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109A - 렌즈웨어 - Google Patents

렌즈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109A
KR20200025109A KR1020180101973A KR20180101973A KR20200025109A KR 20200025109 A KR20200025109 A KR 20200025109A KR 1020180101973 A KR1020180101973 A KR 1020180101973A KR 20180101973 A KR20180101973 A KR 20180101973A KR 20200025109 A KR20200025109 A KR 20200025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illar
main body
contact lens
corn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645B1 (ko
Inventor
이재경
심낙범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이재경
김현기
심낙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경, 김현기, 심낙범 filed Critical 이재경
Priority to KR102018010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645B1/ko
Priority to PCT/KR2018/013662 priority patent/WO2020045741A1/ko
Publication of KR20200025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61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웨어에 관한 것으로서, 각막을 감싸고 있는 윗눈꺼풀과 아래눈꺼풀에 대응되는 개구를 가지며,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반구형상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며 콘택트렌즈가 안착되는 렌즈안착공이 상단에 형성된 렌즈안착기둥을 갖는 기둥부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기둥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안착기둥을 지지하는 기둥지지부와; 상기 기둥지지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렌즈안착기둥 하단으로 삽입되며, 가압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과 상기 렌즈안착기둥을 각막 측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콘택트렌즈가 상기 각막에 끼워지도록 하는 버튼부와;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윗눈꺼풀과 상기 아래눈꺼풀 사이에 끼워져 상기 윗눈꺼풀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지지하는 접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웨어는 기둥부가 문어빨판 구조로 형성되어, 콘택트렌즈를 눈으로부터 분리할 때 진공압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콘택트렌즈가 분리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렌즈웨어{CONTACT LENS WEAR}
본 발명은 렌즈웨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간단한 조작법으로 쉽고 위생적으로 콘택트렌즈를 눈에 착용할 수 있게 하는 렌즈웨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contact lens)는 안경 대신에 눈의 각막에 직접 붙여서 사용하는 렌즈로, 시력 교정 외에도, 미용의 목적이나 특수 분장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콘택트렌즈는 보관액으로 세척하고, 보관액이 담긴 용기에 콘택트렌즈 담가 보관하여, 건조와 세균 번식등을 방지한다.
이러한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에는, 용기를 개방하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각막에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콘택트렌즈를 손으로 직접 다루게 되면, 손의 세균, 땀, 이물질 등이 옮겨지고, 이는 각막 손상, 콘택트렌즈의 세균이나 곰팡이 발생 우려가 있었다.
또한, 렌즈 착용법에 숙련되지 않는 사용자나, 눈이 작은 사용자는 쉽게 렌즈를 착용하지 못해 렌즈 착용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콘택트렌즈의 용이한 착용을 위해서, 몇 가지 콘택트렌즈 착용 장치가 개발되었다. 일례로, 국내특허공개 제2014-74193호에는, 숟가락 모양 구조에 의해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콘택트렌즈 장착 보조구’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고, 국내특허공개 제2009-71795호에는, 흡착구가 피스톤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실린더 구조에 의해서,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착용기구’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특허등록 제1134235호에는, 눈꺼풀을 상하로 벌리는 한 쌍의 눈꺼풀 고정수단과, 콘택트렌즈가 흡착 또는 탈착되도록 하는 콘택트렌즈 장착부를 포함하는 구조의 ‘콘택트렌즈 착용 장치’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콘택트렌즈 장착 보조구'는 숟가락 구조와 실린더 구조에 의해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구조를 가졌으나, 콘택트렌즈의 착용을 위해 부착되는 부분이 항상 외부에 개방된 구조에 의해서, 오염과 세균 번식의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나머지 두 개의 특허는 단순히 콘택트렌즈를 들어서 눈에 부착하는 구조이므로, 눈꺼풀이 두껍거나 비교적 눈이 작은 사람은, 눈꺼풀과 눈밑을 상하로 벌리더라도 콘택트렌즈의 장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택트렌즈를 손으로 만지지 않고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각막에 장착할 수 있는 렌즈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의 장착 뿐만 아니라 렌즈의 분리도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렌즈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사용자의 각막 조건에 맞게 콘택트렌즈와 각막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렌즈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렌즈웨어는, 각막을 감싸고 있는 윗눈꺼풀과 아래눈꺼풀에 대응되는 개구를 