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646A -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646A
KR20200024646A KR1020180101578A KR20180101578A KR20200024646A KR 20200024646 A KR20200024646 A KR 20200024646A KR 1020180101578 A KR1020180101578 A KR 1020180101578A KR 20180101578 A KR20180101578 A KR 20180101578A KR 20200024646 A KR20200024646 A KR 20200024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area
sub
item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1020B1 (ko
Inventor
이규원
조세나
백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10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0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콘텐츠 표시 영역과 항목 표시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는 메인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항목 표시 영역에는 상기 메인 콘텐츠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선택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그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 및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동시에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장치라고 한다면 댁내에 구비된 텔레비전을 들 수 있는데,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도 각종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방송 콘텐츠라는 것은 지상파 방송뿐만 아니라, VOD(Video On Demand)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송하는 콘텐츠 방송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런데 시청자들은 어느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보면서, 그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다른 방송 콘텐츠를 동시에 시청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일명 PIP(Picture in picture)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하나의 화면 안에 작은 화면을 띄워 활용하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복수 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인데, 종래에는 3 개 이상의 방송 콘텐츠를 표시함에 있어서 고정된 레이아웃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시청자가 직접 영상 배치 순서를 선택할 수 없었다.
더 나아가 따라 종래에는 복수 개의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시청자가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그 선택된 콘텐츠들이 화면상에 실제로 어떻게 배치 또는 보여질지를 미리 알려주는 기능이 없었다.
공개특허 제20-1998-00099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관련된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그 각각의 콘텐츠의 배치 순서 등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각각의 콘텐츠 선택 과정에서 추후 실제 보여질 화면 구성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디스플레이 영역을 콘텐츠 표시 영역과 항목 표시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는 메인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항목 표시 영역에는 상기 메인 콘텐츠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선택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그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 및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콘텐츠 표시 영역과 항목 표시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는 메인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항목 표시 영역에는 상기 메인 콘텐츠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선택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그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 및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시청자는 자신이 원하는 복수 개의 영상들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으면서도, 그 복수 개의 영상들의 배치 표시 순서 및 동시 재생 제어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복수 개의 영상들의 배치를 위한 선택 과정에서 미리 보기 가 가능하도록 하여, 콘텐츠 배치 상태 및 순서를 콘텐츠 선택 시점에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시스템 사양에 따라 자동으로 콘텐츠 표시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저사양 단말기에서도 콘텐츠 표시 과정에서 끊김이 발생하거나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콘텐츠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이도,
도 2는 도 1의 콘텐츠 표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도 6은 도 1의 콘텐츠 표시 장치의 처리 과정 중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는 각종 콘텐츠를 구비하고 이를 콘텐츠 표시 장치(100)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IPTV(Internet Protocol TV) 콘텐츠나 VOD(Video On Demand) 콘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넷 상의 서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지상파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국 서버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다양한 메인 콘텐츠들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이러한 복수의 메인 콘텐츠들에 각각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메인 콘텐츠와 그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들은 서로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영상 콘텐츠인 것을 일 예로 하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인 콘텐츠는 방송사에서 촬영한 영상에 해당하는 것이고, 그 메인 콘텐츠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는 방송사에 촬영하는 시점에 동일하게 제3자에 의해 촬영된 콘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소정의 콘텐츠를 표시하여 시청자들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콘텐츠를 표시한다는 것은 영상 콘텐츠의 경우에는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인 것을 일 예로 하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댁내에 구비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용 셋탑박스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콘텐츠 표시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20), 표시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부(110)와 콘텐츠 수신부(1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각종 콘텐츠가 표시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력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표시 장치(100)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므로 콘텐츠 표시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부(110)가 포함되어 있지만, 만일 콘텐츠 표시 장치(100)가 셋탑박스에 해당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콘텐츠 표시 장치(100)와 연결된 텔레비전에 해당할 수 있다.
