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811A -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811A
KR20200021811A KR1020180097639A KR20180097639A KR20200021811A KR 20200021811 A KR20200021811 A KR 20200021811A KR 1020180097639 A KR1020180097639 A KR 1020180097639A KR 20180097639 A KR20180097639 A KR 20180097639A KR 20200021811 A KR20200021811 A KR 20200021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signal
toilet seat
web serv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박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준 filed Critical 박성준
Priority to KR102018009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1811A/ko
Publication of KR2020002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가 개시된다.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는
배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배수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배수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배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웹서버; 및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되는 배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좌변기의 배수 동작을 제어하는 배수 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배수 장치는
상기 웹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좌변기의 배수구 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줄과 연결되어 배수 동작을 수행하는 모터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배수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Remote draining apparatus of toilet seat device}
본 발명은 좌변기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좌변기 배수를 제어할 수 있는 좌면기 원격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의 배수 장치는 수동으로 작동된다. 즉, 좌변기 사용자가 용변 후 좌변기 물탱크의 일측면에 구비된 수동 레버를 손으로 직접 회전시켜 물탱크 내부의 배수구 덮개를 개방함으로써 배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좌변기의 배수 장치는, 수동 레버가 좌변기 뒷쪽에 설치됨에 따라, 좌변기 사용자가 용변 후 수동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몸을 뒤로 돌리거나 손을 뒤로 뻗어야 하는데, 몸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에는 상기 수동 레버를 작동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변기 사용자가 용변 후 수동 레버를 작동시키는 것을 잊고 나오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데,이 경우에 좌변기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47700 (2001.06.15.)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6417 (2006.05.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좌변기를 배수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는
배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배수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배수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배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웹서버; 및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되는 배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좌변기의 배수 동작을 제어하는 배수 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배수 장치는
상기 웹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좌변기의 배수구 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줄과 연결되어 배수 동작을 수행하는 모터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배수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변기의 받침판에 인가되는 하중을 감지하여 하중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하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하중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배변 개시 신호 및 배변 종료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는 배변 개시 신호 및 배변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배변 개시 및 배변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변기의 덮개판에 설치되어 적외선 신호의 변화 여부를 검출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감지 신호 및 상기 적외선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배변 개시 신호 및 배변 종료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좌변기의 물탱크 뚜껑의 저면에 설치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모터의 축에 감겨지고 타단이 상기 개폐줄에 연결되는 제2개폐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는 원격으로 좌변기를 조작하여 배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몸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캐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좌변기 사용자가 용변 후 수동 레버를 작동시키는 것을 잊고 나오게 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외부에서 원격으로 배수함으로써, 좌변기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가 적용된 좌변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수 장치의 구성을 보인다.
도 5는 배수 장치가 적용되는 물탱크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동작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가 적용된 좌변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좌변기(100)는, 좌변기 본체(102)의 상부면 뒷측에 물탱크(104) 및 물탱크 뚜껑(110)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좌변기 본체(102)의 상부면에는 받침판(106)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106)의 상부에는 덮개판(108)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물탱크(104)의 일측으로 수동 레버(11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덮개판(108)의 내측면에는 적외선 감지 센서(408)가 설치되어 있다. 적외선 감지 센서(408)가 반드시 덮개판(108)의 내측면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배변 대상을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상관없다. 그렇지만, 배변 동작시 덮개판(108)이 반드시 위쪽으로 젖혀져 있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적외선 감지 센서(408)가 덮개판(108)의 내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받침판(106)의 하부에는 다수의 돌출부(106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돌출부(106a) 중 어느 하나에 하중 감지 센서(4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300)는 스마트폰(302), 웹 서버(304) 및 배수 장치(306)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및 송수신이 가능한 스마트폰(smartphone)(302)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웹 서버(304)에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302)에서 배수 장치(306)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구동시키면, 웹 서버(304)에 접속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302)이 웹서버(304)와 통신을 수행하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302) 이외에도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단말기를 사용될 수도 있다.
웹 서버(304)는 가정에 설치되어 배수 장치(306)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304)는 배수 장치(306)와 동일한 가정에 설치되거나, 원격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폰(302)에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구동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배수 버튼(310)을 누르면, 배수 장치(306)의 배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배수 명령이 웹 서버(304)에 송신되고, 웹 서버(304)에서는 배수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배수 장치(306)로 전송하여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일정량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격으로 배수를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수 장치의 구성을 보인다.
