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689A -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 Google Patents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689A
KR20200025689A KR1020180103448A KR20180103448A KR20200025689A KR 20200025689 A KR20200025689 A KR 20200025689A KR 1020180103448 A KR1020180103448 A KR 1020180103448A KR 20180103448 A KR20180103448 A KR 20180103448A KR 20200025689 A KR20200025689 A KR 20200025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ile
adhesive
flame retardant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김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규 filed Critical 김용규
Priority to KR102018010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689A/ko
Publication of KR2020002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정사각형으로 된 PET 필름층(10)과; PET 필름층(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그 PET 필름층(10)의 표면 평탄도를 높이기 위한 탄성층(40)과; 탄성층(4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자기점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점착부착층(50)과; 점착부착층(50)에 이형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필름층(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Antidew tile pad having function of soundproof and flame resisting}
본 발명은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베란다나 실내의 벽체에 비전문가가라도 쉽게 마감 시공을 할 수 있는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베란다는 대부분 단열시공이 되지 않고, 또한 외부와 직접 맞닿는 장소이기 때문에, 추운 계절에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때 발생되는 결로현상은 벽을 부식시키고, 악취 및 곰팡이등의 세균 번식을 야기하여 불쾌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거주자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문시공업체에 의뢰하여 아파트 베란다에 석고보드와 같은 단열재를 부착시키는 단열시공을 별도로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석고보드로 단열시공할 경우 많은 먼지 및 소음이 발생되어 주위 거주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였고, 또한 고도의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문시공업체에 많은 비용을 지불하여 시공을 의뢰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먼지 및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연한 방습지에 폴리에틸렌폼이 적층되고, 폴리에틸렌폼에 단열페인트가 도포된 결로방지시트가 소개된바 있다. 이러한 결로방지시트는 벽체와 폴리에틸렌폼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한 후 벽체에 직접 부착함으로써 단열시공이 진행되었다.
그런데 상기한 결로방지시트의 경우, 벽체와 폴리에틸렌폼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한 후 부착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역시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미숙련자가 시공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01-0077564호에 결로방지시트 및 그의 시공방법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문 기술이 없는 미숙련자라도 쉽게 시공할 수 있는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된 공간에서 벽체로의 열전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단열성과, 외부 소음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음성과, 시공된 벽체로 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성을 가지는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는, 정사각형으로 된 PET 필름층(10); 상기 PET 필름층(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그 PET 필름층(10)의 표면 평탄도를 높이기 위한 탄성층(40); 상기 탄성층(4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자기점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점착부착층(50); 및 상기 점착부착층(50)에 이형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필름층(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착층(50)은, 부틸고무(Isobutylene Rubber), 폴리부틸렌(Polybutylene) 및 석유수지(Petroleum Resin)가 혼합되어 구현된다. 이때, 상기 폴리부틸렌은 상기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 25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석유수지는 상기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 11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착층(50)은 난연제(Flame retarda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30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착층(50)은 0.7 ~ 3mm 범위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착층(50)의 배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일정한 간격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가이드포인트홈(55)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ET 필름층(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알루미늄박층(20); 및 상기 알루미늄박층(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특정 색상 또는 패턴이 인쇄되는 인쇄층(3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가, 인쇄층, 알루미늄박층, PET 필름층, 탄성층 및 점착부착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문기술이 없는 미숙련자도 점착부착층을 벽체(W)에 밀착시키는 단순한 동작으로 타일형 결로방지패드를 벽체(W)에 용이하게 부착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로방지패드는 상기 적층구조에 의하여 단열성이나, 외부소음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음성이나,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점착부착층은 자기점착성을 가지므로, 시공된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의 부착 위치를 수정하고자 할 경우 해당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여 재부착 시공할 수 있다.