콘텐츠 수신부(14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와 통신하여 각종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또는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콘텐츠 표시 장치(100)가 콘텐츠 제공 서버(200)와 통신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구비된 콘텐츠의 표시 제어만 수행하는 경우 콘텐츠 수신부(140)는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각종 입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소정의 버튼을 구비한 입력 패드 형태로 구성되거나, 리모트 컨트롤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더 나아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각종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가 영상 콘텐츠인 경우 각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30)는 콘텐츠 표시 영역이 기 설정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한 후, 해당 콘텐츠 표시 영역에 메인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콘텐츠 표시 영역은 시청자가 시청자는 각종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확대 화면 영역은 기 설정된 크기의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콘텐츠 표시 영역에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한다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 표시 영역이 축소된 상태가 아닌 확대된 크기를 갖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확대 화면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표시 영역 전체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콘텐츠 표시 영역이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표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콘텐츠 표시 영역과 항목 표시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표시 영역은 항목 표시 영역으로 인해 크기가 축소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된 위치와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터치 드래그에 대한 판단 결과 콘텐츠 표시 영역 중 기 설정된 특정 영역에서 시작하여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가 이루어진 경우 콘텐츠 표시 영역을 축소하면서 그 특정 영역에 소정의 항목 표시 영역(이하, '제1 항목 표시 영역'이라 함)이 배치되도록 한 후, 그 제1 항목 표시 영역에 제1 선택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좌측 영역에서 시작하여 우측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가 이루어진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콘텐츠 표시 영역을 축소하면서 그 좌측에 '제1 항목 표시 영역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고, 다른 예로써 콘텐츠 표시 영역 중 기 설정된 우측 영역에서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가 이루어진 경우 콘텐츠 표시 영역을 축소하면서 그 우측에 항목 표시 영역(이하, '제2 항목 표시 영역'이라 함)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를 든다면 표시 제어부(130)는 콘텐츠 표시 영역의 가로 길이의 중간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으로 구분하고, 그 중 좌측 영역에서 터치가 시작되어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가 이루어진 경우 상술한 제1 항목 표시 영역이 콘텐츠 표시 영역 좌측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고, 우측 영역에서 터치가 시작되어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가 이루어진 경우 상술한 제2 항목 표시 영역이 콘텐츠 표시 영역 우측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표시 제어부(130)는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 중 기 설정된 일부의 영역 내에서 터치가 시작되는 경우에만 상술한 기능(제1 항목 표시 영역 또는 제2 항목 표시 영역 표시)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제1 항목 표시 영역 또는 제2 항목 표시 영역을 표시한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선택 리스트를 해당 제1 항목 표시 영역 또는 제2 항목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데, 여기서 각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은 현재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는 메인 콘텐츠에 대응되는 것들이다.
예를 들어 메인 콘텐츠가 아이돌 가수 그룹이 노래하는 무대를 촬영한 영상이라고 가정하면, 표시 제어부(130)는 제1 항목 표시 영역에 메인 콘텐츠와 다른 각도로 촬영한 영상 콘텐츠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제1 선택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제2 항목 표시 영역에 각 멤버들을 개별적으로 촬영한 영상 콘텐츠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선택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되었다.
도 3은 콘텐츠 표시 영역이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하고 메인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좌측 영역(111)에서 시작하여 우측 방향으로 진행한 터치 드래그(1112)가 감지된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도 4(a)와 같이 콘텐츠 표시 영역의 크기를 줄인 후 그 좌측에 각도별 영상의 선택을 위한 제1 선택 리스트(3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제어부(130)는 콘텐츠 표시 영역의 크기를 줄이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며, 별도 상위 레이어로 좌측에 각도별 영상의 선택을 위한 제1 선택 리스트(310)를 반투명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우측 영역(112)에서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진행한 터치 드래그(1121)가 감지된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도 4(b)와 같이 콘텐츠 표시 영역의 크기를 줄인 후 그 우측에 멤버별 영상의 선택을 위한 제2 선택 리스트(3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부(130)는 콘텐츠 표시 영역의 크기를 줄이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며, 별도 상위 레이어로 우측에 각도별 영상의 선택을 위한 제2 선택 리스트(320)를 반투명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1 선택 리스트 또는 제2 선택 리스트가 표시된 이후, 사용자의 추가적인 터치 드래그를 감지한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그 제1 선택 리스트(310) 또는 제2 선택 리스트(320)를 제거(즉, 제1 항목 표시 영역 또는 제2 항목 표시 영역 제거)하고 콘텐츠 표시 영역을 원래대로 즉,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제1 선택 리스트(310) 또는 제2 선택 리스트(320)를 상위 레이어로 표시한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콘텐츠 표시 영역은 그대로 두고 그 제1 선택 리스트(310) 또는 제2 선택 리스트(320)만 제거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30)는 제1 선택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 항목 표시 영역 에서 시작하여 앞서 언급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1 항목 표시 영역을 제거하고 콘텐츠 표시 영역이 기 설정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130)는 제1 선택 리스트(310)가 표시된 경우에는, 콘텐츠 표시 영역 중 기 설정된 좌측 영역(일 예로 좌측 1/3 영역)에서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의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1 항목 표시 영역을 제거하고 콘텐츠 표시 영역이 기 설정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다른 예로써 제2 선택 리스트(320)가 표시된 경우에는, 콘텐츠 표시 영역 중 기 설정된 우측 영역(일 예로 우측 1/3 영역)에서 시작하여 우측 방향으로의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2 항목 표시 영역을 제거하고 콘텐츠 표시 영역이 기 설정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도 5에 도시되었다.