가지며,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반구형상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며 콘택트렌즈가 안착되는 렌즈안착공이 상단에 형성된 렌즈안착기둥을 갖는 기둥부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기둥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안착기둥을 지지하는 기둥지지부와; 상기 기둥지지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렌즈안착기둥 하단으로 삽입되며, 가압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과 상기 렌즈안착기둥을 각막 측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콘택트렌즈가 상기 각막에 끼워지도록 하는 버튼부와;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윗눈꺼풀과 상기 아래눈꺼풀 사이에 끼워져 상기 윗눈꺼풀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지지하는 접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렌즈안착기둥이 결합되는 본체결합판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안착기둥의 내부에는 바닥기둥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안착공의 테두리영역에는 플라스틱재질의 플라스틱링이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바닥기둥수용공간과 상기 렌즈안착공 사이에는 상기 콘택트렌즈를 각막 측으로 가압하거나, 각막에 결합된 콘택트렌즈가 상기 렌즈안착공으로 다시 흡착되도록 흡입력을 형성하는 가압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바닥본체와, 상기 바닥본체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렌즈안착기둥의 내부로 삽입되는 바닥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바닥기둥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축과, 하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축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하부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축과 상기 하부축은 서로 나사결합되어 사용자의 각막 위치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는 콘택트렌즈의 착용을 손쉽고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누구나 손쉽게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콘택트렌즈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렌즈안착기둥 상면에 안착시킬 상태로 장착이 이루어지므로 청결한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는 각막과 렌즈까지의 거리가 사용자마다 다른 것을 감안하여 버튼부의 높이를 가변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사용자가 자신에게 최적화된 상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의 착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렌즈웨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웨어(100)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콘택트렌즈(A)가 안착되는 기둥부(120)와, 기둥부(120)의 내부에 결합되어 기둥부(120)를 지지하는 기둥지지부(130)와, 기둥지지부(130) 내부에 결합되어 기둥부(120)와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눈을 향해 가압하여 콘택트렌즈(A)가 각막(C)에 장착되도록 하는 버튼부(140)와, 본체부(110)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눈꺼풀(D)이 닫혀지지 않도록 눈꺼풀(D)을 지지하는 접안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100)에 사용가능한 콘택트렌즈(A)는 하드렌즈와 소프트렌즈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콘택트렌즈(A)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체부(110)는 몰드본체(111)와, 몰드본체(111)의 바닥면(111a)에 형성된 안착기둥삽입공(112)과, 안착기둥삽입공(112) 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본체결합판삽입홈(113)과 바닥본체삽입홈(114)을 포함한다.
몰드본체(111)는 탄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버튼부(140)의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내부에 수용된 콘택트렌즈(A)가 사용자의 각막(C)에 닿도록 한다. 몰드본체(111)는 투명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된 콘택트렌즈(A)의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몰드본체(111)의 양측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홈(115)이 구비된다.
몰드본체(11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20)에 콘택트렌즈(A)가 안착되었을 때, 콘택트렌즈(A)가 몰드본체(111)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안착기둥삽입공(112)은 몰드본체(111)의 바닥면 중심영역에 관통형성된다. 안착기둥삽입공(1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20)의 렌즈안착기둥(123)이 삽입된다. 이 때, 바닥면(111a)에는 기둥부(120)의 본체결합판(121)과의 고정을 위한 결합돌기(112a)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된다. 결합돌기(112a)는 본체결합판(121)의 돌기결합공(121a)에 삽입되어 몰드본체(111)와 기둥부(120)가 고정되게 한다.
본체결합판삽입홈(113)과, 바닥본체삽입홈(114)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바닥면(111a)의 최하부에는 바닥본체삽입홈(114)이 형성되고, 바닥본체삽입홈(114)의 상부에 단차지게 본체결합판삽입홈(113)이 형성되고, 본체결합판삽입홈(113)의 중심영역에 안착기둥삽입공(112)이 형성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결합판삽입홈(113)에는 기둥부(120)의 본체결합판(121)이 삽입되고, 바닥본체삽입홈(114)에는 기둥지지부(130)의 바닥본체(131)가 삽입된다. 바닥본체삽입홈(114)에는 몰드본체(111)와 기둥지지부(130)의 고정을 위한 날개결합홈(114a)이 형성된다. 날개결합홈(114a)에는 기둥지지부(130)의 바닥본체(131)에 형성된 결합날개(131a)가 끼워진다.
