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798B1 - 전자기력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기력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798B1
KR101534798B1 KR1020130154361A KR20130154361A KR101534798B1 KR 101534798 B1 KR101534798 B1 KR 101534798B1 KR 1020130154361 A KR1020130154361 A KR 1020130154361A KR 20130154361 A KR20130154361 A KR 20130154361A KR 101534798 B1 KR101534798 B1 KR 101534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housing
auxiliary
magnet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582A (ko
Inventor
이희준
Original Assignee
미르텍알앤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르텍알앤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르텍알앤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7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2Operating arrangements using bistable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linear polarised electromagnetic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6Enhanced legend space by smaller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송전선로의 이상 발생시 신속한 차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자석을 이용한 면 접촉을 통해 홀딩력을 증가시킨 전자기력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 1 가동자가 설치되는 제 1 하우징과, 코일부가 설치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3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구획하는 제 4 하우징을 형성한 디바이스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제 1 가동자; 상기 제 2 하우징에 병렬로 배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반발력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코일부; 일측이 상기 코일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가동자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를 동작시키는 제 2 가동자; 상기 제 1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동자와 밀착하며, 상기 제 1 가동자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상부 자석;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부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하부 자석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단기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전체적인 중량과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 1 가동자를 상사점과 하사점에 홀딩할 경우 1개의 상부 자석을 이용하므로 면 접촉에 의한 홀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기력 디바이스{ELECTRO MAGNETIC FORCE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력 디바이스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 송전선로의 이상 발생시 신속한 차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자석을 이용한 면 접촉을 통해 홀딩력을 증가시킨 전자기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송전선로의 송전단이나 수전단에 설치되어, 전력 계통에 고장이 없을 때 정상전류를 개폐하는 것은 물론, 단락 등의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고장 전류를 차단하여 계통 및 각종 전력 기기(부하)를 보호한다.
이러한 차단기는, 소호/절연 매질에 따라 진공 차단기(VCB:Vacuum Circuit Breaker), 오일 차단기(OCB:Oil Circuit Breaker), 가스 차단기(GCB:Gas Circuit Breaker) 등으로 분류된다.
차단기가 고장 전류를 차단할 시에는 두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消弧:Extinguishing)하여야 하고, 상기 가스 차단기는 아크를 소호하는 방식에 따라 다시, 파퍼 소호 방식(Puffer type), 로터리 아크 소호 방식(Rotating arc type), 열팽창 소호 방식(Thermal expansion type), 복합 소호 방식(Hybrid extinction type) 등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차단기에 있어서, 고장전류를 차단하고 극간의 절연을 신속하게 회복하기 위해서는 개극 동작이 고속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예를 들어, 송전용 고압/초고압(통상적으로, 365kv 이상)용 차단기는 개극 간극(SL : Stroke Length)이 250mm 정도 되고, 45ms(밀리 초)라고 하는 극히 순간적인 시간 내에 동작을 완료할 수 있을 정도의 큰 힘과 큰 속도를 요구한다.
현재 고압/초고압용 차단기에는 주로 유압 조작기나 공압 조작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조작기는 차단기 전체 가격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고가이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이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유압 또는 공압 조작기는 주위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작동 유체가 누설될 염려가 있고,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부품들 중 단 하나의 부품의 고장에 인해서도 조작기가 동작을 하지 못하게 될 염려가 많다.
따라서, 상기한 유압 또는 공압 조작기를 대체할 수 있는 조작기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연구 결과로서 스프링 조작기(스퍼이럴 스프링), 모터드라이브(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시스템), 그리고 PMA 조작기(Permanent Magnetic Actuator, 영구자석형 조작기)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 조작기는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필요할 때 그 압축된 힘을 해제시켜 동력을 얻는 시스템이므로, 제조비용은 저렴하나, 스프링의 탄성력이 일정치 않아 동작상태에 대한 신뢰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그 때문에 소호가스를 분사시켜야 하는 고압이나 초고압용으로 적용하기는 힘들뿐 아니라, 이를 적용 시 차단실패의 확률이 매우 커진다.
또한, 모터드라이브는 공압이나 유압에 비해서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고 하지만 그래도 고가이고, 큰 힘을 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저압용으로는 사용이 가능하나 고압이나 초고압에서는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다.
