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작동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1-A1"선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A2-A2"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는 육면체 형상의 철심(110), 철심(110)의 내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 한쌍의 제 1 내지 제 3 영구자석(120,130,140), 제 1 영구자석(120)과 제 2 영구자석(130)을 구획하는 제 1 비자성부재(150), 제 3 영구자석(140)을 감싸서 보호하는 제 2 비자성부재(160), 철심(110)의 내부에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및 제 2 영구자석(120,130)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함과 동시에 제 3 영구자석(140)에 의하여 하사점 및 상사점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동자(170), 가동자(170)에 연결되어 차단기 등과 같은 피동체를 동작시키는 연결바(180)를 가진다.
철심(110)의 내부에는 길이, 폭 및 깊이를 가지는 제 1 운동로(112)와 제 2 운동로(116)가 길이방향으로 구획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제 1 운동로(112)의 길이방향과 제 2 운동로(116)의 길이방향은 제 1 구획벽(110a)에 의하여 구획된다.
이하, 철심(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철심(110)의 수직방향을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수직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그리고, 철심(110)의 수직방향인 상하방향을 "제 1 및 제 2 운동로(112,116)의 길이방향", 철심(110)의 수평방향인 좌우방향을 "제 1 및 제 2 운동로(112,116)의 폭방향", 철심(110)의 전후방향을 "제 1 및 제 2 운동로(112,116)의 깊이방향"이라 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운동로(112,116)의 전면 및 타면은 개방된다.
철심(110)은 상대적으로 하측 및 상측에 위치되어 상호 결합된 제 1 철심(111)과 제 2 철심(115)을 가지고, 제 1 및 제 2 철심(111,115)에 제 1 및 제 2 운동로(112,116)가 각각 형성된다. 철심(110)이 분리형일 경우에는, 하측에 위치된 제 1 철심(111)의 상면이 제 1 구획벽(110a)을 형성한다. 철심(110)은 원통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 1 운동로(112)의 길이방향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선과 제 2 운동로(116)의 길이방향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선은 직선이어도 무방하고, 비직선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 1 운동로(112)와 제 2 운동로(116)는 독립적으로 형성되므로, 제 2 운동로(116)의 폭은 제 1 운동로(112)의 폭에 제한을 받지 않고 조절할 수 있다. 즉, 제 2 운동로(116)의 폭을 제 1 운동로(112)의 폭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한쌍의 제 1 영구자석(120)은 제 1 운동로(112)의 길이방향 하측을 향하는 제 1 운동로(112)의 폭방향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대향한다. 이때, 한쌍의 제 1 영구자석(120) 중, 어느 하나인 좌측의 제 1 영구자석(120a)과 다른 하나인 우측의 제 1 영구자석(120b)의 대향면은 반대의 극성으로 배치된다.
한쌍의 제 2 영구자석(130)은 제 1 운동로(112)의 길이방향 상측을 향하는 운동로(112)의 폭방향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대향한다. 이때, 한쌍의 제 2 영구자석(130) 중, 어느 하나인 좌측의 제 2 영구자석(130a)과 다른 하나인 우측의 제 2 영구자석(130b)의 대향면은 반대의 극성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한쌍의 제 1 영구자석(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력선의 방향과 한쌍의 제 2 영구자석(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력선의 방향은 반대방향을 이루면서, 폐루프를 이룬다.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은 제 2 운동로(116)의 폭방향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대향한다. 이때,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 중, 어느 하나인 좌측의 제 3 영구자석(140a)과 다른 하나인 우측의 제 3 영구자석(140b)의 대향면은 동일한 극성으로 배치된다.
