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072A - 전자기력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기력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072A
KR20200022072A KR1020180097736A KR20180097736A KR20200022072A KR 20200022072 A KR20200022072 A KR 20200022072A KR 1020180097736 A KR1020180097736 A KR 1020180097736A KR 20180097736 A KR20180097736 A KR 20180097736A KR 20200022072 A KR20200022072 A KR 20200022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housing
dead center
magnet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준
Original Assignee
미르텍알앤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르텍알앤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르텍알앤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072A/ko
Publication of KR2020002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38Armatures not entering the winding
    • H01F7/1646Armatures or 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having permanent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1Guiding or setting position of armatures, e.g. retaining armatures in their end position
    • H01F7/122Guiding or setting position of armatures, e.g. retaining armatures in their end position by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6Structural details of the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력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가동자를 분리하여 별도의 운동로를 형성하여 전자기적 특성과 가동자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을 유지하는 홀딩력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기력 디바이스{ELECTRO MAGNETIC FORCE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력 디바이스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자를 분리하여 별도의 운동로를 형성하여 전자기적 특성과 가동자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을 유지하는 홀딩력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전자기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송전선로의 송전단이나 수전단에 설치되어, 전력 계통에 고장이 없을 때 정상전류를 개폐하는 것은 물론, 단락 등의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고장 전류를 차단하여 계통 및 각종 전력 기기(부하)를 보호한다.
이러한 차단기는, 소호/절연 매질에 따라 진공 차단기(VCB:Vacuum Circuit Breaker), 오일 차단기(OCB:Oil Circuit Breaker), 가스 차단기(GCB:Gas Circuit Breaker) 등으로 분류된다.
차단기가 고장 전류를 차단할 시에는 두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消弧:Extinguishing)하여야 하고, 상기 가스 차단기는 아크를 소호하는 방식에 따라 다시, 파퍼 소호 방식(Puffer type), 로터리 아크 소호 방식(Rotating arc type), 열팽창 소호 방식(Thermal expansion type), 복합 소호 방식(Hybrid extinction type) 등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차단기에 있어서, 고장전류를 차단하고 극간의 절연을 신속하게 회복하기 위해서는 개극 동작이 고속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예를 들어, 송전용 고압/초고압(통상적으로, 365kv 이상)용 차단기는 개극 간극(SL : Stroke Length)이 250mm 정도 되고, 45ms(밀리 초)라고 하는 극히 순간적인 시간 내에 동작을 완료할 수 있을 정도의 큰 힘과 큰 속도를 요구한다.
현재 고압/초고압용 차단기에는 주로 유압 조작기나 공압 조작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조작기는 차단기 전체 가격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고가이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이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유압 또는 공압 조작기는 주위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작동 유체가 누설될 염려가 있고,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부품들 중 단 하나의 부품의 고장에 인해서도 조작기가 동작을 하지 못하게 될 염려가 많다.
따라서, 상기한 유압 또는 공압 조작기를 대체할 수 있는 조작기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연구 결과로서 스프링 조작기(스퍼이럴 스프링), 모터드라이브(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시스템), 그리고 PMA 조작기(Permanent Magnetic Actuator, 영구자석형 조작기)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 조작기는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필요할 때 그 압축된 힘을 해제시켜 동력을 얻는 시스템이므로, 제조비용은 저렴하나, 스프링의 탄성력이 일정치 않아 동작상태에 대한 신뢰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그 때문에 소호가스를 분사시켜야 하는 고압이나 초고압용으로 적용하기는 힘들뿐 아니라, 이를 적용 시 차단실패의 확률이 매우 커진다.
또한, 모터드라이브는 공압이나 유압에 비해서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고 하지만 그래도 고가이고, 큰 힘을 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저압용으로는 사용이 가능하나 고압이나 초고압에서는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다.