또한, PMA 조작기는,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힘과 코일에 전류를 흘려 발생시킨 자계로 인한 전자력에 의해 가동자가 동작되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에 대한 효율도 좋으며, 일정하고 균일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저압 차단기용 조작기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MA 조작기는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힘과 코일에 전류를 흘려 발생시킨 자계의 힘으로 구동되어야 하는 시스템이므로, 자계가 흘러가는 경로(Path)를 자성체(철심)로 만들어 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가동되는 가동자 또한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차단 용량이 증대되어 조작기에 더 큰 힘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많은 자계를 발생시켜야 하고, 그 자계가 포화가 되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자성체도 그 만큼 커져야 하므로 조작기의 사이즈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영구자석과 코일에서 여자된 자속밀도는 공극 길이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차단부의 접점간극이 큰 고압이나 초고압용 차단기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PMA 조작기가 초고압에 사용될 때에는 그 크기가 아주 비대해져야 하고, 무게도 유압 또는 공압 조작기에 비해 훨씬 더 많이 나가며, 제조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차단기들의 문제를 해결하여, 작은 크기와 무게를 가지면서도 조작 속도와 조작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18927호(발명의 명칭 :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에서 전자석 차단기 또는 EMFA(Electro-Magnetic Force Driving Actuator) 등의 조작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전자석 차단기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중공의 내통과 외통을 구비하고, 상기 내통과 외통의 마주하는 면에 내/외측 영구자석을 배치하며, 상기 내측 영구자석과 외측 영구자석 사이에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일체로 동작하는 비자성체의 가동자를 배치한 구조를 가져, 상기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내/외측 영구자석에 의한 자계와 상기 코일의 전류밀도에 의한 전자반발력에 의해 상기 코일과 가동자가 상기 내측 영구자석과 외측 영구자석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한 형태의 차단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석 차단기(EMFA)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사방이 막혀 있는 외통 내부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외통내부로 배선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배선된 전선은 코일의 직선운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배선을 연결하였다고 하더라도 코일의 이동 속도가 커서 전선이 압축과 인장에 의한 피로를 받게 되어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석 차단기는 가동자가 사방이 막혀 있는 중공의 내통과 외통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이를 외부 동작 요소에 연결하기 위하여는 가동자로부터 이동축 또는 연결축을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연장 길이도 가동자의 행정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상당히 길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길이의 증가는 차단기가 차지하는 전체의 높이가 증가로 이어지고, 연결축이나 이동축의 강도를 고려하여 개수를 늘이거나 큰 직경의 것을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차단기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과 가동자가 어떠한 안내 수단도 없이 단순히 내/외측 영구자석 사이에 배치되는 형태이므로, 코일과 가동자가 축방향으로 운동할 때 내/외측 영구자석과 마찰을 일으키고, 이것에 의해 조작력이 손실되거나 운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18927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 송전선로의 이상 발생시 신속한 차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자석을 이용한 면 접촉을 통해 홀딩력을 증가시킨 전자기력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가동자가 설치되는 제 1 하우징과, 코일부가 설치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3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구획하는 제 4 하우징을 형성한 디바이스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제 1 가동자; 상기 제 2 하우징에 병렬로 배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반발력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코일부; 일측이 상기 코일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가동자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를 동작시키는 제 2 가동자; 상기 제 1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동자와 밀착하며, 상기 제 1 가동자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상부 자석;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부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하부 자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자기력 디바이스는 제 2 하우징의 하부에 제 4 보조 하우징을 통해 구획되어 설치되는 제 1 보조 하우징;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제 1 보조 가동자;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에 설치되어 제 1 보조 가동자와 밀착하여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보조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동자는 양측 말단이 제 1 가동자와 제 1 보조 가동자와 연결되고, 중앙이 상기 코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와 제 1 보조 가동자가 상하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가동자와 제 1 보조 가동자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가동자는 제 1 가동자의 몸체 하부에 제 1 가동자 링크로 연결된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 상기 제 1 가동자의 몸체로 일정 두께 돌출되어 상부 자석과 자기장을 통해 밀착되는 제 1 밀착부;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로부터 일정 두께 돌출되어 상기 상부 자석과 자기장을 통해 밀착하는 제 2 밀착부; 및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가동자와 연결되도록 볼트와 체결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 자석은 상부 자석의 몸체 양측에 설치되어 자기장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자성체; 및 제 1 가동자 링크가 관통하는 제 1 가동자 링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자석과 제 1 자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이 제 1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1 비자성체를 포함하는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가동자가 설치되고 측벽에 제 1 하우징 관통공을 형성한 제 1 하우징과, 코일부가 설치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3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구획하는 제 4 하우징을 형성한 디바이스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제 1 가동자; 상기 제 2 하우징에 병렬로 배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반발력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코일부; 일측이 상기 코일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가동자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를 동작시키는 제 2 가동자; 상기 제 1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동자와 밀착하며, 상기 제 1 가동자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상부 자석;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부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하부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운동로와 코일부가 직교 방향을 형성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자기력 디바이스는 제 2 하우징의 하부에 제 4 보조 하우징을 통해 구획되어 설치되는 제 1 보조 하우징;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제 1 보조 가동자;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에 설치되어 제 1 보조 가동자와 밀착하며,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보조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동자는 양측 말단이 제 1 가동자와 제 1 보조 가동자와 연결되고, 중앙이 상기 코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와 제 1 보조 가동자가 상하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하우징은 제 1 하우징과 하부 자석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2 비자성체; 및 상기 하부 자석과 제 3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제 3 비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하우징은 하부 자석의 사이에 설치된 제 