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523A -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523A
KR20200024523A KR1020180101309A KR20180101309A KR20200024523A KR 20200024523 A KR20200024523 A KR 20200024523A KR 1020180101309 A KR1020180101309 A KR 1020180101309A KR 20180101309 A KR20180101309 A KR 20180101309A KR 20200024523 A KR20200024523 A KR 20200024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display
manufacturing
masking
side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수
강권학
박세문
Original Assignee
이피네트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네트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피네트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1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4523A/ko
Priority to PCT/KR2019/008172 priority patent/WO2020045817A1/ko
Publication of KR2020002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곡면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은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곡면형 디스플레이 제조 시, 식각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단 한번의 식각 공정을 통해 곡면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에,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식각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휨성을 잘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식각함으로써, 원하는 두께로 식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WITH CURVED SHAPE AND DISPLAY WITH CURVED SHAPE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곡면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달하판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있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의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은 두 기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유전율 이방성(dielectric anisotropy)을 갖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휴대가 간편한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FPD)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서, 이 중에서도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스위칭 소자로 이용한 TFT-LCD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액정 패널의 두 기판 중 하부의 기판에는 복수의 표시 신호선, 즉 게이트선과 데이터선,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되며, 두 기판 중 상부의 기판에는 색 필터(color filter)와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 패널은 통상 평평한 형태로 제조되므로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필요한 경우 통상적인 평평한 액정 패널이 사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공개특허 제10-2012-0013265호가 있다.
또한, 액정 패널의 유리 기판 대신에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기판을 채용하여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플렉서블 액정 패널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플렉서블 액정 패널은 제조 과정이 어렵고 제조 원가가 비싼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제조 과정이 수월하고, 제조 원가가 저렴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곡면형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수 있는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곡면형 디스플레이 제조 시, 파손을 줄일 수 있는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식각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휨성을 잘 유지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식각함으로써, 원하는 두께로 식각이 가능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형 디스플레이로 제조하기 위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판,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제1측 방향으로 탭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소정 부분부터 상기 제1측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까지 이어지는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은 포함하지 않고, 상기 탭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판의 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탭의 상하면을 액상의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선별적으로 실링하는 1차 실링 단계; 상기 1차 실링 단계에서 실링되지 않은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은 제외하고,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로 실링된 영역 및 상기 부착된 탭을 마스킹 부재로 마스킹 하는 단계; 상기 1차 실링 단계에서 실링되지 않은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은 제외하고, 상기 마스킹 부재에 의해 마스킹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 위를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실링하는 2차 실링 단계; 상기 마스킹된 부분 및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로 실링된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 단계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마스킹 부재 및 경화된 액상의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으로 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형 디스플레이로 제조하기 위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판,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제1측 방향으로 탭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소정 부분부터 상기 제1측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까지 이어지는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은 포함하지 않고, 상기 탭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판의 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탭의 상하면을 마스킹 부재로 마스킹 하는 1차 마스킹 단계; 상기 1차 마스킹 단계에서 마스킹 되지 않은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은 제외하고, 상기 1차 마스킹 단계에서 마스킹된 영역이 덮여지도록 액상의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실링하는 단계; 상기 1차 마스킹 단계에서 마스킹 되지 않은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은 제외하고,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로 실링된 영역 및 상기 부착된 탭을 마스킹 부재로 마스킹 하는 2차 마스킹 단계; 상기 마스킹된 부분 및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로 실링된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 단계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마스킹 부재 및 경화된 액상의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으로 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형 디스플레이로 제조하기 위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판,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제1측 방향으로 탭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소정 부분부터 상기 제1측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까지 이어지는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은 포함하지 않고, 상기 탭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판의 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탭의 상하면 및 상기 부착된 탭을 마스킹 부재로 마스킹 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 단계에서 마스킹 되지 않은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은 제외하고, 상기 마스킹 단계에서 마스킹된 영역이 덮여지도록 액상의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실링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된 부분 및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로 실링된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 단계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마스킹 부재 및 경화된 액상의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으로 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은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곡면형 디스플레이 제조 시, 식각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단 한번의 식각 공정을 통해 곡면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에,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식각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휨성을 잘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식각함으로써, 원하는 두께로 식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탭이 부착된 측면과 이웃한 측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1차 실링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마스킹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2차 실링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식각 단계를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식각 단계 후, 실링재 및 마스킹 부재가 제거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실링 및 마스킹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실링 및 마스킹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각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은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의 곡면 형태의 곡면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LCD 패널, 유기 전계발광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LCD 패널의 경우에는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존재하고, 유기 전계발광 패널의 경우에는 기판 사이에 유기 발광층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그리고, 제1 기판(110)과 제2기판(120)의 사이에 위치되는 액정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LCD 패널일 수 있으며, LCD 패널에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탭(150, Tap)이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중 어느 하나가 박막 트렌지스터 기판인 경우, 다른 하나는 컬러 필터 기판일 수 있으며, 액정층(130)은 수직 또는 수평을 배향되어 있는 고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컬러 필터 기판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필터들이 서로 겹쳐져 라미네이트(laminate)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의 사이에는 액정층(130)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재(미도시)로 밀봉될 수 있다.
