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900A -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900A
KR20200021900A KR1020190101887A KR20190101887A KR20200021900A KR 20200021900 A KR20200021900 A KR 20200021900A KR 1020190101887 A KR1020190101887 A KR 1020190101887A KR 20190101887 A KR20190101887 A KR 20190101887A KR 20200021900 A KR20200021900 A KR 20200021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transaction
agricultural
platform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809B1 (ko
Inventor
이일구
윤선우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2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플랫폼 서버가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분산 거래 원장 서버로 등록시키고,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와 대응되는 블록의 키 값을 수신하여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식별 아이디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에스크로 서버에 등록시켜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의 배송 및 대금 회수를 중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에스크로 서버로부터 제1 거래의 배송 완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거래의 거래 정보를 상기 분산 거래 원장 서버에서 조회하고 상기 제1 거래의 거래 정보의 상태를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제1 거래의 거래 정보를 상기 농축산물 매매 등록 서버로 등록시키고 제1 거래의 거래 정보에 대한 평점 정보를 공급자, 수요자,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BLOCKCHAIN BASED DECENTRALIZED LEDGER FOR HIGHLY RELIABL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TRADING APP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2008년도에 발표된 비트코인 논문으로 분산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술로서 기존 시스템 대비 무결성, 기밀성, 가용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을 다양한 산업 분야의 스마트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농축산물 유통 및 수급 방식은 정부 주도의 중앙 집중 관리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여러가지 구조적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P2P(Peer to Peer, 개인간) 직거래가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농축산물의 생산 및 제조의 리스크 헷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플랫폼 서버를 통한 거래 정보를 분산 거래 원장 서버의 분산 시스템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거래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여 거래 정보의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은 플랫폼 서버가 공급자 단말로부터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분산 거래 원장 서버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와 대응되는 블록의 키 값을 수신하여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식별 아이디로 저장하고, 상기 분산 거래 원장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식별 아이디를 기초로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은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에스크로 서버에 등록시켜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의 배송 및 대금 회수를 중개하도록 등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에스크로 서버로부터 제1 거래의 배송 완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거래의 거래 정보를 상기 분산 거래 원장 서버에서 조회하고 상기 제1 거래의 거래 정보의 상태를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은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제1 거래의 거래 정보를 상기 농축산물 매매 등록 서버로 등록시키고 제1 거래의 거래 정보에 대한 평점 정보를 공급자, 수요자,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은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공급자에 의해 이루어진 복수의 거래 정보들에 대한 평점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공급자의 평판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은 상기 플랫폼 서버가 공급자 단말로부터 공공 데이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에 데이터를 등록 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서버가 데이터 등록 행위에 응답하여 공급자의 평판도에 기초한 상기 데이터 등록 행위와 대응되는 보상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공급자의 계정으로 보상 비율에 따른 보상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P2P(Peer to Peer, 개인간) 직거래가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농축산물의 생산 및 제조의 리스크 헷징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를 통한 거래 정보를 분산 거래 원장 서버의 분산 시스템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거래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여 거래 정보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데이터와 에스크로를 활용한 플랫폼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플랫폼 서버의 저장 매체의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축산물 직거래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로서, 공공 데이터의 등록, 추천, 평가에 따라서 지급되는 보상금 또는 패널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플랫폼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리스크 헷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에 설치된 분산 앱(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의 구현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의 중앙집중방식이 