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01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011A
KR20200021011A KR1020180095664A KR20180095664A KR20200021011A KR 20200021011 A KR20200021011 A KR 20200021011A KR 1020180095664 A KR1020180095664 A KR 1020180095664A KR 20180095664 A KR20180095664 A KR 20180095664A KR 20200021011 A KR20200021011 A KR 2020002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semiconductor layer
transistor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228B1 (ko
Inventor
김은현
고은혜
김세령
김억수
이선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228B1/ko
Priority to EP19850290.8A priority patent/EP3840051A4/en
Priority to PCT/KR2019/009108 priority patent/WO2020036330A1/ko
Priority to US17/267,783 priority patent/US20210167125A1/en
Priority to CN201980054011.9A priority patent/CN112567529A/zh
Publication of KR2020002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01L27/324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01L27/122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with semiconductor materials not belonging to the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e.g. InGaZn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comprising TFTs having a different architecture, e.g. top- and bottom gate TFTs
    • H01L27/326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45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multipl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51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6Non-mon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72Polycrystalline or micr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stress relaxation structure, e.g. buffer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01L33/38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the electrode extending partially in or entirely through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반도체층에 연결되는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은 동일한 층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ode Display, LED Display) 등이 사용되고 있다.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인 캐소드(cathode)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인 애노드(anode)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발광 표시 장치는 캐소드, 애노드 및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를 포함하며, 각 화소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가 형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반도체층은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반도체층으로는 규소(Si)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규소는 결정 형태에 따라 비정질 규소 및 다결정 규소로 나누어진다. 비정질 규소는 제조 공정이 단순한 반면 전하 이동도가 낮아 고성능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고 다결정 규소는 전하 이동도가 높은 반면 규소를 결정화하는 단계가 요구되어 제조 비용 및 공정이 복잡하다. 최근에는, 비정질 규소보다 전자 이동도가 높고 ON/OFF 비율이 높으며 다결정 규소보다 원가가 저렴하고 균일도가 높은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하는 트랜지스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시예들은 제조 공정이 단순하여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된 표시 장치를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반도체층에 연결되는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은 동일한 층에 위치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버퍼층, 그리고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상기 버퍼층과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위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은 동일한 층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버퍼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절연층, 그리고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상기 버퍼층과 상기 절연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위에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사이에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위에 위치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은 동일한 층에 위치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보조 금속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금속층은 상기 제2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금속층은,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1 소스 전극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금속층은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버퍼층, 그리고 상기 버퍼층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과 상기 게이트 절연층 사이에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2 반도체층이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조 공정이 단순하여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 각각은 제조 공정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그러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10)은 제1 트랜지스터(Ta)가 위치하는 제1 영역(PA1)과 제2 트랜지스터(Tb)가 위치하는 제2 영역(PA2)을 포함한다. 우선 제1 영역(PA1)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이후 제2 영역(PA2)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110)은 글래스 기판을 포함하거나, 폴리머층 및 배리어층이 교번하여 적층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PA1)에 해당하는 기판(110) 상에는 버퍼층(111)이 위치한다. 버퍼층(111)은 산화규소, 질화규소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일 수 있다. 일 예로 버퍼층(111)이 이중막인 경우, 하부막은 질화규소를 포함하고 상부막은 산화규소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11) 상에는 제1 반도체층(130a)이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반도체층(130a)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아연(Zn), 인듐(In), 갈륨(Ga), 주석(Sn), 티타늄(Ti)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아연(Zn), 인듐(In), 갈륨(Ga), 주석(Sn), 티타늄(Ti) 등의 금속과 이들의 산화물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화물 반도체는 산화 아연(ZnO), 아연-주석 산화물(ZTO), 아연-인듐 산화물(ZIO), 인듐 산화물(InO), 티타늄 산화물(Ti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인듐-아연-주석 산화물(IZT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30a) 위에 제1 게이트 절연층(141)이 위치한다. 제1 게이트 절연층(141)은 질화규소, 산화규소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위에는 제1 게이트 전극(154a)이 위치한다.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제1 반도체층(130a)과 중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한다.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다결정 실리콘에 불순물이 도핑됨에 따라 도체화된 상태이다. 제1 게이트 전극(154a)에 도핑되는 불순물은 5족 원소일 수 있으며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n+ 도핑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54a) 및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위에는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이 위치한다.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은 질화규소, 산화규소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층(142) 위에 스토리지 전극(125a)이 위치한다. 스토리지 전극(125a)은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몰리브덴, 그리고 몰리브덴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54a)과 스토리지 전극(125a)는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을 사이에 두고 평면상 중첩함으로써 유지 축전기를 구성할 수 있다.
