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116A -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116A
KR20200023116A KR1020180099526A KR20180099526A KR20200023116A KR 20200023116 A KR20200023116 A KR 20200023116A KR 1020180099526 A KR1020180099526 A KR 1020180099526A KR 20180099526 A KR20180099526 A KR 20180099526A KR 20200023116 A KR20200023116 A KR 2020002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service
unica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효선
권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8009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3116A/ko
Publication of KR2020002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 소스 ID 및 목적지 ID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소스 ID 및 목적지 ID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스 ID 및 목적지 ID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메시지는 특정 서비스에 기초하여 통신 방식을 지시하는 정보, 결정된 소스 ID 정보 및 결정된 목적지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 소스 ID 및 목적지 ID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UNICAST AND MULTICAST COMMUNICATION IN NEW RADIO SYSTEM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차량 통신(Vehicle to everything, 이하 V2X)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는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프레임워크 및 표준에 대해서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IMT for 2020 and beyond"라 칭하여지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5 세대(5G) 통신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IMT for 2020 and beyond" 에서 제시하는 요구사항들을 충족하기 위해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New Radio) 시스템은 다양한 시나리오, 서비스 요구사항, 잠재적인 시스템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시간-주파수 자원 단위 기준에 대한 다양한 뉴머롤로지(numerology)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다.
또한, V2X 통신은 운전 중 도로 인프라 및 다른 차량과 통신하면서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V2X는 차량들 간의 LTE/NR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V(vehicle-to-vehicle), 차량과 개인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 간의 LTE/NR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P(vehicle-to-pedestrian), 차량과 도로변의 유닛/네트워크 간의 LTE/NR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I/N(vehicle-to-infrastructure/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로변의 유닛(roadside unit, RSU)은 기지국 또는 고정된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교통 인프라 구조 독립체(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ntity)일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에 속도 알림(speed notification)을 전송하는 독립체일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 원격제어 등 현재 5G시스템을 통해 V2X를 지원하기 위한 성능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5G 시스템 내 무선접속기술(RAT)인 LTE 및 NR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구체적 기술들에 대하여 논의 중에 있다.
하기에서는 NR 시스템에서 차량 간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NR 사이드링크 통신 수행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이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이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함에 따라 진보된 V2X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 소스 ID 및 목적지 ID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소스 ID 및 목적지 ID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스 ID 및 목적지 ID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메시지는 특정 서비스에 기초하여 통신 방식을 지시하는 정보, 결정된 소스 ID 정보 및 결정된 목적지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이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이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차량 통신 시스템에서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함에 따라 진보된 V2X 서비스를 지원하고 특정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구성하여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V2X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V2X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V2X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사이드링크 및 기지국과의 통신을 모두 이용하여 V2X 동작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D2D 통신 시나리오이다.
도 6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D2D 통신 시나리오이다.
도 7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스케줄링 모드 및 단말 자율 결정 모드에 기초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V2X 통신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유니캐스트 전송 및 브로드캐스트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멀티캐스트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단말이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MAC PDU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단말이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SL-SCH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단말이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MAC SDU와 패딩에 대한 서브헤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수신 단말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수신 단말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는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도 20은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ase Station, BS)'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B(eNB), gNodeB(g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비-AP 스테이션(non-AP STA)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채널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것은 해당 채널을 통해서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제어 채널을 통해서 제어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데이터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들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기존의 시스템과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NR 시스템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NR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시나리오, 서비스 요구사항 및 잠재적인 시스템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NR 시스템은 높은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상에서 발생하는 높은 방향-손실(path-loss), 페이즈-잡음(phase-noise) 및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 등의 좋지 않은 채널 환경을 극복하고자 복수의 빔을 통한 물리 신호/채널의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NR 시스템에서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uMTC(ultra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의 NR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로서 사용되지만, NR 시스템이라는 용어 자체가 상술한 특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예로, 5G 이동 통신 기술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5G 이동 통신 기술은 상술한 NR 시스템뿐만 아니라, 기존의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시스템까지 모두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즉, 5G 이통 통신은 새롭게 정의된 NR 시스템뿐만 아니라 이전 시스템과의 역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고려하여 동작하는 기술일 수 있다.
일 예로, 5G의 사이드링크(sidelink) 분야는 LTE 시스템에서의 사이드링크와 NR 시스템에서의 사이드링크 기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링크 분야는 초고신뢰 및 초저지연 등을 통한 성능 향상과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의 접목을 위해 필수적인 분야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NG-RAN(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또는 E-UMTS(Evolv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NG-RAN 또는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시스템 등을 포함하거나, 5세대 이동통신망, NR(new radi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 기지국(BS: Base Station, 11)과 단말(UE: User Equipment, 12)은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단말간(D2D: device to device)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단말에 대해 스마트폰 등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단말 장치의 개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 기지국(11)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에게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커버리지는 사이트(site)라는 용어로도 표현될 수 있다. 사이트(site)는 섹터라 부를 수 있는 다수의 영역들(15a, 15b, 15c)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트에 포함되는 섹터 각각은 서로 다른 식별자를 기반으로 식별될 수 있다. 각각의 섹터(15a, 15b, 15c)는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g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 eNodeB), 가내 기지국(HeNodeB: Home eNodeB), 릴레이(relay), 원격 무선 헤드(RRH: Remote Radio Head), DU(Distributed Uni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단말(12)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한, 기지국(11)은 해당 기지국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의 크기에 따라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기지국이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 전체 혹은 일부, 기지국의 커버리지 또는 기지국을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에는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하기 표 1은 상술한 V2X와 관련하여 각각의 용어에 대한 정의일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또한, 일 예로, 하기에서 서술한 구성과 관련된 약어는 표 2와 같을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V2X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DL), 상향링크(UL) 및 사이드링크(SL)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는 V2X에서 고려되는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V2X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은 D2D(ProSe)에 정의된 단말(UE)과 단말(UE) 간의 링크인 PC5 링크만을 지원할 수 있다. PC5 링크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 정의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무선접속계층에서 사이드링크(SL: Sidelink)라 정의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는 차량통신을 위한 차량과 차량간의 직접통신을 위한 무선접속계층에서의 링크를 의미하지만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은 단말(또는 차량) 및 기지국과의 통신을 이용한 V2X 동작 시나리오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V2X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단말(UE)간, 또는 무선 접속망과 단말(UE) 간의 링크인 Uu 링크만을 지원할 수도 있다. Uu 링크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인 상향링크(Uplink, UL)와 기지국이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인 하향링크(Downlink, D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V2X와 관련하여 필요한 용어는 상술한 표 1 및 표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D2D(Device to Device)는 단말간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ProSe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대한 근접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SL(sidelink)은 상술한 사이드링크일 수 있으며,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은 상술한 사이드링크와 관련된 제어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이고,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일 수 있다. 또한,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는 채널로서 시스템 정보들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는 디스커버리 채널로서 신호 발견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채널일 수 있다.
또한, V2V는 차량간 통신, V2P는 차량 및 보행자간 통신, V2I/N은 차량과 인프라스트럭처/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이때, 일 예로, V2X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서술하는 단말은 차량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로 통일하게 지칭하지만, 단말은 V2X를 위한 차량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사이드링크 및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로 지칭한다.
