어(14a, 14b)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고, 상기한 개폐기함(13) 및 개폐기함 도어(14a, 14b)의 내부면의 제2 절연층은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15)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냉각되도록 도와주면서 어댑터 바디(12)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한다.
상기한 개폐기함(13) 및 개폐기함 도어(14a, 14b)의 내부면에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을 코팅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개폐기함(13) 및 개폐기함 도어(14a, 14b)의 내부면에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을 코팅한다.
상기한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는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서 에틸렌비닐초산 코폴리머(EVA) 20~23 중량부, 폴리우레탄 12~15 중량부, 중합체 1~3 중량부로 구성되는 수지조성물을 활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만을 사용한 수지에 비해 인장강도, 굴곡강도, 하중변형온도, 아이죠드 충격강도에서 향상된 성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조성재료 자체가 저렴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가 있다.
상기한 중합체는 에틸렌과 초산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에 포함되는 폴레우레탄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콘(PEG)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EG) 연질 세그먼트를 함유함으로써 초흡수성과 탄성의 이중 기능성을 나타내며, 중합체내의 공유 가교결합의 가역적 분해 때문에 부분적으로 열가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로서 Sodium bicarbonate(NaHCO3) 20~25 중량부를 배합함으로써 비중을 낮추고 절연성을 높일 수가 있다. 상기한 발포제의 함량이 2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강성, 내열성, 표면 경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절연제의 응용에 부적합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한 발포제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비중, 발포성, 성형성 충격특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제1 절연층은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용융 압출법과 T-다이를 이용해서 성형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고,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축차 또는 이축법으로 연신시킨 다음, 텐터에서 열고정하여 제조한 뒤에 어댑터 바디(12)의 내부면 및 외부면에 부착됨으로써 인장성능, 인열성능, 온도 의존성, 굴곡저항성능, 내움푹패임성능, 내피로성능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종방향 연신시 가이드 롤러에 의한 연신 오븐으로 이송에 따른 가열방식 연신이 수행됨으로써 연신전후의 면적 비율이 1:3.5~5.2이 되도록 한다. 종방향 연신비가 5.2배를 초과하면 내열성은 좋아지지만 고온에서 필름의 수축율이 높아지고 가공성이 떨어진다. 종방향 연신비가 3.5배 미만이면 고분자 사슬의 배향이 불충분하여 시트의 내열성이 떨어지고 고온에서 물성저하가 심하게 된다.
종방향 연신시 연신 오븐 내부의 온도는 125~150℃, 바람직하게는 140℃가 되도록 가열함으로써 시트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사슬 구조를 늘린 상태로 연신이 수행되도록 하여 연신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연신 오븐 내부의 온도가 150℃ 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분자의 자유도가 높아져서 분자의 배향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배향도가 떨어지고 연신이 불균일해진다. 연신 오븐 내부의 온도가 125℃ 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는 연신이 잘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백화현상이 일어나며, 시트가 연신되지 못하고 끊어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횡방향 연신시 가이드 롤러에 의한 연신 오븐으로 이송에 따른 가열방식 연신이 수행됨으로써 연신전후의 면적 비율이 1:7~9, 바람직하게는 1:8이 되도록 한다.
횡방향 연신비가 9배를 초과하면 내열성은 좋아지지만 파단이 심해져서 고온에서 수축율이 높아지고 가공성이 떨어진다. 횡방향 연신비가 7배 미만이면 종방향 연신시와 마찬가지로 고분자 사슬의 배향이 불충분하여 시트의 내열성이 떨어지고 고온에서 물성저하가 심하게 된다.
종방향 연신시 연신 오븐 내부의 온도는 95~135℃, 바람직하게는 115℃가 되도록 가열함으로써 시트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사슬 구조를 늘린 상태로 연신이 수행되도록 하여 연신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연신 오븐 내부의 온도가 135℃ 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고분자 사슬의 이완 현상으로 인해서 배향도가 떨어지고 횡방향의 두께가 불균일해진다. 연신 오븐 내부의 온도가 95℃ 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는 파단이 심해져서 공정이 불안정해진다.