스토리지 전극(125a) 및 제2 게이트 절연층(142) 위에 제1 절연층(160)이 위치한다. 제1 절연층(160)은 질화규소, 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거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60) 위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1 반도체층(130a)과 연결되는 제1 소스 전극(173a), 그리고 제1 반도체층(130a)과 연결되는 제1 드레인 전극(175a)이 위치한다.
제1 소스 전극(173a)은 제1 절연층(160), 제2 게이트 절연층(142) 및 제1 게이트 절연층(141)이 가지는 제1 접촉 구멍(61)을 통해 제1 반도체층(130a)과 연결된다.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제1 절연층(160), 제2 게이트 절연층(142) 및 제1 게이트 절연층(141)이 가지는 제2 접촉 구멍(62)을 통해 제1 반도체층(130a)과 연결된다.
제1 소스 전극(173a)과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스 전극(173a)과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실시예에 따라 단일막이거나 다중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1 드레인 전극(175a) 위에 제2 절연층(180)이 위치한다. 제2 절연층(180)은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1 드레인 전극(175a)을 덮어 평탄화시킨다. 제2 절연층(180)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80) 위에 제1 전극인 화소 전극(191)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은 제2 절연층(180)에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191) 위에 제2 절연층(180) 및 화소 전극(191)의 일부와 중첩하는 격벽(360)이 위치한다. 격벽(360)은 화소 전극(191)을 드러내는 개구부(365)를 가진다.
격벽(360)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의 유기물 또는 실록산 계열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365)에 의해 노출된 화소 전극(191) 위에는 발광 부재인 발광층(370)이 위치한다. 발광층(370) 및 격벽(36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 발광층(370) 및 공통 전극(270)은 발광 다이오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 전극(19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애노드이며, 공통 전극(27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캐소드가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화소 전극(191)이 캐소드가 되고, 공통 전극(270)이 애노드가 될 수도 있다. 화소 전극(191) 및 공통 전극(270)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370) 내부로 주입되고,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발광층(370)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등의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370)은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양극인 화소 전극(191) 상에 위치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공통 전극(270) 상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보호하는 봉지층(400)이 위치할 수 있다. 봉지층(400)은 실런트에 의해 기판(110)에 밀봉될 수 있다. 봉지층(400)은 유리, 석영, 세라믹, 폴리머, 및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런트를 사용하지 않고 공통 전극(270) 상에 무기막과 유기막을 증착하여 봉지층(4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영역(PA2)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영역(PA1)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영역(PA2)에 해당하는 기판(110) 위에 버퍼층(111)이 위치한다. 그리고 버퍼층(111) 위에는 제1 게이트 절연층(141)이 위치한다.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위에는 제2 반도체층(157b)이 위치한다. 제2 반도체층(157b)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한다.
제2 반도체층(157b)은 후술할 소스 전극(173b)과 연결되는 소스 영역(152b), 후술할 드레인 전극(175b)과 연결되는 드레인 영역(153b), 그리고 소스 영역(152b) 및 드레인 영역(153b)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 영역(151b)을 포함한다. 소스 영역(152b) 및 드레인 영역(153b)에는 다결정 실리콘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도체화된 상태이다. 소스 영역(152b) 및 드레인 영역(153b)에 도핑되는 불순물은 5족 원소일 수 있으며 n+ 도핑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반도체층(157b) 및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위에는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이 위치한다.
제2 게이트 절연층(142) 위에는 제2 게이트 전극(124b)이 위치한다. 제2 게이트 전극(124b)은 제2 반도체층(157b)의 채널 영역(151b)과 중첩한다.
제2 게이트 전극(124b)은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몰리브덴, 그리고 몰리브덴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124b) 및 제2 게이트 절연층(142) 위에 제1 절연층(160)이 위치한다.
