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931A -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 Google Patents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931A
KR20200024931A KR1020207003995A KR20207003995A KR20200024931A KR 20200024931 A KR20200024931 A KR 20200024931A KR 1020207003995 A KR1020207003995 A KR 1020207003995A KR 20207003995 A KR20207003995 A KR 20207003995A KR 20200024931 A KR20200024931 A KR 20200024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ltrasonic wave
ultrasonic
fitting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4505B1 (en
Inventor
히로아키 가노
고타로 가와노
마사아키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0151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249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9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5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11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 B67D1/1416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comprising foam in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5Froth control promoting fro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12H1/16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는,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주둥이를 상부에 갖는 용기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는, 용기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환상의 끼워 맞춤부와, 용기와 끼워 맞춤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주둥이의 하방에서 용기의 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초음파 발생부를 구비한다.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 container having a spout on the top as a container for containing a beverage.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includes an annular fitting portion configured to be fit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portion configured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below the spout by fitting the container and the fitting portion.

Description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본 발명은, 음료에 초음파 진동을 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used to give ultrasonic vibration to a beverage.

맥주 등의 발포 음료에 대하여, 풍미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나 입에 닿는 느낌이 좋은 정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거품을 생성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거품 생성 장치는, 발포 음료가 들어 있는 음료 캔의 상측 덮개 부분에 장착된다. 이 거품 생성 장치는, 발포 음료를 흘리는 유로를 장치 내에 가짐과 함께, 유로를 흐르는 발포 음료에 초음파를 인가 가능하게 배치된 초음파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음료 캔을 기울이면, 음료 캔의 주둥이로부터 나온 발포 음료는, 거품 생성 장치 내의 유로를 통과하여 외부로 나오고, 글라스 등의 잔에 따라진다. 잔에 적량의 발포 음료가 따라진 타이밍에, 초음파 발생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유로를 흐르는 발포 음료가 초음파 진동에 의해 거품 생성되고, 이 거품이 잔에 따라진다. 그 결과, 잔 내의 액상의 발포 음료 위에 거품을 올릴 수 있다.For foamed beverages such as beer, an apparatus for producing foam is known for the purpose of suppressing a decrease in flavor and increasing the degree to which the feeling of touching the mouth is good. For example, the foam generating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1 is attached to the upper lid part of the beverage can containing foamed beverage. This foam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with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apparatus which has the flow path which flows a foamed beverage in an apparatus, and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n ultrasonic wave can be applied to the foamed beverage which flows through a flow path. When the user tilts the beverage can, the foamed beverage from the spout of the beverage can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in the foam generating device and comes out to the outside and is poured into a glass such as glass. By operating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at the timing when the glass is poured with the appropriate amount of foamed beverage, the foamed beverage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is bubbled by the ultrasonic vibration, and the foam is poured into the glass. As a result, bubbles can be raised on the liquid foamed beverage in the glass.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44258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2012-144258

그런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거품 생성 장치의 사용시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장치 내의 유로에 발포 음료가 흐른다. 따라서, 거품 생성 장치의 관리를 위해서는, 사용할 때마다 장치를 세정할 필요가 있고, 그러므로, 거품 생성 장치의 관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이 크다.By the way, when using the foaming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1, a foamed beverage flows in the flow path in an apparatus as above-mentioned. Therefore, for the management of the bubble generator, it is necessary to clean the device each time it is used, and therefore, the burden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the bubble generator is large.

또한, 상기 과제는, 발포 음료를 거품 생성하는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목적으로 음료에 초음파 진동을 주는 장치에 있어서 공통된다.Moreover, the said subject is not limited to the apparatus which foams a foamed beverage, It is common in the apparatus which gives ultrasonic vibration to a beverage for various purposes.

본 발명은, 관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burden required for management.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는,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주둥이를 상부에 갖는 상기 용기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환상의 끼워 맞춤부와, 상기 용기와 상기 끼워 맞춤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주둥이의 하방에서 상기 용기의 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초음파 발생부를 구비한다.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container having a spout on the upper side as a container for containing a drink, the annular fitting portion configured to be fit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and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configured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from below the spout by fitting the container and the fitting por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가 장착된 용기로부터 음료가 글라스 등에 따라질 때, 초음파 발생부가 발한 초음파는, 용기의 측면으로부터 용기 내의 음료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음료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에 직접 닿지 않고 용기 내에서 거품 생성되고, 주둥이로부터 나온다. 따라서, 사용할 때마다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를 세정하는 일의 필요성이 낮기 때문에,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관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beverage is poured into a glass or the like from a container equipped with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the ultrasonic wave generat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is transmitted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to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Therefore, the beverage foams in the container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and emerges from the spout. Therefore, since the necessity of cleaning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every time it is used is low, the burden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can be reduc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음료 캔이고,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음료 캔에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In the said structure, the said container is a beverage can and the said fitting part may have the shape which can be fitted to the said beverage can.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판되는 음료 캔에 들어 있는 음료를 사용자가 마실 때에, 음료 캔에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이용을 위해 전용의 용기를 필요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범용성이 높고, 또, 사용자의 편리성도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when a user drinks the drink contained in the commercially available beverage can,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can be attached to a beverage can and can be used. Therefore, for exampl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dedicated container is needed for use of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the versatility of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is high, and user convenience also becomes high.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음료 캔이 갖는 오목부로서, 상기 음료 캔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음료 캔의 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가진 상단 끼워 맞춤부를 구비해도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tting portion is a concave portion of the beverage can, and has an upper fitting portion having a shape that can be fitted into the concave portion recessed from an upper end of the beverage can toward the inside of the beverage can. You may also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단 끼워 맞춤부와 오목부가 끼워 맞춰지도록 끼워 맞춤부를 용기에 끼움으로써, 용기에 대한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위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단 끼워 맞춤부와 오목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용기의 상부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부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규정되기 때문에, 초음파 발생부를 용기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by fitting a fitting part to a container so that an upper end fitting part and a recessed part may be fitted, the stability of the position of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with respect to a container can be improved. Moreover, since the position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fitting part in the upper part of a container is defined by the fitting of an upper end fitting part and a recessed part, it is easy to arrange | position an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in a suitable position of a container.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초음파 발생 장치와,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와 접하는 초음파 전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와 상기 끼워 맞춤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초음파 전파 부재가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와 상기 용기의 측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includes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and an ultrasonic wave propagat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and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by fitting the container and the fitting portion.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fit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said container.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초음파 발생 장치가 발한 초음파가, 초음파 전파 부재를 개재하여 용기에 전달되기 때문에, 초음파의 전달 효율이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the ultrasonic wave emitted by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apparatus is transmitted to a container via an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the ultrasonic wave transmission efficiency becomes high.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주둥이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said structure, the said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comprises a part of the said fitting part, and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said spout rather than another part of the said fitting part.

상기 구성에 의하면, 주둥이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인 초음파 발생부가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초음파 발생부가 용기의 상단과 접하고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주둥이로부터 흘러나온 음료가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에 부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관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which is a part located under the spout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a container,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an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a container, the beverage which flowed out from a spout adheres to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It's hard to be. Therefore, the burden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can be further reduc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을 지시하는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조작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해도 된다.The said structure WHEREIN: The drive part which produces | generates the drive signal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apparatus which the said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contains, and the operation part which receives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instruct | indicates the drive of the said ultrasonic wave generation device are provided, The said drive part and the said operation part are the said fitting The ultrasonic generator may be positioned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ring formed by the alignment portion.

사용자는, 용기로부터 음료를 글라스 등에 따를 때, 통상, 용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주둥이와 반대측으로부터 용기를 잡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잡고 있는 부분의 부근에 조작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기로부터 음료를 따르면서도, 조작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When a user pours a drink from a container into a glass or the like, the user usually holds the container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spou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an operation part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art which a user hold | maintains, a user can easily operate an operation part, even while following a drink from a container.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해도 된다.The said structure WHEREIN: The drive part which produces | generates the drive signal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which the said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contains, and the power supply part which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said drive part, The said power supply par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ing which the said fitting part comprises. It may be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주둥이와 반대측으로부터 용기를 잡을 때,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중에서 상대적으로 큰 체적을 갖는 전력 공급부가, 사용자의 손바닥이 닿는 부분의 부근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력 공급부와 함께 용기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용기로부터 음료를 따르고 있을 때의 용기와 거품 생성 장치의 위치의 안정성이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user grabs the container from the opposite side to the spout, the power supply unit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mong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s is located near the part where the user's palm touches. Therefore, the user can hold th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electric power supply,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bubble generator when pouring the beverage from the container is increas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부는, 상기 용기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 drive unit for generating a drive signal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including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unit, the power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You may b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중에서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갖는 전력 공급부가, 용기의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력 공급부가 용기의 측면을 따른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용기와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로 이루어지는 구조체의 무게 중심이 구조체의 중심에 대하여 편의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따라서, 특히, 음료가 따라져 빈 것에 가까워진 용기와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를 수평면상에 세워 둔 경우에, 용기와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가 넘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사용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which has a comparatively big weight among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es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a container,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an electric power supply par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along the side of a container, imparting a container and ultrasonic vibration It is easy to suppress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ructure made of the device is bia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ructure. Therefore, in particular, when the container and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which are close to empty by pouring beverage are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the container and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are suppressed from falling down. Therefore, handling at the time of use of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becomes easy.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부의 하단의 위치와 상기 용기의 하단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includes a driver for generating a drive signal of the ultrasonic generator included in the ultrasonic generator,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r,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power supply. 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fitting portion,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가 장착된 용기가 지지대에 놓여 있을 때, 용기와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쌍방이 지지대에 접하여 지지대에 지지되기 때문에, 용기와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가 넘어지기 어려워진다. 또, 수용부와 용기의 하단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용기에 대한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위치 맞춤도 용이하게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container on which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is mounted is placed on the support, both the container and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in contact with the support, which makes the container and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difficult to fall. Moreover, alignment of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with respect to a container can also be made easy by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lower end of a container.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부의 길이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includes a driver for generating a drive signal of the ultrasonic generator included in the ultrasonic generator,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r,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power supply. And the said accommodating part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said fitting part, and the length of the said accommodating part in an up-down direction may be comprised so that change is possibl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하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종류의 용기를,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가 장착되는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범용성이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the several kind of container from which the length of an up-down direction differs can be made into the object to which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is mounted. Therefore, the versatility of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is increas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초음파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는,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를 액체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조를 가져도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may include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and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may have a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from intrusion of liquid.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자 부품인 초음파 발생 장치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액체의 부착에서 기인하여 초음파 발생 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adhesion | attachment of a liquid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which is an electronic component is suppressed, the fall of the function of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due to adhesion of a liquid is suppressed.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관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rden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can be reduced.

도 1 은,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일례인 거품 생성 장치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의 정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에 있어서의 상단 끼워 맞춤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에 있어서의 초음파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의 배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의 사용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의 사용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일례인 거품 생성 장치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일례인 거품 생성 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제 3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에 있어서의 수용부의 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의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의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은,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의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는,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에 있어서의 초음파 발생부의 부근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은,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에 있어서의 초음파 발생부의 부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용기에 장착된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에 있어서의 초음파 발생부의 부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는,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에 있어서의 초음파 발생부의 부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은,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erspective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which is an example about 1st Embodiment of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anar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ont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upper end fitting part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of 1st Embodiment.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i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FIG. 7: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ide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of 1st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ck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use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use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FIG. 11: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erspective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which is an example about 2nd Embodiment of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lanar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of 2nd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ide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of 2nd Embodiment.
FIG. 14: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ide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which is an example about 3rd Embodiment of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hange of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ng part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of 3rd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erspective structure of the bubble production apparatus of a modifica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use form of the bubble production apparatus of a modification.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pective structure of a bubble generator of a modifica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use form of the bubble production apparatus of a modifica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erspective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on apparatus of a modifica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use form of the bubble production apparatus of a modifica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vicinity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of a modifica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icinity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of a modifica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icinity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modified example attached to the container.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icinity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of a modifica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ide structure of the bubble production apparatus of a modification.

(제 1 실시형태)(1st embodiment)

도 1 ∼ 도 10 을 참조하여,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일례인 발포 음료 거품 생성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은, 발포 음료 거품 생성 장치가 장착되는 용기를 수평면상에 정치 (靜置) 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이다.With reference to FIGS. 1-10, 1st Embodiment of the foamed beverage foam generation apparatus which is an example of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is demonstrated. In addition, the up-down direc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the up-down direction in the case where the container on which the foamed beverage foam generating apparatus is mounted is left still on a horizontal plane.

[거품 생성 장치의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of Bubble Generation Device]

도 1 을 참조하여, 거품 생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거품 생성 장치 (10) 는, 발포 음료가 들어 있는 용기 (80) 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거품 생성 장치 (10) 가 용기 (80) 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거품 생성 장치 (10) 는 용기 (80) 의 외측에 위치한다.With reference to FIG. 1, the whole structure of a bubble generating apparatus is demonstrated. The foaming apparatus 10 is attached to and used for the container 80 containing foamed beverage. In the state where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80,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is located outside the container 80.