한편, 탭(150)은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중 박막 트렌지스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일 수 있으며, 탭(150)은 필름 형태로 플렉시블하게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탭(150)에는 IC가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탭(150)은 전극의 끝단에 구비되어 박막 트레지스터 기판을 제어하는 각종 반도체와 전기소자들로 구성된 회로기판(1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LCD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PLASMA, OLED, PLED 등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편광필름(POL,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편광필름은 제1 기판(110) 또는 제2 기판(120)에 접착되거나 적층된 형태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탭이 부착된 측면과 이웃한 측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액정층(130) 아래에 위치한 하판은 제1기판(110)이고, 액정층(130) 위에 위치한 상판은 제2기판(120)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제1기판(110)은 박막 트렌지스터 기판이고, 상기 제2기판(120)은 컬러 필터 기판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는 T로 표기한다. 상기 T는 식각 공정 이전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액정층(130)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는 식각액의 침투를 막기 위해 액정층(130)의 가장자리 부분이 액상의 경화 수지(140)를 이용하여 실링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는 UV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레진은 젤 타입의 경화용 본드 일종으로 내산성의 내구성과 접착성을 가지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액정층(130)의 한쪽 가장자리 부분만 실링되어 있으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모두 실링될 수도 있다.
상기 회로 패턴은 상판(120) 및 하판(11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비디오 신호가 실제 표시되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한 넓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탭(150)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측 방향으로 형성되게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탭(150)은 왼쪽 측"?袖막* 형성되게 부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탭(150)은 하판(110)의 상면에 왼쪽 측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판(110)은 상판(120), 및 액정층(130)보다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탭(150)의 수직 상방으로는 상판(120), 및 액정층(130)이 적층되어 있지 않다. 탭(150)은 전극의 끝단에 구비되어 하판(110)을 제어하는 각종 반도체와 전기소자들로 구성된 회로기판(15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편광 필름이 부착된 경우, 편광 필름(미도시) 제거하는 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식각 공정 후에 편광 필름을 다시 부착할 수 있다. 왜냐하면, 편광 필름이 있으면 식각이 잘 안 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1차 실링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탭(150)이 형성된 방향인 왼쪽 측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소정 부분부터 오른쪽 측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까지 이어지는 영역에 존재하는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에는 실링재가 도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탭(150)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판(110)의 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탭(150)의 상하면은 액상의 경화 수지(141)를 이용하여 선별적으로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141)는 액상의 UV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에는 액상의 경화 수지(141)가 도포되지 않게 하고, 상기 탭(150)의 상하면 및 노출된 하판(110)의 상면만을 액상의 경화 수지(141)로 선별적으로 도포되게 함으로써, 실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마스킹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실링 단계에서 실링되지 않은 상기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은 마스킹이 수행되지 않고,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141)로 실링된 영역 및 상기 부착된 탭(150) 영역만이 마스킹 부재에 의해 마스킹이 수행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1차 실링 단계에서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로 실링된 영역(141)이 덮여지도록 제1마스킹 부재(160)로 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마스킹 부재(160)는 내산성의 마스킹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1차 실링 단계에서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141)로 실링된 영역이 덮여지도록 내산성의 마스킹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된 탭(150)을 보호하도록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을 상기 내산성의 마스킹 테이프 위에 위치시켜 상기 탭을 덮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는 덮는 과정의 편리함과 비용 절감을 위해 무정형의 플라스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정형의 플라스틱 부재는 비닐 봉지일 수 있다.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 위에 상기 제1마스킹 부재인 내산성의 마스킹 테이프(161)가 2차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에는 접착제가 붙어 있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2차 실링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마스킹 단계 수행 후에, 상기 1차 실링 단계에서 실링되지 않은 상기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은 실링재로 실링하지 않고, 제1마스킹 부재(161)에 의해 마스킹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 위를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142)를 이용하여 2차 실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식각 단계를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및 2차 실링 및 마스킹 부재(160, 161, 170)에 의해 마스킹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T)가 감소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T1)로 식각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링 및 마스킹을 수행하면 액상의 경화 수지(141, 142)가 도포되지 않은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에는 비식각 영역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판(120)의 상면 가장자리와 하판(110)의 하면 가장자리 영역까지 모두 식각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일반적인 실링재로는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 가장자리까지 모두 식각되게 하기 어렵지만, 액상의 경화 수지(예: 액상의 UV레진)는 젤 타입의 경화용 본드로 접착성과 내산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에 비식각 영역이 존재하지 않게 실링이 가능하다. 상기 식각 단계는 식각액에 의한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식각 단계 후, 실링재 및 마스킹 부재가 제거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 단계 후에는 실링에 사용된 경화 수지(141, 142) 및 마스킹 부재(160, 161, 170)를 제거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실링에 사용된 경화 수지(141, 142)로 UV 레진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UV 레진은 끈적 끈적한 점도를 갖고 자외선에 의해 경화됨과 동시에 식각 후에 박리가 용이하다.
