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163A -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5163A KR20210135163A KR1020210097783A KR20210097783A KR20210135163A KR 20210135163 A KR20210135163 A KR 20210135163A KR 1020210097783 A KR1020210097783 A KR 1020210097783A KR 20210097783 A KR20210097783 A KR 20210097783A KR 20210135163 A KR20210135163 A KR 202101351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ll
- farmhouse
- consignment
- breeding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8000003975 animal bree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4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307 slaught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55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5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594 poultry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2979 Influenza in Bird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45665 Taraxac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187 Taraxacum officinale ssp.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64097 avian influenz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92 Student's t-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224 prot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53 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8113 Gallirallus austr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46 bilat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3 craw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0 cross-valid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1 environment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77 logistic reg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010 microb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7 random forest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70 unpaired t-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55 vo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동물을 사육할 부지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사진 데이터를 포함한 동물사육부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위탁사육 서비스에서 위탁농가로 등록받는 경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물의 종류, 마릿수 및 위탁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 동물사육을 위탁하기 위하여 동물의 종류, 마릿수 및 위탁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로부터 동물사육 부지 데이터와 수탁자의 수탁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탁농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의 동물사육 부지 데이터를 제공하고 어느 하나의 소규모 농가를 선택받는 선택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고, 어느 하나의 소규모 농가의 선택 및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를 선택된 소규모 농가의 소규모 농가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규모 농가와 고객 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한국에서 닭을 키우는 농가는 크게 두 부류다. 업계에서는 자신이 병아리와 사료, 의약품 등 닭 사육에 필요한 물품들을 사서 닭을 키운 후 시장에 자유롭게 출하하는 농가를 일반농가로 분류되는 반면, 대형 기업에서 수수료를 받고 병아리를 닭으로 키워주는 농가는 위탁계약 농가라고 한다. 현재 일반농가는 전체의 5% 남짓이며 나머지는 모두 위탁농가인데, 위탁계약의 이론적인 장점은 시장 시세에 관계없이 수입이 안정적인 형태로 보장된다는 것이다. 대형 기업이 지불하는 사육비대로 닭을 키워서 제 날짜에 납품만 하면 수수료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농가는 별다른 고민을 할 필요가 없고, 이런 구조 때문에 사실상 국내 육계 생산 물량은 몇 개의 대형 계열업체들이 결정하게 된다. 최근 산지 닭 값이 폭락한 이유는 시장 점유율을 높이려는 대형 계열업체간 힘겨루기 탓으로 지목되고 있는데, 국내 시장이 소화할 수 있는 적정량을 무시하고 계열사들이 물량 밀어내기를 한 탓이다. 닭 값이 폭락하더라도 대형 계열업체들은 손해를 보지 않고 이는 그대로 위탁농가로 전이되는 하도급 위험이전의 전형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다.
이때, 위탁농가와 대기업을 연결하는 것 뿐만 아니라, 위탁농가와 개인을 연결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0229호(2009년01월07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8-0085929호(2008년09월25일 공개)에는, 개인, 소규모 목장주 및 관리자 간을 연결함으로써 가축을 위탁하여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축의 소유주와 위탁기간 및 위탁수수료를 정한 후 소유주의 가축을 위탁받아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관리인은 위탁받은 가축의 정보를 가축정보서버에 저장하고 사육기간동안의 관리현황 및 제반비용의 정보를 저장하고, 소유주가 가축의 관리상태를 파악한 후 위탁사육의 지속여부를 결정하고, 위탁사육의 파기시 가축의 위탁사육에 따른 제반비용을 관리인에게 지불하고, 관리인은 최초 및 파기 당시의 가축상태를 비교하여 위탁수수료를 결정한 후 위탁수수료를 지불받고, 소유주에게 가축의 매매 또는 도축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며, 그 결과 남은 수익금 중 비용을 관리인에게 정산하는 방식으로 지불하는 구성과, 위탁관리되는 가축의 사육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출산되는 종자를 통해 발생되는 수익을 약관에 따라 고객에게 지급하거나, 가축으로부터 나온 축산물을 판매하는 쇼핑몰을 운영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조류인플루엔자를 통하여 살처분되는 가금류가 한 해에만 2400만마리, 사람의 인구수로 따지면 한국인구의 절반의 가까운 숫자에 해당하고 있어서 얼마나 사육할 것인가의 문제가 어떻게 사육할 것인지의 문제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다. 이에, 친환경적 사육이나 동물복지적 사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A4만한 케이지에 평생을 갇혀 지내는 닭의 복지와 이와 함께 증진되는 항체 및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즉, 대량생산을 위한 공장형 사육방식보다는 개방 및 방사형 계사에서 질병발생률이 현저히 낮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한국은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농가를 운영하고 있으나 그 가격이 현저히 높아 가격경쟁력에서 뒤쳐지고 있다. 또, 소규모로 닭을 방사하여 키우는 농가의 경우 친환경 동물복지농가임에도 불구하고, 위탁농가로 편입되지 않고 있어서 일정 마릿수를 채우지 않으면 도축이 불가한 현실로 인하여 다른 농가에 팔거나 하는 등으로 처분하기 때문에 친환경으로 자란 닭과 공장식 케이지에서 자란 닭이 동일한 조건으로 납품 및 판매되고 있어 소규모 농가에게 이득이 전혀 되지 않는 구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소규모 농가와 개인을 연결할 수 있는 플랫폼을 통하여 가금류 위탁업계의 대기업 시장독점 및 불공정거래를 막고, 소규모 농가와 개인 모두 윈윈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친환경 동물복지를 위한 개방 및 방사형 계사를 운영하는 소규모 농가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소비자는 크라우드 펀딩 형식으로 투자만을 하거나 또는 위탁사육을 의뢰하는 신탁계약의 수익자로 지정함으로써 불공정거래 및 독과점거래를 일삼는 대기업에서 제공하는 투자금 대체할 수 있는 자금원천을 마련하며, 생산자에게는 이익이 돌아가지 않지만 위험부담과 손해는 소상공인이 지게 되는 전형적인 하도급 구조의 대기업 위탁사육을 견제할 수 있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이익을 가져갈 수 있는 형태의 플랫폼을 마련함으로써 도시에서 가금류를 직접 기를 수 없는 환경의 소비자와, 방목할 땅은 있지만 유통 판로를 개척하지 못하는 소규모 농가 모두에게 자신의 니즈를 채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동물권(Animal Right Act)을 헌법에 추가하는 추세에 발 맞추어 조류인플루엔자를 방지 및 동물복지까지 높일 수 있는,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물을 사육할 부지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사진 데이터를 포함한 동물사육부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위탁사육 서비스에서 위탁농가로 등록받는 경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물의 종류, 마릿수 및 위탁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 동물사육을 위탁하기 위하여 동물의 종류, 마릿수 및 위탁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를 전송하고, 복수의 소규모 농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단말(100); 및 촬영된 농가의 이미지, 동영상, GPS 좌표 및 주소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 위탁가능한 동물의 종류 및 동물의 마릿수를 포함하는 소규모 농가 입증 자료를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부터 입력받아 소규모로 동물을 키울 수 있는 환경인지의 여부를 심사하여 등록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 결정된 소규모 농가의 소규모 