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609A -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609A
KR20090125609A KR1020080051805A KR20080051805A KR20090125609A KR 20090125609 A KR20090125609 A KR 20090125609A KR 1020080051805 A KR1020080051805 A KR 1020080051805A KR 20080051805 A KR20080051805 A KR 20080051805A KR 20090125609 A KR20090125609 A KR 20090125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roove
coupling plate
coupl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243B1 (ko
Inventor
권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가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설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가설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5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24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6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comprising members with rod-like or tubular portions fitting together end to end, with or without separate connecting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재의 결합판에 쐐기편으로 결합되어지는 수평재의 브라켓이 주조로 성형되어짐으로써,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어지도록 안정성을 더 높여 동바리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직재에 결합판이 체결되고, 수평재에 브라켓이 체결되어, 상기 수직재의 결합판에 상기 수평재의 브라켓이 쐐기편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는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는 상기 수직재가 끼워지는 중앙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홈의 외측으로는 상기 쐐기편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방사형태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판이 끼워지도록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상, 하 단부에는 상기 수직재가 안착되어지는 안착가이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는 상기 수평재가 체결되어지는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브라켓의 상, 하부에는 상기 쐐기편이 끼워지는 상부끼움홈과 하부끼움홈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부끼움홈의 폭이 상기 하부끼움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쐐기편의 상단에는 헤드부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쐐기편의 하부에 외측으로 외향삐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바리, 수직재, 수평재, 결합판, 브라켓, 쐐기편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For construction prefabricated staging}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재의 결합판에 쐐기편으로 결합되어지는 수평재의 브라켓이 주조로 성형되어짐으로써,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어지도록 안정성을 더 높여 동바리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및 토목공사에서 수직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여 정확하게 시공되도록 하기 위해 동바리를 사용하게 되는데, 동바리는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제작된 부자재들을 직접 현상에서 조립시켜 사용되는 것으로써 보통 하나의 강파이프에 수직재의 환상연결편이 일정간격을 갖도록 결합되어지고, 각각의 환상연결편에는 강파이프를 중심으로 외주에 다수개의 관통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환상연결편에 체결되어지도록 양단에 수직연결홈과 횡홈이 형성된 가로연결대, 세로연결대, 환상연결편에 힌지로 연결하여 회전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보강대 및 수직연결홈에 착탈되는 체결구로 구성되어 발판 또는 발판받침대가 받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동바리는 가로방향으로 부터 고하중이나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환상연결편의 관통홈에 체결구로 결합되어진 가로연결대의 수직연결홈 및 횡홈이 충분하게 고하중 또는 인장력에 저항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그 일부가 찢어지면서 파손되는 원인이 있었고, 이러한 원인으로 동바리가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로 연결대의 양단에 수직연결홈과 횡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펀칭 및 절곡 등의 다수 공정이 소요되어짐에 따라 제조공정수 증가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낮아지며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가로 연결대가 90°또는 180°방향으로만 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가로연결대의 수직연결홈 및 횡홈이 환상연결편의 두께보다 너무 넓게 형성되어 가로연결대의 높이가 일정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재의 결합판에 쐐기편으로 결합되어지는 수평재의 브라켓이 주조로 성형되어 수평재의 양단에 용접이음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어지도록 안정성을 더 높여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수평재가 임의의 각도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공간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브라켓의 끼움부와 결합판의 두께를 거의 동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수평재의 높이가 일정하게 설치되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는 수직재(a)에 결합판(1)이 체결되고, 수평재(b)에 브라켓(2)이 체결되어, 상기 수직재(a)의 결합판(1)에 상기 수평재(b)의 브라켓(2)이 쐐기편(3)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는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1)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는 상기 수직재(a)가 끼워지는 중앙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홈(11)의 외측으로는 상기 쐐기편(3)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결합홈(12)이 방사형태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브라켓(2)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판(1)이 끼워지도록 끼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21)의 상, 하 단부에는 상기 수직재(a)가 안착되어지는 안착가이드(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의 타측에는 상기 수평재(b)가 체결되 어지는 체결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브라켓(2)의 상, 하부에는 상기 쐐기편(3)이 끼워지는 상부끼움홈(24)과 하부끼움홈(25)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부끼움홈(24)의 폭이 상기 하부끼움홈(25)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쐐기편(3)의 상단에는 헤드부(31)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림돌기(32)가 형성된 쐐기편(3)의 하부에 외측으로 외향삐침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판(1)은 가장자리에서 중앙홈(11)을 