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45741A1 - 렌즈웨어 - Google Patents

렌즈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45741A1
WO2020045741A1 PCT/KR2018/013662 KR2018013662W WO2020045741A1 WO 2020045741 A1 WO2020045741 A1 WO 2020045741A1 KR 2018013662 W KR2018013662 W KR 2018013662W WO 2020045741 A1 WO2020045741 A1 WO 20200457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ns
pillar
main body
cornea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36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경
심낙범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이재경
심낙범
김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경, 심낙범, 김현기 filed Critical 이재경
Publication of WO20200457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457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61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we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wear that makes it possible to wear a contact lens to the eye easily and hygienically with a simple operation.
  • a contact lens is a lens that is directly attached to the cornea of the eye instead of glasses, and is used for cosmetic purposes, special makeup, and the like, in addition to vision correction, and the contact lens is washed with a storage solution and stored.
  • a user who is not skilled in wearing a lens or a user who has a small eye may not be able to easily wear a lens, and thus it may take a considerable time to wear the lens.
  • the above-described 'contact lens mounting ai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act lens is worn by the simple structure by the spoon structure and the cylinder structure, but the part attached for wearing the contact lens is always open to the outside structure. Thereby, there is a high disadvantage of contamination and bacterial propagation.
  • the lens 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n hemispherical shape and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eyelids surrounding the cornea, and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 pillar portion inserted into the bottom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lens seating column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with a lens seating hole in which a contact lens is seated; A pillar support part inserted into the pillar part through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to support the lens seating pillar; A button part inserted into a lower end of the lens seating column through the inside of the pillar support part and elastically de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the lens seating column to the cornea side by pressing so that the contact lens is fitted to the cornea; It is coupled to the edge reg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yepiece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to support the upper eyelids to maintain the open stat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ens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lens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wearing process of the lens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ns wea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lens wear 100
  •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along the line B-B of FIG.
  • the main body 110 is formed to have a hemispherical shape, as shown in FIG. 2, to provide a space for hygienically storing the contact lens A.
  • FIG. 2 is formed to have a hemispherical shape, as shown in FIG. 2, to provide a space for hygienically storing the contact lens A.
  • the main body 110 has a mold body 111, a mounting pillar insertion hole 112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11a of the mold body 111, and a main body coupling plate formed stepwise on the main surface of the mounting pillar insertion hole 112. Insert groove 113 and the bottom body insertion groove 114 is included.
  • the mold body 111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etc., having elasticity, and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essing of the button unit 140 and the contact lens A housed therein contacts the cornea C of the user. To do that.
  • the mold body 111 is provided to be transparent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state of the contact lens A accommodated therein.
  • a gripping groove 115 is held by a user.
  • the mounting pillar insertion hole 112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center area of the mold body 111.
  • the lens mounting pillar 123 of the pillar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illar insertion hole 112.
  • the coupling protrusion 112a for fixing the body coupling plate 121 of the pillar part 120 protrudes downward in the bottom surface 111a.
  • the coupling protrusion 112a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coupling hole 121a of the main body coupling plate 121 to fix the mold body 111 and the pillar portion 120.
  • the main body coupling plate insertion groove 113 and the bottom main body insertion groove 114 are formed stepwise.
  • a bottom main body insertion groove 114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111a, and a main body coupling plate insertion groove 113 is formed to be stepped on the top of the bottom main body insertion groove 114, and the main body coupling plate insertion groove 113 is formed.
  • Seating pillar insertion hole 112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 the main body coupling plate insertion groove 113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coupling plate 121 of the pillar portion 120, the bottom body insertion groove 114 in the bottom of the column support portion 130.
  • the main body 131 is inserted.
  • the bottom body insertion groove 114 is formed with a wing coupling groove 114a for fixing the mold body 111 and the pillar support 130.
  • Coupling wings (131a) formed in the bottom body 131 of the pillar support portion 130 is fitted into the wing coupling groove (114a).
  • the pillar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bottom surface 111a of the main body part 110 to support the contact lens A.
  • the pillar portion 120 includes a main body coupling plate 121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111a, and a lens mounting pillar 123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coupling plate 121.
  • the body coupling plate 121 is formed in a disc shape, and is fitted into the body coupling plate insertion groove 113 of the bottom surface 111a. At this time, a plurality of protrusion coupling holes 121a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coupling plate 12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12a of the bottom surface 111a is inserted.
  • the lens mounting pillar 123 is provided to protrude upwar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main assembly plate 121.
  • the body coupling plate 121 and the lens mounting pillar 123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 the lens seating column 123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so that its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upper surface.
  • the pressing hole 127 for supporting the contact lens A is provided between the lens seating hole 125a and the bottom column receiving space 123a.
  •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hole 127 is coupled to the spherical support plate 127a formed horizontally inside the lens seating column 123, and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hole 127 is cut flat so that the contact lens A is seated.
  • the display point 127b is provided.