기둥부(120)는 본체부(110)의 바닥면(111a)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콘택트렌즈(A)를 지지한다. 기둥부(120)는 바닥면(111a)에 결합되는 본체결합판(121)과, 본체결합판(121)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렌즈안착기둥(123)을 포함한다.
본체결합판(121)은 원판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111a)의 본체결합판삽입홈(113)에 끼움결합된다. 이 때, 본체결합판(121)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결합공(121a)이 형성되고, 바닥면(111a)의 결합돌기(112a)가 삽입된다.
렌즈안착기둥(123)은 본체결합판(121)의 중심영역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체결합판(121)과 렌즈안착기둥(123)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렌즈안착기둥(123)은 상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게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렌즈안착기둥(123)의 내부에는 기둥지지부(130)의 바닥기둥(133)이 삽입되는 바닥기둥수용공간(123a)이 본체결합판(12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렌즈안착기둥(123)의 상단에는 렌즈안착공(125a)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렌즈안착공(125a)의 테두리에는 플라스틱소재의 플라스틱링(125)이 구비된다.
여기서, 렌즈안착공(125a)과 바닥기둥수용공간(123a) 사이에는 콘택트렌즈(A)를 지지하는 가압구(127)가 구비된다. 가압구(127)의 하부는 렌즈안착기둥(123) 내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구지지판(127a)에 결합되고, 가압구(127)의 상단은 평평하게 절단되어 콘택트렌즈(A)가 안착되는 렌즈위치 표시점(127b)이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구(127)는 렌즈안착공(125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가압구(127) 상단의 렌즈위치 표시점(127b)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유색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콘택트렌즈(A)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렌즈위치 표시점(127b)은 빨간색 링형태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콘택트렌즈의 안착위치임을 알 수 있게 한다.
플라스틱링(125)은 콘택트렌즈(A)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콘택트렌즈(A)를 각막(C)으로부터 분리할 때 흡입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플라스틱링(125)과 가압구(127)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을 통해 진공압이 형성되어 각막(C)에 부착된 콘택트렌즈(A)가 다시 렌즈위치 표시점(127b)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는 문어빨판 구조의 흡인력을 응용한 형태이다.
여기서, 플라스틱링(125)과 렌즈위치 표시점(127b)은 콘택트렌즈(A)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콘택트렌즈(A)의 안정적인 안착을 돕는다.
기둥지지부(130)는 기둥부(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기둥지지부(130)를 지지하고, 가압구(127)를 향해 버튼부(140)가 이동될 수 있도록 버튼부(140)를 지지한다.
기둥지지부(130)는 바닥면(111a)에 결합되는 바닥본체(131)와, 바닥본체(131)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렌즈안착기둥(123) 내부로 삽입되는 바닥기둥(133)을 포함한다. 바닥본체(131)는 본체결합판(121)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본체결합판(121)을 막으면서 바닥면(111a)에 결합된다.
바닥본체(131)의 외주연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결합날개(131a)가 구비된다. 결합날개(131a)는 몰드본체(111) 바닥면(111a)에 형성된 날개결합홈(114a)에 끼워져 몰드본체(111)에 기둥지지부(130)가 고정되도록 한다.
바닥기둥(133)은 렌즈안착기둥(123) 내부의 바닥기둥수용공간(123a)에 수용된다. 바닥기둥(133)은 바닥기둥수용공간(123a)에 대응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바닥기둥(133) 내부에는 버튼부(140)의 상부축(143)이 삽입되는 버튼삽입로(133a)가 형성된다. 버튼삽입로(133a)는 상부축(143)의 형상에 대응되게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된다.
바닥기둥(133)은 렌즈안착기둥(123)과 상부축(143) 사이의 여유공간을 메워 상부축(143)의 가압이 구지지판(127a)을 통해 가압구(127)로 전달되도록 한다.