또한, 도 4는 상술한 사이드링크 및 기지국과의 통신을 모두 이용하여 V2X 동작을 수행하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UE) 형태로 RSU(Road Side Unit)를 포함하여 상술한 PC5 링크와 Uu 링크 모두를 고려할 수도 있다. 도 4a는 기지국이 다수의 차량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이고, 도 4b는 단말(UE, RSU)이 다수의 차량에게 사이드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일 예로, D2D 통신은 단말 간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하기에서 단말(또는 차량)은 D2D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D2D 통신은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 이하 ProSe) 또는 ProSe-D2D 통신이라는 표현으로 대치될 수 있다. D2D 통신을 위한 상기 ProSe라는 용어의 사용은, 단말 간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의미가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근접 기반 서비스의 의미가 부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D2D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 또는 커버리지 외(out-of-coverage)에 있는 단말 간의 통신을 위한 발견(discovery) 절차와, 단말 간의 제어 데이터 및/또는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 절차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D2D 통신에 기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은 전송 단말(Tx UE)일 수 있다. 또한, D2D 통신에 기반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을 수신 단말(Rx UE)일 수 있다. 이때, 전송 단말은 디스커버리 신호(discovery signal)를 전송할 수 있고, 수신 단말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 단말과 수신 단말은 각자의 역할이 바뀔 수도 있다. 전송 단말에 의해 전송된 신호는 둘 이상의 수신 단말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상술한 D2D 통신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용 주파수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서의 D2D 통신은 공공 안전(public safety), 교통망 서비스, 초저지연(Ultra-low latency) 서비스 및 상업적 목적의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교통망 전용 주파수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해당 주파수를 통한 D2D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여부와 관계없이 교통망 통신 및 교통안전 등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근접한 거리의 단말들이 D2D 통신을 수행하면 기지국의 부하는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서로 근접한 단말들이 D2D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들은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므로 단말의 송신 전력의 소모 및 전송 지연(latency)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는 기존의 셀룰러 기반의 통신과 D2D 통신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에는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2D 통신(또는 V2X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기지국 커버리지) 내(In-coverage, IC) 통신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 OCC) 통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IC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 간의 통신일 수 있다. 또한, OCC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위치한 단말 간의 통신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2D 통신(또는 V2X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과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위치한 단말 간의 통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는 D2D 통신(또는 V2X 통신)에 대한 시나리오일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말(V2X UE1, 510) 및 제2 단말(V2X UE2, 520)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제 1 단말 (510) 및 제 2 단말 (520)은 차량통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기지국(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1 단말(510) 및 제 2 단말(520)은 UL 데이터 송신 및 DL 데이터 수신을 통해 차량통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반면, 일 예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제 3 단말(V2X UE3, 530) 및 제 4 단말(V2X UE4,54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 3 단말(530) 및 제 4 단말(540)이 제 1 단말 (510) 및 제 2 단말(520)과 단말간 통신이 불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 제 3 단말(530) 및 제 4 단말(540)은 차량 통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제 1 단말(510) 및 제 2단말과 교환할 수 없다. 즉, 물리적 신호가 도달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단말은 다른 단말, 기지국, 서버 등과 통신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제4 단말(540)이 차량통신 서비스 또는 상용 서비스 등의 이유로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필요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D2D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범위 내에 존재하는 RSU(Road Side Unit, 560)와 D2D 통신이 가능한 경우, RSU가 중계 역할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제4 단말(540)은 간접 경로를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RSU(560)는 UE 타입일 수 있다. 다만, RSU(560)는 다른 타입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RSU(560)가 릴레이 역할을 수행하여 제 4단말(540)이 사이드링크(SL)를 통해 RSU(560)에게 차량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RSU(560)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향링크(UL) 전송을 이용하여 기지국(550)으로 상기 차량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기지국(550)으로부터 제 1 단말(510) 및 제 2 단말(520)는 제 4 단말(540)의 차량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단말은 RSU 등과 같은 릴레이 단말 및 릴레이 단말의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들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6은 D2D 통신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제 4 단말(V2X UE4, 6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RSU(66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통신 서비스 데이터일 수 있다. 상술한 경우에 제 3 단말(V2X UE3, 630)은 제 4 단말(640)과 통신이 불가능한 위치에 존재하지만 RSU(660)와 사이드링크 통신이 가능한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제 3 단말(630) 역시 제 4 단말(640)의 데이터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V2X 서비스는 지연시간에 민감하기 때문에 RSU(660)가 제 4단말로(660)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Uu 인터페이스(LTE 또는 NR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650)으로 전달하기 위한 준비뿐만 아니라, 사이드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준비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즉, RSU(660)가 기지국(650)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이를 다시 RSU(660)로 전달되는 동안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RSU(660)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받는 모드로 동작하거나 단말 자율 결정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때, RSU(660)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받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4 단말(6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LTE 또는 NR로 전송을 위한 BSR(Buffer Status Reporting)에 포함할 데이터로 판단됨과 동시에 사이드링크(SL) BSR에 포함할 데이터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제 4 단말(640)로부터 수신한 차량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LTE 측 RB(radio bearer) 내 PDCP/RLC 계층에 전달함과 동시에 사이드링크 측 RB 내 PDCP/RLC 계층에도 동일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링크 측 RB로 전달되는 데이터의 PPPP(ProSe Priority per Packet)은 수신된 패킷의 우선순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된 패킷의 우선순위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측 R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RSU(660)는 우선순위를 지원하는 새로운 RB를 스스로 구성하여 패킷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에서는 D2D 통신으로 지칭하였지만, 이는 V2X 통신일 수 있으며,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D2D 통신으로 지칭하였을 뿐,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본 개시에서 V2X 통신 또는 직접 링크(e.g D2D, ProSe, 또는 SL)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서 동작 모드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 자원 스케줄링 모드(eNodeB resource scheduling mode, 모드 3)는 V2X(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단말이 사용하는 자원들을 기지국 또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가 스케줄링 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V2X(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드가 상술한 기지국 자원 스케줄링 모드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7의 (a)는 기지국 스케줄링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기지국(710)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전송 단말(UE A, 7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전송 단말(720)은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수신 단말(UE B, 730)에게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SCI)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수신 단말(UE B, 730)은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SCI)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7의 (b)를 참조하면, 단말 자율 자원 선택 모드(UE autonomous resource selection mode, 모드 4)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단말이 사용하는 자원들을 단말이 스스로 선택하고, 이러한 자원 선택은 자원 풀(resource pool) (즉, 자원 후보의 집합)에서 단말이 센싱(sensing) 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드가 단말 자율 자원 선택 모드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전송 단말(UE A, 740)은 자신이 선택한 자원에서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수신 단말(UE B, 750)에게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수신 단말(750)은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기지국 자원 스케줄링 모드는 D2D 등을 위한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통신에서 모드 1(Mode 1)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지국 자원 스케줄링 모드는 V2X 등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모드 3(Mode 3)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자율 자원 선택 모드는 D2D 등을 위한 사이드링크(또는 직접 링크) 통신에서 모드 2(Mode 2)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자율 자원 선택 모드는 V2X 등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모드 4(Mode 4)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실시예일 뿐,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동일한 대상 및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모드로 볼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V2X 통신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D2D, ProSe 등과 같이 직접 링크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특정 기준에 따라 해당 캐리어의 셀을 탐지할 때마다 V2X 사이드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캐리어에서 수신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때,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인가된 단말이 V2X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에서 커버리지 내에 있거나, 기지국이 그 주파수에 대해 V2X 사이드 링크 구성을 제공하면 (단말이 그 주파수에서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 포함), 단말은 기지국 구성에 따라 상술한 스케줄링된 자원 할당 또는 단말 자율적인 자원 선택을 사용한다. 단말이 V2X 사이드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커버리지를 벗어 났고, 기지국이 그 주파수에 대해 V2X 사이드 링크 구성을 제공하지 않으면, 단말은 단말에 미리 구성된 송신 및 수신 리소스 풀 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단말 자율 결정 모드에 기초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기지국 스케줄링 모드에서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에 전송 자원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일 예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표 3과 같은 V2X 전용 구성 정보를 전송하며, 이를 위해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에서의 시그널링 절차(e.g. RRC 연결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표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또한, 일 예로, 단말 자율 결정 모드(모드 4)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모드 4에서 송신 자원풀에 대한 세부 구성 정보는 모드 3를 위한 송신 자원풀에 대한 세부구성정보인 상술한 표 3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모드 4에서는 송신 자원풀 정보가 리스트 형태(SL-CommTxPoolListV2X)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기지국은 모드 4로 동작 가능한 새로운 송신 자원풀을 구성하거나 기존에 구성한 송신 자원풀들 중 일부를 해제하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은 송신 자원풀 내에 자원들 중 실제 V2X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할 일부의 자원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단말이 이러한 선택을 하는데 기준이 되는 기준 파라미터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모드 4에서 기지국은 모드 3과 유사하게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상술한 표 3과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모드 4에서 RRC IDLE 모드인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차량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V2X 서비스 관련 시스템 정보라 한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수신한 시스템 블록 정보에 기초하여 스스로 송신 자원 풀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이 스스로 자원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존의 개념이 사용될 수 있다. 존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사전 구성될 수 있는데, 존이 구성(또는 사전 구성)되면, 단일 고정 참조 점 (즉, 지리적 좌표 (0, 0)), 길이 및 너비를 사용하여 지리적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영역을 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단말은 각각의 존의 길이 및 폭, 존의 수, 단일 고정된 기준점 및 단말의 현재 위치의 지리적 좌표를 사용하여 존 ID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존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안과 밖 모두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안에 있을 경우, 기지국에 의해 각 존의 길이 및 폭, 존의 수가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반면,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 났을 경우, 단말은 사전 구성된 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전송 자원과 존(zone) 사이의 매핑 관계를 기반으로, 단말은 단말이 위치한 존에 대한 V2X 사이드링크 자원 풀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선택한 자원 풀을 기반으로 센싱(sensing)을 수행하여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센싱이란 자원 선택 메커니즘으로, 단말은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일부 특정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재선택하고 전송 자원들을 예약한다. 최대 2개의 전송 자원 예약 프로세스가 단말에 허용되며, 이때, 상기 전송 자원 예약 프로세스는 병렬로 수행된다. 다만, 이때, 단말은 V2X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해 단일 자원 선택만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V2X 통신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V2X 단말(820, 830)은 V2X 어플리케이션과 통신 프로토콜 스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V2X 단말들(820, 830) 간의 통신은 PC5 링크를 통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V2X 어플리케이션간의 통신은 V5 링크를 통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810)과 단말들(820, 830)의 통신은 Uu 링크를 통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단말(820)이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V2X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820)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의 설정에 따라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생성된 V2X 메시지에 대해 우선순위 정보, QoS 정보 등을 설정한 뒤 V2X 메시지와 함께 상술한 정보를 AS(Access Stratum)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설정 정보 및 V2X 메시지를 수신한 AS 계층은 V2X 메시지의 우선순위, 신뢰도를 확인하여 적절한 SLRB(Sidelink Radio Bearer)에 V2X 메시지를 매핑시킬 수 있다. 이때, AS 계층을 통해 단말의 PDCP, RLC, MAC, PHY 계층은 V2X 메시지를 전달받으며, 메시지를 전송할 준비를 하고,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V2X 통신은 기지국을 거쳐서 이뤄질 수도 있고,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통해서 이뤄질 수도 있다. 이때, 기지국을 거치는 경우 LTE 기반의 V2X 통신에서는 LTE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인 Uu 링크를 통해 송신 및/또는 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말 간의 직접 통신으로서 사이드링크를 이용하는 경우, LTE 기반의 V2X 통신에서는 LTE의 단말과 단말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인 PC5 링크를 통해 송신 및/또는 수신이 이뤄질 수 있다.