또한 타일형 결로방지패드는 알루미늄박층을 채용함으로써 조리를 하는 레인지 주변의 벽체에 시공할 수 있고, 설령 조리과정 혹은 부주의에 의하여 레인지에서 불길이 발생될 경우에도 불길이 PET 필름층으로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PET 필름층이 발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착부착층이 난연제를 함유함으로써, 화재발생시 본원의 결로방지패드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가 번지거나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의 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와 다른 타일형 결로방지패드를 밀착할 때, 마주보는 면의 점착부착층이 일체로 접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에 있어서, 점착부착층의 배면에 다수의 가이드홈이 일정한 간격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를 벽체에 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의 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는, 정사각형으로 된 PET 필름층(10)과; PET 필름층(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알루미늄박층(20)과; 알루미늄박층(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특정 색상 또는 패턴이 인쇄되는 인쇄층(30)과; PET 필름층(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그 PET 필름층(10)의 표면 평탄도를 높이기 위한 탄성층(40)과; 탄성층(4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자기점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점착부착층(50)과; 점착부착층(50)에 이형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필름층(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는 정사각형으로 된 것으로서,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20 ~ 30 cm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므로, 벽체에 부착 시공시 방향에 관계없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밀착되게 부착시킴으로써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다.
PET 필름층(10)은,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축합중합하여 얻어지는 포화 폴리에스터로서, 강성, 내열성, 내유성, 전기적 성질 등이 뛰어나고, 특성상 표면에 색상이나 패턴 인쇄가 가능하다. 이러한 PET 필름층(10)은, 20 ~ 150㎛ 범위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50㎛ 의 두께를 가진다.
PET 필름층(10)의 두께가 20㎛ 이하일 경우, 본원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를 벽체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약간만 휘어지더라도 구겨짐과 같은 잔상이 남게 되고, 두께가 150㎛ 이상일 경우 PET 필름층(10)의 제조과정에서 롤형태로 감을 때 표면에서 구겨짐이 발생된다.
참고적으로, PET 필름층(10)은, T 다이에서 토출되는 PET 원료를 여러개의 롤러를 거치면서 필름 형태가 되고, 롤러를 거친 PET 필름을 롤 형태로 감아 보관 및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제조되는 PET 필름의 두께가 150㎛ 이상일 경우 롤 형태로 감을 때, 내직경이 작은 롤 부분에서 구겨짐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알루미늄박층(2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열이 PET 필름층(10)로 곧바로 전도되어 PET 필름층(10)에서 울거나 구겨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부측에 인쇄층(3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알루미늄박층(20)은 3~20㎛ 의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0㎛ 의 두께를 가진다. 알루미늄박층(20)의 두께가 3㎛ 이하이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열이 PET 필름층(10)으로 대부분 전도되어 PET필름층(10)을 손상시키고, 20㎛ 이상일 경우 PET 필름층(10)의 가장자리에서 온도 및 습도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될 때 분리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에 의하여 지저분해지는 레인지 설치 공간의 벽체를 마감 시공한 이후, 조리과정 혹은 부주의에 의하여 레인지에서 불길이 발생될 경우에도, 불길이 PET 필름층(10)으로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PET 필름층(10)이 발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쇄층(30)은 알루미늄박층(20)에 특정 색상 또는 패턴이 형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수성은 물론 유성 잉크에도 도포가 용이한 아크릴 계열의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원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는 주로 가정의 베란다, 부엌의 싱크대, 현관등에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후 거주자에게 항상 노출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시공후 깔끔하게 마감되게 보여지도록 하는 인테리어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시공후 별도의 마감 공정이 없더라도 깔끔하게 마감이 될 수 있도록 인쇄층(30)이 형성되는 것이다.
탄성층(40)은, PET 필름층(10)의 표면 평탄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섬유 조각이 열접착 또는 화학 약품에 의하여 엉키게 접합되어 펠트 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탄성층(40)은, 본원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의 시공, 이송 및 보관 과정에서, PET 필름층(10)의 표면 구겨짐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그 자체로 공기를 함유하기 때문에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의 단열성을 상승시킨다.