용기 (80) 는, 예를 들어, 풀 탭식 혹은 스테이 온 탭식의 캔 덮개를 갖는 음료 캔이다. 용기 (80) 는, 알루미늄이나 스틸 등의 금속판으로 주로 구성되고, 원통상의 본체부 (81) 와, 본체부 (81) 가 갖는 2 개의 통단 (筒端) 의 일방을 막는 하측 덮개부 (82) 와, 상기 통단의 타방을 막는 상측 덮개부 (83) 를 구비한다. 상측 덮개부 (83) 는, 탭을 끌어올림으로써 개구되는 1 개의 주둥이 (83a) 를 갖고 있다. 즉, 용기 (80) 는, 용기 (80) 의 상부에 주둥이 (83a) 를 갖고 있다.The container 80 is a beverage can which has a can lid of a full tap type | mold or a stay on tap type | mold, for example. The container 80 mainly consists of metal plates, such as aluminum and steel, and the lower cover part 82 which blocks one of the cylindrical main-body part 81 and the two cylinder ends which the main-body part 81 has. ) And an upper lid portion 83 that prevents the other end of the cylinder end. The upper lid portion 83 has one spout 83a that is opened by pulling up the tab. That is, the container 80 has the spout 83a i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80.

발포 음료는, 탄산을 포함한 음료로서, 거품의 생성이 선호되는 음료이면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발포 음료는, 수 % 의 이산화탄소가 압입된 발포성의 음료로서, 예를 들어, 맥주나 무알코올 맥주 등이다.The foamed beverage is a beverage containing carbonic acid, and the kind thereof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production of foam is preferred. Specifically, the foamed beverage is a foamable beverage in which several percent of carbon dioxide is press-fitted, for example, a beer or an alcohol-free beer.

거품 생성 장치 (10) 는, 용기 (80) 에 끼워지는 끼워 맞춤부 (20) 와, 초음파를 발하는 초음파 발생부 (30) 와, 거품 생성 장치 (10) 의 구동에 필요로 하는 각종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40) 와, 거품 생성 장치 (10) 의 구동의 온과 오프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부 (50) 를 구비하고 있다.The bubble generator 10 includes a fitting portion 20 to be fitted to the container 80,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30 for emitting ultrasonic waves, 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required for driving the foam generator 10. The accommodation part 40 to accommodate is accommodated, and the operation part 50 for switching on and off of the drive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is provided.

[거품 생성 장치의 전기적 구성][Electric Configuration of Bubble Generating Device]

도 2 를 참조하여, 거품 생성 장치 (10) 의 전기적 구성을 설명한다. 거품 생성 장치 (10) 는, 전기적 구성으로서, 상기 서술한 초음파 발생부 (30) 에 포함되는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초음파 발생 장치 (31) 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 (41) 와, 전력 공급부 (42) 와, 상기 서술한 조작부 (50) 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 (41) 와 전력 공급부 (42) 는, 수용부 (40) 에 수용되어 있다.With reference to FIG. 2, the electrical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is demonstrated. The bubble generator 10 has, as an electrical configuration, an ultrasonic generator 31 included in the ultrasonic generator 30 described above, and a driver 41 for generating a drive signal for driving the ultrasonic generator 31. ), A power supply unit 42, and the operation unit 50 described above. The drive part 41 and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0.

초음파 발생 장치 (31) 는, 압전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고, 구동부 (41) 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구동부 (41) 는, 초음파 발생 장치 (31) 에 대한 구동 신호의 출력의 제어나, 당해 구동 신호인 교류 신호의 주파수의 설정을 실시하는 제어 회로, 제어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직류의 입력 전압을 교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AC 컨버터, 및 출력측과 입력측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정합 회로 등을 포함한다.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ncludes an ultrasonic vibrator made of a piezoelectric element or the like, and generates ultrasonic waves by vibrating in accordance with a drive signal input from the drive unit 41. The drive part 41 controls the output of the drive signal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the control circuit which sets the frequency of the AC signal which is the said drive signal, and the input voltage of DC based on the signal from a control circuit. And a matching circuit for matching the impedance between the output side and the input side, and the like.

초음파 발생 장치 (31) 로는, 예를 들어, 원형의 방수형 초음파 센서가 사용된다.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동작 주파수는, 예를 들어, 20 KHz 이상 40 KHz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초음파의 전파 과정에서의 감쇠를 고려하면,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동작 주파수는 높은 편이 바람직하다. 단, 발포 음료를 거품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출력 가능하면,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내부 구성이나 외형이나 동작 주파수는 한정되지 않는다.As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a circular waterproof ultrasonic sensor is used, for example.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selected, for example in the range of 20 KHz or more and 40 KHz or less. In consideration of the attenuation in the propagation process of the ultrasonic waves,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is preferably higher. However, as long as the ultrasonic wave of the frequency which can foam a foamed beverage can be output, the internal structure, an external appearance, and an operating frequency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are not limited.

전력 공급부 (42) 는, 구동부 (41) 를 포함하는 거품 생성 장치 (10) 의 각 부의 구동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 공급부 (42) 가 공급하는 전력은, 1 차 전지에 의해 생성되어도 되고, 2 차 전지에 의해 생성되어도 된다. 전력 공급부 (42) 는, 예를 들어, 1 차 전지인 건전지를 수용하고, 건전지로부터 방전된 전력을 각 부에 공급한다.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supplies electric power required for driving each part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including the drive part 41. The electric power supplied by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may be produced | generated by the primary battery, and may be produced | generated by the secondary battery.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accommodates the battery which is a primary battery, for example, and supplies the electric power discharged from the battery to each part.

조작부 (50) 는, 사용자의 조작부 (50) 에 대한 조작을 전기 신호로서 구동부 (41) 의 제어 회로에 출력한다. 조작부 (50) 는, 거품 생성 장치 (10) 의 구동, 즉,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구동과 그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을 받아들인다. 예를 들어, 조작부 (50) 는, 이러한 조작을 누름의 유무로서 받아들이는 스위치로 구체화되고, 조작부 (50) 의 조작에 의해 회로의 접속이 전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조작에 따른 신호가 구동부 (41) 에 출력된다.The operation unit 50 outputs the user's operation to the operation unit 50 as an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drive unit 41. The operation unit 50 accepts the operation of instructing the drive of the bubble generator 10, that is, the driv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and its stop.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50 is embodied as a switch that accepts such an operation as pressing or not, and based on the connection of the circuit being switch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50,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is driven by the driving unit 41. Is printed on

[거품 생성 장치의 상세 구성][Detailed Configuration of Bubble Generating Device]

도 3 ∼ 도 8 을 참조하여, 거품 생성 장치 (10) 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3-8,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ubble generation apparatus 10 is demonstrated.

도 3 및 도 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부 (20) 는 폐환상을 갖고, 용기 (80) 의 상부에 끼워진다. 거품 생성 장치 (10) 가 용기 (80) 에 장착되어 있을 때, 끼워 맞춤부 (20) 는 용기 (80) 의 측면 (외측면) 을 둘러싼다. 초음파 발생부 (30) 는, 끼워 맞춤부 (20)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초음파를 발하는 기능과 함께, 끼워 맞춤부 (20) 의 일부로서 용기 (80) 에 대하여 거품 생성 장치 (10) 를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fitting portion 20 has a ring shape and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80. Whe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is mounted to the container 80, the fitting portion 20 surrounds the sid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80.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unit 30 constitutes a part of the fitting unit 20, and together with the function of emitting ultrasonic waves,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as a part of the fitting unit 20. It has a function of fixing.

상세하게는, 끼워 맞춤부 (20) 는, 용기 (80) 의 상단을 따라 배치되는 상단 끼워 맞춤부 (21) 와, 초음파 발생부 (30) 로 구성된다. 상단 끼워 맞춤부 (21) 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초음파 발생부 (30) 가 위치하고, 상단 끼워 맞춤부 (21) 와 초음파 발생부 (30) 는 1 개의 환을 형성하고 있다.In detail, the fitting part 20 is comprised from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80, and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As shown in FIG.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s located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and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and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form one ring.

초음파 발생부 (30) 는, 용기 (80) 의 측면 중에서, 주둥이 (83a) 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 즉, 용기 (80) 에 있어서의 상측 덮개부 (83) 와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아, 본체부 (81) 의 측면 중에서 주둥이 (83a) 에 가장 가까운 부분과 초음파 발생부 (30) 가 접하고, 주둥이 (83a) 와 초음파 발생부 (30) 는 마주 본다.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contact the part located under the spout 83a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80. In other words, in the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ring which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ie, the direction which opposes the upper lid part 83 in the container 80, a spout is shown i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body part 81. FIG. The part closest to 83a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30 contact each other, and the spout 83a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30 face each other.

상단 끼워 맞춤부 (21) 가 용기 (80) 의 상단을 따라 배치되는 한편으로, 초음파 발생부 (30) 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용기 (80) 의 상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즉,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축방향에 있어서, 초음파 발생부 (30) 의 상단은, 주둥이 (83a) 에 대하여, 상단 끼워 맞춤부 (21) 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한다.The upper end fitting portion 21 is dispos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80, while the ultrasonic generator 30 is dispos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8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at i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ing which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the upper end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s locat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with respect to the spout 83a.

도 5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80) 는, 본체부 (81) 와 상측 덮개부 (83) 의 접속 구조에서 기인하여, 그 직경이 상단으로부터 일단 작아진 후, 서서히 확대되어 일정해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용기 (80) 의 측면은, 상단으로부터 용기 (80) 의 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오목부 (81a) 를 갖고 있다. 오목부 (81a) 는, 용기 (80) 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용기 (80) 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ontainer 80 has a shape that is attributable to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81 and the upper lid portion 83, and gradually enlarges and becomes constant after the diameter thereof becomes smaller from the upper end. have. That is,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has the recessed part 81a recess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80 from the upper end. The recessed part 81a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80, and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80.

거품 생성 장치 (10) 의 상단 끼워 맞춤부 (21) 는, 상단 끼워 맞춤부 (21) 의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21a) 를 구비하고 있고, 볼록부 (21a) 는 오목부 (81a) 에 꼭 맞는 형상을 갖고 있다. 볼록부 (21a) 는, 상단 끼워 맞춤부 (21) 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거품 생성 장치 (10) 가 용기 (80) 에 장착되어 있을 때, 볼록부 (21a) 와 오목부 (81a) 는 끼워 맞춰진다.The upper end fitting portion 21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includes a convex portion 21a protruding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upper fitting portion 21, and the convex portion 21a has a concave portion ( It has a shape that fits 81a). The convex part 21a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Whe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80, the convex part 21a and the recessed part 81a are fitted.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음파 발생부 (30) 는, 상기 서술한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시트상으로 펼쳐지는 초음파 전파 부재 (32) 를 구비하고 있다. 초음파 전파 부재 (32) 는, 초음파 발생부 (30) 의 내측면을 구성하고, 초음파 발생 장치 (31) 에 접하고 있다. 거품 생성 장치 (10) 가 용기 (80) 에 장착되어 있을 때, 초음파 전파 부재 (32) 는 용기 (80) 의 측면에 접하고,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용기 (80) 의 측면에 끼워진다. 초음파 발생 장치 (31) 가 발한 초음파는, 초음파 전파 부재 (32) 에 전달되고, 나아가 초음파 전파 부재 (32) 로부터 용기 (80) 에 전달된다.As FIG. 6 shows,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s equipped with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device 31 mentioned above, and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unfolded in a sheet form.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constitutes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0 and is in contact with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Whe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80,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ontainer 80, and is fitted to the side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and the container 80. The ultrasonic wave emitt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31 is transmitted to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and further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to the container 80.

초음파 전파 부재 (32) 는,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용기 (80) 에 밀착하여 초음파 진동을 전달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초음파 전파 부재 (32) 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로 구성된다.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and the container 80 to transmit ultrasonic vibrations.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is made of silicone rubber, for example.

초음파 전파 부재 (32) 는, 상단 끼워 맞춤부 (21)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상단 끼워 맞춤부 (21) 를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단 끼워 맞춤부 (21) 는, 용기 (80) 에 대하여 상단 끼워 맞춤부 (21) 를 착탈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탄성을 상단 끼워 맞춤부 (21) 에 부여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단 끼워 맞춤부 (21) 는, 실리콘 고무나 ABS 수지 등의 수지로 구성된다.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fitting portion 21. The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is comprised from the material which can provide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with the elasticity to the extent that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can be attached or detached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For example,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is comprised from resin, such as silicone rubber and ABS resin.

상단 끼워 맞춤부 (21) 와 초음파 전파 부재 (32) 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된 후에 접속되어도 되고, 상단 끼워 맞춤부 (21) 와 초음파 전파 부재 (32) 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상단 끼워 맞춤부 (21) 와 초음파 전파 부재 (32) 는, 예를 들어, 금형을 사용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용기 (80) 의 밀착성이 좋은 경우 등, 초음파 전파 부재 (32) 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초음파 발생 장치 (31) 로부터 용기 (80) 에 대한 초음파의 양호한 전달이 가능한 경우에는, 초음파 전파 부재 (32) 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and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may be connected after being formed as a separate member, and when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and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are comprised from the same material, The alignment portion 21 and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for example, press working using a mold. Moreover, even if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is not arrange | positioned, such as the case where the adhesiveness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and the container 80 is good, favorable transmission of the ultrasonic wave from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to the container 80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may not be provided.