일 예로, 5G의 사이드링크(sidelink) 분야는 LTE 시스템에서의 사이드링크와 NR 시스템에서의 사이드링크 기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링크 분야는 초고신뢰 및 초저지연 등을 통한 성능 향상과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의 접목을 위해 필수적인 분야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에 기초하여 V2X를 위한 동작 및 관련 정보에 대해 서술한다. 다만, 하기 특징들은 특정 시스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으며, 다른 시스템에서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하기 설명은 LTE V2X를 위한 동작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V2X는 차량을 기반으로 한 통신일 수 있다. 이때, 차량의 개념이 단순 이동수단에서 새로운 플랫폼으로 변화하고 있다. 일 예로, 차량에 IT 기술들이 접목되고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다양한 V2X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일 예로, 교통사고 사전 방지, 교통 환경 개선, 자율주행 및 원격주행 등과 같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를 위해, V2X와 관련하여, 사이드링크 관련 기술에 대한 개발 및 적용에 대한 필요가 높아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통신 기술과 관련하여, 기지국으로부터의 단말로의 통신은 하향링크(downlink)이고, 단말로부터의 기지국으로의 통신은 상향링크(uplink)일 수 있다. 다만, 기지국과 단말과의 통신만 아니라 단말들 상호 간의 통신이 필요할 수 있으며, 단말로부터의 단말로의 통신이 상술한 사이드링크일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V2X와 관련해서 차량 상호 간 통신 또는 차량과 다른 물체(보행자 단말(pedestrian UE)이나 단말 타입의 도로 주변 유닛(UE-type RSU(roadside unit)) 등 기지국이 아닌 물체)와의 통신이 사이드링크일 수 있다. 즉, 차량을 기반으로 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통신만으로는 한계가 있는바, 상술한 사이드링크 기술이 개발되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차량은 단말로 지칭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로 지칭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차량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NR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 간의 통신(상향링크/하향링크)과 기존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 간의 통신(상향링크/하향링크) 방법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일부 특징에 대해서는 유사할 수 있으며, 새로운 시스템인 NR 시스템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사이드링크 역시 기존 시스템(e.g. LTE)에서의 사이드링크와 NR 시스템에서의 사이드링크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NR V2X에서는 LTE V2X에서 지원되는 서비스 외에도 군집주행, 원격주행, 고도주행, 센서확장과 같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서비스들은 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는 서비스로, 이와 같은 엄격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향상된 NR 시스템과 새로운 NR 사이드링크가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NR V2X에서는 군집주행, 센서확장, 고도주행, 원격주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단말 대 단말, 유니캐스트 통신의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단말과 여러 대의 단말이 통신하는 멀티캐스트 통신의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에 대한 설명과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이 필요한 NR V2X의 시나리오에 대해 서술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유니캐스트 전송, 멀티캐스트 전송 및 브로드캐스트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유니캐스트 전송은 하나의 단말(910)이 다른 하나의 단말(92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일대일 전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전송은 수신 단말의 서비스 지원 여부와 무관하게 모든 단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일 수 있다. 즉, 도 9에서 하나의 단말(930)이 수신 단말들(940, 950, 960)이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은 그룹에 소속된 다수의 단말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일 수 있다.
이때, 도 10을 참조하면, 그룹 A에 포함된 단말(1010)은 멀티캐스트 방식을 통해 그룹 A에 포함된 수신 단말들(1020, 1030)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그룹 B에 포함된 수신 단말들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바, 브로드캐스트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일 예로, 그룹 B에 포함된 단말(1030)도 멀티캐스트 방식을 통해 그룹 B에 포함된 수신 단말들(1040, 1050)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일 예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이 V2X 통신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V2X 서비스와 관련하여, 새로운 서비스로서 군집주행(Platooning)이 고려될 수 있다. 이때, 군집 주행에 기초하여 군집 내 정보 교환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에로, 군집 주행의 경우, 군집에는 리더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군집의 리더는 주변 교통 데이터를 그룹 멤버에게 실시간으로 보고할 필요가 있다. 그룹 멤버 또한 그룹 내에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차량 A, B, C 및 D가 군집을 이루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차량 A가 그룹의 리더일 수 있다. 일 예로, 그룹 멤버들은 주변 실시간 교통 정보 및 도로 정보를 공유하고, 차량 A는 모든 정보를 RSU(Road Side Unit)에 보고할 수 있다.
이때, 차량 A가 RSU를 통해 도로 앞쪽에 교통 사고로 인한 도로 혼잡이 있음을 발견한 경우, 차량 A는 그룹 멤버들(B, C, D)에 RSU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일 예로, 그룹 내의 차량(또는 단말)로서 상술한 정보를 수신한 차량 B, C, D는 주행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 지도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속도를 줄이고, 경로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V2X 서비스로서 고도주행(Advanced Driving)이 고려될 수 있다. 이때, 고도 주행을 위한 제어 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간 협업 충돌 방지 (Cooperative collision avoidance(CoCA) of connected automated vehicles), 차량의 CAM, DENM 안전 메시지, 센서의 데이터, 제동 및 가속 명령과 같은 동작 목록 이외에도 사고 확률을 더 잘 평가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량 간 제어 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정보들은 어플리케이션에서 3GPP V2X 통신을 통한 도로 교통 흐름을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또는 차량) A, B, C가 CoCA를 수행한다고 가정할 때, 단말 A 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V2X 통신을 통해 CoCA 관련 메시지 (궤도, 센서 데이터, 브레이크 명령 등)를 교환할 수 있다. 단말 B와 C는 상술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단말 A의 CoCA 정보를 확인하여 속도를 조정하고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V2X 통신에서 단말 간 메시지 교환이 가능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정보에 대해서는 10Mbps의 데이터 처리량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이 99.99%의 신뢰성으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원활한 데이터 처리 및 높은 신뢰성이 요구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 간 고도주행을 위한 정보가 공유되는 경우, 동일한 영역 내에서 차량들 사이에서 감지한 물체를 공유하기 위한 협력 인식과 차선 변경과 같은 대략적인 운전 의도를 공유하는 협력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적인 협력 인식은 일반적으로 감지기능의 온보드 센서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V2X 통신을 사용하여 지역 인식 데이터 (추상화된 데이터 및/또는 고해상도 센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차량 및/또는 RSU는 자신의 로컬 센서 (예를 들어, 카메라, LIDAR, 레이더 등)로부터 얻어진 자신의 지각 데이터를 근접한 차량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협력 동작은 기본적으로 근접한 차량들이 자신의 주행 의도를 공유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차량은 검출된 물체 (예를 들어, 센서에 의해 검출된 추상적 객체 정보) 및/또는 다른 차량과의 주행 의도를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차량은 지역 센서로부터만 얻을 수 없는 주변 물체의 정보를 얻고 근접한 다른 차량의 운전 의도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도로 안전과 교통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낮은 지연과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며, 따라서 NR V2X에서는 단말들 간 직접 또는 RSU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브로드캐스트 방식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 또는 주기적인 정보 교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험 상황을 고려하여 단말 간 "Emergency Trajectory Alignment (EtrA)" 메시지를 통해 협력적인 자동 운전을 보완할 수 있다. EtrA를 통한 동작 협력은 위험한 상황에서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즉, EtrA 메시지는 예상치 못한 도로 상황에 대비하여 안전한 보안을 위해 협조적인 회피 조정을 위한 특정 정보가 있는 센서 데이터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이 센서를 통해 도로 위의 장애물 정보를 얻었을 때, 차량은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를 피하기 위한 동작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이 정보를 V2X 통신을 통해 다른 차량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V2X 에서는 [500] m의 통신 범위 내에서 [3] ms 종단 간 지연 및 [99.999] % 신뢰도와 낮은 데이터 속도 [30] Mbps를 갖는 단말들 간의 통신이 가능해야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 간 협력에 기초한 차선 변경 시나리오를 고려할 수 있다. 다중 차선 도로에서 차량이 차선 변경을 하고자 하는 경우, 안전하고 효율적인 차선 변경을 위해 차량간 정보 교환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A, B, C가 V2X 통신을 지원하고, 차량 B와 C가 A보다 인접한 차선에 위치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차량 A가 차량 B와 C 사이의 인접한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수 있다. 차량 A는 차량 B와 C에게 차선을 변경할 것을 알리고 간격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차량 B와 C는 요청사항에 따라 간격을 만들 것임을 확인하고, 차량 A에게 이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차량 A는 차선을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단말 간 메시지 교환을 통해 지원될 수 있다.