즉, 도 5(a)는 제1 선택 리스트(3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좌측 영역(좌측 영역 중 1/3 영역)(1131)에서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진행한 터치 드래그(11311)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제2 선택 리스트(32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우측 영역(우측 영역 중 1/3 영역)(1132)에서 시작하여 우측 방향으로 진행한 터치 드래그(11321)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처럼 도 5(a)의 터치 드래그가 감지된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도 3과 같은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1 항목 표시 영역 또는 제2 항목 표시 영역을 제거하는 것은 사용자가 각 영역에 포함된 항목(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을 선택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영역에 포함된 항목을 선택한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제1 선택 리스트(310) 가 표시된 이후 제1 선택 리스트(310)에 포함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현재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콘텐츠를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콘텐츠로 변경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선택된 항목이 메인 콘텐츠가 되는 것이다.
또한 표시 제어부(130)는 제2 선택 리스트(320) 가 표시된 이후 제2 선택 리스트(320)에 포함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현재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콘텐츠 표시가 유지되면서,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서브 콘텐츠로 하여 콘텐츠 표시 영역에 메인 콘텐츠 표시와 함께 추가되어 순차적으로 배치 및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 제어부(130)는 선택 리스트를 적어도 복수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선택리스트는 메인 콘텐츠 선택 항목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메인 콘텐츠 선택 항목이 선택되면,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콘텐츠를 선택된 메인 콘텐츠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동시에 표시 제어부(130)는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을 제공하는 선택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해당 선택리스트에 포함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그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콘텐츠 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 및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콘텐츠는 계속적으로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도 6에 도시되었다.
도 6에는 콘텐츠 표시 영역 우측 제2 항목 표시 영역에 멤버별 영상 콘텐츠 선택 항목들(321)이 표시된 상태가 나타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6(a)는 사용자가 멤버별 영상 콘텐츠 선택 항목을 아직 선택하기 전인 경우로서 콘텐츠 표시 영역에는 메인 콘텐츠(301)만이 표시되고 있고, 도 6(b)는 사용자가 멤버별 영상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첫 번째 멤버)(321)를 선택한 경우로서 선택한 멤버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3211)가 콘텐츠 표시 영역에 추가로 표시되고 있으며, 도 6(c)는 사용자가 멤버별 영상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추가로 다른 하나(세 번째 멤버)(323)를 선택한 경우로서 선택한 멤버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3231)가 콘텐츠 표시 영역에 추가로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콘텐츠 표시 영역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는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서브 콘텐츠가 추가될 때마다 기존의 콘텐츠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시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처음으로 멤버를 선택하였을 때(즉, 첫 번째 멤버를 선택하였을 때)는 콘텐츠 표시 영역에서 메인 콘텐츠의 표시 크기를 줄이고 그 오른쪽에 첫 번째 멤버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가 배치되도록 하고, 이후 추가적으로 멤버를 선택하였을 때(즉, 세 번째 멤버를 선택하였을 때)는 콘텐츠 표시 영역에서 메인 콘텐츠의 표시 크기와 첫 번째 멤버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가의 표시 크기를 모두 줄인 후 그 오른쪽에 세 번째 멤버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가 배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리스트에 포함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그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콘텐츠 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 및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표시 제어부(130)는 새로운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추가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의 세로 방향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서브 콘텐츠의 표시 크기를 결정하고, 콘텐츠 표시 영역 중 서브 콘텐츠 표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가로 방향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메인 콘텐츠의 표시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제어부는(130), 결정된 표시 크기에 따라 메인 콘텐츠 및 서브 콘텐츠를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해당 메인 콘텐츠 및 서브 콘텐츠의 가로와 세로 해상도 비율이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표시 제어부(130)는 서브 콘텐츠들의 크기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서브 