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15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3151A KR20200023151A KR1020180136814A KR20180136814A KR20200023151A KR 20200023151 A KR20200023151 A KR 20200023151A KR 1020180136814 A KR1020180136814 A KR 1020180136814A KR 20180136814 A KR20180136814 A KR 20180136814A KR 20200023151 A KR20200023151 A KR 202000231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module
- frame
- holder
- display
- magn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과,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는 홀더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자기적인 인력으로 끌어 당기도록 홀더에 수용되는 자석을 갖는 마그네틱 체결 장치를 포함한다. 홀더는 프레임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프레임에 조립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나 도형 등의 데이터 정보 및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근래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휘도, 고해상도, 대형화, 고효율, 저전력 등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을 대체 또는 보완할 새로운 제품으로서, 무기 발광 소자를 기판 상에 직접 실장하여 형성하는 마이크로 엘이디 패널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엘이디 패널은 마이크로 엘이디 패널을 작은 사이즈로 모듈화하고 복수의 모듈을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타일링(tiling)하여 대형 사이즈의 화면을 만드는 모듈 디스플레이(modular display) 기술을 활용하기 용이하다.
다만, 이와 같이 모듈 디스플레이 기술의 활용 시에 모듈들 사이의 간극 및 단차에 의해 화질 저하 및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다.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간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없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간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과, 복수의 발광 소자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부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는 홀더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자기적인 인력으로 끌어 당기도록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체결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자석을 수용하는 중공을 갖는 원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원통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 요철을 갖도록 형성된 톱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배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 벽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 벽에는 상기 조절부가 상기 테두리 벽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테두리 벽의 후단부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자석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상기 홀더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 바디와, 상기 자석과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에 결합되는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터드와 상기 홀더는 상기 자석과 상기 스터드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체결 장치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네틱 체결 장치들은 상기 브라켓의 코너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는 제1수나사부와, 상기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제2수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나사부의 피치와 상기 제2수나사부의 피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과, 복수의 발광 소자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부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홀더;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홀더에 자기적인 인력으로 밀착시키는 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홀더의 나사 결합 깊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원통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는 상기 자석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간의 단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할 필요 없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간의 단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O'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체결 장치를 통해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체결 장치를 통해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분리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절부를 회전시켜 프레임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조절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절부가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려진 경우 툴을 사용하여 조절부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O'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체결 장치를 통해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체결 장치를 통해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분리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절부를 회전시켜 프레임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조절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절부가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려진 경우 툴을 사용하여 조절부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 중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은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서로 수직한 X축, Y축, Z축 방향이 표시되어 있으며, X축 방향은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Y축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하며, Z축 방향은 전후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정보, 자료, 데이터 등을 문자, 도형, 그래프, 영상 등으로 표시하여 주는 장치로서, 광고판, 전광판, 스크린, 텔레비전, 모니터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1)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 또는 천장에 설치되거나, 스탠드(미도시)에 의해 실내 또는 실외 그라운드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지지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후방에 결합되는 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기판(50)과, 기판(50)이 부착된 브라켓(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브라켓(40)에는 6개의 기판(50)이 부착되고 있으나, 브라켓(40)에 부착되는 기판(50)의 개수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브라켓(40)에 하나의 기판(50)만 부착되거나, 다른 개수의 기판(50)이 부착될 수도 있다. 기판(50)은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을 통해 브라켓(4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기판(50)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51)가 실장되며, 기판(50)의 위에는 발광 소자(51)를 보호하거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보호부재(52)가 마련될 수 있다.
기판(50)은 유리(glass), PI(polyimide), FR4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50)의 전면에는 외광을 흡수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도록 블랙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51)는 서브 픽셀인 레드 엘이디, 그린 엘이디, 블루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51)들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해상도 및 크기에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50)간의 간격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51)는 무기물(無機物) 재질로 형성되며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가 각각 수 μm 내지 수백 μm 크기를 갖는 마이크로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51)는 실리콘 웨이퍼에서 픽업되어 기판(50) 위에 직접 전사될 수 있다.
보호부재(52)는 아크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투광성 또는 형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기판(50)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 소자(51)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는 4개의 프레임들(20a - 20d)과, 8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30a 30h)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프레임의 개수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수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모듈들(30)은 상하 방향(Y축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들(30)은 M * N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8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30)은 4 * 2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있다.
