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123A -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 Google Patents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123A
KR20200022123A KR1020180097855A KR20180097855A KR20200022123A KR 20200022123 A KR20200022123 A KR 20200022123A KR 1020180097855 A KR1020180097855 A KR 1020180097855A KR 20180097855 A KR20180097855 A KR 20180097855A KR 20200022123 A KR20200022123 A KR 20200022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bent
bending piece
forms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171B1 (ko
Inventor
김영태
박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영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영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영에스티
Priority to KR102018009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1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보를 시공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에 각각의 웨지핀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미들타이(프레타이)에 의해 거푸집의 간격이 유지되록 하되,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유로폼(알폼)의 거푸집을 관통하여 웨지핀으로 결합하여 상호간을 연결하는 프레타이(미들타이)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미들타이의 연결구멍을 통해 끼움으로 별도의 체결핀이 없이 지지고정할 수 있어 시공부품의 소요를 간소화하면서 시공의 신속성 및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 타이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길게 형성된 몸체의 절취홈을 중심으로 거푸집에 위치되는 고정부 측은 사각 또는 원형의 웨지핀공을 형성하고, 미들타이의 연결구멍에 끼움되는 연결부 측의 단부는 하측에 절곡 연장된 절곡부를 형성한 보 거푸집 간격유지용 사이드타이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은 2차절곡되어 수평절곡편과 걸림절곡편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멍에 끼움되되, 상기 몸체가 수평절곡편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걸림절곡편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SIDE TIE FOR USE OF INTERVAL MAINTENANCE DEVICE OF MOLD}
본 발명은 천정보를 시공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거푸집과 거푸집에 각각의 웨지핀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미들타이(프레타이)에 의해 거푸집의 간격이 유지되록 하는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유로폼(알폼)의 거푸집을 관통하여 웨지핀으로 결합하여 상호간을 연결하는 프레타이(미들타이)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미들타이의 연결구멍을 통해 끼움으로 별도의 체결핀이 없이 지지고정할 수 있어 시공부품의 소요를 간소화하면서 시공의 신속성 및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 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면 및 슬라브나 기둥을 시공할 때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로폼이나 알폼, 갱폼 등의 거푸집으로 구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는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구축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에는 실내의 바닥면과 천정면에 해당되는 슬라브와 기등 및 벽의 시공에 따른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슬라브를 지탱할 수 있도록 보를 시공하게 된다.
이렇게 슬라브를 지지하는 보의 시공에 따른 종래의 보 시공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브 거푸집(10)을 형성한 후 슬라브 거푸집(30)의 하측에 외측을 각재로 조립한 합판으로 보 거푸집(20)을 구축하고 있다.
이렇게 구축된 보 거푸집(20)의 하측에는 상기 보 거푸집(20)을 받혀주기 위하여 멍에재(30)를 형성하고, 상기 멍에재(30)를 동바리(40)로 받혀주며 보 거푸집(20)으로 양측으로는 삼각형상의 보지지대(50)를 다수개 조립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포 거푸집 하측에 일정한 높이의 동바리(40)를 받쳐야 하고, 보 거푸집(20)을 설치 고정하기 때문에 실치작업이 복잡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 거푸집(20)과 보지지대 등 못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시공 및 해체작업이 복잡하고, 상기 보 거푸집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슬라브 거푸집에서 간격유지구를 보 거푸집구멍에 맞추는 작업과 상기 보 거푸집에 고정된 간격유지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슬라브 거푸집 하측에서 간격유지구에 핀으로 고정하는 작업을 해야 함으로써 작업성이 저하되고 작업인원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과 같이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가 개시된바 있다.
