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759A -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759A
KR20110034759A KR1020090092172A KR20090092172A KR20110034759A KR 20110034759 A KR20110034759 A KR 20110034759A KR 1020090092172 A KR1020090092172 A KR 1020090092172A KR 20090092172 A KR20090092172 A KR 20090092172A KR 20110034759 A KR20110034759 A KR 20110034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creen
portable terminal
pip func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759A/ko
Priority to US12/893,199 priority patent/US20110075031A1/en
Publication of KR2011003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간단한 터치 드래그를 통해 부 화면을 통한 디지털 방송 재생, 재생 종료, 채널 그룹 관리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 재생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드래그 앤 드랍을 이용하여 PIP 기능, 채널 그룹 관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방송, PIP, 화면 분할, 채널 변경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간단한 터치 드래그를 통해 부 화면을 통한 디지털 방송 재생, 재생 종료, 채널 그룹 관리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 재생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게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의 그 활용 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사용자의 욕 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더욱이 최근 디지털 방송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방송의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됨으로써 이동중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재생 중인 주 화면의 일 부분을 부 화면으로 사용하여 주 화면과 다른 별도의 화면을 재생하도록 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PIP 기능은 주 화면에 또 하나의 부 화면을 동시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타 채널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는 편의와 현재 재생중인 채널의 변경없이 타 채널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PIP 기능은 현재 출력중인 주 화면에서 메뉴 선택을 위한 화면을 출력한 후, PIP 기능을 수행하거나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을 선택해야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현재 시청하는 화면 일부분을 상기 메뉴 선택을 위한 화면으로 가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PIP 기능을 수행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 설정된 채널의 화면을 시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이 아닐 경우, 원하는 채널을 선택해야 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제어 절차를 줄임으로써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드래그를 이용하여 PIP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으로 채널 그룹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주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드래그 앤 드랍을 이용하여 PIP 기능, 채널 그룹 관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주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드래그 앤 드랍을 이용하여 PIP 기능, 채널 그룹 관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드래그를 이용하여 PIP 기능을 제어하는 절차를 줄임으로써,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터치 입력으로 PIP 기능을 실행 종료함으로써,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하는 별도의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없이 PIP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드래그를 이용하여 PIP 기능을 제어하는 절차를 줄임으로써,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기능 판단부(102), 메모리부(104), 터치 관리부(106), 표시부(108) 및 통신부(110)를 포함하 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PIP 기능을 제어하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감지한 터치 입력에 따라 PIP 기능을 수행, 제어하도록 하거나 또는 채널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별도의 메뉴 선택 과정없이 PIP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튼 드래그를 감지할 경우, 상기 감지한 채널 버튼에 해당하는 채널을 부 화면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PIP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부 화면을 터치하여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PIP 기능을 종료하도록 하여 상기 부 화면을 통한 방송 출력을 종료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기능 판단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PIP 기능 제어 입력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기능 판단부(102)는 상기 터치 관리부(106)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PIP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종료 할 것인지, 또는 채널 정보를 관리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104)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및, 상기 기능 판단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터치 관리부(106)는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상기 터치 관리부(106)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할 경우, 터치 입력이 발생한 해당 지점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100) 또는 상기 기능 판단부(102)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 관리부(106)가 해당 지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해당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08)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표시부(108)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08)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08)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 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 판단부(102)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드래그를 이용하여 PIP 기능을 제어하는 절차를 줄임으로써,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한 터치 입력을 통해 별도의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없이 PIP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먼저 201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시청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201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시청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2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201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시청 이벤트가 발생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PIP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채널 변경을 수행할 것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PIP 기능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화면에 출력된 채널 버튼을 드래그하여 요청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채널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할 경우, 해당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수행하고, 상기 채널 버튼을 터치한 상태로 특정 위치로 드래그할 경우, 해당 채널의 화면을 부화면으로 출력하는 PIP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만일, 상기 203단계에서 PIP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채널 변경을 수행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채널 버튼을 입력하여 채널 변경을 수행하도록 한 후, 상기 203단계의 과정을 재 수행한다.
한편, 상기 203단계에서 PIP 기능을 수행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채널 버튼을 부 화면으로 드래그 시킨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한 채널 버튼에 해당하는 채널을 부 화면으로 재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상기 PIP 기능을 시작하여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PIP 기능 수행시 디폴드로 설정된 채널로의 시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PIP 기능을 수행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207단계로 진행하 여 PIP 기능을 종료할 것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207단계에서 PIP 기능을 종료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203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207단계에서 PIP 기능을 종료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PIP된 화면 즉, 상기 부 화면에 출력된 방송을 채널 버튼이 있던 자리로 드래그하여 PIP 기능을 종료하도록 처리한다.