  • the pressure port 127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ns seat hole 125a.
  • the lens position display point 127b on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hole 127 is colored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and is a reference for the user to align the position of the contact lens A.
  • the lens position indicator 127b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red ring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seating position of the contact lens.
  • the plastic ring 125 and the lens position indicator 127b are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 to help stable mounting of the contact lens A.
  • the pillar support part 130 is accommodated in the pillar part 120 to support the pillar support part 130 and to support the button part 140 so that the button part 140 can be moved toward the pressure port 127. .
  • the pillar support 130 includes a bottom body 131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111a and a bottom column 133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body 131 and inserted into the lens seating column 123.
  • the bottom body 131 is provid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main body coupling plate 121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111a while blocking the main body coupling plate 121.
  •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body 131 is provided with a pair of coupling wings 131a extending radially outward.
  • the coupling blade 131a is fitted into the wing coupling groove 114a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11a of the mold body 111 so that the pillar support 130 is fixed to the mold body 111.
  • the bottom pillar 133 fills the free space between the lens seating pillar 123 and the upper shaft 143 so that the pressure of the upper shaft 143 is transmitted to the pressing hole 127 through the sphere support plate 127a.
  • the button unit 140 serves to pressurize the lens mounting pillar 123 so that the contact lens A mounted on the lens mounting pillar 123 is mounted on the cornea C of the user's eyes.
  • the button unit 140 includes an upper shaft 143 inserted into the bottom pillar 133 and a lower shaft 141 screwed to the upper shaft 143. As shown in FIG. 6A, when the contact lens A is adsorb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mounting pillar 123,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contact lens A and the cornea C is increased. exist.
  • the user presses the lower shaft 141 to elastically deform the bottom surface 111a and enters into the mold main body 111.
  • the contact lens A is mounted to the cornea C by being moved to a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lens.
  • the button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crewed to the upper shaft 143 and the lower shaft 141 as shown in enlarged in Figure 3 overall height (h) of the upper shaft 143 and the lower shaft 141 Can be adjusted.
  • the user wears the contact lens A at the minimum height at which the lower shaft 141 is inserted into the upper shaft 143 as much as possible, and the first screw thread 141a of the lower shaft 141 does not match the separation distance 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otal height (h) of the upper shaft 143 and the lower shaft 141 by turning relative to the second screw thread (143a).
  • the eyepiece 150 is coupled to the edge region of the main body 110 to secure the position so that the eyelid is not slipped when the main body 110 is coupled to the eyelid for wearing and detaching the contact lens A. prevent.
  • the eyepiece 150 is provided in a bent shape with a main body insertion groove 153 into which the mold body 111 shown in FIG. 3 is fitted. As a result, the eyepiece 150 is fit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body 111 and is fixed to the mold body 111.
  • Both sides of the eyepiece 15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151 protruding.
  • the support protrusion 151 supports both eyelids of the eye so that the eyelid D does not flow down during the wearing process of the contact lens A.
  • the lens mounting pillar 123 of the pillar portion 120 is insert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by the mounting pillar insertion hole 112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11a of the main body 110 of the mold body 111.
  • the body coupling plate 121 is inserted into the body coupling plate insertion groove 113. Then, the coupling protrusion 112a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coupling hole 121a to fix the positions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pillar 120.
  • the upper shaft 143 of the button part 14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pillar 133 of the pillar support part 130.
  • the upper shaft 143 is inserted toward the button insertion path 133a from the top of the bottom column 133.
  • the pillar support portion 130 into which the upper shaft 143 is inserte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110.
  • the bottom pillar 133 of the pillar support 130 is insert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mold body 111 to be coupled to the bottom pillar accommodation space 123a inside the lens seating pillar 123.
  • the bottom body 131 is inserted into the bottom body insertion groove 114 of the bottom surface 111a, and a pair of coupling wings 131a are inserted into the wing coupling groove 114a to support the column support 130. Fix to (110).
  • the lower shaft 141 is inserted into the upper shaft 143.
  • the lower shaft 141 is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upper shaft to complete the screwing.
  • the eyepiece 150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10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lens wear 100.
  • the user can cleanly clean the contaminated lens wear 100 through such an assembling process and disassembly proces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ssembling process.
  • FIGS. 5 and 6 A process of using the lens wea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the user mounts the contact lens A on the lens position display point 127b of the lens seating pillar 12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seat hole 125a.
  • the contact lens A is aligned such that the lens position indication point 127b touches the center of the contact lens A.
  • the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 is attached to the lens seat hole 125a by the adsorption force of the water on the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
  • the user grips the finger in the gripping groove 115 of the mold main body 111 and lifts the main body 110 to lift the eyepiece 150 up and down the eyelid (D) as shown in FIG. Insert between).
  • the eyepiece 150 and the support protrusion 151 support the eyelid D so that the eyelid D is not wound.