제1 절연층(160) 위에는 제2 반도체층(157b)의 소스 영역(152b)과 연결되는 제2 소스 전극(173b), 그리고 제2 반도체층(157b)의 드레인 영역(153b)과 연결되는 제2 드레인 전극(175b)이 위치한다.
제1 절연층(160) 및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이 가지는 제3 접촉 구멍(63)을 통해 제2 소스 전극(173b)과 소스 영역(152b)이 연결된다. 또한 제1 절연층(160)과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이 가지는 제4 접촉 구멍(64)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드레인 영역(153b)이 연결된다.
제2 영역(PA2)에서, 제2 소스 전극(173b)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 위에는 제2 절연층(180), 격벽(360), 공통 전극(270) 및 봉지층(400)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영역(PA1)에 위치하는 제1 트랜지스터(Ta)와 제2 영역(PA2)에 위치하는 제2 트랜지스터(Tb) 사이의 적층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반도체층(130a)은 버퍼층(111)과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사이에 위치한다.
제1 게이트 전극(154a)과 제2 반도체층(157b)은 제1 게이트 절연층(141)과 제2 게이트 절연층(142) 사이에 위치한다. 제1 게이트 전극(154a)과 제2 반도체층(157b)은 동일한 층에 위치한다. 제1 게이트 전극(154a)과 제2 반도체층(157b)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동일한 제조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제2 반도체층(157b)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게이트 전극 형성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54a)과 제2 반도체층(157b)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반도체층(157b)의 소스 영역(152b), 드레인 영역(153b) 및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층(142)과 제1 절연층(160) 사이에 스토리지 전극(125a) 및 제2 게이트 전극(124b)이 위치한다. 스토리지 전극(125a) 및 제2 게이트 전극(124b)은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1 트랜지스터(Ta)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제2 트랜지스터(T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트랜지스터(Ta)가 포함하는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제2 트랜지스터(Tb)가 포함하는 반도체층(157b)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 및 적층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4 각각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10)은 제1 트랜지스터(Ta)가 위치하는 제1 영역(PA1)과 제2 트랜지스터(Tb)가 위치하는 제2 영역(PA2)을 포함한다. 제1 영역(PA1)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이후 제2 영역(PA2)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영역(PA1)에 해당하는 기판(110) 상에 버퍼층(111)이 위치한다. 버퍼층(111) 위에 절연층(131)이 위치한다. 절연층(131)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거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절연층(131) 위에 제1 반도체층(157a)이 위치한다. 제1 반도체층(157a)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한다.
제1 반도체층(157a)은 후술할 소스 전극(173a)과 연결되는 소스 영역(152a), 드레인 전극(175a)과 연결되는 드레인 영역(153a), 그리고 소스 영역(152a)과 드레인 영역(153a)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 영역(151a)을 포함한다. 소스 영역(152a) 및 드레인 영역(153a)에는 불순물이 도핑되어 도체화된 상태이다.
절연층(131) 및 제1 반도체층(157a) 위에 제1 게이트 절연층(141)이 위치한다.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위에 제1 게이트 전극(124a)이 위치한다. 제1 게이트 전극(124a)은 제1 반도체층(157a)의 채널 영역(151a)과 중첩한다. 제1 게이트 전극(124a)은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몰리브덴, 그리고 몰리브덴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24a) 및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위에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이 위치한다.
제2 게이트 절연층(142) 위에 스토리지 전극(125a)이 위치한다. 본 명세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토리지 전극(125a)은 별도의 구동 전압선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 전극(125a)과 제1 게이트 전극(124a)은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함으로써 유지 축전기를 구성할 수 있다.
스토리지 전극(125a) 및 제2 게이트 절연층(142) 위에 제1 절연층(160)이 위치한다.
제1 절연층(160), 제2 게이트 절연층(142) 및 제1 게이트 절연층(141)이 가지는 제1 접촉 구멍(61)을 통해 제1 소스 전극(173a)과 제1 반도체층(157a)의 소스 영역(152a)이 연결된다. 제1 절연층(160), 제2 게이트 절연층(142) 및 제1 게이트 절연층(141)이 가지는 제2 접촉 구멍(62)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제1 반도체층(157a)의 드레인 영역(153a)이 연결된다.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1 드레인 전극(175a) 위에 제2 절연층(180)이 위치한다.
