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145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145A
KR20200023145A KR1020180122029A KR20180122029A KR20200023145A KR 20200023145 A KR20200023145 A KR 20200023145A KR 1020180122029 A KR1020180122029 A KR 1020180122029A KR 20180122029 A KR20180122029 A KR 20180122029A KR 20200023145 A KR20200023145 A KR 20200023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attern
adhesive
main body
brack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413B1 (ko
Inventor
전찬익
정해영
이원행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ublication of KR2020002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 기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제1 결합부를 갖는 브라켓 및 본체,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의 상기 본체에 바로 접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위치하는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과 결합되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액정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와 같은 전자 기기의 경우, 외형의 크기 확장은 최소화하면서 표시 영역을 극대화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이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최근 전자 기기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와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배터리 용량을 높이기 위해 배터리 장착 영역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의 설계 추세로 인해, 안테나 장치가 실장될 수 있는 영역이 줄어들고 있지만, 전자 기기의 통신 환경의 발전으로 원활한 통신 동작을 구현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기기의 고밀도화로 인해, 안테나 실장 영역이 부족하여 안테나 장치의 설계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3928호(공고일자: 2016년 07월 29일, 발명의 명칭: 안테나 구조체)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길이를 용이하게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한정한 안테나 실장 영역에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전자 기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제1 결합부를 갖는 브라켓 및 본체,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의 상기 본체에 바로 접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위치하는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전자 기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제1 결합부를 갖는 브라켓 및 본체,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안테나 패턴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안테나 패턴 구조물의 상기 본체에 바로 접해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 구조물은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의 결합을 위한 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상기 기판은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 구조물은 상기 안테나 패턴과의 결합을 위한 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배선 부분, 상기 배선 부분과 연결되어 있는 패드 부분 및 상기 배선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 구멍을 구비하는 결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 부분은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위치하고, 접착제가 위치하는 접착제 홈과 상기 접착제 홈을 에워싸고 있는 댐을 구비하는 접착제 도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안테나 구조물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 중첩되게 위치하는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홈의 바닥면은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접착부의 외부면은 상기접착제 홈의 단차 구조와 대응되는 단차 구조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댐이 삽입되는 댐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상기 접착제 홈에 위치하는 접착제 도포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의 본체와 상기 접착제 홈 사이에 상기 접착제 홈과 통하여 위치하는 접착제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본체 일면에 위치하는 돌기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안테나 구조물의 상기 본체에 제1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돌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본체 단부에 위치하고 가운데 후크 삽입 구멍을 포함하는 후크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안테나 구조물의 상기 본체에 제2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후크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본체와 상기 안테나 패턴 구조물의 본체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본체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안테나 패턴 구조물의 본체는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모바일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안테나 패턴 구조물을 전자 기기 내에 장착되는 브라켓(bracket)에 결합하여 안테나 장치를 구현하므로, 브라켓 내에 안테나 실장 영역을 확장하지 않아도 전자 기기에 용이하게 안테나의 길이를 연장하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 장치는 해당 주파수 범위의 신호를 안정적인 송수신하게 되므로, 부족한 안테나 길이로 인한 안테나 장치의 오동작이 방지되어 안테나 장치의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안테나 패턴이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경우, 안테나 패턴의 선폭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길이 조정과 장착의 편리성이 향상되며, 제조 비용과 제조 시간이 크게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정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일측 패턴 구조물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일측 패턴 구조물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타측 패턴 구조물에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1의 타측 패턴 구조물에 저면도이다.
도 6a는 도 1의 일측 패턴 구조물에 정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1의 타측 패턴 구조물에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평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브라켓의 상측 단부에 위치한 접착제 홈의 접착제 도포홈에 접착제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사시도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브라켓의 하측 단부에 접착제 홈의 접착제 도포홈에 접착제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사시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브라켓의 상측 단부에 위치한 접착제 홈 전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브라켓의 하측 단부에 접착제 홈 전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접착제 도포부와 접착부의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브라켓에서 접착제 홈에 연결되어 있는 접착제 수용홈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접착제 수용홈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일부 평면도이고 (b)는 (a)의 A-A선을 따라 잘라 얻어진 접착제 수용홈 부분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댐과 댐 삽입홈의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a)는 제1 안테나 패턴 구조물과 브라켓과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b)는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과 브라켓와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후크 삽입부에 삽입된 후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의 일측 패턴 구조물에 대응하는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의 일측 패턴 구조물에 대응하는 부분의 저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의 타측 패턴 구조물에 대응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의 타측 패턴 구조물에 대응하는 부분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의 일측 패턴 구조물에 대응하는 부분의 사시도로서, (a)는 평면 사시도이고, (b)는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를 한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브라켓(bracket)(10) 및 브라켓(10)의 적어도 한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을 구비한다.