버튼부(140)는 렌즈안착기둥(123)에 안착된 콘택트렌즈(A)가 사용자 눈의 각막(C)에 장착되도록 렌즈안착기둥(123)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버튼부(140)는 바닥기둥(133)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축(143)과, 상부축(143)과 나사결합되는 하부축(141)을 포함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안착기둥(123)의 상면에 콘택트렌즈(A)가 흡착된 상태일 때, 콘택트렌즈(A)와 각막(C) 사이에는 이격거리(d)가 존재한다.
사용자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축(141)을 가압하여 바닥면(111a)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몰드본체(111) 내부로 들어가며 콘택트렌즈(A)가 각막(C)에 밀착된 위치로 이동되어 콘택트렌즈(A)가 각막(C)에 장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체부(110)가 눈꺼풀(D)에 끼워졌을 때, 각 사용자 마다 각막(C)과 콘택트렌즈(A) 사이의 이격거리(d)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부(140)의 높이(h)가 일정하면, 이격거리(d)가 먼 사용자의 경우 버튼부(140)를 최대한 가압하더라도 콘택트렌즈(A)가 각막(C)에 닿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버튼부(140)는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축(143)과 하부축(141)을 나사결합하여 상부축(143)과 하부축(141)의 전체 높이(h)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사용자는 하부축(141)이 상부축(143)의 내부로 최대한 삽입된 최소높이에서 콘택트렌즈(A)를 착용해보고 이격거리(d)와 맞지 않으면 하부축(141)의 제1나사산(141a)을 제2나사산(143a)에 대해 돌려 상부축(143)과 하부축(141)의 전체 높이(h)를 길게 조절할 수 있다.
접안부(150)는 본체부(110)의 테두리영역에 결합되어 콘택트렌즈(A)의 착용 및 분리를 위해 본체부(110)를 눈꺼풀에 결합할 때, 미끄러지지 않게 위치를 고정시키고 눈꺼풀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접안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몰드본체(111)가 끼워지는 본체삽입홈(153)이 형성된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접안부(150)는 몰드본체(111)의 상부에서 끼워져 몰드본체(111)에 고정된다.
접안부(150)의 양측에는 돌출형성된 지지돌기(151)가 구비된다. 지지돌기(151)는 눈의 양쪽 눈꺼풀을 지지하여, 콘택트렌즈(A)의 착용과정 동안 눈꺼풀(D)이 흘러내리지 않게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100)의 조립과정과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렌즈웨어(1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본체부(110)의 몰드본체(111) 바닥면(111a)에 형성된 안착기둥삽입공(112)으로 기둥부(120)의 렌즈안착기둥(123)을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한다.
렌즈안착기둥(123)이 몰드본체(111) 내부로 삽입되면, 본체결합판(121)을 본체결합판삽입홈(113)에 삽입한다. 그리고, 결합돌기(112a)를 돌기결합공(121a)에 끼워 본체부(110)와 기둥부(120)의 위치를 고정한다.
기둥부(120)의 조립이 완료되면, 버튼부(140)의 상부축(143)을 기둥지지부(130)의 바닥기둥(133) 내부로 삽입한다. 상부축(143)을 바닥기둥(133)의 상부에서 버튼삽입로(133a)를 향해 삽입한다.
상부축(143)이 삽입된 기둥지지부(130)를 본체부(110)에 결합한다. 이를 위해 기둥지지부(130)의 바닥기둥(133)을 몰드본체(111)의 하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삽입하여 렌즈안착기둥(123) 내부의 바닥기둥수용공간(123a)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바닥본체(131)를 바닥면(111a)의 바닥본체삽입홈(114)에 삽입하고, 한 쌍의 결합날개(131a)를 날개결합홈(114a)에 끼워 기둥지지부(130)를 본체부(110)에 고정시킨다. 기둥지지부(130)의 고정이 완료되면, 하부축(141)을 상부축(143) 내부로 삽입한다. 하부축(141)을 상부축 내부로 회전하며 삽입하여 나사결합을 완료한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외주연에 접안부(150)를 끼워 렌즈웨어(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립과정과, 조립과정의 역순인 분해과정을 통해 오염된 렌즈웨어(100)를 세척하여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렌즈웨어(100)의 사용과정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콘택트렌즈(A)를 렌즈안착기둥(123)의 렌즈위치 표시점(127b)과 렌즈안착공(125a)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 때, 렌즈위치 표시점(127b)이 콘택트렌즈(A)의 중심에 닿도록 콘택트렌즈(A)를 정렬한다.