또, 초음파 발생부 (30) 에 있어서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외측을 덮는 부분은, 예를 들어, 상단 끼워 맞춤부 (21) 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상단 끼워 맞춤부 (21) 로부터 연속되는 구조체로 구체화된다. 예를 들어, 도 1 ∼ 도 8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초음파 발생부 (30) 의 외측면은, 상단 끼워 맞춤부 (21) 로부터 연속되는 곡면상을 갖고, 초음파 발생부 (30) 는,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크기에 따라, 상단 끼워 맞춤부 (21) 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단, 초음파 발생부 (30) 의 외형이나,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외측을 덮는 부분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Moreover, the part which covers the outer sid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s comprised from the same material as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and is continuous from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for example. It is embodied as a structure that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8,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has the curved surface continuous from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and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generate | occur | produces ultrasonic wav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pparatus 31, it protrudes below the upper fitting part 21. As shown in FIG. However, the external shap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and the material of the part which covers the outer sid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device 31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도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 (41) 와 전력 공급부 (42) 를 수용하는 수용부 (40) 는,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인 중심선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는 반대측에서 끼워 맞춤부 (20) 에 접속되어 있다. 즉, 수용부 (40) 는, 용기 (80) 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7, the accommodating part 40 which accommodates the drive part 41 and the power supply part 42 has the opposite side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which is the center of the ring which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Is connected to the fitting portion 20. That is, the accommodating part 40 is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on the opposite side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As shown in FIG.

수용부 (40) 의 외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 (40) 는, 구동부 (41) 및 전력 공급부 (42) 를 수용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수용부 (40) 는, 끼워 맞춤부 (20)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교환 가능하게 건전지를 수용한다. 또한, 구동부 (41) 및 전력 공급부 (42) 와 초음파 발생 장치 (31) 를 접속하는 배선은, 상단 끼워 맞춤부 (21) 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다.The external shape of the housing part 4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housing part 40 should just have a shape which can accommodate the drive part 41 and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part 40 has a shape extended downward from the fitting part 20, and accommodates a dry battery so that replacement is possible. Moreover, the wiring which connects the drive part 41,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and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has pas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As shown in FIG.

조작부 (50) 도 또한,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는 반대측, 즉, 용기 (80) 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The operation unit 50 is also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ultrasonic generator 3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ing formed by the fitting portion 20, that i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ultrasonic generator 3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도 8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 (50) 는, 수용부 (40) 의 외측면 중에서 상단 끼워 맞춤부 (21) 의 직경 방향을 따라 끼워 맞춤부 (20) 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즉, 조작부 (50) 는, 용기 (80) 의 상단 부근에 배치된다.As FIG. 8 shows, the operation part 5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which overlaps with the fitting part 20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part 4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operation unit 50 is disposed near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80.

또한, 전력 공급부 (42) 는 전력원으로서 전지를 수용하기 때문에, 거품 생성 장치 (10) 중에서 전력 공급부 (42) 가 위치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무거워지기 쉽다. 전력 공급부 (42) 가 용기 (80) 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초음파 발생부 (30) 중에서 초음파 발생 장치 (31) 를 덮는 부분을 상단 끼워 맞춤부 (21) 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나, 초음파 발생부 (30) 에 중량을 부가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시키는 것 등에 의해, 거품 생성 장치 (10) 에 있어서의 중량의 밸런스가 전력 공급부 (42) 가 위치하는 부분에 지나치게 치우치지 않도록 조정해도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accommodates a battery as an electric power source, the part in which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is located among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tends to be heavier than the other part. In the structure of 1st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for example, i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device 31 is carried out. By forming the covering portion thicker than the upper fitting portion 21, or by including a member for adding the weight to the ultrasonic generator 30, the balance of the weight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is increased. You may adjust so that it may not be biased too much in the part in which the supply part 42 is located.

[거품 생성 장치의 사용 방법][How to use the bubble generator]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여, 거품 생성 장치 (10) 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서, 거품 생성 장치 (10) 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9 and 10, the opera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method of using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거품 생성 장치 (10) 의 사용시에는, 사용자는, 먼저,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용기 (80) 에 장착한다. 이 때, 사용자는, 초음파 발생부 (30) 가 용기 (80) 의 주둥이 (83a) 의 하방에서 용기 (80) 의 측면과 접하도록, 끼워 맞춤부 (20) 를 용기에 끼운다. 예를 들어, 거품 생성 장치 (10) 에는, 초음파 발생부 (30) 를 주둥이 (83a) 의 하방에 배치할 것을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표시가 붙어 있어도 되고, 거품 생성 장치 (10) 에 부속되는 설명서 등에, 초음파 발생부 (30) 를 주둥이 (83a) 의 하방에 배치하는 것의 지시가 기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주둥이 (83a) 는, 거품 생성 장치 (10) 의 장착 전 또는 후에 개봉된다.In the use of the bubble generator 10, the user first attaches the bubble generator 10 to the container 80. At this time, the user fits the fitting portion 20 into the container so that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under the spout 83a of the container 80. For example,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may be marked with a prompt to prompt the user to arrang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30 below the spout 83a, or the like attached to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Instructions for arranging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0 under the spout 83a may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spout 83a is opened before or after the foaming device 10 is mounted.

도 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용기 (80) 에 장착한 후, 사용자는, 거품 생성 장치 (10) 와 용기 (80) 를 들어 올려, 주둥이 (83a) 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거품 생성 장치 (10) 및 용기 (80) 를 기울이고, 용기 (80) 내의 발포 음료를 주둥이 (83a) 로부터 유출시켜 글라스 등의 잔 (90) 에 따른다. 이 때, 거품 생성 장치 (10) 는 오프로 되어 있다. 사용자는, 용기 (80) 에 대하여 수용부 (40) 가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거품 생성 장치 (10) 와 함께 용기 (80) 를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잔 (90) 에 주로 액상의 발포 음료 (Lq) 가 따라진다.As shown in FIG. 9, after mounting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to the container 80, the user lifts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and the container 80 so that the spout 83a is positioned below. The foaming apparatus 10 and the container 80 are inclined, and the foamed beverage in the container 80 flows out of the spout 83a to pour into the glass 90, such as glass. At this time,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is turned off. The user preferably holds the container 80 together with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from the side where the container 40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As a result, the liquid 90 is mainly poured with the liquid foamed beverage Lq.

도 10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잔 (90) 에 적량의 발포 음료 (Lq) 가 따라진 타이밍에, 사용자는, 발포 음료를 계속 따르면서, 조작부 (50) 를 조작하여,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온으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용기 (80) 에 대하여 수용부 (40) 가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거품 생성 장치 (10) 와 함께 용기 (80) 를 잡고 있는 경우, 집게손가락의 위치를 비켜 놓아 조작부 (50) 를 조작함으로써,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오프에서 온으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t the timing at which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 foamed beverage Lq is poured into the glass 90,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50 while continuing to follow the foamed beverage to turn on the foam generator 10. Switch to For example, when the user holds the container 80 together with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from the side where the container 40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the position of the forefinger is shifted out of the operation unit 50. ), It is possible to easily switch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from off to on.

조작부 (50) 로부터의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부 (41) 로부터 초음파 발생 장치 (31) 에 구동 신호가 출력되고, 이로써, 초음파 발생 장치 (31) 가 초음파를 발한다. 초음파는 초음파 전파 부재 (32) 를 통해 용기 (80) 의 측면에 전달되고, 나아가 용기 (80) 내의 발포 음료에 전달된다.Based on the input of the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50, a drive signal is output from the drive unit 41 to the ultrasonic generator 31, whereby the ultrasonic generator 31 emits ultrasonic waves. Ultrasound is transmitted to the side of the container 80 through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and further to the foamed beverage in the container 80.

이 시점에서 용기 (80) 내에 남아 있는 발포 음료는, 용기 (80) 에 최초로 충전되어 있던 발포 음료의 일부이다. 이 용기 (80) 내에 남아 있는 발포 음료는, 용기 (80) 가 기울어져 있음으로써, 용기 (80) 내의 주둥이 (83a) 부근에 모여 있다. 용기 (80) 가 정치되어 있을 때 초음파 발생부 (30) 가 주둥이 (83a) 의 하방에서 용기 (80) 의 측면에 접하는 구성이면, 발포 음료가 주둥이 (83a) 로부터 따라지도록 용기 (80) 가 기울어져 있을 때, 초음파 발생 장치 (31) 는 주둥이 (83a) 의 하측에 위치하고, 즉, 용기 (80) 내에서 발포 음료가 모여 있는 부분의 부근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초음파 발생 장치 (31) 로부터 발해진 초음파는, 용기 (80) 내의 발포 음료에 적확하게 전달된다.The foamed beverage remaining in the container 80 at this point is a part of the foamed beverage initially filled in the container 80. The foamed beverage remaining in this container 80 is gathered in the vicinity of the spout 83a in the container 80 because the container 80 is inclined. If the ultrasonic generator 3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under the spout 83a when the container 80 is left, the container 80 is inclined so that the foamed beverage is poured from the spout 83a. When it is,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located below the spout 83a, that is, in the vicinity of the portion where the foamed beverage is collected in the container 80. Therefore, the ultrasonic waves emitted from the ultrasonic generator 31 are correctly transmitted to the foamed beverage in the container 80.

또, 초음파 발생 장치 (31) 가 발한 초음파가,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용기 (80) 의 측면에 밀착한 초음파 전파 부재 (32) 를 통해 용기 (80) 에 전달되기 때문에, 전파 과정에서의 초음파 진동의 손실이 억제되어, 초음파의 전달 효율이 높아진다.In addition, since the ultrasonic wave emitt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31 is transmitted to the vessel 80 via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in close contact with the ultrasonic generator 3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vessel 80, Loss of ultrasonic vibrations is suppressed,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ultrasonic waves is increased.

초음파 진동에 의해, 용기 (80) 내의 발포 음료가 거품 생성되고, 이 거품 (Fm) 이 주둥이 (83a) 로부터 나와, 잔 (90) 에 따라진다. 이로써, 잔 (90) 내에 있어서 액상의 발포 음료 (Lq) 상에 거품 (Fm) 이 올라가도록, 용기 (80) 내의 발포 음료를 잔 (90) 으로 옮길 수 있다.By ultrasonic vibration, the foamed beverage in the container 80 foams, and this foam Fm comes out of the spout 83a and pours it into the glass 90. Thereby, the foamed beverage in the container 80 can be transferred to the glass 90 so that the foam Fm may rise on the liquid foamed beverage Lq in the glass 90.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거품 생성 장치 (10) 가 발한 초음파가, 용기 (80) 의 측면으로부터 용기 (80) 내의 발포 음료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발포 음료는, 거품 생성 장치 (10) 에 직접 닿지 않고 거품 생성되어, 잔 (90) 에 따라진다. 따라서, 사용할 때마다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세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품 생성 장치 (10) 의 관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초음파 발생부 (30) 가 주둥이 (83a) 의 하방에 위치하는 구성이라도, 초음파 발생부 (30) 가 용기 (80) 의 상단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초음파 발생부 (30) 가 용기 (80) 의 상단과 접하고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주둥이 (83a) 로부터 흘러나온 발포 음료가 거품 생성 장치 (10) 에 부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거품 생성 장치 (10) 의 관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ltrasonic wave emitted by the foam generating device 10 is transmitt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to the foamed beverage in the container 80. Therefore, the foamed beverage is foamed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foaming device 10 and poured into the cup 90. Therefore, since the foaming apparatus 10 does not need to be wash | cleaned every time it uses, the burden required for management of the foaming apparatus 10 can be reduced. Moreover, even if the ultrasonic generator 30 is located below the spout 83a, since the ultrasonic generator 3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80, the ultrasonic generator 30 is the container 80. Compared with the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foamed beverage flowing out of the spout 83a is less likely to be attached to the foaming device 10. Therefore, the burden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can be reduced more.