본 예에서,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은 브라켓(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을 구비하지만, 이러한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장착 위치와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은 장착 위치 및 장착 위치에 따른 형상만 상이할 뿐, 서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브라켓(10)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와 결합되어 브라켓(10)과 케이스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브라켓(10)과 케이스 사이의 빈 공간에는 액정 패널, 회로기판, 배터리 및 카메라 등과 같이, 전자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요소가 장착된다.
이러한 브라켓(10)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11), 본체(11)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접착제 도포부(12), 제1 및 제2 접착제 도포부(12)의 외부 측면(즉 외부에 노출된 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및 제2 후크 삽입부(13), 그리고 제1 및 제2 접착제 도포부(12)와 각각 인접한 본체(11)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돌기 삽입홈(14)을 구비한다.
접착제 도포부(12), 후크 삽입부(13) 및 돌기 삽입홈(14)은 모두 안테나 패턴 구조물(20)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이들의 장착 위치와 개수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2)의 개수와 장착 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어,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이 본체(11)의 상측면에만 결합될 때, 본체(11)의 상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접착제 도포부(12), 복수의 제1 후크 삽입부(13) 및 복수의 돌기 삽입홈(14)만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본 예에서, 하나의 안테나 패턴 구조물(20)과의 결합을 위한 접착제 도포부(12), 후크 삽입부(13) 및 돌기 삽입홈(14)의 개수는 복수 개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일 수도 있다.
본체(11)는 배터리(battery), 카메라 모듈, 플래시(flash), 다양한 센서 및 회로 기판 등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배터리 등이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홈(111)과 카메라 모듈과 플래시 등의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구멍(112)을 구비한다. 한 예로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은 장착홈(111)과 장착 구멍(112)이 위치하지 않는 본체(11)의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는 그 위에 위치하는 배터리, 회로기판 및 카메라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형상에 따라 그 모양과 크기가 정해져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직사각형과 같은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1)에는 전자 기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많은 구성요소가 위치하므로, 전자 기기의 강도를 증가시켜 해당 전자 기기의 휨 현상 등을 방지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장착된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체(11)는 강도가 센 알루미늄(Al)이나 마그네슘(Mg) 등의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및 제2 접착제 도포부(12)는 접착제(5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재료(즉, 이종 재료)로 이루어진 브라켓(10)에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과 중첩되는 브라켓(10)의 하부면의 일측 가장자리부인 상단 가장자리부와 하부면 타측 가장자리부인 하단 가장자리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접착제 도포부(12)는 각각,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접착제 홈(121), 접착제 홈(121)의 개방된 측부인 가장자리부를 완전히 에워싸고 있는 댐(122) 및 접착제 홈(121)에 위치하는 접착제 도포홈(123)을 구비한다.
따라서, 접착제 홈(121)은 하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부면과 측면은 막혀 있어 그 안에 도포된 접착제의 흐름을 안내하는 접착제 수로(水路) 역할을 하여, 접착제 도포부(12)에 위치하는 접착제(50)는 접착제 홈(121) 내에 위치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접착제 홈(121)에서 잡착제가 위치하는 바닥면은 접착제 도포홈(123)이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면 동일한 높이를 갖는 평탄면이다.
하지만,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브라켓(10)의 접착제 홈(121)의 바닥면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 단으로 이루어진 단차 구조를 갖고 있다.
이처럼, 접착제 홈(121)이 단차 구조를 갖고 있는 경우, 접착제 홈(121)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해당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접착부(22) 외부면 역시 접착제 홈(121)의 단차 구조와 대응되는 복수 단의 단차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접착제 홈(121)과 접착부(22)의 단차 구조로 인해, 접착제 홈(121)과 접착부(22)가 서로 접하는 접착 면적이 증가하므로, 브라켓(10)와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결합력은 더욱 향상된다.
댐(122)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접착제 홈(121)을 에워싸고 있는 부분으로서 접착제 홈(121) 내에 안전하게 접착제(50)가 위치하도록 한다.