한쌍의 제 1 영구자석(120)의 간격과 한쌍의 제 2 영구자석(130)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다. 그리고, 제 1 운동로(112)와 제 2 운동로(116)가 독립적이므로, 한쌍의 제 1 영구자석(120) 사이의 간격 및 한쌍의 제 2 영구자석(130) 사이의 간격 에 제한을 받지 않고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한쌍의 제 1 영구자석(120) 사이의 간격 및 한쌍의 제 2 영구자석(130) 사이의 간격 보다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 사이의 간격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제 1 비자성부재(150)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운동로(112)의 폭방향 좌측면 및 우측면에 대응되게 각각 설치된다. 제 1 비자성부재(150)의 내부에는 상호 구획된 2개의 공간이 각각 형성되는데, 좌측의 제 1 비자성부재(150a)의 공간과 우측의 제 1 비자성부재(150b)의 공간은 상호 대향한다. 이때, 좌측의 제 1 비자성부재(150a)의 하측 및 상측 공간에는 좌측의 제 1 영구자석(120a) 및 좌측의 제 2 영구자석(130a)이 각각 삽입 설치되고, 우측의 제 1 비자성부재(150b)의 하측 및 상측 공간에는 우측의 제 1 영구자석(120b) 및 우측의 제 2 영구자석(130b)이 각각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좌측의 제 1 영구자석(120a)과 좌측의 제 2 영구자석(130a)은 좌측의 제 1 비자성부재(150a)에 의하여 구획되어 자기력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음과 동시에 자기력이 외측으로 누설되는 않는다. 또한, 우측의 제 1 영구자석(120b)과 우측의 제 2 영구자석(130b)은 우측의 제 1 비자성부재(150b)에 의하여 구획되어 자기력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음과 동시에 자기력이 외측으로 누설되는 않는다.
제 2 운동로(116)의 길이방향 하측 및 상측을 향하는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의 하면 및 상면은 제 2 철심(115)과 비접촉되어 공극을 가진다. 상기 공극은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를 자기적으로 각각 분리하여, 자기장이 상호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비자성부재(160)는 제 2 운동로(116)의 폭방향 좌측면 및 우측면에 대응되게 각각 설치된다. 이때, 좌측의 제 2 비자성부재(160a)는 제 2 운동로(116)의 깊이 방향을 향하는 좌측의 제 3 영구자석(140a)의 전면 및 후면을 감싸고, 우측의 제 2 비자성부재(160b)는 제 2 운동로(116)의 깊이 방향을 향하는 우측의 제 3 영구자석(140b)의 전면 및 후면을 감싼다.
제 2 비자성부재(160)도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 영구자석(140)의 테두리면을 모두 감쌀 수 있다. 그러면, 제 3 영구자석(140)의 하면과 제 2 철심(115) 사이의 공극 및 제 3 영구자석(140)의 상면과 제 2 철심(115) 사이의 공극이 제 2 비자성부재(160)에 의하여 메워진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 3 영구자석(140)의 자기력이 외측으로 누설되는 않는다.
가동자(170)는 보빈(171), 코일(173) 및 주자성부재(175)를 가진다.
보빈(171)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 1 운동로(112)에 설치되며, 제 1 운동로(112)를 따라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보빈(171)의 하부측 외주면은 한쌍의 제 1 영구자석(120) 사이에 위치되고 상부측 외주면은 한쌍의 제 2 영구자석(130) 사이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코일(173)은 보빈(171)의 외주면에 권선되며 전류가 공급되면 한쌍의 제 1 영구자석(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력 및 한쌍의 제 2 영구자석(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력과 작용하여 제 1 운동로(112)를 따라 직선왕복운동한다. 코일(173)에 의하여 보빈(171)이 운동함은 당연하다.
코일(173)은 보빈(171)에 권선되어 있으므로, 보빈(171)의 하부측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173)의 권선방향과 보빈(171)의 상부측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173)의 권선방향이 반대방향임은 당연하다.
즉, 보빈(171)의 하부측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173)의 권선방향이 제 1 운동로(112)의 깊이방향 전면에서 후면측을 향하면, 보빈(171)의 상부측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173)의 권선방향은 제 1 운동로(112)의 깊이방향 후면에서 전면측을 향한다. 그리고, 보빈(171)의 후면측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173)의 권선방향은 제 1 운동로(112)의 길이방향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고, 보빈(171)의 전면측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173)의 권선방향은 제 1 운동로(112)의 길이방향 상측에서 하측을 향한다.
주자성부재(175)는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 사이에 배치되어 제 2 운동로(116)를 따라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주자성부재(175)는 연결바(180)를 매개로 코일(173)과 연결되어, 코일(173)과 일체로 운동한다. 연결바(180)는 제 1 및 제 2 철심(111,115)의 상면을 관통하며, 제 2 철심(115)의 상면을 통과한 연결바(180)의 상단부에는 상기 피동체가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피동체가 동작한다.
주자성부재(175)는 코일(173)이 제 1 운동로(112)의 하사점 및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력과 작용하여 가동자(170)가 제 1 및 제 2 운동로(112,116)의 하사점 및 상사점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제 1 운동로(112)의 폭방향을 향하는 주자성부재(175)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과 접촉하며, 코일(173)이 제 1 운동로(112)의 하사점 및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주자성부재(175)는 제 2 운동로(116)의 하사점 및 상사점으로 이동하여 하면 및 상면이 제 2 운동로(116)의 하면 및 상면과 접촉한다.
