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701A -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701A
KR20200022701A KR1020180098654A KR20180098654A KR20200022701A KR 20200022701 A KR20200022701 A KR 20200022701A KR 1020180098654 A KR1020180098654 A KR 1020180098654A KR 20180098654 A KR20180098654 A KR 20180098654A KR 20200022701 A KR20200022701 A KR 2020002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gear
gear device
enclosure case
installation frame
performance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651B1 (ko
Inventor
홍의창
이광오
Original Assignee
(주) 호창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호창메탈 filed Critical (주) 호창메탈
Priority to KR1020180098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651B1/ko
Priority to PCT/KR2018/010167 priority patent/WO2020040340A1/ko
Publication of KR2020002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1G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는 테이블과, 외함케이스와, 외함케이스 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차동기어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차동기어장치의 구동을 위한 메인샤프트와, 상기 차동기어장치의 각 출력축에 대한 브레이킹을 위한 액슬샤프트와, 메인샤프트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액슬샤프트의 브레이킹을 위한 브레이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로써 실제 차동기어장치가 윤활유의 영향을 받도록 설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다양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testing apparatus of differential gear}
본 발명은 냉각 성능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차동기어장치의 냉각 특성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실제 주행상황과 최대한 동일한 상태로 다양한 검사 역시 추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동기어장치(differential gear)는 자동차의 조향시 좌우 바퀴 또는, 차축의 회전수가 원활한 주행이 되도록 배분하거나 균등한 토크를 회전축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즉, 자동차가 조향될 때 회전각의 차이로 인해 휠 스피드가 달라지는데, 이를 상기 차동기어장치가 보정하여 엔진으로부터 온 동력을 양 바퀴에 적절하게 나누어줌으로써 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동기어장치의 경우 고속으로 회전되는 복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조립이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는 반드시 동작 신뢰성의 검사가 필요시되며, 이에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1283769호, 공개특허 제2001-0061133호, 등록특허 제10-1283826호, 등록특허 제10-1454704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검사 장치들은 통상 차동기어장치를 이루는 각 기어들의 백래쉬, 치면, 감속비 등에 대한 검사와 같이 기어에 관련한 내구성 검사들만 주로 수행하였을 뿐 더욱 다양한 검사를 수행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차동기어장치는 복수의 기어들이 서로 연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우수한 냉각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나, 상기 차동기어장치의 냉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는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차동기어장치를 개발하고자 하더라도 이렇게 개발된 차동기어장치의 냉각 특성을 정확히 평가하지 못하여 개발상의 어려움이 컸다.
즉, 종래에는 차동기어장치 내부의 각 기어들에 대한 시각적인 불량 검사(표면 손상 혹은, 깨짐과 같은 결함 등의 검사)만 수행할 뿐 실제 차량에의 적용시와는 상이하게 설치된 상태로 각종 검사를 수행함에 따라 다양한 검사를 수행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283769호 공개특허 제2001-0061133호 등록특허 제10-1283826호 등록특허 제10-1454704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차동기어장치의 냉각 특성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실제 주행상황과 최대한 동일한 상태로 다양한 검사 역시 추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는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착 공간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외함케이스; 상기 외함케이스 내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차동기어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차동기어장치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설치프레임; 상기 외함케이스 및 설치프레임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샤프트; 상기 외함케이스 및 설치프레임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차동기어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슬샤프트; 상기 외함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메인샤프트로 제공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외함케이스의 적어도 어느 한 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액슬샤프트에 축결합되어 상기 액슬샤프트를 선택적으로 브레이킹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함케이스의 상면은 커버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외함케이스 내로부터 취출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부는 부하조절이 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함케이스 내에는 윤활유의 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는 실제 적용 상태와 동일한 조건에서 차동기어장치에 대한 냉각 특성의 평가가 수행되기 때문에 차동기어장치의 개발시 냉각 특성을 고려한 수정이나 보완을 위한 작업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이로 인한 개발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는 윤활유가 제공되면서 특성 평가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윤활유에 대한 온도 변화를 통해 차동기어장치에 미치는 영향을 미연에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윤활유의 특성에 따른 검사도 추가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는 동력발생부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고, 차동기어장치가 설치되는 설치프레임은 교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차동기어장치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동기어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중 설치프레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중 외함케이스에 씰링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에 차동기어장치를 설치하는 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차동기어장치(10)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이루는 디프렌셜커버(11) 내에 복수의 차동기어(도시는 생략됨)들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디프렌셜커버(11)의 일측 및 타측으로는 차량의 각 차축과 연결되는 출력축(12,13)이 각각 제공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임을 그 예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디프렌셜커버(11)의 둘레에는 입력축으로 제공되는 링기어(14)가 설치된다.