  • the contact lens A is to be separated, the user contacts the lens mounting pillar 123 toward the contact lens A while pressing the lower shaft 14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contact lens A is moved toward the lens position display point 127b by the suction force of the octopus sucker structure between the plastic ring 125 and the lens seating hole 125a, and the mounting is released.
  • the lens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lps to easily and cleanly wear the contact lens so that anyone can easily wear the contact lens. That is, since the contact lens is mounted in a state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mounting pillar, the user can cleanly mount the contact lens.
  • the lens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y the height of the button por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ornea and the lens for each user can be used by various users to adjust to the state optimized to them.
  • the outer surface of the button unit 140 may be coated with an antifouling coating layer made of an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to effectively achieve the prevention and removal of contaminants.
  • the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includes an alkylate polyglucoside and an aminoalkyl slovetane in a 1: 0.01 to 1: 2 molar ratio, and the total content of the alkylate polyglucoside and the aminoalkyl slovetane is 1 to 10 based on the total aqueous solution. Weight percent.
  • the alkylate polyglucoside and aminoalkyl slovesteine is preferably 1: 0.01 to 1: 2 as the molar ratio. If the molar ratio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coating property of the substrate is decreased or the moisture adsorption of the surface after application increases, thereby removing the coating film. There is a problem.
  • the alkylate polyglucoside and aminoalkyl slovesteine is 1 ⁇ 1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aqueous solution is preferred, if less than 1% by weight has a problem that the coating property of the substrate is lowered, if it exceeds 10% by weight increase the coating film thickness Precipitation is likely to occur.
  • the final coating film thickness on the substrate is preferably 500 to 2000 kPa, more preferably 1000 to 2000 kPa. If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less than 500 GPa,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the case of high temperature heat treatment, and if it is more than 2000 GPa,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rystal precipitation of the coating surface is easily generated.
  • the present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dding 0.1 mole of alkylate polyglucoside and 0.05 mole of aminoalkyl slovetane to 1000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n stirring.
  • the body portion 110 may be coated with a fragrance material mixed with functional oil, thereby sterilizing the body portion 110, and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stress of the operator.
  • the fragrance material may be mixed with a functional oil, and the mixing ratio is 95 to 97 wt% of the fragrance material, and 3 to 5 wt% of the functional oil is mixed. Weight percent and 50 weight percent Valeriana fauriei oil.
  • the functional oil is preferably mixed with 3-5% by weight based on the perfume material.
  • the mixing ratio of the functional oil is less than 3% by weigh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and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functional oil exceeds 3 to 5% by weight, the function thereof is not greatly improved while the manufacturing cost is greatly increased.
  • the main chemicals of Acacia dealbata oil are palmic aldehyde, enanthic acid, etc., with good fragrance and good effect on bactericidal, antidepressant and stress relief.
  • Valeriana fauriei oil (Valeriana fauriei oil) is the main chemicals such as bornyl acetate, pinene, etc., and it acts to reduce the blood pressure and calm and calm the mind, so it has an excellent effect on anxiety and relaxation.
  • the functional oil is coated on the main body 110, not only can sterilize the main body 110, but also helps the worker recover from fatigue.
  • the mold body 111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 raw material content ratio of the mold body 111 is 60% by weight of rubber, 33 to 36% by weight of carbon black, 2 to 5% by weight of antioxidant, sulfur as an accelerator Mix 1-3 wt%.
  • Carbon black is added to increase the wear resistance, but if the content is less than 33% by weight, the elasticity and wear resistance is reduced, if the content exceeds 36% by weight, the rubber content of the main component is relatively small, there is a fear that the elastic force is lowered , 33 to 36% by weight.
  • Antioxidants add 2 to 5% by weight by selecting 3C (N-PHENYL-N'-ISOPROPYL-P-PHENYLENEDIAMINE) or RD (POLYMERIZED 2,2,4-TRIMETHYL-1,2-DIHYDROQUINOLINE) If it is less than% by weight, the product is easy to oxidize, and if it is added too much and exceeds 5% by weight, the content of rubber, which is a main ingredient, may be relatively low, which may lower the elastic force. ⁇ 5% by weight is appropriate.
  • Sulfur, an accelerator is mixed with 1-3 wt%. Less than 1% by weight is a slight vulcanization effect in the heating step during molding, so 1% by weight or more is added. If it exceeds 3% by weight, the content of rubber, which is the main component, is relatively small, and the elastic force may drop, so 1 to 3% by weight is appropriate.
  • the present invention is reinforced with synthetic rubber having elasticity in various directions, so that durability is improved, and thus the life of the mold body 111 is increased.
