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815A -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815A
KR20200026815A KR1020197037387A KR20197037387A KR20200026815A KR 20200026815 A KR20200026815 A KR 20200026815A KR 1020197037387 A KR1020197037387 A KR 1020197037387A KR 20197037387 A KR20197037387 A KR 20197037387A KR 20200026815 A KR20200026815 A KR 20200026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dsd
pcm
samp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 후쿠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2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02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7/3004Digital delta-sigma modulation
    • H03M7/3006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of,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53Block-companding PCM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67Audio streaming, i.e. formatting and decoding of an encoded audio signal representation into a data stream for transmission or storage purpo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481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optimisation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02Delta modulation, i.e. one-bit differential modu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02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7/3004Digital delta-sigma modulation
    • H03M7/3015Structural details of digital delta-sigma modulators
    • H03M7/302Structural details of digi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quantisers and their type and resolution
    • H03M7/3024Structural details of digi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quantisers and their type and resolution having one quantiser only
    • H03M7/3028Structural details of digi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quantisers and their type and resolution having one quantiser only the quantiser being a single bit on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59Digital compression and data reduction techniques where the original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subset or similar information, e.g. lossy compres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65Sigma-delta audio enco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02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7/3004Digital delta-sigma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하나의 DSD 신호로, PCM 신호의 출력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배신 장치는, DSD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간격의 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을, DSD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된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필터링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PCM 신호를 클라이언트 장치에 배신하는 배신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본 기술은,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DSD 신호로, PCM 신호의 출력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년, 음악용 CD(CD-DA)를 초월하는 음질의 오디오 데이터인 하이레졸루션 음원에 의한 음악 배신이 행해지도록 되고 있다.
1bit 신호로 델타시그마 변조된 디지털 신호(이하, DSD(Direct Stream Digital) 신호라고도 함)를 사용한 음악 배신에서는, 슈퍼 오디오 CD(SACD)로 사용되고 있는 CD의 샘플링 주파수 44.1kHz의 64배인 DSD 신호(64 DSD 신호)뿐만 아니라, 128배인 DSD 신호(128 DSD 신호)와, 256배인 DSD 신호(256 DSD 신호)의 배신도 실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DSD 신호는, 샘플링 주파수가 PCM(Pulse Code Modulation) 신호보다 높기 때문에, 스트리밍 배신을 행하는 경우의 통신 용량은 PCM 신호와 비교하여 커진다. 예를 들어, 스테레오(2 채널)의 신호로 1프레임을 3초로 하였을 때 64 DSD 신호의 데이터 용량은, 2.8Mbit/프레임 정도가 된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에 있어서, DSD 신호를 가역 압축하여 송신하는 압축 방식을 이전에 제안했다.
한편, 통신로의 상황에 따른 대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MPEG-DASH(Moving Picture Experts Group-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와 같이, 동일 콘텐츠를 다른 비트 레이트로 표현한 복수의 부호화 데이터를 콘텐츠 서버에 저장해 두고, 클라이언트 장치가, 네트워크의 통신 용량에 따라 복수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스트리밍 수신하는 기술이 있다.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2에 있어서, DSD 신호를 사용한 음악 배신에 있어서, MPEG-DASH와 같은 스트리밍 방식을 사용하여, 동일 콘텐츠에서 다른 비트 레이트의 신호, 예를 들어 64 DSD 신호, 128 DSD 신호, 256 DSD 신호 중에서, 통신 회선 용량에 맞게, 더 나은 품질의 DSD 신호를 동적으로 선택 시청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또한, DSD 신호는, 특허문헌 1의 압축 방식 등을 사용하여 압축해도, PCM 신호와 비교하면 비트 레이트가 커지기 때문에, PCM 신호로도 배신할 수 있도록 준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제 공개 제2016/140071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6/199596호 공보
그러나, 배신측의 리소스를 유효 활용하기 위해서는, 배신측에서 준비하는 데이터의 종류는 1종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하나의 DSD 신호로, PCM 신호의 출력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신호 처리 장치는, DSD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간격의 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을, 상기 DSD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필터링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신호 처리 방법은, DSD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간격의 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을, 상기 DSD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DSD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간격의 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을, 상기 DSD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에 있어서는, DSD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간격의 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이, 상기 DSD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신호 처리 장치는,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본 기술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DSD 신호로, PCM 신호의 출력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배신 장치가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PCM 변환부의 상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4는 샘플링 추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샘플링 추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필터링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필터링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오디오 데이터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9는 재생 장치의 상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0은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1은 오디오 데이터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12는 본 기술을 적용한 PCM 신호 변환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3은 본 기술을 적용한 컴퓨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이하, 본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재생 시스템의 구성예
2. 재생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 형태
3. PCM 변환부의 상세 구성예
4. PCM 변환 처리의 설명
5. 오디오 데이터 송신 처리
6. 재생 장치의 상세 구성예
7.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형태
8. 오디오 데이터 재생 처리
9. PCM 신호 변환 장치
10. 컴퓨터 구성예
<1. 재생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재생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의 재생 시스템(1)은, 배신 장치(11)와 재생 장치(12)를 적어도 포함하고, 재생 장치(12)가 배신 장치(11)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하여 재생하는 시스템이다.
배신 장치(11)에는,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음원을 마이크로 폰(21)으로 수음하고, 델타 시그마 변조하여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가 기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폰(21)에 의해 수음된 소정의 음원(예를 들어, 콘텐츠 A)의 오디오 신호가, 앰프(AMP)(22)에 의해 증폭되어, 델타 시그마(ΔΣ) 변조기(23)에 공급된다.
델타 시그마 변조기(23)는, 델타 시그마 변조에 의해, 입력된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AD 변환)한다. 예를 들어, 델타 시그마 변조기(23)는, 입력된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를, CD(Compact Disc)의 샘플링 주파수 44.1kHz의 64배인 샘플링 주파수에서 델타 시그마 변조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DSD 신호를 배신 장치(11)에 기억시킨다. 이 44.1kHz의 64배인 샘플링 주파수에서 델타 시그마 변조하여 얻어진 DSD 신호는, 2.8MMbps의 비트 레이트가 되므로, 이하에서는, 2.8M DSD 데이터라고도 칭한다.
배신 장치(11)는, 이상과 같이 하여 생성된 복수의 콘텐츠의 2.8M DSD 데이터를 기억한다.
재생 장치(12)는, 배신 장치(11)에 대해 소정의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요구할 때, 자기 자신이 재생 가능한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인, 2.8M DSD 데이터나 또는 PCM_AAC 데이터 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배신 장치(11)에 요구한다. 혹은 또한, 재생 장치(12)는, 네트워크(24)의 통신 용량에 맞게, 2.8M DSD 데이터나 또는 PCM_AAC 데이터의 어느 것을 선택하여, 배신 장치(11)에 요구해도 된다.