가동자(170)의 보빈(171) 및 코일(173)이 제 1운동로(112)의 길이방향 하면 및 상면에 부딪혀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운동로(112)의 길이방향 하면 및 상면에는 탄성부재(191)가 설치된다. 탄성부재(191)는 보빈(171) 또는 코일(173)과 접촉되어 완충되므로, 자성 또는 비자성 물질이어도 무방하다.
철심(110)의 제 1 및 제 2 운동로(112,116)의 폭방향 좌측면 및 우측면에 함몰된 안치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홈에 제 1 및 제 2 비자성부재(150,160)를 삽입 안치할 수 도 있다. 이는 제 1 및 제 2 비자성부재(150,160)를 철심(110)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제 1,2 영구자석(120,130) 및 제 3 영구자석(140)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작동기의 동작을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170)의 코일(173) 및 주자성부재(175)가 제 1 운동로(112)의 하사점 및 제 2 운동로(116)의 하사점이 위치된 상태를 정상적인 상태라 가정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코일(173)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주자성부재(175)의 하면은 제 2 운동로(116)의 하면인 제 1 구획벽(110a)과 접촉하고, 좌우측면은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과 접촉하여 제 2 운동로(116)의 하사점에 위치된다.
그러면, 상호 동일한 극성끼리 대향하는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의 배치상, 주자성부재(175)의 하부 좌측단부측 및 우측단부측에 좌측의 제 3 영구자석(140a)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및 우측의 제 3 영구자석(140a)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즉, 좌측의 제 3 영구자석(140a)→주자성부재(175)→철심(110)의 제 1 구획벽(110a)을 통과하는 자기장 및 우측의 제 3 영구석(140b)→주자성부재(175)→철심(110)의 제 1 구획벽(110a)을 통과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주자성부재(175)가 제 2 운동로(116)의 하사점에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코일(173)도 제 1 운동로(112)의 하사점에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코일(173)에 정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면, 코일(173)에서 발생하는 전기력과 한쌍의 제 1 및 제 2 영구자석(120,130)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73)이 상승한다. 그러면, 코일(173) 및 주자성부재(175)가 제 1 및 제 2 운동로(112,116)의 상사점으로 각각 이동하게 되고, 이로인해 연결바(180)에 의하여 상기 피동체가 상승한다.
가동자(170)의 코일(173) 및 주자성부재(175)가 제 1 운동로(112)의 상사점 및 제 2 운동로(116)의 상사점에 도달하면, 코일(173)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된다.
그러면, 좌측의 제 3 영구자석(140a)→주자성부재(175)→제 2 철심(115)의 상면을 통과하는 자기장 및 우측의 제 3 영구자석(140b)→주자성부재(175)→ 제 2 철심(115)의 상면을 통과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주자성부재(175)가 제 2 운동 로(116)의 상사점에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코일(173)도 제 1 운동로(112)의 상사점에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가동자(170)가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동자(170)를 하사점측으로 이동시키려면, 코일(173)에 역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면, 도 5a의 상태와 같이 가동자(170)가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가동자(170)가 직선왕복운동하고, 직선왕복운동하는 가동자(170)가 하사점 및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는 제 1 운동로(112)와 제 2 운동로(116)가 구획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되므로,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 사이의 간격을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한 없이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제 3 영구자석(140) 사이에 설치되는 가동자(170)의 주자성부재(175)의 좌우 폭을 넓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주자성부재(175)와 철심(110)의 좌우 폭방향 면적이 넓어진다. 그러므로, 가동자(170)를 제 1 및 제 2 운동로(112,116)의 상사점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력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9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운동로(216)의 길이방향 상측을 향하는 한쌍의 제 3 영구자석(240)의 상면과 철심(210) 사이의 공극에는 접촉레일(210b)이 형성된다.
접촉레일(210b)은 철심(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한쌍의 제 3 영구자석(240)의 상면과 선접촉한다. 접촉레일(210b)과 한쌍의 제 3 영구자석(240)은 선접촉하므로, 한쌍의 제 3 영구자석(240)에서 발생되는 자속은 접촉레일(210b)을 통하여 거의 누설되지 않는다.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운동로(316)의 길이방향 하측을 향하는 한쌍의 제 3 영구자석(340)의 하면과 철심(310) 사이의 공극에는 보조코일(393)이 개재된다. 가동자(370)가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보조코일(393)로 전류를 공급하면, 보조코일(393)의 전기력에 의하여 주자성부재(375)를 하사점측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제 3 영구자석(340)의 자기력이 차단된다. 따라서, 가동자(370)를 용이하게 상사점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동자(370)가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할 경우에도 동일하다.