콘텐츠들이 표시된 후의 나머지 콘텐츠 표시 영역의 가로 방향의 크기에 맞춰 메인 콘텐츠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표시 제어부(130)는 만일 서브 콘텐츠들이 표시된 후의 나머지 콘텐츠 표시 영역의 크기가 메인 콘텐츠의 최소 표시 크기 보다 작으면 메인 콘텐츠는 최소 표시 크기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이 경우 메인 콘텐츠를 서브 콘텐츠보다 상위 레이어로 하여 일부 겹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표시 제어부(130)는 새로운 서브 콘텐츠가 콘텐츠 표시 영역에 추가 배치 및 표시되는 경우 기존에 콘텐츠 표시 영역에 배치 및 표시되는 메인 콘텐츠 또는 서브 콘텐츠에 대한 재생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메인 콘텐츠 또는 서브 콘텐츠가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것인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새로운 서브 콘텐츠를 콘텐츠 표시 영역에 추가 배치 및 표시할 때, 이미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있던 메인 콘텐츠 또는 서브 콘텐츠에 대한 실시간 스트리밍 재생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끊김없는 방송이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을 기준으로 서브 콘텐츠를 배치하고 있지만, 그 반대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중요한 것은 서브 콘텐츠가 추가로 표시될 때마다 일관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과정과 마찬가지로 삭제 과정을 처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가 이미 선택된 항목을 다시 선택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콘텐츠 표시 영역에서 그 재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 번째 멤버에 대응되는 항목을 다시 선택하는 경우 도 6(b)와 같은 상태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이 선택될 때마다 그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가 순차적으로 콘텐츠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표시 제어부(130)는 이러한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자체 시스템 성능을 우선 판단할 수 있다.
즉, 표시 제어부(130)는 콘텐츠 표시 영역에 상기 메인 콘텐츠와 어느 하나의 서브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또 다른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자체 시스템 성능을 우선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자체 시스템 성능이 고사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만 상술한 처리 즉, 새로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가 기존의 서브 콘텐츠 다음 위치에 배치 및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자체 시스템 성능 판단 결과 시스템 성능이 저사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130)는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었던 기존의 서브 콘텐츠를 제거하고 새로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시청자는 오직 메인 콘텐츠와 어느 하나의 서브 콘텐츠만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콘텐츠 표시 장치(100) 사양이 저사양(예를 들어 프레임 버퍼 용량이 작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클럭이 낮은 경우 등)인 경우에 동시에 많은 콘텐츠를 재생하게 되면 각 콘텐츠 재생이 중간에 끊기거나 멈출 수 있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시스템 사양을 파악하여 처리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시스템 성능을 판단함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130)는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시스템 스펙을 확인하거나, 또는 해당 콘텐츠 표시 장치(100)의 고유 아이디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 이후 그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확인할 수 있다. 즉 표시 제어부(130)는 그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표시 영역에 동시에 표시될 서브 콘텐츠 수를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표시 제어부(130)는 실시간 콘텐츠 재생 과정을 통해 획득한 처리 시간을 기초로 시스템 성능을 확인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메인 콘텐츠 재생시 또는 메인 콘텐츠와 어느 하나의 서브 콘텐츠 재생시 영상 처리를 위한 프레임 버퍼의 실시간 소모량을 기준으로 해당 콘텐츠 표시 장치(100)가 고사양인지 저사양인지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영상 처리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 프레임 버퍼에 영상 데이터가 많이 남아 있지 않게 되므로, 그 프레임 버퍼에서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 잔여량을 기초로도 시스템 사양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리스트에 포함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그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제어부(130)는 서브 콘텐츠 요청에 대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에러 메시지(일 예로 동시 접속 세션 초과 에러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항목 표시 영역 및 콘텐츠 표시 영역에서의 서브 콘텐츠를 제거하고 콘텐츠 표시 영역이 기 설정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콘텐츠에 대한 과도한 접속 요청으로 인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부하가 발생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동시 접속 세션 초과 에러 메시지를 콘텐츠 표시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별도 선택이 없더라도 항목 표시 영역 및 콘텐츠 표시 영역에서의 서브 콘텐츠를 제거하여 결국 메인 콘텐츠만이 콘텐츠 표시 영역(확대 화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동시 접속 세션 초과가 발생한 경우 서브 콘텐츠는 제대로 수신이 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불필요한 