여기서 탄성층(40)은, 2~3 데이나이의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스테르(PE) 재질의 다수의 장섬유가 열압착되어 펠트(felt) 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탄성층(40)은 단위질량이 30~110g/m2, 바람직하게는 70g/m2 인데, 단위 중량이 30 gr/㎡ 이하이면 탄성층(40)은 과도하게 얇아져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10 gr/㎡ 이상일 경우 과도하게 두꺼워져 오히려 PET 필름층(10)의 표면 구겨짐을 방지하지 못하게 된다.
점착부착층(50)은, 본원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를 별도의 접착제 없이 자기점착 방식에 의하여 벽체에 부착시킨다. 이러한 점착부착층(50)은, 부틸고무(Isobutylene Rubber), 폴리부틸렌(Polybutylene), 석유수지(Petroleum Resin) 및 난연제(Flame retardant)를 혼합하여 구현된다.
부틸고무는 기체와 수분에 대하여 낮은 투과성을 가지며, 천연고무나 스틸렌부타디엔고무에 비하여 내공기 투과성은 7-8배 이상 우수하고, 내수분 투과성은 10 배 이상인 고무이다.
폴리부틸렌은 액상의 형태로서 부틸고무와 혼합되어 자기 점착성 능력을 강화시킨다. 석유수지는 액상의 점착부여재인 폴리부틸렌을 단독으로만 사용할 경우 내열성 및 점착성이 떨어지므로 이러 한 내열성 및 점착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고상 점착부여제이다. 난연제는, 탄산칼슘은, 칼슘의 탄산염으로 대리석, 방해석 선석(霰石), 석회석, 백악, 빙주석(氷洲石), 조개껍데기, 달걀껍데기, 산호 등으로서 산출되며, 점착부착층의 내구성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난연성을 부여한다.
이때 폴리부틸렌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 250 중량부의 조성비, 바람직하게는 200 중량부를 가지고; 석유수지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 110 중량부의 조성비,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부를 가지며; 난연제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300 중량부의 조성비, 바람직하게는 200 중량부를 가진다. 이러한 점착부착층(50)을 이루는 조성물이 상기한 조성비보다 작을 경우 혼합반죽이 잘 되지 않고, 조상비보다 클 경우 자기점착성 성질이 구현되지 않는다.
한편,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와 다른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벽체(W)에 부착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의 점착부착층(50)(50')의 측면이 자기점착성에 의하여 부착되어 일체가 된다. 이를 위하여, 점착부착층(50)은 0.7 ~ 3mm 범위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mm 의 두께를 가진다. 여기서 점착부착층(50)의 두께가 0.7 mm 이하이면 너무 얇기 때문에 벽체(W)에 자기점착 방식으로 견고하게 부착되지 않게 되고, 두께가 3mm 이상이면 자체 무게에 의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본원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가 벽체로부터 탈락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점착부착층(50)의 배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 예를 들면 2cm 간격으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가이드포인트홈(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포인트홈(55)은 점착부착층(50)의 배면에서 약간 몰입된 형태로 되어 있다.
가이드포인트홈(55)은, 시공하는 벽체의 폭에 따라 타일형 결로방지패드를 부분적으로 절단할 때, 절단을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즉, 다수의 가이드포인트홈(55)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커팅을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2 번째 행의 가이드포인트홈을 따라 절단할 경우 4cm 의 폭만큼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점착부착층(50)은 자기점착성을 가지므로, 별도의 접착제없이 벽체(W)에 밀착시키는 동작으로 벽체(W)에 부착시킬 수 있고, 다른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의 점착부착층과 밀착될 때 상호 부착되어 한몸체가 됨으로써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와 다른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부착 위치를 수정하고자 할 때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를 벽체(W)로부터 잡아당겨 분리한 후 다시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형필름층(60)은 점착부착층(50)에 의하여 이형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형필름층(60)에 의하여 본원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를 다수개 적층하여 유통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조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를 시공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필름층(60)을 떼어낸 후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의 점착부착층(50)을 벽체에 먼저 부착하고, 이후 다른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의 측면을 벽체에 미리 부착된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의 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벽체(W)에 부착한다. 이때 상호 밀착된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100') 측면에서, 각각의 점착부착층(50)(50')이 밀착되면서 자기점착성에 의하여 상호 부착되어 한몸체를 이루며, 이에 따라 다수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의 경계면이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상호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가, 인쇄층(30), 알루미늄박층(20), PET 필름층(10), 탄성층(40) 및 점착부착층(50)이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문기술이 없는 미숙련자도 점착부착층(50)을 벽체(W)에 밀착시키는 단순한 동작으로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를 벽체(W)에 용이하게 부착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로방지패드(100)는 상기 적층구조에 의하여 단열성이나, 외부소음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음성이나,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점착부착층(50)은 자기점착성을 가지므로, 시공된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의 부착 위치를 수정하고자 할 경우 해당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여 재부착 시공할 수 있다.