제 4 실시예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470)의 보빈(471)의 중앙부측에는 보조자성부재(477)가 결합된다.
보조자성부재(477)는 코일(471)과 일체로 운동하며, 한쌍의 제 1 영구자석(420) 및 한쌍의 제 2 영구자석(430)과 각각 작용하여 제 1 운동로(412)의 상사점 및 하사점으로 이동된 코일(471)이 제 1 운동로(412)의 상사점 및 하사점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더욱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470)가 제 1 운동로(412)의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코일(473)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가동자(470)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 1 운동로(412)의 길이방향에 대한 보조자성부재(477)의 중앙부위(O1-O1)가 제 1 운동로(412)의 길이방향에 대한 한쌍의 제 1 영구자석(420)의 중앙부위(O2-O2) 보다 제 1 운동로(412)의 길이방향 상측에 위치된다.
즉, 보조자성부재(477)의 중앙부위(O1-O1)는 제 1 영구자석(420)의 중앙부위(O2-O2) 보다 한쌍의 제 2 영구자석(43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운동로(412)의 길이방향 상측을 향하는 보조자성부재(477)의 상단면(上端面)은 제 1 영구자석(420)과 제 2 영구자석(430) 사이에 개재된 제 1 비자성부재(450)의 부위에 위치된다.
그러면, 제 1 영구자석(42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과 제 2 영구자석(43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 중, 제 1 영구자석(42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만이 보조자성부재(477)에 작용한다. 그런데, 보조자성부재(477)의 중앙부위(O1-O1)가 제 1 영구자석(420)의 중앙부위(O2-O2) 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보조자성부재(477)의 중앙부위(O1-O1)는 자기력이 가장 강한 제 1 영구자석(420)의 중앙부위(O2-O2)측으로 이동 되려고 한다. 이로인해, 가동자(470)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더욱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470)가 상사점에 도달하며, 제 1 운동로(412)의 길이방향에 대한 제 1 보조자성부재(477)의 중앙부위(O1-O1)가 제 1 운동로(412)의 길이방향에 대한 한쌍의 제 2 영구자석(430)의 중앙부위(O3-O3) 보다 제 1 운동로(412)의 길이방향 하측에 위치된다.
즉, 제 1 보조자성부재(477)의 중앙부위(O1-O1)는 제 2 영구자석(430)의 중앙부위(O3-O3) 보다 한쌍의 제 1 영구자석(42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운동로(412)의 길이방향 하측을 향하는 제 1 보조자성부재(477)의 하단면(下上端面)은 제 1 영구자석(420)과 제 2 영구자석(430) 사이에 개재된 제 1 비자성부재(450)의 부위에 위치된다.
그러면, 제 1 영구자석(42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과 제 2 영구자석(43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 중, 제 2 영구자석(43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만이 제 1 보조자성부재(477)에 작용한다. 그런데, 제 1 보조자성부재(477)의 중앙부위(O1-O1)가 제 2 영구자석(430)의 중앙부위(O3-O3) 보다 하측에 위치하므로, 제 1 보조자성부재(477)의 중앙부위(O1-O1)는 자기력이 가장 강한 제 2 영구자석(430)의 중앙부위(O3-O3)측으로 이동되려고 한다. 이로인해, 가동자(470)가 더욱 안정되게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제 5 실시예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570)의 보조자성부재(577)는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 하측 및 상측을 향하는 보빈(571)의 하면측 및 상면측에 각각 결합된 제 1 및 제 2 보조자성부재(577a,577b)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570)가 제 1 및 제 2 운동로(512,516)의 하사점인 최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 1 보조자성부재(577a)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좌측 및 우측의 제 1 영구자석(520a,520b)과 각각 접촉하고, 제 1 보조자성부재(577a)의 하면은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 하면과 접촉한다.