특허문헌 1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단에는 고정핀공(11)을 형성한 고정편(12)을 형성하고 타측 상측으로는 고정공(13)이 형성된 삽입편(14)을 형성한 사이드 타이(10)와, 상기 사이드 타이(10)의 삽입편(14)에 삽입되어 상기 사이드 타이(10)와 상호 수직상태로 결합되도록 양단에 삽입공(21)을 형성한 미들타이(프레타이)(20)와, 상기 미들타이(20)에 삽입된 사이드 타이(10)의 삽입편(14)에 형성된 고정공(1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30)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은 상기 사이드타이(10)가 미들타이(20)에서 결합한 상태의 고정은 별도 부품인 고정핀(30)의 결속에 의해 제공됨으로서 부품수의 증가는 물론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사이드타이는 선단에 하측으로 절개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미들타이가 결합되어 밀착되는 공간부의 전면에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곡선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2는 특허문헌 1과 같은 고정핀 부품의 소요를 없애도록 구조를 개선했으나, 특허문헌 1과 같이 미들타이의 설치위치가 거푸집의 수직방향에 대해 미들타이의 폭(넓은면)이 수평상태로 시공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미들타이의 넓은 면에 직접적으로 부딪히게 되어 직접적인 응력으로 휨발생에 의해 양측의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를 내측으로 당김함으로서 거푸집 시공불량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특허문헌 3과 같이 미들타이(프레타이)가 양측에 결합하는 보 거푸집용 사이드타이와 같이 넓은면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개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3 역시, 미들타이와 양측의 보 거푸집용 사이드타이의 빠짐이 없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연결재 및 고정핀을 사용함으로서 부품수의 증가는 물론, 별도 부품의 조립에 따른 시공시간이 증가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한국 등록실용 제20-0436231호(2007.07.20. 등록) 특허문헌 2 : 한국 공개실용 제20-2009-0010355호(2009.10.12. 공개) 특허문헌 3 : 한국 등록실용 제20-0472031호(2014.03.2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원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미들타이(프레타이)의 연결구멍에 연결되는 사이드타이의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미들타이의 연결구멍을 통해 끼움으로 별도의 체결핀이 없이 지지고정할 수 있어 시공부품의 소요를 간소화하면서 시공의 신속성 및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보 거푸집용 사이드타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위해 한 본 발명에 의한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는,
길게 형성된 몸체의 절취홈을 중심으로 거푸집에 위치되는 고정부 측은 사각 또는 원형의 웨지핀공을 형성하고, 미들타이의 연결구멍에 끼움되는 연결부 측의 단부는 하측에 절곡 연장된 절곡부를 형성한 보 거푸집 간격유지용 사이드타이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은 2차절곡되어 수평절곡편과 걸림절곡편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멍에 끼움되되, 상기 몸체가 수평절곡편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걸림절곡편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절곡편은 상기 수평절곡편 단부에서 하향의 예각으로 절곡되되, 오목의 라운드면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구멍에 끼움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오목의 라운드면에 의해 몸체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상태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수평절곡편 시점에서 상기 몸체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조립되는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절곡편은 상기 미들타이의 연결구멍에 삽입시에 용이하도록 선단으로 협소하게 형성된 보 거푸집 간격유지용 사이드타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타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별도의 고정핀과 같은 소모품의 소요가 없고, 시공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타이의 구조룰 개선함으로서 미들타이와 연결시에 단순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몸체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결속됨으로 작업의 신속성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타이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서도 미들타이와의 결속이 견고하게 제공됨으로서 공업적으로도 양산(量産)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보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일 실시예의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이드타이의 미들타이와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단계를 보여주는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조립단계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사이드타이의 미들타이와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일정의 두께를 갖고 소정의 넓은 면의 폭을 갖고 길게 연장된 타이 형상의 몸체(100)의 절취홈(110)을 중심으로 거푸집에 위치되는 고정부(120)와 연결부(140)로 구획된다.
고정부(120) 측은 사각의 웨지핀공(130)을 형성하고, 연결부(140) 측은 그 단부의 하측에 미들타이(200)의 연결구멍(210)에 끼움되는 절곡부(150)를 절곡하여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140)의 구조는 이미 사이드타이의 일반적인 구조로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요지기술은 상기 연결부(140)에 형성되는 절곡부(150)의 구조를 개선하여 종래와 같이 미들타이(200)과의 연결상태의 고정을 위한 고정핀공을 형성해서 고정핀을 끼움해서 조립하는 것을 배제한 것에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상기 절곡부(150)는 몸체(100)를 형성하는 연결부(140)의 단부 하측에서 형성되어 1차 90도로 절곡된 수평절곡편(151)과 상기 수평절곡편(151)에서 2차 절곡된 걸림절곡편(152)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멍(210)에 끼움되되, 상기 몸체(100)가 상기 수평절곡편(151)에 의해 폭방향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걸림절곡편(152)에 의해 이탈이 방지로 조립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걸림절곡편(152)은 상기 수평절곡편(151) 단부에서 하향의 예각으로 절곡되되, 오목의 라운드면(153)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구멍(210)에 끼움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오목의 라운드면(153)에 의해 몸체(100)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상태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수평절곡편(151) 시점에서 상기 몸체(10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절곡편(152)은 상기 미들타이(200)의 연결구멍(210)에 삽입시에 보다 용이하도록 선단으로 협소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3 내지 도 7에 개시된 유로폼에 적용되는 연결부(140)의 사각의 웨지핀공(130)을 알폼에 적용되는 원형의 웨지핀공(131)으로 형성한 점에 차이가 있을 뿐, 모든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상기 걸림절곡편(152)의 오목의 라운드면(153)은 반대 형상인 볼록의 라운드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제시한 절곡부의 수평절곡편과 2차 절곡의 걸림절곡편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몸체 110: 절취홈