향하여 일정 위치까지 평평하게 형성되어진 후 점차 상, 하로 확관되어지는 확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의 끼움부(21) 선단에는 상기 결합판(1)의 확관부(13)가 끼워지도록 경사진 안내부(26)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판(1)의 상, 하에 형성되어진 확관부(13)는 결합홈(12)과 인접되는 또 다른 결합홈(12)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리브(131)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의 상부끼움홈(24) 외측에 형성된 경사부(27)의 내부면에는 상기 쐐기편(3)의 걸림돌기(32)가 관통되어질 수 있도록 관통요부(28)가 각각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직재의 결합판에 쐐기편으로 결합되어지는 수평재의 브라켓이 주조로 성형되어짐으로써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어지도록 안정성 을 더 높여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재에 수평재가 1개 이상 끼워지되, 안착가이드로 인하여 임의의 각도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브라켓의 끼움부가 결합판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수평재의 높이가 일정하게 설치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쐐기편에 헤드부가 있어 햄머로 타격할 때 작업이 용이하고 쐐기편의 파손이 예방되며, 외향삐침부의 구성으로 인하여 쐐기편이 브라켓의 경사부 밖으로 수평방향으로 눕혀지게 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동바리는 수직재(a), 수평재(b)가 각각 결합판(1)과 브라켓(2) 및 쐐기편(3)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재(a)는 그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외부 및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좌굴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수평재(b)가 결합 또는 고정되어지는 결합판(1)이 그 외주연부에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는데, 이러한 결합판(1)은 수직재(a)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판(1)은 수평재(b)가 임의 방향 또는 임의 각도에서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와 직경을 갖는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져 있 으며 그 중앙에 수직재(a)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중앙홈(11)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재(a)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판(1)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홈(11)을 중심으로 직사각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결합홈(12)이 방사형태로 배열되어지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브라켓(2)에 끼워진 쐐기편(3)이 관통되어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수평재(b)가 90°또는 180°방향으로만 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어 임의의 각도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수평재(b)는 수직으로 설치된 상기 수직재(a) 사이에 그 양단이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수직재(a)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안정되게 설치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평재(b)의 양측단에는 수평방향의 끼움부(21)가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2)(2')이 용접이음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21)에 상기 결합판(1)이 끼워지게 되고, 상기 끼움부(21)의 타측에는 배수홈(231)을 갖는 체결부(23)가 주조시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재(b)에 용접이음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수평재(b)의 내부로 유입된 경우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 및 구조를 갖는 브라켓(2)은 종래 철판을 펀칭 및 절곡하여 형성된 것 보다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조를 통해 결합구 전체가 하나로 성형되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은 끼움부(21)의 입구측에서 상, 하부로 확관되어지는 형태를 갖는 경사진 안내부(26)가 형성되어 수직재(a)에 고정된 결합판(1)이 상기 브라켓(2)의 끼움부(21)에 용이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있다.
종래에는 브라켓(2)의 끼움부(21)가 결합판(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수평재(b)의 높이가 들쭉날쭉하게 설치되어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2)의 끼움부(21)와 결합판(1)의 두께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지되, 삽입이 용이하도록 안내부(26)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재(b)의 높이가 일정하게 설치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2)은 끼움부(21)를 중심으로 하, 하부가 대칭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끼움부(21)의 상, 하부에는 후술하는 쐐기편(3)이 끼워지도록 각각 상부끼움홈(24)과 하부끼움홈(25)이 관통형성되어있다.
상기 브라켓(2)의 끼움부(21) 상측으로 형성된 상부끼움홈(24)은 상기 하부끼움홈(25)보다 폭이 더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쐐기편(3)의 하단에 결합된 걸림돌기(32)가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브라켓(2)으로부터 쐐기편(3)이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끼움홈(24)의 내부면에는 상기 쐐기편(3)의 걸림돌기(32)가 관통되어질 수 있도록 관통요부(28)가 형성되어, 상기 쐐기편(3)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2)의 끼움부(21) 상, 하 단부에는 만곡형태로 오목한 안착가이드(22)가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결합판(1)이 끼움부(2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안착가이드(22)가 수직재(a)의 외주연부에 밀착되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재(a)에 상기 수평재(b)가 밀착 되어 임의의 각도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고, 각도 조정시 마찰을 줄여 브라켓(2)의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브라켓(2)의 끝단이 수직재(a)의 외주연부에 맞닿은 상태를 계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쐐기편(3)을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상기 안착가이드(22)가 형성되어짐으로써 수직재(a)의 외주연부에 브라켓(2)이 안착되는 것을 쉽게 확인하며 작업할 수 있고, 고정력 또한 더욱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쐐기편(3)은 수직재(a)에 고정된 결합판(1)과 수평재(b)에 고정된 브라켓(2)이 서로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 즉, 브라켓(2)의 끼움부(21)에 상기 결합판(1)이 끼워져 상기 상부끼움홈(24)과 하부끼움홈(25)에 관통되게 삽입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편(3)의 상단에는 브라켓(2)에 형성된 상부끼움홈(24)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헤드부(31)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리벳형태를 갖는 걸림돌기(32)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걸림돌기(32)가 형성된 쐐깊편(3)의 하부에 외측으로 외향삐침부(33)가 형성된다.