그리고,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에 대한 제 2 보조자성부재(577b) 중앙부위(O5-O5)는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에 대한 제 2 영구자석(530)의 중앙부위(O3-O3)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즉, 제 5 운동로(512)의 길이방향에 대한 제 2 보조자성부재(577b) 중앙부위(O5-O5)는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에 대한 제 2 영구자석(530)의 중앙부위(O3-O3) 보다 제 1 영구자석(520)으로부터 더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러면, 우측의 제 1 영구자석(520b) → 제 1 보조자성부재(577a)→ 좌측의 제 1 영구자석(520a)을 통과하는 자기력에 의하여 가동자(570)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제 2 보조자성부재(577b)의 중앙부위(O5-O5)가 제 2 영구자석(530)의 중앙부위(O3-O3)측으로 이동되려는 힘에 의하여 가동자(570)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가동자(570)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 2 보조자성부재(577b)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좌측 및 우측의 제 2 영구자석(530a,530b)과 각각 접촉하고, 제 2 보조자성부재(577b)의 상면은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 상면과 접촉한다.
그리고,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에 대한 제 1 보조자성부재(577a) 중앙부위(O4-O4)는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에 대한 제 1 영구자석(520)의 중앙부위(O2-O2)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즉,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에 대한 제 1 보조자성부재(577a) 중앙부위(O4-O4)는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에 대한 제 1 영구자석(520)의 중앙부위(O2-O2) 보다 제 2 영구자석(530)으로부터 더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러면, 좌측의 제 2 영구자석(530a) → 제 2 보조자성부재(577b)→ 우측의 제 2 영구자석(530b)을 통과하는 자기력에 의하여 가동자(570)가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제 1 보조자성부재(577a)의 중앙부위(O4-O4)가 제 1 영구자석(520)의 중앙부위(O2-O2)측으로 이동되려는 힘에 의하여 가동자(570)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 하면 및 상면으로 자기력선이 통과하여야 제 1 및 제 2 보조자성부재(577a,577b)가 제 1 운동로(512)의 길이방향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부착되므로, 제 1 운동로(512)의 하면 및 상면과 각각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보조자성부재(577a,577b)가 접촉하는 탄성부재(591)는 자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670)의 보조자성부재(677)는 보빈(671)의 중앙부측에 삽입 결합된 제 1 보조자성부재(677a), 제 1 운동로(612)의 길이방향 하측 및 상측을 향하는 보빈(671)의 하면측 및 상면측에 각각 결합된 제 2 및 제 3 보조자성부재(677b,677c)를 가진다.
가동자(670)의 제 1 보조자성부재(677a)의 작용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보조자성부재(477)(도 8a 및 도 8b 참조)의 작용과 동일하고, 가동자(670)의 제 2 및 제 3 보조자성부재(677b,677c)의 작용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보조자성부재(477a,477b)(도 9a 및 도 9b 참조)의 작용과 동일하다.
제 7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철심(710)에는 상기 피동체가 결합되는 "┏┓" 형상의 연결링크(780)가 설치된다.
연결링크(780)에는 제 2 운동로(716)의 깊이방향 전면측 및 후면측으로 통하 여 철심(710)의 전후면측으로 주자성부재(775)가 체결부재(795) 등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링크(780)에는 제 2 운동로(716)의 깊이방향 전면측 및 후면측으로 돌출된 보빈(771) 및 코일(773)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781)이 형성된다.
제 8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철심(811)과 제 2 철심(815)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여 결합하되, 제 1 철심(811)과 제 2 철심(815) 사이에 비자성판(895)을 개재하여 구획할 수 도 있다.
제 8 실시예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를 병렬로 복수개 설치한 것을 보인 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심(910)의 내부에는 제 1 및 제 2 운동로(912,916)가 복수개 설치된다. 이때, 직선을 이루는 제 1 운동로(912)와 제 2 운동로(916)는 제 2 구획벽(910c)에 의하여 구획되어 평행을 이룬다.
각 제 1 운동로(912)에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영구자석(920,930)이 각각 설치되고, 각 제 2 운동로(916)에는 한쌍의 제 3 영구자석(940)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각 제 1 운동로(912)에 가동자(970)의 보빈(971)과 코일(973)이 각각 설치되고, 각 제 2 운동로(916)에는 가동자(970)의 주자성부재(975)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제 1 영구자석(92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방향은 철심(910)의 좌측면측에서 우측면측 까지 직진하고, 제 2 영구자석(93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방향은 철심(210)의 우측면에서 좌측면까지 직진한다. 그리고, 제 1 영구자석(920)들 및 제 2 영구자석들(9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력선은 폐루프를 이룬다.
제 2 구획벽(910c)과 접촉하는 제 3 영구자석(940)은 제 2 구획벽(910c)을 향하는 면의 극성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극성끼리 대향되게 배치될 수 도 있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의 극성끼리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내지 8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도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작동기와 같이 병렬로 복수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