또한, 본 실시형태와 비교되는 거품 생성 장치로서, 발포 음료가 넣어진 용기를 정치한 상태로, 용기의 측면에 초음파 발생 장치를 접촉시켜, 발포 음료의 상부를 거품 생성하도록 사용되는 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용기 내에 넣어진 발포 음료의 상부를 초음파 진동에 의해 거품 생성하면, 하부의 액상의 부분에도 진동이 전달되어 이 부분으로부터도 탄산이 빠지기 때문에, 발포 음료의 풍미가 저하되기 쉽다. 또, 용기 내에 넣어진 발포 음료의 일부가 거품이 되기 때문에, 거품의 생성량에 따라 액상의 부분의 양도 변하고, 이 거품의 생성량은, 초음파 발생 장치가 접촉하는 위치나 시간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액체와 거품의 비율을 사용자의 희망대로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또, 용기가 불투명하면, 거품의 생성량을 용기의 상방으로부터 밖에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액체와 거품의 비율을 사용자의 희망대로 제어하는 것이 보다 곤란하다.Moreover, as a foam generating apparatus compared with this embodiment, the apparatus used to make an upper part of a foamed beverage by foaming the ultrasonic generation apparatus by making the container which foamed beverage put into the stationary state contact the side surface of a container. have. However, when the upper part of the foamed beverage put into the container is foamed by ultrasonic vibration,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wer liquid part, and carbonic acid is also released from this portion, so that the flavor of the foamed beverage is likely to be lowered. 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foamed beverage put into the container becomes foam, the amount of the liquid portion also chang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foam generated, and the amount of foam generated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time of contact of the ultrasonic generato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ratio of liquid and foam as desired by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is opaque, since the amount of foam generation can be confirmed only from above the container, it is more difficult to control the ratio of liquid and foam as desired by the user.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사용하면, 먼저 잔 (90) 에 따라진 발포 음료는 진동을 받지 않고 액상인 채로 유지되기 때문에, 발포 음료의 풍미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액상인 부분의 양의 파악도 용이하기 때문에, 발포 음료에 있어서의 액체와 거품의 비율의 제어도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aming apparatus 10 of this embodiment is used, since the foamed beverage poured into the cup 90 is maintained in a liquid state without being vibrat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the flavor of the foamed beverage. Moreover, since grasp of the quantity of a liquid part is also easy, control of the ratio of the liquid and foam in a foamed beverage is also eas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1) 용기 (80) 와 끼워 맞춤부 (20) 의 끼워 맞춤에 의해, 초음파 발생부 (30) 가, 주둥이 (83a) 의 하방에서 용기 (80) 의 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초음파 발생부 (30) 가 발한 초음파는, 용기 (80) 의 측면으로부터 용기 (80) 내의 발포 음료에 전달되기 때문에, 발포 음료는, 거품 생성 장치 (10) 에 직접 닿지 않고 용기 (80) 내에서 거품 생성되어, 주둥이 (83a) 로부터 나온다. 따라서, 사용할 때마다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세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품 생성 장치 (10) 의 관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1) By fitting of the container 80 and the fitting part 20,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may contact below the spout 83a. In this way, since the ultrasonic wave generated by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unit 30 is transmitt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to the foamed beverage in the container 80, the foamed beverag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foaming device 10, but the container 80. Bubbles are created within and emerge from the spout 83a. Therefore, since the foaming apparatus 10 does not need to be wash | cleaned every time it uses, the burden required for management of the foaming apparatus 10 can be reduced.

또, 끼워 맞춤부 (20) 가 용기 (80) 에 끼워져 용기 (80) 의 측면을 둘러싸기 때문에, 거품 생성 장치가 용기 (80) 의 상방에 올려지듯이 용기 (80) 에 장착되는 형태와 비교하여, 용기 (80) 로부터 거품 생성 장치 (10) 가 빠지기 어렵다.Moreover, since the fitting part 20 is fitted to the container 80 and surrounds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compared with the form attached to the container 80 as a bubble generating apparatus is raised above the container 80, The foaming device 10 is hard to come out of the container 80.

(2) 초음파 발생부 (30) 가, 끼워 맞춤부 (20) 의 일부를 구성하고, 끼워 맞춤부 (20) 의 다른 부분인 상단 끼워 맞춤부 (21) 보다 주둥이 (83a) 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부 (30) 가 용기 (80) 의 상단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주둥이 (83a) 로부터 흘러나온 발포 음료가 거품 생성 장치 (10) 에 부착되기 어렵다. 이로써, 거품 생성 장치 (10) 의 관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2)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0 constitutes a part of the fitting portion 20 and is disposed below the spout 83a than the upper fitting portion 21 which is another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20. do. Therefore, sinc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80, the foamed beverage which flowed out from the spout 83a is hard to adhere to the foaming apparatus 10. FIG. Thereby, the burden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the bubble generation apparatus 10 can be reduced more.

(3) 끼워 맞춤부 (20) 가, 음료 캔인 용기 (80) 에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판되는 음료 캔에 들어 있는 발포 음료를 사용자가 마실 때에, 음료 캔에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직접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거품 생성 장치 (10) 의 이용을 위해 전용의 용기를 필요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거품 생성 장치 (10) 의 범용성이 높고, 또, 사용자의 편리성도 높아진다.(3) Since the fitting portion 20 has a shape that can be fitted into the container 80 which is a beverage can, when the user drinks a foamed beverage contained in a commercially available beverage can, the beverage can produces a foaming device 10 ) Can be mounted directly.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dedicated container is needed for use of the foam generating apparatus 10, for example, the versatility of the foam generating apparatus 10 is high, and user convenience is also improved.

(4) 상단 끼워 맞춤부 (21) 는, 볼록부 (21a) 를 가짐으로써, 음료 캔인 용기 (80) 의 오목부 (81a) 에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상단 끼워 맞춤부 (21) 가 용기 (80) 에 끼워지기 때문에, 용기 (80) 에 대한 거품 생성 장치 (10) 의 위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볼록부 (21a) 와 오목부 (81a) 의 끼워 맞춤에 의해, 용기 (80) 의 상부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부 (20) 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규정되기 때문에, 초음파 발생부 (30) 를 포함하는 끼워 맞춤부 (20) 를, 용기 (80) 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다.(4) The upper end fitting portion 21 has a shape that can be fitted to the recessed portion 81a of the container 80 which is a beverage can by having the convex portion 21a. Since the upper fitting portion 21 is fitted into the container 80, the stability of the posi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can be improved. Moreover, since the position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fitting part 20 i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80 is defined by the fitting of the convex part 21a and the recessed part 81a,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t is easy to arrange the fitting part 20 including the in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container 80.

(5) 초음파 발생부 (30) 는,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접하는 초음파 전파 부재 (32) 를 포함하고, 용기 (80) 와 끼워 맞춤부 (20) 의 끼워 맞춤에 의해, 초음파 전파 부재 (32) 가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용기 (80) 의 측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용기 (80) 의 측면에 접한다. 이로써, 초음파 발생 장치 (31) 가 발한 초음파가,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용기 (80) 의 측면에 밀착한 초음파 전파 부재 (32) 를 통해 용기 (80) 에 전달되기 때문에, 초음파의 전달 효율이 높아진다.(5)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unit 30 includes an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in contact with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device 31, and by the fitting of the container 80 and the fitting portion 20,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 32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ontainer 80 so as to fit between the ultrasonic generator 31 and the side of the container 80. Thereby, since the ultrasonic wave emitted by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transmitted to the container 80 via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in close contact with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the ultrasonic transfer efficiency Is higher.

(6)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아, 구동부 (41), 전력 공급부 (42), 및 조작부 (50) 가,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 반대측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용기 (80) 로부터 발포 음료를 잔 (90) 에 따를 때, 통상, 용기 (80) 의 중심축에 대하여 주둥이 (83a) 와 반대측으로부터 용기 (80) 를 잡는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구동부 (41) 나 전력 공급부 (42) 를 수용하는 수용부 (40) 가, 사용자의 손바닥이 닿는 부분의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용부 (40) 와 함께 용기 (80) 를 잡을 수 있다. 그러므로,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잡기 쉽고, 용기 (80) 로부터 잔 (90) 에 발포 음료를 따르고 있을 때의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0) 의 위치의 안정성도 높아진다.(6) Viewing from the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ring which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the drive part 41, the power supply part 42, and the operation part 50 are the center of the ring which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It i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ultrasonic generator 30 with respect to. When the user pours the foamed beverage from the container 80 into the cup 90, the user usually holds the container 80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spout 83a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ntainer 80.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housing portion 40 housing the drive portion 41 or the power supply portion 42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ortion where the palm of the user touches, the user can move th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housing portion 40. 80 can be caught. Therefore, it is easy to hold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and the stability of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producing device 10 when pouring the foamed beverage from the container 80 to the cup 90 is also achieved. Increases.

또, 조작부 (50) 는, 사용자가 잡고 있는 부분의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잡아 용기 (80) 로부터 잔 (90) 에 발포 음료를 따르면서도, 조작부 (50) 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operation part 50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art which a user hold | maintains, the user grasps the container 80 and the foam generating apparatus 10, and follows the foamed beverage from the container 80 to the cup 90, Also, the operation unit 50 can be easily operated.

(제 2 실시형태)(2nd embodiment)

도 11 ∼ 도 13 을 참조하여,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일례인 발포 음료 거품 생성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형태와 제 1 실시형태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With reference to FIGS. 11-13, 2nd Embodiment of the foamed beverage foam generation apparatus which is an example of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is demonstrated. Below,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difference of 2nd Embodiment and 1st Embodiment, and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bout the structure similar to 1st Embodiment, and abbreviate | omits the description.

도 1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 (11) 는,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 (10) 와 비교하여, 수용부의 구성이 상이하다. 수용부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2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 (11) 는,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 (1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As FIG. 11 shows, the structure of the accommodating part differs from the foaming apparatus 11 of 2nd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foaming apparatus 10 of 1st Embodiment. About the structure other than a accommodating part, the bubble generation apparatus 11 of 2nd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ubble generation apparatus 10 of 1st Embodiment.

또한, 도 11 ∼ 도 13 에 있어서는, 초음파 발생부 (30) 의 외측면이, 상단 끼워 맞춤부 (21) 로부터 단차를 갖고 돌출되는 부분을 갖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초음파 발생부 (30) 의 외형은 임의이며, 수용부의 구성에 상관없이, 제 1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형상이 채용되어도 되고, 제 2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형상이 채용되어도 되며, 이들과는 상이한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11 to 13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0 has a portion projecting from the upper end fitting portion 21 with a step. The external shap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s arbitrary, The shape illustrated by 1st Embodiment may be employ | adopted, and the shape illustrated by 2nd Embodiment may be employ | adopted,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a accommodating part, The shape different from these May be employed.

도 12 및 도 1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 (11) 가 갖는 수용부 (45) 는, 용기 (80) 에 있어서의 상측 덮개부 (83) 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수용부 (45) 는, 끼워 맞춤부 (20) 중에서,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한 부분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다. 수용부 (45) 는, 끼워 맞춤부 (20)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수용부 (45) 와 끼워 맞춤부 (20) 는, 다른 부재로서 형성된 후에 접속되어도 된다. 끼워 맞춤부 (20) 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아, 수용부 (45) 는, 상측 덮개부 (83) 의 거의 절반을 덮고, 끼워 맞춤부 (20) 에 둘러싸이는 영역 중, 수용부 (45) 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으로부터, 주둥이 (83a) 가 노출되어 있다.As FIG.12 and FIG.13 show, the accommodating part 45 which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1 of 2nd Embodiment has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upper lid part 83 in the container 80. As shown in FIG. In detail, the accommodating part 45 is a part of the fitting part 20 centered on the poin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ing which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It is connected to the top. The accommodating part 4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tting part 20, and the accommodating part 45 and the fitting part 20 may be connected, after being formed as another member. Viewed from the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tting part 20, the accommodating part 45 covers almost half of the upper lid part 83 and is enclosed by the fitting part 20. Spout 83a is exposed from the area | region where () is not located.

수용부 (45) 는, 상측 덮개부 (83) 의 상방에 있어서, 전력 공급부 (42) 를 수용한다. 즉, 전력 공급부 (42) 는, 용기 (80) 의 상방에 배치된다.The accommodation part 45 accommodates the power supply part 42 above the upper lid part 83. In other words, the power supply unit 42 is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80.

구동부 (41) 는,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구동부 (41) 는, 수용부 (45) 에 수용되어도 되고, 끼워 맞춤부 (20) 의 내부에 수용되어도 되고, 수용부 (45) 와 끼워 맞춤부 (20) 에 걸쳐 수용되어도 된다. 혹은, 구동부 (41) 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끼워 맞춤부 (20) 로부터 상단 끼워 맞춤부 (21) 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drive part 41 is located in the opposite side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ing which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The drive part 41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5,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tting part 20, and may be accommodated over the accommodating part 45 and the fitting part 20. FIG. Or the accommodating part which accommodates the drive part 41 may be formed so that the outer side of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may protrude from the fitting part 20 in the radial direction.

조작부 (50)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조작부 (50) 는, 예를 들어, 상단 끼워 맞춤부 (21) 의 직경 방향을 따라 구동부 (41) 와 겹쳐지는 위치, 즉, 끼워 맞춤부 (20) 혹은 수용부 (45) 의 외측면 내의 영역, 혹은 끼워 맞춤부 (20) 의 외측면과 수용부 (45) 의 외측면에 걸치는 영역에 형성된다.The operation part 50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ing which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similarly to 1st Embodiment. The operation part 50 is a position which overlaps with the drive part 41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ie, the area | region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tting part 20 or the accommodating part 45, for example. Or in an area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45.

제 2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 (11) 도,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 (10) 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오프로 하여 적량의 발포 음료를 용기 (80) 로부터 잔 (90) 에 따른 후,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온으로 함으로써 생성된 거품을, 용기 (80) 로부터 잔 (90) 에 따른다.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1 of 2nd Embodiment is also used by the method similar to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of 1st Embodiment. That is, the user turns of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and pours the appropriate amount of foamed beverage from the container 80 into the cup 90, and then turns on the bubble generated by turning on the bubble producing device 10. 80), followed by cup 90.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력 공급부 (42) 는 전력원으로서 전지를 수용하기 때문에, 거품 생성 장치 (11) 중에서 전력 공급부 (42) 가 위치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무거워지기 쉽다. 특히, 용기 (80) 로부터 잔 (90) 에 발포 음료가 따라진 후, 용기 (80) 가 빈 것에 가까워져 있는 경우에는, 전력 공급부 (42) 의 부근이,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1) 로 이루어지는 구조체의 무게 중심이 된다.As mentioned above, since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accommodates a battery as an electric power source, the part in which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is located among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1 tends to be heavier than the other part.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container 80 is close to the empty container after pouring the beverage from the container 80 to the cup 90, the vicinity of the power supply unit 42 is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1. )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ructure consisting of.