또 다른 V2X 서비스로서 확장센서(Extended Sensor)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또는 차량) 간 센서 및 비디오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자의 시각적 범위는 트럭을 앞쪽에서 주행하는 것과 같이 일부 도로 교통 상황에서 방해가 될 수 있다. 한 차량에서 다른 차량으로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이러한 안전에 중요한 상황에서 운전자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는 수집되어 가능 UE-타입 RSU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확장 센서를 사용하면 차량, RSU, 보행자 장치 및 V2X 응용 프로그램 서버 사이에서 로컬 센서 또는 라이브 비디오 데이터를 통해 수집된 원시 데이터 또는 처리된 데이터를 차량 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자체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것 이상의 환경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역 상황을 보다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 물체 감지로 추출된 물체가 있는 곳에서 사전 처리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공유하면 운전자는 안전 기본 설정에 따라 운전을 할 수 있지만, 저해상도 비디오 데이터를 공유할 때는 장애물이 보이지 않고 간과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을 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은 낮은 지연과 높은 신뢰성을 요구한다. 또한 [100] m의 통신 범위 내에서 [10] Mbps 데이터 레이트, [50] ms의 대기 시간 및 [90] % 신뢰도로 단말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V2X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낮은 지연시간, 높은 신뢰성이 요구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브로드캐스트 기반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에는 V2X에서 요구되는 요구 사항을 만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NR V2X에서는 상술한 바처럼 브로드캐스트 메커니즘 외에도 차량 간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기 위해 새로운 양방향 전달 메커니즘인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하기에서는 NR 시스템에서 V2X를 위한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한편, 하기에서는 V2X 사이드링크에 기초하여 V2X 단말들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분야에서 확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할 때, 기존 시스템(e.g. LTE)의 V2X에서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방식으로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었다. 다만, 새로운 시스템(e.g. NR)의 V2X에서는 브로드캐스트뿐만 아니라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 동작의 정의가 필요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에 대해 서술한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V2X 단말은 V2X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1은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예로, 단말(또는 차량, 하기에서는 단말로 지칭함)이 특정 QoS에 대해 주변 단말과 정보 공유를 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을 찾고, 서비스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S1110) 즉, 단말은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과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동작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V5 링크를 통해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고, 동일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을 수 있다. (1120) 이후,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통신을 위한 링크 설정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계층이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링크를 설정하는 경우, 하기 표 4와 같은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의 개수 및 서비스에 대한 요구 사항을 고려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니캐스트의 경우, 일대일 통신일 수 있는바, 단말 간 직접 연결이 설정되므로, 각 단말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파악하여 각각 단말의 상황을 고려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에 대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반면, 일대일 통신인바,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의 개수가 많으면 다수의 링크가 형성되어야 하는바 많은 자원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동시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의 수가 제한될 수 있다. 반면, 멀티캐스트는 동시에 여러 대의 단말에게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유니캐스트 방식에 비해 단말 각각에 대한 특징 및 상황을 고려하여 송수신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하기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의 개수 및 서비스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05
일 예로, 많은 단말이 해당 서비스에 참여하고자 한다면, 단말은 멀티캐스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의 수가 많지 않고, 서비스의 요구사항이 지연에 민감하고 높은 신뢰성을 요구한다면 유니캐스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위 두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어떤 통신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1130). 이후,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단말이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통신시 사용할 ID를 할당할 수 있다(1140). 그 후, 단말은 할당된 ID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달(1150)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ID는 “Source Layer-2 ID”와 “Destination Layer-2” ID가 될 수 있다. “Source Layer-2 ID”는 데이터의 송신자를 구분하기 위한 ID일 수 있으며, MAC 헤더 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즉, “Source Layer-2 ID”는 단말에 대한 ID일 수 있다. 또한, “Destination Layer-2 ID”란 데이터의 목적지를 구분하기 위한 ID일 수 있으며, 상술한 ID 또한 MAC 헤더 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유니캐스트인 경우, “Destination Layer-2 ID”는 서비스 및 상대 단말(또는 타겟 단말)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멀티캐스트인 경우, “Destination Layer-2 ID”는 서비스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송신자를 구별하는 ID 및 서비스와 데이터 수신자를 구별하는 ID 정보가 MAC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ID는 “Source Layer-1 ID”와 “Destination Layer-1 ID”가 될 수 있다. “Source Layer-1 ID”란 데이터의 송신자를 구분하기 위한 ID로, PHY 계층에서 단말을 구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Source Layer-1 ID”는 단말에 대한 ID일 수 있다. 또한, “Destination Layer-1 ID”란 데이터의 목적지를 구분하기 위한 ID로, 상술한 ID 또한 PHY계층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유니캐스트인 경우, “Destination Layer-1 ID”는 서비스 및 상대 단말(또는 타겟 단말)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멀티캐스트인 경우, “Destination Layer-1 ID”는 서비스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송신자를 구별하는 ID 및 서비스와 데이터 수신자를 구별하는 ID 정보가 MAC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송신자를 구별하는 ID 및 데이터 수신자를 구별하는 ID 정보가 PHY 계층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Source Layer-2 ID”와 “Source Layer-1 ID”가 둘 다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Destination Layer-2 ID”와 “Destination Layer-1 ID” 둘 다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유니캐스트 통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스 ID(Source ID)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더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소스 ID와 유니캐스트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해당 서비스를 고려하여 목적지 ID(Destination ID)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더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목적지 ID는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두 개의 단말이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A와 단말 B가 특정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A와 B는 각각의 단말 ID(e.g. Source ID)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단말의 소스 ID와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목적지 ID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목적지 ID는 단말 A와 B에 공통적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목적지 ID(Destination ID)와 서비스에 대한 멀티캐스트 통신에서 사용할 단말 ID인 소스 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A, B, C 및 D가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A, B, C 및 D는 각각의 단말 ID(e.g. Source ID)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목적지 ID는 멀티캐스트 통신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ID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목적지 ID는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 즉, A, B, C, D 모두에게 공통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ID 설정을 완료한 경우,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유니캐스트 링크 설정 또는 멀티캐스트 그룹 설정을 통해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간 유니캐스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링크 설정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링크 설정 과정은 두 단말 간의 안전한 직접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링크 설정 과정에서는 링크 설정을 요청한 단말과 그에 대해 응답하는 타켓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링크 설정 과정을 시작하기 전, 단말은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단말은 먼저 일부 조건들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상술한 조건은 요청 단말과 타켓 단말 간 존재하는 링크가 없고, 요청 단말에 대한 ID가 이용 가능하고, 타겟 단말에 대한 ID가 이용 가능한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링크 설정을 요청한 단말은 “DIRECT_COMMUNICATION_REQUEST” 메시지를 생성함으로써 링크 설정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상술한 메시지에는 단말 정보, IP 주소 정보 및 보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DIRECT_COMMUNICATION_REQUEST” 메시지를 생성한 단말은 상술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소스 ID(Source ID) 및 목적지 ID(Destination ID)와 함께 메시지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송한 시점에 소정의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상술한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요청 단말은 타겟 단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링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타겟 단말은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타겟 단말은 요청을 받아들일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메시지의 IP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IP 주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통 IP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 타겟 단말은 요청 단말과의 보안을 검증해 볼 수 있으며, 보안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판단했을 때, 링크 설정 요청에 대한 허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 설정 허가 메시지는 “DIRECT_COMMUNICATION_ACCEPT”가 될 수 있으며, 상술한 메시지에는 IP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요청 단말은 동작하고 있는 타이머를 중지할 수 있으며, 타겟 단말과의 링크 설정 과정을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반면, 타겟 단말이 링크 설정 요청에 대해 거절하는 경우, 타겟 단말은 “DIRECT_COMMUNICATION_REJEC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에는 거절 이유가 포함될 수 있다. REJECT 메시지를 수신한 요청 단말은 상기 타겟 단말과의 링크 설정 시도를 중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그룹 설정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그룹은 특정 QoS에 대해 설정될 수 있으며, 그룹에는 QoS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이 그룹 멤버로서 포함될 수 있다. 그룹 설정 시,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설정한 그룹을 각 그룹 멤버의 어플리케이션에게 알려 그룹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ID 설정 및 링크 또는 그룹 설정을 완료한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단말이 선택한 방식을 적용하도록 상술한 ID들과 통신 방식을 단말의 하위 계층(MAC, PHY)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로 통신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공유를 위해 해당 서비스의 데이터를 단말의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1150).