도 11과 도 12는 접착제 홈(121)을 따라 이동한 접착제(50)가 댐(122)에 의해 갇혀 접착제 홈(121) 내에 안정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접착제 도포홈(123)은 접착제(50)가 도포되는 지점과 도포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접착제 도포홈(123)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것처럼, 댐(122)과 브라켓(10)의 본체(11)로 에워싸여져 있는 접착제 도포부(12)의 접착제 홈(121)은 그 안에 도포되는 접착제(50)의 넘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 도포부(12)는 다른 예로서 접착제 홈(121)은 연결되어 접착제 홈(121)과 통해 있고 브라켓(10)의 본체(11) 쪽으로 파여져 있는 접착제 수용홈(12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수용홈(124)의 일측은 접착제 홈(121)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막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접착제 수용홈(124)과 연결되어 있는 접착제 홈(121)의 영역은 접착제 수용홈(124)의 영역만큼 확장된다.
도 14a에서, 접착제 수용홈(124)은 접착제 홈(121)의 연장 방향 즉, X 방향으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마다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와는 달리, 접착제 수용홈(124)은 원하는 영역만큼 접착제 홈(121)과 통해 있는 하나의 접착제 수용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수용홈(124)을 구비할 경우, 접착제가 위치하는 영역이 증가하므로, 접착부(22)가 접착제 홈(121)에 위치하여 접착될 때 접착제(50)의 넘침 현상이 방지되거나 감소한다.
제1 및 제2 후크 삽입부(13)는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착제 도포부(12)의 댐(122), 좀더 구체적으로는 댐(122)의 외부면에서 브라켓(10)의 전방과 후방 쪽(즉, 세로 방향 또는 Y 방향)(예, 제1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후크부(13)는 사방이 막혀 있고 가운데 부분을 브라켓(10)의 상하 방향(즉, 두께 방향 또는 Z 방향)(예, 제2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해 형성된 후크 삽입 구멍(H13)을 구비하고 있는 고리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예에서, 제1 및 제2 후크 삽입부(13)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후크 삽입부(13)는 각각 브라켓(10)의 좌우 방향(즉, 가로 방향 또는 X 방향)을 따라 해당 접착제 도포부(12)에 복수 개가 위치하지만, 제1 및 제2 후크 삽입부(13) 각각의 개수와 형성 위치는 서로 결합되는 브라켓(10)와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이러한 각 제1 및 제2 후크 삽입부(13)의 최저 높이는 연결되어 있는 해당 제1 및 제2 접착제 도포부(12)의 최저 높이와 동일하여, 해당 후크 삽입부 (13)의 최저 높이와 해당 접착제 도포부(12)의 댐(122)의 최저 높이는 동일하고, 이로 인해, 후크 삽입부(13)와 댐(122)은 동일한 높이의 평면에 위치한다.
하지만,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댐(122)의 최저 높이는 댐(122)과 연결되어 있는 해당 후크 삽입부(13)의 최저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런 경우, 브라켓(10)의 하부면이 상부로 위치하도록 브라켓(10)을 90도 회전시킬 때, 댐(122)은 후크 삽입부(13)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러한 댐(122)의 돌출 높이는 접착제 도포부(12)에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접착부(22)가 접하게 위치할 때, 접착된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접착면보다 높은 위치에 댐(122)의 단부가 위치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이다. 즉, 댐(122)이 접해 있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본체(21) 속으로 삽입되는 높이이다.
또한, 본 예의 각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본체(21)에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댐(122)이 삽입되는 댐 삽입홈(222)을 추가로 구비하고, 이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댐 삽입홈(222)은 해당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결합부인 제2 결합부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브라켓(10)에 해당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이 결합될 때, 접착제 도포부(12)의 댐(122)은 대응하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댐 삽입홈(222)에 삽입되므로, 브라켓(10)과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X 방향과 Y 방향으로의 결합력은 더욱 향상된다.