  • 112 seating column insertion hole, 112a: coupling protrusion
  • 121a projection coupling hole
  • 123 lens seating pillar
  • 127a Old support plate
  • 127b Lens position ma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웨어에 관한 것으로서, 각막을 감싸고 있는 윗눈꺼풀과 아래눈꺼풀에 대응되는 개구를 가지며,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반구형상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며 콘택트렌즈가 안착되는 렌즈안착공이 상단에 형성된 렌즈안착기둥을 갖는 기둥부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기둥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안착기둥을 지지하는 기둥지지부와; 상기 기둥지지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렌즈안착기둥 하단으로 삽입되며, 가압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과 상기 렌즈안착기둥을 각막 측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콘택트렌즈가 상기 각막에 끼워지도록 하는 버튼부와;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윗눈꺼풀과 상기 아래눈꺼풀 사이에 끼워져 상기 윗눈꺼풀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지지하는 접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웨어는 기둥부가 문어빨판 구조로 형성되어, 콘택트렌즈를 눈으로부터 분리할 때 진공압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콘택트렌즈가 분리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렌즈웨어
본 발명은 렌즈웨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간단한 조작법으로 쉽고 위생적으로 콘택트렌즈를 눈에 착용할 수 있게 하는 렌즈웨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contact lens)는 안경 대신에 눈의 각막에 직접 붙여서 사용하는 렌즈로, 시력 교정 외에도, 미용의 목적이나 특수 분장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콘택트렌즈는 보관액으로 세척하고, 보관액이 담긴 용기에 콘택트렌즈 담가 보관하여, 건조와 세균 번식등을 방지한다.
이러한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에는, 용기를 개방하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각막에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콘택트렌즈를 손으로 직접 다루게 되면, 손의 세균, 땀, 이물질 등이 옮겨지고, 이는 각막 손상, 콘택트렌즈의 세균이나 곰팡이 발생 우려가 있었다.
또한, 렌즈 착용법에 숙련되지 않는 사용자나, 눈이 작은 사용자는 쉽게 렌즈를 착용하지 못해 렌즈 착용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콘택트렌즈의 용이한 착용을 위해서, 몇 가지 콘택트렌즈 착용 장치가 개발되었다. 일례로, 국내특허공개 제2014-74193호에는, 숟가락 모양 구조에 의해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콘택트렌즈 장착 보조구’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고, 국내특허공개 제2009-71795호에는, 흡착구가 피스톤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실린더 구조에 의해서,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착용기구’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특허등록 제1134235호에는, 눈꺼풀을 상하로 벌리는 한 쌍의 눈꺼풀 고정수단과, 콘택트렌즈가 흡착 또는 탈착되도록 하는 콘택트렌즈 장착부를 포함하는 구조의 ‘콘택트렌즈 착용 장치’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콘택트렌즈 장착 보조구'는 숟가락 구조와 실린더 구조에 의해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구조를 가졌으나, 콘택트렌즈의 착용을 위해 부착되는 부분이 항상 외부에 개방된 구조에 의해서, 오염과 세균 번식의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나머지 두 개의 특허는 단순히 콘택트렌즈를 들어서 눈에 부착하는 구조이므로, 눈꺼풀이 두껍거나 비교적 눈이 작은 사람은, 눈꺼풀과 눈밑을 상하로 벌리더라도 콘택트렌즈의 장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택트렌즈를 손으로 만지지 않고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각막에 장착할 수 있는 렌즈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의 장착 뿐만 아니라 렌즈의 분리도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렌즈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사용자의 각막 조건에 맞게 콘택트렌즈와 각막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렌즈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렌즈웨어는, 각막을 감싸고 있는 윗눈꺼풀과 아래눈꺼풀에 대응되는 개구를 가지며,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반구형상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며 콘택트렌즈가 안착되는 렌즈안착공이 상단에 형성된 렌즈안착기둥을 갖는 기둥부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기둥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안착기둥을 지지하는 기둥지지부와; 상기 기둥지지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렌즈안착기둥 하단으로 삽입되며, 가압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과 상기 렌즈안착기둥을 각막 측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콘택트렌즈가 상기 각막에 끼워지도록 하는 버튼부와;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윗눈꺼풀과 상기 아래눈꺼풀 사이에 끼워져 상기 윗눈꺼풀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지지하는 접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렌즈안착기둥이 결합되는 본체결합판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안착기둥의 내부에는 바닥기둥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안착공의 테두리영역에는 플라스틱재질의 플라스틱링이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바닥기둥수용공간과 상기 렌즈안착공 사이에는 상기 콘택트렌즈를 각막 측으로 가압하거나, 각막에 결합된 콘택트렌즈가 상기 렌즈안착공으로 다시 흡착되도록 흡입력을 형성하는 가압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바닥본체와, 상기 바닥본체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렌즈안착기둥의 내부로 삽입되는 바닥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바닥기둥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축과, 하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축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하부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축과 상기 하부축은 서로 나사결합되어 사용자의 각막 위치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는 콘택트렌즈의 착용을 손쉽고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누구나 손쉽게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콘택트렌즈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렌즈안착기둥 상면에 안착시킬 상태로 장착이 이루어지므로 청결한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는 각막과 렌즈까지의 거리가 사용자마다 다른 것을 감안하여 버튼부의 높이를 가변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사용자가 자신에게 최적화된 상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의 착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렌즈웨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웨어(100)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콘택트렌즈(A)가 안착되는 기둥부(120)와, 기둥부(120)의 내부에 결합되어 기둥부(120)를 지지하는 기둥지지부(130)와, 기둥지지부(130) 내부에 결합되어 기둥부(120)와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눈을 향해 가압하여 콘택트렌즈(A)가 각막(C)에 장착되도록 하는 버튼부(140)와, 본체부(110)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눈꺼풀(D)이 닫혀지지 않도록 눈꺼풀(D)을 지지하는 접안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100)에 사용가능한 콘택트렌즈(A)는 하드렌즈와 소프트렌즈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콘택트렌즈(A)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체부(110)는 몰드본체(111)와, 몰드본체(111)의 바닥면(111a)에 형성된 안착기둥삽입공(112)과, 안착기둥삽입공(112) 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본체결합판삽입홈(113)과 바닥본체삽입홈(114)을 포함한다.