아닌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와 P2P(Peer to Peer, 개인간) 오픈 마켓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해 고신뢰 계약재배와 계약 비축을 이뤄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소비와 생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P2P(Peer to Peer, 개인간) 직거래가 활성화되고 판매처와 소비처가 분산 및 다양화되어 변동성이 큰 농축산물 유통과 관리의 리스크 헷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트루팜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블록체인 고유의 투명성을 보장하여 농축산물의 정가ㆍ수의매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농축산물의 생산부터 최종 소비자까지 유통 과정의 위변조 여부를 정량적으로 검증하고 유통 이력을 추적하여 효율적인 유통망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동체 발전을 위한 기여도를 산정해 암호화폐로 보상하고, 거짓된 데이터 공유나 평가에 대해서는 플랫폼에 참여를 제한하는 패널티를 부과하여 선 순환적인 오픈 마켓 생태계를 조성하고 활성화함으로써 생산자와 소비자가 자유롭게 참여하는 오픈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데이터와 에스크로를 활용한 플랫폼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플랫폼 서버의 구성은,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의 데이터베이스 내 공공데이터, 플랫폼 서버 자체 블록체인을 통한 고신뢰, 고효율의 서비스, 그리고 농축산물 에스크로를 통한 실제 거래과정에서의 리스크 헷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기존의 공공데이터와 신규 공공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기존의 공공데이터는 농축산물 유통 이력 공공데이터, 농축산물 산지정보와 도소매 가격, 농업 기상정보, 기타 공공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농축산물 유통 이력 공공데이터는 농축산물 재배 현황, 서비스 정보,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농축산물 유통 이력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농축산물의 유통이력이 투명하게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분산 거래 원장 서버는 농축산물 유통 이력 공공데이터, 농축산물 산지정보와 도소매 가격, 농업 기상정보, 기타 공공데이터 등을 저장 관리하여 생산자, 판매자, 소비자 사이의 농축산물의 유통 과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신뢰성이 확보된 데이터를 통해 합리적이고 계획적인 생산ㆍ관리ㆍ소비가 가능할 수 있다. 농축산물 산지정보와 도소매 가격 데이터는 생산 과정과 결과물의 품질에 대한 정보 및 품질에 대한 공정한 평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는 공정하게 평가되어 등록된 데이터를 통해 농축산물들 사이의 품질과 가격을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신뢰성이 높아지며, 공평하고 합리적인 가격 분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생산자 및 소비자 사이의 복잡한 유통 구조를 단순화하여 합리적인 가격의 직거래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농업 기상 정보는 적정 구매 시기, 농장 수확량 예측에 활용될 수 있다. 외부의 공공 기관(예를 들어, 기상청,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농촌경제연구원 등)으로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외부의 공공 기관들이 자연재해 빈도와 시기 등의 과거 기상 데이터를 분석해 매매 시기별 매매 가능한 농축산물 양과 가격을 측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예측한 매매량과 실제 매매량 사이의 차이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 생산자에게 일정한 기준으로 정해진 보상금을 지급함으로써, 생산자의 손해를 헷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산을 판매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우산과 관련하여 입력된 보상금 지급 조건인 '가뭄'이 검출된 경우, 소정의 보상금을 사용자에게 지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산자에게 발생되는 즉 생산 행위 이후에 생산된 물품의 판매시 발생되는 사정 변경으로 인한 피해가 줄어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는 대다수의 농축산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상금 지급 조건인 '자연재해'가 발생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자연재해'로 인해 판매 수익의 감소가 예상되는 사용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생산자에게 농축산물을 생산하고 판매하여 판매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판매 수익의 일정 부분을 수수료로 플랫폼 서버로 지급할 수 있다. 한편, 소비자는 구매 수량, 구매 시점, 구매 가격으로 농축산물을 구매하는 디지털 계약서를 작성함으로써, 구매 행위를 체결할 수 있고, 생산자와 마찬가지로 보상금 지급 조건인 '자연재해'가 검출되어, 디지털 계약서의 계약이 이행되지 않음에 따른 소정의 보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그 외 기타 공공데이터에는 쇠고기 이력정보, 축산농장 통계, 가축사육통계, 직거래사업장, 전국식재료산지정보, 과실출하약정 상세 현황, 계약재배 현황, 시도별 농작물 보험료 통계, 농업 관측 통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신규 공공데이터는 에스크로 기관 정보, 스마트 컨트랙트용 계약 기준 데이터, 센서 데이터, 재배한 농축산물 정보, 농장 및 농장주 정보를 포함한다. 에스크로 기관 정보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믿고 농축산물을 거래할 수 있는 실물 위탁 기관에 대한 정보이다. 스마트 컨트랙트용 계약 기준 데이터는 스마트 컨트랙트 계약 조건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이다. 센서데이터는 농축산물 생산 및 유통 이력을 검출하고 감지하는 각종 센서 데이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시스템은 플랫폼 서버(100),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 블록 체인을 이용한 분산 원장 거래 시스템(300), 공급자 단말(401), 수요자 단말(402), 에스크로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말하며, 공급자로부터 수신한 매매 정보를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변환하여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등록 시키고, 등록된 거래 정보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자의 구매 의사 신호가 수신되면 거래 정보와 대응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분산 원장 거래 시스템(300)에 트랜잭션들의 집합인 블록 데이터를 추가하고 블록 데이터와 대응되는 송장 데이터를 에스크로 서버(500)에 등록시켜 에스크로 서버(500)를 통해 송장 데이터의 처리를 중개할 수 있다.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는 농축산물 재배 현황, 서비스 정보, 이력 정보를 공급자 또는 수요자로부터 수신 받아 등록할 수 있다.
