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712A -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712A
KR20200025712A KR1020180103498A KR20180103498A KR20200025712A KR 20200025712 A KR20200025712 A KR 20200025712A KR 1020180103498 A KR1020180103498 A KR 1020180103498A KR 20180103498 A KR20180103498 A KR 20180103498A KR 20200025712 A KR20200025712 A KR 20200025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insert
bolt
fixing devic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범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정공
Priority to KR1020180103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712A/ko
Publication of KR2020002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되는 너트형 인서트와 체결되는 제1볼트부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기 위한 거푸집에 결합되는 제2볼트부, 및 상기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 사이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볼트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Insert fixing apparatus for concrete-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기 위한 거푸집에 인서트를 고정할 때 사용되는 인서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양생된 이후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된 인서트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동시키거나 매달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너트형 인서트를 매입하여 설치한다.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는 거푸집의 내부면에 너트형 인서트를 미리 고정해 놓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거푸집 내부에 부어서 양생시키고,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다음에 거푸집과 인서트 고정장치를 제거하여 너트형 인서트가 매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한다.
도 1은 종래의 너트형 인서트가 매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정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경우 거푸집은 6면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거푸집 1면의 판넬만 도시하였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1)를 거푸집 판넬(3)에 설치하기 위해서 볼트(4)와 중공형의 와샤(2)가 사용될 수 있다. 볼트(4)가 중공형의 와샤(2)와 거푸집 판넬(3)을 관통하여 너트형 인서트(1)와 체결됨으로써 인서트(1)가 거푸집 판넬(3)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몰탈이 거푸집 내부로 부어져서 단단하게 굳어질 때까지 양생된다.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굳어져서 콘크리트 구조물(5)로 형성한 다음에 볼트(4)를 인서트(3)으로부터 풀어서 와샤(2)와 거푸집(3) 및 볼트(4)를 제거하면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너트형 인서트(1)가 매설된 콘크리트 구조물(5)이 완성된다. 다만,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물이나 이물질이 너트형 인서트(1) 내부로 들어가서 인서트를 부식시키거나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관할 경우에는 와샤(2)가 제거된 공간(6)을 콘크리트 몰탈로 임시로 막아두어야 하였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동시킬 경우에는 임시로 막아둔 콘크리트 몰탈을 제거하고 인서트에 앵커 볼트 등을 체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동시킨 다음에 다시 와샤(2)가 제거된 공간(6)을 콘크리트 몰탈으로 막아야 하였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절차가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34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되는 너트형 인서트와 체결되는 제1볼트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기 위한 거푸집에 결합되는 제2볼트부; 및 상기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 사이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볼트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볼트부는 거푸집에 형성된 너트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볼트부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볼트부의 상기 플랜지부 측 단부가 상기 플랜지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볼트부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대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볼트부 및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다각렌치 삽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다각렌치 삽입구멍의 깊이는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볼트부의 일부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볼트부의 높이는 상기 거푸집의 두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고 거푸집을 분리시킨 다음에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더라도 인서트 고정장치의 제1볼트부와 플랜지부가 인서트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경우 플랜지부가 원뿔대 형상을 가져서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경우 제2볼트부의 플랜지부 측 단부가 플랜지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을 가져서 플랜지부의 하부면과 좁은 영역에서만 연결되므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서트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제2볼트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제2볼트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30)는 제1볼트부(31), 플랜지부(32), 및 제2볼트부(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볼트부(31)는 콘크리트 구조물(5)에 매설되는 너트형 인서트(20)의 너트부(21)에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32)의 상면부에 구비된다.
플랜지부(32)는 제1볼트부(31)와 제2볼트부(3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대체적으로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플랜지부의 상면부와 하면부의 직경은 각각 제1볼트부의 직경 및 제2볼트부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원뿔대 모양의 플랜지부(32)는 제2볼트부(33)에 인접한 부분의 직경이 가장 크고 제1볼트부(31)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여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321)을 가진다.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 몰탈이 양생되어 콘크리트 구조물(5)로 굳어진 이후에 육각렌치(다각렌치, 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볼트부(31) 및 플랜지부(32)를 인서트(20)로부터 풀어서 빼낼 경우에 플랜지부(32)가 원뿔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플랜지부(32)가 더욱 더 원활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51)으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뿔대 모양의 플랜지부(32)는 경사면(321)을 가져서 다양한 직경의 구명에 끼워질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볼트부(31) 및 플랜지부(32)의 조각이 콘크리트 구조물(5)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크기를 가진 홈(51)에도 타이트하게 끼워질 수 있다.