제2 절연층(180) 위에 제1 전극인 화소 전극(191)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은 제2 절연층(180)에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191) 위에 제2 절연층(180) 및 화소 전극(191)의 일부와 중첩하는 격벽(360)이 위치한다. 격벽(360)이 포함하는 개구부(365)에 의해 노출된 화소 전극(191) 위에는 발광 부재인 발광층(370)이 위치한다. 발광층(370) 및 격벽(36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 발광층(370) 및 공통 전극(270)은 발광 다이오드를 형성할 수 있다. 공통 전극(270) 상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보호하는 봉지층(4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영역(PA2)에 위치하는 제2 트랜지스터(Tb)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110) 위에 버퍼층(111)이 위치하고, 버퍼층(111) 위에 제2 반도체층(130b)이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반도체층(130b)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한다. 산화물 반도체는 아연(Zn), 인듐(In), 갈륨(Ga), 주석(Sn), 티타늄(Ti)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아연(Zn), 인듐(In), 갈륨(Ga), 주석(Sn), 티타늄(Ti) 등의 금속과 이들의 산화물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화물 반도체는 산화 아연(ZnO), 아연-주석 산화물(ZTO), 아연-인듐 산화물(ZIO), 인듐 산화물(InO), 티타늄 산화물(Ti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인듐-아연-주석 산화물(IZT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130b) 및 버퍼층(111) 위에 절연층(131)이 위치한다. 절연층(131)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131) 위에 제2 게이트 전극(154b)이 위치한다.
제2 게이트 전극(154b)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154b)은 다결정 실리콘에 불순물이 도핑됨에 따라 도체화된 상태이다.
절연층(131) 및 제2 게이트 전극(154b) 위에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제2 게이트 절연층(142) 및 제1 절연층(160)이 차례로 위치한다.
제1 절연층(160) 위에는 제2 반도체층(130b)과 연결되는 제2 소스 전극(173b), 제2 반도체층(130b)과 연결되는 제2 드레인 전극(175b)이 위치한다.
제2 소스 전극(173b)은 제3 접촉 구멍(63)을 통해 제2 반도체층(130b)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드레인 전극(175b)은 제4 접촉 구멍(64)을 통해 제2 반도체층(130b)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소스 전극(173b)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 위에는 제2 절연층(180), 격벽(360), 공통 전극(270) 및 봉지층(400)이 차례로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제1 영역(PA1)에 위치하는 제1 트랜지스터(Ta)와 제2 영역(PA2)에 위치하는 제2 트랜지스터(Tb) 사이의 적층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제2 반도체층(130b)은 버퍼층(111)과 절연층(131)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반도체층(157a)과 제2 게이트 전극(154b)은 절연층(131)과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반도체층(157a)과 제2 게이트 전극(154b)은 동일한 층상에 위치한다. 제1 반도체층(157a)과 제2 게이트 전극(154b)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제조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57a)과 제2 게이트 전극(154b)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한다. 제1 반도체층(157a)의 소스 영역(152a), 드레인 영역(153a) 그리고 제2 게이트 전극(154b)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154b)은 제1 반도체층(157a)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게이트 전극의 형성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제1 트랜지스터(Ta)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2 트랜지스터(T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트랜지스터(Ta)가 포함하는 반도체층(157a)과 제2 트랜지스터(Tb)가 포함하는 게이트 전극(154b)은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 및 적층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제1 트랜지스터(Ta)가 위치하는 제1 영역(PA1)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버퍼층(111) 위에 제1 게이트 전극(154a)이 위치한다.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54a) 및 버퍼층(111) 위에 게이트 절연층(140)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층(140) 위에 제1 반도체층(157a)이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반도체층(157a)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57a) 위에는 제1 절연층(160)이 위치한다. 제1 절연층(160) 위에는 제1 접촉 구멍(61)을 통해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1 반도체층(130a)과 연결되는 제1 소스 전극(173a), 그리고 제2 접촉 구멍(62)을 통해 제1 반도체층(130a)과 연결되는 제1 드레인 전극(175a)이 위치한다.
다음 제2 트랜지스터(Tb)가 위치하는 제2 영역(PA2)을 설명한다.