분산 원장 거래 시스템(300)은 복수의 노드들인 분산 거래 원장 서버들(310, 320, 330, 340)을 통해 농축산물의 거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분산 원장 거래 시스템(300)은 중앙 노드의 조정 없이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들이 서로에게 자원(처리 능력, 저장 공간,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분산 원장 거래 시스템(300)은 거래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이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분산 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을 의미할 수 있다.
공급자는 공급자 단말(401)을 통해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401)은 농축산물 산지정보와 도소매 가격, 농업 기상정보, 기타 공공데이터를 플랫폼 서버(100)를 통해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는 등록된 공공 데이터에 대한 평점 정보를 등록하고 데이터의 공급자의 평판도를 산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수요자는 수요자 단말(402)를 통해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수요자 단말(402)는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검색하여, 원하는 농축산물의 구매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수요자 단말(402)는 농축산물의 구매 이후에 에스크로 서버(500)를 통해 매매 대금의 입금, 농축산물의 배송 정보, 계약 이행 여부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에스크로 서버(500)는 플랫폼 서버(100)를 통해 계약된 거래 정보에 대한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에스크로 서버(500)는 계약 이행 여부 확인과 계약 이행 보고를 진행하여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하게 농축산물을 배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랫폼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서버(100)는 저장 매체(110), 프로세서(120), 출력부(130), 입력부(140),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플랫폼 서버(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플랫폼 서버(100)의 저장 매체(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플랫폼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플랫폼 서버(100)의 저장 매체(110)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 매체(110)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플랫폼 서버(10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출력부(130)는 플랫폼 서버(100)가 저장 매체(110)에 의해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30)는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저장된 그래픽 데이터, 시각 데이터, 청각 데이터, 진동 데이터를 저장 매체(110)의 제어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출력부(130)는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입력부(140)는 플랫폼 서버(100)에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서버, 다른 사용자 단말기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 또는 유선 이더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프로세서(12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 매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플랫폼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플랫폼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플랫폼 서버(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플랫폼 서버(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플랫폼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플랫폼 서버의 저장 매체(110)의 블록도이다.
데이터 등록부(111)는 수신한 농축산물 산지 정보, 도소매 가격 정보, 유통 이력 정보, 농업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로 전달하여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등록부(111)는 농축산물 산지 정보, 도소매 가격 정보, 유통 이력 정보, 농업 기상 정보에 대한 평점 정보를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로부터 수집하거나 평점 정보를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등록부(111)는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공급자로부터의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등록부(111)는 매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매매 수량 및 매매 가격, 매매 품목을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로 요청하여 매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매매 수량, 매매 가격, 및/또는 매매 품목의 타당성을 각각 평가할 수 있다.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는 해당 매매 등록 요청의 공급자의 위치에 따른 산지를 결정하고, 해당 산지의 매매 품목의 매매 가격을 수량 별로 검색할 수 있다. 이렇게 검색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타당성이 평가될 수 있다. 평가된 타당성이 참(TRUE)이 아닌 정보(매매 수량, 매매 가격, 및/또는 매매 품목 등)를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에서 획득한 정보로 자동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매매 등록 요청에 대해서 공급자 단말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보상금 결정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데이터들에 대한 평점 정보들 및 사용자에 의해 처리된 거래 정보에 대한 평점 정보들 및 평점 정보의 지속력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보상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보상 비율에 매매 금액을 곱하여 보상금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평점 정보들에 가중치 값을 부여하여 보상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각 평점 정보의 가중치 값은 각 평점 정보의 지속력, 각 평점 정보의 파급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평점 정보의 지속력은 입력되는 평점 정보들의 등락 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기간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평점 정보, 제2 평점 정보, 제3 평점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제1 평점 정보와 제2 평점 정보가 동일하고 제1 평점 정보와 제3 평점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1 평점 정보의 지속력은 제1 평점 정보가 입력된 시점부터 제3 평점 정보가 입력된 시점 사이의 시간과 비례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만약, 마지막으로 입력된 평점 정보가 제1 평점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는, 제1 평점 정보가 입력된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과 비례하는 지속력이 설정될 수 있다.
