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345A -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345A
KR20200026345A KR1020180101804A KR20180101804A KR20200026345A KR 20200026345 A KR20200026345 A KR 20200026345A KR 1020180101804 A KR1020180101804 A KR 1020180101804A KR 20180101804 A KR20180101804 A KR 20180101804A KR 20200026345 A KR20200026345 A KR 20200026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cription
lighting device
lighting
uni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931B1 (ko
Inventor
최형인
최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Priority to KR102018010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931B1/ko
Priority to US17/271,327 priority patent/US11650622B2/en
Priority to PCT/KR2019/010740 priority patent/WO2020045899A1/ko
Publication of KR2020002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3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nose, i.e. nasoscopes, e.g. testing of patency of Eustachian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67Solid-state light source, e.g. LED, laser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및 카메라 렌즈 전단에 설치되어 스마트 폰 및 카메라와 연동하여 비문의 색상 및 외부의 밝기를 고려하여 비문을 획득하기에 적절한 조명을 적용하여 선명한 비문을 획득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for nose pattern acquisition}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및 카메라 렌즈 전단에 설치되어 스마트 폰 및 카메라와 연동하여 비문의 색상 및 외부의 밝기를 고려하여 비문을 획득하기에 적절한 조명을 적용하여 선명한 비문을 획득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후반에는 주로 소나 양의 비문(muzzle print, nose print)을 잉크를 묻혀서 종이로 탁본을 채취하여 비교하는 방법(muzzle printing)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전통적인 방법은 원시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특징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비문를 채취하거나 페인트를 칠하는 방법을 제외한 대부분의 방법은 작업과정에서 동물 개체의 특정 부위의 손상을 수반하여 동물 개체의 고통이나 발작 및 거부 행동으로 인하여 작업자와 동물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며, 많은 작업시간을 요구한다.
접촉형 방식은 접촉 인상 프린트(contact impression print)를 위해 코 표면에 안료를 도포하거나 지문 인식에 사용되는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터치 센서를 사용하여 비문 이미지를 얻는다.
잉크 인상 방식은 일본에서 암소를 식별하기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그러나 접촉형 방식은 코에 잉크가 너무 많거나 고르지 않은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너무 많은 양의 안료를 도포하여 그루브(groove)로 흘러나와 패턴의 세부 사항을 잃어 버려 왜곡된 인상이 생길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78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47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471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물 등록 및 인증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 동물의 비문 이미지를 스마트 폰 또는 카메라로 선명한 비문 이미지를 촬영 획득할 수 있도록, 동물의 코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조명을 직접 조사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에 따른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는 간접조명부와 체결된 진공흡착부를 구비하며, 진공흡착부는 간접조명부가 비문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전면에 위치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에 따른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탑재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의 하단에는 LED 를 포함하는 발광소자를 켜기 위한 전원 공급회로 및 전원공급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설치된 회로 기판이 간접조명부의 하부에 수용되도록 설계 제작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코 표면 조명을 위한 간접조명부와 체결된 진공흡착부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동물의 비문 이미지를 스마트 폰 또는 카메라로 선명한 비문 이미지를 촬영 획득할 수 있도록 간접조명부를 카메라 렌즈 전단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간접조명부와 일체로 또는 분리하여 체결되도록 설계 제작된 진공흡착부를 구비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른 간접조명부는 하단에 위치한 발광소자(LED, 기타 소형 발광소자)와 발광 소자에서 발생한 빛을 코 표면에 간접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간접조명용 부재를 구비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른 간접조명부는 상부에 위치하여 하부의 발광 소자에서 발생한 빛을 커버해서 간접 조명으로 만들어주는 조명 커버가 위치하며, 조명 커버의 하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로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하나가 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조명은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사이로 이루어져 간접조명으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른 