농가 단말로 등록이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위탁사육을 의뢰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하는 종류 및 마릿수의 동물을 위탁사육가능한 복수의 소규모 농가들을 리스트업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리스트업된 복수의 소규모 농가들 중 임의의 소규모 농가를 선택 및 결제하는 경우에 선택된 소규모 농가의 소규모 농가 단말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하여 위탁사육을 시작하도록 하는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대기업과 위탁계약을 맺지 않으나 방목하여 동물을 기르면서 자체적인 마릿수로는 도축이 불가능한 숫자의 동물을 소규모로 기르는 농가의 단말이고,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이용하여 동물이 자라나는 환경 정보를 상기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이며, 상기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특정 품종의 동물을 반려동물로 키우기를 요청받는 경우에 도축금지 조건을 만족하는 입찰자가 낙찰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소규모 농가 내의 사용자 지정 구역에서의 특식 요청 및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구역에 특식이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지정 구역에 특식이 제공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게 공유하고, 상기 복수의 IoT 장치를 이용하여 소규모 농가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측정치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IoT 장치 주변의 환기팬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친환경 동물복지를 위한 개방 및 방사형 계사를 운영하는 소규모 농가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소비자는 크라우드 펀딩 형식으로 투자만을 하거나 또는 위탁사육을 의뢰하는 신탁계약의 수익자로 지정함으로써 불공정거래 및 독과점거래를 일삼는 대기업에서 제공하는 투자금 대체할 수 있는 자금원천을 마련하며, 생산자에게는 이익이 돌아가지 않지만 위험부담과 손해는 소상공인이 지게 되는 전형적인 하도급 구조의 대기업 위탁사육을 견제할 수 있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이익을 가져갈 수 있는 형태의 플랫폼을 마련함으로써 도시에서 가금류를 직접 기를 수 없는 환경의 소비자와, 방목할 땅은 있지만 유통 판로를 개척하지 못하는 소규모 농가 모두에게 자신의 니즈를 채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동물권(Animal Right Act)을 헌법에 추가하는 추세에 발 맞추어 조류인플루엔자를 방지 및 동물복지까지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사업자의 시장지배적지위의 남용과 과도한 경제력의 집중을 방지하고, 부당한 공동행위 및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하여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창의적인 기업활동을 조장하고 소비자를 보호함과 아울러 국민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위탁사육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3자를 위한 계약(Third-party Beneficiary)에서 수익자일 수 있다. 여기서, 제3자를 위한 계약은 계약당사자가 아닌 제3자로 하여금 직접 계약당사자의 일방에 대하여 채권을 취득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계약이며, 제3자에 대하여 채무를 부담하게되는 계약당사자를 낙약자, 그의 상대방을 요약자, 제3자를 수익자라고 한다. 이때, 제3자를 위한 계약 중 하나의 형태가 신탁인데, 이에 따라, 낙약자(위탁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제공자이고, 요약자(수탁자)는 소규모 농가 단말(400)의 농가 또는 농가 운영주, 그리고 수익자는 사용자이다. 종래에는 대기업-위탁농가 간의 관계만을 다루거나, 위탁농가-소비자 간의 관계만을 다루었기 때문에, 자본-위탁농가-소비 간의 구조를 이루지 못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자구조를 삼자구조로 변경하여 자본투입과 함께 소비자에게 판매까지 직결되는 구조를 위하여 제3자를 위한 계약 중 어느 하나의 한 형태인 신탁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두 가지의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첫 번째는 투자만 하는 사용자와, 두 번째는 토지(사육하는 공간)와 인력의 임대차 형식으로 실제로 동물을 키우려는 사용자이다. 첫 번째와 같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은 크라우드 펀딩 형식으로 소규모 농장을 함께 공유하게 된다. 즉, 투자를 함으로써 경영권을 분배받거나 토지를 임대할 수 있는 임대인의 지위를 공유로 얻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즉 두 번째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은, 위탁사육을 원하는 동물의 종류와 마릿수 등을 지정하여 월 위탁료를 결제하는 사용자이다. 후자의 경우에는 원하는 동물의 종류, 마릿수, 원하는 소규모 농가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전자의 경우에도 원하는 마찬가지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자신이 지정한 농가의 지정한 구역의 촬영화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동물들이 자라는 환경이나 어떻게 자라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 원하는 사료를 급식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부가 비용을 결제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이 위탁사육하는 동물을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경매 플랫폼에 올려놓을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하여 낙찰받은 사람에게 위탁사육 동물을 판매할 수도 있고, 반대로 입찰에 참여하여 낙찰을 받을 수도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부터 농가 등록 신청을 받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소규모 농가 단말(400)에서 촬영한 농가 이미지나 사진 또는 동영상과, GPS 좌표나 주소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 위탁가능한 동물의 종류, 마릿수 등을 입력받고 동물을 키울 수 있는 환경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선정된 소규모 농가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 등록이 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전송하고, 소규모 농가의 사진과 위탁가능 동물의 종류와 마릿수 등을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업로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위탁사육을 의뢰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하는 종류 및 마릿수의 동물을 위탁사육가능한 소규모 농가를 리스트업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소규모 농가를 선택 및 결제하는 경우, 선택된 소규모 농가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하여 위탁사육을 시작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소규모 농장주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소규모는, 적어도 하나의 법령 또는 법규에서 지정한 규모에 따라 규제를 받지 않는 숫자일 수 있다. 대량으로 사육하는 공장식 농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려하는 농가가 아니다. 그 이유는, 대량으로 사육하는 농가는 방목하여 기르는 경우가 적고, 대부분 대기업의 위탁농가로 공장식 사육을 하며 일정한 수입을 보장받는 농가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타겟으로 하는 위탁농가는, 대기업과 위탁계약을 맺지 않으나, 자체적인 마릿수로는 도축이 불가능한 숫자의 동물을 소규모로 기르는 농가이다. 이러한 농가들은 자체적인 마릿수로는 도축장에서 받아주지 않기 때문에, 도축 및 유통이 불가능하여 유통 단계가 어쩔 수 없이 한 단계 더 늘어나고(다른 농가에 도축 및 유통 위탁), 이에 따라 자체적인 수입이 적거나 최악의 경우 마이너스가 나게 된다. 또, 소규모 농가는 무엇보다 방목하여 기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며 면역력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소규모임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업로드할 수 있고,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를 심사하여 등록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위탁사육이 시작되는 경우,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CCTV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이용하여 동물이 자라나는 환경 정보를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선택부(320), 전송부(330), 계약관리부(340), 펀딩관리부(350), 스트리밍부(360), 라벨관리부(370) 및 경매진행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이전에, 신탁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여기에서 설명된 개념은 이하 도 2를 서술할 때 중복하여 기재하지 않는다.
신탁이란, 위탁자가 수탁자로 하여금 신탁목적의 구속을 받는 신탁재산을 수익자를 위해 보관ㆍ관리ㆍ처분 등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탁운용의 가장 중요한 당사자는 수탁자가 될 것이고, 수탁자의 활동 목표 또는 그 정점에는 수익자가 있게 된다. 수익자는 신탁에서 생기는 경제적 이익의 직접적인 향수주체이면서, 신탁재산과 수탁자에 대한 권리를 갖는 신탁의 당사자이고, 수탁자가 신탁상의 의무를 잘 이행하고 있는지를 감시ㆍ감독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수익자는 수탁자와 더불어 신탁관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당사자이지만, 반드시 신탁 성립 시에 확정될 필요는 없고, 장래에 확정될 수 있으면 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수익권 자체는 신탁행위의 효력발생과 동시에 당연히 발생하므로, 수익자가 특정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래의 수익자를 위해서 이미 발생한 수익권을 보전할 필요가 있다.