단말의 하위 계층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하기에서는 단말이 “Source Layer-2 ID”와 “Destination Layer-2 ID”를 기반으로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일 예로, 도 12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결정된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10) 이때, 단말은 결정된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ID를 할당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통신에서 사용할 수 있는 ID를 할당할 수 있다.(S1220) 이때, 단말은 결정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타겟 단말(또는 타겟 단말들)과 링크를 형성하여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S1230)
또한, 일 예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링크가 중복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3은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링크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V2X 통신에서 단말은 주행 경로, 속도 등에 따라 주변환경이 계속해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변의 단말 또한 계속해서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정보공유를 시작하는 경우, 단말은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이 오직 한대뿐인 경우, 단말은 유니캐스트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만, 일 예로,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시점에서 다수의 단말이 특정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자원 효율, 단말의 능력 등을 고려하여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즉, 단말이 특정 서비스를 위해 최초에는 유니캐스트로 동작하더라도, 특정 시점에서 멀티캐스트로 동작할 필요성이 있다. 동일하게, 단말이 특정 서비스를 위해 최초에는 멀티캐스트로 동작하더라도, 특정 시점에서는 유니캐스트로 동작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단말이 동일한 서비스에 대해 다수의 단말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동일한 메시지를 각각의 단말에게 개별적으로 전송해야 한다. 이때, 수신 단말의 수가 많다면, 이러한 송신 동작은 단말에 부하를 일으킬 수 있으며, 자원 사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유니캐스트 통신 단말이 많은 경우,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통신 단말이 많은 경우는 기설정된 개수보다 통신 단말이 많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유니캐스트 방식에서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환하는 기설정된 개수는 기지국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기설정된 개수는 단말 능력 및 단말 상황을 고려하여 단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멀티캐스트 방식은 자원 사용에 효율적일 수 있으나, 개별 단말에 대한 환경을 고려하여 전송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특정 서비스에 대해 멀티캐스트로 수신하는 단말의 수가 많지 않은 경우라면 유니캐스트 링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수 역시 기설정된 개수로서 단말 특징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멀티캐스트 방식에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환하는 기설정된 개수는 기지국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기설정된 개수는 단말 능력 및 단말 상황을 고려하여 단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단말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단말은 동일한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 링크를 동시에 지원하는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서비스에 대해 멀티캐스트와 유니캐스트 두 가지 링크를 모두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단말의 상황에 기초하여 설정된 링크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일정한 경우에 설정된 링크에 기초하여 멀티캐스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일정한 경우에 설정된 링크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를 고려하면, 하기 표 5와 같이 동일한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 통신 방식을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해당 통신 방식에 대한 ID가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 표 5에서, QoS A에 대해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 두 가지 통신 방식이 모두 지원될 수 있다. 이때, QoS A에 대한 소스 ID(Source ID)와 목적지 ID(Destination ID)는 각 통신방식 별로 설정될 수 있다.
[표 5]
Figure pat00006
또한, 일 예로, 단말은 동일한 QoS에 대해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가 동시에 설정된 경우, 하기 표 6에 기초한 조건이 따라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은 수신 단말의 수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신 단말의 수는 기설정된 개수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즉, 단말은 기설정된 개수 이하에서는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하고, 기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표 6을 참조하면, 단말 능력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유니캐스트를 지원하는 경우, 단말 능력에 따라 유니캐스트 연결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이 특정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 연결이 4개까지 지원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4개의 연결 개수를 넘게 되면,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유니캐스트 연결 개수가 4개를 넘지 않는다면, 단말은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능력은 하나의 일 예일 뿐, 다른 단말 능력에 기초하여 구별될 수 있다.
[표 6]
Figure pat00007
또한, 상술한 조건에 기초하여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함께 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어떤 통신 방식을 적용해야 하는지 및 데이터에 대한 목적지 ID 및 소스 ID가 무엇인지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의 MAC 계층은 상술한 상위 계층의 지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일 예로, 도 13은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링크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서비스에 대해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가 동시에 설정될 수 있다. 즉, 단말은 동일한 QoS에 대해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가 동시에 설정된 경우,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단말(1310)은 상술한 표 6의 조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단말들(1320, 1330, 1340) 각각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유니캐스트 방식에 기초하는 경우, 개별 단말 각각에 대한 서비스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쉬울 수 있으나, 자원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일 예로, 하나의 단말(1310)은 상술한 표 6의 조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단말들(1320, 1330, 1340)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멀티캐스트 방식에 의하면 자원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개별 단말에 대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고려하여 특정 V2X 서비스를 위해 유니캐스트에 대한 링크만 설정되는 경우, 특정 V2X 서비스를 위해 멀티캐스트에 대한 링크만 설정되는 경우 및 특정 V2X 서비스를 위해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에 대한 링크가 모두 설정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지원하는 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상술한 모드 3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V2X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단말에게 유니캐스트에 대한 링크만을 지원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기지국은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단말에게 멀티캐스트에 대한 링크만을 지원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기지국은 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단말에게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에 대한 링크 모두를 지원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별로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링크 지원 여부를 지시할 수 있고, 특정 V2X 서비스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의해 단말에 지원되는 링크를 고려하여 통신 방식을 결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V2X 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은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MAC 계층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특정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 소스 ID(Source ID), 목적지 ID(Destination ID) 및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의 MAC 계층은 통신 방식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단말은 서로 다른 MAC PDU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의 필수 식별자 중 하나는 L2 ID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주소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서로 다른 MAC PDU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통신 방식을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MAC PDU 포맷은 V 필드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V 필드 값은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에서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에서 서로 다른 V 필드 값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MAC PDU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V2X 사이드링크에서는 상술한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가 서비스별로 구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QoS에 대해서 유니캐스토 또는 멀티캐스트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4는 단말이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하는 MAC PDU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도 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V2X 사이드링크를 고려하여 MAC PDU가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V2X 사이드링크에서 사용되는 MAC PDU는 MAC 헤더와 MAC SDU(Service Data Unit) 및 선택적 패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MAC PDU 헤더는 다수의 MAC PDU 서브헤더를 가질 수 있다. 또한, SL-SCH(Sidelink-Shared Channel) 서브헤더는 MAC PDU의 가장 첫 번째로 구성되는 헤더일 수 있다. 이때, SL-SCH 서브헤더는 V/R/R/R/R/SRC/DST의 헤더 필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도 15와 같다. 또한, MAC SDU에 대응하는 서브헤더는 6개의 필드인 R/F/LCID/L 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MAC SDU에 대응하는 서브헤더는 R/R/LCI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R/LCID는 패딩에 대응하는 MAC PDU 서브헤더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5는 단말이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하는 MAC 서브헤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6은 단말이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하는 MAC SDU와 패딩에 대한 서브헤더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5를 참조하면, MAC PDU 헤더의 사이즈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다음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V 필드”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V 필드는 총 4비트로 MAC PDU 포맷의 버전 넘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LTE D2D, LTE V2X에서는 “0001”, “0010”, “0011”과 같이 3개의 포맷 버전이 정의될 수 있었다. 이때, “0001”은 D2D에서 유니캐스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0010”은 D2D에서 그룹캐스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0011”은 V2X에서 브로드캐스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이때, MAC PDU 헤더의 DST 필드는 24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존과는 다르게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기초한 V2X에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목적으로 사용될 V 필드에 대한 정의가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V 필드에 대해서 V2X 서비스에 기초한 유니캐스트는 “010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V 필드에 대해서 V2X 서비스에 기초한 멀티캐스트는 “0101”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V2X 서비스에 기초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에 대한 V 필드 값은 다른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즉, 4비트로 구성된 V 필드 중 LTE D2D 및 LTE V2X에 의해 사용되는 값을 제외한 나머지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D2D에서의 유니캐스트는 릴레이 단말(relay-UE)과 리모트 단말(remote-UE) 간의 1:1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것일 수 있었다. 