첨부된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는 크게 테이블(100)과, 외함케이스(200)와, 설치프레임(300)과, 메인샤프트(400)와, 액슬샤프트(510,520)와, 동력발생부(600)와, 브레이크부(710,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로써 실제 차동기어장치(10)가 윤활유의 영향을 받도록 설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다양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테이블(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부위이다.
이러한 테이블(100)은 상면을 제공하는 평판형의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각 다리 부위를 이루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복수의 수직프레임(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외함케이스(200)는 검사 공간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외함케이스(200)는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공간 및 장착 공간을 제공하도록 박스체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에 얹혀 고정 설치된다.
특히, 상기 외함케이스(200)의 상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이렇게 개방된 외함케이스(200)의 상면은 커버체(21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외함케이스(200)는 적어도 일부를 투시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여 차동기어장치(10)의 성능 평가 도중 상기 차동기어장치(10)의 동작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혹은,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함케이스(200) 내에는 윤활유의 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온도센서(22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한 온도센서(22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윤활유의 온도 변화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며, 이로써 검사 대상 차동기어장치(10)의 윤활 특성에 대한 평가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220)는 상기 커버체(210)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상기 외함케이스(200) 내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외함케이스(200) 내의 각 모서리 부위나 테두리 부위를 따라 복수로 제공함으로써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그 예로 제시한다.
물론, 상기 온도센서(220)는 최대한 차동기어장치(10)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함이 검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커버체(210)를 수직하게 관통함과 동시에 후술될 설치프레임(300)의 상측 벽면도 관통하면서 상기 차동기어장치(10)의 인접 부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온도센서(220)는 차동기어장치(10)의 동작시 윤활유의 유동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예컨대, 디프렌셜 커버의 윤활유가 유입되는 개구를 회피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설치프레임(300)은 검사하고자 하는 차동기어장치(10)를 설치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설치프레임(300)은 상기 외함케이스(200)와는 별도로 제공되면서 상기 외함케이스(200) 내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설치프레임(300)은 검사하고자 하는 차동기어장치(10)의 종류에 따라 교체되어 사용될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용 검사장치로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설치프레임(300)은 상기 외함케이스(200) 내의 저면에 볼팅 체결되면서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300)은 하측 벽면과 양측 벽면 및 상측 벽면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전후로는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프레임(300)의 상측 벽면의 상면에는 아이볼트(310)(첨부된 도 5 참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320)(첨부된 도 5 참조)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설치프레임(300)의 상측 벽면은 양측 벽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설치프레임(300) 내의 양측 벽면에는 해당 설치프레임(300) 내에 검사하고자 하는 차동기어장치(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장착 부위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차동기어장치(1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차동기어장치(10)는 어느 일측의 출력축(12)이 상기 설치프레임(300)의 일 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다른 일측의 출력축(13)은 다른 한 측 벽면에 구비되는 결합허브(3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차동기어장치(10)에는 링기어(14)가 설치된 상태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차동기어장치(10)의 링기어(14)에 맞물려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드라이브 기어(331) 및 이 드라이브 기어(331)를 상기 설치프레임(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설치허브(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동력전달부는 설치프레임(300) 내의 각 부위 중 상기 차동기어장치(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작업자가 전방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와 차동기어장치(10)의 설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외함케이스(200) 내에 저장되는 윤활유의 저장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외함케이스(200) 내에 저장되는 윤활유의 수위에 비해 최대한 높은 위치에 동력전달부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이 동력전달부로 동력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메인샤프트(400)의 설치 부위를 통한 누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외함케이스(200) 내에 저장되는 윤활유는 상기 차동기어장치(10)의 일부가 잠길 수 있을 정도의 수위만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샤프트(400)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드라이브 기어(331)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되는 샤프트이다.