제1 및 제2 돌기 삽입홈(14)은 각각 브라켓(10)의 상측부 및 하측부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홈으로서, 각 제1 및 제2 돌기 삽입홈(14)의 높이는 본체(11)의 하부면의 높이보다 높고, 댐(122)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은 안테나 장치를 위한 안테나 패턴이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사출 공정을 통해 형성된 사출물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은 각각 본체(21), 본체(21)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턴부(211), 본체(21)의 해당 측부에 위치하는 접착부(22), 본체(21)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후크(23), 및 접착부(22)에서 브라켓(11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삽입 돌기(24)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제1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에 구비된 본체(21), 안테나 패턴부(211), 접착부(22), 후크(23) 및 삽입 돌기(24)는 각각 제1 본체(21), 제1 안테나 패턴부(211), 제1 접착부(22), 제1 후크(23) 및 제1 삽입 돌기(24)라 칭하고,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에 구비된 본체(21), 안테나 패턴부(211), 접착부(22), 후크(23) 및 삽입 돌기(24)는 각각 제2 본체(21), 제2 안테나 패턴부(211), 제2 접착부(22), 제2 후크(23) 및 제2 삽입 돌기(24)라 칭한다.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제1 및 제2 본체(21)는 브라켓(10)과 결합되어 해당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장착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되는 해당 전자 기기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그 형상과 크기가 정해진다.
본 예에서, 제1 및 제2 본체(21)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브라켓(10)과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고 해당 전자 기기의 무게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plastic) 등과 같은 경량의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및 제2 본체(21)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부(211)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 모듈과 연결되어 무선 신호의 송신이나 수신을 실시하는 안테나로 기능하고, 안테나 모듈과 함께 안테나 장치의 일부를 이룬다.
이러한 각 안테나 패턴부(211)는 도 4a 내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기판(211a)과 기판(211a)에 인쇄되어 있는 안테나 패턴(211b)을 구비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안테나 패턴(211b)은 신호의 전송만이 이루어지는 배선 부분(L11)과 배선 부분(L11)에 연결되어 있고 신호의 전송뿐만 아니라 다른 배선 부분이나 다른 구성요소와의 연결을 위한 패드 부분(P11)을 구비한다.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한 것처럼 패드 부분(P11)의 선폭은 배선 부분(L11)의 선폭보다 훨씬 크다.
기판(211a)에 인쇄되는 이러한 안테나 패턴(211b)은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구리, 니켈, 납, 알루미늄, 은 또는 금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도금 공정이나 다양한 인쇄 공정을 통해 기판(211a)에 장착된다.
기판(211a)은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본체(21)와 바로 접해 있고 폴리이미다(polyimide), 폴리에스터(polyester) 또는 글래스 에폭시(glass epoxy)와 같은 절연 물질인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원하는 안테나 패턴(211b)에 따라 정해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기판(211a)은 안테나 패턴(211b)의 배선 부분(L11)이 위치하는 배선 인쇄부(L21)와 배선 인쇄부(L21)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패드 부분(P11)이 위치하는 패드 인쇄부(P22)를 구비한다.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한 것처럼, 하나의 배선 인쇄부(L21)에는 하나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배선 부분(L11)이 위치할 수 있고, 하나의 패드 인쇄부(P22)는 복수 개의 배선 인쇄부(L21)와 연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하나의 패드 인쇄부(P22)에는 복수 개의 패드 부분(P11)이 위치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패드 인쇄부(P22)에는 배선 부분(L11)보다 훨씬 넓은 선폭을 갖는 패드 부분(P11)이 적어도 하나 위치하므로, 패드 인쇄부(P22)는 배선 인쇄부(L21)보다 훨씬 넓은 폭을 갖고 있다.
안테나 패턴부(211)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해당 위치에 위치하기 위해, 접착제를 이용한다.
즉, 상부면에 안테나 패턴(211b)이 위치하는 기판(211a)의 하부면이나 해당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해당 위치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해당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해당 위치에 기판(211a)을 부착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기판(211a)의 패드 인쇄부(P21)는 해당 안테나 패턴 구조물(20)과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안테나 패턴 구조물(20)과 핀 결합된다.
이를 위해 기판(211a)의 패드 인쇄부(P21)는 적어도 하나의 핀 삽입 구멍을 구비하고,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해당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핀에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한 것처럼,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핀이 대응하는 기판(211a)의 패드 인쇄부(P21)에 위치하는 핀 삽이 구멍 속에 삽입되어 안테나 패턴(211b)이 위치한 기판(211a)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해당 위치에 단단히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부(211)는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각 본체(21)의 상부면 및 하부면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위치한다.