2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전, 송전선로의 이상 발생시 신속한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고 차단기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전체적인 중량과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 1 가동자를 상사점과 하사점에 홀딩할 경우 1개의 상부 자석을 이용하므로 면 접촉에 의한 홀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자와 코일부가 이동하는 제 1 및 제 2 운동로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자유로운 동작 특성의 변경과 홀딩력의 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조립 상태와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도 1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자기력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도 5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도 5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도 5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자기력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도 9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 은 도 9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은 도 9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 는 도 9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조립 상태와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자기력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하우징(110)과, 제 1 가동자(120)와, 코일부(130)와, 제 2 가동자(140)와, 상부 자석(150)과, 하부 자석(160, 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바이스 하우징(110)은 제 1 하우징(110a)과, 제 2 하우징(110b)과, 제 3 하우징(110c)과, 제 4 하우징(110d)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하우징(110a)은 측벽이 양측에 설치되고, 제 1 하우징(110a)의 길이방향 양쪽과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110a)은 제 1 가동자(120)와 상부 자석(150)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내측에는 제 1 가동자(120)가 이동하는 제 1 운동로(111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110b)은 제 1 하우징(110a)의 하부에 제 4 하우징(110d)을 통해 구획되어 설치되고, 내부에는 코일부(130)가 이동하는 제 2 운동로(111b)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하우징(110c)은 상기 제 2 하우징(110b)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 2 하우징(110b)에 설치되는 하부 자석(160, 160')과 제 2 비자성체(170)와 제 3 비자성체(171)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하우징(110b, 110c)은 바람직하게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4 하우징(110d)은 제 1 하우징(110a)과 제 2 하우징(110b) 사이에 설치되어 구획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제 1 하우징(110a)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110a)에 고정되고, 판 형상의 제 1 가동자(120) 하부에는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제 1 운동로(111a)를 따라 이동하는 판 형상의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가 상기 제 1 가동자(12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 1 가동자 링크(121a)를 통해 상기 제 1 가동자(120)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의 길이방향 전측 및 후측에는 체결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가동자(140)와 볼트(144)를 통해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제 1 가동자(120)의 몸체 저면으로 일정 두께 돌출되어 제 1 밀착부(120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 자석(150)과 자기장(M3)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제 1 하우징(110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는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의 상면으로 일정 두께 돌출되어 제 2 밀착부(121b)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 자석(150)과 자기장(M1)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가 제 1 하우징(110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동자(120)와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는 상부 자석(150)과 자기력을 형성하여 일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부(130)는 제 1 코일(130a)과 제 2 코일(130b)이 제 2 하우징(110b)의 내부에 병렬로 배치되어 자기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며, 하부 자석 1(160)과 하부 자석 2(160')에 의한 자속 밀도와 공급되는 전류의 밀도, 정방향 또는 역방향에 따른 전류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하부 자석 1(160)과 하부 자석 2(160')의 자기장에 직교하는 방향(도면상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도선이 대략 타원 형상으로 권선(감겨짐)되어 상부와 하부의 전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코일부(130)는 제 2 하우징(110b)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코일부(130)의 동작이 제 2 가동자(140)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코일부(130)의 양측에는 제 2 가동자 링크(145)가 삽입되는 링크 결합공(13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동자(140)는 디바이스 하우징(11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거나 또는 디바이스 하우징(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2 가동자(140)의 일측은 제 2 가동자 링크(145)를 통해 코일부(130)와 결합되며, 타측은 제 1 가동자(120)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13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12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 하우징(110a)과 분리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가동자(12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하고, 코일 설치공(141)과, 제 2 링크 관통공(142)과, 볼트 관통공(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일 설치공(141)은 제 2 가동자(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방형상의 구멍으로 코일부(130)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제 2 링크 관통공(142)은 코일 설치공(141)을 포함한 제 2 가동자(140)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코일부(130)의 링크 결합공(131)과 동심축 상에 천공됨으로써, 제 2 가동자 링크(145)가 상기 링크 결합공(131)과 제 2 링크 관통공(142)을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가동자 링크(145)는 제 2 가동자 링크 1(145a)와 제 2 가동자 링크 2(145b)를 통해 하우징(110)의 양측에 설치된 제 2 가동자(140, 140a)와 각각 체결된다.
상기 볼트 관통공(143)은 제 2 가동자(140)의 상부에 천공되어 볼트(144)가 관통하여 제 1 가동자(120)의 체결홈(122)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자석(150)은 막대 형상의 영구자석으로서, 제 1 가동자(120) 또는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 중 어느 하나와 밀착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상부로 이동한 상사점을 유지하도록 자기장(M3)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제 1 하우징(110a)의 상면과 밀착된 하사점을 유지하도록 자기장(M1)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상사점과 하사점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홀딩력(자기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 자석(150)은 작은 크기(면적, 체적)로 큰 홀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 1 자성체(151)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자석(150)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설치 용도에 따라 제 1 가동자(120) 또는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에 적절한 홀딩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 1 자성체(151)는 상부 자석(15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자석(150)이 제 1 하우징(110a)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 자석(150)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자석 설치홈(151a)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자석(15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제 1 가동자(120)와 자기회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와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자성체(151)와 제 1 하우징(110a)의 사이에는 비자성체인 제 1 비자성체(152)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자석(150)과 