하나의 프레임(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3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프레임(20)에는 좌우로 2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30)이 결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20)은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20)은 상부 가로 프레임(21), 하부 가로 프레임(22), 좌측 세로 프레임(23), 우측 세로 프레임(25)을 포함하고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20)은 상부 가로 프레임(21)과 하부 가로 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 세로 프레임(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마그네틱 체결 장치(60)를 통해 프레임(20)에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네틱 체결 장치(60)는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프레임(20)에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마그네틱 체결 장치(60)의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프레임(20)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들(30)과 후방 커버(10)의 사이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30)을 구동하는 제어 보드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미설명 부호 80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이 프레임(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치(80)이다.
도 3은 도 2의 'O'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체결 장치를 통해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체결 장치를 통해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마그네틱 체결 장치(60)는 자석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프레임(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틱 체결 장치(60)는 자석의 자기적인 인력으로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프레임(20) 측으로 끌어 당기고, 디스플레이 모듈(30)이 프레임(20)에 밀착된 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마그네틱 체결 장치(60)는 자석(69)과, 자석(59)을 수용하고 프레임(20)에 결합되는 홀더(61)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61)는 프레임(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61)는 자석(69)을 수용하는 중공(63)을 갖는 원통부(62)와, 프레임(20)에 나사 결합되도록 원통부(6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0)에는 홀더(61)가 삽입 설치되는 홀더 설치홀(28)이 형성되고, 홀더 설치홀(28)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66)가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석(69)은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자석(69)은 연질 플라스틱 자석(soft plastic magnet), 네오디움 자석(neodymium magnet) 또는 페라이트 자석(ferrite magnet)일 수 있다. 자석(69)의 형태에 제한은 없으며 자석(69)은 중공(63)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61)의 원통부(62)의 일 단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을 밀착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67)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67)는 후술하는 스터드(49)를 밀착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67)에 의해 자석(69)과 스터드(49)가 서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브라켓(40)은 기판(50)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브라켓 바디(41)와, 마그네틱 체결 장치(60)의 자석(69)과 상호 작용하도록 브라켓 바디(41)에 결합되는 스터드(49)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드(49)는 외부의 자력에 의해 자화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터드(49)는 자화되어서 마그네틱 체결 장치(60)의 자석(69)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즉, 스터드(49)가 외부의 자력에 의해 얻은 극성에 의해서 마그네틱 체결 장치(60)의 자석(69)과 서로 끌어 당기거나 서로 밀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터드(49)는 대략 브라켓 바디(41)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단추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다만, 스터드(49)의 형상에 제한은 없다. 스터드(49)는 브라켓 바디(4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스터드(49)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49a)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바디(41)에는 스터드(49)가 삽입 설치되는 스터드 설치홀(42)이 형성되고, 스터드 설치홀(42)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49a)가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마그네틱 체결 장치(6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틱 체결 장치(60)는 브라켓(40)의 코너부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마그네틱 체결 장치(60)의 개수 및 배치 위치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홀더(61)는 프레임(20)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64)는 프레임(20)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후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64)는 홀더(61)와 프레임(20)의 나사 결합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홀더(61)에 밀착 되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프레임(20)에 대한 전후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64)를 회전시키면 홀더(61)가 회전하여 홀더(61)의 나사 결합의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조절부(64)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 모듈(30)이 프레임(2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30)의 전후 방향의 위치에 차이가 있을 때 화질 저하나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조절부(64)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30)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동일하게 조절하여 화절 저하나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다.
조절부(64)는 홀더(61)의 원통부(62)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64)는 원통부(6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64)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는 조절부(64)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요철을 갖는 톱니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조절툴(120)을 통해 조절부(6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톱니부(65)에는 조절툴(120)이 치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64)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를 다시 분해하지 않고서도 접근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40)은 브라켓 바디(41)의 상하 좌우의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 벽(45)을 포함하고, 테두리 벽(45)의 후단부(46)에는 조절부(64)를 노출시키도록 슬롯(47)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47)은 테두리 벽(45)의 후단부(46)에서 소정 깊이(D)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조절부(64)의 적어도 일부가 슬롯(4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6의 미설명 부호 71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이 의도치 않게 프레임(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라켓(40)의 배면(41)에 형성된 캐치(71)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분리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 및 분리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결합툴(100)은 툴 몸체(101)와, 툴 몸체(101)에 장착되는 툴 자석(10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툴(100)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툴 자석(103)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스터드(49)의 개수만큼 마련되고 스터드(49)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툴(100)을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방으로 접근시키면 스터드(49)는 툴 자석(103)의 자기력에 의해 자화될 수 있다.
