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010A -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010A
KR20200021010A KR1020180095579A KR20180095579A KR20200021010A KR 20200021010 A KR20200021010 A KR 20200021010A KR 1020180095579 A KR1020180095579 A KR 1020180095579A KR 20180095579 A KR20180095579 A KR 20180095579A KR 20200021010 A KR20200021010 A KR 20200021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ousing
guide
fluid pump
high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672B1 (ko
Inventor
손형근
전지훈
조한수
강찬호
강윤제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주식회사 다린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95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672B1/ko
Priority to CN201811612837.6A priority patent/CN110833351A/zh
Publication of KR2020002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05B11/3002
    • B05B11/304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는: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저장하고, 내용물을 추출하는 펌핑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강시 펌핑부를 가압하며, 하우징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부가 구비되는 헤드부; 하우징과 헤드부 사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하우징과 가이드부를 감싸고, 헤드부의 승강에 따라 가이드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아우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REFILLABLE HIGH VISCOSITY FLUID PUMP DISPENSER}
본 발명은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자인의 심미적 요소를 구현함과 동시에 치약 등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를 쉽게 리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은 치아를 청결하게 하고 연마할 목적으로 칫솔에 묻혀 사용하는 약물성 복합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분말, 크림, 액상 등으로 되어 있으며, 소독작용, 치석용해작용, 냄새감퇴작용 및 충치나 치조농루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와 같은 치아에 청결을 도와주는 치약은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등을 주원료로 하여 치아의 기계적 청소를 조력하는 물질로써, 그 입자의 크기, 경도, 모양이 적당하지 않으면 치아의 표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입자의 크기는 대락 1~2㎛로서 균일하고, 형태는 너무 예민하지 않으며, 굳기는 모스 굳기 3도 정도일 것 등의 구성 조건이 요구된다. 이러한 구성 조건 외에 청정제, 향료, 색소, 살균소독제, 치석용해제, 중화제 등이 조금씩 혼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점성이 강한 치약은 일반적으로 연질의 치약튜브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저장된 치약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치약튜브의 뚜껑을 열고 나서, 치약튜브를 손으로 눌러서 적당량의 치약을 받아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9803호(2009.09.23 공개, 발명의 명칭: 치약 자동 디스펜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약 등의 내용물이 펌핑되어 토출되고,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를 리필할 수 있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부와 결합된 아우터부가 용기인 하우징을 감싸고 있어 펌프 작동 시 아우터부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을 아우터부가 감싸고 있어 리필이 용이하게 내부 가이드 구조를 가진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는: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저장하고, 상기 내용물을 추출하는 펌핑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강시 상기 펌핑부를 가압하며,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부가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헤드부 사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부를 감싸고, 상기 헤드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아우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우터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부를 감싸는 중공형의 아우터 몸체부; 및 상기 아우터 몸체부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 홈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우터부는, 상기 아우터 몸체부의 일측에 개구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아우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회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노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토출부가 구비되는 헤드 몸체부; 상기 헤드 몸체부에 상기 펌핑부의 외측면을 감싸게 형성되고, 승강하면서 상기 펌핑부를 펌핑하는 펌핑 구동부; 및 상기 헤드 몸체부의 일측에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노출부에서 회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리브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게이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아우터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헤드 몸체부의 하측에 개구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우터부는, 상기 아우터 몸체부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 몸체부의 외측면에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부는 상기 돌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아우터 몸체부의 내측면에 설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는 가이드 몸체부; 상기 가이드 몸체부에 상기 펌핑부가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가이드 몸체부의 외측면에 상기 리브부가 슬라이드 이동 및 아우터부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부에 나사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토출부는 내부 형상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에 의하면, 헤드부의 작동시 개구된 게이트부에 의해 아우터부의 리브부와의 간섭이 회피되어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하우징에 저장된 내용물이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우터부와 가이드부에 각각 리브부와 가이드 홈부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설계하여 하우징에 저장된 내용물이 소진될 경우 새로운 하우징으로 용이하게 리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에 아우터부가 결합되도록 설계하여, 펌프 작동 시 아우터부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명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명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에서 헤드부의 작동이 제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명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명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에서 헤드부의 작동이 제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는 하우징(10), 헤드부(20), 하우징(30), 아우터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내부 공간에 치약 등의 내용물을 저장하고, 이 내용물을 외부로 추출한다. 하우징(10)은 저장부(11)와 펌핑부(13)를 포함한다. 저장부(11)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에 치약 등의 내용물을 저장한다. 펌핑부(13)는 헤드부(20)의 가압에 의해 펌핑되면서 저장부(11) 내부에 저장된 치약 등의 내용물을 추출한다. 펌핑부(13)의 구조는 일반적인 펌핑 구조가 적용된다.