화면 구성을 유지하기 보다는 메인 콘텐츠라도 제대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황은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가 서로 다른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되거나 또는 동일한 콘텐츠 제공 서버(200)라도 메인 콘텐츠 제공 채널과 서브 콘텐츠 제공 채널이 구분될 때 발생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콘텐츠 표시 영역에 상기 메인 콘텐츠와 어느 하나의 서브 콘텐츠가 동시에 재생 중에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가 동기화되어 재생되도록 추가적인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콘텐츠가 공연 영상에 대한 실시간 라이브 중계일 경우, 메인 콘텐츠에는 공연 맴버 전체 영상이 재생되고, 서브 콘텐츠로써 공연 맴버 각각의 영상이 동시에 재생될 수 있는데,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공연 맴버 공연이 종료되면, 표시 제어부(130)는 별도의 사용자의 선택이 없더라도 콘텐츠 표시 영역에 메인 콘텐츠만이 재생되도록 하고, 서브 콘텐츠는 제거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콘텐츠 표시 영역에 서브콘텐츠와 함께 축소되어 표시되었던 메인 콘텐츠가 사용자의 별도 선택이 없더라도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표시 영역 전체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메인 콘텐츠 및 서브 콘텐츠가 VOD 영상이고, 메인 콘텐츠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콘텐츠가 콘텐츠 표시 영역에서 동시에 동기화하여 재생 중일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에게 단일 재생 콘트롤 메뉴(미 도시함)를 제공할 수 있다.
단일 재생 콘트롤 메뉴는 제1 선택 리스트(310) 또는 제2 선택 리스트(320) 와 유사하게 콘텐츠 표시 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위 레이어로 반투명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단일 재생 콘트롤 메뉴로 일시 정지 메뉴를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해당 메뉴의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현재 콘텐츠 표시 영역에 재생 중인 메인 콘텐츠와 하나 이상의 서브 콘텐츠가 동시에 일시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단일 재생 콘트롤 메뉴로 일시 정지 후 재생, 빨리 감기, 뒤로 감기 메뉴도 마찬가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한번 입력으로 현재 콘텐츠 표시 영역에 재생 중인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에 대한 동시 재생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표시 제어부(130)는 단일 재생 콘트롤 메뉴로 추가음원소스 선택 메뉴(미 도시함)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추가음원소스 선택 메뉴 선택이 없는 경우에는 메인 콘텐츠가 재생 중에는 일반적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기본 음원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만일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추가음원소스 선택 메뉴가 선택되면, 메인 콘텐츠가 재생 중에 기본 음원과 상이한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추가 음원(상술한 기본 음원과는 구별되는 별도의 음원)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추가 음원은 메인 콘텐츠가 촬영되는 장소에 별도 설치되는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현장음에 기초하여 기본 음원 보다 공연 현장의 소리가 강조된 음원일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메인 콘텐츠가 재생 중에 기본 음원이 재생될지 또는 추가 음원이 재생될지는 메인 콘텐츠와 동시에 재생되는 서브 콘텐츠의 추가 또는 변경과 무관하게 단일 재생 콘트롤 메뉴의 추가음원소스 선택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사항에 의해서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추가 음원이 재생 중에 사용자의 별도 선택이 없더라도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시점에 추가 음원이 아닌 기본 음원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장치(10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7에는 콘텐츠 표시 장치(100)의 전체적인 제어과정이 나타나 있다.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콘텐츠 표시 영역을 확대 화면 영역(일 예로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하고 그 콘텐츠 표시 영역에 메인 콘텐츠를 표시한다(단계 S1).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를 감지한 경우(단계 S3),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콘텐츠 표시 영역을 축소하고 항목 표시 영역을 추가적으로 표시한다(단계 S5).
이때 콘텐츠 표시 영역에는 여전이 메인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이고, 항목 표시 영역에는 선택 리스트를 표시한다(단계 S7).
사용자가 선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때마다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그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콘텐츠 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 및 표시한다(단계 S9). 이때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서브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은 일종의 미리보기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즉, 서브 콘텐츠의 배치 순서, 메인 콘텐츠 및 서브 콘텐츠의 표시 크기 등을 사용자(시청자)가 미리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선택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터치 선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사용자의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한 선택이 종료된 경우(예를 들어 항목 표시 영역 제거 명령 감지한 경우)(단계 S11)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콘텐츠 표시 영역이 원래대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한다(단계 S13).