기판(110) 위에 위치하는 버퍼층(111) 위에 제2 반도체층(157b)이 위치한다. 제2 반도체층(157b)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한다.
제2 반도체층(157b)은 제2 소스 전극(173b)과 연결되는 소스 영역(152b), 제2 드레인 전극(175b)과 연결되는 드레인 영역(153b), 그리고 소스 영역(152b) 및 드레인 영역(153b)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 영역(151b)을 포함한다. 소스 영역(152b) 및 드레인 영역(153b)에는 불순물이 도핑되어 도체화된 상태이다.
제2 반도체층(157b) 및 버퍼층(111) 위에 게이트 절연층(140)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층(140) 위에는 제2 게이트 전극(124b)이 위치한다. 제2 게이트 전극(124b)은 제2 반도체층(157b)의 채널 영역(151b)과 중첩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124b)은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몰리브덴, 및 몰리브덴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124b)은 실시예에 따라 단일막이거나 다중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124b) 및 게이트 절연층(140) 위에 제1 절연층(160)이 위치한다.
제2 소스 전극(173b)은 제1 절연층(160) 및 게이트 절연층(140)이 가지는 제3 접촉 구멍(63)을 통해 소스 영역(152b)과 연결된다. 제2 드레인 전극(175b)은 제1 절연층(160) 및 게이트 절연층(140)이 가지는 제4 접촉 구멍(64)을 통해 드레인 영역(153b)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게이트 전극(154a)과 제2 반도체층(157b)은 버퍼층(111) 및 게이트 절연층(1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54a)과 제2 반도체층(157b)은 동일한 층에 위치한다. 제1 게이트 전극(154a)과 제2 반도체층(157b)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동일한 제조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54a)과 제2 반도체층(157b)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반도체층(157b)의 소스 영역(152b), 드레인 영역(153b) 및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다결정 실리콘에 불순물이 도핑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제2 반도체층(157b)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게이트 전극의 형성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도 3에서 제1 트랜지스터(Ta)에 발광 다이오드가 연결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트랜지스터(Tb)에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영역(PA)에 위치하는 제1 반도체층(157a) 위에는 보조 금속층(126a, 127a)이 위치한다. 보조 금속층(126a, 127a) 위에 제1 절연층(160)이 위치한다.
제1 절연층(160) 위에 제1 소스 전극(173a) 및 제1 드레인 전극(175a)이 위치한다. 제1 소스 전극(173a)은 제1 절연층(160)이 가지는 제1 접촉 구멍(61)을 통해 보조 금속층(126a)과 연결된다. 제1 드레인 전극(175a)은 제1 절연층(160)이 가지는 제2 접촉 구멍(62)을 통해 보조 금속층(127a)과 연결될 수 있다.
보조 금속층(126a, 127a)은 제2 게이트 전극(124b)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 금속층(126a, 127a) 및 제2 게이트 전극(124b)은 게이트 절연층(140)과 제1 절연층(1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대해 설명한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 각각은 제조 공정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은 제1 영역(PA1) 및 제2 영역(PA2)을 포함한다. 제1 영역(PA1) 및 제2 영역(PA2)과 중첩하도록 기판(110) 전면에 버퍼층(111)이 위치한다. 또한 제1 영역(PA1)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1 반도체층(130a)이 형성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층(111) 및 제1 반도체층(130a) 위에 기판(110) 전면과 중첩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141)이 형성된다.
제2 영역(PA2)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위에 제2 반도체층(157b)이 형성되고, 제1 영역(PA1)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층(141) 위에 제1 게이트 전극(154a)이 형성된다. 제1 게이트 전극(154a)과 제2 반도체층(157b)은 동일한 층상에 형성된다.
제1 게이트 전극(154a)과 제2 반도체층(157b)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반도체층(157b)의 소스 영역(152b), 드레인 영역(153b) 및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다결정 실리콘에 불순물이 도핑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54a)은 제2 반도체층(157b)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게이트 전극의 형성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게이트 전극(154a), 제2 반도체층(157b) 및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위에 기판(110) 전면과 중첩하는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제2 게이트 절연층(142) 위에 스토리지 전극(125a) 및 제2 게이트 전극(124b)을 형성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 전면과 중첩하는 제1 절연층(160)을 형성한다. 제1 절연층(160), 제2 게이트 절연층(142) 및 제1 게이트 절연층(141)은 제1 반도체층(130a)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1 접촉 구멍(61), 그리고 제2 접촉 구멍(62)을 가진다. 또한 제1 절연층(160) 및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은 소스 영역(152b) 일부를 노출하는 제3 접촉 구멍(63) 그리고 드레인 영역(153b) 일부를 노출하는 제4 접촉 구멍(64)을 가진다.