몰드본체(111)는 탄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버튼부(140)의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내부에 수용된 콘택트렌즈(A)가 사용자의 각막(C)에 닿도록 한다. 몰드본체(111)는 투명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된 콘택트렌즈(A)의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몰드본체(111)의 양측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홈(115)이 구비된다.
몰드본체(11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20)에 콘택트렌즈(A)가 안착되었을 때, 콘택트렌즈(A)가 몰드본체(111)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안착기둥삽입공(112)은 몰드본체(111)의 바닥면 중심영역에 관통형성된다. 안착기둥삽입공(1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20)의 렌즈안착기둥(123)이 삽입된다. 이 때, 바닥면(111a)에는 기둥부(120)의 본체결합판(121)과의 고정을 위한 결합돌기(112a)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된다. 결합돌기(112a)는 본체결합판(121)의 돌기결합공(121a)에 삽입되어 몰드본체(111)와 기둥부(120)가 고정되게 한다.
본체결합판삽입홈(113)과, 바닥본체삽입홈(114)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바닥면(111a)의 최하부에는 바닥본체삽입홈(114)이 형성되고, 바닥본체삽입홈(114)의 상부에 단차지게 본체결합판삽입홈(113)이 형성되고, 본체결합판삽입홈(113)의 중심영역에 안착기둥삽입공(112)이 형성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결합판삽입홈(113)에는 기둥부(120)의 본체결합판(121)이 삽입되고, 바닥본체삽입홈(114)에는 기둥지지부(130)의 바닥본체(131)가 삽입된다. 바닥본체삽입홈(114)에는 몰드본체(111)와 기둥지지부(130)의 고정을 위한 날개결합홈(114a)이 형성된다. 날개결합홈(114a)에는 기둥지지부(130)의 바닥본체(131)에 형성된 결합날개(131a)가 끼워진다.
기둥부(120)는 본체부(110)의 바닥면(111a)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콘택트렌즈(A)를 지지한다. 기둥부(120)는 바닥면(111a)에 결합되는 본체결합판(121)과, 본체결합판(121)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렌즈안착기둥(123)을 포함한다.
본체결합판(121)은 원판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111a)의 본체결합판삽입홈(113)에 끼움결합된다. 이 때, 본체결합판(121)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결합공(121a)이 형성되고, 바닥면(111a)의 결합돌기(112a)가 삽입된다.
렌즈안착기둥(123)은 본체결합판(121)의 중심영역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체결합판(121)과 렌즈안착기둥(123)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렌즈안착기둥(123)은 상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게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렌즈안착기둥(123)의 내부에는 기둥지지부(130)의 바닥기둥(133)이 삽입되는 바닥기둥수용공간(123a)이 본체결합판(12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렌즈안착기둥(123)의 상단에는 렌즈안착공(125a)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렌즈안착공(125a)의 테두리에는 플라스틱소재의 플라스틱링(125)이 구비된다.
여기서, 렌즈안착공(125a)과 바닥기둥수용공간(123a) 사이에는 콘택트렌즈(A)를 지지하는 가압구(127)가 구비된다. 가압구(127)의 하부는 렌즈안착기둥(123) 내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구지지판(127a)에 결합되고, 가압구(127)의 상단은 평평하게 절단되어 콘택트렌즈(A)가 안착되는 렌즈위치 표시점(127b)이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구(127)는 렌즈안착공(125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가압구(127) 상단의 렌즈위치 표시점(127b)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유색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콘택트렌즈(A)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렌즈위치 표시점(127b)은 빨간색 링형태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콘택트렌즈의 안착위치임을 알 수 있게 한다.
플라스틱링(125)은 콘택트렌즈(A)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콘택트렌즈(A)를 각막(C)으로부터 분리할 때 흡입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플라스틱링(125)과 가압구(127)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을 통해 진공압이 형성되어 각막(C)에 부착된 콘택트렌즈(A)가 다시 렌즈위치 표시점(127b)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는 문어빨판 구조의 흡인력을 응용한 형태이다.