시트의 치수 안정성 및 내열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안정화 오븐을 이용하여 연신시의 내부 설정온도보다 높게 136~146℃의 범위에서 안정화를 위한 열고정을 실시하여 결정화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고정시 시트에 대한 수축을 방지하고 시트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사슬 구조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내부에 연신 오븐보다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된 오일이 채워진 상부 이송 롤러와 하부 이송 롤러 사이로 시트를 통과시켜서 시트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열고정 온도가 146℃를 초과하면 결정핵의 성장에 의한 결정화도는 높아지지만 시트의 배행도가 감소하고 두께 편차가 증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열고정 온도가 136℃ 미만이면 열고정 효과가 불충분하여 결정화도가 낮고 연신과정에서 형성된 잔류 응력이 충분히 이완되지 못해 열수축율이 높아지게 된다.
다음에, 개폐기함(13) 및 개폐기함 도어(14a, 14b)의 내부면에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을 코팅한다.
상기한 제2 절연층은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사용하며, 전도성 고분자 중합용 용액의 침적후 고온의 열처리를 수행하여 전도성 고분자의 중압과 절연지의 탄화(carbonization)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한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는 0.10~0.15㎛의 미세공이 형성된 실리카 입자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블랜딩시켜서 생성한다.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올레핀에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가리키는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에틸렌-카르복시산 알케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폴리부텐계 수지, 폴리(4-메틸-펜텐)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을 예로 들수 있으며,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middle density polyethylene, 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리카 입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7 중량부로 블랜딩시키는데, 실리카 입자 내부에 냉매, 쿨리매쉬, 쿨링젤 등의 냉각매체가 포함된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집진부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집진부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집진부(16)의 구성은, 역깔때기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흡입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후드(8)와, 상기한 후드(8)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메쉬 망(2)과, 상기한 후드(8)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클론관(1)과, 상기한 후드(8)의 내부 상단과 상기한 사이클론관(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베인 댐퍼(3)와, 상기한 사이클론관(1)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나선형 베인(41)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베인관(4)과, 상기한 외부 베인관(4)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경사형 베인(51)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베인관(5)과, 상기한 외부 베인관(4)과 내부 베인관(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길이조절용 연결링(6)과, 상기한 사이클론관(1)의 하부에 설치되는 분진 토출부(7)와, 상기한 후드(8)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센서(91)와, 상기한 사이클론관(1)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분진센서(92)와, 상기한 유량 센서(91)와 분진센서(92)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93)와, 상기한 제어부(93)의 제어에 따라 상기한 베인 댐퍼(3) 및 분진 토출부(7)를 구동하는 구동부(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베인 댐퍼(3)는 제어부(93)의 제어에 의해 경사각이 가변됨으로써 사이클론관(1)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외부 베인관(4)은, 원통형으로서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부는 내부 베인관(5)과 결합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밀봉되어 있으며, 하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는 나선형 베인(41)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분진 토출부(7)는 제어부(93)의 제어에 의하여 개폐됨으로써 사이클론관(1)의 내부 하단에 적층된 분진입자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집진부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집진부의 내부 베인관(5)의 구성은, 원통형으로서 내부(53)는 비어 있으며, 상부는 개구되어 닥트 연결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56)는 밀봉되어 있으며, 하부 내주면에 경사형 베인(51)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함체(10)의 내부에 먼지가 축적되면 집진부(16)의 제어부(93)가 먼지를 제거하는 제어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내부 베인관(5)의 닥트 연결부(54)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흡입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서 후드(8)의 내부로 분진이 흡입된다.
후드(8)의 내부로 흡입되는 분진은 후드(8)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메쉬 망(2)에 의해서 입자가 큰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진 뒤에, 상기한 후드(8)의 내부 상단과 상기한 사이클론관(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베인 댐퍼(3)의 사이 공간을 통해서 사이클론관(1)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 경우에 제어부(93)는 후드(8)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센서(91)를 이용하여 분진량을 산출하면서 이에 따라 베인 댐퍼(3)의 경사각을 가변시킴으로써 사이클론관(1)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이클론관(1)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은 베인 댐퍼(3)을 지나게 되면서 회전력을 얻게 되어 사이클론관(1)의 내주면을 따라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며, 외부 베인관(4)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 베인(41)은 분진의 회전력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분진의 원심력이 더욱 증폭되도록 한다.