여기서, PCM_AAC 데이터는, 샘플링 주파수 192kHz(44.1kx4Hz), 양자화 비트 16bit의 PCM 신호를, AAC(Advanced Audio Coding)의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한 신호이다.
배신 장치(11)는, 재생 장치(1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콘텐츠의 2.8M DSD 데이터 또는 PCM_AAC 데이터를, 재생 장치(12)로 송신한다.
배신 장치(11)는, 제어부(31), 기억부(32), PCM 변환부(33), 부호화부(34), 및 송신부(35)를 구비한다.
제어부(31)는, 재생 장치(12)로부터의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송신부(35)를 통하여 취득하고, 요구된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배신 장치(11) 내의 각 부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재생 장치(12)로부터, 콘텐츠 A의 오디오 데이터로서, 2.8M DSD 데이터의 요구가 있는 경우, 제어부(31)는,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A의 2.8M DSD 데이터를 송신부(35)로 하여금 공급하게 하여, 송신부(35)로부터 재생 장치(12)로 송신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콘텐츠 A의 오디오 데이터로서, 재생 장치(12)로부터 PCM_AAC 데이터의 요구가 있는 경우, 제어부(31)는, PCM 변환부(33) 및 부호화부(34)를 동작시키고,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A의 2.8M DSD 데이터로부터, PCM_AAC 데이터를 생성시키고, 송신부(35)로부터 재생 장치(12)로 송신시킨다.
기억부(32)는,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2.8M DSD 데이터를 기억한다.
PCM 변환부(33)는, 기억부(32)로부터 공급되는 2.8M DSD 데이터를 샘플링 주파수 192kHz, 양자화 비트 16bit의 PCM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PCM 신호를 생성하고, 부호화부(34)에 공급한다. 또한, 생성되는 PCM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및 양자화 비트수는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호화부(34)는, PCM 변환부(33)로부터 공급되는 PCM 신호를, AAC(Advanced Audio Coding)의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PCM_AAC 데이터를, 송신부(35)에 공급한다.
송신부(35)는, 재생 장치(12)로부터 네트워크(24)를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고, 제어부(31)에 공급한다.
또한, 송신부(35)는, 기억부(32) 또는 부호화부(34)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네트워크(24)를 통하여 재생 장치(12)로 송신한다. 기억부(32)로부터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2.8M DSD 데이터가 공급되고, 부호화부(34)로부터는, PCM_AAC 데이터가 공급된다.
재생 장치(12)는, 배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디지털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LPF(25)로 출력한다.
아날로그 LPF(low pass filter)(25)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 필터 처리 후의 신호를 파워 앰프(26)로 출력한다.
파워 앰프(26)는, 아날로그 LPF(25)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스피커(27)로 출력한다. 스피커(27)는, 파워 앰프(26)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소리로서 출력한다.
아날로그 LPF(25), 파워 앰프(26), 및 스피커(27)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출력부는, 재생 장치(12)의 일부로서 내장되어도 된다.
<2. 재생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 형태>
도 2는, 배신 장치(11)가 재생 장치(12)로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배신 장치(11)가 재생 장치(12)로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 형태는, 재생 장치(12)의 구성에 따라, 몇몇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장치(12)가 재생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가, 2.8M DSD 데이터, 또는 PCM_AAC 데이터 중 어느 것으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 배신 장치(11)는, 도 2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재생 장치(12)가 재생 가능한 2.8M DSD 데이터 또는 PCM_AAC 데이터 중 어느 한쪽을 송신한다. 재생 장치(12)가 재생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이 기지인 경우, 재생 장치(12)로부터 배신 장치(11)로는 재생할 콘텐츠만이 지정된다. 또한, 도 2에서는, 간단화를 위해, 2.8M DSD 데이터는 DSD 데이터라고 기재되고, PCM_AAC 데이터는, PCM 데이터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재생 장치(12)가, 하나의 콘텐츠의 재생 도중에 있어서도, 동일 콘텐츠의 2.8M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전환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인 경우, 배신 장치(11)는, 도 2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재생 장치(12)의 요구에 따라, 동일 콘텐츠의 2.8M DSD 데이터나 PCM_AAC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환하여 송신한다. 2.8M DSD 데이터는, 고음질이지만 데이터양이 크고, PCM_AAC 데이터는, 2.8M DSD 데이터와 비교하여 음질은 떨어지지만 데이터양은 적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재생 장치(12)는, 네트워크(24)의 통신 용량에 따라, 2.8M DSD 데이터나, 또는 PCM_AAC 데이터를 적절하게 선택하고, 전환하면서 재생한다.
또한, 2.8M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를 전환하면서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경우, PCM_AAC 데이터는, PCM 변환부(33)에 의한 PCM 데이터 변환 처리와, 부호화부(34)에 의한 압축 부호화 처리에 걸리는 시간만큼 딜레이가 발생한다. 배신 장치(11)는, 이 딜레이 값을 메타데이터로서 미리 재생 장치(12)로 송신할 수 있으므로, 재생 장치(12)는, 딜레이 값에 기초하여 2.8M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가, 저장된 복수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네트워크의 통신 용량에 따라, 원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스트리밍 수신하는 방식의 규격으로서, MPEG-DASH(Moving Picture Experts Group-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가 있다. 배신 장치(11)는, 이 MPEG-DASH의 규격에 준거한 형식에 의해, 2.8M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전환하여 송신하고, 재생 장치(12)가, 이것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배신 장치(11)는, 2.8M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의 양쪽을 동시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우측과 프론트 좌측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고음질이지만 2.8M DSD 데이터로 송신하고, 리어 우측과 리어 좌측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양이 적은 PCM_AAC 데이터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배신 장치(11)는, 배신용 오디오 데이터로서, 2.8M DSD 데이터의 하나의 DSD 데이터를 기억해 두는 것만으로, 2.8M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의 양쪽 송신에 대응할 수 있다.
<3. PCM 변환부의 상세 구성예>
도 3은, PCM 변환부(33)의 상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PCM 변환부(33)는, 추출부(41)와, 필터링부(42)를 구비하고, 2.8M DSD 데이터를,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로 변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PCM 변환부(33)는, 샘플링 주파수 192kHz의 PCM 신호로 변환한다.
추출부(41)는, PCM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192kHz로 결정되는 소정의 간격마다, 소정수의 샘플링 데이터를, 기억부(32)로부터 공급되는 2.8M DSD 데이터로부터 추출한다.
필터링부(42)는, 추출부(41)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마다 추출된 소정수의 샘플링 데이터를 필터링함으로써, PCM 신호를 생성하고, 부호화부(34)로 출력한다.
<4. PCM 변환 처리의 설명>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PCM 변환부(33)에 의한 PCM 변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추출부(41)에 의한 샘플링 추출 처리)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추출부(41)에 의한 샘플링 추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제, 소정의 콘텐츠의 PCM 변환 전의 2.8M DSD 데이터의 각 샘플링 데이터를,
D[0], D[1], D[2], D[3], …, D[n], …
이라 하고, PCM 변환 후의 PCM 데이터의 각 샘플링 데이터를,
PCM[0], PCM[1], PCM[2], PCM[3], …, PCM[n], …
이라 한다.