여기서, 플라스틱링(125)과 렌즈위치 표시점(127b)은 콘택트렌즈(A)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콘택트렌즈(A)의 안정적인 안착을 돕는다.
기둥지지부(130)는 기둥부(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기둥지지부(130)를 지지하고, 가압구(127)를 향해 버튼부(140)가 이동될 수 있도록 버튼부(140)를 지지한다.
기둥지지부(130)는 바닥면(111a)에 결합되는 바닥본체(131)와, 바닥본체(131)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렌즈안착기둥(123) 내부로 삽입되는 바닥기둥(133)을 포함한다. 바닥본체(131)는 본체결합판(121)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본체결합판(121)을 막으면서 바닥면(111a)에 결합된다.
바닥본체(131)의 외주연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결합날개(131a)가 구비된다. 결합날개(131a)는 몰드본체(111) 바닥면(111a)에 형성된 날개결합홈(114a)에 끼워져 몰드본체(111)에 기둥지지부(130)가 고정되도록 한다.
바닥기둥(133)은 렌즈안착기둥(123) 내부의 바닥기둥수용공간(123a)에 수용된다. 바닥기둥(133)은 바닥기둥수용공간(123a)에 대응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바닥기둥(133) 내부에는 버튼부(140)의 상부축(143)이 삽입되는 버튼삽입로(133a)가 형성된다. 버튼삽입로(133a)는 상부축(143)의 형상에 대응되게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된다.
바닥기둥(133)은 렌즈안착기둥(123)과 상부축(143) 사이의 여유공간을 메워 상부축(143)의 가압이 구지지판(127a)을 통해 가압구(127)로 전달되도록 한다.
버튼부(140)는 렌즈안착기둥(123)에 안착된 콘택트렌즈(A)가 사용자 눈의 각막(C)에 장착되도록 렌즈안착기둥(123)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버튼부(140)는 바닥기둥(133)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축(143)과, 상부축(143)과 나사결합되는 하부축(141)을 포함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안착기둥(123)의 상면에 콘택트렌즈(A)가 흡착된 상태일 때, 콘택트렌즈(A)와 각막(C) 사이에는 이격거리(d)가 존재한다.
사용자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축(141)을 가압하여 바닥면(111a)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몰드본체(111) 내부로 들어가며 콘택트렌즈(A)가 각막(C)에 밀착된 위치로 이동되어 콘택트렌즈(A)가 각막(C)에 장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체부(110)가 눈꺼풀(D)에 끼워졌을 때, 각 사용자 마다 각막(C)과 콘택트렌즈(A) 사이의 이격거리(d)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부(140)의 높이(h)가 일정하면, 이격거리(d)가 먼 사용자의 경우 버튼부(140)를 최대한 가압하더라도 콘택트렌즈(A)가 각막(C)에 닿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버튼부(140)는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축(143)과 하부축(141)을 나사결합하여 상부축(143)과 하부축(141)의 전체 높이(h)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사용자는 하부축(141)이 상부축(143)의 내부로 최대한 삽입된 최소높이에서 콘택트렌즈(A)를 착용해보고 이격거리(d)와 맞지 않으면 하부축(141)의 제1나사산(141a)을 제2나사산(143a)에 대해 돌려 상부축(143)과 하부축(141)의 전체 높이(h)를 길게 조절할 수 있다.
접안부(150)는 본체부(110)의 테두리영역에 결합되어 콘택트렌즈(A)의 착용 및 분리를 위해 본체부(110)를 눈꺼풀에 결합할 때, 미끄러지지 않게 위치를 고정시키고 눈꺼풀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접안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몰드본체(111)가 끼워지는 본체삽입홈(153)이 형성된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접안부(150)는 몰드본체(111)의 상부에서 끼워져 몰드본체(111)에 고정된다.
접안부(150)의 양측에는 돌출형성된 지지돌기(151)가 구비된다. 지지돌기(151)는 눈의 양쪽 눈꺼풀을 지지하여, 콘택트렌즈(A)의 착용과정 동안 눈꺼풀(D)이 흘러내리지 않게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100)의 조립과정과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렌즈웨어(1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본체부(110)의 몰드본체(111) 바닥면(111a)에 형성된 안착기둥삽입공(112)으로 기둥부(120)의 렌즈안착기둥(123)을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한다.
렌즈안착기둥(123)이 몰드본체(111) 내부로 삽입되면, 본체결합판(121)을 본체결합판삽입홈(113)에 삽입한다. 그리고, 결합돌기(112a)를 돌기결합공(121a)에 끼워 본체부(110)와 기둥부(120)의 위치를 고정한다.
기둥부(120)의 조립이 완료되면, 버튼부(140)의 상부축(143)을 기둥지지부(130)의 바닥기둥(133) 내부로 삽입한다. 상부축(143)을 바닥기둥(133)의 상부에서 버튼삽입로(133a)를 향해 삽입한다.