반면, V2X에서의 유니캐스트는 V2X 서비스 별로 1:1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동일한 단말 간이더라도 V2X 서비스에 기초하여 다수의 유니캐스트 링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별로 유니캐스트 연결을 지원하는 V2X의 유니캐스트 통신과 단말 대 단말로 유니캐스트 연결을 지원하는 D2D의 유니캐스트 통신의 목적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상술한 V 필드가 설정될 수 있다. 즉, V2X에서 유니캐스트 목적으로 사용될 새로운 “V 필드”가 정의될 수 있으며,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SL-SCH 서브헤더에는 “SRC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SRC 필드는 총 24비트로, 소스 단말의 ID(Source Layer-2 ID)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소스 단말의 ID는 상위 계층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V2X의 유니캐스트에서는 각각의 서비스마다 서로 다른 단말 ID가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V2X 멀티캐스트 또한 각각의 서비스마다 서로 다른 단말 ID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서비스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단말 ID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SL-SCH 서브헤더에는 “DST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DST 필드는 목적지의 ID를 나타내며, 상위 계층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DST 필드는 16비트 또는 24비트가 될 수 있다. 이때, 지원 비트 수에 따라 ID의 표현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DST 필드가 24비트인 경우, DST 필드는 “Destination Layer-2 ID”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ST 필드가 16비트인 경우, DST 필드는 “Destination Layer-2 ID”의 최상위 16비트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지원되는 비트 수에 기초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DST 필드가 16비트인 경우, SL-SCH 서브 헤더는 도 15의 (a)처럼 구성될 수 있다. 반면, DST 필드가 24비트인 경우, SL-SCH 서브 헤더는 도 15의 (b)처럼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V 필드와 관련하여, V 필드가 “0001”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D2D 그룹 캐스트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DST 필드는 V 필드에 기초하여 D2D의 그룹캐스트 ID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V 필드가 “001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D2D 유니캐스트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DST 필드는 V 필드에 기초하여 D2D의 유니캐스트의 ID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V 필드가 “0100(또는 V2X 유니캐스트를 지원하는 값)”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V2X 유니캐스트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DST 필드는 V 필드에 기초하여 V2X의 유니캐스트 ID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V 필드가 “0101(또는 V2X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값)”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V2X 멀티캐스트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DST 필드는 V 필드에 기초하여 V2X 멀티캐스트 ID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MAC SDU와 패딩에 대한 서브헤더는 도 16과 같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LCID 필드”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 ID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MAC SDU 또는 padding에 대해 하나의 LCID 필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L 필드”는 MAC SDU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일 수 있다. 이때, 마지막 서브헤더를 제외하고 MAC PDU 서브헤더당 하나의 L 필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L 필드의 사이즈는 F 필드에 의해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F 필드”는 1비트로 L 필드의 사이즈를 나타내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MAC PDU 서브헤더당 하나의 F 필드가 있으며, 0은 8비트를 나타내고, 1은 16비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R 필드”는 예약된 비트이며,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상술한 MAC PDU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송할 데이터와 적용할 통신 방식, 데이터에 대한 목적지 ID 및 소스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위 계층이 유니캐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지시한 경우, 단말은 “0100” 값으로 V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해당 MAC PDU가 V2X 유니캐스트 목적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설정된 “Destination Layer-2 ID”를 DST필드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Source Layer-2 ID”를 SRT 필드에 설정하여 해당 MAC PDU의 데이터가 어떤 서비스를 목적으로 하며, 데이터의 송신자가 누구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유니캐스트에 대한 V 필드, 서비스에 대한 DST 필드 및 SRC 필드를 설정하여 SL-SCH 서브헤더의 구성을 완료한 이후, MAC SDU와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를 구성하여 해당 유니캐스트를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MAC SDU와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를 구성하고 남은 자원에 대해서는 패딩 비트를 구성하여 전체 MAC PDU의 구성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물리계층에게 유니캐스트 링크를 통해 상술한 MAC PDU를 전송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타겟 단말에서 단말은 먼저 SCI의 목적지 ID(Destination ID)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목적지 ID가 단말에 설정된 목적지 ID와 동일한 경우(즉, 단말이 지원하는 서비스일 경우), 단말은 해당 MAC PDU의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MAC PDU의 SL-SCH 서브헤더의 V 필드와 DST 필드를 확인하여 어떤 통신 방식의 어떤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V필드가 010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유니캐스트에 대한 데이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타겟 단말은 DST 필드를 확인하여, 어떤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타겟 단말은 SRT 필드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의 송신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와 MAC SDU를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상술한 MAC PDU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송할 데이터와 적용할 통신 방식, 데이터에 대한 목적지 ID 및 소스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위 계층이 유니캐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지시한 경우, 단말은 “0100” 값으로 V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해당 MAC PDU가 V2X 유니캐스트 목적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설정된 “Destination Layer-2 ID”를 DST필드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Source Layer-2 ID”를 SRT 필드에 설정하여 해당 MAC PDU의 데이터가 어떤 서비스를 목적으로 하며, 데이터의 송신자가 누구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멀티캐스트에 대한 V 필드, 서비스에 대한 DST 필드 및 SRC 필드를 설정하여 SL-SCH 서브헤더의 구성을 완료한 이후, MAC SDU와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를 구성하여 해당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MAC SDU와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를 구성하고 남은 자원에 대해서는 패딩 비트를 구성하여 전체 MAC PDU의 구성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물리계층에게 멀티캐스트 그룹을 통해 상술한 MAC PDU를 전송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타겟 단말에서 단말은 먼저 SCI의 목적지 ID(Destination ID)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목적지 ID가 단말에 설정된 목적지 ID와 동일한 경우(즉, 단말이 지원하는 서비스일 경우), 단말은 해당 MAC PDU의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MAC PDU의 SL-SCH 서브헤더의 V 필드와 DST 필드를 확인하여 어떤 통신 방식의 어떤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V필드가 “0101”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멀티캐스트에 대한 데이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타겟 단말은 DST 필드를 확인하여, 어떤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타겟 단말은 SRT 필드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의 송신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MAC SDU에 대한 서브헤더와 MAC SDU를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저지연, 고신뢰를 요구하는 고급 V2X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수신 단말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수신 단말이 데이터를 정확히 수신한 것이 맞는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를 수행하는 단말(들)을 확인하고, 수신 단말의 상황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주기적으로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의 존재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주변에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수신 단말 목록에 상술한 단말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 통신을 위한 링크/그룹 설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주기적으로 수신 단말 목록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로부터 서비스 지원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기는 해당 서비스의 요구사항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가 10ms 이내의 지연 요구사항을 만족해야 하는 경우, 송신 단말(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수신 단말(어플리케이션 계층)에게 10ms 보다 짧은 주기로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단말은 서비스 요구사항에 따라 유니캐스트 링크 또는 멀티캐스트 그룹별로 상이한 주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 단말(또는 수신 단말들)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수신 단말이 해당 서비스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기로 한 경우, 수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수신 단말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연결이 끊겨 상술한 단말로부터 상기 설정된 수신 응답 주기내에서 피드백을 수신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해당 서비스에 대해 상술한 수신 단말(또는 수신 단말들)에 대한 단말 정보(e.g. Source ID)를 수신 단말 목록에서 삭제하여 수신 단말 목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keepalive” 절차에 기초하여 링크의 유효성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때, “keepalive” 절차에서는 상술한 절차를 트리거하고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말(이하, 트리거 단말, 송신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keepalive 요청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응답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트리거 단말은 “keepalive”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에 소정의 타이머와 카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타이머는 “T4114”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술한 타이머는 “keepalive” 절차가 트리거 되는 경우, 시작/재시작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이 PC5 링크를 통해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상술한 타이머가 시작/재시작될 수 있다. 또한, 카운터는 “keepalive” 절차에서 응답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링크의 초기 설정 시 카운터 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keepalive” 절차를 트리거한 단말은 “T4114” 타이머가 실행 중인 경우, 타이머를 중지시키고, 해당 링크에 대한 카운터 값을 포함하는 “DIRECT_COMMUNICATION_KEEPALIVE”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상술한 “DIRECT_COMMUNICATION_KEEPALIVE” 메시지를 생성한 이후, 상술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술한 메시지와 함께 소스 ID(Source ID) 및 목적지 ID(Destination ID)를 하위 계층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T4115”로 정의되는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그 후, “DIRECT_COMMUNICATION_KEEPALIVE”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응답함으로써 링크가 유효함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응답 메시지는 “DIRECT_COMMUNICATION_KEEPALIVE_ACK” 메시지일 수 있다. 상술한 메시지에는 수신한 “DIRECT_COMMUNICATION_KEEPALIVE” 메시지에 포함된 카운터 값과 동일하게 카운터 값을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상술한 ACK 메시지를 수신하면 “T4115” 타이머를 중지하고, “T4114”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링크에 대한 카운터 값 0을 초기값으로 상기 keepalive 절차에 따른 카운터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keepalive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값은 RRC 메시지내의 설정된 max값에 따라 적용된다.