2.8M DSD 데이터의 각 샘플링 데이터 D[n]은, "1" 또는 "0"의 1bit 신호로 표현되지만, 신호 처리상의 연산에서는, "0"을 "-1"로 표현하고, "1" 또는 "-1"로 연산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샘플링 데이터를, 단순히 샘플이라고도 칭한다.
2.8M DSD 데이터의 1샘플은, 1/(44.1*64k)[sec]이며, 샘플링 주파수 192kHz의 PCM 데이터의 1샘플은, 1/192k[sec]이므로, PCM 변환부(33)는, (44.1*64)/192=14.7샘플마다,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래서, 추출부(41)는, 2.8M DSD 데이터의 샘플을, 14.7샘플 간격으로, 소정수의 샘플을 추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추출부(41)가 추출하는 샘플수는, 256샘플로 한다. 따라서, 추출부(41)는, 2.8M DSD 데이터의 샘플을, 14.7샘플의 m배(m은 음이 아닌 정수)의 각 샘플 위치가 중심 샘플이 되도록 그 전후 256샘플을 추출하여, 필터링부(42)에 공급한다.
도 4는, 추출부(41)가 추출하는 2.8M DSD 데이터의 샘플과, PCM 변환 후의 PCM 데이터 PCM[n]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14.7샘플의 m배는, 0, 14.7, 29.4, 44.1, 58.5, …, 1470, 1484.7, 1499.4, 1514.1, …이 되므로, 각 PCM[n]에 대응하는 추출 샘플의 중심 위치 샘플은, 0, 15, 29, 44, 59, …, 1470, 1485, 1499, 1514, …가 된다.
그리고, 각 중심 위치 샘플을 중심으로 256샘플이 추출되므로, PCM[0]에 대응하는 추출 샘플은, D[0]를 중심으로 한 D[-127] 내지 D[128]가 되고, PCM[1]에 대응하는 추출 샘플은, D[15]를 중심으로 한 D[-112] 내지 D[143]가 되고, PCM[2]에 대응하는 추출 샘플은, D[29]를 중심으로 한 D[-98] 내지 D[157]가 된다. 단, n이 음인 D「n」은, 콘텐츠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1"로써 처리된다.
n이 음인 D「n」을 포함하지 않는 예로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PCM[100]에 대응하는 추출 샘플은, D[1470]를 중심으로 한 D[1343] 내지 D[1598]가 되고, PCM[101]에 대응하는 추출 샘플은, D[1485]를 중심으로 한 D[1358] 내지 D[1613]가 되고, PCM[102]에 대응하는 추출 샘플은, D[1499]를 중심으로 한 D[1372] 내지 D[1627]가 된다.
도 5는, PCM[100] 내지 PCM[104] 각각에 관한, 2.8M DSD 데이터의 중심 위치 샘플과, 추출되는 256샘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PCM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로 결정되는 소정의 간격과, 실제로 추출되는 중심 위치 샘플의 최대 오차는, DSD 신호의 샘플링 주기의 절반이 되므로, 2.8M DSD 데이터의 경우에는, 0.5/(44.1k*64)=0.18[μsec]이 된다. 인간의 청각의 시간 분해능은 5[μsec]정도라 하며, 0.18[μsec]의 주파수 환산은 5.6MHz이고, 5[μsec]의 주파수 환산은 200kHz이므로, 0.18[μsec]의 오차는, 음질에 크게 영향을 미칠 만큼의 오차는 되지 않는다.
추출부(41)는, 이상과 같이, 기억부(32)로부터 공급되는 2.8M DSD 데이터의 샘플을, PCM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192kHz로 결정되는 소정의 간격(14.7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256샘플)을 추출하여, 필터링부(42)로 출력한다.
상술한 예는, 2.8M DSD 데이터를, 샘플링 주파수 192kHz의 PCM 신호로 변환되는 예이지만, 임의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DSD 데이터에 대해서도, 2.8M DSD 데이터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2배인 샘플링 주파수 5.6M DSD 데이터나, 그 4배인 샘플링 주파수의 11.2M DSD 데이터 등을 사용해도 된다. DSD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나, PCM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가 변한 경우, 그 샘플링비에 따라 중심 위치 샘플의 간격을 바꾸는 것만으로 대응 가능하다.
또한, 중심 위치 샘플을 중심으로 어느 만큼의 샘플수를 추출할지는, 변환하는 PCM 신호의 정밀도나 처리 부하에 따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필터링부(42)에 의한 필터링 처리)
다음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필터링부(42)에 의한 필터링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2.8M DSD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1" 또는 "0"(신호 처리상의 연산은 "1" 또는 "-1")의 2치의 신호이므로, 필터링부(42)는, 통상의 PCM 신호의 필터링과 같이 적화 연산이 아니라, 덧셈만으로, 필터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제,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중심 위치 샘플을 중심으로 추출되는 256샘플을, DA[0] 내지 DA[255]로 나타내고, DA[0] 내지 DA[255]에 대해 필터링부(42)가 실시하는 256탭의 필터 계수를 K[0] 내지 K[255]라 하면, 필터링부(42)에 의한 필터 연산은, ΣDA[n]*K[n](n=0 내지 255))로 표현된다. 여기서, DA[n]는, "1" 또는 "-1"이므로, 필터 연산식은, 곱셈은 필요없고, 덧셈만으로 연산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비트씩 데이터를 검지하여 덧셈을 행해도 되지만, CPU의 처리로서 중복이 되므로, 필터링부(42)는, 예를 들어 DA[0] 내지 DA[255]의 256비트의 데이터를, 8비트마다 분할하고, 8비트 단위로 미리 준비한 복수의 부분 합 테이블을 사용하여 연산을 행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PCM[100]에 대응하는 추출 샘플인 D[1343] 내지 D[1598]를, 필터 연산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PCM[100]에 대응하는 추출 샘플로서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된 D[1343] 내지 D[1598]가, 필터 처리 대상의 데이터인 DA[0] 내지 DA[255]로 된다.
이 DA[0] 내지 DA[255]가 DA[0] 내지 DA[7], DA[8] 내지 DA[15], DA[16] 내지 DA[23], …ㆍ, DA[240] 내지 DA[247], 및 DA[248] 내지 DA[255]의 8비트마다 분할된다.
필터링부(42)는, 최초의 8비트인 DA[0] 내지 DA[7]에 대해, 도 7에 도시되는 부분 합 테이블 BT0를 보유하고 있다.
도 7의 부분 합 테이블 BT0는, DA[0] 내지 DA[7]가 취할 수 있는 256패턴의 비트 패턴과, 그때의 ΣDA[n]*K[n](n=0 내지 7)를 미리 연산한 연산 결과 C0 내지 C255를 대응지어 기억하고 있다.