전력 공급부 (42) 가 용기 (80) 의 상방에 배치되는 구성이면, 전력 공급부 (42) 가 용기 (80) 의 측면을 따른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1) 로 이루어지는 구조체의 무게 중심이 구조체의 중심에 대하여 편의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따라서,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1) 를 수평면상에 세워 둔 경우에,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1) 가 넘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거품 생성 장치 (11) 의 사용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If the power supply 42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80,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in comparison with the configuration where the power supply 42 is disposed at a position along the side of the container 80) It is easy to suppress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ructure consisting of 11) is bia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or 11 are set on a horizontal plane, the fall of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or 11 is suppressed. Therefore, handling at the time of use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1 becomes eas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1) ∼ (5) 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1) to (5) of the first embodiment.

(7) 전력 공급부 (42) 가 용기 (80) 의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1) 로 이루어지는 구조체의 무게 중심이 구조체의 중심에 대하여 편의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따라서,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1) 가 넘어지기 어려워져, 거품 생성 장치 (11) 의 사용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7) Since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container 80, it is easy to suppress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ructure which consists of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1 is bia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a structure. Therefore,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1 become hard to fall, and the handling at the time of use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1 becomes easy.

또, 조작부 (50)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사용자가 잡고 있는 부분의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0) 를 잡아 용기 (80) 로부터 잔 (90) 에 발포 음료를 따르면서도, 조작부 (50) 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operation part 50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art which a user hold | maintains similarly to 1st Embodiment, a user grasps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and drinks it from the container 80. It is possible to easily operate the operation unit 50 while pouring the foamed beverage on the 90.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여,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의 일례인 발포 음료 거품 생성 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3 실시형태와 제 1 실시형태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With reference to FIG. 14 and FIG. 15, 3rd Embodiment of the foamed beverage foam generation apparatus which is an example of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is demonstrated. Below, it demonstrates centering around the difference of 3rd Embodiment and 1st Embodiment, and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bout the structure similar to 1st Embodiment, and abbreviate | omits the description.

도 1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 (12) 가 갖는 수용부 (46) 는, 끼워 맞춤부 (20)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거품 생성 장치 (12) 가 용기 (80) 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하 방향에 있어서, 수용부 (46) 의 하단의 위치는, 용기 (80) 의 하단의 위치와 일치한다. 수용부 (46) 는, 구동부 (41) 및 전력 공급부 (42) 를 수용하고 있다.As FIG. 14 shows, the accommodating part 46 which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2 of 3rd Embodiment has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fitting part 20. As shown in FIG. Whe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2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80,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46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80 in an up-down direction. The accommodating part 46 accommodates the drive part 41 and the power supply part 42.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2) 가 테이블 등의 지지대에 정치되어 있을 때, 용기 (80) 의 하단과 함께 수용부 (46) 의 하단이 지지대의 표면에 접한다. 즉,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2) 가 지지대에 지지된다. 따라서,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2) 가 넘어지기 어려워진다. 특히, 용기 (80) 가 빈 것에 가까워져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2) 로 이루어지는 구조체의 무게 중심이 구조체의 중심에 대하여 편의되어 있는 경우에도,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2) 가 넘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거품 생성 장치 (12) 의 사용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2 are left still on a support such as a table,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46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upport together with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80. That is,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2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Therefore,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2 are less likely to fall. In particular, even when the container 80 is close to the empty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ructure composed of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2 is biased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structure,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2 Falling down is suppressed. Therefore, handling at the time of use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2 becomes easy.

전력 공급부 (42)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지의 수용에 의해 무거워지기 쉽기 때문에, 수용부 (46) 가 그 하단의 부근에 전력 공급부 (42) 를 수용하는 구성이면,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2) 의 위치가 특히 안정되기 쉽다.Since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tends to be heavy by accommodating a battery as mentioned above, if the accommodating part 46 is a structure which accommodates the electric power supply part 42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it is a container 80 and foam | bubble. The position of the generating device 12 is particularly stable.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수용부 (46) 의 길이는, 장착 대상의 용기 (80) 의 길이에 맞춘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수용부 (46) 는, 장착 대상의 용기 (80) 의 길이에 따라 상하 방향의 길이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용량이 350 ㎖ 인 음료 캔과 500 ㎖ 인 음료 캔과 같이, 외경의 크기가 동일하고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2 종류의 용기 (80) 를 장착 대상으로 하여, 수용부 (46) 의 길이가 2 단계로 변경 가능해도 된다.The length of the accommodating part 46 in an up-down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ontainer 80 of a mounting object, and the accommodating part 46 is the length of the container 80 of a mounting object. It may be comprised so that change of the length of an up-down direction is possible by this. For example, the receiving portion 46 is equipped with two kinds of containers 80 having the same outer diameter and different lengths in the vertical direction, such as a beverage can of 350 ml and a beverage can of 500 ml. May be changed in two stages.

도 15 는, 수용부 (46) 의 길이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거품 생성 장치 (13) 의 일례를 나타낸다. 수용부 (46) 는, 끼워 맞춤부 (20) 로부터 연장되는 내방부 (47) 가 외장부 (48) 의 내측에 삽입된 구조를 갖고, 내방부 (47) 를 따라 외장부 (48) 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15 shows an example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3 in which the length of the housing portion 46 is configured to be changeable. The accommodating part 46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part 47 extended from the fitting part 20 is inserted in the inner side of the exterior part 48, and the exterior part 48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inner side part 47. FIG. It is comprised so that sliding to a direction is possible.

내방부 (47) 와 외장부 (48) 는 걸림 구조를 갖고, 내방부 (47) 에 대하여, 외장부 (48) 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2 개의 위치의 각각에서 걸린다. 제 1 위치는, 예를 들어, 내방부 (47) 의 전체가 외장부 (48) 에 삽입되어 있는 위치이다. 제 2 위치는, 외장부 (48) 의 상단으로부터 내방부 (47) 의 일부가 나와 있고, 제 1 위치와 비교하여 외장부 (48) 가 하방에 배치되는 위치이다. 제 1 위치보다 제 2 위치 쪽이, 수용부 (46) 전체의 길이는 길다. 걸림 구조는, 내방부 (47) 에 외장부 (48) 가 걸리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걸림 구조는, 예를 들어, 내방부 (47) 및 외장부 (48) 의 일방이 갖는 홈에 타방이 갖는 돌기가 걸리는 구조나, 내방부 (47) 및 외장부 (48) 의 각각이 갖는 돌기끼리가 걸어 맞춰지는 구조 등으로 구체화된다.The inner part 47 and the exterior part 48 have a locking structure, and with respect to the inner part 47, the exterior part 48 is caught in each of two positions,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The first position is, for example, a position where the entire inner portion 47 is inserted into the exterior portion 48.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a part of the inner portion 47 emerges from the upper end of the exterior portion 48, and the exterior portion 48 is disposed below as compared with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is longer than the first position and the length of the entire accommodation portion 46 is longer. The locking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exterior portion 48 is caught by the inner portion 47. The locking structure is,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protrusions of the other are caught in grooves of one of the inner portion 47 and the outer portion 48, and projections each of the inner portion 47 and the outer portion 48 have. It is embodied in the structure etc. which are joined together.

외장부 (48) 가 제 1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수용부 (46) 의 길이는, 장착 대상인 2 종류의 용기 (80) 중,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은 쪽의 용기 (80) 에 거품 생성 장치 (13) 를 장착한 경우에, 수용부 (46) 의 하단과 용기 (80) 의 하단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When the exterior part 48 is arrange | positioned in a 1st position,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ng part 46 is a bubble generating apparatus in the container 80 of the shorter length of the up-down direction among the two types of container 80 which are mounting objects. When attaching (13),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46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80 is set so that it may correspond.

외장부 (48) 를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외장부 (48) 의 위치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되고, 수용부 (46) 전체의 길이가 연장된다. 외장부 (48) 가 제 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수용부 (46) 의 길이는, 장착 대상인 2 종류의 용기 (80) 중,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쪽의 용기 (80) 에 거품 생성 장치 (13) 를 장착한 경우에, 수용부 (46) 의 하단과 용기 (80) 의 하단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By sliding the exterior portion 48 downward, the position of the exterior portion 48 is displac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length of the entirety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6 is extended. When the exterior part 48 is arrange | positioned in a 2nd position,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ng part 46 is a bubble generating apparatus in the container 80 of the longer length of the up-down direction among the two types of container 80 which are mounting objects. When attaching (13),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46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80 is set so that it may correspond.

도 15 는, 장착 대상인 2 종류의 용기 (80) 중,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쪽의 용기 (80) 에, 외장부 (48) 가 제 1 위치에 배치된 거품 생성 장치 (13) 가 장착된 후, 외장부 (48) 가 제 2 위치로 움직여지는 예를 나타낸다. 이로써, 수용부 (46) 의 하단과 용기 (80) 의 하단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일치한다. 또한, 미리 외장부 (48) 를 제 2 위치에 배치한 후에, 거품 생성 장치 (13) 를 용기 (80) 에 장착해도 된다.FIG. 15 shows a foaming device 13 in which an exterior portion 48 is arranged at a first position in a container 80 having a longe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two kinds of containers 80 to be mounted. Next,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exterior portion 48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reby,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46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80 correspond. In addition, after arrange | positioning the exterior part 48 in a 2nd position previously, you may attach the foaming apparatus 13 to the container 80. FIG.

제 3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 (12, 13) 의 사용 방법은, 제 1 실시형태의 거품 생성 장치 (10) 와 동일하다. 또한, 도 14 및 도 15 에서는, 조작부 (50) 가,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 반대측으로서, 끼워 맞춤부 (20) 의 상면에 위치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조작부 (50) 는 끼워 맞춤부 (20) 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형태이면, 사용자가 집게손가락으로 조작부 (50) 를 조작하는 경우에, 조작부 (50) 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The use method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es 12 and 13 of 3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0 of 1st Embodiment. In addition, in FIG. 14 and FIG. 15, the operation part 50 is loc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tting part 20 as the opposite side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ing which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Is illustrated. Also in 1st Embodiment and 2nd Embodiment, the operation part 50 may be loc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tting part 20. FIG. In such a form,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50 with the index finger, the operation unit 50 can be easily operated.

또한, 수용부 (46) 의 길이를 변경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조는, 내방부 (47) 에 대하여 외장부 (48) 가 슬라이딩하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수용부 (46) 의 길이는, 3 단계 이상으로 변경 가능해도 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for making it possible to change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ng part 46 is not limited to the said structure in which the exterior part 48 slides with respect to the inner side part 47.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ng part 46 in an up-down direction may be changeable in three or more step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1) ∼ (6) 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1) to (6) of the first embodiment.

(8)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수용부 (46) 의 하단의 위치와 용기 (80) 의 하단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수용부 (46) 가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거품 생성 장치 (12, 13) 가 장착된 용기 (80) 가 지지대에 정치되어 있을 때,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2, 13) 가 지지대에 지지되기 때문에, 용기 (80) 와 거품 생성 장치 (12, 13) 가 넘어지기 어려워진다. 또, 수용부 (46) 와 용기 (80) 의 하단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용기 (80) 에 대한 거품 생성 장치 (12, 13) 의 위치 맞춤도 용이하게 가능하다.(8) The accommodating part 46 is compris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46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80 may match in the up-down direction. As a result, when the container 80 with the foaming devices 12 and 13 is mounted on the support, the container 80 and the foaming devices 12 and 13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so that the container 80 and The bubble generators 12 and 13 become hard to fall. In addition, by 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housing portion 46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80, the positioning of the bubble generators 12 and 13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can also be easily performed.

(9)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수용부 (46) 의 길이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종류의 용기 (80) 를 거품 생성 장치 (13) 의 장착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거품 생성 장치 (13) 의 범용성이 높아진다.(9) Since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6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configured to be changeable, a plurality of kinds of containers 80 having different length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re used as the object to be attached to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3. can do. Thus, the versatility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3 is increased.

(변형예)(Variation)

상기 각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Each said embodiment can be changed and implemented as follows.

[조작부 (50) 의 위치][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50]

조작부 (50) 의 위치 및 조작부 (50) 의 주변의 구성의 변형예를 설명한다.The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part 50 and the periphery of the operation part 50 is demonstrated.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손바닥이 수용부 (40) 에 닿도록, 사용자가 거품 생성 장치 (10) 와 함께 용기 (80) 를 잡아 조작부 (50) 를 조작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는, 손가락의 뒷면이 수용부에 닿도록 거품 생성 장치 및 용기를 잡아도 된다. 또한, 수용부에, 사용자에 의한 거품 생성 장치 및 용기를 잡는 방법을 유도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a form in which the user holds the container 80 together with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0 to operate the operation unit 50 so that the palm touches the accommodation unit 40 is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user may hold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the container so that the back of the finger touches the accommodation portion. In addition, a structure may b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guide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of catching the container by the user.