제2볼트부(33)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32)의 하면부(322)에 구비되며, 콘크리트 구조물(5)을 양생하는 거푸집의 판넬(10)에 결합된다. 도 8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볼트부(33)는 거푸집의 판넬(10)을 관통하여 형성된 너트부(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볼트부(33)와 거푸집의 판넬(10)이 직접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체결되므로 제2볼트부(33)와 거푸집(10)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너트')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조립 비용이 감소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뿐이고, 제2볼트부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방식에 의해 거푸집의 판넬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푸집의 너트부(11) 대신 거푸집의 판넬(10)에 거푸집의 판넬(10)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2볼트부(33)가 이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도 8의 (b)와 같이 거푸집 판넬의 반대편으로 돌출되어 돌출부(332)를 형성하며, 돌출부(332)와 결합하는 너트(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여 이 너트(미도시)를 조임으로써 제2볼트부를 거푸집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볼트부의 높이는 거푸집 판넬의 두께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볼트부(33)와 플랜지부(32) 및 제1볼트부(31)에는 다각렌치 삽입구멍(333)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다각렌치 삽입구멍(333)은 육각렌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각렌치 삽입구멍(333)의 깊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볼트부(33)와 플랜지부(32)를 관통하여 제1볼트부(31)에 끝부분에 인접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다각렌치(예를 들어, 육각렌치, 미도시)를 다각렌치 삽입구멍(333)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시켜서 인서트 고정장치(30)를 거푸집 판넬(10)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다각렌치를 이용하여 인서트 고정장치(30)를 인서트(20)와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볼트부(33)는 플랜지부(3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볼트부(33)의 플랜지부 측 단부(331)가 상기 플랜지부(32) 측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볼트부의 플랜지부 측 단부(331)와 플랜지부의 하부면(322)이 좁은 영역에서만 연결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각렌치 삽입 구멍(333)이 제2볼트부(33) 및 플랜지부(32)를 관통하고 있으므로 제2볼트부(33)의 플랜지부 측 단부(331)는 플랜지부의 하부면(322)과 매우 좁은 영역에서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제2볼트부(33)의 플랜지부 측 단부(331)와 플랜지부의 하부면(322)과의 연결은 쉽게 끊어지게 된다. 도 7은 제2볼트부(33)가 분리된 이후에 남아있는 제1볼트부(31)와 플랜지부(32)로 이루어진 인서트 고정장치(30)의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볼트부(33)가 분리된 이후에 플랜지부(32)의 다각렌치 삽입구멍(육각렌치 삽입구멍, 333)이 외부로 노출되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렌치 삽입구멍(333)은 플랜지부(32)를 관통하여 제1볼트부(31)의 거의 끝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30)의 제1볼트부(31)를 인서트(20)의 너트부(21)와 결합하고 제2볼트부(33)를 거푸집(10)의 너트부(11)와 결합시켜서 인서트(20)가 거푸집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육각렌치를 사용하여 인서트 고정장치(30)를 인서트(20)와 거푸집(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 몰탈을 부어서 양생시킨다. 콘크리트 몰탈이 굳어서 콘크리트 구조물(5)이 되면 인서트(20)가 콘크리트 구조물(5)의 내부에 고정되고 인서트의 플랜지(22)에 의해 인서트(20)는 콘크리트 구조물(5)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이때, 인서트 고정장치(30)의 제1볼트부(31) 및 플랜지부(32)는 콘크리트 구조물(5) 내부에 위치되고 인서트 고정장치(30)의 제2볼트부(33)는 콘크리트 구조물(5)의 외부에 위치된다.