신탁법리는 수익자존재의 원칙(Beneficiary Principle)을 중시한다. 이 원칙은 신탁이 유효하게 성립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또는 특정가능한 수익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위탁자는 신탁설정 후에는 보통법상 신탁재산에 대한 어떠한 권리도 갖지 않으므로 위탁자는 수탁자를 이행강제(Enforcement)할 수 없고, 법원도 직권으로 수탁자를 통제(Control)할 수 없으므로 추급가능한 당사자에 의해서만 가능한데, 그 당사자가 수익자라는 것이다. 또한, 신탁설정 후 위탁자는 사후에 수탁자가 자신의 의도대로 100% 충실히 신탁을 실행해 줄 것인가에 대하여 우려한다. 따라서, 위탁자는 신탁기간 중 자기를 대리하여 수탁자가 위탁자의 의도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모니터하는 사람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사람은 신탁기간동안 어떤 문제를 발견하는 경우에 그 해결을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수탁자에게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필요로 할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자산보호신탁(Asset Protection Trust)과 역외신탁(Offshore Trust)에서 프로텍터(Protector)라는 신탁재산의 관리, 감독기관이 등장하게 되었고, 한국 개정법 또한 감시자를 두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예를 들어, 택배서비스이용계약의 당사자는 사업자(事業者)와 송하인(送荷人)이다. 수하인(受荷人)은 택배계약의 당사자는 아니다. 그러나 운송물이 도착한 경우 송하인과 동일한 권리를 취득할 수 있다(상법 제140조, 제141조). 송하인과 수하인이 동일인인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동일인이 아니다. 송하인과 수하인이 동일인이 아닌 경우, 택배계약은 제3자를 위한 계약으로서의 성질을 가지게 된다. 사업자와 송하인 사이에는 운송계약이 존재하고, 송하인과 수하인 사이에 는 매매계약 등의 계약 관계가 존재하나, 운송인과 수하인 사이에는 아무런 계약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위탁자와 수탁자 그리고 수익자가 존재하는 본 발명의 위탁계약도 마찬가지인데, 위탁자는 본 발명의 서버(300), 수탁자는 소규모 농가 단말(400), 수익자는 사용자 단말(100)이다. 사용자는 위탁사육을 수탁자에게 직접 요청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와 수탁자인 소규모 농가 사이에는 아무런 계약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 위탁자인 서버(300)와 수탁자인 소규모 농가 단말(400) 간에는 위탁농가계약이 존재하고, 그 수익은 사용자가 받게 된다. 이때, 개정법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가 위탁자이면서 감시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그 수익은 사용자가, 그리고 위탁의 채무, 즉 하는채무는 위탁농가가 맡게 된다. 여기서, 하는채무는, 물건의 인도 이외의 채무자의 행위를 목적으로 하는 채무이다. 이러한 3자 구조를 기반으로 이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부터 동물사육 부지 데이터와 수탁자의 수탁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탁농가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동물을 사육할 부지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사진 데이터를 포함한 동물사육부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이전에, 동물이 예를 들어 닭이라고 가정하면, 닭이 방목되는 부지의 소유자와 소규모 농가 단말(400)의 사용자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계사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키울 동물의 종류를 닭으로 설정해두었는데 계사가 존재하지 않고 부지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부지만 존재하는 농가로,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부지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본 출원인의 우선권주장출원의 선출원인 출원번호 제2019-0020907호(2019.02.22)에 기재된 미니닭장을 이용하여 설비를 지원할 수도 있으나, 자체적으로 소규모 농장의 농장주가 직접 설비를 하는 것도 가능하며, 미니닭장이라고 칭하였지만 "미니" 사이즈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니"라는 용어를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따라 각기 사이즈가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선택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의 동물사육 부지 데이터를 제공하고 어느 하나의 소규모 농가를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동물사육을 위탁하기 위하여 동물의 종류, 마릿수 및 위탁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자신이 키우던 닭을 위탁하여 맡길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소규모 농가에 닭의 한 종류인 "Silkie"라는 품종의 병아리를 키워달라는 방식으로 소규모 농가에 선택까지 맡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우던 Silkie는 Silkie 품종의 동종동량으로 교환될 수 있는 대체제가 아니다. 즉, Silkie라는 품종은 동일하지만 사용자가 "키우던" Silkie이므로 특정물이고 다른 동종동량의 대체제로 대체될 수 없다. 하지만, 사용자가 Silkie 병아리를 가지고 있지 않고 키우지도 않지만, 위탁농가에서 Silkie 병아리를 키워주었으면 하는 경우에는, 그 선택권자는 위탁농가이다. 다만, 위탁농가에서 특정을 한 이후, 즉 사용자의 병아리로 키우기 시작한 시점부터는 특정물이 되므로 대체될 수 없는 특정물이다. 이 경우 특정시점 이후부터는 다른 Silkie와 대체될 수 없다. 특정 시점이 중요한 이후는 신탁에서 위험부담시점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채무불이행이나 이행불능 또는 불완전이행이 된 경우의 보상 주체 및 시점이 달라지게 되므로 양자는 구분하도록 한다.
전송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고, 어느 하나의 소규모 농가의 선택 및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를 선택된 소규모 농가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규모 농가 단말(400)의 소규모 농가에서는 사용자가 키우던 동물 또는 사용자가 위탁해서 키우기를 원하는 종류의 동물을 선택 및 특정하여 위탁사육을 시작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 즉 종류채권에서는 물건의 특정이 있은 후에 불능이 생기게 되므로 특정 후에 비로소 위험부담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당사자 쌍방의 채무가 모두 이행된 상태에서는 위험부담이 생기지 않으며, 다만 매수인(수익자, 사용자)이 대금을 전부 지급하였더라도 매도인(수탁자, 소규모 농가)의 채무가 남아있는 상태에서는 위험부담이 문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을 미리 정해둔 계약서에 양 당사자의 위험이전이나 손해배상 문제를 정해두고, 이를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에 기재할 수 있다.
계약관리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의 소규모 농가 운영자를 수탁자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수익자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제공자를 위탁자로 하는 제3자를 위한 계약 중 신탁계약에 의거한 계약을 맺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신탁계약의 내용을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로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100)을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내에 분산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이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구성되는 경우라면 모두 익명성을 유지하므로 노드를 지정할 수는 없지만,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구성되는 경우 해당 블록체인에 참여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해당 블록체인 내 어떠한 노드라도 검수 노드가 될 수 있고 내부에서 조회가능한 정보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이루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 간에만 이용할 수 있고, 플랫폼의 폐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거래장부(Transaction)를 블록에 저장한 후 연결한 체인형태의 구조이다. 블록체인은 분산된 공공 거래장부라고 불리며 거래 내역을 연결된 노드에 공유한 후 합의에 의하여 처리가 된다. 따라서, 중앙 서버가 따로 필요 없고 이로 인해 서버구축 및 관리비용이 절감되는데, 블록체인으로 트랜잭션이 참여된 모든 노드에게 공유되고 거래 수정 및 승인 시 각 참여노드에게 승인을 받아야 하며 수시로 검증이이루어지기 때문에 위변조나 해킹이 사실상 어렵다. 또한, 블록체인은 서버기능을 분산화 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중앙집중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능을 서버단위로 분산화 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투명하게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중앙집중식 서비스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트랜잭션에 대한 권한을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가지고 있으며 쓰기 요청과 읽기 요청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으로 핸들링이 가능하나 해당 서버가 해킹당할 경우 막대한 손실이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블록체인의 경우 트랜젝션과 거래에 필요한 정보를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공유하므로, 관리자의 권한에 상관없이 공유된 노드에서는 직접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 수정 시에도 기존 기록이 블록체인에 남아있기 때문에 어떤 부정한 행위도 과거 이력검증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을 이용하여 계약서에 대한 인증이 가능하다. 