제 1 자성체(15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이 자성체인 상기 제 1 하우징(110a)에 형성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하고, 제 1 가동자(120)와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를 연결하는 제 1 가동자 링크(120a)가 관통하도록 제 1 가동자 링크 관통공(152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자석(160, 160')은 제 2 하우징(110b)의 내측에 설치되어 코일부(130)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하부 자석 1(160)과 하부 자석 2(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자석 1(160)은 제 1 코일(130a)에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자석 2(160')는 제 2 코일(130b)에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 자석 1(160)은 제 1 하부 자석(160a), 제 2 하부 자석(160b), 제 3 하부 자석(160c), 제 4 하부 자석(160d)으로 구성되고, 제 1 코일(130a)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코일(130a)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코일(130a)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발력이 형성되도록 자기장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자석(160a, 160b, 160c, 160d)의 상부와 하부에는 거리를 유지하여 자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 4 하우징(110d)과의 사이에 제 2 비자성체(170)가, 제 3 하우징(110c)과의 사이에 제 3 비자성체(171)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자석(160a, 160b, 160c, 160d)은 일정한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제 1 코일(130a)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하우징(110b)의 내측면에 N극과 S극의 반대 극성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하부 자석(160a, 160b, 160c, 160d)의 배치는 제 1 코일(130a)에 각각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를 흘려주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부 자석(160a, 160b, 160c, 160d)에 의한 자속 밀도와 제 1 코일(130a)의 전류 밀도와 전류의 방향에 따른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 1 코일(130a)을 자기장에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면 도 4(a)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자기장(M2)에 반발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하거나 또는 도 4(b)와 같이 하부에 형성된 자기장(M4)에 반발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하여, 상기 제 1 코일(130a)이 제 2 하우징(110b)의 종방향(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자석 2(160')은 제 5 하부 자석(160a'), 제 6 하부 자석(160b'), 제 7 하부 자석(160c'), 제 8 하부 자석(160d')으로 구성되고, 제 2 코일(130b)의 주변에 설치어 상기 제 2 코일(130b)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 2 코일(130b)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발력이 형성되도록 자기장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5 내지 제 8 하부 자석(160a', 160b', 160c', 160d')의 상부와 하부에는 거리를 유지하여 자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 4 하우징(110d)과의 사이에 제 2 비자성체(170)가, 제 3 하우징(110c)과의 사이에 제 3 비자성체(171)가 설치되며, 상기 제 5 내지 제 8 하부 자석(160a', 160b', 160c', 160d')은 일정한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제 2 코일(130b)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하우징(110b)의 내측면에 N극과 S극의 반대 극성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 5 내지 제 8 하부 자석(160a', 160b', 160c', 160d')의 배치는 제 2 코일(130b)에 각각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를 흘려주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상기 제 5 내지 제 8 하부 자석(160a', 160b', 160c', 160d')에 의한 자속 밀도와 제 2 코일(130b)의 전류 밀도와 전류의 방향에 따른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 2 코일(130b)을 자기장에 직교하는 방향(도면상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하여, 상기 제 2 코일(130b)이 제 2 하우징(110b)의 종방향(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비자성체(170)는 제 4 하우징(110d)과 하부 자석 1 및 2(160, 160') 사이에 설치되고, 제 3 자성체(171)는 상기 하부 자석 1 및 2(160, 160')와 제 3 하우징(110c) 사이에 설치되어 자기경로가 제 1 및 제 2 코일(130a, 130b)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자석 1(130a)과 하부 자석 2(130b) 사이에는 자성체인 제 2 자성체(180)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 자석 1 및 2(130a, 130b) 사이에 자기경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정방향 전류 공급)
제 1 가동자(120)가 제 1 하우징(110a)의 상부로 돌출된 상사점에 위치한 경우 도 4(a)와 같이 상부 자석(150)과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 사이에는 자기장(M1)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코일부(130)에 정방향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코일부(130)에 발생한 전기장과 하부 자석 1 및 2(160, 16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M2)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인해 상기 코일부(13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코일부(130)와 결합된 제 2 가동자(140)에 의해 제 1 가동자(120)도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코일부(130)로 공급되던 정방향 전류가 차단되면, 제 1 가동자(120)와 상부 자석(150) 사이에는 도 4(b)의 자기장(M3)이 발생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제 1 하우징(110a)과 밀착된 하사점에서 자기장(M3)에 의한 자기력을 통해 홀딩된다.
(역방향 전류 공급)
제 1 가동자(120)가 제 1 하우징(110a)의 상면과 밀착된 하사점에 위치한 경우 도 4(b)와 같이 상부 자석(150)과 제 1 가동자(120) 사이에는 자기장(M3)에 의한 홀딩력을 통해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하사점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코일부(130)에 역방향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코일부(130)에 발생한 전기장과 하부 자석 1 및 2(160, 16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M4)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인해 상기 코일부(13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코일부(130)와 결합된 제 2 가동자(140)에 의해 제 1 가동자(120)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코일부(130)로 공급되던 역방향 전류가 차단되면,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와 상부 자석(150) 사이에는 도 4(a)의 자기장(M1)이 발생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제 1 하우징(110a)의 상방향으로 이동한 상사점에서 자기장(M1)에 의한 자기력을 통해 홀딩된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자기력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제 2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하우징(110')과,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코일부(130)와, 제 2 가동자(140')와, 상부 자석(150)과, 보조 자석(150')과, 하부 자석(160, 160')과, 제 2 비자성체(170)와, 제 3 비자성체(171)와, 제 2 자성체(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바이스 하우징(110')은 제 1 하우징(110a)과, 제 1 보조 하우징(110a')과, 제 2 하우징(110b)과, 제 4 하우징(110d)과, 제 4 보조 하우징(110d')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하우징(110a)은 측벽이 양측에 설치되고, 제 1 하우징(110a)의 길이방향 양쪽과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하우징(110a)은 제 1 가동자(120)와 상부 자석(150)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내측에는 제 1 가동자(120)가 이동하는 제 1 운동로(111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110b)은 제 1 하우징(110a)의 하부에 제 4 하우징(110d)을 통해 구획되어 설치되며, 내부에는 코일부(130)가 이동하는 제 2 운동로(111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은 제 2 하우징(110b)을 중심으로 제 1 하우징(110a)과 반대방향에 설치되고, 제 4 보조 하우징(110d')을 통해 제 2 하우징(110b)과 구획되며, 제 1 하우징(110a)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은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보조 자석(150')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의 내측에는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이동하는 제 1 보조 운동로(111a')가 형성된다.