다음 제1 절연층(160) 위에 제1 소스 전극(173a), 제1 드레인 전극(175a), 제2 소스 전극(173b) 및 제2 드레인 전극(175b)를 형성하고, 제1 드레인 전극(175a)과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형성하여 도 1과 같은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PX)는 복수개의 신호선(151, 152, 153, 154, 155, 156, 171, 172)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 T7),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7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랜지스터의 수와 커패시터의 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 T7)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1 트랜지스터(Ta)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제2 트랜지스터(T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a)는 구동 트랜지스터(T1),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그리고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b)는 보상 트랜지스터(T3), 초기화 트랜지스터(T4), 그리고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선(151, 152, 153, 154, 155, 156, 171, 172)은 제1 스캔선(151), 제2 스캔선(152), 제3 스캔선(153), 발광 제어선(154), 바이패스 제어선(155), 초기화 전압선(156), 데이터선(171), 그리고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화소(PX)에는 제1 스캔선(151), 제2 스캔선(152), 제3 스캔선(153), 발광 제어선(154), 바이패스 제어선(155), 초기화 전압선(156), 데이터선(171), 그리고 구동 전압선(172)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캔선(151)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2)에 제1 스캔 신호(GW1)를 전달하고, 제2 스캔선(152)은 보상 트랜지스터(T3)에 제2 스캔 신호(GW2)를 전달하며, 제3 스캔선(153)은 초기화 트랜지스터(T4)에 제3 스캔 신호(GI)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제어선(154)은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에 발광 제어 신호(EM)를 전달하고, 바이패스 제어선(155)은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에 바이패스 신호(GB)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초기화 전압선(156)은 구동 트랜지스터(T1)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Dm)를 전달하고, 구동 전압선(172)은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단(Cst1)과 연결되어 있고,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1)은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1)은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anode)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데이터 신호(Dm)를 전달받아 발광 다이오드(LED)에 구동 전류(Id)를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G2)은 제1 스캔선(151)과 연결되어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S2)은 데이터선(171)과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D2)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1)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을 경유하여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제1 스캔선(151)을 통해 전달받은 제1 스캔 신호(GW1)에 따라 턴온되어 데이터선(171)으로 전달된 데이터 신호(Dm)을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1)으로 전달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상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G3)은 제2 스캔선(152)에 연결되어 있고, 보상 트랜지스터(T3)의 소스 전극(S3)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1)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anode)와 연결되어 있으며, 보상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전극(D3)은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드레인 전극(D4),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단(Cs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보상 트랜지스터(T3)는 제2 스캔선(152)을 통해 전달받은 제2 스캔 신호(GW2)에 따라 턴 온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과 드레인 전극(D1)을 서로 연결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1)를 다이오드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2 스캔 신호(GW2)는 제1 스캔 신호(GW1)와 레벨이 반전되는 신호로서, 제1 스캔 신호(GW1)가 하이 레벨(high level)이면, 제2 스캔 신호(GW2)는 로우 레벨(low level)이고, 제1 스캔 신호(GW1)가 로우 레벨(low level)이면, 제2 스캔 신호(GW2)는 하이 레벨(high level)일 수 있다.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전극(G4)은 제3 스캔선(153)과 연결되어 있고,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소스 전극(S4)은 초기화 전압선(156)과 연결되어 있으며,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드레인 전극(D4)은 보상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전극(D3)을 거쳐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단(Cs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초기화 트랜지스터(T4)는 제3 스캔선(153)을 통해 전달받은 제3 스캔 신호(GI)에 따라 턴 온되어 초기화 전압(Vint)을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에 전달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G1)의 게이트 전압(Vg)을 초기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전극(G5)은 발광 제어선(154)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의 소스 전극(S5)은 구동 전압선(172)와 연결되어 있고,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의 드레인 전극(D5)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S1)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D2)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 전극(G6)은 발광 제어선(154)과 연결되어 있으며,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소스 전극(S6)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D1) 및 보상 트랜지스터(T3)의 소스 전극(S3)과 연결되어 있고,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드레인 전극(D6)은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anode)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제어 트랜지스터(T5)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는 발광 제어선(154)을 통해 전달받은 발광 제어 신호(EM)에 따라 동시에 턴 온되고 이를 통해 구동 전압(ELVDD)이 다이오드 연결된 구동 트랜지스터(T1)를 통해 보상되어 발광 다이오드(LED)에 전달될 수 있다.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G7)은 바이패스 제어선(155)과 연결되어 있고,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의 소스 전극(S7)은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T6)의 드레인 전극(D6) 및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에 함께 연결되어 있고, 바이패스 트랜지스터(T7)의 드레인 전극(D7)은 초기화 전압선(156) 및 초기화 트랜지스터(T4)의 소스 전극(S4)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타단(Cst2)은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LED)의 캐소드(cathode)는 공통 전압(ELVSS)을 전달하는 공통 전압선(74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기판