상부축(143)이 삽입된 기둥지지부(130)를 본체부(110)에 결합한다. 이를 위해 기둥지지부(130)의 바닥기둥(133)을 몰드본체(111)의 하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삽입하여 렌즈안착기둥(123) 내부의 바닥기둥수용공간(123a)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바닥본체(131)를 바닥면(111a)의 바닥본체삽입홈(114)에 삽입하고, 한 쌍의 결합날개(131a)를 날개결합홈(114a)에 끼워 기둥지지부(130)를 본체부(110)에 고정시킨다. 기둥지지부(130)의 고정이 완료되면, 하부축(141)을 상부축(143) 내부로 삽입한다. 하부축(141)을 상부축 내부로 회전하며 삽입하여 나사결합을 완료한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외주연에 접안부(150)를 끼워 렌즈웨어(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립과정과, 조립과정의 역순인 분해과정을 통해 오염된 렌즈웨어(100)를 세척하여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렌즈웨어(100)의 사용과정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콘택트렌즈(A)를 렌즈안착기둥(123)의 렌즈위치 표시점(127b)과 렌즈안착공(125a)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 때, 렌즈위치 표시점(127b)이 콘택트렌즈(A)의 중심에 닿도록 콘택트렌즈(A)를 정렬한다.
콘택트렌즈(A) 표면에는 물이 묻어 있으므로, 콘택트렌즈(A) 표면의 물의 흡착력에 의해 렌즈안착공(125a)에 붙어 있게 된다.
이 상태로 사용자는 손가락을 몰드본체(111)의 파지홈(115)에 파지시키고, 본체부(110)를 들어올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안부(150)를 위아래 눈꺼풀(D) 사이로 삽입한다. 접안부(150)와 지지돌기(151)가 눈꺼풀(D)을 지지하여 눈꺼풀(D)이 감기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축(141)을 눈을 향해 가압하면, 바닥면이 눈을 향해 변형되며 들어올려지고, 콘택트렌즈(A)가 각막(C)에 닿으며 장착된다.
반대로, 콘택트렌즈(A)를 분리하고자 하면, 사용자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축(141)을 가압한 상태로 렌즈안착기둥(123)을 콘택트렌즈(A)를 향해 접촉시키면, 플라스틱링(125)과 렌즈안착공(125a) 사이의 문어빨판구조의 흡인력에 의해 콘택트렌즈(A)가 렌즈위치 표시점(127b) 측으로 이동되며 장착이 해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는 콘택트렌즈의 착용을 손쉽고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누구나 손쉽게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콘택트렌즈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렌즈안착기둥 상면에 안착시킬 상태로 장착이 이루어지므로 청결한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웨어는 각막과 렌즈까지의 거리가 사용자마다 다른 것을 감안하여 버튼부의 높이를 가변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사용자가 자신에게 최적화된 상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버튼부(140) 외부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부(110)를 살균 처리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 비율은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 50중량%,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의 주 화학성분은 palmic aldehyde, enanthic acid 등이며, 향이 좋으며 살균, 항울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은 주 화학성분은 bornyl acetate, pinene 등이며, 혈압강하작용과 더불어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불안,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본체부(110)에 코팅되므로 본체부(110)를 살균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몰드본체(111)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몰드본체(111)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몰드본체(111)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몰드본체(111)의 수명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렌즈웨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 : 렌즈웨어, 110 : 본체부
111 : 몰드본체, 111a : 바닥면
112 : 안착기둥삽입공, 112a : 결합돌기
113 : 본체결합판삽입홈, 114 : 바닥본체삽입홈
114a : 날개결합홈, 115 : 파지홈
120 : 기둥부, 121 : 본체결합판
121a : 돌기결합공, 123 : 렌즈안착기둥
123a : 바닥기둥수용공간, 125 : 플라스틱링
125a : 렌즈안착공, 127 : 가압구
127a : 구지지판, 127b : 렌즈위치 표시점
130 : 기둥지지부, 131 : 바닥본체
131a : 결합날개, 133 : 바닥기둥
133a : 버튼삽입로, 140 : 버튼부
141 : 하부축, 141a : 제1나사산
143 : 상부축, 143a : 제2나사산
150 : 접안부, 151 : 지지돌기
153 : 본체삽입홈
A : 콘택트렌즈
B : 눈
C : 각막
D : 눈꺼풀

Claims (3)

  1. 각막을 감싸고 있는 윗눈꺼풀과 아래눈꺼풀에 대응되는 개구를 가지며,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반구형상을 갖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면(111a)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며 콘택트렌즈(A)가 안착되는 렌즈안착공(125a)이 상단에 형성된 렌즈안착기둥(123)을 갖는 기둥부(120)와;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면(111a)을 통해 상기 기둥부(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렌즈안착기둥(123)을 지지하는 기둥지지부(130)와;
    상기 기둥지지부(1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렌즈안착기둥(123) 하단으로 삽입되며, 가압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면과 상기 렌즈안착기둥(123)을 각막 측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콘택트렌즈(A)가 상기 각막(C)에 끼워지도록 하는 버튼부(140)와;