필터링부(42)는, 내부에 기억하고 있는 도 7의 부분 합 테이블 BT0을 참조하여, DA[0] 내지 DA[7]의 실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결정함으로써, 부분 합 T0을 산출한다. 부분 합 T0은, C0 내지 C255 중 어느 것이 된다.
도 6으로 되돌아가, 필터링부(42)는, 8비트마다 분할한 그 밖의 데이터인, DA[8] 내지 DA[15], DA[16] 내지 DA[23], …, DA[240] 내지 DA[247], DA[248] 내지 DA[25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부분 합 테이블 BT1 내지 BT31을 참조함으로써, 부분 합 T1 내지 T31을 결정한다.
즉, 필터링부(42)는, 부분 합 테이블 BT1을 참조하여, DA[8] 내지 DA[15]의 실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분 합 T1을 산출하고, 부분 합 테이블 BT2를 참조하여, DA[16] 내지 DA[23]의 실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분 합 T2를 산출하고, 마찬가지로, 부분 합 테이블 BT31을 참조하여, DA[248] 내지 DA[255]의 실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분 합 T31을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필터링부(42)는, 32개의 부분 합 테이블 BT0 내지 BT31 각각에 대응하는 부분 합 T0 내지 T31의 합을 연산하여, PCM[100]을 산출한다.
따라서, 필터링부(42)는, 32회의 테이블 참조와 덧셈만으로, 추출 샘플D[1343] 내지 D[1598]에 대응하는 PCM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PCM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DSD 데이터에 대한 송신 데이터의 딜레이 값은, 필터링부(42)의 탭수가 결정되면, 미리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추출부(41)에 있어서 각 중심 위치 샘플을 중심으로 256샘플을 추출하여, 필터링부(42)의 탭수를 256탭으로 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실제로는, 2.8M DSD 데이터로부터, 예를 들어 100[dB]정도의 정밀도의 샘플링 주파수 192kHz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필터링부(42)의 탭수로서는 약4500탭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12비트 단위의 부분 합 테이블을 작성함으로써, 375회의 테이블 참조와 덧셈만으로 연산할 수 있다. 덧셈을 1클럭이라고 상정하면, 192k*375=72MIPS가 되고, 모바일계의 CPU로도 처리 가능한 레벨이며,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5. 오디오 데이터 송신 처리>
다음에,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재생 장치(12)의 요구에 따라, 소정의 콘텐츠 2.8M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환하여 송신하는 배신 장치(11)의 오디오 데이터 송신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에서, 배신 장치(11)의 제어부(31)는, PCM_AAC 데이터의 딜레이 값을 송신부(35)에 공급하고, 송신부(35)로 하여금 메타데이터로서 재생 장치(12)로 송신하게 한다.
스텝 S2에서, 제어부(31)는, 재생 장치(12)로부터 송신되어 온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송신부(35)를 통해 수신하고, 요구되고 있는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가 PCM_AAC 데이터인지를 판정한다.
스텝 S2에서, 요구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가 PCM_AAC 데이터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PCM 변환부(33)의 추출부(41)는, 요구된 콘텐츠의 2.8M DSD 데이터를 기억부(32)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된 2.8M DSD 데이터로부터, PCM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로 결정되는 소정의 간격마다 소정수의 샘플을 추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샘플링 주파수 192kHz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14.7샘플의 m배에 대응하는 각 샘플을 중심 위치 샘플로 하는 256샘플이 순차적으로, 추출된다.
스텝 S4에서, 필터링부(42)는, 추출부(41)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마다 추출된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PCM 신호를 생성하고, 부호화부(34)로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링부(42)는,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된 256샘플에 대해, 32개의 부분 합 테이블 BT0 내지 BT31을 사용하여, 32회의 테이블 참조와 덧셈을 행함으로써, PCM 신호의 1샘플을 생성하고, 부호화부(34)로 출력한다.
스텝 S5에서, 부호화부(34)는, 필터링부(42)로부터 공급된 PCM 신호를, AAC의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PCM_AAC 데이터를, 송신부(35)에 공급한다.
스텝 S6에서, 송신부(35)는, 부호화부(34)로 압축 부호화하여 얻어진 PCM_AAC 데이터를, 재생 장치(12)로 송신한다.
한편, 스텝 S2에서, 요구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가 PCM_AAC 데이터가 아닌, 즉 요구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가 2.8M DSD 데이터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7로 진행하여, 송신부(35)는, 요구된 콘텐츠의 2.8M DSD 데이터를 기억부(32)로부터 취득하고, 재생 장치(12)로 송신한다.
스텝 S8에서, 송신부(35)는,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송신부(35)는, 기억부(32) 및 부호화부(34)의 어느쪽으로부터도 오디오 데이터가 공급되지 않게 된 경우,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다.
스텝 S8에서, 아직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로 되돌아가, 상술한 스텝 S2 내지 S8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S8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오디오 데이터 송신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배신 장치(11)는, 재생 장치(12)로부터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로서 PCM_AAC 데이터가 요구된 경우에는,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2.8M DSD 데이터로부터 PCM 신호를 생성하고, 재생 장치(12)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배신 장치(11)는, 하나의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장치(12)의 요구에 따라,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를 전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배신 장치(11)는, PCM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딜레이 값으로 미리 재생 장치(12)로 송신하므로,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의 완전 동기를 실현할 수 있어, 재생 장치(12)측에서는,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EG-DASH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구에 따라, 소정의 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배신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샘플링 주파수를 동기시켜 DSD 신호와 PCM 신호의 양쪽 부호화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고,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본 기술을 이용한 배신 장치(11)에 따르면,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로서 DSD 데이터만을 기억부(32)에 기억해 두면 되므로, 하나의 DSD 신호만으로, PCM 신호의 전송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배신 장치(11)의 기억부(32)에, CD의 샘플링 주파수 44.1kHz의 256배인 샘플링 주파수에서 델타 시그마 변조하여 얻어진 11.2M DSD 데이터를 기억해 두도록 하여, 배신 장치(11)가, 11.2M DSD 데이터로부터 다운 샘플링하여 5.6M DSD 데이터 또는 2.8M DSD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11.2M DSD 데이터로부터, 44.1kHz나 48kHz 등의 임의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 처리는, 도 2의 B에 나타낸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 형태에서의 경우의 처리예다. 도 2의 A에 나타낸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 형태에서는, PCM_AAC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스텝 S3 내지 S6의 처리를 실행하고, 2.8M DSD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스텝 S7의 처리를 실행하면 된다.
<6. 재생 장치의 상세 구성예>
도 9는, 도 1의 재생 장치(12)의 상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의 재생 장치(12)는, 소정의 콘텐츠의 2.8M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환하여 재생 가능한 장치이다.