이 경우 풀 화면에서 메인 콘텐츠와 앞서 선택한 순서대로 배치된 서브 콘텐츠가 표시되게 된다.
도 8은 도 7의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단계 S3) 처리 과정의 구체적인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를 감지한 경우(단계 S21)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해당 터치 드래그가 화면 좌측 영역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한 것인 경우(단계 S23) 콘텐츠 표시 영역을 축소함과 아울러 그 좌측에 각도별 영상 선택 리스트를 표시한다(단계 S25).
만일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가 화면 우측 영역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한 것인 경우(단계 S27)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콘텐츠 표시 영역을 축소함과 아울러 그 좌측에 멤버별 영상 선택 리스트를 표시한다(단계 S29).
이처럼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의 시작 위치와 드래그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위치에 각기 다른 종류의 선택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권 및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7에서 사용자가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을 선택할 때의 구체적인 처리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질 때마다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해당하는 서브 콘텐츠를 요청한다(단계 S31).
이러한 요청에 대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서브 콘텐츠가 수신된 경우(단계 S33) 콘텐츠 표시 장치(100)는 그 수신된 서브 콘텐츠를 콘텐츠 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 및 표시한다(단계 S35).
한편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동시에 여러 가입자로부터 서브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있어서 더 이상의 수용이 불가능한 경우 동시 접속 세션 초과 에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데, 콘텐츠 표시 장치(100)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이러한 에러 메지시를 수신한 경우에는(단계 S37) 항목 표시 영역 및 콘텐츠 표시 영역에서의 서브 콘텐츠를 제거하고(단계 S39) 에러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S41). 이때 콘텐츠 표시 영역은 원래 상태(항목 표시 영역이 배치되기 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브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메인 콘텐츠를 보다 큰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콘텐츠 표시 영역이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선택 또는 터치 드래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각종 선택 또는 요청이 반드시 터치에 기반하여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버튼 또는 리모컨 조작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사용자 편의성과 신속한 반응 및 처리를 고려한다면 터치 동작에 기반한 처리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시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콘텐츠 표시 장치 200 : 콘텐츠 제공 서버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사용자 입력부
130 : 표시 제어부 140 : 콘텐츠 수신부

Claims (22)

  1. (a) 디스플레이 영역을 콘텐츠 표시 영역과 항목 표시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는 메인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항목 표시 영역에는 상기 메인 콘텐츠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선택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b)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그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 및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새로운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추가할 때마다 기존에 표시되고 있던 상기 메인 콘텐츠 또는 다른 서브 콘텐츠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상기 메인 콘텐츠와 어느 하나의 서브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또 다른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자체 시스템 성능을 판단하는 단계와;
    (b2) 상기 (b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자체 시스템 성능이 저사양이라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었던 기존의 서브 콘텐츠를 제거하고 상기 새로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b3) 상기 (b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자체 시스템 성능이 고사양이라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새로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가 기존의 서브 콘텐츠 다음 위치에 배치 및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이 기 설정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한 후 해당 콘텐츠 표시 영역에 상기 메인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터치된 위치와 드래그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a2) 상기 (a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중 기 설정된 특정 영역에서 시작하여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을 축소하면서 그 상기 특정 영역에 제1 항목 표시 영역이 배치되도록 한 후, 상기 제1 항목 표시 영역에 제1 선택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c) 상기 제1 선택 리스트가 표시된 경우, 상기 제1 항목 표시 영역 에서 시작하여 상기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항목 표시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이 기 설정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그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하되,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에러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항목 표시 영역 및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서의 서브 콘텐츠를 제거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이 기 설정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새로운 서브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추가 배치 및 표시되는 경우 기존에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배치 및 표시되는 메인 콘텐츠 또는 서브 콘텐츠는 그 재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텐츠 또는 서브 콘텐츠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새로운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추가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의 세로 방향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서브 콘텐츠의 표시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중 상기 서브 콘텐츠 표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가로 방향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콘텐츠의 표시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결정된 표시 크기에 따라 상기 메인 콘텐츠 및 상기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해당 메인 콘텐츠 및 서브 콘텐츠의 가로와 세로 해상도 비율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13.