다시 도 7 및 도 8로 되돌아가, 제1 및 제2 본체(21)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접착부(22)는 브라켓(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대면하는 본체(21)의 해당 측부[하, 이 측면을 본체(21)의 '내측부'이라 함]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접착부(22)는 브라켓(10)의 제1 및 제1 접착제 도포부(12)에 중첩되게 위치하여 접착제를 통해 대응하는 해당 접착제 도포부(12)에 접착되는 부분으로서, 브라켓(10)의 제1 및 제2 접착제 도포부(12)와 함께 접착제(50)를 이용하여 브라켓(10)에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을 접착하기 위한 구조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접착부(22)는 대응하는 제1 및 제2 접착제 도포부(12)의 접착제 홈(121)과 접착된다.
복수의 제1 및 제2 후크(23)는 브라켓(10)의 해당 측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 후크 삽입부(13)에 각각 삽입되어, 제1 및 제2 후크 삽입부(13)와 함께 브라켓(10)에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을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후크(23)는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상부면의 해당 위치하여 브라켓(10)의 위쪽 방향(Z "?*)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후크(23)의 단부는 도 16에 도시한 것처럼,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 방향 및 Y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꺾여 있어 갈고리 형태를 갖고 있다.
따라서, 대응되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상부면 일부에 브라켓(10)이 중첩되게 위치할 때, 브라켓(10)에 위치하는 각 후크 삽입부(13)의 후크 삽입 구멍(H13) 속으로는 하부에 위치한 해당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상부면에 돌출된 해당 후크(23)가 Z 방향으로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로 인해, 브라켓(10)의 후크 삽입부(13)와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후크(23)는 Z 방향으로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후크(23)의 단부가 갈고리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후크 삽입 구멍(H13)에 삽입된 후크(23)는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브라켓(10)과 후크 삽입부(13)의 Z 방향으로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및 제2 삽입 돌기(24)는 제1 및 제2 접착부(22)에서 브라켓(110)과 대면하고 있는 측면(이하, 이 측면을 각각 '제1 및 제2 접착부(22)의 내측면'이라 함)에서 브라켓(110) 쪽으로, 즉,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삽입 돌기(24)는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돌기 삽입홈(14)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브라켓(10)의 제1 및 제2 돌기 삽입홈(14)과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제1 및 제2 삽입 돌기(24)는 암수 결합된다. 이러한 삽입 돌기(24)와 돌기 삽입홈(14)은 브라켓(10)과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Y 방향으로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여 Y 방향으로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돌기 삽입홈(14)과 삽입 돌기(24)는 서로 대응되는 삽입 돌기(24)와 돌기 삽입홈(14)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그 형상과 크기가 정해지며, 형성되는 개수는 서로 결합되는 브라켓(10)과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가감된다.
이러한 안테나 패턴부(211)를 구비하고 있는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접착제 도포부(12)와 접착부(22)를 이용한 접착제 결합 방식, 후크 삽입부(13)와 후크(23)를 이용한 후크 결합 방식, 돌기 삽입홈(14)과 삽입 돌기(24)를 이용한 암수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브라켓(10)에 결합된다.
이들 접착제 결합 방식, 후크 결합 방식 및 암수 결합 방식을 위해 브라켓(10)에 각각 위치하는 접착제 도포부(12), 후크 삽입부 및 돌기 삽입홈(14)은 각각 제1 결합부라 하고, 각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에 위치하는 접착부(22), 후크(23) 및 삽입 돌기(24)는 각각 제2 결합부라 한다.
제1 결합부는 금형 동작 등을 통해 브라켓(10)의 본체(11)와 함께 형성되므로, 본체(11)의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제2 결합부 역시 사출 동작 등에 의해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본체(21)와 함께 형성되므로, 본체(2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이들 세 가지의 결합 방식 중에서 최대 두 개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생략되는 결합 방식에 해당하는 브라켓(10)와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해당 결합 구조는 당연히 생략된다.
이러한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본 예의 브라켓(10)에 안테나 패턴부(211)가 위치하고 있는 제1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부면이 상부 쪽에 위치하도록 브라켓(10)가 90도 회전되어 제1 접착제 도포부(12)의 개방부가 상부 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1 접착제 도포부(12)의 해당 접착제 도포홈(123) 속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제1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제1 접착부(22)는 제1 접착제 홈(121)에 중첩되게 위치한다.
이때, 각 제1 후크 삽입부(13)는 대응하는 각 제1 후크(24)에 삽입되고 각 제1 삽입 돌기(24)는 대응하는 각 제1 돌기 삽입홈(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접착부(22)가 제1 접착제 홈(121)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그런 다음, Z 방향으로 제1 접착부(22)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면, 제1 접착부(22)는 접착제에 의해 대응하는 접착제 홈(121)에 접하게 위치하여 접착제 홈(121)에 부착되고, 각 제1 후크(23)는 대응되는 제1 후크 삽입부(13)의 후크 삽입 구멍(H132) 속에 삽입되며, 각 제1 삽입 돌기(24)는 대응하는 각 제1 돌기 삽입홈(14) 속에 삽입된다.