재생 장치(12)는, 제어부(50), 통신부(51), 복호부(52), PCM 업샘플링부(53), 델타 시그마(ΔΣ) 변조부(54), 전환부(55), 클럭 공급부(56) 및 델타 시그마 복조부(57)를 구비한다.
제어부(50)는, 재생 장치(12)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도시되지 않은 조작부에 있어서, 배신 장치(1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 콘텐츠의 재생이 유저에 의해 지시되었을 때, 재생 지시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2개의 오디오 데이터(DSD 데이터 및 PCM_AAC 데이터) 중에서, 네트워크(24)의 통신 용량에 맞게,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고, 통신부(51)를 통하여, 배신 장치(11)에 요구한다. 또한, 도 9에서는, 제어부(50)로부터 각 부에 대한 제어 신호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제어부(50)는, 콘텐츠의 스트리밍 데이터로서, 오디오 데이터를 MPEG-DASH를 따라 취득하는 경우, MPD 파일을 먼저 취득하고, 취득된 MPD 파일에 기초하여, 배신 장치(11)의 소정 어드레스에 통신부(51)로 하여금 액세스하게 함으로써, 통신부(51)에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시킨다. MPD 파일에는, 예를 들어 PCM_AAC 데이터의 딜레이 값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통신부(51)는, 제어부(50)의 지시에 기초하여, 재생 지시된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DSD 데이터 및 AAC 데이터)를 배신 장치(11)에 요구한다. DSD 데이터 및 AAC 데이터를 제1 및 제2 오디오 데이터로서, 제1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제2 오디오 데이터로 전환하는 경우, 통신부(51)는, 전환 전후에는 제1 및 제2 오디오 데이터 2개를 동시에 취득하고, 전환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한다.
통신부(51)는, 배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디지털의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한다. 통신부(51)는, 취득된 오디오 데이터가 2.8M DSD 데이터인 경우에는, 취득된 2.8M DSD 데이터를, 전환부(55)에 공급한다. 한편, 취득된 오디오 데이터가 PCM_AAC 데이터인 경우에는, 통신부(51)는, 취득된 PCM_AAC 데이터를, 복호부(52)에 공급한다.
복호부(52)는, 통신부(51)로부터 공급되는 PCM_AAC 데이터를,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 방식으로 복호하고, 복호 후에 얻어진 PCM 신호를 PCM 업샘플링부(53)로 출력한다.
PCM 업샘플링부(53)는, 복호부(52)로부터 공급되는 PCM 신호를, 2.8M DSD 데이터의 샘플링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업샘플링하여, 델타 시그마 변조부(54)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PCM 업샘플링부(53)는, 2.8MHz의 PCM 신호에 업샘플링하여, 델타 시그마 변조부(54)로 출력한다.
델타 시그마 변조부(54)는, 업샘플링된 PCM 신호를, 델타 시그마 변조하여, 2.8M DSD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환부(55)로 출력한다.
전환부(55)는, 통신부(51)의 출력인 2.8M DSD 데이터나, 또는 델타 시그마 변조부(54)의 출력인 2.8M DSD 데이터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한 2.8M DSD 데이터를, 후단의 델타 시그마 복조부(57)로 출력한다.
전환부(55)에는, 배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딜레이 값이 공급된다. 전환부(55)가, 통신부(51)의 출력인 2.8M DSD 데이터로부터, 델타 시그마 변조부(54)의 출력인 2.8M DSD 데이터로 전환되는 경우, 배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딜레이 값과, 복호부(52) 내지 델타 시그마 변조부(54)의 처리에 의한 딜레이 값을 합한 값만큼 딜레이시킨 후에, 전환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의 재생 도중에도, 연속적인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클럭 공급부(56)는, 2.8M DSD 데이터에 대응한 클럭 신호 CLK2를 델타 시그마 복조부(57)에 공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럭 공급부(56)는, 2.8MHz의 클럭 신호 CLK2를 생성하고, 델타 시그마 복조부(57)에 공급한다.
델타 시그마 복조부(57)는, 전환부(55)로부터 공급되는 2.8M DSD 데이터를, 클럭 공급부(56)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 CLK2를 사용하여 복조(델타 시그마 복조)하고, 복조 결과를, 후단의 아날로그 LPF(25)(도 1)로 출력한다. 델타 시그마 복조부(57)는, 예를 들어 FIR(finite impulse response)의 디지털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재생 장치(12)는, 이상의 구성에 의해, 소정의 콘텐츠의 2.8M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환하여 재생할 수 있다.
<7.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형태>
다음에, 2.8M DSD 데이터와 PCM_AAC 데이터의 양쪽을 동시에 송신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신 장치(11)는, 프론트 우측과 프론트 좌측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고음질이지만 2.8M DSD 데이터를 송신하고, 리어 우측과 리어 좌측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양이 적은 PCM_AAC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억부(32)에는, 리어 우측과 리어 좌측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도, 2.8M DSD 데이터로 기억되어 있고, PCM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경우에는, 2.8M DSD 데이터가 PCM 변환부(33)에 의해 PCM 데이터로 변환되어, 재생 장치(12)로 송신된다. 프론트 우측과 프론트 좌측의 2.8M DSD 데이터도, 리어 우측과 리어 좌측의 PCM 데이터와 병행하여, 재생 장치(12)로 송신된다. 배신 장치(11)의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물론, 재생 장치(12)의 능력이나 네트워크(24)의 통신 용량 등,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는, 리어 우측과 리어 좌측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도, 프론트 우측과 프론트 좌측과 마찬가지로, 2.8M DSD 데이터를 그대로 송신해도 된다.
도 10은, 프론트 우측 및 프론트 좌측의 2.8M DSD 데이터와, 리어 우측 및 리어 좌측의 PCM_AAC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여, 프론트 우측 및 프론트 좌측의 2개의 스피커로부터 소리를 출력하는 재생 장치(1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0에서, 도 9와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재생 장치(12)는, 통신부(51), 복호부(52), 델타 시그마(ΔΣ) 변조부(54), 클럭 공급부(56), 델타 시그마 복조부(57), 지연부(71), 서라운드 처리부(72), 및 믹서(73)를 구비한다. 믹서(73)는, 가산부(81 및 82)와, 델타 시그마 변조부(83)를 구비한다.
통신부(51)는, 배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프론트 좌측의 2.8M DSD 데이터인 DSD_FL 데이터 및 프론트 우측의 2.8M DSD 데이터인 DSD_FR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연부(71)에 공급한다.
또한, 통신부(51)는, 배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어 좌측의 PCM_AAC 데이터인 AAC_RL 데이터 및 리어 우측의 PCM_AAC 데이터인 AAC_RR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호부(52)에 공급한다.