이러한 쐐기편(3)은 결합판(1)의 결합홈(12)에 브라켓(2)의 상부끼움홈(24) 및 하부끼움홈(25)의 중심이 일치되게 결합되어지도록 한 후 쐐기편(3)이 결합홈(12)을 지난 하부끼움홈(25)에 끼워지도록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헤드부(31)의 상부를 하부로 향하도록 타격하는 것으로 결합되어지게 된다.
쐐기편(3)에 헤드부(31)가 형성되어짐으로써 망치 등으로 타격할 때 작업이 용이하고 쐐기편(3)의 파손이 예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향삐침부(33)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쐐기편(3)이 브라켓(2)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상기 쐐기편(3)의 걸림돌기(32)가 상기 브라켓(2)의 상부끼움홈(24) 내측에 머물며, 상기 쐐기편(3)의 상부만 상기 브라켓(2)의 경사부(27) 밖으로 수평방향으로 눕혀지게 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 상태의 분해 사시도 및 요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써, 상기 결합판(1)은 가장자리에서 중앙홈(11)을 향하여 일정 위치까지 평평하게 형성되어진 후 점차 상, 하로 확관되어지는 확관부(13)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판(1)과 브라켓(2)의 체결이 확실하게 되고, 상기 브라켓(2)에 형성된 안내부(26)에 의하여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판(1)의 확관부(13)는 보강리브(131)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리브(131)는 결합홈(12)과 인접되는 또 다른 결합홈(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삼각형상의 금속재를 용접결합함으로써 제품의 단가를 낮추면서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의 설치 또는 시공은 먼저, 하나의 수직재(a)를 미도시한 건축 구조물의 벽면에 수평이 되도록 세운 후 수직재(a)에 고정된 결합판(1)에 수평재(b)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2)의 끼움부(21)가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브라켓(2)의 상부끼움홈(24)과 하부끼움홈(25)에 관통되어지도 록 삽입된 쐐기편(3)이 그 자중에 의하여 헤드부(31)가 상부끼움홈(24)의 상단에 걸려진 상태로 있게 됨에 따라 결합판(1)이 끼움부(21)로 일부만 삽입되도록 한다.
이 때 쐐기편(3)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31)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당김과 동시에 쐐기편(3)이 하부끼움홈(25)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쐐기편(3)의 하단이 끼움부(21)의 상부를 지남과 동시에 결합판(1)이 끼움부(21)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던 구속력이 해지됨에 따라 브라켓(2)의 끼움부(21)로 결합판(1)이 삽입되어진다.
다음, 결합판(1)이 끼움부(21)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 즉, 브라켓(2) 끝에 형성된 안착가이드(22)가 수직재(a)의 외주연부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쐐기편(3)의 헤드부(31)에서 손을 뗌과 동시에 그 자중에 의하여 쐐기편(3)은 결합판(1)에 형성된 결합홈(12)을 지나 브라켓(2)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끼움홈(25)으로 그 하단이 노출된다.