원심력이 증가된 분진은 사이클론관(1)의 내주면을 따라 돌면서 분진입자가 분진 토출부(7)를 향하여 하강하게 됨으로써 이물질이 2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아직 걸러지지 못한 분진은 외부 베인관(4)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 베인관(5)을 향하여 유입되는데, 분진 입자가 외부 베인관(4)의 내주면을 따라 돌면서 분진 토출부(7)를 향하여 하강하게 됨으로써 이물질이 3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내부 베인관(5)을 향하여 유입되는 분진은 내부 베인관(5)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형 베인(51)의 사이 공간(55)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내부 베인관(5)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은 내부 베인관(5)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형 베인(51)을 지나게 되면서 회전력이 증가되어 분진입자의 원심력이 커지게 됨으로써 분진입자가 내부 베인관(5)의 내주면을 따라 돌면서 분진 토출부(7)를 향하여 하강하게 됨으로써 이물질이 4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단계에 걸쳐서 집진 처리되어 사이클론관(1)의 내부 하단에 적층되는 분진입자가 증가하게 되면, 제어부(93)는 사이클론관(1)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분진센서(92)를 이용하여 분진입자량을 산출하면서 이에 따라 분진 토출부(7)를 개폐시킴으로써 사이클론관(1)의 내부 하단에 적층된 분진입자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사이클론관(8)의 내주면에 진동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진동을 함으로써 사이클론관(8)의 내주면에 붙어 있는 분진입자가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는 길이조절용 연결링(6)을 이용하여 내부 베인관(5)과 외부 베인관(4)의 결합길이를 조정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함체(10)의 내부에 먼지가 많아지게 되면 자동적으로 집진부(16)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먼지의 축적으로 인한 전기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 사이클론관 2 : 메쉬망
3 : 베인 댐퍼 4 : 외부 베인관
5 : 내부 베인관 6 : 길이조절용 연결링
7 : 분진 토출부 8 : 후드
10 : 함체 11a,11b : 함체 도어
12 : 전원 공급부 13 : 개폐기함
14a, 14b : 개폐기함 도어 15 : 배전용 개폐기 단자
16 : 집진부 20 : 결로방지 패드
21 : PET 필름층 22 : 알루미늄 박층
23 : 인쇄층 24 : 탄성층
25 : 점착부착층 26 : 이형필름층

Claims (10)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면에는 결로방지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함체와,
    상기한 함체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면에는 결로방지 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함체 도어와,
    상기한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는 개폐기함과,
    상기한 개폐기함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면에는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와 발포제를 배합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을 이용한 제1 절연층과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2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코팅되어 있는 개폐기함 도어와,
    상기한 개폐기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와,
    상기한 개폐기함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배전용 개폐기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한 개폐기함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로방지 패드는,
    사각형의 PET 필름층과,
    상기한 PET 필름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 박층과,
    상기한 알루미늄 박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특정 색상 또는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층과,
    상기한 PET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PET 필름층의 표면 평탄도를 높이기 위한 탄성층과,
    상기한 탄성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함체 및 함체 도어의 외부면에 자기점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점착 부착층과,
    상기한 점착 부착층의 하부에 부착되어 점착 부착층을 보호하며 점착 부착층이 함체 및 함체 도어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경우에 점착 부착층로부터 제거되는 이형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점착부착층은 부틸고무(Isobutylene rubber), 폴리부틸렌(Polybutylene), 석유수지(Petroleum resin), 난연제(Flame retardant)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한 폴리부틸렌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250 중량부, 상기한 석유수지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110 중량부, 상기한 난연제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300 중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폴리에틸렌 기반 원료는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서 에틸렌비닐초산 코폴리머(EVA) 20~23 중량부, 폴리우레탄 12~15 중량부, 중합체 1~3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혼합물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로서 Sodium bicarbonate(NaHCO3) 20~25 중량부를 배합함으로써 비중을 낮추고 절연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미세 다공성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는 0.10~0.15㎛의 미세공이 형성된 실리카 입자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블랜딩시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집진부는,
    역깔때기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흡입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후드와,
    상기한 후드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메쉬 망과,
    상기한 후드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클론관과,
    상기한 후드의 내부 상단과 상기한 사이클론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베인 댐퍼와,
    상기한 사이클론관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나선형 베인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베인관과,
    상기한 외부 베인관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경사형 베인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베인관과,
    상기한 외부 베인관과 내부 베인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길이조절용 연결링과,
    상기한 사이클론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분진 토출부와,
    상기한 후드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센서와,
    상기한 사이클론관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분진센서와,
    상기한 유량 센서와 분진센서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와,
    상기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한 베인 댐퍼 및 분진 토출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부 베인관은, 원통형으로서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부는 내부 베인관과 결합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밀봉되어 있으며, 하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는 나선형 베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부 베인관은, 원통형으로서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부는 개구되어 닥트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밀봉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경사형 베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내주면에도 경사형 베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인 댐퍼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사각이 가변됨으로써 사이클론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진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장치.