헤드부(20)는 하우징(10)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강시 펌핑부(13)를 가압하며, 하우징(10)의 저장부(11)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부(22)를 통해 토출한다. 헤드부(20)는 헤드 몸체부(21), 펌핑 구동부(23), 게이트부(25), 헤드 가이드 홈부(27)를 포함한다.
헤드 몸체부(21)는 일측(도 2 기준 좌측)에 토출부(22)가 구비되고,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부(30)의 상측에 배치된다.
토출부(22)는 펌핑부(13)에서 추출된 치약 등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한다. 토출부(22)는 내부 형상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도 4 참조). 토출부(22)는 내부 형상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굳은 내용물이 앞으로 발사되지 않게 된다.
펌핑 구동부(23)는 헤드 몸체부(21)의 일측(도 4 기준 하측)에 펌핑부(13)의 외측면을 감싸게 형성되고, 승강하면서 펌핑부(13)를 펌핑한다. 펌핑 구동부(23)의 작동에 의해 펌핑부(13)가 펌핑되면서 하우징(10)의 저장부(11)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승되고 토출부(2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게이트부(25)는 헤드 몸체부(21)의 일측(도 2 기준 우측하방)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헤드 몸체부(21)가 아우터부(40)의 아우터 몸체부(41)에서 회동되면서 토출부(22)에서 아우터부(40)의 노출부(45)에서 회동된 위치에 따라 아우터부(40)의 리브부(43)와의 간섭을 회피한다. 즉, 게이트부(25)는 아우터부(40)의 리브부(43)와 간섭을 회피하여 헤드 몸체부(21)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한다.
게이트부(25)는 헤드 몸체부(21)에 아우터부(40)의 아우터 몸체부(41)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헤드 몸체부(21)의 하측에 개구되게 형성된다. 게이트부(25)가 아우터부(4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게이트부(25)를 통해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헤드 가이드 홈부(27)는 헤드 몸체부(21)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헤드 가이드 홈부(27)는 아우터부(40)의 아우터 몸체부(41)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47)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돌기부(4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헤드 가이드 홈부(27)가 돌기부(4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헤드 몸체부(21)의 회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하우징(10)과 헤드부(20) 사이에 장착되고, 아우터부(4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한다. 가이드부(30)는 가이드 몸체부(31), 관통홀부(32), 가이드 홈부(33)를 포함한다.
가이드 몸체부(31)는 하우징(10)의 저장부(11)의 상측에 안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관통홀부(32)는 가이드 몸체부(31)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저장부(11)의 상측에 배치된 펌핑부(13)가 가이드 몸체부(31)의 상측으로 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관통홀부(32)의 직경은 펌핑부(13)가 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관통홀부(3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관통홀부(32)의 나사산은 하우징(10)의 결합부(15)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결합부(15)와 가이드부(30)의 관통홀부(32)의 나사 체결에 의해, 하우징(10)과 가이드부(30)과 결합되고, 하우징(10)을 교체할 경우 하우징(10)을 회전시켜 결합부(15)와 관통홀부(32)의 나사 체결을 해체한다.
가이드 홈부(33)는 가이드 몸체부(31)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아우터부(40)의 리브부(43)가 가이드 홈부(33)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및 아우터부(40)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다. 가이드 홈부(33)는 리브부(4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리브부(43)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홈부(33)는 리브부(43)의 수와 같거나 더 많게 가이드 몸체부(31)에 형성된다.
가이드 홈부(33)는 아우터부(40)의 리브부(43)와 맞물리고, 하우징(10)은 가이드부(30)에 결합부(15)와 관통홀부(32)의 나사 결합으로 고정된다. 가이드 홈부(33)와 리브부(43)가 맞물린 상태에서 가이드부(30)는 아우터부(40)에 고정되고, 하우징(10)을 회전시키면 하우징(10)은 가이드부(30)로부터 분리된다. 가이드부(30)로부터 분리된 하우징(10)은 새 하우징(10)으로 교체될 수 있다.
아우터부(40)는 하우징(10)과 가이드부(30)를 감싸고, 헤드부(20)의 승강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아우터부(40)는 아우터 몸체부(41), 리브부(43), 노출부(45), 돌기부(47)를 포함한다.