또한, PMA 조작기는,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힘과 코일에 전류를 흘려 발생시킨 자계로 인한 전자력에 의해 가동자가 동작되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에 대한 효율도 좋으며, 일정하고 균일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저압 차단기용 조작기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MA 조작기는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힘과 코일에 전류를 흘려 발생시킨 자계의 힘으로 구동되어야 하는 시스템이므로, 자계가 흘러가는 경로(Path)를 자성체(철심)로 만들어 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가동되는 가동자 또한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차단 용량이 증대되어 조작기에 더 큰 힘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많은 자계를 발생시켜야 하고, 그 자계가 포화가 되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자성체도 그 만큼 커져야 하므로 조작기의 사이즈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영구자석과 코일에서 여자된 자속밀도는 공극 길이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차단부의 접점간극이 큰 고압이나 초고압용 차단기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PMA 조작기가 초고압에 사용될 때에는 그 크기가 아주 비대해져야 하고, 무게도 유압 또는 공압 조작기에 비해 훨씬 더 많이 나가며, 제조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차단기들의 문제를 해결하여, 작은 크기와 무게를 가지면서도 조작 속도와 조작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18927호(발명의 명칭 :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에서 전자석 차단기 또는 EMFA(Electro-Magnetic Force Driving Actuator) 등의 조작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전자석 차단기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중공의 내통과 외통을 구비하고, 상기 내통과 외통의 마주하는 면에 내/외측 영구자석을 배치하며, 상기 내측 영구자석과 외측 영구자석 사이에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일체로 동작하는 비자성체의 가동자를 배치한 구조를 가져, 상기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내/외측 영구자석에 의한 자계와 상기 코일의 전류밀도에 의한 전자반발력에 의해 상기 코일과 가동자가 상기 내측 영구자석과 외측 영구자석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한 형태의 차단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석 차단기(EMFA)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사방이 막혀 있는 외통 내부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외통내부로 배선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배선된 전선은 코일의 직선운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배선을 연결하였다고 하더라도 코일의 이동 속도가 커서 전선이 압축과 인장에 의한 피로를 받게 되어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석 차단기는 가동자가 사방이 막혀 있는 중공의 내통과 외통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이를 외부 동작 요소에 연결하기 위하여는 가동자로부터 이동축 또는 연결축을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연장 길이도 가동자의 행정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상당히 길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길이의 증가는 차단기가 차지하는 전체의 높이가 증가로 이어지고, 연결축이나 이동축의 강도를 고려하여 개수를 늘이거나 큰 직경의 것을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차단기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18927호(발명의 명칭: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동자를 분리하여 별도의 운동로를 형성하여 전자기적 특성과 가동자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을 유지하는 홀딩력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전자기력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성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가동자;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항에 따라 자기장에 반발하는 반발력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가동자 코일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자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제1 자석부; 상기 제1 자석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자 코일부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2 자석부; 상기 제2 자석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자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제3 자석부; 일측이 상기 가동자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가동자 코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 코일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동자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자석부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상부 플런저; 및 일측이 상기 가동자 코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 코일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동자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3 자석부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하부 플런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동자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한 측면 하우징; 상기 측면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한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측면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런저와 하부 플런저가 이동하도록 운동로를 형성하는 중간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동자는 상기 상부 플런저와 가동자 링크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 3 자석부는 서로 다른 극성을 순차적으로 일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동자를 분리하여 별도의 운동로를 형성하여 전자기적 특성과 가동자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을 유지하는 홀딩력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로를 