결합툴(100)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을 보호하도록 충격 흡수 부재(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툴(100)을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방으로 접근 시에 충격 흡수 부재(102)에 의해 기판(5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고, 툴 자석(103)이 발광 소자(51)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102)는 우레탄, 실리콘 또는 고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을 결합시키는 동작은 아래와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체결 장치(60)의 자석(69)이 앞부분은 N극을 갖고 뒷부분은 S극을 갖는 경우에, 결합툴(100)의 툴 자석(103)도 앞부분은 N극을 갖고 뒷부분은 S극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만약, 마그네틱 체결 장치(60)의 자석(69)의 극성이 반대인 경우 결합툴(100)의 툴 자석(103)도 반대로 마련할 수 있다.
뒷부분의 극성이 S극인 결합툴(100)이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전방으로 접근하면 스터드(49)는 앞부분이 N극이 되고 뒷부분이 S극이 되도록 자화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49)가 자화된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프레임(20)의 전방으로 접근시킨다. 스터드(49)는 뒷부분이 S극으로 자화되어 있고, 마그네틱 체결 장치(60)의 자석(69)은 앞부분이 N극을 가지므로, 스터드(49)와 자석(69) 사이에는 자기적인 인력이 작용한다.
스터드(49)와 자석(69)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자석(69)이 홀더(61)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스터드(49)와 자석(69)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이 더 강해질 수 있다. 자석(69)은 홀더(61)의 지지부(67)까지 이동하고 지지부(67)에 의해 자석(69)은 스터드(49)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툴(100)을 디스플레이 모듈(30)에서 분리한다. 결합툴(100)을 디스플레이 모듈(30)에서 분리해도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스터드(49)와 마그네틱 체결 장치(60)의 자석(69) 사이에 여전히 자기적인 인력이 작용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30)과 프레임(20)은 결합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프레임(2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을 분리시키는 동작은 아래와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이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향하도록 결합툴(100)을 뒤집어서 결합툴(100)을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접근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49)는 결합툴(100)의 툴 자석(103)의 자기력에 의해 앞부분이 S극을 갖고 뒷부분이 N극을 갖도록 자화될 수 있다. 따라서, 스터드(49)와 자석(69) 사이에는 자기적인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석(69)은 의해 홀더(61)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툴(100)을 프레임(20)에서 분리시키면 디스플레이 모듈(30)도 결합툴(100)과 함께 프레임(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절부를 회전시켜 프레임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조절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절부를 회전시켜 프레임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부(64)를 일 방향(R1)으로 회전시킨다. 조절부(64)의 적어도 일부분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조립 및 설치가 완료된 후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를 분해하지 않고 손으로 조절부(6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64)를 회전시키면 홀더(61)가 회전하면서 홀더(61)와 프레임(20)의 나사 결합의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홀더(61)가 프레임(20)에 대해 전방으로(A1) 이동될 수 있다. 홀더(61)의 지지부(67)에는 자석(69)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30)이 밀착되어 있으므로, 홀더(6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모듈(30) 역시 전방으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64)를 반대 방향(R2)으로 회전시킨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64)를 회전시키면 홀더(61)가 회전하면서 홀더(61)와 프레임(20)의 나사 결합의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홀더(61)가 프레임(20)에 대해 후방으로(A1) 이동될 수 있다. 홀더(61)의 지지부(67)에는 자석(69)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30)이 밀착되어 있으므로, 홀더(6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모듈(30) 역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절부가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려진 경우 툴을 사용하여 조절부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8 내지 도20을 참조하여 일 디스플레이 모듈(30h)의 조절부(64b)가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30f)에 가려져서 조절부(64b)를 손으로 회전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에, 툴(110, 120)을 사용하여 조절부(64b)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30a 30h)을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30a 30h)은 상하 방향(Y축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30h)의 상부에 마련된 조절부(64b)가 디스플레이 모듈(30h)의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30f)에 가려져서 손으로 회전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모듈(30f)의 하부에 마련된 조절부(64a)는 디스플레이 모듈(30f)의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30h)에 가려져서 손으로 회전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툴(110, 120)을 사용하여 조절부(64a, 64b)를 회전시킬 수 있다.