아우터 몸체부(41)는 하우징(10)과 가이드부(30)를 감싸고 상하가 개구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리브부(43)는 아우터 몸체부(41)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리브부(43)는 가이드부(30)의 가이드 홈부(33)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노출부(45)는 아우터 몸체부(41)의 일측(도 2 기준 전방측)에 개구되게 형성되고, 토출부(22)가 아우터 몸체부(41)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것으로, 토출부(22)가 아우터 몸체부(41)에서 회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노출부(45)의 크기는 토출부(22)의 회동 범위로 설정된다.
돌기부(47)는 아우터 몸체부(41)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헤드부(20)의 헤드 가이드 홈부(27)에 결합된다. 헤드 가이드 홈부(27)는 돌기부(47)를 따라 회동한다.
돌기부(47)는 아우터 몸체부(41)의 내측면에 설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된다. 돌기부(47)는 아우터 몸체부(41)의 내측면에 복수 개로 이격 형성되어,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헤드부(20)의 헤드 몸체부(21)를 가압하면, 펌핑 구동부(23)의 작동에 의해 펌핑부(13)가 펌핑되면서 하우징(10)의 저장부(11) 내의 내용물이 토출부(22)를 통해 토출된다.
하우징(10)의 저장부(11)에 저장된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도록 펌핑 구동부(23)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헤드 몸체부(21)의 토출부(22)가 노출부(45)를 따라 회동되게 한다. 이때 헤드 몸체부(21)에 형성된 게이트부(25)에 의해 헤드 몸체부(21)의 승강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헤드 몸체부(21)는 헤드 가이드 홈부(27)와 돌기부(47)의 결합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토출부(22)가 노출부(45)를 따라 회동되면, 헤드 몸체부(21)가 리브부(43)가 간섭되어 헤드 몸체부(21)의 승강이 제한되고, 펌핑 구동부(23)가 작동되지 않아, 펌핑부(13)의 작동을 통한 토출부(22)로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토출부(22)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토출부(22)의 위치를 복귀시켜 게이트부(25)가 리브부(43)와 간섭되지 않게 함으로써, 헤드 몸체부(21)의 승강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에 의하면, 헤드부(20)의 작동시 개구된 게이트부(25)에 의해 아우터부(40)의 리브부(43)와의 간섭이 회피되어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하우징(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우터부(40)와 가이드부(30)에 각각 리브부(43)와 가이드 홈부(33)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설계하여 하우징(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소진될 경우 새로운 하우징(10)으로 용이하게 리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20)에 아우터부(40)가 결합되도록 설계하여, 펌프 작동 시 아우터부(40)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저장부
13: 펌핑부 15: 결합부
20: 헤드부 21: 헤드 몸체부
22: 토출부 23: 펌핑 구동부
25: 게이트부 27: 헤드 가이드 홈부
30: 가이드부 31: 가이드 몸체부
32: 관통홀부 33: 가이드 홈부
40: 아우터부 41: 아우터 몸체부
43: 리브부 45: 노출부
47: 돌기부

Claims (10)

  1.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저장하고, 상기 내용물을 추출하는 펌핑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강시 상기 펌핑부를 가압하며,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부가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헤드부 사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부를 감싸고, 상기 헤드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아우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부를 감싸는 중공형의 아우터 몸체부; 및
    상기 아우터 몸체부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 홈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부는,
    상기 아우터 몸체부의 일측에 개구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아우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회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노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토출부가 구비되는 헤드 몸체부;
    상기 헤드 몸체부에 상기 펌핑부의 외측면을 감싸게 형성되고, 승강하면서 상기 펌핑부를 펌핑하는 펌핑 구동부; 및
    상기 헤드 몸체부의 일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게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아우터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헤드 몸체부의 하측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부는, 상기 아우터 몸체부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 몸체부의 외측면에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헤드 가이드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 가이드 홈부는 상기 돌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아우터 몸체부의 내측면에 설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는 가이드 몸체부;