이러한 메인샤프트(400)는 상기 외함케이스(200) 및 설치프레임(3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드라이브 기어(331)에 축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액슬샤프트(510,520)는 차동기어장치(10)의 출력축(12,13)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액슬샤프트(510,520)는 외함케이스(200) 및 설치프레임(3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차동기어장치(10)의 출력축(12,13)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액슬샤프트(510,520)와 출력축(12,13) 간은 커플러(810,820)를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동력발생부(600)는 상기 메인샤프트(400)로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동력발생부(600)는 테이블(100)의 상면 중 상기 외함케이스(200)의 어느 일측에 위치되며, 동력을 발생시켜 제공하면서도 부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버터 모터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메인샤프트(400)와 동력발생부(600)의 모터축(610)은 커플러(830)를 이용하여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상기 동력발생부(600)는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제시한다. 즉, 차동기어장치(10)가 종류별로 크기가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차동기어장치(10)의 링기어(14)에 맞물리는 드라이브 기어(331)의 축중심 위치도 달라지며, 이 드라이브 기어(331)에 결합되는 메인샤프트(400)의 높이 역시 달라지기 때문에 상기 동력발생부(600)를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각 종류별 차동기어장치(10)에 모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동력발생부(600)의 높낮이 조절은 별도의 높이조절용 블럭(620)을 덧댐으로써 수행됨을 제시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여타의 구조로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동력발생부(600)의 높낮이가 달라질 경우에는 메인샤프트(400)가 외함케이스(200)를 관통하는 부위 역시 달라짐을 고려할 때 상기 메인샤프트(400)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외함케이스(200)의 각 벽면 중 상기 메인샤프트(400)가 관통되는 관통공(230)은 상기 동력발생부(600)의 높이 차이가 고려된 장공(상하 방향으로 긴 구조의 구멍)으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메인샤프트(400)와 상기 관통공(230) 간의 틈새는 씰링부재(240)에 의해 씰링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씰링부재(240)는 복수로 제공됨과 더불어 그 각각은 상기 메인샤프트(400)의 위치를 고려한 구조로 각각 형성되면서 메인샤프트(400)의 위치에 따라 어느 한 씰링부재(240)가 선택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브레이크부(710,720)는 상기 액슬샤프트(510,520)를 선택적으로 제동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브레이크부(710,720)는 테이블(100)의 상면 중 상기 외함케이스(200)의 양측 중 상기 액슬샤프트(510,520)가 위치되는 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액슬샤프트(510,520)에 축결합되어 상기 액슬샤프트(510,520)를 선택적으로 브레이킹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슬샤프트(510,520)가 두 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차동기어장치(10)의 두 출력축(12,13)에 각각 축결합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부(710,720) 역시 두 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각 액슬샤프트(510,520)에 각각 축결합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차동기어장치(10)의 경우 차량의 조향(커브)시 어느 한 측의 출력축(12)과 다른 한 측의 출력축(13)이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동작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실제의 운행 상황을 고려하여 두 출력축(12,13) 모두에 대한 선택적인 제동 혹은, 제동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의 회전 속도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부(710,720)는 부하조절 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상기 부하조절은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도록 이루어진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를 이용한 차동기어장치(10)의 냉각 특성 평가를 위한 과정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신뢰성 검사를 수행하고자 하는 차동기어장치(10)를 위한 설치프레임(300)을 결정하고, 이 설치프레임(300)에 상기 차동기어장치(1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냉각 특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차동기어장치(10)를 위한 설치프레임(300)이라 함은 상기 차동기어장치(10)의 링기어(14)에 맞물리도록 배치된 드라이브 기어(331)를 갖는 설치프레임(300)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차동기어장치(10)가 설치된 설치프레임(300)은 외함케이스(200) 내에 안치시켜 고정 설치(첨부된 도 5 및 도 6 참조)한다. 