위의 같이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약간의 데이터 변화에 대하여도 민감하게 처리하여 위변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거래형식을 고려하여 이벤트에 대한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다. 이때,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미리 부여한 조건의 성취에 따라 블록체인에 담긴 자산에 대하여 계약이 자동으로 이행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스로 이행이 되는 자동화된 약정(Automated Self-Enforced Agreements)으로 계약의 성립과 이행이라는 두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하나로 합친 개념이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기술적 개념은 거래기록이 분산되어 저장되고 탈중앙화하여 공유되며, 복제된 원장이 작동 및 보관됨과 동시에 다시 그 원장에 자산의 이전을 지시하는 사건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일종(Event-Driven Program)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법적으로 ① 2 명 이상의 당사자가 있어야 하고, ② 일방 당사자로부터 다른 당사자로의 자산이전과 관련되고, ③ 그 이행(Implementation)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일단 계약이 개시(Initiated)된 이후에는 인간의 개입이 요구되지 않는 계약개념이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보면 계약법적 요소로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알고리즘 계약의 일종인데, 알고리즘 계약에서는 일방 당사자 또는 쌍방 모두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약의 체결 여부 및 조건을 결정하기로 약속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당사자의 신뢰를 중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약의 가장 큰 약점이라 할 수 있는 계약의 불이행 문제가 상대방의 신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된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위 조건부 계약(Conditional Nature)의 일종이다. 따라서 스마트 컨트랙트에서는 조건 성취 여부를 해석, 판단, 평가하는 것이 법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조건의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탁 및 민법의 제3자를 위한 계약에 근거하여 설정하거나, 양 당사자인 사용자와 위탁자(서버) 또는 위탁자(서버)와 수탁자 간의 합의, 즉 의사합치로 설정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①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② 코드 서명, ③ 블록체인 저장, ④ 거래실행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그 결과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Block)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모든 참여자가 거래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거래내역과 계약내용은 추가나 변경 없이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상호 독립적으로 보관된다. 여기서 참여자들은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갑 주소(Wallet address)를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서명을 하게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은 계약의 수행을 네트워크상에서 실행하거나 입증이 쉽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토콜(Protocol)이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추적이 가능하지만, 거래기록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변경할 수 없는 불가역성을 가진다. 이때, 튜링-완전(Turing-completeness), 가치 인지능력(Value-awareness), 블록체인 인지능력(Blockchain-awareness), 상태(State) 개념 등이 포함된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쌍무계약에서 이행불능, 불완전이행, 일부불능, 반대급부의무소멸 등의 상황에 따른 손해배상이나, 조건이 성취된 경우의 이익 배당은 스마트컨트랙트에 의해 이행되도록 한다. 즉, 손해배상 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설명될 크라우드 펀딩에 의한 수익 배분 또한 스마트컨트랙트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펀딩관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투자목적으로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를 전송하는 경우,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으로 투자금을 입금받고, 투자금에 대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수익을 사용자 단말(100)로 지급할 수 있다. 이때, 크라우드 펀딩은 4 가지 모델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후원 모델로 직접적인 수익이나 보상을 바라지 않고 돈을 기부하는 형태이다. 두 번째는 대출 모델로, 대출을 통해서 자금을 지원하며, 일부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투자 모델로, 후원자를 투자자로 대하고 지분이나 주식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마지막은, 보상 모델로 후원자들은 프로젝트의 결과로 보상이나 제품 등을 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 번째와 네 번째, 즉 가장 널리 퍼진 보상 기반의 크라우드 펀딩에 초점을 맞춘다. 세 번째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200만원 정도를 투자하고, 해당 계사에서 나온 수익 중 일부를 현금이나 지분으로 보상받거나, 네 번째의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200만원 정도를 투자하고, 그 결과인 축산물, 예를 들어, 매주 신선한 계란을 공급받거나 매주 신선한 닭을 공급받는 등으로 보상을 받을 수도 있다. 물론, 투자금은 투자기간이 종료된 후 투자자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돌려줄 수 있다.
하지만, 최근 크라우드 펀딩의 급격한 발전과 급부상으로 그와 더불어 사기 및 피해가 급격하게 늘어나는데, 크라우드 펀딩의 제작자들을 위한 법적 제재 사항이 없으며, 투자자나 후원자들을 위한 법적 보호 장치, 금융 중개 기관의 부재로 인해서 사기꾼들이 마음 놓고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이 됐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딩관리부(350)에서 주체적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할 때에는 소규모 농가의 고의적인 사기 시도 여부를 판단해야 이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책임도 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펀딩관리부(350)는, 동물사육의 위탁농가에서 크라우드 펀딩을 시도했지만 사기로 드러난 사건들로부터 크라우드 펀딩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소규모 농가 단말(400)에서 신청하는 크라우드 펀딩 요청에 사기고의성을 판단하도록 한다.
우선, 크라우드 펀딩 데이터는 대부분 5 가지의 섹션으로 나뉘어진다. 1) 캠페인 섹션은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제일 먼저 등록하는 부분으로 프로젝트 아이디어에 대해서 설명하는 부분이다. 비디오나 이미지 그리고 글을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 섹션은 프로젝트 제작자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진행 사항, 업그레이드되는 부분들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다. 3) 코멘트 섹션은 프로젝트 제작자와 후원자들 사이에 서로 소통을 하는 곳으로 질문과 답변을 하는 부분이다. 4) 커뮤니티 섹션은 후원을 한 사람들에 대한 리스트 정보가 있다. 후원한 사람들의 이름, 나라 등을 알 수 있다. 5) 마지막으로 FAQ 섹션은 자주 물어보는 질문과 답을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때, 글의 언어적 분석을 통해 사기 프로젝트 분류를 시도할 때, 캠페인, 업데이트, 코멘트 섹션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크라우드 펀딩 중 사기로 밝혀진 프로젝트는 웹크롤러로 검색하여 모을 수 있다. 여기서, 사기 프로젝트가 아닌데 잘못 포함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이 가능성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업데이트와 코멘트의 내용들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확인해서 사기 프로젝트가 아닌 프로젝트들은 제외를 하는 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웹 크롤러란 조직적, 자동화된 방법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탐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웹 크롤러가 하는 작업을 웹크롤링(WebCrawling) 혹은 스파이더링(Spidering)이라 부르며 봇이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한 형태이다. 웹 크롤러는 크게 일반 웹크롤러와 분산 웹 크롤러가 있다. 웹 크롤러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URL 프론티어(Frontier) 모듈에서 URL을 가져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해당 URL의 웹 페이지를 가져오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패치(Fetch) 모듈에서 임시 저장소에 웹 페이지를 저장하고, 파서(Parser) 모듈에서 텍스트와 링크를 추출을 하고 텍스트는 인덱서(Indexer)에 보내진다. 링크의 경우는 URL 프론티어에 추가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Content Seen, URL Filter, Duplication URL Element 모듈들을 거치면서 판단하게 된다.이때, 웹 문서를 전부를 일반 웹 크롤러로 크롤링 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산 웹 크롤러를 더 사용할 수 있다.