    상기 본체부(110)의 테두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윗눈꺼풀과 상기 아래눈꺼풀 사이에 끼워져 상기 윗눈꺼풀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지지하는 접안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웨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면(111a)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렌즈안착기둥(123)이 결합되는 본체결합판(121)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안착기둥(123)의 내부에는 바닥기둥수용공간(123a)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안착공(125a)의 테두리영역에는 플라스틱재질의 플라스틱링(125)이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렌즈(A)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바닥기둥수용공간(123a)과 상기 렌즈안착공(125a) 사이에는 상기 콘택트렌즈(A)를 각막 측으로 가압하거나, 각막에 결합된 콘택트렌즈(A)가 상기 렌즈안착공(125a)으로 다시 흡착되도록 흡입력을 형성하는 가압구(12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웨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지지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면(111a)에 결합되는 바닥본체(131)와, 상기 바닥본체(131)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렌즈안착기둥(123)의 내부로 삽입되는 바닥기둥(133)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140)는,
    상기 바닥기둥(133)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축(143)과,
    하부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축(143)의 내부에 삽입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하부축(141)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축(143)과 상기 하부축(141)은 서로 나사결합되어 사용자의 각막 위치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웨어.
PCT/KR2018/013662 2018-08-29 2018-11-09 렌즈웨어 WO202004574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973 2018-08-29
KR1020180101973A KR102182645B1 (ko) 2018-08-29 2018-08-29 렌즈웨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741A1 true WO2020045741A1 (ko) 2020-03-05

Family

ID=6964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3662 WO2020045741A1 (ko) 2018-08-29 2018-11-09 렌즈웨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2645B1 (ko)
WO (1) WO2020045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340B1 (ko) * 2023-07-14 2024-01-25 안선종 사용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안구 세척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591A (en) * 1976-03-15 1977-05-31 Cleaveland John A Contact lens handling tools
JPH01135349A (ja) * 1987-11-19 1989-05-29 Maaketsuto Bureinzu:Kk コンタクトレンズの着脱器具
KR20120076432A (ko) * 2010-12-29 2012-07-09 (주)고려아이텍 안구 삽입물 주입장치
KR101823613B1 (ko) * 2016-09-12 2018-01-30 서정욱 콘택트렌즈 착용 장치
JP2018057529A (ja) * 2016-10-04 2018-04-12 伸明 高橋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591A (en) * 1976-03-15 1977-05-31 Cleaveland John A Contact lens handling tools
JPH01135349A (ja) * 1987-11-19 1989-05-29 Maaketsuto Bureinzu:Kk コンタクトレンズの着脱器具
KR20120076432A (ko) * 2010-12-29 2012-07-09 (주)고려아이텍 안구 삽입물 주입장치
KR101823613B1 (ko) * 2016-09-12 2018-01-30 서정욱 콘택트렌즈 착용 장치
JP2018057529A (ja) * 2016-10-04 2018-04-12 伸明 高橋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109A (ko) 2020-03-10
KR102182645B1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1480B2 (en) Eye drop device
US6499560B1 (en) Disposable stethoscope diaphragm and dispenser
BR0315728A (pt) Lentes de contato multifocais reguladas pela pupila
WO2020045741A1 (ko) 렌즈웨어
WO1994003831A1 (en) Improved eyeglasses and goggles
JP2007167358A (ja) 眼内用の薬剤投与具
KR20110095568A (ko) 콘택트렌즈 착용장치
CN109602537A (zh) 一种眼科辅助滴眼设备
KR200492844Y1 (ko) 음식물 섭취 가능한 비말차단용 마스크
CN213588699U (zh) 一种具有照明功能的护目镜
JP6185642B1 (ja)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具
CN211750427U (zh) 可更换镜片的医用护目镜
KR101577756B1 (ko) 점안액 투여장치
WO2015190339A1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取外器具及び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取外器具を使用する方法。
WO2001049166A1 (en) Anterior segment viewing device
US6786601B1 (en) Method of conveniently thwarting infant amblyopia after cataract removal
CN212491127U (zh) 一种肚脐给药固定装置
CN218572417U (zh) 一种用于儿童的滴眼液瓶套
CN213283762U (zh) 医用护目镜
CN211460160U (zh) 一种新型眼科门诊检查支架
CN217645424U (zh) 一种用于滴药的夹持装置
CN218143068U (zh) 一种眼科药物区分放置盒
CN210644314U (zh) 点眼药水辅助装置
CN211356724U (zh) 一种穴位探针装置
CN202751377U (zh) 可拆卸式视力测试遮眼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314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8.07.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314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