툴(110, 120)은 디스플레이 모듈(30f)과 디스플레이 모듈(30h) 간의 갭(G)을 확보하기 위한 갭 확보 툴(110)과, 조절부(64a, 64b)의 톱니부에 치합되어 조절부(64a, 64b)를 회전시킬 수 있는 조절툴(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갭 확보 툴(110)은 손잡이(111)와, 디스플레이 모듈들(30f, 30h) 사이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삽입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12)의 단면은 디스플레이 모듈들(30f, 30h) 사이로 삽입되도록 충분히 얇은 두께를 갖는 단변(113)과, 삽입부(112)가 디스플레이 모듈들(30f, 30h) 사이로 삽입된 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30f, 30h) 사이의 갭(G)을 벌릴 수 있도록 단변(113)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장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갭 확보 툴(110)의 삽입부(112)를 삽입한 후에 갭 확보 툴(110)을 돌림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들(30f, 30h) 사이의 갭(G)을 확보할 수 있다.
조절툴(120)은 손잡이(121)와 조절부(64)에 치합되도록 연장되는 치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치합부(122)는 조절부(64)의 톱니부에 대응되도록 이빨(123)이 형성될 수 있다. 갭 확보 툴(110)로써 디스플레이 모듈들(30f, 30h) 사이의 갭(G)을 확보한 후에 갭(G)에 조절툴(120)을 삽입하여 조절부(6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만약 갭 확보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조절툴(120)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절부가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려져서 직접 조절부를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툴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프레임(2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마그네틱 체결 장치(60)에 의해 자기력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마그네틱 체결 장치(60)를 구성하는 홀더(61)의 조절부(64)를 통해 프레임(20)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홀더(61)가 프레임(20)에 나사 결합되어 홀더(61)의 나사 결합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홀더(161)는 프레임(20)과 디스플레이 모듈(30) 양 측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홀더(161)는 프레임(20)에 나사 결합되는 제1수나사부(166a)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브라켓(40)에 나사 결합되는 제2수나사부(166b)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61)는 자석(269)을 수용하는 중공(163)을 갖는 원통부(162)를 포함하고, 원통부(162)의 외주면에 제1수나사부(166a)와 제2수나사부(166b)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0)에는 홀더(161)가 설치되는 홀더 설치홀(128)이 형성되고, 홀더 설치홀(128)의 내주면에는 제1수나사부(166a)가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40)에는 홀더(161)가 설치되도록 브라켓 바디(4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나사 결합부(149)가 형성될 수 있다. 나사 결합부(149)는 나사 결합홀(148)을 포함하고, 나사 결합홀(148)의 내주면에는 홀더(161)의 제2수나사부(166b)가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제1수나사부(166a)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1)로 산과 골이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나사부(166b)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2)로 산과 골이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제1수나사부(166a)의 피치(P1)와 제2수나사부(166b)의 피치(P2)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수나사부(166a)의 피치(P1)는 0.6 mm 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수나사부(166b)의 피치(P2)는 0.7 mm 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61)가 1 바퀴 회전 시에 제1수나사부(166a)에 나사 결합된 프레임(20)은 0.6 mm 이동하고, 제2수나사부(166b)에 나사 결합된 디스플레이 모듈(30)은 0.7 mm 이동할 수 있다. 즉, 홀더(161)의 1 회전 시에 프레임(2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상대 위치가 0.1 mm 벌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161)가 이중 피치의 나사부를 가지므로 프레임(20)과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상대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홀더(161)는 홀더(161)를 회전시키도록 원통부(16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조절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164)는 원통부(16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164)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는 조절부(164)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요철을 갖는 톱니부(165)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164)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시 분해하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 : 후방 커버
20 : 프레임 28 : 홀더 설치홀
30 : 디스플레이 모듈 40 : 브라켓
41 : 브라켓 바디 42 : 스터드 설치홀
44 : 브라켓 배면 45 : 테두리 벽
46 : 테두리 벽의 후단부 47 : 슬롯
49 : 스터드 50 : 기판
51 : 발광 소자 52 : 보호 부재
60 : 마그네틱 체결 장치 61 : 홀더
62 : 원통부 63 : 중공
64 : 조절부 65 : 톱니부
66 : 수나사부 67 : 지지부
69 : 자석 100 : 결합툴
110 : 갭 확보 툴 120 : 조절툴
160 : 마그네틱 체결 장치 161 : 홀더
162 : 원통부 163 : 중공
164 : 조절부 165 : 톱니부
166a : 제1수나사부 166b : 제2수나사부
P1 : 제1수나사부 피치 P2 : 제2수나사부 피치
20 : 프레임 28 : 홀더 설치홀
30 : 디스플레이 모듈 40 : 브라켓
41 : 브라켓 바디 42 : 스터드 설치홀
44 : 브라켓 배면 45 : 테두리 벽
46 : 테두리 벽의 후단부 47 : 슬롯
49 : 스터드 50 : 기판
51 : 발광 소자 52 : 보호 부재
60 : 마그네틱 체결 장치 61 : 홀더
62 : 원통부 63 : 중공