독립적으로 형성하여 전자기적 특성과 홀딩력의 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상사점에서 자기장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하사점에서 자기장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10)과, 가동자(120)와, 가동자 코일부(130)와, 제1 자석부(140)와, 제2 자석부(150)와, 제3 자석부(160)와, 상부 플런저(170)와, 하부 플런저(171)와 플런저 링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자성체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상부 하우징(110a)과, 측면 하우징(110b)과, 하부 하우징(110c)과, 중간 하우징(110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은 판 형상으로, 상부에 설치되는 가동자(120)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 하우징(110b)은 상부 하우징(110a)의 하부에 서로 대향하여 측벽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측면 하우징(110b)은 사이에 중간 하우징(110d)이 설치되어 상기 측면 하우징(110b)을 중심으로 양측이 서로 구획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구획된 공간을 통해 상부 플런저(170)와, 가동자 코일부(130)와, 하부 플런저(171)가 이동하는 운동로(112)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측면 하우징(110b)은 상기 중간 하우징(110d)을 통해 구획된 공간에 제1 자석부(140), 제2 자석부(150) 및 제3 자석부(160)가 서로 대향하여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측면 하우징(110b)은 상기 중간 하우징(110d)을 통해 구획된 공간에 상부 플런저(170)와 하부 플런저(171)가 이동하는 운동로(112)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110c)은 측면 하우징(110b)과 중간 하우징(110d)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이 양측으로 개방된 사각형상의 구조가 되도록 하고, 하부로 관통하는 관통공(111')을 형성하여 상기 가동자(120)의 동작과 동기화하여 이동하는 다른 가동자(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간 하우징(110d)은 측면 하우징(110b)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하우징(110d)이 구획되도록 하고, 상부 플런저(170)와 하부 플런저(171)가 이동하는 운동로(112)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가동자(12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동자(120)는 상부 플런저(170)와 가동자 링크(121)를 통해 일정 거리 이격되어 연결된다.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자석부(150)에 의한 자속 밀도와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로 공급되는 전류의 밀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 방향에 따른 전자기력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2 자석부(150)의 자기장에 직교하는 방향(도면상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도선이 대략 타원 형상으로 권선(감겨짐)되어 예를 들면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흘러가는 정방향과 우측에서 좌측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흘러가는 역방향의 전류가 흘러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는 측면 하우징(110b)과 중간 하우징(110d)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의 상하방향 이동을 통해 상부 플런저(170)와 하부 플런저(171)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플런저 링크(18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1 자석부(140)는 측면 하우징(110b)과 중간 하우징(110d)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플런저(170)와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상기 가동자(12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자석부(140)의 크기를 변경하여 설치 용도에 따라 상기 상부 플런저(170)에 적절한 홀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석부(150)는 측면 하우징(110b)과 중간 하우징(110d)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석부(140)의 하부에 설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석부(140)와 반대 극성의 영구자석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자석부(150)는 가동자 코일부(130)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가 도면상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발력이 형성되도록 자기장을 형성한다.
즉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를 흘려주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상기 제2 자석부(150)에 의한 자속 밀도와 가동자 코일부(130)의 전류 밀도와 전류의 방향에 따른 반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를 자기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3 자석부(160)는 측면 하우징(110b)과 중간 하우징(110d)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 자석부(160)는 제2 자석부(150)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자석부(150)와 반대 극성의 영구자석이 설치되며, 하부 플런저(171)와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한 인력을 통해 가동자(12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 3 자석부(140, 150, 16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영구자석이 순차적으로 일렬 배치된다.
상기 상부 플런저(170)는 일측이 가동자 링크(121)를 통해 가동자(120)와 연결되고, 타측이 플런저 링크(180)를 통해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제1 자석부(140)와 자기력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플런저(171)는 일측이 플런저 링크(180)를 통해 가동자 코일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고, 상기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제3 자석부(160)와 자기력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가동자(120)가 상부 하우징(110a)의 상부로 돌출된 상사점에 위치하면, 도 4와 같이, 상부 플런저(170)는 제1 하우징(110a)과 제1 자석부(140)의 상부에 자기장(M1)을 형성하여 홀딩력이 발생하고, 하부 플런저(171)는 제3 자석부(160)의 상부에 자기장(M2)을 형성하여 가동자(120)가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가동자 코일부(130)에 정방향 전류가 공급되면, 도 5와 같이, 가동자 코일부(130)에 발생한 전기장과 제2 자석부(15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는 하방항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와 플런저 링크(180)를 통해 연결된 상부 플런저(170)와 하부 플런저(171)도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와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로 공급되던 정방향 전류가 차단되면, 상부 플런저(170)와 제1 자석부(140)의 하부에 자기장(M3)이 형성되고, 하부 플런저(171)는 하부 하우징(110c)과 제3 자석부(160)의 하부에 자기장(M4)을 형성하여 홀딩력이 발생되어 가동자(120)는 하사점에서 자기력에 의해 홀딩된다.