한편, 원하는 식각 두께에 따라 마스킹 및 실링의 회수나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실링 및 마스킹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통해 실링 및 마스킹 과정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제1마스킹 부재(810)에 의한 1차 마스킹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탭(150)이 형성된 방향인 왼쪽 측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소정 부분부터 오른쪽 측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까지 이어지는 영역에 존재하는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에는 1차 마스킹이 수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탭(150)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판의 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탭의 상하면을 제1마스킹 부재(810)로 1차 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마스킹 단계 이후에는 실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마스킹 단계에서 마스킹 되지 않은 상기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은 실링하지 않고, 상기 1차 마스킹 단계에서 제1마스킹 부재(810)에 의해 마스킹된 영역이 덮여지도록 액상의 경화 수지(820)를 이용하여 실링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단계 후, 2차 마스킹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마스킹 단계에서 마스킹 되지 않은 상기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은 마스킹이 수행되지 않고,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820)로 실링된 영역 및 상기 부착된 탭(150) 영역만이 마스킹 부재에 의해 2차 마스킹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차 마스킹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된 탭(150)을 보호하도록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을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로 실링된 영역 위에 위치시켜 상기 탭을 덮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는 덮는 과정의 편리함과 비용 절감을 위해 무정형의 플라스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정형의 플라스틱 부재는 비닐 봉지일 수 있다.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에는 접착제가 붙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 위에 상기 제1마스킹 부재(830)가 다시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이후의 식각 단계 및 경화 수지 및 마스킹 부재 제거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7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실링 및 마스킹을 수행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제1마스킹 부재(910) 및 제2마스킹 부재(170)에 의한 마스킹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탭(150)이 형성된 방향인 왼쪽 측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소정 부분부터 오른쪽 측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까지 이어지는 영역에 존재하는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에는 마스킹이 수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탭(150)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판의 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탭(150)의 상하면 및 상기 부착된 탭(150)을 마스킹 부재로 마스킹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된 탭(150)을 보호하도록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된 탭(150)을 보호하도록 제2마스킹 부재(170) 의 양단을 상기 상판(120)의 측면 및 상기 하판(110)의 측면에 위치시켜 상기 탭을 덮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는 덮는 과정의 편리함과 비용 절감을 위해 무정형의 플라스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정형의 플라스틱 부재는 비닐 봉지일 수 있다.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에는 접착제가 붙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마스킹 부재(170)의 양단 위에 제1마스킹 부재(910)을 부착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스킹 부재(910)는 내산성의 마스킹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킹 단계에서 마스킹 되지 않은 상기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은 실링하지 않고, 상기 마스킹 단계에서 제1마스킹 부재(910)에 의해 마스킹된 영역이 덮여지도록 액상의 경화 수지(920)를 이용하여 실링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후의 식각 단계 및 경화 수지 및 마스킹 부재 제거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7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의하면, 탭(150)이 형성된 방향인 왼쪽 측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소정 부분부터 오른쪽 측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까지 이어지는 영역에 존재하는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에는 마스킹 및 실링이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 모서리의 소정 부분은 모서리 전체일 수도 있고, 모서리의 일영역일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각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상기 모서리의 소정 부분이 탭(150)이 형성된 방향인 왼쪽 측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 전체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10(b)는 상기 모서리의 소정 부분이 탭(150)이 형성된 방향인 왼쪽 측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일부 영역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a)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 모두가 식각 영역(1010)이 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판(120)의 상면 및 상기 하판(110)의 하면 어느 부분에도 비식각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10(b)에 의하면, 상기 탭(150)을 기준으로 좌우 양 가장자리에는 비식각 영역(1020)이 형성되고, 가운데 영역에만 식각 영역(1010)이 형성된다.