평점 정보의 파급력은 동일한 평점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평점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수가 L인 경우, L과 비례하는 파급력이 제1 평점 정보에 반영될 수 있다. 더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평점 정보는 더 높은 파급력을 가질 수 있다.
거래 원장 등록부(113)는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과 대응하는 거래 정보를 분산 거래 원장 서버의 블록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거래 원장 등록부(113)는 분산 거래 원장 서버의 블록 데이터에 추가함에 따라 생성된 블록 키 값을 수신할 수 있다. 거래 원장 등록부(113)는 블록 키 값을 포함하는 디지털 인증서를 각 거래 정보와 대응하여 생성할 수 있다.
중개 등록부(114)는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에스크로 서버에 등록 시켜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배송 및 대금 회수를 중개할 수 있다.
중개 등록부(114)는 수요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구매 요청에 포함된 구매 수량, 구매 물품, 구매 시점을 포함하는 농축산물 중개 데이터를 생성하여 에스크로 서버(500)로 전송한다. 플랫폼 서버(100)로부터의 중개 데이터에 응답하여 에스크로 서버(500)는 구매 시점 이후의 배송 완료 목표 시점을 설정하고, 구매 물품의 공급자에 의해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배송 프로세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에스크로 서버(500)는 배송 완료 목표 시점에 이전하여 농축산물 중개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송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배송 프로세스 정보를 '완료'처리하고 농축산물 중개 데이터를 완료 목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배송 완료 정보는 수요자 단말, 배송 업체 서버, 공급자 단말 모두로부터 수신된 배송 완료 정보들을 기초로 생성할 수 있다.
거래 완료 처리부(115)는 에스크로 서버로부터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거래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거래 완료 처리부(115)는 거래 정보의 디지털 인증서를 이용하여 거래 정보가 저장된 블록 데이터에 접근하여, 거래 정보에 대한 거래 완료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거래 완료 정보가 추가된 거래 정보의 블록 데이터는 쓰기(write) 권한이 삭제되어 추가적인 쓰기가 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리스크 관리부(116)는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가격 급락 신호, 매매 취소 신호,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보상금 지급 신호가 수신되면 보상금 지급 신호 및 공급자의 평판도를 기초로 보상액을 산출할 수 있다.
리스크 관리부(116)는 매매 품목의 가격 급락 신호, 매매 취소 신호,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가격 급락 신호는 공급자들의 매매 가격의 평균값 및 실제 거래 가격들의 평균값이 기 설정된 임계 가격폭을 초과하는 경우, 공급자들의 매매 가격들이 이전에 등록된 매매 가격 보다 기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하락 한 경우에 리스크 관리부(116)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매매 취소 신호는 수요자들에 의해 구매 의사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이 수신된 이후에, 에스크로 서버에 의해 배송이 완료된 신호가 발생되고 매매를 취소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발생될 수 있다.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는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를 통해 획득된 산지 정보, 기상 정보, 농축산물 재배 현황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는 제1 작물의 기상 조건에 맞는 기상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작물의 품질은 보통 수준으로 기록되고 제2 작물의 기상 조건에 맞지 않는 기상 정보가 입력되고, 제2 작물의 산지 정보가 '나쁨'으로 수신되는 경우, 제2 작물의 품질 하락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제2 작물의 산지 정보는 공급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며,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리스크 관리부(116)는 산출된 보상금을 제2 공급자의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리스크 관리부(116)는 실제 거래되어 수익이 발생되는 경우 외에 가격 급락 신호, 매매 취소 신호,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 등이 수신되어 실제 거래되지 않은 경우에도 기 설정된 비율의 보상금을 제2 공급자의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비율의 보상금은 제2 공급자의 평판도를 기초로 결정되나, 가격 급락 신호 및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가 없었다면 발생되는 기대 수익도 고려할 수 있다. 매매 취소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제2 공급자의 계정으로 기 설정된 보상금이 지급되면서 기 설정된 페널티도 지급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S11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1 공급자 단말로부터 제1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12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제1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과 대응하는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3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분산 거래 원장 서버로 등록할 수 있다.