예를 들어, 도 16 이 나타내는 거품 생성 장치 (14) 와 같이, 수용부 (49) 는, 조작부 (50) 의 주위에 패임부 (51) 를 갖고 있어도 된다. 조작부 (50) 는, 패임부 (51) 의 바닥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도 1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패임부 (51) 에 집게손가락을 맞춰 조작부 (50) 를 조작하도록, 거품 생성 장치 (14) 및 용기 (80) 를 잡는다. 즉, 손가락의 뒷면이 수용부 (49) 에 닿도록 거품 생성 장치 (14) 및 용기 (80) 를 잡는 방법이 유도된다. 이러한 잡는 방법은, 손바닥이 수용부에 닿는 잡는 방법과 비교하여, 손이 작은 사용자라도 거품 생성 장치 (14) 및 용기 (80) 를 잡기 쉽다. 또, 조작부 (50) 의 조작시에, 집게손가락을 크게 움직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거품 생성 장치 (14) 와 용기 (80) 를 잡으면서 조작부 (50) 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 발포 음료를 따르고 있을 때,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으로 용기 (80) 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거품 생성 장치 (14) 및 용기 (80) 를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거품 생성 장치 (14) 및 용기 (80) 의 각도를 안정시키기 쉽다.For example, like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4 shown in FIG. 16, the accommodating part 49 may have the recessed part 51 around the operation part 50.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unit 5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 51.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7, the user grasps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4 and the container 80 so that the index finger may be matched with the index finger 51, and the operation part 50 may be operated. That is, the method of holding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4 and the container 80 such that the back of the finger touches the receiving portion 49 is induced. This catching method is easier to grasp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4 and the container 80 even by a user with a small hand compared with the catching method where the palm touches the receiving part. Moreov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move a forefinger lar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50, it is easy to operate the operation part 50, holding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4 and the container 80. FIG. In addition, when pouring the foamed beverage, the user can tilt the foaming device 14 and the container 80 whil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80 with a thumb, so that the foaming device 14 and the container ( It is easy to stabilize the angle of 80).

도 18 이 나타내는 거품 생성 장치 (15) 와 같이, 조작부 (50) 는 용기 (80) 에 있어서의 상측 덮개부 (83) 의 상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세하게는, 조작부 (50) 를 지지하는 지지부 (52) 가, 상측 덮개부 (83) 의 상방에 배치되고, 조작부 (50) 는, 지지부 (52) 의 상면에 위치한다. 지지부 (52) 는, 끼워 맞춤부 (20) 중에서,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한 부분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 (20) 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아, 끼워 맞춤부 (20) 에 둘러싸이는 영역 중, 지지부 (52) 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으로부터, 주둥이 (83a) 가 노출된다.Like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5 shown in FIG. 18, the operation unit 50 may be disposed above the upper lid portion 83 in the container 80. In detail, the support part 52 which supports the operation part 50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upper cover part 83, and the operation part 50 is loc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 As shown in FIG. The support part 52 is connected with the upper end of the part centered on the side located in the fitting part 20 on the opposite side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ing which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 As seen from the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tting part 20, the spout 83a is exposed from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support part 52 is not located among the area | regions enclosed by the fitting part 20. FIG.

도 1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용기 (80) 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는 반대측으로부터 거품 생성 장치 (15) 와 용기 (80) 의 상부를 잡는다. 이 때, 조작부 (50) 가 상측 덮개부 (83)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손가락을 자연스럽게 폈을 때에 손가락이 조작부 (50) 에 닿기 쉽다. 따라서, 거품 생성 장치 (15) 와 용기 (80) 를 잡으면서 조작부 (50) 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다.As shown in FIG. 19, the user holds the upper por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5 and the container 80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on part 50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upper cover part 83, a finger is easy to touch the operation part 50 when a forefinger is naturally removed. Therefore, it is easy to operate the operation part 50, holding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5 and the container 80. FIG.

도 20 이 나타내는 거품 생성 장치 (16) 와 같이, 조작부 (50) 는, 주둥이 (83a) 의 측방에 있어서, 끼워 맞춤부 (20) 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조작부 (50) 는, 끼워 맞춤부 (20) 중에서, 초음파 발생부 (30) 와 수용부 (40) 를 잇는 부분의 상면에 위치한다.Like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6 shown in FIG. 20, the operation part 50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tting part 20 in the side of the spout 83a.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part 50 is loc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 which connects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and the accommodating part 40 among the fitting parts 20.

도 2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용기 (80) 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는 반대측으로부터 거품 생성 장치 (16) 와 용기 (80) 를 잡는다. 이 때, 조작부 (50) 가 주둥이 (83a) 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손가락을 폈을 때에 손가락이 조작부 (50) 에 닿기 쉽다. 따라서, 거품 생성 장치 (16) 와 용기 (80) 를 잡으면서 조작부 (50) 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다.As FIG. 21 shows, the user hold | maintains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6 and the container 8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from the opposite side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on part 5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 spout 83a, when a forefinger is removed, a finger | toe easily touches the operation part 50. Therefore, it is easy to operate the operation part 50, holding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6 and the container 80. FIG.

조작부 (50) 가, 주둥이 (83a) 에 대하여 우측과 좌측의 어느 쪽에 배치되는지는,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중 어느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지에 따라 결정되면 된다. 혹은, 주둥이 (83a) 에 대하여 우측과 좌측의 2 개 지점에 조작부 (50) 가 배치되어도 된다.Which side of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is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spout 83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user of right-handedness and left-handedness is targeted. Alternatively, the operation unit 50 may be disposed at two points on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spout 83a.

또한, 도 16 및 도 17 에 있어서는, 거품 생성 장치 (14) 가, 표시부 (60) 를 구비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표시부 (60) 는, 거품 생성 장치가 온인지 오프인지, 즉,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구동의 유무를 나타낸다. 표시부 (60) 는, 예를 들어, LED 등의 광원을 포함하고, 광원의 점등에 의해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구동 상태를 외부에 통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구동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의 거품 생성 장치도, 표시부 (60)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 FIG. 16 and FIG. 17, the bubble generation apparatus 14 illustrated the form provided with the display part 60. As shown in FIG. The display unit 60 indicates whether the bubble generator is on or off, that is, whether or not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driven. The display unit 60 includes, for example, a light source such as an LED, and notifies the outside of the driving stat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by the lighting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a user can grasp | ascertain the drive stat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easily. The bubble generator of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may also include a display unit 60.

표시부 (60) 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 맞춤부 (20) 가 구성하는 환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아, 당해 환의 중심에 대하여 초음파 발생부 (30) 와 반대측에 표시부 (60) 가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에 표시부 (60) 가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거품 생성 장치 (14) 와 용기 (80) 를 잡아 발포 음료를 잔 (90) 에 따르고 있는 한중간에도, 사용자는 표시부 (60) 를 보기 쉽다.Although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rt 6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to FIG. 16 and FIG. 17, an ultrasonic wav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aid ring is seen from the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ring which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The display unit 60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generator 30. By arrange | positioning the display part 60 in such a position, the user is easy to see the display part 60, even if the user grasps the foam production apparatus 14 and the container 80, and pours foamed beverage into the glass 90.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보호][Protection of Ultrasonic Generator 31]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생부 (30) 가 용기 (80) 의 상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구성이면, 주둥이 (83a) 로부터 흘러나온 발포 음료가 거품 생성 장치에 부착되기 어렵다. 그러나, 만일 발포 음료가 초음파 발생부 (30) 에 부착된 경우에는, 부착된 발포 음료 혹은 그 청소에 사용되는 수분 등인 액체의 침입으로부터, 전자 부품인 초음파 발생 장치 (31) 가 보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보호를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80, the foamed beverage flowing out of the spout 83a is hard to adhere to the foaming device. However, if the foamed beverage is attach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ultrasonic generator 31, which is an electronic component, is protected from the intrusion of the liquid such as the foamed beverage to be attached or moisture used for cleaning thereof. Do. The structure for protection of such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demonstrated.

도 22 가 나타내는 거품 생성 장치 (17) 는, 끼워 맞춤부 (20) 의 내측으로부터 초음파 발생 장치 (31) 를 덮는 보호 시트 (70) 를 구비하고 있다. 보호 시트 (70) 는,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끼워 맞춤부 (20) 의 내측면 (20S) 중에서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외주를 둘러싸는 부분을 덮고 있다. 보호 시트 (70) 로는, 초음파의 전달을 저해하기 어렵고, 또한, 액체를 통과시키기 어려운 재질의 시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보호 시트 (70) 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사용된다. 또한, 끼워 맞춤부 (20) 의 내측면 (20S) 중에서 보호 시트 (70) 가 첩부되어 있는 부분은, 초음파 발생부 (30) 의 내측면을 구성한다.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7 shown in FIG. 22 includes a protective sheet 70 covering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31 from the inside of the fitting portion 20. The protective sheet 70 covers the ultrasonic generator 31 and the part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among the inner side surfaces 20S of the fitting part 20. As the protective sheet 70, a sheet of a material which is hard to inhibit the transmission of ultrasonic waves and which is difficult to pass the liquid is used. For example, as the protective sheet 70, a sheet made of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used. In addition, the part in which the protective sheet 70 is stuck among the inner side surfaces 20S of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도 2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품 생성 장치 (17) 는, 초음파 전파 부재 (32) 를 구비하지 않고, 초음파 발생 장치 (31) 는, 끼워 맞춤부 (20) 의 내측면 (20S) 이 갖는 개구부 (20a) 로부터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선단면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발생부 (30) 는, 예를 들어 스프링인 탄성 부재 (33) 를 구비하고 있다.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기단 (基端) 은 탄성 부재 (33) 에 접속되어 있고, 탄성 부재 (33) 의 신축에 의해, 개구부 (20a) 로부터의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돌출량이 변한다. 또한, 끼워 맞춤부 (20) 의 내부에는,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구동부 (41) 를 접속하는 도시되지 않은 배선이 통과되고 있다.As shown in FIG. 23,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7 does not include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2, and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31 has an opening portion that the inner surface 20S of the fitting portion 20 has.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apparatus 31 may protrude from 20a. In detail,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s equipped with the elastic member 33 which is a spring, for example. The base end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33, and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from the opening portion 20a changes due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astic member 33. Moreover, the wiring which is not shown which connects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and the drive part 41 is passed through the fitting part 20. As shown in FIG.

보호 시트 (70) 는, 점착층 (71) 을 개재하여, 끼워 맞춤부 (20) 의 내측면 (20S) 에 첩부되어 있다. 점착층 (71) 은, 끼워 맞춤부 (20) 의 내측면 (20S) 과 보호 시트 (70) 사이에만 배치되고,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보호 시트 (70) 사이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보호 시트 (70) 는 직접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점착층 (71) 을 경유함으로써 초음파가 감쇠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초음파 발생 장치 (31) 로부터 용기 (80) 에 대한 초음파의 전달 효율이 높아진다. 또, 보호 시트 (70) 는, 가요성을 갖고,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돌출량의 변화에 따라,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선단면에 추종하여 신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품 생성 장치 (17) 가 용기 (80) 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돌출량은 최대로서,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선단면은 보호 시트 (70) 에 맞닿아 있다.The protective sheet 70 is affixed on the inner side surface 20S of the fitting part 20 via the adhesion layer 71.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on layer 71 is arrange | positioned only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20S of the fitting part 20, and the protective sheet 70, and is not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apparatus 31 and the protective sheet 70. Do.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and the protective sheet 70 directly contact.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attenuation of the ultrasonic wave through the adhesive layer 71 is suppressed,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ultrasonic wave from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to the container 80 is increased.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sheet 70 is flexible and expands and contracts with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When the bubble generator 17 is not attached to the container 80,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is the maximum, and the tip end surface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is in contact with the protective sheet 70. .

도 2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품 생성 장치 (17) 가 용기 (80) 에 장착되어 있을 때, 보호 시트 (70), 초음파 발생 장치 (31), 및 탄성 부재 (33) 는, 용기 (80) 의 측면으로부터 눌린다. 이 때, 초음파 발생 장치 (31) 는 탄성 부재 (33) 의 복원력을 받아, 보호 시트 (70) 와 함께 용기 (80) 의 측면에 가압된다.As shown in FIG. 24, whe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7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80, the protective sheet 70,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and the elastic member 33 are formed of the container 80. Pressed from the side. At this time,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receiv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3 and is pressed to the side of the container 80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sheet 70.

탄성 부재 (33) 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초음파 발생 장치 (31) 가 개구부 (20a) 로부터 과잉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특히 끼워 맞춤부 (20) 의 탄성이 작은 경우에, 용기 (80) 에 끼워 맞춤부 (20) 를 장착하기 어렵다. 한편, 초음파 발생 장치 (31) 가 개구부 (20a) 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으면, 끼워 맞춤부 (20) 의 장착 후에 용기 (80) 의 측면과 초음파 발생 장치 (3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초음파가 전달되기 어렵다. 이것에 대하여, 거품 생성 장치 (17) 에서는, 끼워 맞춤부 (20) 의 장착시에, 탄성 부재 (33) 의 변형에 의해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돌출량이 미세 조정되기 때문에,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돌출이 끼워 맞춤부 (20) 의 장착의 장해가 되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용기 (80) 의 측면과 초음파 발생 장치 (3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 장치 (31) 로부터 용기 (80) 에 대한 초음파의 전달 효율이 높아진다.When the elastic member 33 is not formed, i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protrudes excessively from the opening part 20a, it will fit in the container 80, especially when the elasticity of the fitting part 20 is small.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part 20. On the other hand, i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does not protrude from the opening portion 20a,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and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after the fitting portion 20 is mounted, so that the ultrasonic wave is It is difficult to convey. On the other hand, i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7, since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apparatus 31 is finely adjusted by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of the elastic member 33 at the time of the fitting part 20, the ultrasonic generating apparatus ( While preventing the protrusion of the 31 from interfering with the mounting of the fitting portion 20, the formation of a gap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and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suppressed. Therefor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ultrasonic wave from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to the container 80 is increased.