간접조명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단말기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동물 등록 및 인증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 동물의 비문 이미지를 스마트 폰 또는 카메라로 선명한 비문 이미지를 촬영 획득할 수 있도록, 조명을 직접 조사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여 동물의 코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여 선명한 비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간접조명부가 비문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전면에 위치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진공흡착부와 체결되고, 진공흡착부를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표면에 부착함에 의하여 쉽게 간접조명부를 설치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가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탑재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제어기가 필요하지 않은 상승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의 하단에는 LED 를 포함하는 발광소자를 켜기 위한 전원 공급회로 및 전원공급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설치된 회로 기판이 위치하도록 설계 제작되고, 회로 기판 상에 설치된 LED는 회로기판에 설치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스마트 폰에 탑재된 프로그램이 연동하여 조명을 제어하도록 설계 제작되어 효율적인 조명을 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코 표면 조명을 위한 간접조명부와 체결된 진공흡착부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공하므로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접조명부와 체결된 진공흡착부가 체결 또는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부의 하나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접조명부의 하나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간접조명부 하부의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발광소자 수용부와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스마트 폰에 삽입 체결하기 위한 단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직접 조명으로 촬영 획득한 비문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간접조명으로 촬영 획득한 비문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상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아래에서 본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및 카메라 렌즈 전단에 설치되어 스마트 폰 및 카메라와 연동하여 비문의 색상 및 외부의 밝기를 고려하여 비문을 획득하기에 적절한 조명을 적용하여 선명한 비문을 획득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스마트 폰 뒷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등록 및/또는 인증에 사용될 수 있는 동물의 비문을 선명하게 촬영하기 위하여 진공흡착부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를 카메라 렌즈 전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 장치와 진공흡착부는 일체로 성형 제작하거나 분리하여 설계 제작한 후 서로 체결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될 수 있다.
진공 흡착부는 통상의 진공 흡착기, 또는 이와 유사 또는 동일한 구조에 맞추어서 조명 장치를 설계 제작하여 서로 삽입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체결 수단은 별도의 체결부를 제조하여 일측에는 진공 흡착부를 체결하고, 다른 일측에는 조명 장치를 체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체결부의 양측에는 강제 끼움을 위한 암수 체결수단을 형성하거나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진공 흡착부는 조명 장치와 체결되어 진공의 힘으로 스마트 폰에 설치된 카메라 렌즈 전면에 간접 조명 장치를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진공흡착부와 조명 장치가 분리된 경우에는 볼트를 이용한 체결 또는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 등 다양한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 조명부는 조명 장치의 하단에 위치한 발광소자(LED, 기타 소형 발광소자)와 발광 소자에서 발생한 빛을 코 표면에 간접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간접 조명 커버를 구비한다.
간접 조명 커버는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는 내측 간접 조명 커버 및 외측 간접 조명 커버로 기재하여야 하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하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로 줄여서 기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접조명부(도1의 13)와 체결된 진공흡착부(도1의 12)가 체결 또는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서 간접조명부(도1의 13)와 진공흡착부(도1의 1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도1의 14)가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에는 연결부재(도1의 14) 또는 체결수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들 용어는 두 개의 부재 또는 물체를 서로 연결하거나 체결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간접조명부(도1의 13)와 진공흡착부(도1의 12)를 연결하거나 발광소자 수용부와 간접조명커버를 서로 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어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앞뒤 문장을 살피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부(도1의 12)의 하나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며, 우측에 위치한 수나사를 좌측에 위치한 암나사와 체결됨에 의하여 스마트 폰 뒷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제작되어 있다.