반면, “DIRCT_COMMUNICATION_KEEPALIVE”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이 “T4115”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응답 메시지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은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술하한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단말은“keepalive” 절차를 중지하고 수신 단말 목록에서 상술한 단말을 삭제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V2X를 지원하는 단말은 상기 서비스 별로 설정된 keepalive 절차를 수행하여 수신 단말 목록을 관리/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수신한 데이터의 목적지 ID(Destination ID)와 소스 ID(Source ID)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수신 단말 목록을 구성/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말의 MAC 계층은 MAC PDU 수신을 통해 데이터의 목적지 ID와 소스 ID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MAC 계층이 상술한 데이터와 함께 ID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신 단말 목록을 서비스 요구사항에 따라 설정된 주기 정보에 따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통신은 동일한 QoS에 대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술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 상호 간에는 어떤 주기로 메시지가 전송되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주기에 따라 각각의 수신 단말에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수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타이머를 시작/재시작함으로써 수신 단말 목록에서 단말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어 더 이상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 단말은 메시지가 수신할 타이밍이 되었더라도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타이머가 만료될때까지 해당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단말은 수신 단말 목록에서 삭제할 수 있다. 단말은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링크/ 그룹별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 그룹별로 요구되는 서비스 특성에 따라 상이한 타이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각 수신 단말의 RSRP 측정 값을 기반으로 수신 단말 목록을 구성/업데이트할 수 있다. 수신 단말로부터 측정한 RSRP가 일정 임계치 이하일 경우, 단말은 해당 단말과의 통신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수신 단말 목록에서 삭제할 수 있다. 반면, 수신 단말로부터 측정한 RSRP가 일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단말은 해당 단말과의 통신이 가능함을 판단하고, 수신 단말 목록에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지원에 따른 임계치는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수신 단말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의 주행 경로, 속도 등에 따라 주변환경이 계속해서 변경될 수 있는바, 특정 시점에서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수신 단말 목록에 어떤 단말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경우에 단말은 자신의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는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 간 정보 교환이 목적인바. 수신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서비스를 비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송신)은 상기 비활성 동작과 관련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 단말이 감지되지 않으면 하기의 비활성활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수신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시점을 상기 트리거링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후, 설정된 tolerance 타임(대기 시간) 동안 수신단말로부터의 신호를 대기한 후, 상기 t_타임내에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수신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상기 트리거링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olerance 타임(대기 시간)는 서비스 비활성화의 트리거링을 금지하는 시간으로, 서비스를 고려하여 t_타임의 값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타이머 값을 이용하여 비활성화 트리거링 금지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상기 서비스 비활성화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신 단말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특정 단말의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신 단말 목록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A(1710)의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들은 단말 B(1720), 단말 C(1730), 단말 D(1740)일 수 있다. 이때, 수신 단말이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를 확인하게 되면 수신 단말 목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7에서 단말 A(1710)가 피드백을 고려하거나, keepalive 절차를 고려하거나, MAC PDU 수신 또는 RSRP 측정 값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C(1730)을 확인하여, 수신 단말 리스트에서 상기 단말 C(1730)를 삭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비활성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말은 수신 단말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S1810)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이 수신 단말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이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신 단말 목록이 비어있음을 확인한 경우 (S1820), 단말은 더 이상 상술한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설정된 t_타임의 값을 고려하여 비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수신 단말 목록에 수신 단말(또는 수신 단말들)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S1830)
일 예로, 상기 S1820단계와 관련하여,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이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신 단말 목록이 비어있음을 확인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더 이상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위 계층에 해당 서비스를 비활성화할 것을 지시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막을 수 있다. (S1840) 이때, 상술한 지시에 기초하여 단말의 하위 계층(MAC, RLC, PDCP)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SLRB(Sidelink Radio Bearer)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버릴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해당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버리고,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HARQ 버퍼를 비울 수 있다. (S1850) 즉, 상술한 동작에 기초하여 불필요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9를 참조하면, 단말의 하위계층은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LC(Radio Link Control),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으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단말이 서비스할 또는 생성한 데이터의 QoS에 따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논리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무선 베어러는 특정 QoS를 가지는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베어러 중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되는 베어러를 사이드링크 베어러(Sidelink Radio Bearer, SLRB)라고 할 수 있다.
단말의 SDAP 계층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생성된 각 패킷의 QoS에 따라 어떤 SLRB를 통해 전송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QoS A에 대한 패킷은 SLRB A로 전송하고, QoS B에 대한 패킷은 SLRB B로 전송하고, QoS C에 대한 패킷은 SLRB C로 전송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PDCP 계층은 다수의 PDCP 개체를 가질 수 있으며, SLRB는 하나의 PDCP 개체와 일대일 매핑 관계를 가질 수 있다. PDCP 계층은 SLRB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 기능과 데이터 패킷 재정렬 및 중복된 데이터 패킷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일 수 있다. 또한, PDCP 계층은 데이터 패킷에 대한 보안과 RRC 연결 재설정 시에 수신단에서 제대로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RLC 계층은 하위 계층에서 요구한 데이터 사이즈에 맞도록 데이터 패킷을 분할할 수 있으며, SL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를 보장하도록 세가지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세가지 모드는 RLC-TM(Transport Mode), RLC-UM(Unacknowledged Mode), RLC-AM(Acknowledged Mode)이 될 수 있다.
또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은 MAC과 RLC를 연결하는 채널로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논리 채널이 다르며, RLC 계층에서 처리가 완료된 데이터 패킷은 논리 채널을 통해 MAC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MAC 계층은 논리 채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패킷으로 MAC PDU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MAC PDU는 HARQ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MAC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이후, 단말은 HARQ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MAC PDU를 버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기초하여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는 SLRB, PDCP, RLC, logical channel, MAC의 HARQ buffer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서비스 비활성화 지시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상술한 서비스의 QoS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삭제하여 불필요한 전송을 막을 수 있다.