S14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분산 거래 원장 서버로부터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블록 키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분산 거래 원장 서버는 분산 거래 원장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서버(노드)들과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공유하고, 공유된 결과 블록 키 값을 생성하게 된다.
S15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에스크로 서버에 등록 시켜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배송 및 대금 회수를 중개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수요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구매 요청에 포함된 구매 수량, 구매 물품, 구매 시점을 포함하는 농축산물 중개 데이터를 생성하여 에스크로 서버(500)로 전송한다. 플랫폼 서버(100)로부터의 중개 데이터에 응답하여 에스크로 서버(500)는 구매 시점 이후의 배송 완료 목표 시점을 설정하고, 구매 물품의 공급자에 의해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배송 프로세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에스크로 서버(500)는 배송 완료 목표 시점에 이전하여 농축산물 중개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송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배송 프로세스 정보를 '완료'처리하고 농축산물 중개 데이터를 완료 목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배송 완료 정보는 수요자 단말, 배송 업체 서버, 공급자 단말 모두로부터 수신된 배송 완료 정보들을 기초로 생성할 수 있다.
S16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에스크로 서버로부터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제1 거래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17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거래 완료 여부에 응답하여 제1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제1 거래 완료 정보를 추가하여 분산 거래 원장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거래 완료 정보를 추가한 블록 데이터의 쓰기 권한을 제거하여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수정을 불가능하게 처리할 수 있다.
S21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1 사용자로부터 농축산물 산지 정보, 도소매 가격 정보, 유통 이력 정보, 농업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농축산물 산지 정보를 각 산지의 공급자 단말로 요청하여 수신 받을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제1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1 농축산물 산지 정보 및 제2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2 농축산물 산지 정보를 비교하여 제1 농축산물 산지 정보 및/또는 제2 농축산물 산지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하고 신뢰성이 있는 제1 농축산물 산지 정보 및/또는 제2 농축산물 산지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신뢰성이 없는 제1 농축산물 산지 정보 및/또는 제2 농축산물 산지 정보는 다른 사용자를 통한 신뢰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신뢰 단계를 수행할 사용자는 제1 공급자 단말의 위치 및 제2 공급자 단말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신뢰 단계를 수행할 사용자는 제1 공급자 및/또는 제2 공급자와 거래한 수요자일 수 있다.
도소매 가격 정보는 플랫폼 서버에 등록되고 완료된 거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유통 이력 정보는 에스크로 서버 및 플랫폼 서버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로그에 따라 배송 완료 정보를 포함한 거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유통 이력 정보는 에스크로 서버를 통해 획득된 배송 완료 정보가 등록된 거래 정보들을 지역별, 품목별로 분류하여 생성할 수 있다.
농업 기상 정보는 농축산물의 경작지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 및/또는 기상청, 포털 등으로부터 크롤링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할 수 있다.
S22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수신한 농축산물 산지 정보, 도소매 가격 정보, 유통 이력 정보, 농업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S23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농축산물 산지 정보, 도소매 가격 정보, 유통 이력 정보, 농업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평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공공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등록된 평점 정보들을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S24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2 사용자로부터 농축산물 산지 정보에 대한 제1 평점을 수신할 수 있다.
S25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3 사용자로부터 농축산물 산지 정보에 대한 제2 평점을 수신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제1 평점과 제2 평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 평점 및 제2 평점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1 평점 및 제2 평점에 각각 제1 가중치를 두어 제1 사용자의 평판도를 산출할 수 있다(S270). 이때, 일치하는 평점들을 등록한 사용자들의 수를 기초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n명으로부터 동일한 제m 평점이 등록된 경우, n개의 제m 평점의 평판도는 가중치 값, n, m 값의 곱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가중치 값은 일치하는 평점을 입력한 사용자들의 수 n과 대응되어 LUT 테이블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제1 평점 및 제2 평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평점 및 제2 평점에 각각 제1 가중치 보다 낮은 제2 가중치를 두어 제1 사용자의 평판도를 산출할 수 있다(S275).
다른 실시예에서, 플랫폼 서버(100)는 평판도의 지속력을 기초로 제1 사용자의 평판도를 재 산출할 수 있다.