지연부(71)는, 통신부(51)로부터 공급되는 DSD_FL 데이터 및 DSD_FR 데이터를, 배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딜레이 값과, 복호부(52), 서라운드 처리부(72) 및 델타 시그마 변조부(54)의 처리에 의한 딜레이 값을 합한 값만큼 딜레이시켜, 믹서(73)에 공급한다. 지연부(71)로부터 출력되는 DSD_FL 데이터는, DSD_FL1 데이터로서 믹서(73)의 가산부(81)에 공급되고, 지연부(71)로부터 출력되는 DSD_FR 데이터는, DSD_FR1 데이터로서 믹서(73)의 가산부(82)에 공급된다.
복호부(52)는, 리어 좌측의 PCM_AAC 데이터인 AAC_RL 데이터 및 리어 우측의 PCM_AAC 데이터인 AAC_RR 데이터를 복호하여, 각각 PCM_RL 데이터 및 PCM_RR 데이터를 얻는다. 얻어진 PCM_RL 데이터 및 PCM_RR 데이터는, 서라운드 처리부(72)에 공급된다.
서라운드 처리부(72)는, 복호부(52)로부터 공급되는, 리어 좌측의 PCM 데이터인 PCM_RL 데이터 및 리어 우측의 PCM 데이터인 PCM_RR 데이터 각각에 대해, 프론트측 스피커로부터 출력한 경우에도, 리어측으로부터 들려오는 듯한 서라운드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서라운드 변환 처리에 의해, 리어 좌측의 PCM_RL 데이터는, 프론트 좌측의 PCM_FL 데이터로 변환되고, 리어 우측의 PCM_RR 데이터는, 프론트 우측의 PCM_FR 데이터로 변환되고, 델타 시그마 변조부(54)에 공급된다.
델타 시그마 변조부(54)는, 프론트 좌측의 PCM 신호인 PCM_FL 데이터 및 프론트 우측의 PCM 신호인 PCM_FR 데이터를, 각각 델타 시그마 변조한다. 프론트 좌측의 PCM_FL 데이터가 델타 시그마 변조되어 얻어진 DSD_FL2 데이터는, 믹서(73)의 가산부(81)에 공급된다. 프론트 우측의 PCM_FR 데이터가 델타 시그마 변조되어 얻어진 DSD_FR2 데이터는, 믹서(73)의 가산부(82)에 공급된다.
믹서(73)의 가산부(81)는, 지연부(71)로부터의 DSD_FL1 데이터와, 델타 시그마 변조부(54)로부터의 DSD_FL2 데이터를 가산하여, 가산 결과인 DSD_FLa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변조부(83)에 공급한다.
믹서(73)의 가산부(82)는, 지연부(71)로부터의 DSD_FR1 데이터와, 델타 시그마 변조부(54)로부터의 DSD_FR2 데이터를 가산하여, 가산 결과인 DSD_FRa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변조부(83)에 공급한다.
델타 시그마 변조부(83)는, 가산부(81)로부터의 DSD_FLa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변조하여, 변조 후의 DSD 데이터인 DSD_FLb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복조부(57)에 공급한다. 또한, 델타 시그마 변조부(83)는, 가산부(82)로부터의 DSD_FRa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변조하여, 변조 후의 DSD 데이터인 DSD_FRb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복조부(57)에 공급한다.
델타 시그마 복조부(57)는, 델타 시그마 변조부(83)로부터 공급되는 DSD_FLb 데이터를, 클럭 공급부(56)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 CLK2를 사용하여 복조(델타 시그마 복조)하여, 복조 결과인 프론트 좌측의 아날로그 신호 Front_L을, 아날로그 LPF(25)(도 1)로 출력한다.
또한, 델타 시그마 복조부(57)는, 델타 시그마 변조부(83)로부터 공급되는 DSD_FRb 데이터를, 클럭 공급부(56)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 CLK2를 사용하여 복조(델타 시그마 복조)하여, 복조 결과인 프론트 우측의 아날로그 신호 Front_R을, 아날로그 LPF(25)(도 1)로 출력한다.
<8. 오디오 데이터 재생 처리>
다음에,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프론트용 2 채널의 2.8M DSD 데이터와 리어용 2 채널의 PCM_AAC 데이터의 양쪽을 동시에 수신하고, 2개의 프론트의 스피커에서만 출력하는, 도 10의 재생 장치(12)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0에서, 통신부(51)는, 배신 장치(11)로부터 메타데이터로서 송신되어 온 딜레이 값을 수신하여, 제어부(50)에 공급한다.
스텝 S11에서, 통신부(51)는, 프론트용 2 채널의 2.8M DSD 데이터와, 리어용 2 채널의 PCM_AAC 데이터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51)는, 배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프론트 좌측의 2.8M DSD 데이터인 DSD_FL 데이터 및 프론트 우측의 2.8M DSD 데이터인 DSD_FR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연부(71)에 공급한다. 또한, 통신부(51)는, 배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리어 좌측의 PCM_AAC 데이터인 AAC_RL 데이터 및 리어 우측의 PCM_AAC 데이터인 AAC_RR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부(52)에 공급한다.
스텝 S12에서, 지연부(71)는, 통신부(51)로부터 공급된 DSD_FL 데이터 및 DSD_FR 데이터를, 소정 시간만큼 딜레이시켜, 믹서(73)에 공급한다. 여기서의 딜레이 시간은, 배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딜레이 값과, 복호부(52), 서라운드 처리부(72) 및 델타 시그마 변조부(54)의 처리에 의한 딜레이 값의 합산값에 상당한다.
스텝 S13에서, 복호부(52)는, 통신부(51)로부터 공급된 리어 좌측의 AAC_RL 데이터 및 리어 우측의 AAC_RR 데이터를 복호한다. 복호에 의해 얻어진 PCM_RL 데이터 및 PCM_RR 데이터는, 서라운드 처리부(72)에 공급된다.
스텝 S14에서, 서라운드 처리부(72)는, 복호부(52)로부터 공급된, 리어 좌측의 PCM_RL 데이터 및 리어 우측의 PCM_RR 데이터 각각에 대해, 서라운드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서라운드 변환 처리에 의해, 리어 좌측의 PCM_RL 데이터는, 프론트 좌측의 PCM_FL 데이터로 변환되고, 리어 우측의 PCM_RR 데이터는, 프론트 우측의 PCM_FR 데이터로 변환되어, 델타 시그마 변조부(54)에 공급된다.
스텝 S15에서, 델타 시그마 변조부(54)는, 프론트 좌측의 PCM_FL 데이터 및 프론트 우측의 PCM_FR 데이터를, 각각 델타 시그마 변조한다. 델타 시그마 변조에 의해 얻어진 DSD_FL2 데이터는, 믹서(73)의 가산부(81)에 공급되고, DSD_FR2 데이터는, 믹서(73)의 가산부(82)에 공급된다.
스텝 S12의 처리와, 스텝 S13 내지 S15의 처리는, 병행하여 실행된다. 스텝 S12에서, DSD_FL 데이터 및 DSD_FR 데이터가 지연부(71)로부터 DSD_FL1 데이터 및 DSD_FR1 데이터로서 출력되는 출력 타이밍은, 스텝 S15에서, DSD_FL2 데이터 및 DSD_FR2 데이터가, 델타 시그마 변조부(54)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타이밍과 일치한다.