그후, 자연 건조 등과 같은 건조 과정을 제1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은 브라켓(10)의 해당 측부에 안정적이고 결과하게 부착된다.
브라켓(10)에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을 부착하는 과정 역시 위에 기재한 것과 동일하며,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은 브라켓(10)에 차례대로 부착되거나 동시에 행해지는 과정을 통해 동시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a 내지 도 1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6과 비교할 때, 본 예의 전자 기기는 안테나 패턴부를 구비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구조만 상이할 때, 이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도 1 내지도 16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6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6과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즉, 본 예의 각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본체(21)와 본체(21)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턴(211c)을 구비한다.
하지만, 본 예의 안테나 패턴(211c)은 기판에 도전성 물질이 인쇄된 것이 아니라,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의 평판을 원하는 안테나 패턴 형상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스테인리스 강 패턴이다.
따라서, 본 예의 안테나 패턴(211c)은 별도의 기판을 통하지 않고 바로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본체(21)에 위치하여 본체(21)와 접해 있다.
이때,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안테나 패턴(211c)은 접착제 등을 통해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해당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패턴(211c)은, 안테나 패턴(211b)과 동일하게, 신호의 전송만이 이루어지는 배선 부분(L11c)과 배선 부분(L11c)에 연결되어 있고 신호의 전송 뿐만 아니라 다른 배선 부분이나 다른 구성요소와의 연결을 위한 패드 부분(P11c)을 구비하고, 추가로 배선 부분(L11c)의 한 측면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에 핀 삽입 구멍을 구비하는 결합 부분(C11c)을 구비한다.
결합 부분(C11c)은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해당 위치에 안테나 패턴(211c)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선 부분(L11c)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하나 이상 존재하며, 돌출된 부분에서 배선 부분(L11c)의 해당 부위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 부분(C11c)은 반원의 평면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선 부분(L11c)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미 기술한 것처럼, 패드 부분(P11c)의 선폭은 배선 부분(L11c)의 선폭보다 훨씬 크다.
이때, 패드 부분(P11c)에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20)과의 물리적인 연결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핀 삽입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안테나 패턴(211c)의 결합 부분(C11c)의 핀 삽입 구멍 및 패드 부분(P11c)의 핀 삽입 구멍과 대응하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해당 부분에는 해당 핀 삽입 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핀(28)을 구비한다.
이러한 결합 부분(C11c) 및 패드 부분(P11c)과 핀(28)에 의해, 안테나 패턴(211c)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20)과 물리적인 구조를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력이 약화되더라도 결합 부분(C11c)에 삽입된 핀(28)에 의해 안테나 패턴(211c)은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해당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특히, 패드 부분(P11c)뿐만 아니라 해당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배선 부분(L11c))도 결합 부분(C11c)를 통해 안테나 패턴 구조물(20)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안테나 패턴(211c)은 더욱 안정적으로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해당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아니라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안테나 패턴(211c)은 직접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에 위치시킬 경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할 때보다 좀 더 미세한 선폭의 안테나 패턴 형성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안테나의 길이 조정과 장착의 편리성이 향상되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할 때보다 제조 비용일 감소한다.
또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할 때보다 매우 간단하게 안테나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므로 제조 시간 역시 크게 단축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로 기능하는 안테나 패턴은 브라켓(10)이 아니라 브라켓(10)과 별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안테나 패턴 구조물에 위치한다.
따라서, 실장 영역이 한정되어 있는 브라켓(10)에 안테나 패턴의 형상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원하는 길이만큼 안테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안테나 패턴은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정면이나 배면뿐만 아니라 측면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도 형성되므로, 주파수 신호의 안정적인 송수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 확보를 위한 안테나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다
서로 별개의 구조물인 브라켓(10)과 안테나 패턴 구조물(30)은 접착제(50)뿐만 아니라 후크 결합 방식 및 암수 결합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행해지므로, 브라켓(10)과 안테나 패턴 구조물(20)의 결합이 손상되거나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브라켓 11, 21: 본체
12: 접착제 도포부 121: 접착제 홈
122; 댐 123; 접착제 도포홈
124 접착제 수용홈 13: 후크 삽입부
14: 돌기 삽입홈 20: 안테나 패턴 구조물
211: 안테나 패턴부 22: 접착부
23: 후크 24: 삽입 돌기
222: 댐 삽입홈 211a: 기판
211b, 211c: 안테나 패턴 L11, L11c: 배선 부분
P11, P11c: 패드 부분 C11c: 결합 부분

Claims (15)

  1.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제1 결합부를 갖는 브라켓; 및
    본체,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
    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의 상기 본체에 바로 접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위치하는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전자 기기.