상기 제 4 하우징(110d)과 제 4 보조 하우징(110d')은 제 2 하우징(110b)이 제 1 하우징(110a)과 제 1 보조 하우징(110a')으로 구획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하우징(110b)에 설치되는 하부 자석(160, 160')과 제 2 비자성체(170)와 제 3 비자성체(171)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는 자성체로서, 제 1 보조 하우징(110a')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에 고정되고, 판 형상의 제 1 보조 가동자(120')에는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의 제 1 보조 운동로(111a')를 따라 이동하는 판 형상의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가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 1 보조 가동자 링크(121a')를 통해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의 길이방향 전측 및 후측에는 체결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가동자(140')와 볼트(144)를 통해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는 제 1 보조 가동자(120')의 몸체로부터 일정 두께 돌출되어 제 1 보조 밀착부(120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보조 자석(150')과 자기장(M1')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제 1 보조 하우징(110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는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로부터 일정 두께 돌출되어 제 2 보조 밀착부(121b')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보조 자석(150')과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가 제 1 보조 하우징(110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는 보조 자석(150')과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가동자(140')는 디바이스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디바이스 하우징(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2 가동자(140')는 양측 말단이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각각 연결되며, 중앙이 상기 코일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13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상하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코일 설치공(141)과, 제 2 링크 관통공(142)과, 볼트 관통공(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 2 가동자(140')가 도면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제 1 하우징(110a)과 분리되도록 하고, 제 1 보조 가동자(120')는 제 1 보조 하우징(110a')과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가동자(140')가 도면상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제 1 하우징(110a)과 밀착되도록 하고, 제 1 보조 가동자(120')는 제 1 보조 하우징(110a')과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 자석(150')은 막대 형상의 영구자석으로서, 제 1 보조 가동자(120') 또는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 중 어느 하나와 밀착하여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하부로 이동한 하사점을 유지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제 1 보조 하우징(110a')의 하면과 밀착된 상사점을 유지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상사점과 하사점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홀딩력(자기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조 자석(150')은 작은 크기(면적, 체적)로 큰 홀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 1 보조 자성체(151')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 자석(150')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설치 용도에 따라 제 1 보조 가동자(120') 또는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에 적절한 홀딩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 1 보조 자성체(151')는 보조 자석(15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자석(150')이 제 1 보조 하우징(110a')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조 자석(150')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보조 자석 설치홈(151a')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자석(15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자기회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와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보조 자성체(151')와 제 1 보조 하우징(110a')의 사이에는 비자성체인 제 1 보조 비자성체(152')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 자석(150')과 제 1 보조 자성체(15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이 자성체인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에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를 연결하는 제 1 보조 가동자 링크(120a')가 관통하도록 제 1 보조 가동자 링크 관통공(15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부(130)에 정방향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코일부(130)에 발생한 전기장과 하부 자석 1 및 2(160, 16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인해 상기 코일부(13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코일부(130)와 결합된 제 2 가동자(140')에 의해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도 함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코일부(130)로 공급되던 정방향 전류가 차단되면, 제 1 가동자(120)와 상부 자석(150) 사이에는 자기장이 발생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제 1 하우징(110a)과 밀착된 하사점에서 자기장에 의한 자기력을 통해 홀딩되고, 제 1 보조 가동부 몸체(121')와 보조 자석(150')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하우징(110a')이 밀착된 상사점에서 자기장에 의한 자기력을 통해 홀딩된다.
또한, 코일부(130)에 역방향 전류가 공급되면,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 자석(150)과 보조 자석(150')에 의한 자기력을 통해 각각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홀딩된다.