스텝 S16에서, 믹서(73)의 가산부(81 및 82) 각각은, 지연부(71)로부터의 제1 DSD 데이터와, 델타 시그마 변조부(54)로부터의 제2 DSD 데이터를 가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산부(81)는, 지연부(71)로부터의 DSD_FL1 데이터와, 델타 시그마 변조부(54)로부터의 DSD_FL2 데이터를 가산하여, 가산 결과인 DSD_FLa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변조부(83)에 공급한다. 가산부(82)는, 지연부(71)로부터의 DSD_FR1 데이터와, 델타 시그마 변조부(54)로부터의 DSD_FR2 데이터를 가산하여, 가산 결과인 DSD_FRa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변조부(83)에 공급한다.
스텝 S17에서, 델타 시그마 변조부(83)는, 가산 결과를 델타 시그마 변조한다. 즉, 델타 시그마 변조부(83)는, 가산부(81)로부터의 DSD_FLa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변조하여, 변조 후의 DSD_FLb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복조부(57)에 공급한다. 또한, 델타 시그마 변조부(83)는, 가산부(82)로부터의 DSD_FRa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변조하여, 변조 후의 DSD_FRb 데이터를 델타 시그마 복조부(57)에 공급한다.
스텝 S18에서, 델타 시그마 복조부(57)는, 델타 시그마 변조부(83)로부터 공급된 델타 시그마 변조 후의 DSD_FLb 데이터 및 DSD_FRb 데이터를, 클럭 공급부(56)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 CLK2를 사용하여 델타 시그마 복조하고, 복조 결과인 프론트 좌측의 아날로그 신호 Front_L 및 프론트 우측의 아날로그 신호 Front_R을, 아날로그 LPF(25)로 출력하여, 오디오 데이터 재생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 처리에 의해, 재생 장치(12)는, 프론트용 2 채널의 2.8M DSD 데이터와 리어용 2 채널의 PCM_AAC 데이터의 양쪽을 동시에 수신하고, 2개의 프론트의 스피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재생 장치(12)측에, 수신한 DSD 데이터를 소정 시간 딜레이시키는 지연부(71)를 마련하였지만, 배신측인 배신 장치(11)에 지연부(71)를 마련하여, 소정 시간 딜레이된 DSD 데이터가 공급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9. PCM 신호 변환 장치>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배신 장치(11)를 서버 장치, 재생 장치(12)를 클라이언트 장치로서, 오디오 데이터로서의 DSD 데이터 또는 PCM_AAC 데이터를, 네트워크(24)를 통하여 배신하는 서버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기술은, 서버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억부(32)에 기억되어 있는 DSD 데이터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BD(Blu-ray(등록 상표) Disc)이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PCM 신호 변환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PCM 신호 변환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2에서, 도 1의 배신 장치(11)와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의 PCM 신호 변환 장치(90)는, 도 1의 배신 장치(11)의 송신부(35) 대신에, 드라이브(91)가 마련되어 있다.
드라이브(91)는, BD나 DVD 등의 기록 매체(92)를 구동하고,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로서, 기억부(32)로부터 공급되는 2.8M DSD 데이터나, 부호화부(34)로부터 공급되는 PCM_AAC 데이터를, 기록 매체(92)에 기록한다.
기억부(32)에는,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가, 음질을 중요시하여, DSD 데이터로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영상과 조합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PCM 신호로 생성하고, 기록 매체(92)에 기록하는 장면을 생각하자.
DSD 신호는, CD의 샘플링 주파수 44.1kHz의 64배, 128배 또는 256배와 같은 샘플링 주파수가 사용되지만, 영상용에는 48kHz인 샘플링 주파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2.8M DSD 데이터로부터 48kHz인 PCM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단순하게는, 먼저 2.8M DSD 데이터를 44.1*8kHz 정도의 PCM 신호로 다운 컨버트하고, 그 후, 직선 보간 등으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보간을 수반하기 때문에 음질이 열화된다. 또한, 음질이 우선시되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2.8M DSD 데이터를 44.1*8kHz의 PCM 신호로 다운 컨버트하고, 다운 컨버트 후의 신호를 40배로 업 컨버트하고, 또한 그것을 1/147로 다운 컨버트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96kHz의 PCM 신호로 고정밀도로 변환할 수 있기는 하지만, 처리가 느려서 실용적이지는 않다.
이에 반하여, PCM 신호 변환 장치(90)에 따르면, DSD 데이터로부터 고정밀도로 간단하게 48kHz의 PCM 신호를 생성하고, BD나 DVD 등의 기록 매체(92)에 기록할 수 있다.
<10. 컴퓨터 구성예>
상술한 배신 장치(11), 재생 장치(12), 및 PCM 신호 변환 장치(90) 등의 신호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여기서, 컴퓨터에는, 전용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나,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어 범용 퍼스널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도 13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컴퓨터에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 ROM(Read Only Memory)(102), RAM(Random Access Memory)(103)은, 버스(1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104)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5)가 또한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에는, 입력부(106), 출력부(107), 기억부(108), 통신부(109), 및 드라이브(1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1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 폰, 터치 패널, 입력 단자 등으로 이루어진다. 출력부(1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출력 단자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억부(108)는, 하드 디스크, RAM 디스크,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부(1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드라이브(1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에서는, CPU(101)가, 예를 들어 기억부(1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105) 및 버스(104)를 통하여, RAM(1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 처리나 오디오 데이터 재생 처리 등의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RAM(103)에는 또한, CPU(10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하게 기억된다.
컴퓨터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111)를 드라이브(1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105)를 통하여, 기억부(1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통신부(109)로 수신하여, 기억부(1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그램은, ROM(102)나 기억부(1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를 따라 시계열로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병렬로, 또는 호출이 행해졌을 때 등의 필요한 타이밍에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구성 요소(장치, 모듈(부품) 등)의 집합을 의미하며,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 하우징 내에 있는지 여부는 불문한다. 따라서, 별개의 하우징에 수납되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및 하나의 하우징 내에 복수의 모듈이 수납되어 있는 하나의 장치는, 모두, 시스템이다.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의 모두 또는 일부를 적절하게 조합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은, 하나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장치로 분담, 공동으로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흐름도에서 설명한 각 스텝은, 하나의 장치로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텝에 복수의 처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하나의 스텝에 포함되는 복수의 처리는, 하나의 장치로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 이외의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DSD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간격의 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을, 상기 DSD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필터링부
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상기 필터링부는,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이 취할 수 있는 데이터와, 그때의 연산 결과를 대응지은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구함으로써,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3)
상기 테이블은, 소정수의 비트 단위로 분할된 복수의 부분 합 테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링부는, 각 부분 합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소정수의 비트 단위의 샘플에 대응하는 부분 합을 구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 합 테이블의 부분 합을 가산하여, 상기 연산 결과를 구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4)
상기 DSD 신호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DSD 신호 또는 상기 PCM 신호의 적어도 한쪽을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
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5)
상기 송신부는, 상기 DSD 신호에 대한 상기 PCM 신호의 딜레이 값도, 상기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6)
상기 송신부는, 동일 콘텐츠의 상기 DSD 신호와 상기 PCM 신호를 전환하여 상기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7)
상기 송신부는, 상기 DSD 신호와 상기 PCM 신호의 양쪽을 상기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8)
상기 송신부는, 상기 DSD 신호를 상기 다른 장치로 송신할 때, 상기 DSD 신호에 대한 상기 PCM 신호의 딜레이 값만큼 늦춰서 송신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9)
상기 DSD 신호는, 프론트측의 오디오 데이터이며,
상기 PCM 신호는, 리어측의 오디오 데이터인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신호 처리 장치.