간접조명부(도1의 13)를 카메라 렌즈 전면에 위치시키는 하나의 예로 간접조명부의 일측에 와셔 형태의 구멍을 구비한 체결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진공흡착부의 암나사와 수나사사이에 삽입한 수나사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간접조명부와 진공흡착부를 고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접조명부의 하나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간접조명부 하부의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외측 커버에는 강제 끼움을 수행하기 위한 돌출된 체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체결수단은 암수 체결부를 형성하여 강제로 끼우는 방식 또는 암수 나사를 형성하여 체결하는 방식 등 통상의 체결 방식을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회로기판 수용부(도5의 51)와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스마트 폰에 삽입 체결하기 위한 단자(54)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조명부(13)는 조명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하부의 발광 소자에서 발생한 빛을 덮어서 간접 조명으로 만들어주는 조명 커버(도3의 31)가 위치하며, 조명 커버(도3의 31)의 하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 커버(42)와 외측 커버(41)로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내측 커버(42)와 외측 커버(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하나가 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발광소자에서 발생한 빛은 내측 커버(42)와 외측 커버(41)사이로 조사되어 내측 커버를 통과하여 동물의 코 표면에 간접 조명이 되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내측 커버(42)와 외측 커버(41)는 분리하여 체결하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내측 커버(42)의 내측 직경은 상부, 하부 및 중앙 부분의 직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간접 조명부(13)의 하부에서 상부까지의 높이는 40 ㎜ 내지 90 ㎜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수치는 카메라의 초점 간접 조명의 량 등을 고려하여 이 수치를 벗어날 수도 있다.
내측 커버의 형상은 내부의 빛이 골고루 난반사가 이루어지는 원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요자의 요구 및 미감을 고려하여 다각형 및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 커버의 내측 직경은 동물 코의 크기와 표면의 형상을 고려하여 10 ㎜ 내지 50 ㎜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수치는 동물의 코 표면의 크기와 카메라의 초점 등을 고려하여 이 수치를 벗어날 수도 있다.
조명 커버와 발광 소자가 위치한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회로기판 수용부(51)는 일체로 또는 분리하여 설계 제작할 수 있다. 간접조명 커버(31)와 회로기판 수용부(51)가 분리된 경우에는 이를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으로 암수 나사를 형성하여 체결하거나, 일측에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볼록부를 형성하여 강제 끼움 등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할 수 있다.
간접 조명부(13)의 색상은 통상의 형광등 커버 색상과 유사한 우유 빛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외측 커버(41)와 내측 커버(42)의 색상을 다르게 제작할 수도 있다.
간접 조명부(13)의 내측 커버(42)와 외측 커버(41)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외측 커버(41)는 외부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하거나 제거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조명이 반사 또는 난반사 되는 공간(45)이 존재한다.
회로기판 수용부(51)는 발광 소자를 회로기판에 고정하지 않고 직접 조명하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 수용부로 부를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단순 설계 변경에 의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발광소자(54)는 조명 장치(11)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둘 이상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소자(54)는 소형 LED가 바람직하나, 소형 램프 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조명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발광소자(54)는 회로 기판 상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로 기판에는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로기판 상에는 조도를 제어하거나 발광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는 메모리가 설치될 수 있다.
전원 및 제어신호는 스마트 폰의 전원공급 단자 등과 연결되어 전원 공급 및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발광 소자(54)를 포함한 전자 소자가 탑재된 회로기판 일측에는 상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의 전원공급 단자와 체결되는 체결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는 앱을 탑재할 경우에 비문 촬영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부가 장착된 조명 장치와 연동하여 선명한 비문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는 스마트 폰에 탑재된 앱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와 조명 장치에 설치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서로 연동하여 조도를 제어하여 선명한 비문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조명 장치와 스마트 폰의 카메라와 서로 연동하도록 하는 앱은 별도의 기록 매체 또는 별도의 앱 제공 서버를 통해서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는 메모리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 조명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단말기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선명한 동물의 비문을 획득하기 위하여서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명을 제어하면서 할 수 있도록 한 번의 촬영 버튼을 누르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둘 이상의 비문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에는 획득한 다수의 비문 이미지 중에서 가장 선명한 비문을 선택하여 인증 및/또는 등록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순간적(1초 이내)으로 10 - 20 개 정도의 비문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획득한 다수의 비문 이미지 중에서 가장 선명한 비문을 선택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앱에 해당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앱을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해당 단말기에 탑재할 경우에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하부에 위치한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가 설치된 회로기판을 회로기판 수용부를 나타낸 것이다.