도 10(a)의 형태로 식각을 진행할 지 도 10(b)의 형태로 식각을 진행할 지는 신뢰성이나 제조 시의 편리함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정할 수 있다. 다만, 비식각 영역이 없이 식각을 진행할 경우에는 식각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어느 방향으로 휘어도 되기 때문에 디자인상 자유로울 수 있고, 비식각 영역을 남기기 위한 마스킹 작업 등이 생략되기 때문에 공정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은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곡면형 디스플레이 제조 시, 식각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단 한번의 식각 공정을 통해 곡면형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에,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식각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휨성을 잘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식각함으로써, 원하는 두께로 식각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제1기판
120: 제2기판
130: 액정층
140, 141, 820, 920: 경화 수지
150: 탭
151: 회로기판
160, 161, 810, 830,910: 제1마스킹 부재
170: 제2마스킹 부재
1010: 식각 영역
1020: 비식각 영역

Claims (7)

  1. 평면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형 디스플레이로 제조하기 위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판,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제1측 방향으로 탭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소정 부분부터 상기 제1측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까지 이어지는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은 포함하지 않고, 상기 탭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판의 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탭의 상하면을 액상의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선별적으로 실링하는 1차 실링 단계;
    상기 1차 실링 단계에서 실링되지 않은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은 제외하고,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로 실링된 영역 및 상기 부착된 탭을 마스킹 부재로 마스킹 하는 단계;
    상기 1차 실링 단계에서 실링되지 않은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은 제외하고, 상기 마스킹 부재에 의해 마스킹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 위를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실링하는 2차 실링 단계;
    상기 마스킹된 부분 및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로 실링된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 단계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마스킹 부재 및 경화된 액상의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곡면으로 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단계는
    상기 제1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소정 부분부터 상기 제2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까지 이어지는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상판의 상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에는 비식각 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식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는
    액상의 UV 레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단계는
    상기 1차 실링 단계에서 상기 액상의 경화 수지로 실링된 영역이 덮여지도록 내산성의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하는 1차 마스킹 테이프 부착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된 탭을 보호하도록 무정형의 플라스틱 부재의 양단을 상기 내산성의 마스킹 테이프 위에 위치시켜 상기 탭을 덮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상기 무정형의 플라스틱 부재의 양단 위에 상기 내산성의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하는 2차 마스킹 테이프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액정층의 가장자리 부분을 UV 레진을 이용하여 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소정 부분은 상기 제1측 방향에 위치하는 전체 모서리에서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모서리 부분이 제외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소정 부분은 상기 제1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 전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01309A 2018-08-28 2018-08-28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20200024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09A KR20200024523A (ko) 2018-08-28 2018-08-28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PCT/KR2019/008172 WO2020045817A1 (ko) 2018-08-28 2019-07-03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09A KR20200024523A (ko) 2018-08-28 2018-08-28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523A true KR20200024523A (ko) 2020-03-09

Family

ID=6964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309A KR20200024523A (ko) 2018-08-28 2018-08-28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24523A (ko)
WO (1) WO20200458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713A (ko) * 2021-10-22 2023-05-02 지에프 주식회사 곡면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곡면 oled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222B1 (ko) * 2012-10-26 2015-12-10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1624717B1 (ko) * 2014-12-24 2016-05-26 주식회사 토비스 지연식각부재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의 식각방법
KR101643945B1 (ko) * 2015-03-18 2016-07-29 이피네트시스템즈 주식회사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1658432B1 (ko) * 2015-04-01 2016-09-21 주식회사 토비스 디스플레이패널의 식각을 위한 디스플레이패널의 씰링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의 식각방법
KR101831944B1 (ko) * 2016-06-21 2018-04-04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713A (ko) * 2021-10-22 2023-05-02 지에프 주식회사 곡면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곡면 oled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817A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8939B1 (ko) 액정 표시장치
JP4386862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3488478B1 (en)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panel
US7466389B2 (en) Display device having contact holes' taper angle larger in display region than in terminal region
EP3176825B1 (en) Flexible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US10634940B2 (en) Method for producing curved display
US2014022611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surface display
US8797471B2 (en) Display device with a base material made of plastic
KR101698818B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1437534B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를 위한 기판 식각방법
US1068616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reworking the display device
US2021023412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1108044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619840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method for etching liquid crystal panel
KR20200024523A (ko)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20200024550A (ko)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CN108614371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643945B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US11698545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panel etching method
KR102210731B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20060117180A (ko) 가요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547721B1 (ko) 곡면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곡면 oled 디스플레이 패널
KR20190105958A (ko) 액정패널용 식각장치
US11397345B2 (en) Method for etching a liquid crystal panel comprising installing a masking tape on entire surfaces of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KR20190114269A (ko) 액정패널용 식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32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131

Effective date: 2021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