  2.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제1 결합부를 갖는 브라켓; 및
    본체, 상기 본체에 위치하는 안테나 패턴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 구조물
    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안테나 패턴 구조물의 상기 본체에 바로 접해 있는
    전자 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 구조물은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의 결합을 위한 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상기 기판은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 구멍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 구조물은 상기 안테나 패턴과의 결합을 위한 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배선 부분;
    상기 배선 부분과 연결되어 있는 패드 부분; 및
    상기 배선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 구멍을 구비하는 결합 부분
    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부분은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 구멍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위치하고, 접착제가 위치하는 접착제 홈과 상기 접착제 홈을 에워싸고 있는 댐을 구비하는 접착제 도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안테나 구조물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 중첩되게 위치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홈의 바닥면은 단차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접착부의 외부면은 상기접착제 홈의 단차 구조와 대응되는 단차 구조를 갖는 전자 기기.
  8. 제6항에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댐이 삽입되는 댐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9. 제6항에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상기 접착제 홈에 위치하는 접착제 도포홈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0. 제6항에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의 본체와 상기 접착제 홈 사이에 상기 접착제 홈과 통하여 위치하는 접착제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1.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본체 일면에 위치하는 돌기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안테나 구조물의 상기 본체에 제1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돌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2.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본체 단부에 위치하고 가운데 후크 삽입 구멍을 포함하는 후크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안테나 구조물의 상기 본체에 제2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후크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본체와 상기 안테나 패턴 구조물의 본체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전자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본체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안테나 패턴 구조물의 본체는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전자 기기.
  1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모바일 휴대 단말기인 전자 기기.
KR1020180122029A 2018-08-24 2018-10-12 전자 기기 KR102093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9027 2018-08-24
KR1020180099027 2018-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145A true KR20200023145A (ko) 2020-03-04
KR102093413B1 KR102093413B1 (ko) 2020-03-25

Family

ID=6978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029A KR102093413B1 (ko) 2018-08-24 2018-10-12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4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510B1 (ko) * 2009-04-23 2010-04-3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20120037274A (ko) * 2010-10-11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048610A (ko) * 2011-11-02 2013-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43928B1 (ko) 2014-11-26 2016-07-29 (주)파트론 안테나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510B1 (ko) * 2009-04-23 2010-04-3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 프레임,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20120037274A (ko) * 2010-10-11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048610A (ko) * 2011-11-02 2013-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43928B1 (ko) 2014-11-26 2016-07-29 (주)파트론 안테나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413B1 (ko)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120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ntenna
EP1476918B1 (en) Built-i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269114B2 (en) Flexible printed board
EP1993170A1 (en) Rfid tag, method for manufacturing rfid tag and method for arranging rfid tag
US7384272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US9345134B2 (en) Printed wiring board
CN109688691B (zh) 柔性电路板、光收发组件及光模块
EP1978792B1 (en) Substrat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N108539369A (zh) 天线组件、天线组件的制作方法及电子设备
JPH11168316A (ja) 小型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CN209516015U (zh) 天线模块
KR102093413B1 (ko) 전자 기기
US20150349416A1 (en) Wireless module with plural in-plane terminals
JP2013201511A (ja) 車両用アンテナ一体型無線通信モジュール、車両用無線通信装置、および、車両用無線通信装置の製造方法
US20080253720A1 (en) Optical module device
KR20210047814A (ko) 소형 기기용 안테나 모듈
KR102085251B1 (ko) 전자 기기
EP384504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18508A (ja) 移動端末内蔵アンテナ
JP2001332818A (ja) フレキシブル電気基板
CN113451740A (zh) 电子设备及其壳体
KR101790532B1 (ko) 연결 구조물
KR102091550B1 (ko) 안테나 접속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CN209804889U (zh) 近场无线通信天线
CN115835482A (zh)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