또한 타일형 결로방지패드(100)는, 알루미늄박층(20)을 채용함으로써 조리를 하는 레인지 주변의 벽체에 시공할 수 있고, 설령 조리과정 혹은 부주의에 의하여 레인지에서 불길이 발생될 경우에도 불길이 PET 필름층(10)으로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PET 필름층(10)이 발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착부착층(50)이 난연제를 함유함으로써, 화재발생시 본원의 결로방지패드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가 번지거나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PET 필름층 20 ... 알루미늄박층
30 ... 인쇄층 40 ... 탄성층
50 ... 점착부착층 55 ... 가이드포인트홈
60 ... 이형필름층

Claims (7)

  1. 정사각형으로 된 PET 필름층(10);
    상기 PET 필름층(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그 PET 필름층(10)의 표면 평탄도를 높이기 위한 탄성층(40);
    상기 탄성층(4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자기점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점착부착층(50); 및
    상기 점착부착층(50)에 이형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필름층(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착층(50)은,
    부틸고무(Isobutylene Rubber), 폴리부틸렌(Polybutylene) 및 석유수지(Petroleum Resin)가 혼합되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은 상기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 ~ 25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석유수지는 상기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 11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착층(50)은 난연제(Flame retarda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30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착층(50)은 0.7 ~ 3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착층(50)의 배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일정한 간격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가이드포인트홈(5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T 필름층(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알루미늄박층(20); 및
    상기 알루미늄박층(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특정 색상 또는 패턴이 인쇄되는 인쇄층(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KR1020180103448A 2018-08-31 2018-08-31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KR20200025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48A KR20200025689A (ko) 2018-08-31 2018-08-31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48A KR20200025689A (ko) 2018-08-31 2018-08-31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689A true KR20200025689A (ko) 2020-03-10

Family

ID=6980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48A KR20200025689A (ko) 2018-08-31 2018-08-31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6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1473B2 (ja) 建築用遮熱性透湿防水シート
KR20200025689A (ko) 방음난연성을 가지는 타일형 결로방지패드
WO2005045155A1 (fr) Lame de plancher amelioree etanche a l'humidite et ignifuge
JP2011069053A (ja) 防水シート
KR200439881Y1 (ko) 석고보드 이음새 메움용 타공 접착 테이프
KR101802713B1 (ko) 시공성이 용이한 결로방지시트
JP5403831B2 (ja) 床用断熱材
KR200433849Y1 (ko) 방습 및 방냉 기능을 갖는 단열 벽지
KR20190026510A (ko) 에어캡(air-cap) 단열재 복합 보드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보드
JP2011190682A (ja) 床用断熱材
JPS634740Y2 (ko)
KR20150120642A (ko) 다기능 벽지
JP2011196178A (ja) 床用断熱材
JPS6337402Y2 (ko)
JP2654670B2 (ja) 建築用パネル
JP2004270362A (ja) 屋根材
CN206917070U (zh) 一种新型环保建筑墙板
JP4090365B2 (ja) 屋根材
JP4090363B2 (ja) 屋根材
JPS641392Y2 (ko)
JP4090366B2 (ja) 屋根材
JP4090364B2 (ja) 屋根材
JPH1113252A (ja) 複合パネル
JPS5832922Y2 (ja) 可撓性防音シ−ト
KR20080000199U (ko) 다기능 보온 단열재 및 보온 단열재 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