분산 웹 크롤러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하나가 중앙 집중식(Centralized)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P2P(or Fully-Distributed) 방식이다. 중앙 집중식 분산 웹 크롤러는 URL 매니저가 서버와 같은 역을 수행하고, 크롤러가 클라이언트 역을 하는 구조이다. 크롤러에서 문서를 다운로드 받고 아웃링크(OutLink) URL을 추출하여 URL 매니저에게 넘겨주면 URL 매니저는 다운로드 받은 문서의 URL인지 검사하여 URL 중복을 제거를 한다. 즉 일반 웹 크롤러에서 URL 중복과 URL 관리를 하는 부분을 URL 매니저가 대신 해 주는 것이다. 한편, P2P 방식은 각 Crawler가 완전 독립적인 구조를 가진다. P2P 방식은 각각의 크롤러가 일반 웹 크롤러처럼 동작을 한다. 각각의 크롤러는 문서를 다운로드 받고 OutLink URL을추출하고 URL 중복제거까지 모두 각각의 크롤러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크롤러에서 관리하는 다운로드 받은 URL 목록은 서로 배타적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 다른 크롤러에서 같은 문서를 다운로드 받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크롤러는 다운로드 받을 URL 도메인(Domain)을 서로 배타적으로 나눠서 관리할 수 있다. 즉, 자신이 다운로드 도메인에 속하는 것만 관리하고 나머지 URL은 다른 크롤러에게 넘기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크롤러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 다음은 웹 콘텐츠를 추출해야 하는데, 웹 콘텐츠 추출 기술은 웹 문서로부터 정보 분석에 활용될 콘텐츠인 리셀 상품의 상품명, 작성자, 게시일, 본문, 본문 내 상세정보 등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웹 콘텐츠 추출 시스템은 콘텐츠를 추출하는 규칙을 자동 생산해 콘텐츠만을 추출하는 장치로 콘텐츠 추출 규칙을 자동 생성하는 규칙 생성기(Rule Generator), 주어진 웹 문서에서 내비게이션 콘텐츠를 제거하는 네비게이션 콘텐츠 제거기(Navigation Content Eliminator), 콘텐츠 추출 규칙 키워드 유사도 비교를 통해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기(Core Context Extracto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웹크롤러를 통하여 수집된 프로젝트들은 다음의 기준에 따라서 제외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납기지연 | 완성된 제품이나 물건 등을 전달하기로 약속한 날짜에서 모두 최소 16개월 이상 지나도록 전달되지 않았다. 업데이트, 코멘트 섹션을 통해서 확인한 부분으로 누군가는 제품을 받았을 수도 있지만, 그러한 증거를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던 프로젝트 |
의혹제기&해명없음 | 코멘트 섹션이나 여러 사이트나 포럼 등에서 사기 프로젝트로 의심이 되는 후원자들의 지적에 대해서 의혹이 해결되지 않거나, 배달이 지연되거나 진행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부분에 대해서 제작자가 전혀 해명이 없는 프로젝트 |
공공데이터&스캠사이트 | 미디어를 통하여 사기로 알려지거나, 경찰청에서 제공하는 사기확인전화번호에 등록되어 검색이 가능한 경우 또는 법원의 재판결과가 확정된 경우 |
수집 및 누적된 데이터 셋(DataSet)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은 초기에는 구분해내는 성능이나 정확도가 떨어질수는 있지만, 새로운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반복하여 학습 및 테스트하는 경우 분류하는 성능이 충분히 좋아질 수 있다. 여기서, 공공데이터는, 최근 경찰청에서 사기신고가 3회 이상된 전화번호를 공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종 공개된 종국판결을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사기 프로젝트를 구분해낼 수도 있다.사기 프로젝트인지 구분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검토한다. 우선, 첫 번째로 특징이다. 특징은 프로젝트에 기반한다. 예를 들어, 1) 목표 금액, 2) 후원받은 금액, 3) 총 후원자의 수, 4) 보상을 원하는 후원자의 수(후원자들 중에는 보상이나 프로젝트 결과물을 원하는 사람도 있지만 프로젝트에 흥미를 느끼거나 돈만 지원해주는 사람도 있음) 5) 후원자들이 남긴 코멘트의 개수, 6) 캠페인 섹션에 포함된 비디오나 이미지의 개수, 7) 업데이트 섹션에 포함된 비디오나 이미지의 개수이다. 두 번째로, 제작자 정보도 함께 추출하는데, 1) 제작자가 현재까지 후원을 한 프로젝트의 개수, 2) 제작자가 현재까지 진행을 한 프로젝트의 개수, 3)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까지 제작자가 다른 프로젝트에 남긴 코멘트의 개수, 4) 프로젝트가 시작하고 난 뒤에 다른 프로젝트에 남긴 코멘트의 개수, 5) 프로젝트의 업데이트 섹션에 업데이트를 한 개수, 6) 업데이트 섹션에 남긴 읽을 수 있는 업데이트 개수, 7) 제작자가 프로젝트에 남긴 코멘트의 개수이다.세 번째로, 언어적 특징이다. 언어적 특징은 글에서 거짓과 진실을 구분하는 가장 대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여러 연구에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여러 가지 언어적 특징을 사용해 캠페인, 업데이트, 코멘트 섹션에 있는 글들을 분석할 수 있다. 사기, 기만행위 탐지에 대한 언어적 접근 방법은 일상적인 의사소통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선택이 그 사람의 심리적, 사회적 측면을 반영하기 때문에 특정 단어의 선택은 사기꾼의 무의식적인 정서를 반영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적 특징을 이용하는 경우, 거짓말인지 아닌지 등을 밝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짓말과 진실을 말하는 사람들의 특징을 분석하는 경우, 거짓말쟁이들은 진실이 아닌 거짓에 대해서 진술을 하고 말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인지적 부하가 많이 생기게 된다. 그래서 설명을 할 때 더 적은 세부사항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부정적 감정의 단어들을 더욱 많이 사용한다. 또한, 설명하거나 말을 할 때 자신을 주체에서 멀어지게 하려고 1인칭이 아닌 2인칭, 3인칭 등의 단어를 주로 많이 사용한다. 또한, 인지적 과정을 많이 발생시키는 단어, 예를 들어, "하지만"이나, "~를 제외하고" 등의 사용을 적게한다. 또는, 언어적 특징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들을 이용한 사기 프로젝트들은 단어나, 문장의 사용량이 적고, 철자가 틀린 단어를 적게 사용한다는 결과를 이용할 수도 있고, 사기 프로젝트에서는 훨씬 적은 사회적 정보와 빈약한 단어 사용량을 제공하며, 다양한 보상의 종류를 제공함으로써 후원자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특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언어적 특징 이외에도, 프로젝트의 기본정보, 제작자 정보, 사회적 정보, 개체명 인식, 시간적, 공간적 단어, 글의 가독성 등의 더욱더 많은 언어적 특징들을 사용하고 분류까지도 할 수 있다. 즉, 프로젝트를 설명하는 캠페인 섹션뿐만 아니라 업데이트, 코멘트 섹션에 있는 모든 글들의 분석할 수 있다. 또, 유용한 특징들을 이용해서, 사기 프로젝트의 분류와 탐지까지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개별적인 프로젝트 특징 및 언어적 특징들이 사기 프로젝트의 탐지에 얼마만큼 유용한지에 관한 Descriptive statistics 분석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를 모으고 특징까지 지정했으면, 그 다음에는 상술한 복수의 특징 중 유용한 특징을 추출해내야 한다. 필터 방법으로, CFS(Correlation-based Feature Selection for machine learning), Consistency(Feature Selection-a Filter Solution) 필터를 이용할 수 있고, 검색 방법으로는 Best, Greedy, Genetic 방법을 사용해 특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CFS와 Consistency 필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각각의 결과에서 최소 N 번 이상 발견된 특징들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특징들의 평균, t-test의 검사를 통해서 가장 높은 정확도로 사기 프로젝트를 분류하는 최적의 특징들을 찾을 수 있다.
이렇게 특징이 검색되었으면, 통계로 특징으로 분류된 데이터 셋을 평가할 수 있다. 초기에 웹크롤러로 수집된 데이터 셋은 불균등한 작은 데이터와 많은 수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Unpaired t-test를 사용해서 특징들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p-value를 평가할 수 있다. t-test의 통계적 유의성은 "사기"와 "사기아님" 샘플의 평균의 차이가 실제에서도 차이가 유의미 한지 아닌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프로젝트에 후원 한 경험이나 프로젝트를 실제로 진행한 경험이 많을수록, 페이스북이나 외부와 연결된 링크가 있을수록 사기일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와 코멘트 섹션에서 Email이 많이 언급될수록 사기의 확률이 낮아질 수 있으며, 업데이트 섹션에서 오타율은 사기 프로젝트 쪽에서 더 낮을 수 있다. 사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제작자들은 글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더욱 더 허위 정보임을 들키지 않기 위해 신경을 쓴다. 또한 많은 성공적인 프로젝트들은 개인보다는 팀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사기가 아닌 프로젝트에서 1인칭 단수를 사기 프로젝트들보다 더 적게 사용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기 프로젝트를 탐지하는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 복수의 종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와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를 사용하는데 WEKA 툴을 이용할 수 있다. 모델을 만들고 평가하기 위해서 10-fold 교차 검증을 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전체 데이터 셋에서 90%를 훈련 모델로 10%를 테스트 모델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10번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에서 추출된 주요 특징을 가지고 사기 프로젝트 분류를 하고, 두 개의 알고리즘 중 분류성능이 좋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섹션별 분류 정확도를 비교하고, 어느 섹션이 가장 높은지를 보면 어느 특징이 사기 프로젝트를 판별하는데 가장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어느 특징을 위주로 앞으로 등록될 프로젝트를 검토할 것인지, 어느 특징을 중점적으로 재학습 및 테스트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잡을 수 있게 되고, 데이터가 쌓일수록, 학습이 진행되고 테스트가 거듭될수록 그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다.