배수 장치(306)는 웹 서버(304)와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02), 제어부(404), 모터부(406), 적외선 감지 센서(408), 하중 감지 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406)는 모터(406a, 미도시), 모터 구동 회로(미도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는 통상의 것이다. 모터(406a)는 배수 동작시 일정 횟수만큼 회전했다가 다시 원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적외선 감지 센서(408)는 감지 각도 범위 안에 적외선의 변화가 있을 시 High(1) 신호를, 없을시 Low(0) 값을 출력하는 센서이다.
하중 감지 센서(410)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변위를 유도한 후, 그 변위를 감지하여 하중을 표현하는 하중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이다.
도 5는 배수 장치가 적용되는 물탱크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좌변기(100)의 물탱크(104) 내에는 적정한 량의 물을 공급하여 저장해주는 급수관(202)과 부레(204) 및 오버플로우관(206) 등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오버플로우관(206)에 설치되어 배수구(214)를 덮고 있는 배수구 덮개(208) 및 이 배수구 덮개(208)와 개폐줄(210)로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조작 레버(2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와이어 조작 레버(216)는 물탱크(104) 일측에 설치된 수동 레버(112, 도 1 참조)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물탱크 뚜껑(110)의 저면에는 배수구 덮개(208)를 개폐하기 위한 모터(406a)가 설치되어 있고, 일단이 개폐줄(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모터(406a)의 축에 감겨지는 제2개폐줄(412)이 설치되어 있다.
배수 동작의 초기 모터(406a)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모터축(406b)에 제2개폐줄(412)의 타단이 감겨지고 이에 따라 제2개폐줄(412)의 일단에 연결된 개폐줄(210)이 위로 당겨지면서 배수구 덮개(208)가 열려지게 되어 배수된다.
소정 시간 후 모터(406a)가 역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면, 제2개폐줄(412) 및 개폐줄(210)도 원위치하게 되어 배수구 덮개(208)가 닫혀져서 배수가 종료된다.
보다 원활한 권취 동작을 위해 모터축(406b)에 제2개폐줄(412)을 권취하기 위한 실패 형상의 구조물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모터부(406)는 모터(406a), 모터 구동 회로, 전원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모터(406a), 모터 구동 회로, 전원 등을 몰딩 혹은 방수 케이스에 내장하는 방식에 의해 물탱크 뚜껑(110)의 저면에 실장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배수 장치(306)를 하나의 케이스에 내장하여 물탱크 뚜껑(110)의 저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상, 물탱크(104) 내부의 수위는 부레(204)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모터부(406) 혹은 배수 장치(306)의 설치 위치를 부레(204)에 의해 제한되는 수위보다 위에 두게 되면 방수 처리의 부담이 적어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3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좌변기(100)의 덮개판(108)이 위쪽으로 젖혀지면 예를 들어, 사람이 좌변기(100)에 접근하여 덮개판(108)을 위쪽으로 젖히면, 적외선 감지 센서(408)가 적외선 감지 신호 (High(1))를 발생한다.
다음으로 좌변기(100)의 받침판(106)에 하중이 인가되면 예를 들어, 받침판(106)에 사람이 앉으면, 하중 감지 센서(310)가 하중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적외선 감지 센서(308)로부터의 적외선 감지 신호 (High(1)) 및 하중 감지 센서(610)로부터의 하중 감지 신호는 제어부(404)에 제공된다.
제어부(404)는 적외선 감지 신호 (High(1)) 및 하중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사람이 좌변기(100)를 이용하기 시작하고 있음을 판단하여 좌변기 사용 개시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통신부(402)를 통해 웹 서버(304)에 제공한다.
웹 서버(304)는 수신된 좌변기 사용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스마트폰(302)으로 좌변기 사용 개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스마트폰(302)으로의 전달은 어플리케이션 혹은 SMS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화면 하단에 좌변기 사용이 개시되었음을 알리는 고지문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받침판(106)에 인가된 하중이 제거되면 예를 들어, 사람이 좌변기(100)의 받침판(106)으로부터 일어서면, 하중 감지 센서(310)가 하중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사람이 좌변기(100)에서 멀어지면 적외선 감지 센서(308)가 적외선 감지 신호 (Low(0))를 발생한다.
적외선 감지 센서(308)로부터의 적외선 감지 신호 (Low(0)) 및 하중 감지 센서(310)로부터의 하중 감지 신호는 제어부(404)에 제공된다.
제어부(404)는 적외선 감지 신호 (Low(0)) 및 하중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사람이 배변이 종료되었음을 판단하여 좌변기 사용 종료 신호를 발생하여 통신부(402)를 통해 웹 서버(304)에 제공한다.