그 다음, 외부로부터 거푸집(10) 또는 제2볼트부(33)에 소정 강도 이상의 충격을 주게 되면, 약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볼트부(33)의 플랜지부 측 단부(331)와 플랜지부의 하부면(322)이 연결이 끊어지게 되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판넬(10)과 제2볼트부(33)가 콘크리트 구조물(5)로부터 함께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 상태에서 별도의 조치 없이 콘크리트 구조물(5)을 그대로 보관하더라도 인서트 고정장치(30)의 제1볼트부(31) 및 플랜지부(32)가 인서트(20)에 결합되어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이 인서트(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한 이후에 거푸집을 분리시키는 것 이외에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더라도 콘크리트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만약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5)을 이동시키거나 다른 곳에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된 인서트(20)에 앵커볼트(미도시) 등을 체결해야 하여 인서트(20)가 개방될 필요가 있다면,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볼트부(31)와 플랜지부(32)에 형성된 육각볼트 삽입구멍(333)에 육각렌치를 삽입하고 회전시켜서 제1볼트부(31)와 플랜지부(32)로 이루어진 인서트 고정장치 유닛을 인서트(20)와 분리시킨 다음 앵커볼트를 인서트에 체결하면 된다. 한편, 여기서 분리된 제1볼트부와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인서트 고정장치 유닛은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51)을 막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고정장치(30)의 플랜지부(33)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므로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홈(51)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거푸집 판넬 20: 너트형 인서트
30: 인서트 고정장치 31: 제1볼트부
32: 플랜지부 33: 제2볼트부

Claims (8)

  1.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되는 너트형 인서트와 체결되는 제1볼트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기 위한 거푸집에 결합되는 제2볼트부; 및
    상기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 사이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볼트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볼트부는 거푸집에 형성된 너트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볼트부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볼트부의 상기 플랜지부 측 단부가 상기 플랜지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볼트부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대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볼트부 및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다각렌치 삽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렌치 삽입구멍의 깊이는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볼트부의 일부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볼트부의 높이는 상기 거푸집의 두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KR1020180103498A 2018-08-31 2018-08-31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KR20200025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98A KR20200025712A (ko) 2018-08-31 2018-08-31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98A KR20200025712A (ko) 2018-08-31 2018-08-31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712A true KR20200025712A (ko) 2020-03-10

Family

ID=6980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98A KR20200025712A (ko) 2018-08-31 2018-08-31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7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994B1 (ko) * 2021-06-10 2022-02-08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콘크리트 선매립 앵커 정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476A (ko) 2008-04-28 2009-11-02 조규용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476A (ko) 2008-04-28 2009-11-02 조규용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994B1 (ko) * 2021-06-10 2022-02-08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콘크리트 선매립 앵커 정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6355C (en) Anchor system of a concrete wall form
KR20210009227A (ko) 매입형 앵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25712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고정장치
KR101641339B1 (ko)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CA3101653C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voids in concrete
JP6347520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保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方法
CN203499017U (zh) 墙体拉结筋预埋定位装置
US2235442A (en) Support for concrete forms
KR20040027856A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419724Y1 (ko) 인서트
KR101000512B1 (ko)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JP2020105742A (ja) ネジ式機械式継手の養生材および養生方法
CN103615109B (zh) 一种对拉螺杆
JP4151810B2 (ja) 型枠装置
CN211341192U (zh) 一种混凝土预制构件螺纹套筒埋件的螺纹孔防堵装置
JPS58213953A (ja) コンクリ−ト型枠締付具
JP2873223B2 (ja) コンクリート成型品用吊り上げ治具
GB2549084A (en) Fixing
CN209976012U (zh) 一种便于植入拉结筋的模板结构
JPS5914593Y2 (ja) コンクリ−ト型枠締付用コ−ン
KR200420412Y1 (ko) 거푸집 고정구
JP6739806B2 (ja) 型枠保持具、及びコンクリート打ち込み方法
KR20210115697A (ko) 자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인서트
JP3913343B2 (ja) 型枠装置
JP2005273363A (ja) 支柱支持用コア孔形成装置並びにコア孔形成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