(10)
DSD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간격의 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을, 상기 DSD 신호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11)
컴퓨터에,
DSD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간격의 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을, 상기 DSD 신호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 재생 시스템
11: 배신 장치
12: 재생 장치
31: 제어부
32: 기억부
33: PCM 변환부
34: 부호화부
35: 송신부
41: 추출부
42: 필터링부
50: 제어부
51: 통신부
52: 복호부
53: PCM 업샘플링부
54: 델타 시그마 변조부
55: 전환부
57: 델타 시그마 복조부
71: 지연부
72: 서라운드 처리부
73: 믹서
90: PCM 신호 변환 장치
91: 드라이브
92: 기록 매체
101: CPU
102: ROM
103: RAM
106: 입력부
107: 출력부
108: 기억부
109: 통신부
110: 드라이브

Claims (11)

  1. DSD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간격의 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을, 상기 DSD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필터링부
    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이 취할 수 있는 데이터와, 그때의 연산 결과를 대응지은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결정함으로써,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하는,
    신호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소정수의 비트 단위로 분할된 복수의 부분 합 테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링부는, 각 부분 합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소정수의 비트 단위의 샘플에 대응하는 부분 합을 구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 합 테이블의 부분 합을 가산하여, 상기 연산 결과를 구하는,
    신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SD 신호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DSD 신호 또는 상기 PCM 신호 중 적어도 한쪽을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
    를 더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DSD 신호에 대한 상기 PCM 신호의 딜레이 값도, 상기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신호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동일 콘텐츠의 상기 DSD 신호와 상기 PCM 신호를 전환하여 상기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신호 처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DSD 신호와 상기 PCM 신호의 양쪽을 상기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신호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DSD 신호를 상기 다른 장치로 송신할 때, 상기 DSD 신호에 대한 상기 PCM 신호의 딜레이 값만큼 늦춰서 송신하는,
    신호 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SD 신호는, 프론트측의 오디오 데이터이며,
    상기 PCM 신호는, 리어측의 오디오 데이터인,
    신호 처리 장치.
  10. DSD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간격의 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을, 상기 DSD 신호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11. 컴퓨터에,
    DSD 신호로부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간격의 샘플을 중심으로, 소정수의 샘플을, 상기 DSD 신호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소정수의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의 PCM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197037387A 2017-07-05 2018-06-21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26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31854 2017-07-05
JPJP-P-2017-131854 2017-07-05
PCT/JP2018/023554 WO2019009082A1 (ja) 2017-07-05 2018-06-21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815A true KR20200026815A (ko) 2020-03-11

Family

ID=6495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387A KR20200026815A (ko) 2017-07-05 2018-06-21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17108B2 (ko)
EP (1) EP3651151A4 (ko)
JP (1) JP7140119B2 (ko)
KR (1) KR20200026815A (ko)
CN (1) CN110800043B (ko)
BR (1) BR112019027958A2 (ko)
WO (1) WO20190090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071A1 (ja) 2015-03-03 2016-09-09 ソニー株式会社 圧縮符号化装置、圧縮符号化方法、復号装置、復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199596A1 (ja) 2015-06-10 2016-12-1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8434B1 (en) 1996-05-29 2002-08-20 Yamaha Corporation Mixing, coding and decoding devices and methods
JP2002328683A (ja) 2001-04-27 2002-11-15 Sony Corp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伝送システム
JP2003208186A (ja) 2002-01-11 2003-07-25 Sony Corp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
US6982662B2 (en) * 2003-03-06 2006-01-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conversion of signals using look-up table
JP2006079742A (ja) 2004-09-10 2006-03-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90287493A1 (en) * 2005-05-30 2009-11-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rect stream digital audio with minimal storage requirement
JP2008141470A (ja) 2006-12-01 2008-06-19 Yamaha Corp 1ビットのビットストリームをマルチビットデジタル信号に変換する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092580B2 (ja) * 2007-06-26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及びデジタル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5737357B2 (ja) 2013-10-18 2015-06-1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JP6528600B2 (ja) * 2015-08-24 2019-06-12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
US9990173B2 (en) * 2016-04-14 2018-06-05 Cirrus Logic, Inc. Mixing of single-bit and multi-bit audio signals for simultaneous output
US10522155B2 (en) * 2017-02-21 2019-12-31 Cirrus Logic, Inc. Pulse code modulation (PCM) data-mark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071A1 (ja) 2015-03-03 2016-09-09 ソニー株式会社 圧縮符号化装置、圧縮符号化方法、復号装置、復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199596A1 (ja) 2015-06-10 2016-12-1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40119B2 (ja) 2022-09-21
CN110800043B (zh) 2023-10-20
US10917108B2 (en) 2021-02-09
WO2019009082A1 (ja) 2019-01-10
BR112019027958A2 (pt) 2020-07-21
JPWO2019009082A1 (ja) 2020-04-30
EP3651151A4 (en) 2020-07-15
US20200212930A1 (en) 2020-07-02
CN110800043A (zh) 2020-02-14
EP3651151A1 (en)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7461B2 (ja) メディア信号を復号化する復号器及び、一次メディアデータについてのメタデータ又は制御データを含む二次メディアデータを符号化する符号器
CN107615379B (zh) 信号处理装置、信号处理方法和程序
KR20140017639A (ko) 부가적인 출력 채널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테레오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1520305A (ja) ディジタルシネマストリーム環境における振動−運動信号のトランスポート
JP4835646B2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JP7140119B2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99447B2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304739B2 (ja) ロスレス符号装置とロスレス記録媒体とロスレス復号装置とロスレス符号復号装置
JP2012155233A (ja) 情報伝送装置
JP2009122609A (ja) 音響信号符号化装置と音響信号復号化装置と、その方法と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4244223B2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CN115966216A (zh) 音频流处理方法及装置
JP4244222B2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JP4148259B2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JP4151031B2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JP2006171774A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KR20060043980A (ko) 콤보 시스템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기록 방법
JP2006171770A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JP2006171769A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