스트리밍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과 연동된 AP(Access Point)를 통하여 위탁사육되는 동물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자목적이 아니라 실제로 자신이 키우던 닭을 위탁사육을 맡기거나, 또는 원하는 종류의 닭을 지정하여 키워달라고 맡긴 경우에는, 사용자는 위탁사육되고 있는 닭이 잘 지내고 있는지, 어떠한 환경에서 지내고 있는지 궁금할 수 있다. 물론, 투자목적이라도 궁금할 수는 있으므로 투자목적의 사용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때, 스트리밍부(360)는, 소규모 농가의 계사마다 설치된 CCTV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볼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IoT 장치, 예를 들어, 온도계, 습도계 등이 설치되는 경우 이를 AP를 통하여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이때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중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물론, 인프라나 플랫폼 자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또,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사용자 및 총기 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깔아야 하는 경우에는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HTML 기반(HTML5)으로 엑세스만으로도 별도의 다운로드없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HTML5는 이미 표준이 나온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라벨관리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위탁사육을 의뢰한 동물이 구획되어 위치한 장소에 대한 고유식별부호를 부여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동물 및 동물로부터 나온 축산물에 대하여 부여된 고유식별부호를 표기 및 관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를 참조하면, 하나의 계사 내에 닭을 분리할 수 있는 미니닭장이나 구획 또는 파티션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임의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고, 해당 영역에는 바코드, QR 코드 등을 이용하여 고유식별부호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가"는 자신의 집에서 가까운 "나" 농장을 선택했고, "나" 농장의 계사가 (c)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고, "가" 사용자는 "A" 영역을 선택했다고 가정하자. 이때, "A" 영역의 외부에는 사용자 단말(100)이 원하는 동물이 위치한 영역이고, 부여된 고유식별부호가 인쇄 및 프린트되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병아리에서 닭으로 성장한 경우, 더 이상 성장이 없는 경우에는, 닭의 다리에 링 형태를 채우고 해당 링의 겉면에는 인쇄된 바코드나 QR 코드가 인쇄되어, 이후 도축되거나 유통되더라도 해당 고유식별부호, 즉 "가" 사용자의 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나" 농장의 "A" 영역에서 자랐다는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나-A]로 연결된 데이터가 고유식별부호와 매핑되어 저장되거나, 고유식별부호 자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가" 사용자의 닭이 알을 낳은 경우, 즉 계란도 [가-나-A]가 라벨링되어 출하되거나 또는 "가" 사용자에게 배송될 수도 있다. 최근 계란에 고유식별부호를 프린트하는 기술은 공지공용기술이므로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경매진행부(38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부터 경매될 동물의 종류, 사진 및 가격을 포함한 경매 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부터 입찰 이벤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조건에 기반하여 입찰자가 선정되는 경우 선정된 입찰자가 당첨되었음을 공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라"가 "마" 품종의 닭을 50마리 보유하고 있는데 경매에 부쳐 팔고 싶다고 가정하자. 이때, "마" 품종의 닭의 최저가는 "만원"으로 사용자 "라"가 설정했다면, 만원 이상 입찰하는 입찰자라면 모두 낙찰자가 될 수 있다.
또는, "라"가 "마" 품종의 닭을 반려닭으로 키워서 도축을 전제로 하지 않는 입찰자에게 낙찰되기를 원하는 경우, "도축금지"라는 조건이 붙을 수 있고, 해당 조건을 만족시키는 입찰자는 낙찰자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축여부는 경매 이후의 장래에 발생할 일이기 때문에 그 성립 여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낙찰자에게 닭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위탁 농가, 즉 소규모 농가에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을 것이라는 조건을 더 설정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기 등록된 소규모 농가에 위탁하는 경우에만 낙찰을 받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소규모 농가가 영세하여 각종 장비나 시설이 없고 IoT 시설이 필요한 경우 또는 스마트 팜(Smart Farm)으로 투자금을 충분히 펀딩받은 경우 등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양까지 조절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할 수 있다. 자동 사육 시스템에는 급수기, 급이기, 조명 조절, 환기 또한 모두 자동으로 할 수 있으나, 제한적인 조건에서만 자동적으로 제어가 되고, 각각의 시스템들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여전히 계사에서는 사람이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이 존재한다. 특히, 닭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및 암모니아 등 계사 내 대기환경에 굉장히 민감한 동물이다. 계사 내 사육 환경을 맞춰주지 않으면 병아리의 폐사율은 극히 높아지고 성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폐사율 등이 높아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온도 및 습도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까지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 환기 시스템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 이때, 자동 환기 시스템은 각 소규모 농가의 계사에 설치되고, 사용자와 소규모 농가의 농장주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규모 농가의 계사에는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센서와 아두이노 보드를 이용해 PC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PCB에는 제어부만 구비하고,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는 사육장이 큰 경우에는 엔트로피의 법칙에 의해 어느 한쪽의 대기밀도만 높지는 않겠지만, 특히 닭이 집중된 곳에서는 다른 영역보다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가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메쉬형(Mesh Type)으로 온도계, 습도계 및 이산화탄소 측정센서를 메쉬노드에 구비하고, 온도와 습도,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임계값이 어느 한 노드(한 지점)에서만 초과해도 환기팬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측정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됨으로써,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면 차후에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질병예찰 또는 환경분석에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가 아닌 NoSql인 MongoDB에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PHP를 통해 제작하여 웹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작이 완료되면,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첫 번째로, 소규모 농가의 계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로부터 소규모 농가 단말(400) 또는 AP를 경유하여 수신된 온도 데이터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 만약, 온도 임계값보다 큰 측정값이 있을 경우, 해당 값이 측정된 노드 주위의 환기팬의 가동여부를 포지티브(Positive)로 설정한다. 이 경우, 가동되는 환기팬의 개수는 측정값과 임계값 간의 차이가 클수록 더 늘어날 수 있다. 온도는 표준온도보다 2°C 만 높아져도 닭은 쉽게 폐사하기 때문에 많은 환기팬을 가동하여 빠르게 낮출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측정된 습도값과 임계값과 비교한다. 만약, 만약 습도 임계값보다 큰 측정이 있을 경우 해당 값이 측정된 IoT 장치(노드) 주변의 환기팬의 가동 여부를 포지티브로 제어한다. 이 경우 가동되는 환기팬의 개수는 측정값과 임계값의 차이가 클수록 더 늘어난다. 습도는 적정 습도보다 높아질 경우 닭이 질병에 걸릴 확률을 크게 높이게 된다. 습도가 높은 경우 각종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이 가속화되며, 또한 그로 인해서 계사 내 암모니아가 발생되기 때문에 빠르게 낮춰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습도가 너무 낮아질 경우 계사 내에서 먼지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정량의 환기를 할 수 있도록 먼지센서를 더 부가하여 먼지값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을 정도로 제어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값과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만약 이산화탄소 임계값보다 큰 측정값이 있을 경우 해당 값이 측정된 IoT 장치(노드) 주변의 환기팬의 가동 여부를 포지티브로 제어한다. 이 경우 가동되는 환기팬의 개수는 온도 또는 습도의 경우보다 적을 수 있으며, 측정값과 임계값의 차이가 클 경우 더 늘어날 수 있다. 이산화탄소가 증가할 경우 닭의 생장률에 큰 영향을 준다. 닭의 생장률이 떨어질 경우 추가적인 사료 값이 증가하게 되므로, 환기를 시켜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온도와 습도 측정값이 정상일 경우에는 환기를 많이 시행하게 되면 계사 내 온도와 습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산화탄소와 달리 온도와 습도는 적정 값을 유지해야 하므로, 여기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환기를 시행하도록 환기팬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반려닭으로 위탁사육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좋은 사료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신의 반려닭을 실시간으로 화면으로 보고 있다고 가정하면, 해당 화면 내에 "배추", "민들레", "홍삼" 등의 아이콘이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게임하는 것과 같이 "배추"를 클릭하면, 실제로 해당 구역 내로 "배추"가 투입되도록 자동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사 내 각 구역마다 "배추", "민들레", "홍삼"이 적재된 통이 계사 위에 설치되어 있고, 해당 통의 입구는 하단부에 존재하며, 하단부는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다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특식 결제를 한 후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배추" 아이콘을 누르는 경우, "배추"가 담긴 통의 하부면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배추가 통이 달린 위에서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닭이 먹을 수 있게 된다.