콘택트렌즈(A) 표면에는 물이 묻어 있으므로, 콘택트렌즈(A) 표면의 물의 흡착력에 의해 렌즈안착공(125a)에 붙어 있게 된다.
이 상태로 사용자는 손가락을 몰드본체(111)의 파지홈(115)에 파지시키고, 본체부(110)를 들어올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안부(150)를 위아래 눈꺼풀(D) 사이로 삽입한다. 접안부(150)와 지지돌기(151)가 눈꺼풀(D)을 지지하여 눈꺼풀(D)이 감기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축(141)을 눈을 향해 가압하면, 바닥면이 눈을 향해 변형되며 들어올려지고, 콘택트렌즈(A)가 각막(C)에 닿으며 장착된다.
반대로, 콘택트렌즈(A)를 분리하고자 하면, 사용자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축(141)을 가압한 상태로 렌즈안착기둥(123)을 콘택트렌즈(A)를 향해 접촉시키면, 플라스틱링(125)과 렌즈안착공(125a) 사이의 문어빨판구조의 흡인력에 의해 콘택트렌즈(A)가 렌즈위치 표시점(127b) 측으로 이동되며 장착이 해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는 콘택트렌즈의 착용을 손쉽고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누구나 손쉽게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콘택트렌즈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렌즈안착기둥 상면에 안착시킬 상태로 장착이 이루어지므로 청결한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는 각막과 렌즈까지의 거리가 사용자마다 다른 것을 감안하여 버튼부의 높이를 가변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사용자가 자신에게 최적화된 상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버튼부(140) 외부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부(110)를 살균 처리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 비율은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 50중량%,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의 주 화학성분은 palmic aldehyde, enanthic acid 등이며, 향이 좋으며 살균, 항울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은 주 화학성분은 bornyl acetate, pinene 등이며, 혈압강하작용과 더불어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불안,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본체부(110)에 코팅되므로 본체부(110)를 살균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몰드본체(111)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몰드본체(111)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몰드본체(111)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몰드본체(111)의 수명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렌즈웨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렌즈웨어 110 : 본체부
111 : 몰드본체 111a : 바닥면
112 : 안착기둥삽입공 112a : 결합돌기
113 : 본체결합판삽입홈 114 : 바닥본체삽입홈
114a : 날개결합홈 115 : 파지홈
120 : 기둥부 121 : 본체결합판
121a : 돌기결합공 123 : 렌즈안착기둥
123a : 바닥기둥수용공간 125 : 플라스틱링
125a : 렌즈안착공 127 : 가압구
127a : 구지지판 127b : 렌즈위치 표시점
130 : 기둥지지부 131 : 바닥본체
131a : 결합날개 133 : 바닥기둥
133a : 버튼삽입로 140 : 버튼부
141 : 하부축 141a : 제1나사산
143 : 상부축 143a : 제2나사산
150 : 접안부 151 : 지지돌기
153 : 본체삽입홈
A : 콘택트렌즈
B : 눈
C : 각막
D : 눈꺼풀

Claims (3)

  1. 각막을 감싸고 있는 윗눈꺼풀과 아래눈꺼풀에 대응되는 개구를 가지며,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반구형상을 갖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면(111a)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며 콘택트렌즈(A)가 안착되는 렌즈안착공(125a)이 상단에 형성된 렌즈안착기둥(123)을 갖는 기둥부(120)와;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면(111a)을 통해 상기 기둥부(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안착기둥(123)을 지지하는 기둥지지부(130)와;
    상기 기둥지지부(1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렌즈안착기둥(123) 하단으로 삽입되며, 가압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면과 상기 렌즈안착기둥(123)을 각막 측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콘택트렌즈(A)가 상기 각막(C)에 끼워지도록 하는 버튼부(140)와;
    상기 본체부(110)의 테두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윗눈꺼풀과 상기 아래눈꺼풀 사이에 끼워져 상기 윗눈꺼풀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지지하는 접안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웨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면(111a)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렌즈안착기둥(123)이 결합되는 본체결합판(121)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안착기둥(123)의 내부에는 바닥기둥수용공간(123a)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안착공(125a)의 테두리영역에는 플라스틱재질의 플라스틱링(125)이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렌즈(A)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바닥기둥수용공간(123a)과 상기 렌즈안착공(125a) 사이에는 상기 콘택트렌즈(A)를 각막 측으로 가압하거나, 각막에 결합된 콘택트렌즈(A)가 상기 렌즈안착공(125a)으로 다시 흡착되도록 흡입력을 형성하는 가압구(12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웨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지지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면(111a)에 결합되는 바닥본체(131)와, 상기 바닥본체(131)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렌즈안착기둥(123)의 내부로 삽입되는 바닥기둥(133)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140)는,
    상기 바닥기둥(133)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축(143)과,
    하부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축(143)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하부축(141)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축(143)과 상기 하부축(141)은 서로 나사결합되어 사용자의 각막 위치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웨어.