간접 조명부와 회로기판 수용부는 앞서 설명한 서로 분리하여 체결 수단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하부에는 발광 소자가 위치하고, 발광 소자에서 발광한 빛이 상기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사이로 전달되어 효율적으로 간접 조명을 이룰 수 있는 구성이면,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6은 직접 조명으로 촬영 획득한 비문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간접조명으로 촬영 획득한 비문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비문 이미지의 경우에 선명하여 인증이나 등록에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상면 사시도이며, 도 9는 아래에서 본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및 카메라 렌즈 전단에 설치되어 스마트 폰 및 카메라와 연동하여 비문의 색상 및 외부의 밝기를 고려하여 비문을 획득하기에 적절한 조명을 적용하여 선명한 비문을 획득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여 동물의 비문을 선명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11 ; 조명 장치
12; 진공흡착부 13; 간접조명부
14; 연결부재(진공흡착부와 간접조명부)
21; 진공흡착부 22; 수나사
23; 암나사
31; 간접조명커버
41; 외측 커버 42; 내측 커버
43, 44; 체결수단(강제 끼움)
45; 조명이 반사되는 공간
51; 회로기판 수용부 52; 발광소자가 설치된 회로기판
53; 전원 및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체결 단자
54; 발광소자

Claims (13)

  1.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 전면에 위치하여 조명을 하기 위한 간접 조명부; 및
    상기 간접 조명부와 연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고, 간접 조명부를 상기 카메라 렌즈 상에 고정하기 위한 진공 흡착부를 구비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간접 조명부는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가 하부에 위치하고, 발광 소자에서 발광하는 빛을 간접 조명하기 위한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를 구비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간접 조명부의 하부의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는 상부에서 서로 부착된 일체형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간접 조명부의 하부의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는 발광소자에서 발광한 빛을 내측으로 효율적으로 간접적으로 조명하고, 외부의 빛을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우유 빛 색상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간접 조명부의 외측 커버는 외부의 빛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투명하게 또는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간접 조명부와 진공 흡착부는 일체로 형성하거나 서로 분리 제작하여 서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간접 조명부의 하부의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 사이에는 발광소자가 고정 설치되고, 발광소자에 전원 공급 회로와 제어 신호선이 인쇄된 회로 기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는 스마트 폰과 연동하여 조도 및 조명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메모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는 스마트 폰과 연결되어 발광 소자에게 공급될 전원 및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폰과 체결되는 체결 단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스마트 폰과 체결되는 체결 단자는 스마트 폰에 탑재된 조명 장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선명한 비문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의 상하 직경은 조명의 크기, 회로기판의 크기 및 동물 코의 크기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서로 다르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는 균일한 난반사를 위하여 원형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13.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 전면에 위치하여 조명을 하기 위한 간접 조명부;
    간접 조명부를 상기 카메라 렌즈 상에 고정하기 위한 진공 흡착부; 및
    상기 간접 조명부와 진공 흡착부를 연결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를 구비한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KR1020180101804A 2018-08-29 2018-08-29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KR102170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04A KR102170931B1 (ko) 2018-08-29 2018-08-29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US17/271,327 US11650622B2 (en) 2018-08-29 2019-08-23 Lighting device for acquiring nose pattern image
PCT/KR2019/010740 WO2020045899A1 (ko) 2018-08-29 2019-08-23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04A KR102170931B1 (ko) 2018-08-29 2018-08-29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345A true KR20200026345A (ko) 2020-03-11
KR102170931B1 KR102170931B1 (ko) 2020-10-29

Family

ID=6964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804A KR102170931B1 (ko) 2018-08-29 2018-08-29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50622B2 (ko)