(제 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제 3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하우징(110")과, 제 1 가동자(120")와, 디바이스 하우징(110")에 병렬로 배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반발력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코일부(130)와, 일측이 상기 코일부(130)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가동자(120")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120")를 동작시키는 제 2 가동자(140)와, 상부 자석(150")과, 상기 코일부(130)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하부 자석(160, 160')과, 제 2 비자성체(170)와, 제 3 비자성체(171)와, 제 2 자성체(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바이스 하우징(110")은 제 1 가동자(120")가 설치되는 제 1 하우징(110a")과, 코일부(130)가 설치되는 제 2 하우징(110b)과, 상기 제 2 하우징(110b)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3 하우징(110c)과, 상기 제 1 하우징(110a)과 제 2 하우징(110b)을 구획하는 제 4 하우징(110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하우징(110a")은 측벽이 양측에 설치되고, 제 1 하우징(110a")의 길이방향 양쪽과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형성하며, 제 1 가동자(120")와 상부 자석(150")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내측에는 제 1 가동자(120")가 이동하는 제 1 운동로(111a")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볼트(144)와 볼트 가이드(146)가 관통하는 장방형상의 제 1 하우징 관통공(11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110a")은 제 1 운동로(111a")와 코일부(130)가 직교 방향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측벽에 천공된 제 1 하우징 관통공(112a")으로 제 2 가동자(140)와 결합된 볼트(144)가 관통하여 제 1 가동자(120")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하우징 관통공(112a")은 상기 제 2 가동자(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볼트(144)와 볼트 가이드(146)가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제 2 하우징(110b)은 제 1 하우징(110a")의 하부에 제 4 하우징(110d)을 통해 구획되고, 내부에는 코일부(130)가 이동하는 제 2 운동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하우징(110c)은 상기 제 2 하우징(110b)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 2 하우징(110b)에 설치된 하부 자석(160, 160')과 제 2 비자성체(170)와 제 3 비자성체(171)가 상기 제 2 하우징(110b)의 내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하우징(110b, 110c)은 바람직하게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제 1 하우징(110a")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110a")에 고정되고, 판 형상의 제 1 가동자(120") 하부에는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제 1 운동로(111a")를 따라 이동하는 판 형상의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가 상기 제 1 가동자(12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 1 가동자 링크(121a")를 통해 상기 제 1 가동자(120")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의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체결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가동자(140)와 볼트(144)를 통해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제 1 가동자(120")의 몸체 저면으로 일정 두께 돌출되어 제 1 밀착부(120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 자석(150")과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제 1 하우징(110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는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의 상면으로 일정 두께 돌출되어 제 2 밀착부(121b")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 자석(150")과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가 제 1 하우징(110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동자(120")와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는 상부 자석(150")과 자기력을 형성하여 일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자석(150")은 막대 형상의 영구자석으로서, 제 1 가동자(120") 또는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 중 어느 하나와 밀착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상부로 이동한 상사점을 유지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제 1 하우징(110a")의 상면과 밀착된 하사점을 유지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상사점과 하사점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홀딩력(자기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 자석(150")은 작은 크기(면적, 체적)로 큰 홀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 1 자성체(151")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자석(150")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설치 용도에 따라 제 1 가동자(120") 또는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에 적절한 홀딩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 1 자성체(151")는 상부 자석(15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자석(150")이 제 1 하우징(110a")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 자석(150")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자석 설치홈(151a")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자석(15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제 1 가동자(120")와 자기회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와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체(151")와 제 1 하우징(110a")의 사이에는 비자성체인 제 1 비자성체(152")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자석(150")과 제 1 자성체(15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이 자성체인 상기 제 1 하우징(110a")에 형성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하고, 제 1 가동자(120")와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를 연결하는 제 1 가동자 링크(120a")가 관통하도록 제 1 가동자 링크 관통공(15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부(130)에 정방향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코일부(130)에 발생한 전기장과 하부 자석 1 및 2(160, 16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인해 상기 코일부(13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코일부(130)와 결합된 제 2 가동자(140)에 의해 제 1 가동자(120)도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코일부(130)로 공급되던 정방향 전류가 차단되면, 제 1 가동자(120")와 상부 자석(150") 사이에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제 1 하우징(110a")과 밀착된 하사점에서 자기력을 통해 홀딩된다.
또한, 코일부(130)에 역방향 전류가 공급되면, 제 2 가동자(14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가동자(120")도 함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 자석(150)에 의한 자기력을 통해 각각 상사점에서 홀딩된다.
(제 4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9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9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제 4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하우징(110'")과,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디바이스 하우징(110")에 병렬로 배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반발력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코일부(130)와, 양측 말단이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각각 연결되며, 중앙이 상기 코일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를 동작시키는 제 2 가동자(140')와, 상부 자석(150")과, 보조 자석(150'")과, 하부 자석(160, 160')과, 제 2 비자성체(170)와, 제 3 비자성체(171)와, 제 2 자성체(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바이스 하우징(110'")은 제 1 하우징(110a")과, 제 1 보조 하우징(110a'")과, 제 2 하우징(110b)과, 제 4 하우징(110d)과, 제 4 보조 하우징(110d')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하우징(110a")은 측벽이 양측에 설치되고, 제 1 하우징(110a)의 길이방향 양쪽과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형성하며, 제 1 가동자(120")와 상부 자석(150")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내측에는 제 1 가동자(120")가 이동하는 제 1 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볼트(144)와 볼트 가이드(146)가 관통하는 장방형상의 제 1 하우징 관통공(11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110a")은 제 1 운동로와 코일부(130)가 직교 방향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측벽에 천공된 제 1 하우징 관통공(112a")으로 제 2 가동자(140')와 결합된 볼트(144)가 관통하여 제 1 가동자(120")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하우징 관통공(112a")은 상기 제 2 가동자(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볼트(144)와 볼트 가이드(146)가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제 2 하우징(110b)은 제 1 하우징(110a")의 하부에 제 4 하우징(110d)을 통해 구획되고, 내부에는 코일부(130)가 이동하는 제 2 운동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은 제 2 하우징(110b)을 중심으로 제 1 하우징(110a")과 반대방향에 설치되고, 제 4 보조 하우징(110d')을 통해 제 2 하우징(110b)과 구획되며, 제 1 하우징(110a")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은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보조 자석(150'")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의 내측에는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이동하는 제 1 보조 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볼트(144)와 볼트 가이드(146)가 관통하는 장방형상의 제 1 보조 하우징 관통공(11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은 제 1 운동로와 코일부(130)가 직교 방향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의 측벽에 천공된 제 1 보조 하우징 관통공(112a'")으로 제 2 가동자(140')와 결합된 볼트(144)가 관통하여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 관통공(112a'")은 상기 제 2 가동자(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볼트(144)와 볼트 가이드(146)가 이동하도록 경로를 안내한다.