    상기 가이드 몸체부에 상기 펌핑부가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가이드 몸체부의 외측면에 상기 리브부가 슬라이드 이동 및 아우터부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부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내부 형상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KR1020180095579A 2018-08-16 2018-08-16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KR10255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79A KR102559672B1 (ko) 2018-08-16 2018-08-16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CN201811612837.6A CN110833351A (zh) 2018-08-16 2018-12-27 高粘度流体可重填泵分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79A KR102559672B1 (ko) 2018-08-16 2018-08-16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10A true KR20200021010A (ko) 2020-02-27
KR102559672B1 KR102559672B1 (ko) 2023-07-27

Family

ID=6957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579A KR102559672B1 (ko) 2018-08-16 2018-08-16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9672B1 (ko)
CN (1) CN1108333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293B1 (ko) 2020-03-17 2020-07-27 태광화학공업 주식회사 재활용이 용이한 디스펜서
KR102150824B1 (ko) 2020-03-24 2020-09-01 태광화학공업 주식회사 재활용이 용이한 디스펜서
KR102271529B1 (ko) 2021-03-04 2021-07-01 태광화학공업 주식회사 액체 디스펜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3864B1 (en) * 2003-06-24 2006-01-10 Harbor Dental Bleaching Group, Inc. Fluid dispenser assembly
KR200413175Y1 (ko) * 2006-01-16 2006-04-07 (주)연우 잔류량 표시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KR100816288B1 (ko) * 2007-01-26 2008-03-24 애경산업(주) 디스펜서
US20130068797A1 (en) * 2009-12-23 2013-03-21 Leafgreen, Ltd. Manual pump type fluid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24598Y (zh) * 2004-08-09 2005-09-14 张利英 一种脚踏式皂液挤出装置
JP4569958B2 (ja) * 2005-03-31 2010-10-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式液体噴出容器
FR2908116B1 (fr) * 2006-11-06 2012-07-13 Valois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KR101031833B1 (ko) * 2011-01-14 2011-05-02 구정오 병 및 진공용기 진공펌프
KR20130069130A (ko) * 2011-12-16 2013-06-26 백봉기 세제용기
JP6355469B2 (ja) * 2014-07-31 2018-07-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式注出器
CN107874675B (zh) * 2016-09-29 2020-08-07 Toto株式会社 洗手液供给装置
CN207236714U (zh) * 2017-04-01 2018-04-17 厦门英仕卫浴有限公司 一种头部防拆的给皂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3864B1 (en) * 2003-06-24 2006-01-10 Harbor Dental Bleaching Group, Inc. Fluid dispenser assembly
KR200413175Y1 (ko) * 2006-01-16 2006-04-07 (주)연우 잔류량 표시기능을 갖는 디스펜서
KR100816288B1 (ko) * 2007-01-26 2008-03-24 애경산업(주) 디스펜서
US20130068797A1 (en) * 2009-12-23 2013-03-21 Leafgreen, Ltd. Manual pump type fluid dispens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293B1 (ko) 2020-03-17 2020-07-27 태광화학공업 주식회사 재활용이 용이한 디스펜서
KR102150824B1 (ko) 2020-03-24 2020-09-01 태광화학공업 주식회사 재활용이 용이한 디스펜서
KR102271529B1 (ko) 2021-03-04 2021-07-01 태광화학공업 주식회사 액체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672B1 (ko) 2023-07-27
CN110833351A (zh)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1010A (ko) 리필이 가능한 고점성 유체 펌프 디스펜서
JP4307492B2 (ja) 化粧品容器
US11033091B2 (en) Dispensing system
CN1313283C (zh) 可倒置提供定量流体供应的标记工具的筒
US7244073B2 (en) Travel toothbrush assembly
JP4638428B2 (ja) 液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物質を駆出する装置
SK136296A3 (en) Refillable container for delivering a spreading compound, in particular an adhesive compound
KR20210005426A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WO2015077456A2 (en) Pen removably retaining single use capsule
RU2586308C2 (ru) Картридж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картриджа
KR20200073201A (ko) 화장품 또는 의료 제품을 분배 및 도포하기 위한 디바이스
US7367737B2 (en) Paste-N-Brush
JP6670539B2 (ja) 塗布具
US20020114658A1 (en) Combination toothbrush/dentifrice dispenser
JP2020529284A (ja) ボールの形態の製品を分配するための装置
US20090052972A1 (en) Cartridge used to dispense fluid within a brush
KR20180046931A (ko) 펜타입 화장품 용기
JP2007222422A (ja) 歯ブラシ
DE19828557C2 (de) Zahnbürste
KR200230104Y1 (ko) 겔상 립스틱 용기
KR102120247B1 (ko) 밀폐 및 편의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101932094B1 (ko) 이종 내용물 화장품 용기
KR20130113281A (ko) 치약 일체형 칫솔
KR102659460B1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100445936B1 (ko) 다용도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