일 예로, QoS A에 대한 서비스 비활성화를 지시 받은 경우, 단말은 SRLB A와 SLRB A에 대한 PDCP 개체, RLC 개체, 논리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논리 채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 구성한 MAC PDU가 저장되어 있는 HARQ 버퍼를 비울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목록에 수신 단말이 없는 경우에 서비스 비활성화가 지시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수신 단말 목록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이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신 단말 목록이 비어있음을 확인한 경우, 단말은 더 이상 상기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더 이상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 목록을 단말의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여, 서비스 비활성화를 할 것을 묵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수신 단말 목록을 전달받은 단말의 하위 계층은 수신 단말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목록 내에 어떤 단말도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한 경우, 단말은 해당 서비스의 비활성화가 수행됨을 인지할 수 있다. 즉, 묵시적으로 서비스 비활성화가 지시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하위 계층(MAC, RLC, PDCP)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SLR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논리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HARQ 버퍼를 비울 수 있다. 즉, 상술한 동적을 통해 단말은 불필요한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도 19를 참조하면, QoS A에 대한 비활성화를 암묵적으로 지시받은 경우, 단말은 SRLB A와 SLRB A에 대한 PDCP 개체, RLC 개체, 논리 채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논리 채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 구성한 MAC PDU가 저장되어 있는 HARQ 버퍼를 비울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0은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말의 MAC 계층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제 1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 소스 ID 및 목적지 ID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010) 이때, 도 1 내지 도 1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V2X 서비스에 기초하여 통신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제 1 서비스는 특정 서비스로서 서비스마다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이 유니캐스트인 경우(S2020), 단말은 유니캐스트를 지시하는 정보, 유니캐스트에 기초하여 설정된 소스 ID 및 유니캐스트에 기초하여 설정된 목적지 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2030) 이때, 상술한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유니캐스트를 지시하는 정보는 V 필드일 수 있다. 또한, 소스 ID 및 목적지 ID는 유니캐스트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일 예로, 제 1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이 멀티캐스트인 경우(S2020), 단말은 멀티캐스트를 지시하는 정보, 멀티캐스트에 기초하여 설정된 소스 ID 및 멀티캐스트에 기초하여 설정된 목적지 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2040) 이때, 상술한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멀티캐스트를 지시하는 정보는 V 필드일 수 있다. 또한, 소스 ID 및 목적지 ID는 멀티캐스트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1은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2100)는 프로세서(2120), 안테나부(2112), 트랜시버(2114), 메모리(211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2130) 및 물리계층 처리부(2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2130)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2140)는 물리(physical,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상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하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 사이드링크 송신 신호 처리, 사이드링크 수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기지국 장치(2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2112)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2114)는 무선 주파수(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6)는 프로세서(2120)의 연산 처리된 정보, 기지국 장치(21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 장치(2100)의 프로세서(2120)는 V2X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단말 장치(2150)별로 사용하는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자원 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2120)는 자원 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단말 장치(2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2120)는 자원 풀이 적용되는 지역(또는 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20)는 지역(또는 존)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2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로세서(2120)는 상술한 자원 풀 정보 및 지역(또는 존)에 대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장치(21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2120)는 단말 장치(2150)가 수신 단말 목록을 업데이트할 때 사용하는 타이머에 대한 값을 단말 장치(215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120)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술한 타이머에 대한 값을 단말 장치(2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2120)는 단말 장치(2150)가 수신 단말 감지에 기초하여 비활성화를 트리거링하는 타이머에 대한 값을 단말 장치(215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120)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술한 타이머 값을 단말 장치(2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2120)는 단말 장치(2150)와 단말 능력(UE Capability)에 대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20)는 단말 능력 절차에서 단말 장치(2150)가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링크/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서비스 지원 단말에 개수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2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2120)는 단말 능력 절차에서 단말 장치(2150)가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링크/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다른 기준 정보(e.g. 서비스 요구 사항)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2120)는 상술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장치(2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2150)는 프로세서(2170), 안테나부(2162), 트랜시버(2164), 메모리(216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7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2180) 및 물리계층 처리부(2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2180)는 MAC 계층, RRC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2190)는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하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상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 사이드링크 송신 신호 처리, 사이드링크 수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17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단말 장치(215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2162)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2164)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66)는 프로세서(2170)의 연산 처리된 정보, 단말 장치(215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2150)의 프로세서(217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단말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170)는 MAC PDU 생성부(21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MAC 생성부(2184)는 통신 방식, 목적지 ID(Destination ID) 및 소스 ID(Source ID) 정보를 기반으로 MAC PDU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70)의 상위계층 처리부(2180)는 비활성화 tolerance 타임(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비활성활 동작을 제어/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비활성화부(2188)는 상위계층 처리부(2180)로부터 유니캐스트 및/또는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특정 서비스에 비활성화 지시를 수신한 경우,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서비스 비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2150)의 상위 계층 처리부(2180)로서 단말의 MAC 계층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제 1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 소스 ID 및 목적지 ID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2150)는 제 1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이 유니캐스트인 경우, 단말 장치(2150)는 유니캐스트를 지시하는 정보, 유니캐스트에 기초하여 설정된 소스 ID 및 유니캐스트에 기초하여 설정된 목적지 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일 예로, 제 1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이 멀티캐스트인 경우, 단말 장치(2150)는 멀티캐스트를 지시하는 정보, 멀티캐스트에 기초하여 설정된 소스 ID 및 멀티캐스트에 기초하여 설정된 목적지 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프로세서(2170)은 본 발명에 따라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링크 및 그룹별로 피드백/응답, keepalive 동작, MAC PDU 수신 또는 RSRP 측정 값을 고려하여 해당 그룹별 수신 단말 리스트를 관리/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70)은 리스트 관리/업데이트와 관련하여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링크/ 그룹별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 그룹별로 요구되는 서비스 특성에 따라 상이한 타이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70)은 수신 단말의 존재 여부를 고려하여 서비스 비활성활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이때, 수신 단말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존재 여부와 관련하여 비활성화 트리거링을 홀딩할 수 있는 tolerance 타임(대기 시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t 타임은,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링크/ 그룹별로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명한 타임과 관련하여 프로세서(2170)은 타이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2100) 및 단말 장치(2150)의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 설명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기지국 : 2100 프로세서 : 2120
상위 계층 처리부 : 2130 물리 계층 처리부 : 2140
안테나부 : 2112 트랜시버 : 2114
메모리 : 2116 단말 : 2150
프로세서 : 2170 상위 계층 처리부 : 2180
MAC PDU 생성부 : 2184 서비스 비활성화부 : 2188
물리 계층 처리부 : 2190 안테나부 : 2162
트랜시버 : 2164 메모리 : 2166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Vehicle to Everything)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말이 제 1 서비스에 대한 통신 방식, 소스 ID(Source ID) 및 목적지 ID(Destination ID)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획득한 소스 ID 및 목적지 ID에 기초하여 제 2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스 ID 및 상기 목적지 ID는 상기 제 1 서비스에 대한 상기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방식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결정된 소스 ID 정보 및 상기 결정된 목적지 ID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KR1020180099526A 2018-08-24 2018-08-24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23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526A KR20200023116A (ko) 2018-08-24 2018-08-24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526A KR20200023116A (ko) 2018-08-24 2018-08-24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116A true KR20200023116A (ko) 2020-03-04

Family

ID=69783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526A KR20200023116A (ko) 2018-08-24 2018-08-24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31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607B1 (ko) * 2020-04-23 2021-06-07 한국과학기술원 차량 에지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크라우드 센싱 서비스를 위한 상황 인식 신뢰 추정 장치
KR20230017121A (ko) * 2021-07-27 2023-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v2x 통신 시스템에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v2x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230017122A (ko) * 2021-07-27 2023-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통신 시스템에서 타 차량의 정보를 활용하여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v2x 통신 장치 및 방법
US11700543B2 (en) * 2018-09-25 2023-07-11 Fujitsu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and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0543B2 (en) * 2018-09-25 2023-07-11 Fujitsu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261607B1 (ko) * 2020-04-23 2021-06-07 한국과학기술원 차량 에지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크라우드 센싱 서비스를 위한 상황 인식 신뢰 추정 장치
WO2021215611A1 (ko) * 2020-04-23 2021-10-28 한국과학기술원 차량 에지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크라우드 센싱 서비스를 위한 상황 인식 신뢰 추정 장치
KR20230017121A (ko) * 2021-07-27 2023-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v2x 통신 시스템에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v2x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230017122A (ko) * 2021-07-27 2023-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통신 시스템에서 타 차량의 정보를 활용하여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v2x 통신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18243B (zh) 用于在直通链路通信中执行载波聚合的系统和方法
US112658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by sharing uplink resource and sidelink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103769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rq re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520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lay signal for V2X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1032948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ervic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JP2021534629A (ja) 5G eV2Xのためのリソース管理
KR20210135336A (ko)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을 위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개시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244438A1 (zh) 信息传输方法及装置
KR20200023116A (ko) 차량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165042A (zh) 用于在直通链路通信中执行载波聚合的系统和方法
US202102118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
US20210345072A1 (en) Groupcast procedures for v2x
US20230180098A1 (en) NR Sidelink Relaying
KR2022012421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용 릴레이 디바이스
US20230171036A1 (en) Feedback and traffic differentiation in sidelink relays
WO2022113873A1 (ja) 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EP38291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
KR20230040997A (ko) 사이드링크 중계에서의 피드백 및 트래픽 구별
CN114731737A (zh) 通信系统、通信终端及基站
WO2022029188A1 (en) Nr sidelink relaying discovery
KR20200077157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90549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rrc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50312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캐리어를 선택/재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41301B1 (ko) 차량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1975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