KR (1) KR102170931B1 (ko)
WO (1) WO2020045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2373A1 (en) * 2022-06-03 2023-12-07 Ams-Osram Ag Illumination adapting method and picture recording arrangement
WO2023232525A1 (en) * 2022-06-03 2023-12-07 Ams-Osram Ag Illumination adapting method and picture recording arrang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640B1 (ko) * 2014-04-14 2014-08-04 주식회사 아리움디자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494717B1 (ko) 2014-10-31 2015-02-26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KR101494716B1 (ko) 2014-10-31 2015-02-26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KR101527801B1 (ko) 2013-05-22 2015-06-11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80088540A (ko) * 2017-01-26 2018-08-06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동물 코 이미지 캡쳐를 위한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20340A1 (en) * 2011-06-18 2012-12-20 Intuitive Medical Technologies, Llc Smart-phone adapter for ophthalmoscope
KR101317624B1 (ko) * 2012-01-05 2013-10-10 주식회사 다스텍 발광부재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 케이스
KR20150018973A (ko) * 2013-08-12 2015-02-25 정하철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용 화상시스템
US9443166B2 (en) * 2013-09-17 2016-09-13 William Brian Kinard Animal / pet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ometrics
KR101757441B1 (ko) * 2015-12-29 2017-07-11 이준택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KR20170138139A (ko) * 2016-06-07 2017-12-15 (주)유브이앤텍 의료진단에 사용하는 led 기구
WO2019074496A1 (en) * 2017-10-11 2019-04-18 Iscilab Corporation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 NOSE PATTERN IMAGES ON MOBILE DEVICES
US11019250B2 (en) * 2018-03-20 2021-05-25 Iscilab Corporation Method for implementing animal nose pattern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on mobile devices
KR20200019302A (ko) * 2018-08-13 2020-02-24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의 비문 이미지 획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801B1 (ko) 2013-05-22 2015-06-11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423640B1 (ko) * 2014-04-14 2014-08-04 주식회사 아리움디자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494717B1 (ko) 2014-10-31 2015-02-26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KR101494716B1 (ko) 2014-10-31 2015-02-26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KR20180088540A (ko) * 2017-01-26 2018-08-06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동물 코 이미지 캡쳐를 위한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931B1 (ko) 2020-10-29
WO2020045899A1 (ko) 2020-03-05
US11650622B2 (en) 2023-05-16
US20210342581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5566B2 (en) Camera system with exchangeable illumination assembly
KR100962607B1 (ko) 휴대폰을 이용한 보안인쇄물 진위식별기
EP3032819A1 (en) Fisheye camera with infrared lamp
KR102170931B1 (ko)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EP2096351A3 (de) Beleuchtungsanordnung zur Unterstützung der menschlichen Sehfunktion sowie des Wohlbefindens
KR20120062910A (ko) 커넥터 및 조명 장치
US11200408B2 (en) Biometric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US9827898B2 (en) Vehicle light assembly with multiple light arrays
US20060171141A1 (en) Wall-insert type LED lamp
US10408438B2 (en) Ceiling fitting with a lighting module
US6769783B2 (en) Visual angle-dependent imaging device
JP2007054335A (ja) 個人認証装置
JP2001259125A (ja) 遊技機における電飾構造
US20120251090A1 (en) Camera
CN217689607U (zh) 一种手持式放大镜
JP6471939B2 (ja) 照明器具
CN220770860U (zh) 球顶光源
US11604863B2 (en) Alignment system
CN110248051B (zh) 一种摄像机
JPH0432709Y2 (ko)
JP3988408B2 (ja) ナイトライト
CN205795637U (zh) 口腔照明灯
KR20190002037U (ko) 조명 액자
JP2023132085A (ja) 照明装置
US20150177454A1 (en) Coverless linear light source light guide with light reflecting patterned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