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디스플레이 영역을 콘텐츠 표시 영역과 항목 표시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는 메인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항목 표시 영역에는 상기 메인 콘텐츠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선택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그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 및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새로운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추가할 때마다 기존에 표시되고 있던 상기 메인 콘텐츠 또는 다른 서브 콘텐츠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상기 메인 콘텐츠와 어느 하나의 서브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또 다른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자체 시스템 성능을 우선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자체 시스템 성능이 저사양이라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었던 기존의 서브 콘텐츠를 제거하고 상기 새로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해당 판단 결과 자체 시스템 성능이 고사양이라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새로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가 기존의 서브 콘텐츠 다음 위치에 배치 및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콘텐츠 표시 영역이 기 설정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한 후, 해당 콘텐츠 표시 영역에 상기 메인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터치된 위치와 드래그 방향을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중 기 설정된 특정 영역에서 시작하여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을 축소하면서 그 상기 특정 영역에 제1 항목 표시 영역이 배치되도록 한 후, 상기 제1 항목 표시 영역에 제1 선택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선택 리스트가 표시된 경우에는, 상기 제1 항목 표시 영역 에서 시작하여 상기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항목 표시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이 기 설정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 리스트에 포함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그 선택된 서브 콘텐츠 선택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하되,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에러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항목 표시 영역 및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서의 서브 콘텐츠를 제거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이 기 설정된 확대 화면 영역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새로운 서브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추가 배치 및 표시되는 경우 기존에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배치 및 표시되는 메인 콘텐츠 또는 서브 콘텐츠에 대한 재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텐츠 또는 서브 콘텐츠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추가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의 세로 방향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서브 콘텐츠의 표시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중 상기 서브 콘텐츠 표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가로 방향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콘텐츠의 표시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표시 크기에 따라 상기 메인 콘텐츠 및 상기 서브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해당 메인 콘텐츠 및 서브 콘텐츠의 가로와 세로 해상도 비율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장치.
KR1020180101578A 2018-08-28 2018-08-28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3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578A KR102231020B1 (ko) 2018-08-28 2018-08-28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578A KR102231020B1 (ko) 2018-08-28 2018-08-28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646A true KR20200024646A (ko) 2020-03-09
KR102231020B1 KR102231020B1 (ko) 2021-03-24

Family

ID=6980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578A KR102231020B1 (ko) 2018-08-28 2018-08-28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02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974U (ko) 1996-07-31 1998-04-30 배순훈 두 대의 텔레비젼 수상기를 이용한 pip 동작제어장치
KR20070006318A (ko) * 2005-07-08 2007-01-11 주식회사 케이티 화상회의 시스템 및 화상회의 제공 방법
KR20110034759A (ko) * 2009-09-29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25929A (ko) * 2010-09-08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50050909A (ko) *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촬영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촬영 단말기와 통신하는 그룹 영상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50102621A (ko) * 2014-02-28 2015-09-07 이성호 분할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974U (ko) 1996-07-31 1998-04-30 배순훈 두 대의 텔레비젼 수상기를 이용한 pip 동작제어장치
KR20070006318A (ko) * 2005-07-08 2007-01-11 주식회사 케이티 화상회의 시스템 및 화상회의 제공 방법
KR20110034759A (ko) * 2009-09-29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25929A (ko) * 2010-09-08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50050909A (ko) *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촬영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촬영 단말기와 통신하는 그룹 영상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50102621A (ko) * 2014-02-28 2015-09-07 이성호 분할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020B1 (ko)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31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8625180B2 (en)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selecting a display image from multiple images
US20100122177A1 (e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content reproduction/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KR20100036664A (ko) 영상 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26346A (ko) 해상도 선택 메뉴 제공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KR101913254B1 (ko)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US9264776B2 (en) Apparatus of rendering user interface for playing broadcast programs and the method thereof
JP7131383B2 (ja) 情報処理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5096626A1 (zh) 智能电视中的3d设置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163895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방송예약방법
KR102231020B1 (ko)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39331B1 (ko) 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장치, 서버 및 방법
JP2008122507A (ja) 画面表示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osd表示方法
CN117859331A (zh) 显示设备、终端设备及内容显示方法
KR10151883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KR10151882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JP6289898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4649530B1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102279404B1 (ko) 콘텐츠 수신 및 재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88658B1 (ko) 컨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값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JP5403208B2 (ja) 広告再生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JP2019036787A (ja) 情報処理装置、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CN116366905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7782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726709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