웹 서버(304)는 수신된 좌변기 사용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스마트폰(302)으로 좌변기 사용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스마트폰(302)으로의 전달은 어플리케이션 혹은 SMS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화면 하단에 좌변기 사용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고지문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배변 개시 및 배변 종료를 확인하고 스마트폰(302)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수 버튼(310)을 누르면, 배수 장치(306)의 배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배수 명령이 웹 서버(304)로 송신되고, 웹 서버(304)에서는 배수를 위한 배수 제어 신호를 배수 장치(306)로 전송한다.
배수 장치(306)는 배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부(406)를 제어하여 제2개폐줄(412)을 감아올림으로써 배수구 덮개(208)를 개방시켜 물탱크(104)에 저장된 물을 일정량 배출시키게 된다.
이후 모터(406a)가 역회전하여 원위치로 되돌아감에 따라 제2개폐줄(412)이 모터축(406b)로부터 풀려지고, 이에 따라 개폐줄(210)이 내려가면서 배수구 덮개(208)가 닫히게 된다.
100...좌변기
102...좌변기 본체 104...물탱크
106...받침판 108...덮개판
110...물탱크 뚜껑 112...수동 레버
202...급수관 204...부레
206...오버플로우관 208...배수구 덮개
210...개폐줄 214...배수구
216...와이어 조작 레버
300...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302...스마트폰 304...웹 서버
306...배수 장치
402...통신부 404...제어부
406...모터부 406a...모터
406b...모터축 408...적외선 감지 센서
410...하중 감지 센서 412...제2개폐줄

Claims (4)

  1. 배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배수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배수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배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웹서버; 및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되는 배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좌변기의 배수 동작을 제어하는 배수 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배수 장치는
    상기 웹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좌변기의 배수구 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줄과 연결되어 배수 동작을 수행하는 모터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배수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받침판에 인가되는 하중을 감지하여 하중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하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하중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배변 개시 신호 및 배변 종료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는 배변 개시 신호 및 배변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배변 개시 및 배변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덮개판에 설치되어 적외선 신호의 변화 여부를 검출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감지 신호 및 상기 적외선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배변 개시 신호 및 배변 종료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좌변기의 물탱크 뚜껑의 저면에 설치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모터의 축에 감겨지고 타단이 상기 개폐줄에 연결되는 제2개폐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KR1020180097639A 2018-08-21 2018-08-21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KR20200021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639A KR20200021811A (ko) 2018-08-21 2018-08-21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639A KR20200021811A (ko) 2018-08-21 2018-08-21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811A true KR20200021811A (ko) 2020-03-02

Family

ID=6980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639A KR20200021811A (ko) 2018-08-21 2018-08-21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181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700A (ko) 1999-11-23 2001-06-15 임채용 좌변기의 자동배수장치 및 그 방법
KR200416417Y1 (ko) 2006-02-13 2006-05-16 노수곤 좌변기 자동 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700A (ko) 1999-11-23 2001-06-15 임채용 좌변기의 자동배수장치 및 그 방법
KR200416417Y1 (ko) 2006-02-13 2006-05-16 노수곤 좌변기 자동 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1381B2 (en) Sanitary cleansing device
CN207109970U (zh) 一种马桶智能控制系统和智能马桶
JP5889461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温水洗浄便座システム
JP5112855B2 (ja) 電動ロールシャッターの操作方法と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20200021811A (ko) 좌변기 원격 배수 장치
US9411328B2 (en) Remote control device
WO2009095879A2 (en) Automatic faucet and shower
CN111714022A (zh) 一种感应式智能马桶及其控制方法
CN111615353B (zh) 座便动作设定系统、方法及存储介质
JP4766807B2 (ja) 排水栓装置
CN112656272A (zh) 马桶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118532B2 (ja) 便器洗浄装置
CN102465563A (zh) 光学水位控制智能座便器
JP2007304932A (ja) 水洗トイレの流水システム
CN210621854U (zh) 霍尔传感的双功能智能坐便器
KR20120055995A (ko) 남성용 소변기
CN208491944U (zh) 老年自动座便椅
CN212816071U (zh) 一种感应式智能马桶
CN207633459U (zh) 一种可集成于马桶盖板上的人体自动感应装置
JP7482428B2 (ja) 便器装置
JP7135891B2 (ja) 便座装置及び便座装置遠隔操作プログラム
JP2747959B2 (ja) 便蓋,便座の電動開閉方法
CN113718911B (zh) 一种非接触式区分大小便的智能马桶及其控制方法
KR102443935B1 (ko) 감지센서가 측면에 구비된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JP3171502U (ja) 水洗トイレの流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