그리고, 거품 생성 장치 (17) 에서는, 끼워 맞춤부 (20) 의 내측으로부터, 보호 시트 (70) 가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그 주위를 덮고 있기 때문에,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부근에 액체가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돌출량의 변경이 원활하게 실시되기 위해서는, 개구부 (20a) 와 초음파 발생 장치 (31)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보호 시트 (70) 가 끼워 맞춤부 (20) 의 내측으로부터 초음파 발생 장치 (31) 와 그 주위를 덮고 있음으로써,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부근에 액체가 침입하는 것이 적확하게 억제된다.I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7, since the protective sheet 70 covers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31 and its surroundings from the inside of the fitting portion 20, the liquid i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31. Intrusion is suppressed. In order to change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smoothly, it is preferable that a small gap is formed between the opening 20a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31. Even when such a gap is formed, the protective sheet 70 covers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and its surroundings from the inside of the fitting portion 20, whereby liquid penetrates into the vicinity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t is precisely suppressed.

또한, 거품 생성 장치 (17) 는, 탄성 부재 (33) 를 구비하지 않고,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보호 시트 (70) 를 구비하지 않는 형태에, 탄성 부재 (33) 에 의해 개구부 (20a) 로부터의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돌출량이 변경 가능한 형태가 적용되어도 된다.In addition,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7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elastic member 33, and the posi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apparatus 31 may be fixed. Moreover, the form which can change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from the opening part 20a by the elastic member 33 may be applied to the form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protective sheet 70 like each said embodiment. .

초음파 발생 장치 (31) 를 액체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ultrasonic generator 31 from intrusion of liquid will be described.

도 25 가 나타내는 거품 생성 장치 (18) 에 있어서는, 끼워 맞춤부 (20) 의 내측면 (20S) 에 개구부 (20a) 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초음파 발생 장치 (31) 는 항상 끼워 맞춤부 (20) 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초음파 발생 장치 (31) 는, 거품 생성 장치 (18) 의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초음파 발생부 (30) 는, 예를 들어 스프링인 탄성 부재 (33) 와, 끼워 맞춤부 (20) 의 측벽 (20W) 으로부터 끼워 맞춤부 (20) 의 내부로 돌출된 내부 돌기 (34) 와, 끼워 맞춤부 (20) 의 측벽 (20W) 으로부터 끼워 맞춤부 (20) 의 외부로 돌출된 외부 돌기 (35) 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돌기 (35) 는, 내측면 (20S)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부 (20) 의 측벽 (20W) 중에서 내부 돌기 (34) 및 외부 돌기 (35) 가 위치하는 부분은, 초음파 발생부 (30) 의 측벽을 구성한다.In the bubble generator 18 shown in FIG. 25, the opening portion 20a is not formed in the inner surface 20S of the fitting portion 20, and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alway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20. It is housed inside of. In other words,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housed inside the case of the bubble generator 18. And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s the elastic member 33 which is a spring, for example, and the internal protrusion 34 which protruded into the fitting part 20 from the side wall 20W of the fitting part 20. And an external protrusion 35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20W of the fitting portion 20 to the outside of the fitting portion 20. The outer protrusion 35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surface 20S. Moreover, the part in which the inner protrusion 34 and the outer protrusion 35 are located among the side wall 20W of the fitting part 20 comprises the side wall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As shown in FIG.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선단은 내부 돌기 (34) 에 접하고,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기단은 탄성 부재 (33) 에 접속되어 있다. 초음파 발생 장치 (31) 는, 탄성 부재 (33) 의 복원력에 의해 내부 돌기 (34) 에 가압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 (33) 는, 끼워 맞춤부 (20) 의 내부에서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 초음파 발생 장치 (31) 를 내부 돌기 (34) 에 맞닿게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위치의 미세 조정이 불필요하면, 탄성 부재 (33) 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The tip end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protrusion 34, and the base end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33.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pressed by the internal protrusion 34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3. The elastic member 33 in the present modification finely adjusts the posi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in the fitting portion 20, and brings the ultrasonic generator 31 into contact with the internal protrusion 34. It is formed to If fin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unnecessary, the elastic member 33 does not need to be formed.

초음파의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부 돌기 (34) 는,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선단면보다 직경이 작은 원주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선단면에 있어서는, 그 중앙에 가까울수록 강한 초음파를 발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 돌기 (34) 가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선단면의 중앙부에 접함으로써, 초음파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order to rais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an ultrasonic wav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nal protrusion 34 has the cylindrical shape whose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As shown in FIG. In the distal end face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since the stronger ultrasonic waves are emitted closer to the center thereof, the internal projection 34 is in contact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tal end face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so that the ultrasonic transfer efficiency is increased. Can increase.

외부 돌기 (35) 는, 끼워 맞춤부 (20) 의 측벽 (20W) 을 사이에 두고 내부 돌기 (34) 와 겹치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초음파의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부 돌기 (35) 는, 끼워 맞춤부 (20) 의 내측면 내에 바닥면을 갖는 반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80) 의 측면은 곡면이기 때문에, 외부 돌기 (35) 의 선단이 평면인 형태보다, 외부 돌기 (35) 의 선단이 곡면으로서, 외부 돌기 (35) 와 용기 (80) 의 측면이 점에서 접촉하는 형태 쪽이, 초음파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외부 돌기 (35) 가 반구 형상이면, 외부 돌기 (35) 가 용기 (80) 의 측면과 접했을 때에, 외부 돌기 (35) 의 선단에 의해 용기 (80) 의 측면이 흠집이 나는 것이 억제된다.The outer projection 35 is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inner projection 34 with the side wall 20W of the fitting portion 20 interposed therebetween. In order to rais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an ultrasonic wav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protrusion 35 has a hemispherical shape which has a bottom surface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part 20.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is a curved surface, the tip of the outer protrusion 35 is a curved surface rather than the form where the tip of the outer protrusion 35 is flat, and the side of the outer protrusion 35 and the container 80 is The contacting form can improv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ultrasonic waves. Moreover, when the outer protrusion 35 is a hemispherical shape, when the outer protrusion 35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it is suppressed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is damaged by the tip of the outer protrusion 35. do.

내부 돌기 (34) 와 외부 돌기 (35) 는, 예를 들어, 끼워 맞춤부 (20) 의 측벽 (20W) 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끼워 맞춤부 (20) 의 측벽 (20W) 과 내부 돌기 (34) 와 외부 돌기 (35) 는, 일체로 성형된다.The inner protrusion 34 and the outer protrusion 35 are made of, for example, the same material as the side wall 20W of the fitting portion 20, and the side wall 20W of the fitting portion 20 and the inner protrusion ( 34 and the external protrusion 35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초음파 발생 장치 (31) 가 끼워 맞춤부 (20) 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부근에 액체가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내부 돌기 (34) 및 외부 돌기 (35) 에 의해 초음파가 전달되기 때문에, 초음파 발생 장치 (31) 가 끼워 맞춤부 (20) 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태라도, 초음파의 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accommodated in the fitting part 20, invasion of the liquid in the vicinity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31 is suppressed. And since the ultrasonic wave is transmitted by the internal protrusion 34 and the external protrusion 35, even i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is not exposed to the exterior of the fitting part 20, the ultrasonic transmission efficiency will fall. Is suppressed.

또한, 초음파 발생 장치 (31) 의 주위에 더하여, 구동부 (41) 나 전력 공급부 (42) 의 주위에도,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도 된다.In addition to the circumference of the ultrasonic generator 31, a structure for suppressing the ingress of liquid may also be formed around the drive portion 41 and the power supply portion 42.

[기타 변형예][Other Modifications]

·도 26 이 나타내는 거품 생성 장치 (19) 와 같이, 거품 생성 장치 (19) 는, 손잡이로서 기능하는 파지부 (75)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파지부 (75) 는, 용기 (80) 의 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 끼워 맞춤부 (20)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거품 생성 장치 (19) 가 파지부 (75) 를 구비하는 구성이면, 사용자는, 용기 (80) 의 측면과 파지부 (75) 사이에 손가락을 통과시켜 파지부 (75) 를 잡음으로써, 거품 생성 장치 (19) 를 용기 (80) 와 함께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에 대하여 용기 (80) 가 큰 경우라도, 사용자는 용기 (80) 에 장착된 거품 생성 장치 (19) 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또한, 수용부가 파지부 (75) 를 겸하고 있어도 되고, 수용부는 파지부 (75) 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Like the bubble generator 19 shown in FIG. 26, the bubble generator 19 may be provided with the holding part 75 which functions as a handle. The grip portion 75 has a gap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fitting portion 20. I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19 is provided with the holding part 75, a user will generate | occur | produce a bubble by passing a finger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and the holding part 75, and holding the holding part 75. The device 19 can be held together with the vessel 80. Therefore, even when the container 80 is large with respect to the user's hand,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19 mounted on the container 80. Moreover, the accommodating part may also serve as the holding part 75, and the accommodating par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holding part 75.

·거품 생성 장치는, 용기 (80) 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하부 지지부는, 예를 들어, 용기 (80) 의 하측 덮개부 (82) 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해도 되고, 용기 (80) 의 측면의 하부에 끼워 맞춰져, 용기 (80) 의 하부를 지지해도 된다. 거품 생성 장치가 하부 지지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면, 용기 (80) 에 대한 거품 생성 장치의 위치가 보다 안정됨과 함께, 용기 (80) 로부터 거품 생성 장치가 빠지기 어려워진다.The bubble generat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80. The lower support part may support the lower lid part 82 of the container 80 from below, for example, may fit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and ma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80. I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lower support part, while the posi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80 becomes more stable, it becomes difficult to remove 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from the container 80.

·끼워 맞춤부 (20) 는, 용기 (80) 의 상부에 끼워지는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되고, 용기 (80) 의 오목부 (81a) 와는 끼워 맞춰지지 않아도 되고, 용기 (80) 의 상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용기 (80) 의 측면을 둘러싸도 된다. 또, 끼워 맞춤부 (20) 는, 환의 일부가 도중에 끊긴 개구 환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끼워 맞춤부 (20) 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용기 (80) 의 상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용기 (80) 의 전체 길이의 2 분의 1 이내 (상측 덮개부 (83) 의 직경이 작은 캔의 경우) 로부터, 3 분의 1 이내 (상측 덮개부 (83) 의 직경이 큰 캔의 경우) 의 영역에 끼워지면 된다.The fitting part 20 should just have a structure fit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80, and does not need to fit with the recessed part 81a of the container 80, and is a position away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80. The side of the container 80 may be enclosed. In addition, the fitting portion 20 may have an opening annular shape in which part of the ring is cut off. The fitting portion 20 has a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80 within one-half of the entire length of the container 8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case of a can whose diameter of the upper lid portion 83 is small). ) May be inserted into a region within one third (in the case of a large can of the upper lid portion 83).

·상하 방향에 있어서, 초음파 발생부 (30) 의 상단의 위치는, 상단 끼워 맞춤부 (21) 의 상단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어도 된다. 즉, 끼워 맞춤부 (20) 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용기 (80) 의 상단을 따라 배치되어도 된다.In the up-down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may correspond with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fitting part 21. That is, the fitting part 20 may be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80 over the whole perimeter.

·초음파 발생부 (30) 는, 끼워 맞춤부 (20) 를 구성하지 않고, 끼워 맞춤부 (20) 로부터 독립된 부분으로서 끼워 맞춤부 (20) 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끼워 맞춤부 (20) 는 상단 끼워 맞춤부 (21) 만으로 구성되고, 상단 끼워 맞춤부 (21) 는 용기 (80) 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폐환상을 갖고, 상단 끼워 맞춤부 (21) 의 하부에 초음파 발생부 (30) 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수용부가, 끼워 맞춤부 (20) 의 일부를 구성해도 된다. 요컨대, 용기 (80) 와 끼워 맞춤부 (20) 의 끼워 맞춤에 의해, 초음파 발생부 (30) 의 위치가 규정되면 되고, 초음파 발생부 (30) 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용기 (80) 의 상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용기 (80) 의 전체 길이의 2 분의 1 이내의 영역에 배치되면 된다.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unit 30 may be connected to the fitting portion 20 as a part independent of the fitting portion 20 without forming the fitting portion 20. For example, the fitting portion 20 is composed of only the upper fitting portion 21, the upper fitting portion 21 has a closed ring surroundi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80, and the upper fitting portion (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21). Or the accommodating part may comprise a part of the fitting part 20. That is, the position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should just be prescribed | regulated by the fitting of the container 80 and the fitting part 20, and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30 is a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80.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rrange | positio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to the area within 1/2 of the full length of the container 80.