Ta: 제1 트랜지스터
Tb: 제2 트랜지스터
191: 화소 전극
370: 발광층
270: 공통 전극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반도체층에 연결되는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2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버퍼층, 그리고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상기 버퍼층과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위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8.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8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버퍼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절연층, 그리고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상기 버퍼층과 상기 절연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위에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상기 절연층과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사이에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는 표시 장치.
  13.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서로 이격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위에 위치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1 소스 전극 및 제1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2 소스 전극 및 제2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반도체층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3항에서,
    상기 제2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3항에서,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는 보조 금속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금속층은 상기 제2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보조 금속층은,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1 소스 전극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1 드레인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9. 제17항에서,
    상기 보조 금속층은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직접 접촉하는 표시 장치.
  20. 제13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버퍼층, 그리고
    상기 버퍼층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과 상기 게이트 절연층 사이에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2 반도체층이 위치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095664A 2018-08-16 2018-08-16 표시 장치 KR102620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664A KR102620228B1 (ko) 2018-08-16 2018-08-16 표시 장치
EP19850290.8A EP3840051A4 (en) 2018-08-16 2019-07-23 INDICATOR
PCT/KR2019/009108 WO2020036330A1 (ko) 2018-08-16 2019-07-23 표시 장치
US17/267,783 US20210167125A1 (en) 2018-08-16 2019-07-23 Display device
CN201980054011.9A CN112567529A (zh) 2018-08-16 2019-07-23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664A KR102620228B1 (ko) 2018-08-16 2018-08-16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11A true KR20200021011A (ko) 2020-02-27
KR102620228B1 KR102620228B1 (ko) 2024-01-02

Family

ID=6952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664A KR102620228B1 (ko) 2018-08-16 2018-08-1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67125A1 (ko)
EP (1) EP3840051A4 (ko)
KR (1) KR102620228B1 (ko)
CN (1) CN112567529A (ko)
WO (1) WO20200363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907A (ko) * 2021-10-21 2023-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259A (ko) * 2009-08-25 2011-03-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1824A (ko) * 2013-11-05 2015-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50101418A (ko) * 2014-02-24 2015-09-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542B1 (ko) * 2009-09-03 2011-10-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1162B1 (ko) * 2014-02-25 2023-0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수의 타입들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백플레인
KR20180025354A (ko) * 2016-08-29 2018-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9264B1 (ko) * 2016-09-02 2022-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259A (ko) * 2009-08-25 2011-03-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1824A (ko) * 2013-11-05 2015-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50101418A (ko) * 2014-02-24 2015-09-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67529A (zh) 2021-03-26
US20210167125A1 (en) 2021-06-03
EP3840051A1 (en) 2021-06-23
WO2020036330A1 (ko) 2020-02-20
KR102620228B1 (ko) 2024-01-02
EP3840051A4 (en)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4925B1 (ko) 표시 장치
US1033291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198529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701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172595B (zh) 薄膜晶体管基底
US1049061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driving voltage lines
KR102478470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7354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50248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3278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1915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6023328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82865A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30003B1 (ko)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01348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5910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72812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861012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215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20228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