S31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2 공급자 단말로부터 제2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32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제2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과 대응하는 제2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매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매매 수량 및 매매 가격, 매매 품목을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로 요청하여 매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매매 수량, 매매 가격, 및/또는 매매 품목의 타당성을 각각 평가할 수 있다.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는 해당 매매 등록 요청의 공급자의 위치에 따른 산지를 결정하고, 해당 산지의 매매 품목의 매매 가격을 수량 별로 검색할 수 있다. 이렇게 검색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타당성이 평가될 수 있다. 평가된 타당성이 참이 아닌 정보(매매 수량, 매매 가격, 및/또는 매매 품목 등)를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에서 획득한 정보로 자동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매매 등록 요청에 대해서 공급자 단말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S33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2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분산 거래 원장 서버로 등록할 수 있다.
S34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분산 거래 원장 서버로부터 제2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블록 키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분산 거래 원장 서버는 분산 거래 원장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서버(노드)들과 제2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공유하고, 공유된 결과 블록 키 값을 생성하게 된다.
S35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2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가격 급락 신호, 매매 취소 신호,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보상금 지급 신호가 수신되면 보상금 지급 신호 및 공급자의 평판도를 기초로 보상액을 산출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매매 품목의 가격 급락 신호, 매매 취소 신호,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가격 급락 신호는 공급자들의 매매 가격의 평균값 및 실제 거래 가격들의 평균값이 기 설정된 임계 가격폭을 초과하는 경우, 공급자들의 매매 가격들이 이전에 등록된 매매 가격 보다 기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하락 한 경우에 플랫폼 서버(10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매매 취소 신호는 수요자들에 의해 구매 의사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이 수신된 이후에, 에스크로 서버에 의해 배송이 완료된 신호가 발생되고 매매를 취소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발생될 수 있다.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는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를 통해 획득된 산지 정보, 기상 정보, 농축산물 재배 현황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는 제1 작물의 기상 조건에 맞는 기상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작물의 품질은 보통 수준으로 기록되고 제2 작물의 기상 조건에 맞지 않는 기상 정보가 입력되고, 제2 작물의 산지 정보가 '나쁨'으로 수신되는 경우, 제2 작물의 품질 하락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제2 작물의 산지 정보는 공급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며,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200)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S36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산출된 보상금을 제2 공급자의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실제 거래되어 수익이 발생되는 경우 외에 가격 급락 신호, 매매 취소 신호,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 등이 수신되어 실제 거래되지 않은 경우에도 기 설정된 비율의 보상금을 제2 공급자의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비율의 보상금은 제2 공급자의 평판도를 기초로 결정되나, 가격 급락 신호 및 기후 변화에 따른 품질 하락 신호가 없었다면 발생되는 기대 수익도 고려할 수 있다. 매매 취소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제2 공급자의 계정으로 기 설정된 보상금이 지급되면서 기 설정된 페널티도 지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축산물 직거래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는 생산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농축산물 매매 등록 데이터를 분산 거래 원장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매매 등록 데이터에 판매가격, 판매량, 시기 등의 거래 조건을 포함한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거래 정보에 대한 구매 계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는 구매 계약 신호에 응답하여,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실물 거래를 에스크로 서버에 의해 중개 시키고,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상태 정보의 완료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농축산물 거래 정보가 완료된 경우, 플랫폼 서버는 소비자로부터의 구매 대금을 수신하여 생산자에게 구매 대금의 일정 비율의 판매 대금을 지급할 수 있다. 이때, 판매 대금은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발생된 암호 화폐일 수 있다.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거래 정보와 관련하여 기 설정된 이력 등록 기간 동안 소비자 단말로부터 거래 만족도 평가에 대한 평점 정보를 획득하고, 평점 정보와 대응되는 보상금을 생산자의 계정으로 보낼 수 있다. 이때, 플랫폼 서버에 의해 지급되는 보상금은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한 암호화폐 일 수 있으며, 복수의 소비자들에 의해 획득된 평점 정보들 사이의 일치 여부를 기초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산출한 생산자의 평판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로서, 공공 데이터의 등록, 추천, 평가에 따라서 지급되는 보상금 또는 패널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플랫폼 서버의 동작 방법은, 농축산물의 생산자 및 소비자에게 농축산물 공공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공공 데이터의 등록, 추천, 평가에 대한 보상금 또는 패널티를 각 공공 데이터의 등록자인 사용자의 계정에 부여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는 농축산물 공공데이터의 등록 행위에 대해서는 보상금을 지급하되 공공 데이터의 품질, 지속력 및 평점에 따라서 차등적인 보상금을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지속력은 해당 공공 데이터가 사용되고 활용되어지는 기간과 비례하여 산출되는 능력으로, 해당 공공 데이터가 검색되고 해당 공공 데이터가 확인되고 해당 공공 데이터의 평점이 입력되는 기간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농축산물에 대한 품질, 생산자의 생산 행위, 소비자의 구매 행위 등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점 정보들이 수집될 수 있다. 