즉,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인데, 사용자는 자신의 반려닭이 자신이 온라인으로 결제한 "배추"를 이를 오프라인에서 촬영된 결과를 온라인으로 다시 실시간으로 볼 수 있으므로 반려닭으로 키우는 사용자에게 반려닭과 유대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키우는 재미까지 느낄 수 있다. 또 소규모 농가에는 부가수입을 줄 수도 있다. 이때, 각 통의 하부면은 AP에 연결되어 있고, 각 통은 각 구역의 고유식별부호와 매핑되어 저장되어 어느 구역의 통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각 통의 잠금해제는 전자기식 또는 기계식일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유압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배추, 민들레, 홍삼 등은 한정된 것은 아니고 각 소규모 농가가 준비하는 특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는 "오늘의 특식"과 같은 메뉴로 소규모 농가에서 자율적으로 준비하고, 사용자가 이를 결제하는 경우 소규모 농가에서 직접 재배하는 농작물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소규모 농가에서 별도로 농사를 짓고 있다면 이에 대한 홍보까지 가능해진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부터 농가 등록을 받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탁사육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b) 원하는 종류의 동물, 소규모 농가, 마릿수, 농가 내 계사의 위치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된 계사의 위치를 대향되도록 비추고 있는 카메라를 통하여 자신이 고른 닭들이 크는 것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고,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도 3b 내지 도 3z2까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메뉴가 추가될 수 있으며, 존재하던 메뉴도 삭제 또는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b와 같이 로그인을 하면, 도 3c와 같이 마이페이지가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경매한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내역이 출력되고 낙찰인지 유찰인지 또는 현재 입찰단계인지 등을 알 수 있다. 경매를 위해서는 도 3d와 같은 페이지에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하여 입찰할 수 있고 도 3e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쿠폰을 이용하여 입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도 있다.
한편, 도 3f와 같이 소규모 농가 단말(400)의 농장주는 자신의 농가 이야기를 업로드할 수도 있고, 소셜미디어와 연계하여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g는 경매의 절차 및 판매 절차에 대한 소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페이지이고, 이를 통하여 도 3d의 과정을 거쳐 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 또, 도 3h와 같이 실제 닭 이외에도, 자신이 쓰던 중고물품, 예를 들어, 부화기나 이동닭장 등을 서로 물물교환 또는 거래를 할 수도 있으며, 경매의 대상에 따라 수수료 안내를 도 3i와 같이 제공할 수도 있다. 또, 실제 경매에 나온 닭을 설명할 수 있는 페이지가 도 3j 및 도 3k와 같이 제공되고, 도 3l 및 도 3m과 같이 물물교환, 즉 종란교환을 할 수 있는 페이지도 제공될 수 있으며, 도 3n 및 도 3o와 같이 경매가 아닌 판매 및 구매를 할 수 있는 페이지도 제공될 수 있다. 도 3f에서 업로드되었던 농가이야기는 도 3p 및 도 3q과 같이 제공될 수도 있고, 닭을 키우는데 필요한 정보를 도 3r와 같은 페이지에서 공유할 수도 있다.
또, 도 3s와 같이 식당과 연계하여 닭 요리 전문점을 소개할 수도 있고, 도 3t와 같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전체적으로 설명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u처럼 애플리케이션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크라우드펀딩을 위한 소개를 도 3v와 같이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도 3w 내지 도 3x와 같이 이동식 미니닭장을 소개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고, 도 3y과 같이 다양한 품종의 닭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도 3z와 같이 농장견학사업으로 어린이집 또는 초등학교 등의 견학신청을 받을 수도 있으며, 단체가 아니더라도 개인도 견학을 신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부터 위탁사육농가등록을 받고(S4100), 위치, 사진 및 농장주 등의 정보를 등록받으면(S4200) 심사를 통하여(S4300) 등록 및 업로드할 수 있다(S4400). 이때, 심사는 초기에는 사람이 개입하지만, 이후 조건이 설정되는 경우, 해당 조건에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확인한 후 자동심사를 거칠 수도 있다.
그리고,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탁사육 요청이 수신되면(S4500), 원하는 종류의 동물을 사육할 수 있는 농가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S4600),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느 하나의 소규모 농가를 선택하면(S4610), 결제창을 제공하고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S4630, S4650), 결제가 완료되면 선택된 소규모 농가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을 전송한다. 또,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선택된 소규모 농가, 원하는 종류의 동물 및 마릿수 등의 정보를 고유식별부호에 매핑하여 저장하거나 그 자체를 고유식별부호로 만들어서(QR코드)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 전송하여 인쇄 및 프린트하여 해당 구역에 붙이도록 한다(S4670, S4680).
또,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소규모 농가 단말(400)의 농장주는 수신한 동물의 종류, 마릿수 및 위치를 수신하고(S4700) 해당 동물의 종류 및 마릿수를 지정된 위치에서 사육하기 시작한다. 한편,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소규모 농가의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비추는 CCTV 등을 통하여 위탁사육된 동물을 촬영한 화면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엑세스권을 부여한다(S4710). 그리고,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소규모 농가 단말(400) 또는 소규모 농가 단말(400)과 연동된 AP를 통하여 수집된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S4730) 사용자 단말(1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특수식을 요청 및 결제하면(S4800~S4830),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해당 구역(사용자가 지정한 소규모 농가 내 구역)에 특식이 급여되도록 하고(S4900), 이를 실시간으로 다시 사용자 단말(100)로 공유함으로써(S4910) 특식이 자신의 반려닭에게 급여되었는지 출력 및 확인할 수 있다(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 단말로부터 동물사육 부지 데이터와 수탁자의 수탁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탁농가를 저장한다(S5100).
그리고,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규모 농가의 동물사육 부지 데이터를 제공하고 어느 하나의 소규모 농가를 선택받고(S5200),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고, 어느 하나의 소규모 농가의 선택 및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를 선택된 소규모 농가의 소규모 농가 단말로 전송한다(S5300).