·거품 생성 장치는, 용기 (80) 의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용기 (80) 에 장착되어도 되고, 거품 생성 장치가 용기 (80) 에 장착되어 있을 때, 주둥이 (83a) 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환상의 끼워 맞춤부 (20) 의 상단에, 용기 (80) 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부재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The bubble generating device may be attached to the container 80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80, and when the spout 83a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80; do. For example, a member cover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8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nnular fitting portion 20.

·구동부 (41), 전력 공급부 (42), 및 조작부 (50) 의 각각의 배치는, 상기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와 상이해도 되고, 구동부 (41) 나 전력 공급부 (42) 의 위치에 따라 수용부가 형성되면 된다.The arrangement of the driving unit 41, the power supply unit 42, and the operation unit 50 may be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s and each modification, an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driving unit 41 and the power supply unit 42.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orm a receiving part.

상기 변형예를 총괄하면, 요컨대, 용기 (80) 와 끼워 맞춤부 (20) 의 끼워 맞춤에 의해, 초음파 발생부 (30) 가 주둥이 (83a) 의 하방에서 용기 (80) 의 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면, 거품 생성 장치가 갖는 다른 구성이나, 거품 생성 장치가 갖는 각 부의 형상 및 배치는 상기 각 실시형태와 상이해도 된다.In summary, the ultrasonic generator 30 is arranged so as to contact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80 under the spout 83a by fitting the container 80 and the fitting portion 20.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which is a structure, the shape and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other structure which a bubble generator has, and each part which a bubble generator has may be different from each said embodiment.

·거품 생성 장치의 장착 대상인 용기는, 음료 캔에 한정되지 않고, 주둥이를 갖는 용기이면 된다. 음료 캔 이외의 용기의 예로는, 병, 페트병, 업무용 등의 대용량의 음료 탱크 등을 들 수 있다. 용기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금속제, 수지제, 유리제 등을 들 수 있다. 요컨대, 용기는, 측면으로부터 내부의 음료에 초음파를 전파 가능한 재료 및 두께의 용기이면 되고, 또, 용기의 형상에 따라, 끼워 맞춤부 (20) 는 용기의 상부에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 거품 생성 장치가 발하는 초음파의 강도는, 용기에 있어서의 측벽의 재질이나 두께에 따라 조정되면 된다.The container which is a mounting object of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is not limited to a beverage can, but may be a container having a spout. Examples of containers other than the beverage cans include large-capacity beverage tanks such as bottles, PET bottles, and commercial use. As a material of a container, metal, resin, glass,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at is, the container should just be a container of the material and thickness which can propagate ultrasonic wave from the side surface to the inside drink, and the fitting part 20 should just have a shape which can be fitted to the upper part of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shape of a container. . In addition,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djust the intensity | strength of the ultrasonic wave which a bubble generating apparatus emits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side wall in a container.

·초음파 진동이 주어지는 대상의 음료는, 발포 음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산을 포함하지 않는 음료라도, 초음파 진동의 부여에 의해 거품이 발생하는 음료이면,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에 의한 초음파 진동의 부여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초음파 진동의 부여에 의해 시인 가능한 거품이 발생하지 않는 음료라도, 초음파 진동의 부여가, 예를 들어, 풍미의 향상이나 입에 닿는 느낌이 좋은 정도의 향상 등의 여러 가지 목적에 기여하는 경우에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에 의한 초음파 진동의 부여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요컨대, 초음파 진동의 부여에 의해, 시인 가능한 거품의 발생, 시인할 수 없는 미소한 거품의 발생, 표면 장력의 변화 등, 음료의 물리 상태에 변화가 발생하는 음료이면,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에 의한 초음파 진동의 부여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The beverage of the subject to which ultrasonic vibration is given is not limited to foaming beverage. Even if the beverage does not contain carbonic acid, if the beverage generates bubbles by applying ultrasonic vibration, the beverage can be subjected to ultrasonic vibration by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Furthermore, even in beverages that do not generate visible bubbles due to the application of ultrasonic vibrations, the application of ultrasonic vibrations contributes to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improvement of flavor and improvement of the degree to which the mouth feels good. In this case, it can be set as the object of application of the ultrasonic vibration by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In other words, if the beverage has a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of the beverage, such as generation of visible bubbles, generation of unrecognizable micro bubbles, change of surface tension, etc., the ultrasonic wave by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is provided. It can be set as the object of vibration.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거품 생성 장치,
20 … 끼워 맞춤부,
21 … 상단 끼워 맞춤부,
21a … 볼록부,
30 … 초음파 발생부,
31 … 초음파 발생 장치,
32 … 초음파 전파 부재,
33 … 탄성 부재,
34 … 내부 돌기,
35 … 외부 돌기,
40, 45, 46, 49 … 수용부,
41 … 구동부,
42 … 전력 공급부,
47 … 내방부,
48 … 외장부,
50 … 조작부,
51 … 패임부,
52 … 지지부,
60 … 표시부,
70 … 보호 시트,
71 … 점착층,
75 … 파지부,
80 … 용기,
81 … 본체부,
81a … 오목부,
82 … 하측 덮개부,
83 … 상측 덮개부,
83a … 주둥이,
90 … 잔.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Bubble generating device,
20... Fitting,
21. Top fitting,
21a... Convex,
30. Ultrasonic Generator,
31. Ultrasonic generator,
32. Ultrasonic wave propagation member,
33. Elastic member,
34. Internal turning,
35. External turning,
40, 45, 46, 49... Receiving,
41…. Driver,
42. Power supply,
47. Home Interior,
48. Exterior,
50... Control Panel,
51. Recess,
52... Support,
60... Display,
70... Protective sheet,
71. Adhesive Layer,
75... Holding,
80... Vessel,
81... Body,
81a... Concave,
82... Lower cover,
83... Upper cover,
83a... snout,
90... glass.

Claims (11)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주둥이를 상부에 갖는 상기 용기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환상의 끼워 맞춤부와,
상기 용기와 상기 끼워 맞춤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주둥이의 하방에서 상기 용기의 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초음파 발생부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configured to be mounted to the container having a spout on top as a container for containing a drink,
An annular fitting configured to be fit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configured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from below the spout by fitting the container and the fit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음료 캔이고,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음료 캔에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is a beverage can,
The fitting portion has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having a shape that can be fitted to the beverage ca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음료 캔이 갖는 오목부로서, 상기 음료 캔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음료 캔의 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가진 상단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tting portion is a concave portion of the beverage can,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having an upper fitting portion having a shape that can be fitted into the concave portion recessed from the upper end of the beverage can toward the inside of the beverage can.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초음파 발생 장치와,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와 접하는 초음파 전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와 상기 끼워 맞춤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초음파 전파 부재가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와 상기 용기의 측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includes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and an ultrasonic wave propagat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and the ultrasonic wave propagating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by fitting the container and the fitting portio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which is configured to be fitted in th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주둥이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aid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comprises a part of the said fitting part, and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said spout below the other part of the said fitting par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을 지시하는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조작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driving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of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An operation unit which receives an operation for instructing driving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The said drive part and the said operation part are ultrasonic vibration providing apparatus located in the opposite side to the said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ing which the said fitting part comprise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가 구성하는 환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driving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of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The said electric power supply part is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located in the opposite side to the said ultrasonic wave generation par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ing which the said fitting part comprise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부는, 상기 용기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driving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of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The said electric power supply part is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said container.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부의 하단의 위치와 상기 용기의 하단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driving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of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It ha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ower supply,
The said accommodating part extends downward from the said fitting part, and is compris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aid accommodating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aid container in an up-down direction may be comprised.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 장치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부의 길이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driving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of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unit;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It ha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ower supply,
The said accommodating part extends downward from the said fitting part, and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apparatus comprised so that the length of the said accommodating part in an up-down direction is changeable.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초음파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는, 상기 초음파 발생 장치를 액체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ultrasonic generator includes an ultrasonic generator,
The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has a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ultrasonic generator from intrusion of liquid.
KR1020207003995A 2017-07-21 2018-07-19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KR10230450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1946 2017-07-21
JP2017141946 2017-07-21
PCT/JP2018/027103 WO2019017434A1 (en) 2017-07-21 2018-07-19 Ultrasonic-wave vibration impar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931A true KR20200024931A (en) 2020-03-09
KR102304505B1 KR102304505B1 (en) 2021-09-23

Family

ID=6501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995A KR102304505B1 (en) 2017-07-21 2018-07-19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536987B2 (en)
KR (1) KR102304505B1 (en)
CN (1) CN110914192B (en)
WO (1) WO201901743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7840B2 (en) 2017-07-21 2023-11-07 Toppan Printing Co., Ltd.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JP7310448B2 (en) * 2019-08-29 2023-07-19 凸版印刷株式会社 Ultrasonic vibration applicator
JP6546360B1 (en) * 2019-01-11 2019-07-1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アーツ Beer frothing device
JP7431017B2 (en) 2019-11-25 2024-02-14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beer frothing device
GB2603963B (en) * 2021-02-23 2023-02-22 Diageo Ireland Unlimited Company A pouring attachment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3691A (en) * 1991-02-04 1992-09-09 Daiichi Denki Kk Ultrasonic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froth of beer
JP2012144258A (en) 2011-01-06 2012-08-02 Tekkusu Iijii:Kk Whipping device for sparkling beverage contained in container
KR20160030293A (en) * 2013-07-12 2016-03-16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ou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2588Y2 (en) * 1984-09-13 1990-11-14
AU778170B2 (en) * 1999-11-17 2004-11-18 Coors Brewing Company A beverage
JP4253691B2 (en) 2003-06-04 2009-04-15 株式会社Deto Connection adapter for bite circulation device
JP4135568B2 (en) * 2003-06-11 2008-08-20 東洋製罐株式会社 Container beer frothing apparatus using ultrasonic waves and container beer frothing method using the apparatus
JP2008302955A (en) * 2007-06-07 2008-12-18 Igeta:Kk Foaming device using beer bottle or the like
JP6147014B2 (en) * 2013-02-05 2017-06-14 株式会社テックスイージー Foaming equipment for bottled sparkling beverages
CN203302916U (en) * 2013-05-27 2013-11-27 郁鹤松 Beer foam machine
CN203997562U (en) * 2014-01-04 2014-12-10 黄雄浩 a beer bubbler
CN204251326U (en) * 2014-11-27 2015-04-08 永骏塑胶制品(深圳)有限公司 Portable system bubble beer brewing machine
KR200478150Y1 (en) 2015-03-25 2015-09-07 (주)엠플러스기획 Cream-beer manufacturing apparatus
CN205441475U (en) * 2016-02-25 2016-08-10 永骏塑胶制品(深圳)有限公司 Simple and easy beer foam machine
CN205527704U (en) * 2016-04-06 2016-08-31 永骏塑胶制品(深圳)有限公司 Combination foam type beer machine
CN205872903U (en) * 2016-08-10 2017-01-11 广东顺德东方麦田工业设计有限公司 Container fixed knot of bibbler constructs
CN106185064B (en) * 2016-08-27 2018-07-20 刘军 A kind of waterproof bubbler
CN106175492A (en) * 2016-09-19 2016-12-07 张民 Beer foaming machine and the method making foam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3691A (en) * 1991-02-04 1992-09-09 Daiichi Denki Kk Ultrasonic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froth of beer
JP2012144258A (en) 2011-01-06 2012-08-02 Tekkusu Iijii:Kk Whipping device for sparkling beverage contained in container
KR20160030293A (en) * 2013-07-12 2016-03-16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ou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505B1 (en) 2021-09-23
JP6536987B2 (en) 2019-07-03
CN110914192A (en) 2020-03-24
WO2019017434A1 (en) 2019-01-24
JPWO2019017434A1 (en) 2019-07-18
JP7098572B2 (en) 2022-07-11
CN110914192B (en) 2021-08-10
JP2019156494A (en)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4931A (e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WO2012093517A1 (en) Bubble producing device for effervescent beverage in container
JP6147014B2 (en) Foaming equipment for bottled sparkling beverages
CA2953330C (en) Vibrating glass massager
JP5774791B2 (en) Milk former
EP2832453A1 (en) Atomizer
MXPA03010358A (en) Bag-in-box beverage container.
US20110234973A1 (en) Glasses for prevention of sleepiness
CN105492370B (en) Foaming device and method for foaming beverage
US9173470B2 (en) Skin care device having function for moving vertically
JP2014203169A (en) Portable terminal
US11807840B2 (e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JP7298270B2 (en) Ultrasonic vibration imparting device
JP7310448B2 (en) Ultrasonic vibration applicator
JP2013121846A (en) Sparkling drink foaming device
JP6200704B2 (en) Effervescent beverage whipping equipment
JP6160890B1 (en) Liquid supply machine
JP2005000058A (en) Apparatus for foaming beer in container, using ultrasonic wave and method for foaming beer in container using the apparatus
WO2018163429A1 (en) Foaming apparatus
KR101768944B1 (en) Rechargeable ultrasonic cutting devices
JP2020104901A (en) Beer foaming device
JP2006034116A (en) Alcohol beverage aging equipment
CN213736701U (en) Packaging bottle with magnetic attraction structure at top
GB2499581A (en) A suction cup mounted holder for a vibrator
KR100748714B1 (en) Cell separatio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