즉, 본 발명은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에 해당하는 버튼을 PIP 화면으로 드래그하여 PIP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PIP 화면에 출력된 방송을 터치하여 미리 정한 위치로 드래그함으로써 PIP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301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시청 요청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301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시청 요청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301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시청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채널 버튼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기 채널 버튼은 각각의 채널을 선택하는 버튼으로 사용자는 해 당 버튼을 터치하여 해당 버튼에 대한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해당하는 채널을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메인 화면의 일정 영역에 채널 버튼을 출력하거나 상기 303단계와 같이 채널 버튼을 포함하는 주 화면을 출력(채널 버튼과 주화면을 동시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출력중인 채널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채널 버튼의 입력은 해당 버튼에 대한 채널을 선택하는 입력과, 상기 채널 버튼을 드래그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을 부 화면으로 재생하도록 하는 입력을 포함한다.
만일, 상기 305단계에서 채널 버튼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3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하여 현재 시청중인 채널을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305단계에서 채널 버튼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5단계에서 감지한 채널 버튼의 입력이 상기 채널 버튼을 드래그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을 부 화면으로 재생하도록 하는 PIP 기능 요청인지 확인한다.
만일, 307단계에서 PIP 기능 요청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채널 버튼에 해당하는 채널을 부 화면으로 재생하도록 처리한 후, 상기 305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307단계에서 PIP 기능 요청이 아님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버튼에 대한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변경 요청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313단계에서 채널 변경 요청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출력중인 채널을 사용자가 입력한 채널 버튼에 해당하는 채널로 변경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313단계에서 채널 변경 요청이 아님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IP 기능 종료를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PIP 기능 종료를 요청하는 입력은 PIP 기능 수행으로 출력된 부 화면을 드래그하여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315단계에서 PIP 기능 종료를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5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315단계에서 PIP 기능 종료를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할 경우, 다시 말해서 부 화면에 출력된 화면을 터치하여 미리 정한 위치(PIP 종료 버튼)로 드래그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어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PIP 기능을 온 오프 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을 제공할 경 우, 410과 같이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버튼(402)을 함께 출력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의 출력과 동시에 상기 채널 버튼을 주 화면에 함께 출력하거나 상기 디지털 방송의 출력 중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 채널 버튼을 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PIP 기능을 수행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라 PIP 화면으로 재생하도록 하고자 하는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 버튼을 현재 디지털 방송을 출력하는 화면(410)으로 드래그(412)하도록 처리한다.
이는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별도의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메인 화면을 터치하여 채널 변경을 위한 메뉴를 출력한 후, 해당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을 PIP 화면에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화면을 4등분(영역 1 ~ 영역 4)하여 부 화면의 위치를 분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채널 버튼을 원하는 위치에 드래그하여 해당 위치에서 PIP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부 화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PIP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PIP 기능을 종료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부 화면에 재생중인 화면(420)을 터치하여 채널 버튼이 위치한 위치로 드래그(422)함으로써, PIP 기능을 종료하고, 주 화면만 재생하도록 처리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PIP 기능을 통한 채널 검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PIP 기능을 통한 채널 검색시 디지털 방송이 출력되는 주 화면(430)에 터치가 발생함을 확인할 경우, 채널 버튼을 출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든 채널, 구매 채널, 선호 채널1, 2와 같이 사용자가 정의한 채널 그룹의 리스트(431)를 먼저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채널 그룹 리스트를 PIP 기능을 위한 부 화면 위치(433)에 드래그하여 해당 채널 그룹 리스트에 등록된 채널만 검색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검색을 수행하고자 하는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주 화면에 모든 채널, 구매 채널, 선호 채널 1, 2와 같은 채널 그룹 리스트를 출력한 후, 사용자가 검색하기 위한 채널 그룹의 선택을 감지한다.