이와 같은 도 5의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 동물을 사육할 부지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사진 데이터를 포함한 동물사육부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위탁사육 서비스에서 위탁농가로 등록받는 경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물의 종류, 마릿수 및 위탁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
동물사육을 위탁하기 위하여 동물의 종류, 마릿수 및 위탁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를 전송하고, 복수의 소규모 농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단말(100); 및
촬영된 농가의 이미지, 동영상, GPS 좌표 및 주소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 위탁가능한 동물의 종류 및 동물의 마릿수를 포함하는 소규모 농가 입증 자료를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부터 입력받아 소규모로 동물을 키울 수 있는 환경인지의 여부를 심사하여 등록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 결정된 소규모 농가의 소규모 농가 단말로 등록이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위탁사육을 의뢰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하는 종류 및 마릿수의 동물을 위탁사육가능한 복수의 소규모 농가들을 리스트업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리스트업된 복수의 소규모 농가들 중 임의의 소규모 농가를 선택 및 결제하는 경우에 선택된 소규모 농가의 소규모 농가 단말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하여 위탁사육을 시작하도록 하는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은,
대기업과 위탁계약을 맺지 않으나 방목하여 동물을 기르면서 자체적인 마릿수로는 도축이 불가능한 숫자의 동물을 소규모로 기르는 농가의 단말이고,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이용하여 동물이 자라나는 환경 정보를 상기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이며,
상기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특정 품종의 동물을 반려동물로 키우기를 요청받는 경우에 도축금지 조건을 만족하는 입찰자가 낙찰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소규모 농가 내의 사용자 지정 구역에서의 특식 요청 및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지정 구역에 특식이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지정 구역에 특식이 제공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게 공유하고, 상기 복수의 IoT 장치를 이용하여 소규모 농가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측정치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IoT 장치 주변의 환기팬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부터 동물사육 부지 데이터와 수탁자의 수탁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탁농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에 복수의 소규모 농가의 동물사육 부지 데이터를 제공하고 어느 하나의 소규모 농가를 선택받는 선택부(320);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고, 어느 하나의 소규모 농가의 선택 및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소규모 농가의 소규모 농가 단말로 상기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를 전송하는 전송부(330);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의 소규모 농가 운영자를 수탁자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수익자로, 상기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제공자를 위탁자로 하는 제3자를 위한 계약 중 신탁계약에 의거한 계약을 맺도록 하는 계약관리부(340);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투자목적으로 위탁사육 요청 이벤트를 전송하는 경우,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으로 투자금을 입금받고, 상기 투자금에 대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수익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지급하는 펀딩관리부(350);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 또는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과 연동된 AP(Access Point)를 통하여 위탁사육되는 동물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부(360);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위탁사육을 의뢰한 동물이 구획되어 위치한 장소에 대한 고유식별부호를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동물 및 상기 동물로부터 나온 축산물에 대하여 상기 부여된 고유식별부호를 표기 및 관리하도록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 전송하는 라벨관리부(37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부터 경매될 동물의 종류, 사진 및 가격을 포함한 경매 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에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로부터 입찰 이벤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조건에 기반하여 입찰자가 선정되는 경우 선정된 입찰자가 당첨되었음을 공고하는 경매진행부(380);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관리부(340)는, 상기 신탁계약의 내용을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로 상기 복수의 소규모 농가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100)을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내에 분산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7783A KR102458005B1 (ko) | 2020-05-04 | 2021-07-26 |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153 | 2020-05-04 | ||
KR1020210097783A KR102458005B1 (ko) | 2020-05-04 | 2021-07-26 |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3153 Division | 2020-05-04 | 2020-05-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5163A true KR20210135163A (ko) | 2021-11-12 |
KR102458005B1 KR102458005B1 (ko) | 2022-10-24 |
Family
ID=7849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7783A KR102458005B1 (ko) | 2020-05-04 | 2021-07-26 |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800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81480A1 (ja) * | 2022-03-24 | 2023-09-28 |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クリエイト | アニマルウェルフェア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アニマルウェルフェア管理支援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0146A (ko) * | 2007-01-16 | 2009-01-07 | (주)우리목장 | 가축을 이용한 재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00057379A (ko) * | 2008-11-21 | 2010-05-31 | 공경용 | 농축수산물 육성의 위탁 관리 시스템 및 그 위탁 관리 방법 |
KR20110122374A (ko) * | 2010-05-04 | 2011-11-10 |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축사 관리 정보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KR20170032728A (ko) * | 2015-09-15 | 2017-03-23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관리 시스템 및 제공 방법 |
KR20200021900A (ko) * | 2018-08-21 | 2020-03-02 |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 |
-
2021
- 2021-07-26 KR KR1020210097783A patent/KR1024580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0146A (ko) * | 2007-01-16 | 2009-01-07 | (주)우리목장 | 가축을 이용한 재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00057379A (ko) * | 2008-11-21 | 2010-05-31 | 공경용 | 농축수산물 육성의 위탁 관리 시스템 및 그 위탁 관리 방법 |
KR20110122374A (ko) * | 2010-05-04 | 2011-11-10 |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축사 관리 정보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KR20170032728A (ko) * | 2015-09-15 | 2017-03-23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관리 시스템 및 제공 방법 |
KR20200021900A (ko) * | 2018-08-21 | 2020-03-02 |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81480A1 (ja) * | 2022-03-24 | 2023-09-28 |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クリエイト | アニマルウェルフェア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アニマルウェルフェア管理支援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8005B1 (ko) | 2022-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chroeder et al. | What's cooking: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agrifood system | |
Williams et al. | Born captive: A survey of the lion breeding, keeping and hunting industries in South Africa | |
Lindsey et al. | The Zambian wildlife ranching industry: scale, associated benefits, and limitations affecting its development | |
Khan et al. | ShrimpChain: A blockchain-based transparent and traceable framework to enhance the export potentiality of Bangladeshi shrimp | |
Reuter et al. | Capture, movement, trade, and consumption of mammals in Madagascar | |
Enahoro et al. | Strategies to upgrade animal health delivery in village poultry systems: perspectives of stakeholders from northern Ghana and central zones in Tanzania | |
Enticott et al. | Farmers' confidence in vaccinating badgers against bovine tuberculosis | |
Bergier et al. | Cloud/edge computing for compliance in the Brazilian livestock supply chain | |
Martínez-Castañeda et al. | Use of blockchain in the agri-food value chain: State of the art in Spain and some lesson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support. | |
Dione et al. | Integrated approach to facilitate stakeholder participation in the control of endemic diseases of livestock: The case of Peste des Petits Ruminants in Mali | |
KR102458005B1 (ko) |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Morton et al. | Understanding subordinate animal welfare legislation in australia: Assembling the regulations and codes of practice | |
Rosanowski et al. | Factors associated with rehoming and time until rehoming for horses listed with an equine charity | |
Leach et al. | Improvement of mammary gland health in 81 ‘sentinel herds’ in England and Scotland between 2012 and 2021 | |
Schneider | Design and prototypical implementation of a blockchain-based system for the agriculture sector | |
Huxley | Cattle practice: ready to adapt to a changing world? | |
Hancock et al. | The Integr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to the Beef Industry–A Comparative Analysis | |
Bhattarai | Supply chain development under conflict conditions: case of Nepal | |
Slettli | Digital and sustainable: Business ecosystem, digital platforms, and big data in the Norwegian livestock farming and food-producing industries | |
Slettli | Digital platforms in the Norwegian food industry: an ecosystem perspective on the nation’s dairy and beef production | |
Chiwawa | Integr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the development of a recordkeeping database of smallholder sheep farming systems in the Western Cape Province of South Africa | |
Davidsson | Blockchain in agri-food chain | |
Van der Walt | Exploring the use of blockchain technology to enhance transparency in Namibia's global beef supply chain | |
Jelinek et al. | Advancing smallholder agribusiness in Botswana through smart digital innovation | |
Zülch et al. | Theoretical design of blockchain-based traceability for organic egg supply chains according to regulation (EU) 2018/848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