120: 고정부 130: 사각의 웨지핀공
131: 원형의 웨지핀공 140: 연결부
150: 절곡부 151: 수평절곡편
152: 걸림절곡편 153: 오목의 라운드면
200: 미들타이 210: 연결구멍

Claims (3)

  1. 길게 형성된 몸체의 절취홈을 중심으로 거푸집에 위치되는 고정부 측은 사각 또는 원형의 웨지핀공을 형성하고, 미들타이의 연결구멍에 끼움되는 연결부 측의 단부는 하측에 절곡 연장된 절곡부를 형성한 보 거푸집 간격유지용 사이드타이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은 2차절곡되어 수평절곡편과 걸림절곡편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멍에 끼움되되, 상기 몸체가 수평절곡편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걸림절곡편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절곡편은 상기 수평절곡편 단부에서 하향의 예각으로 절곡되되, 오목의 라운드면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구멍에 끼움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오목의 라운드면에 의해 상기 몸체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상태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수평절곡편 시점에서 상기 몸체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절곡편은 상기 미들타이의 연결구멍에 삽입시에 용이하도록 선단으로 협소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간격유지용 사이드타이.
KR1020180097855A 2018-08-22 2018-08-22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KR102137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55A KR102137171B1 (ko) 2018-08-22 2018-08-22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55A KR102137171B1 (ko) 2018-08-22 2018-08-22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23A true KR20200022123A (ko) 2020-03-03
KR102137171B1 KR102137171B1 (ko) 2020-07-24

Family

ID=6993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855A KR102137171B1 (ko) 2018-08-22 2018-08-22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027B1 (ko) * 2022-06-16 2023-04-17 고현준 무용접 폼 지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231Y1 (ko) 2007-02-06 2007-07-09 이재혁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90010355U (ko) 2008-04-07 2009-10-12 윤안구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1261233B1 (ko) * 2012-02-21 2013-05-07 배용웅 거푸집 간격유지용 걸고리 타이
KR101262852B1 (ko) * 2012-07-27 2013-05-09 김포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0472031Y1 (ko) 2013-04-23 2014-04-01 이재혁 외부단열재 시공용 보 거푸집 간격유지장치
KR20170111425A (ko) * 2016-03-28 2017-10-12 안태옥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고정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231Y1 (ko) 2007-02-06 2007-07-09 이재혁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90010355U (ko) 2008-04-07 2009-10-12 윤안구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1261233B1 (ko) * 2012-02-21 2013-05-07 배용웅 거푸집 간격유지용 걸고리 타이
KR101262852B1 (ko) * 2012-07-27 2013-05-09 김포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0472031Y1 (ko) 2013-04-23 2014-04-01 이재혁 외부단열재 시공용 보 거푸집 간격유지장치
KR20170111425A (ko) * 2016-03-28 2017-10-12 안태옥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고정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027B1 (ko) * 2022-06-16 2023-04-17 고현준 무용접 폼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171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1785A (ko)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200436231Y1 (ko)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2054364B1 (ko) 측판 분할형 선조립 경량 거푸집
KR101448097B1 (ko)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KR20090125609A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1262852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200022123A (ko)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KR101381660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101805368B1 (ko) 지주용 프레임
KR101947431B1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KR101848560B1 (ko) 거푸집 고정구조
KR20120006088U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사이드 타이
KR20080057278A (ko) 지지 부재 조립체
JPH0247461A (ja) タイル壁面施工方法
KR200405350Y1 (ko) 거푸집 연결장치
KR102106106B1 (ko) 알폼용 간격유지장치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KR200470376Y1 (ko) 보 거푸집의 간격유지용 사이드 타이
JP6717571B2 (ja) 腰壁パネル固定構造
KR200346435Y1 (ko)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KR102106107B1 (ko) 갱폼용 간격유지장치
KR200231222Y1 (ko)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간격 유지구
KR200175294Y1 (ko) 옹벽 마감용 패널구조
KR20100011504U (ko) 면취부를 갖는 콘크리트기둥형성용 판넬 조립구
KR20010002009U (ko)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을 조적하기 위한 연결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