64 : 조절부 65 : 톱니부
66 : 수나사부 67 : 지지부
69 : 자석 100 : 결합툴
110 : 갭 확보 툴 120 : 조절툴
160 : 마그네틱 체결 장치 161 : 홀더
162 : 원통부 163 : 중공
164 : 조절부 165 : 톱니부
166a : 제1수나사부 166b : 제2수나사부
P1 : 제1수나사부 피치 P2 : 제2수나사부 피치
Claims (20)
- 프레임;
복수의 발광 소자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부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는 홀더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자기적인 인력으로 끌어 당기도록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체결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자석을 수용하는 중공을 갖는 원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원통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 요철을 갖도록 형성된 톱니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배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 벽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 벽에는 상기 조절부가 상기 테두리 벽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롯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테두리 벽의 후단부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자석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상기 홀더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 바디와, 상기 자석과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에 결합되는 스터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와 상기 홀더는 상기 자석과 상기 스터드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체결 장치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네틱 체결 장치들은 상기 브라켓의 코너들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는 제1수나사부와, 상기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제2수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나사부의 피치와 상기 제2수나사부의 피치는 서로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 - 프레임;
복수의 발광 소자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부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홀더;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홀더에 자기적인 인력으로 밀착시키는 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홀더의 나사 결합 깊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원통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조절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노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을 통해 노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상기 자석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밀착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549,746 US11353732B2 (en) | 2018-08-24 | 2019-08-23 | Display apparatus |
CN201980055840.9A CN112639933A (zh) | 2018-08-24 | 2019-08-23 | 显示设备 |
EP19850912.7A EP3799656B1 (en) | 2018-08-24 | 2019-08-23 | Display apparatus |
PCT/KR2019/010801 WO2020040616A1 (en) | 2018-08-24 | 2019-08-23 |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862722519P | 2018-08-24 | 2018-08-24 | |
US62/722,519 | 2018-08-24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5500A Division KR102208816B1 (ko) | 2018-08-24 | 2019-08-06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3151A true KR20200023151A (ko) | 2020-03-04 |
KR102226009B1 KR102226009B1 (ko) | 2021-03-10 |
Family
ID=697834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6814A KR102226009B1 (ko) | 2018-08-24 | 2018-11-08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0190095500A KR102208816B1 (ko) | 2018-08-24 | 2019-08-06 | 디스플레이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5500A KR102208816B1 (ko) | 2018-08-24 | 2019-08-06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3799656B1 (ko) |
KR (2) | KR102226009B1 (ko) |
CN (1) | CN11263993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10143A1 (ko) * | 2020-07-10 | 2022-0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WO2022039306A1 (ko) * | 2020-08-20 | 2022-0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1240B1 (ko) * | 2021-06-07 | 2023-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20230084758A (ko) * | 2021-12-06 | 2023-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
CN114967149A (zh) * | 2022-05-30 | 2022-08-30 | 吉林泽景汽车电子有限公司 | 一种图像生成单元安装位置调整机构 |
CN117957599A (zh) * | 2022-08-30 | 2024-04-30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模组的组装件、显示模组、拼接显示装置 |
KR20240101184A (ko) * | 2022-12-23 | 2024-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EP4421783A1 (en) * | 2023-02-24 | 2024-08-28 | Ledblox BV | Improved display module for a video wall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9059B1 (ko) * | 2011-12-29 | 2012-05-24 | 주식회사 오로라 | Led전광판 |