다음, 이같은 상태에서 망치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쐐기편(3)의 헤드부(31)를 타격하게 됨에 따라 하나의 헤드부(31)에 의하여 결합판(1)과 헤드부(31)가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건축 구조물의 벽면을 둘러싸는 동바리가 설치되어지게 되고, 건축 구조물의 시공이 마무리된 상태에서는 설치할 때와 역동작 또는 과정을 통해 동바리를 해체시키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 을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동바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동바리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를 확대하여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동바리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동바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 상태의 분해 사시도 및 요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결합판 11 : 중앙홈
12 : 결합홈 2 : 브라켓
21 : 끼움부 22 : 안착가이드
23 : 체결부 24 : 상부끼움홈
25 : 하부끼움홈 3 : 쐐기편
31 : 헤드부 32 : 걸림돌기
33 : 외향삐침부 a : 수직재
b : 수평재

Claims (4)

  1. 수직재(a)에 결합판(1)이 체결되고, 수평재(b)에 브라켓(2)이 체결되어, 상기 수직재(a)의 결합판(1)에 상기 수평재(b)의 브라켓(2)이 쐐기편(3)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는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1)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는 상기 수직재(a)가 끼워지는 중앙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홈(11)의 외측으로는 상기 쐐기편(3)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결합홈(12)이 방사형태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브라켓(2)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판(1)이 끼워지도록 끼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21)의 상, 하 단부에는 상기 수직재(a)가 안착되어지는 안착가이드(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의 타측에는 상기 수평재(b)가 체결되어지는 체결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브라켓(2)의 상, 하부에는 상기 쐐기편(3)이 끼워지는 상부끼움홈(24)과 하부끼움홈(25)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부끼움홈(24)의 폭이 상기 하부끼움홈(25)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쐐기편(3)의 상단에는 헤드부(31)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림돌기(32)가 형성된 쐐기편(3)의 하부에 외측으로 외향삐침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1)은 가장자리에서 중앙홈(11)을 향하여 일정 위치까지 평평하 게 형성되어진 후 점차 상, 하로 확관되어지는 확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의 끼움부(21) 선단에는 상기 결합판(1)의 확관부(13)가 끼워지도록 경사진 안내부(26)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1)의 상, 하에 형성되어진 확관부(13)는 결합홈(12)과 인접되는 또 다른 결합홈(12)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리브(131)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의 상부끼움홈(24) 외측에 형성된 경사부(27)의 내부면에는 상기 쐐기편(3)의 걸림돌기(32)가 관통되어질 수 있도록 관통요부(28)가 각각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20080051805A 2008-06-02 2008-06-02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0997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805A KR100997243B1 (ko) 2008-06-02 2008-06-02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805A KR100997243B1 (ko) 2008-06-02 2008-06-02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609A true KR20090125609A (ko) 2009-12-07
KR100997243B1 KR100997243B1 (ko) 2010-11-29

Family

ID=4168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805A KR100997243B1 (ko) 2008-06-02 2008-06-02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2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91B1 (ko) * 2013-06-20 2015-03-09 윤심일 비계파이프 연결용 쐐기 및 그 제조방법
CN105544962A (zh) * 2015-12-10 2016-05-04 山东拉立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抗扭刚度盘扣式钢管支架节点
CN108166746A (zh) * 2018-02-12 2018-06-15 陶冶 一种水平斜杆敲击扣件
KR20190110241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삼일레이져 체결부를 갖는 비계
CN115538767A (zh) * 2022-11-23 2022-12-30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顶托模板的支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83B1 (ko) * 2012-04-18 2013-01-22 신성컨트롤(주) 조립식 시스템비계
KR101628319B1 (ko) * 2015-02-16 2016-06-09 건화기업(주) 시스템 서포트 조립용 클램프
KR101960862B1 (ko) 2017-01-24 2019-03-25 주식회사 퍼스트알텍 수평부재 연결장치
KR102051859B1 (ko) * 2018-02-12 2019-12-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시스템 동바리
KR101918932B1 (ko) 2018-05-30 2019-02-08 이대호 가설 비계용 조인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718B1 (ko) * 2004-09-30 2005-06-07 한국가설산업(주)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91B1 (ko) * 2013-06-20 2015-03-09 윤심일 비계파이프 연결용 쐐기 및 그 제조방법
CN105544962A (zh) * 2015-12-10 2016-05-04 山东拉立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抗扭刚度盘扣式钢管支架节点
CN108166746A (zh) * 2018-02-12 2018-06-15 陶冶 一种水平斜杆敲击扣件
KR20190110241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삼일레이져 체결부를 갖는 비계
CN115538767A (zh) * 2022-11-23 2022-12-30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顶托模板的支架施工方法
CN115538767B (zh) * 2022-11-23 2023-03-21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顶托模板的支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243B1 (ko) 201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243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1283436B1 (ko) 플레이트 용접방식의 앵커 채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85721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US11525272B2 (en) Anti-seismic performance reinforcement and crack repair structure of mason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ame
JP5280228B2 (ja) 鉄筋の組立構造
KR102276624B1 (ko) 사선형 내다이어프램이 설치된 cft 기둥구조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KR100910163B1 (ko) 커튼월 고정용 브래킷
KR20080012584A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0492719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2297176B1 (ko) 조립하기 편리한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스페이서
JP7231925B2 (ja)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KR100492718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1247679B1 (ko) 패널 체결유닛
KR20220055831A (ko)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JP5331724B2 (ja) 仮設桟橋および仮設桟橋の施工方法
KR100993020B1 (ko) 강관말뚝과 콘크리트 기초의 결합을 위한 결합조립체, 및 결합조립체를 이용한 강관말뚝과 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102126457B1 (ko) 파일말뚝 두부보강구조
JP2020020170A (ja) 足場構造体のための連結装置
KR20200022123A (ko)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KR101648071B1 (ko)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200517172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梁接合部における配筋構造
KR20130097520A (ko) 거푸집용 서포터
KR102629043B1 (ko)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