이때 상기 설치프레임(300)은 아이볼트(310)를 설치한 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송함이 안전사고의 위험이나 정밀한 이송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300)을 외함케이스(200) 내에 안착 및 고정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커플러(830)를 이용하여 메인샤프트(400)와 드라이브 기어(331) 및 동력발생부(600) 간을 연결함과 더불어 또 다른 커플러(810,820)를 이용하여 각 액슬샤프트(510,520)를 각 브레이크부(710,720) 및 차동기어장치(10)의 두 출력축(12,13)에 각각 연결한다. 이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물론, 상기한 각 샤프트(400,510,520)의 연결을 위한 작업시에는 동력발생부(600) 및 각 브레이크부(710,720)를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각각 후퇴 이동시킴(도시는 생략됨)으로써 상기 각 샤프트(400,510,520)의 연결이 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외함케이스(200)의 상면을 커버체(210)로 덮어 폐쇄시킨 다음 상기 외함케이스(200) 내로 윤활유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윤활유는 대략 차동기어장치(10)를 윤활할 수 있을 정도의 수위만큼 저장함으로써 냉각 특성 평가를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준비가 완료되면 동력발생부(60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동작 제어를 토대로 동력발생부(600)가 동작되면서 메인샤프트(400)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메인샤프트(400)의 회전에 의해 이 메인샤프트(400)에 결합된 드라이브 기어(331)가 동작되며, 계속해서 상기 드라이브 기어(331)에 맞물린 차동기어장치(10)의 링기어(14)가 동작되면서 각 출력축(12,13)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각 출력축(12,13)의 구동시에는 브레이크부(710,720)가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 또는,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출력축(12,13)에 연결된 액슬샤프트(510,520)를 선택적으로 제동하거나 혹은, 제동을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차동기어장치(10)가 실제 운행시의 상황(일반적인 주행시 혹은, 조향시)과 유사한 상황을 이루도록 한다. 즉, 상기한 두 브레이크부(710,720)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차량의 조향시 차동기어의 상태를 정확히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동작이 수행될 때에는 외함케이스(200) 내의 윤활유에 대한 온도 변화를 온도센서(220)로부터 확인함으로써 차동기어장치(10)에 대한 윤활 특성의 검사 역시 가능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는 차동기어장치에 대한 냉각 특성 평가가 사실상 실제 적용 상태와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한 평가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는 윤활유가 제공되면서 냉각 특성 평가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윤활유에 대한 온도 변화를 통해 차동기어장치(10)에 미치는 영향을 미연에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윤활유의 특성에 따른 검사도 추가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는 동력발생부(600)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고, 차동기어장치(10)가 설치되는 설치프레임(300)은 교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차동기어장치(10)에 대한 특성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10. 차동기어장치 11. 디프렌셜커버
12,13. 출력축 14. 링기어
100. 테이블 110. 베이스프레임
120. 수직프레임 200. 외함케이스
210. 커버체 220. 온도센서
230. 관통공 240. 씰링부재
300. 설치프레임 310. 아이볼트
320. 설치공 331. 드라이브 기어
332. 설치리브 400. 메인샤프트
510,520. 액슬샤프트 600. 동력발생부
610. 모터축 620. 높이조절용 블럭
710,720. 브레이크부 810,820,830. 커플러

Claims (5)

  1.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착 공간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외함케이스;
    상기 외함케이스 내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차동기어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차동기어장치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설치프레임;
    상기 외함케이스 및 설치프레임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샤프트;
    상기 외함케이스 및 설치프레임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차동기어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슬샤프트;