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에 역방향 전류를 공급하면, 하사점에 위치한 가동자(120)는 상술한 과정의 반대과정을 통해 상사점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동자(120)는 상사점에서 상부 플런저(170)와 제1 하우징(110a)과 제1 자석부(14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자기장(M1)을 통해 홀딩력이 발생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가동자, 가동자 코일부,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를 일체화하여 별도의 운동로를 형성하고, 제1 자석부와 제3 자석부를 이용하여 홀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자기적 특성과 가동자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을 유지하는 홀딩력을 개선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자기력 디바이스 110 : 하우징
110a : 상부 하우징 110b : 측면 하우징
110c : 하부 하우징 110d : 중간 하우징
111, 111' : 관통공 112 : 운동로
120 : 가동자 121 : 가동자 링크
130 : 가동자 코일부 140 : 제1 자석부
150 : 제2 자석부 160 : 제3 자석부
170 : 상부 플런저 171 : 하부 플런저
180 : 플런저 링크

Claims (4)

  1. 자성체로 이루어진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가동자(120);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항에 따라 자기장에 반발하는 반발력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가동자 코일부(13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제1 자석부(140);
    상기 제1 자석부(1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2 자석부(150);
    상기 제2 자석부(1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제3 자석부(160);
    일측이 상기 가동자(12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자석부(140)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상부 플런저(170); 및
    일측이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 코일부(13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3 자석부(160)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하부 플런저(171)를 포함하는 전자기력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가동자(120)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공(111)을 형성한 상부 하우징(110a);
    상기 상부 하우징(110a)의 하부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한 측면 하우징(110b);
    상기 측면 하우징(110b)의 하부에 설치한 하부 하우징(110c); 및
    상기 측면 하우징(110b)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런저(170)와 하부 플런저(171)가 이동하도록 운동로(112)를 형성하는 중간 하우징(110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120)는 상기 상부 플런저(170)와 가동자 링크(121)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 3 자석부(140, 150, 160)는 서로 다른 극성을 순차적으로 일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20180097736A 2018-08-22 2018-08-22 전자기력 디바이스 KR20200022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36A KR20200022072A (ko) 2018-08-22 2018-08-22 전자기력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36A KR20200022072A (ko) 2018-08-22 2018-08-22 전자기력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072A true KR20200022072A (ko) 2020-03-03

Family

ID=6993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736A KR20200022072A (ko) 2018-08-22 2018-08-22 전자기력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0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27B1 (ko) 2005-05-19 2007-05-17 (주)에마텍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27B1 (ko) 2005-05-19 2007-05-17 (주)에마텍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6105B2 (ja) 電磁気力を利用した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利用した遮断器
CN103875052B (zh) 触点装置以及使用了该触点装置的电磁接触器
US8791779B2 (en) Fast switch with non-circular Thomson coil
KR101704807B1 (ko) 차단기용 전자반발 조작기
JP2007523475A (ja) 電磁気力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遮断器
KR100641025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KR100668923B1 (ko) 홀딩력이 극대화된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KR20120115958A (ko) 2 개의 접촉 요소 세트 및 2 개의 드라이브를 갖는 스위치
KR100718927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JP2014107181A (ja) 並列コンデンサ付きガス遮断器
CN100334670C (zh) 电磁驱动器
KR101284133B1 (ko) 선로 테스트가 가능한 전자기력 디바이스
KR20200022072A (ko)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0809902B1 (ko) 진공차단기 및 진공개폐기용 조작기
US9218931B2 (en) Electromagnetic force driving device
KR20200022073A (ko) 전자기력 디바이스
CN108475604B (zh) 继电器设备
EP2680290A1 (en) Electronic switch
CN104885179A (zh) 开关组件
KR101547029B1 (ko)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1547028B1 (ko)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1534798B1 (ko)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1313263B1 (ko) 선로 테스트가 가능한 전자기력 디바이스
WO2021176751A1 (ja) 電磁操作式開閉装置
KR100625524B1 (ko) 중전압급 차단기용 자석형 조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