KR1020180106360A 2018-09-06 2018-09-06 수배전반 장치 KR10214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360A KR102148962B1 (ko) 2018-09-06 2018-09-06 수배전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360A KR102148962B1 (ko) 2018-09-06 2018-09-06 수배전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13A true KR20200028113A (ko) 2020-03-16
KR102148962B1 KR102148962B1 (ko) 2020-08-28

Family

ID=6994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360A KR102148962B1 (ko) 2018-09-06 2018-09-06 수배전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288B1 (ko) 2021-09-29 2022-08-25 주식회사 엘파워 전기 제어함의 양압 제어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002B1 (ko) * 1999-07-26 2002-10-25 상덕전기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수,배전반
KR20150006205A (ko) 2013-07-08 2015-01-16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
KR20160081365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효성 가스 절연 개폐기의 전극 장치
KR101733049B1 (ko) * 2016-07-06 2017-05-24 이인석 복합 냉온유지모듈이 탑재된 전기 배전함
KR20180012050A (ko) * 2016-07-26 2018-02-05 박찬임 제습 및 이온화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002B1 (ko) * 1999-07-26 2002-10-25 상덕전기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수,배전반
KR20150006205A (ko) 2013-07-08 2015-01-16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
KR20160081365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효성 가스 절연 개폐기의 전극 장치
KR101733049B1 (ko) * 2016-07-06 2017-05-24 이인석 복합 냉온유지모듈이 탑재된 전기 배전함
KR20180012050A (ko) * 2016-07-26 2018-02-05 박찬임 제습 및 이온화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288B1 (ko) 2021-09-29 2022-08-25 주식회사 엘파워 전기 제어함의 양압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962B1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815B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US20150044541A1 (en) Laminated porous film, separator for battery, and battery
WO2010108148A1 (en) Freestanding, heat resistant microporous film for use in energy storage devices
KR101489627B1 (ko) 적층 다공 필름,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CN108025539B (zh) 叠层多孔膜、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隔板、非水电解质二次电池、以及叠层多孔膜的制造方法
MX2009009892A (es) Pelicula de aislamiento electrico.
KR102148962B1 (ko) 수배전반 장치
CN101503573A (zh) 一种可供挤出的电缆用耐火绝缘料
CN103262259A (zh) 光伏组件用阻燃背板
EP2594610A1 (en) Electrically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sheet
KR101039340B1 (ko) 전자 절전식 복합형 절연성능 유지장치
CN112510731A (zh) 一种模块化的储能系统及储能柜
JP2012038655A (ja) 微多孔性フィルム及び電池用セパレータ
CN105670113A (zh) 一种易吸塑耐低温防火聚丙烯板材材料
KR102051463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전함
CN109705426A (zh) 核岛内电缆无卤内绝缘材料、电缆内绝缘层及其制备方法
CN110829259A (zh) 一种金属封闭高压开关柜内部除湿装置
JP2013028099A (ja) 積層微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池用セパレータ
CN206076953U (zh) 一种船舶上建区域ac220v负载供电系统
JP6642214B2 (ja) 積層多孔性フィルム、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電池
CN214100871U (zh) 一种模块化的储能系统及储能柜
KR20160129581A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JP2010052202A (ja) 離型用フィルム
JP2014189718A (ja) 二軸延伸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フィルム
CN107187456A (zh) 动车组应急空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