KR1020180101973A 2018-08-29 2018-08-29 렌즈웨어 KR102182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973A KR102182645B1 (ko) 2018-08-29 2018-08-29 렌즈웨어
PCT/KR2018/013662 WO2020045741A1 (ko) 2018-08-29 2018-11-09 렌즈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973A KR102182645B1 (ko) 2018-08-29 2018-08-29 렌즈웨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109A true KR20200025109A (ko) 2020-03-10
KR102182645B1 KR102182645B1 (ko) 2020-11-25

Family

ID=6964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973A KR102182645B1 (ko) 2018-08-29 2018-08-29 렌즈웨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2645B1 (ko)
WO (1) WO20200457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340B1 (ko) * 2023-07-14 2024-01-25 안선종 사용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안구 세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591A (en) * 1976-03-15 1977-05-31 Cleaveland John A Contact lens handling tools
KR101823613B1 (ko) * 2016-09-12 2018-01-30 서정욱 콘택트렌즈 착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5349A (ja) * 1987-11-19 1989-05-29 Maaketsuto Bureinzu:Kk コンタクトレンズの着脱器具
KR20120076432A (ko) * 2010-12-29 2012-07-09 (주)고려아이텍 안구 삽입물 주입장치
JP6185642B1 (ja) * 2016-10-04 2017-08-23 伸明 高橋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591A (en) * 1976-03-15 1977-05-31 Cleaveland John A Contact lens handling tools
KR101823613B1 (ko) * 2016-09-12 2018-01-30 서정욱 콘택트렌즈 착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340B1 (ko) * 2023-07-14 2024-01-25 안선종 사용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안구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741A1 (ko) 2020-03-05
KR102182645B1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1480B2 (en) Eye drop device
CN106389002B (zh) 一种滴液瓶嘴及眼药水瓶
US9339184B2 (en) Contact lens for vitreoretinal surgery
KR20200025109A (ko) 렌즈웨어
CA2469096A1 (en) Ophthalmic device for administering fluid eye medication to the human eye
US10265214B2 (en) Eye drop applicator
KR200473728Y1 (ko) 케이스 고정형 콘택트렌즈 홀더
KR200474044Y1 (ko)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KR20180037391A (ko) 콘택트렌즈 착용장치
JP6185642B1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KR200492844Y1 (ko) 음식물 섭취 가능한 비말차단용 마스크
CN112040808B (zh) 隐形眼镜盒
WO2015190339A1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取外器具及び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取外器具を使用する方法。
ES2947087T3 (es) Aplicación de gotas para los ojos
JP2014157172A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
CN211675392U (zh) 一种方便眼科护理用眼药水瓶结构
CN217645424U (zh) 一种用于滴药的夹持装置
JPWO2013140452A1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
JP7165850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US20050043692A1 (en) Topical eye drop holder (TEDH)
KR101577756B1 (ko) 점안액 투여장치
US7092175B2 (en) Contact lens transfe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JP2014157171A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
CN201537173U (zh) 隐形眼镜卸除装置
JPS5843101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着脱器及びケ−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