사용자의 평판도가 높을수록 플랫폼 서버의 활동 지수인 보팅 파워가 증가될 수 있고, 보팅 파워와 대응되는 보상금이 해당 사용자의 계정으로 지급될 수 있다. 반면, 스스로 악의적인 평점을 부여하거나 다른 사용자로부터 평가 점수가 부여된 경우, 보상금은 감소하고 일정 기간 이후에는 플랫폼 서버의 서비스들을 제한적으로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플랫폼 서버는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와 연계하여 공공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는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로 쿼리를 보내 공공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는 분산 거래 원장 서버를 통해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등록하고,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해서 검증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는 에스크로 서버를 통해 거래의 이행 여부 확인과 거래의 이행 보고를 진행할 수 있다(S101, S102, S103). 여기서, 에스크로(Escrow) 서버는 블록체인에 프로그래밍 된 조건이 만족하면 미리 맡긴 실물을 거래 당사자에게 전달하는 신뢰할 수 있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말한다. 하나 이상의 에스크로 서버가 있을 수 있으며, 각 에스크로 서버의 중개 수수료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리스크 헷징 동작(S1101, S1102, S1103, S1104, S1105)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는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농축산물의 생산자와 관련된 리스크를 헷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는 예측하기 어려운 위험(자연재해 등)에 대한 리스크 헷징을 위한 보험 계약을 생산자 및/또는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는 위험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생산자의 판매 대금의 일정 부분을 거래 수수료 수익으로 획득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보상금 지급 조건인 '자연재해'가 검출되는 경우(S1103), 플랫폼 서버는 생산자에게는 제1 일정 금액 이상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소비자에게는 제2 일정 금액 이상의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다(S1105). 플랫폼 서버는 보상금 지급 조건(예를 들어 자연 재해로 인한 손실 발생 등)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플랫폼 서버는 생산자에게 농축산물 판매량에 비례한 소정의 수수료를 스마트 컨트랙트(리워드, 암호화폐, 특정 국가의 금전 등)로 지불할 수 있으며(S1104), 소비자에게는 농축산물 매입량에 비례한 소정의 수수료를 스마트 컨트랙트(리워드, 암호화폐, 특정 국가의 금전 등)로 지불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에 설치된 분산 앱(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의 구현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플랫폼 서버에 설치된 앱은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 형식의 음성인식 분산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전자계약(스마트 컨트랙트)를 체결하기 위한 분산 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의 분산 앱의 구현에 대해서는, 종래의 인터넷 프로그래밍 언어인 HTML, CSS, JavaScript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특화된 솔리디티(Solidity)를 이용해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는 기존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해 블록체인인 분산 거래 원장 서버와 연결되고, HTTPS와 같은 보안 프로토콜을 이용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는 기존의 서버-클라이언트 중심의 통신 방식이 아닌 SWARM이나 WHISPER를 이용한 P2P 통신을 통해 다른 분산 앱과의 연결을 지원하고 전체 오픈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플랫폼 서버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와 빅데이터 분석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생산자가 생산자에 대한 정보 및 생산 과정 정보를 업로드 하고 판매할 상품을 분산 앱에 등록하면 소비자는 분산 앱을 이용해 직접적으로 생산자의 상품을 구매하고 상품 및 생산자의 생산 행위에 대해서 평가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는 이에 빅데이터 분석과 통계 기술을 적용해 더 빠르고 투명한 유통망을 구축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는 예상 수확량, 적정한 구매 시기, 적정 시간 등의 정보들을 판매자 및 소비자에게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분산 앱은 서버 없이 P2P로 앱간 통신 방법을 이용해 분산 장부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농축산물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 기업, 개인은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소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고 생산자와 소비자는 불필요한 거액의 중개상인 수수료 없이 거래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플랫폼 서버가 공급자 단말로부터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농축산물 매매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분산 거래 원장 서버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와 대응되는 블록의 키 값을 수신하여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의 식별 아이디로 저장하고, 상기 분산 거래 원장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식별 아이디를 기초로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농축산물 거래 정보를 에스크로 서버에 등록시켜 농축산물 거래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의 배송 및 대금 회수를 중개하도록 등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에스크로 서버로부터 제1 거래의 배송 완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거래의 거래 정보를 상기 분산 거래 원장 서버에서 조회하고 상기 제1 거래의 거래 정보의 상태를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제1 거래의 거래 정보를 상기 농축산물 매매 등록 서버로 등록시키고 제1 거래의 거래 정보에 대한 평점 정보를 공급자, 수요자,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공급자에 의해 이루어진 복수의 거래 정보들에 대한 평점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공급자의 평판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가 공급자 단말로부터 공공 데이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공공 데이터 등록 서버에 데이터를 등록 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서버가 데이터 등록 행위에 응답하여 공급자의 평판도에 기초한 상기 데이터 등록 행위와 대응되는 보상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공급자의 계정으로 보상 비율에 따른 보상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6.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01887A 2018-08-21 2019-08-20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2360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7565 2018-08-21