    상기 외함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메인샤프트로 제공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외함케이스의 적어도 어느 한 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액슬샤프트에 축결합되어 상기 액슬샤프트를 선택적으로 브레이킹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케이스의 상면은 커버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외함케이스 내로부터 취출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부하조절이 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케이스 내에는 윤활유의 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KR1020180098654A 2018-08-23 2018-08-23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KR10217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54A KR102170651B1 (ko) 2018-08-23 2018-08-23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PCT/KR2018/010167 WO2020040340A1 (ko) 2018-08-23 2018-08-31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54A KR102170651B1 (ko) 2018-08-23 2018-08-23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01A true KR20200022701A (ko) 2020-03-04
KR102170651B1 KR102170651B1 (ko) 2020-10-30

Family

ID=6959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654A KR102170651B1 (ko) 2018-08-23 2018-08-23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0651B1 (ko)
WO (1) WO202004034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683A (ja) * 1993-06-23 1995-01-17 Mazda Motor Corp 差動制限装置の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JP3004181B2 (ja) * 1994-11-04 2000-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ギヤ音検査装置
KR20010061133A (ko) 1999-12-28 2001-07-07 이계안 전륜 구동 차량용 종감속 기어와 차동 링기어의 동력 전달오차 측정장치
KR101283769B1 (ko) 2012-03-22 2013-07-08 주식회사 피티엠 차동기어 어셈블리 검사장치
KR101283826B1 (ko) 2012-03-22 2013-07-08 주식회사 피티엠 차동기어 어셈블리의 치면 검사방법
KR101454704B1 (ko) 2013-08-26 2014-10-27 주식회사 피티엠 디퍼런셜 어셈블리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1902B2 (ja) * 1995-09-28 2004-09-08 マツダ株式会社 歯当り検出装置及びその検出方法
KR200236361Y1 (ko) * 1999-05-13 2001-09-25 이계안 수동 변속기의 성능 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683A (ja) * 1993-06-23 1995-01-17 Mazda Motor Corp 差動制限装置の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JP3004181B2 (ja) * 1994-11-04 2000-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ギヤ音検査装置
KR20010061133A (ko) 1999-12-28 2001-07-07 이계안 전륜 구동 차량용 종감속 기어와 차동 링기어의 동력 전달오차 측정장치
KR101283769B1 (ko) 2012-03-22 2013-07-08 주식회사 피티엠 차동기어 어셈블리 검사장치
KR101283826B1 (ko) 2012-03-22 2013-07-08 주식회사 피티엠 차동기어 어셈블리의 치면 검사방법
KR101454704B1 (ko) 2013-08-26 2014-10-27 주식회사 피티엠 디퍼런셜 어셈블리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0340A1 (ko) 2020-02-27
KR102170651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575B1 (ko) 하모닉 감속기용 효율 시험기
KR101369604B1 (ko) 자동차 변속장치 시험기
CN106840661A (zh) 驱动桥差速器齿轮疲劳寿命试验方法
CN115791165A (zh) 一种传动轴复合试验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06122453A (zh) 一种行走卷扬减速器、行走卷扬装置和旋挖钻机
DE102021203714B3 (de) Prüfstand für einen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CN204988717U (zh) 一种多功能综合作业车车轴齿轮箱型式试验装置
KR20200022701A (ko) 차동기어장치용 냉각 성능 평가장치
US4182166A (en) Dynamometer test stand
CN113405789A (zh) 一种机械封闭式减震器旋转扭转测试试验台
Golafshan et al. Damage diagnosis of cardan shafts in mobile mining machines using vibration analysis
US2832229A (en) Unimount drive gearmotor units and mountings thereon
CN109342051B (zh) 一种传动间隙测量方法
CN107505132A (zh) 双向可倾斜双齿轮箱闭环扭转加载试验台
EP3142883B1 (de) Integration einer elektromotoreneinheit in ein getriebegehäuse
CN114486244B (zh) 一种乘用车变速箱的差速器试验装置
KR101454704B1 (ko) 디퍼런셜 어셈블리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H10272944A (ja) 4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構造
JP3004181B2 (ja) ギヤ音検査装置
CN209589467U (zh) 一种多型号差速器测试固定箱
CN219996506U (zh) 差速器耐久性的测试结构
US1913842A (en) Self-oiling differential
JPS6217180B2 (ko)
JPH0439026B2 (ko)
DE102021203479B4 (de) Prüfstand für einen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