상기 제 4 하우징(110d)과 제 4 보조 하우징(110d')은 제 2 하우징(110b)이 제 1 하우징(110a")과 제 1 보조 하우징(110a'")으로 구획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하우징(110b)에 설치되는 하부 자석(160, 160')과 제 2 비자성체(170)와 제 3 비자성체(171)와, 제 2 자성체(18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 자석(150'")은 막대 형상의 영구자석으로서, 제 1 보조 가동자(120'") 또는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 중 어느 하나와 밀착하여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하부로 이동한 하사점을 유지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제 1 보조 하우징(110a'")의 하면과 밀착된 상사점을 유지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상사점과 하사점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홀딩력(자기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조 자석(150'")은 작은 크기(면적, 체적)로 큰 홀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 1 보조 자성체(151'")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 자석(150'")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설치 용도에 따라 제 1 보조 가동자(120'") 또는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에 적절한 홀딩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 1 보조 자성체(151'")는 보조 자석(15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자석(150'")이 제 1 보조 하우징(110a'")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조 자석(150'")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보조 자석 설치홈(151a'")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자석(15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자기회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와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보조 자성체(151'")와 제 1 보조 하우징(110a'")의 사이에는 비자성체인 제 1 보조 비자성체(152'")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 자석(150'")과 제 1 보조 자성체(15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이 자성체인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에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 하부 몸체(121'")를 연결하는 제 1 보조 가동자 링크(120a'")가 관통하도록 제 1 보조 가동자 링크 관통공(15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부(130)에 정방향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코일부(130)에 발생한 전기장과 하부 자석 1 및 2(160, 16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인해 상기 코일부(13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코일부(130)와 결합된 제 2 가동자(140')에 의해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도 함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코일부(130)로 공급되던 정방향 전류가 차단되면, 제 1 가동자(120")와 상부 자석(150") 사이에는 자기장이 발생하여 상기 제 1 가동자(120")는 제 1 하우징(110a")과 밀착된 하사점에서 자기장에 의한 자기력을 통해 홀딩되고, 제 1 보조 가동부 몸체(121'")와 보조 자석(150'")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하우징(110a'")이 밀착된 상사점에서 자기장에 의한 자기력을 통해 홀딩된다.
또한, 코일부(130)에 역방향 전류가 공급되면,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 자석(150")과 보조 자석(150'")에 의한 자기력을 통해 각각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홀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100', 100", 100'" : 전자기력 디바이스
110 : 디바이스 하우징 110a : 제 1 하우징
110b : 제 2 하우징 110c : 제 3 하우징
110d : 제 4 하우징 111a, 111a' :제 1 운동로
112a" : 제 1 하우징 관통공 120 : 제 1 가동자
120a : 제 1 밀착부 121 :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
121a : 제 1 가동자 링크 122 : 체결홈
130 : 코일부 130a : 제 1 코일
130b : 제 2 코일 131 : 링크 결합공
140 : 제 2 가동자 141 : 코일 설치공
142 : 제 2 링크 관통공 143 : 볼트 관통공
144 : 볼트 145 : 제 2 가동자 링크
145a : 제 2 가동자 링크 1 145b : 제 2 가동자 링크 2
146 : 볼트 가이드 150 : 상부 자석
151 : 제 1 자성체 151a : 자석 설치홈
152 : 제 1 비자성체 152a : 제 1 가동자 링크 관통공
160 : 하부 자석 1 160a : 제 1 하부 자석
160b : 제 2 하부 자석 160c : 제 3 하부 자석
160d : 제 4 하부 자석 160' : 하부 자석 2
160a' : 제 5 하부 자석 160b' : 제 6 하부 자석
160c' : 제 7 하부 자석 160d' : 제 8 하부 자석
170 : 제 2 비자성체 171 : 제 3 비자성체
180 : 제 2 자성체

Claims (9)

  1. 제 1 가동자(120)가 설치되는 제 1 하우징(110a)과, 코일부(130)가 설치되는 제 2 하우징(110b)과, 상기 제 2 하우징(110b)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3 하우징(110c)과, 상기 제 1 하우징(110a)과 제 2 하우징(110b)을 구획하는 제 4 하우징(110d)을 형성한 디바이스 하우징(110);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가동자(120)의 몸체 하부에 제 1 가동자 링크(121a)로 연결된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와, 상기 제 1 가동자(120)의 몸체로 일정 두께 돌출되어 상부 자석(150)과 자기장을 통해 밀착되는 제 1 밀착부(120a)와,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로부터 일정 두께 돌출되어 상기 상부 자석(150)과 자기장을 통해 밀착하는 제 2 밀착부(121b)와, 상기 제 1 가동자 하부 몸체(12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가동자(140)와 연결되도록 볼트(144)와 체결되는 체결홈(122)을 형성한 제 1 가동자(120);
    상기 제 2 하우징(110b)에 병렬로 배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반발력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코일부(130);
    일측이 상기 코일부(130)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가동자(120)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120)를 동작시키는 제 2 가동자(140);
    상기 제 1 하우징(110a)에 설치되어 제 1 가동자(120)와 밀착하며,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상부 자석(150); 및
    상기 제 2 하우징(110b)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부(130)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하부 자석(160, 160')을 포함하는 전자기력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력 디바이스는 제 2 하우징(110b)의 하부에 제 4 보조 하우징(110d')을 통해 구획되어 설치되는 제 1 보조 하우징(110a');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제 1 보조 가동자(120');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에 설치되어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밀착하여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보조 자석(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동자(140)는 양측 말단이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연결되고, 중앙이 상기 코일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상하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디바이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자석(150)은 상부 자석(150)의 몸체 양측에 설치되어 자기장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자성체(151); 및
    제 1 가동자 링크(120a)가 관통하는 제 1 가동자 링크 관통공(152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자석(150)과 제 1 자성체(15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이 제 1 하우징(110a)에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1 비자성체(152)를 포함하는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디바이스.