KR1020180097565 2018-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900A true KR20200021900A (ko) 2020-03-02
KR102360809B1 KR102360809B1 (ko) 2022-02-10

Family

ID=6980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887A KR102360809B1 (ko) 2018-08-21 2019-08-20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8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399B1 (ko) * 2020-07-07 2021-01-27 박재용 개인 ip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35163A (ko) * 2020-05-04 2021-11-12 김동민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41642A (ko) 2021-04-13 2022-10-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913A (ko) * 2003-01-13 2003-02-12 강영복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농산물 선물 직거래 방법
KR20070080884A (ko) * 2006-02-09 2007-08-14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전자상거래에서의 매매 수행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80068888A (ko) * 2016-12-14 2018-06-22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게임 아이템 구매 방법 및 장치
KR101871468B1 (ko) * 2017-08-02 2018-06-26 조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913A (ko) * 2003-01-13 2003-02-12 강영복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농산물 선물 직거래 방법
KR20070080884A (ko) * 2006-02-09 2007-08-14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전자상거래에서의 매매 수행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80068888A (ko) * 2016-12-14 2018-06-22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게임 아이템 구매 방법 및 장치
KR101871468B1 (ko) * 2017-08-02 2018-06-26 조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163A (ko) * 2020-05-04 2021-11-12 김동민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08399B1 (ko) * 2020-07-07 2021-01-27 박재용 개인 ip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44415B2 (en) 2020-07-07 2022-02-08 EZ-Trust Co., Ltd. Personal IP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KR20220141642A (ko) 2021-04-13 2022-10-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시스템
KR20240045191A (ko) 2021-04-13 2024-04-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809B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ganthan et al. A decentralized marketplace application on the ethereum blockchain
JP6224283B1 (ja) 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によるエスクロー決済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751377B2 (ja) 収益配分システム、収益配分方法、および、収益配分プログラム
KR10236080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
JP4815540B1 (ja) 金融商品取引管理装置、プログラム
US202101742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future purchases of goods
KR102273256B1 (ko) 미래가치증명 기반의 가치안정화 암호화폐의 발행과 유통 그리고 가치실현 기여도에 따른 보상지급기능을 갖춘 블록체인 시스템
US20240070236A1 (en) Asset-class backed tokenization platform
JP2018085100A (ja) コンピュータベースの仮想ファンド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アクセスの向上
EP41490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 network congestion-adaptive digital asset event handling
KR20210010109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투자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US2014010821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ading
CA3110785C (en) Network transac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2203171B1 (ko) 투자자문가 추천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30059100A (ko) 디지털 자산용 등기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동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TWI807142B (zh) 交易風險控管系統與交易風險控管方法
KR102218800B1 (ko) 광고 트래픽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4318451A (zh) 一种网上交易跟踪方法
KR102541047B1 (ko) 위탁매매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실행되는 nft에 대한 비일시적 저장매체 및 제어 방법
KR20190132098A (ko) 거래 시스템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시스템
US202300782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of computer applications based on similarity
US20230360485A1 (en) Location-aware digital betting platform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KR102597858B1 (ko) 수목 거래를 위한 증권형 토큰 발행 및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4002068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ple gating verifications based on a blockchain wallet
US12002082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providing trait-focused recommendations of computer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