KR20140035739A (ko) * | 2012-09-14 | 2014-03-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JP2016142861A (ja) * | 2015-01-30 | 2016-08-08 | 株式会社フォトクラフト社 | 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の組み立て調整方法 |
KR20160097599A (ko) * | 2015-02-09 | 2016-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JP2017506368A (ja) * | 2014-12-24 | 2017-03-02 | 深▲せん▼金立翔視效科技有限公司 | Ledモジュール取付け機構 |
KR20180011983A (ko) * | 2016-07-26 | 2018-0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 구조 및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
JP6345380B1 (ja) * | 2017-12-15 | 2018-06-20 | 三菱電機株式会社 | 映像表示装置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9234B1 (ko) * | 2014-12-01 | 2020-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비전 |
JP6596507B2 (ja) * | 2014-12-29 | 2019-10-23 | プレイナー システム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磁気誘導位置決め手段が隠蔽されるマウント |
JP6785560B2 (ja) * | 2015-02-13 | 2020-11-18 |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 締結部材、及びこれを対象物に固定する方法 |
KR102270484B1 (ko) * | 2015-06-24 | 2021-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또는 해체 방법 |
CN210691861U (zh) * | 2017-05-10 | 2020-06-05 | 三菱电机株式会社 | 多显示器系统、视频显示装置以及拉出机构 |
KR102455299B1 (ko) * | 2018-03-07 | 2022-10-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009658B1 (ko) * | 2018-08-23 | 2019-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분해 방법 |
-
2018
- 2018-11-08 KR KR1020180136814A patent/KR10222600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8-06 KR KR1020190095500A patent/KR10220881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8-23 EP EP19850912.7A patent/EP3799656B1/en active Active
- 2019-08-23 CN CN201980055840.9A patent/CN112639933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9059B1 (ko) * | 2011-12-29 | 2012-05-24 | 주식회사 오로라 | Led전광판 |
KR20140035739A (ko) * | 2012-09-14 | 2014-03-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JP2017506368A (ja) * | 2014-12-24 | 2017-03-02 | 深▲せん▼金立翔視效科技有限公司 | Ledモジュール取付け機構 |
JP2016142861A (ja) * | 2015-01-30 | 2016-08-08 | 株式会社フォトクラフト社 | 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の組み立て調整方法 |
KR20160097599A (ko) * | 2015-02-09 | 2016-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80011983A (ko) * | 2016-07-26 | 2018-0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 구조 및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
JP6345380B1 (ja) * | 2017-12-15 | 2018-06-20 | 三菱電機株式会社 | 映像表示装置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10143A1 (ko) * | 2020-07-10 | 2022-0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WO2022039306A1 (ko) * | 2020-08-20 | 2022-0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3188A (ko) | 2020-03-04 |
KR102208816B1 (ko) | 2021-01-28 |
CN112639933A (zh) | 2021-04-09 |
KR102226009B1 (ko) | 2021-03-10 |
EP3799656A1 (en) | 2021-04-07 |
EP3799656B1 (en) | 2024-06-12 |
EP3799656A4 (en) | 2021-08-18 |
EP3799656C0 (en) | 2024-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53732B2 (en) | Display apparatus | |
KR102226009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10798830B2 (en) | Display apparatus | |
RU2738104C1 (ru) |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многодисплейная система | |
EP3550544B1 (en) | Multi-display system and video display device | |
US10330979B2 (en) | LED display device and structure of assembling the same | |
KR10248126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 |
CN111108542B (zh) | 用于显示模块的磁调节工具 | |
CN104347010B (zh) | 底盖以及使用该底盖的显示装置 | |
KR101917075B1 (ko) |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642789B1 (ko) | 표시 장치 | |
EP3155606B1 (en) | Adjustable display tile for tiled display | |
KR102209285B1 (ko) | 높이조절식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 | |
JP2007248498A (ja) | 表示装置 | |
US20200168133A1 (en) | Oled display device | |
US11140467B2 (en) | Display apparatus | |
US9462711B2 (en) | Display device mounted in housing with elastic body | |
US20240260202A1 (en) | Display device | |
KR102566815B1 (ko) | 표시장치 | |
EP3614033B1 (en) | Display apparatus | |
US11921549B2 (en) | Display device | |
US20220035194A1 (en) | Display apparatus | |
US20240032217A1 (en) | Display apparatus | |
US20240023253A1 (en) | Display apparatus | |
KR20240012250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64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06 Effective date: 20200717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