만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구매 채널 그룹에 대하여 채널 검색을 수행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구매 채널에 포함된 채널 정보(442)를 주 화면(440)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구매 채널 그룹에 포함된 채널을 선택하여 부 화면(444)으로 드래그함으로써 PIP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443)한다. 상기와 같은 구매 채널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출력한 후 이전 그룹 채널 리스트를 확인할 경우, 사용자는 구매 채널 리스트로 돌아가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이전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라 해당 채널 그룹에 포함된 채널의 방송을 순차적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채널 그룹에 등록된 채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채널 그룹을 관리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채널 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그룹을 관리하기 위하여 주 화면 또는 부 화면을 통한 디지털 방송을 출력할 경우, 채널 그룹 리스트를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널 그룹 관리는 채널 검색을 위한 채널 그룹 리스트가 출력된 상황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채널 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채널 그룹을 선택할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그룹에 포함된 채널 정보가 출력되게 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해당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 검색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해당 채널 그룹에 포함된 채널을 삭제할 경우, 상기 채널 그룹에 포함된 채널 정보 가운데 삭제하고자 하는 채널의 채널 버튼을 휴지통과 같은 아이콘 삭제 영역으로 드래그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주 화면(450)을 통해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는 중 채널 4를 삭제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채널 4 버튼을 터치한 상태로 휴 지통 아이콘으로 드래그(452)함으로써 해당 채널 그룹의 채널 정보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주 화면 또는 부 화면으로 재생되는 디지털 방송의 채널을 채널 그룹로 드래그하여 해당 채널 그룹으로 채널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현재 출력중인 디지털 방송(460)의 채널을 선호 채널 1로 추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현재 주 화면에 출력중인 채널을 터치하여 선호 채널 1에 해당하는 채널 그룹으로 드래그(462)함으로써, 선호 채널 1의 채널 정보를 변경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PIP 기능을 온 오프 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PIP 기능을 통한 채널 검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및,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채널 그룹을 관리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Claims (12)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주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드래그 앤 드랍을 이용하여 PIP 기능, 채널 그룹 관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화면에 채널 변경을 위한 채널 버튼을 출력한 후, 상기 채널 버튼을 부 화면의 위치에 드래그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PIP 기능을 실행하여 부 화면을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 화면은,
    상기 드래그한 채널 버튼에 해당하는 채널의 디지털 방송을 출력하는 화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 화면은,
    상기 주 화면을 다 수개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한 영역 가운데 어느 한 가지를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IP 기능을 실행하여 출력중인 부 화면을 드래그할 경우, 상기 PIP 기능을 종료하도록 처리함으로써 상기 PIP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력 중인 주 화면을 드래그할 경우, 채널 그룹을 구성하는 채널을 추가하거나 삭제함으로써 상기 채널 그룹 관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주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드래그 앤 드랍을 이용하여 PIP 기능, 채널 그룹 관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앤 드랍을 이용하여 PIP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주 화면에 채널 변경을 위한 채널 버튼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버튼을 부 화면의 위치에 드래그하여 상기 PIP 기능을 실행하여 부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 화면은,
    상기 드래그한 채널 버튼에 해당하는 채널의 디지털 방송을 출력하는 화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 화면은,
    상기 주 화면을 다 수개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한 영역 가운데 어느 한 가지를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앤 드랍을 이용하여 PIP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PIP 기능을 실행하여 출력중인 부 화면을 드래그하여 상기 PIP 기능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그룹 관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은,
    출력 중인 주 화면을 드래그하여 채널 그룹을 구성하는 채널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092172A 2009-09-29 2009-09-29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34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172A KR20110034759A (ko) 2009-09-29 2009-09-29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2/893,199 US20110075031A1 (en) 2009-09-29 2010-09-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172A KR20110034759A (ko) 2009-09-29 2009-09-29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759A true KR20110034759A (ko) 2011-04-06

Family

ID=4377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172A KR20110034759A (ko) 2009-09-29 2009-09-29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75031A1 (ko)
KR (1) KR201100347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959A (ko) * 2015-03-31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70087269A (ko) * 2016-01-20 2017-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4646A (ko) * 2018-08-28 2020-03-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555B1 (ko) * 2010-11-29 201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40011857A (ko) * 2012-07-20 2014-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102153366B1 (ko) * 2013-08-30 2020-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150077774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KR102208438B1 (ko) * 2014-11-26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92649B1 (ko) * 2016-09-21 2023-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597427B (zh) * 2019-09-10 2021-07-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8043A (en) * 1996-08-14 1999-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V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customized lists of programming
US6563547B1 (en) * 1999-09-07 2003-05-13 Spotwar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television picture within another displayed image
US6507349B1 (en) * 2000-01-06 2003-01-14 Becomm Corporation Direct manipulation of displayed content
US20080001773A1 (en) * 2006-06-29 2008-01-03 X10 Ltd. Programmable remote control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817315B1 (ko) * 2006-09-2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그의 pip 화면 제어 방법
KR100842570B1 (ko) * 2006-11-03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US20080295012A1 (en) * 2007-05-23 2008-11-27 Microsoft Corporation Drag-and-drop abstraction
KR101333065B1 (ko) * 2007-07-04 201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속 화면을 이용한 방송데이터 표시방법 및 장치
US9357262B2 (en) * 2008-09-30 2016-05-31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control of picture-in-picture windows
US8397262B2 (en) * 2008-09-30 2013-03-12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control of user interface features in a television receiver
KR20100039622A (ko) * 2008-10-08 2010-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100083641A (ko) * 2009-01-14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장치,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959A (ko) * 2015-03-31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70087269A (ko) * 2016-01-20 2017-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4646A (ko) * 2018-08-28 2020-03-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5031A1 (en)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475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02119B2 (en) Video play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10085019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856583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1040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6027599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284671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276241A1 (en) Mobile terminal and multimedia contents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20081287A1 (en)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controlling method therein
CN110166794B (zh) 一种直播音频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2905089B (zh) 设备控制方法及装置
USRE44989E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streaming service of portable devices
US1040208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304109A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92134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in mobile terminal
US8396412B2 (en) Mobile terminal and broadcas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30000142A (ko) 방송 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KR20120067078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663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채널 전환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US201200599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wnload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US8571590B2 (en) Mobile terminal that displays obtained broadcast service identity information when broadcast service guide is not available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100735255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디지털방송 수신장치
KR10162378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CN116668772A (zh) 多媒体数据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0002621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