  6. 제 1 가동자(120")가 설치되고 측벽에 제 1 하우징 관통공(112")을 형성한 제 1 하우징(110a")과, 코일부(130)가 설치되는 제 2 하우징(110b)과, 상기 제 2 하우징(110b)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 3 하우징(110c)과, 상기 제 1 하우징(110a")과 제 2 하우징(110b)을 구획하는 제 4 하우징(110d)을 형성한 디바이스 하우징(110");
    상기 제 2 하우징(110b)의 하부에 제 4 보조 하우징(110d')을 통해 구획되어 설치되는 제 1 보조 하우징(110a'");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제 1 가동자(120");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제 1 보조 가동자(120'");
    상기 제 2 하우징(110b)에 병렬로 배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반발력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코일부(130);
    일측이 상기 코일부(130)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가동자(120")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120")를 동작시키는 제 2 가동자(140);
    상기 제 1 하우징(110a")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동자(120")와 밀착하며, 상기 제 1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상부 자석(150");
    상기 제 1 보조 하우징(110a'")에 설치되어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밀착하며, 상기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보조 자석(150'"); 및
    상기 제 2 하우징(110b)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부(130)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하부 자석(160, 16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110a")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운동로(111a")와 코일부(130)가 직교 방향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동자(140)는 양측 말단이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와 연결되고, 중앙이 상기 코일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자(120")와 제 1 보조 가동자(120'")가 상하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디바이스.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110b)은 제 1 하우징(110a, 110a")과 하부 자석(160, 16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2 비자성체(170); 및
    상기 하부 자석(160, 160')과 제 3 하우징(110c) 사이에 설치되는 제 3 비자성체(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디바이스.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110b)은 하부 자석(160, 160')의 사이에 설치된 제 2 자성체(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20130154361A 2013-12-12 2013-12-12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1534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361A KR101534798B1 (ko) 2013-12-12 2013-12-12 전자기력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361A KR101534798B1 (ko) 2013-12-12 2013-12-12 전자기력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582A KR20150068582A (ko) 2015-06-22
KR101534798B1 true KR101534798B1 (ko) 2015-07-08

Family

ID=5351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361A KR101534798B1 (ko) 2013-12-12 2013-12-12 전자기력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7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923B1 (ko) * 2005-12-10 2007-01-12 (주)에마텍 홀딩력이 극대화된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KR101112086B1 (ko) * 2008-10-29 2012-02-22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전자기력을 이용한 작동기
KR101313263B1 (ko) * 2011-12-21 2013-09-30 이희준 선로 테스트가 가능한 전자기력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923B1 (ko) * 2005-12-10 2007-01-12 (주)에마텍 홀딩력이 극대화된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KR101112086B1 (ko) * 2008-10-29 2012-02-22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전자기력을 이용한 작동기
KR101313263B1 (ko) * 2011-12-21 2013-09-30 이희준 선로 테스트가 가능한 전자기력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582A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75052B (zh) 触点装置以及使用了该触点装置的电磁接触器
EP3018686B1 (en) Framework of relay and relay
US8410878B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switch using contact device
KR100899432B1 (ko) 절전형 전자 접촉기
KR101846224B1 (ko) 전자 개폐기
KR102397524B1 (ko) 전기 스위치용 접속 장치 및 전기 스위치
KR100668923B1 (ko) 홀딩력이 극대화된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KR20160000078U (ko) 릴레이
KR20230147194A (ko) 릴레이
KR100718927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조작기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KR101284133B1 (ko) 선로 테스트가 가능한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1541226B1 (ko)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1534798B1 (ko)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2290582B1 (ko) 개폐기
KR101547029B1 (ko)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1547028B1 (ko) 전자기력 디바이스
CN204537895U (zh) 开闭装置
JP2005078971A (ja) 電磁反発駆動電力用開閉装置
CN220526777U (zh) 一种隔弧结构、接触单元和继电器
KR20200022072A (ko) 전자기력 디바이스
KR20200022073A (ko) 전자기력 디바이스
KR101313263B1 (ko) 선로 테스트가 가능한 전자기력 디바이스
JP6300681B2 (ja) 開閉装置
CN220341134U (zh) 一种继电器接触单元和继电器
EP3185270B1 (en)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