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461A - 스트립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461A
KR20200020461A KR1020180096199A KR20180096199A KR20200020461A KR 20200020461 A KR20200020461 A KR 20200020461A KR 1020180096199 A KR1020180096199 A KR 1020180096199A KR 20180096199 A KR20180096199 A KR 20180096199A KR 20200020461 A KR20200020461 A KR 20200020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pe
tension
strip
bri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9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0461A/ko
Publication of KR2020002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2Brid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스트립 이송 장치는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 사이에 위치하는 스트립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을 경유하는 로프, 상기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과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로프의 장력 및 상기 로프의 이동 속도를 센싱하는 로프 센싱부, 상기 로프 센싱부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장력 및 상기 로프의 이동 속도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 및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립 이송 장치{STRIP TRANSFER APPARATUS}
본 기재는 스트립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 공정은 텐션 브라이들 롤들(tension bridle rolls)을 포함하는 PCM(pickling and tandem cold rolling mill) 및 POL(pickling and oiling line) 등의 냉연 공정 라인을 이용해 스트립(strip)을 냉간 압연하는 공정이다.
냉연 공정 중 PCM 및 POL 등의 냉연 공정 라인에 수리(repair)가 필요한 경우, 냉연 공정 라인에 위치하는 스트립을 절판하고, 냉연 공정 라인을 수리하였다.
그리고, 냉연 공정 라인의 라인 스타트(line start) 전에, 스트립을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을 경유시키기 위해,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 사이에 위치하는 스트립의 단부에 로프(rope)를 연결하고, 로프를 이용해 스트립의 단부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에 지지시켰다.
그런데, 작업자가 직접 로프를 이용해 스트립을 이송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프를 이용해 스트립을 이송시킬 때, 스트립의 장력 또는 로프의 장력이 상승하여 스트립 또는 로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실시예는,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 사이에 위치하는 스트립의 단부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에 지지하는 스트립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텐션 브라이들 롤들에 스트립을 경유시키는 작업 시간이 최소화된 스트립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냉연 공정 라인의 수리 후, 스트립을 용이하게 텐션 브라이들 롤들에 경유시키는 스트립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스트립을 텐션 브라이들 롤들에 경유시키는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스트립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을 포함하는 냉연 공정 라인을 통하는 스트립을 이송하는 스트립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과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스트립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을 경유하는 로프, 상기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과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로프의 장력 및 상기 로프의 이동 속도를 센싱하는 로프 센싱부, 상기 로프 센싱부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장력 및 상기 로프의 이동 속도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 및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로프 센싱부는, 상기 로프의 일 부분을 상측에서 가압하는 제1 롤, 상기 제1 롤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롤의 직선 변위를 센싱하는 제1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상기 제1 롤과 이격되어 상기 로프의 타 부분을 하측에서 가압하는 제2 롤, 및 상기 제2 롤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롤의 직선 변위를 센싱하는 제2 포텐셔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포텐셔미터 및 상기 제2 포텐셔미터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장력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 알람(alarm)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프의 장력이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의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상기 로프 센싱부는, 상기 제1 롤 및 제2 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롤 및 상기 제2 롤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는 PLG(pulse logic gener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PLG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이동 속도와 동기화하여 상기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 및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프의 장력이 상승하면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 사이에 위치하는 스트립의 단부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에 지지하는 스트립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텐션 브라이들 롤들에 스트립을 경유시키는 작업 시간이 최소화된 스트립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냉연 공정 라인의 수리 후, 스트립을 용이하게 텐션 브라이들 롤들에 경유시키는 스트립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스트립을 텐션 브라이들 롤들에 경유시키는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스트립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프 센싱부를 경유하는 로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프의 장력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의 제어부의 제1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의 제어부의 제2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는 PCM(pickling and tandem cold rolling mill) 및 POL(pickling and oiling line) 등의 냉연 공정 라인에 연결된 스트립 이송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는 냉연 공정 중 냉연 공정 라인에 수리(repair)가 필요한 경우, 절판된 스트립을 이송하기 위해 냉연 공정 라인에 설치 및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는 냉연 공정 라인의 텐션 브라이들 롤들에 스트립을 지지시킨 후, 냉연 공정 라인에서 분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1000)는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을 포함하는 냉연 공정 라인을 통하는 스트립(5)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냉연 공정 라인에 위치하는 스트립(5)은 냉연 공정 라인의 수리를 위해 절판된 상태이며, 이로 인해 스트립(5)의 단부는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냉연 공정 라인의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 사이에는 스트립(5)의 냉연 공정을 위한 롤 등의 다양한 공지된 구성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1000)는 로프(100), 로프 센싱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로프(100)는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 사이에 위치하는 스트립(5)의 단부와 연결되어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을 경유한다. 로프(100)는 스트립(5)의 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에 걸려있다.
로프(100)는 스트립(5)의 단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스트립(5)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리 등의 연결 수단을 이용해 스트립(5)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로프(100)는 로프 센싱부(200)의 제1 롤(210)과 제2 롤(23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롤(210) 및 제2 롤(230)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된다. 로프(100)는 제1 롤(210) 및 제2 롤(230)에 지지되어 제1 롤(210) 및 제2 롤(230)을 경유한다.
로프(100)는 마닐라 로프(manila rop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로프(100)는 섬유, 금속, 및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프일 수 있다.
로프 센싱부(200)는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 사이에 위치한다. 로프 센싱부(200)는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과 이웃하여 위치한다. 로프 센싱부(200)는 로프(100)의 장력 및 로프(100)의 이동 속도를 센싱한다.
로프 센싱부(200)는 제1 롤(210), 제1 포텐셔미터(potentiometer)(220), 제2 롤(230), 제2 포텐셔미터(240), PLG(pulse logic generator)(250)를 포함한다.
제1 롤(210)은 로프(100)의 일 부분을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1 롤(210)은 로프(100)를 지지하며, 로프(100)는 제1 롤(210)을 경유한다. 제1 롤(210)의 표면에는 그루브(groove)가 형성될 수 있으며, 로프(100)는 제1 롤(210)의 표면의 그루브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포텐셔미터(220)는 제1 롤(210)과 연결된다. 제1 포텐셔미터(220)는 제1 롤(21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의 직선 변위를 센싱한다. 제1 포텐셔미터(220)는 제1 롤(210)의 직선 변위를 센싱할 수 있다면,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롤(230)은 제1 롤(210)과 이격되어 로프(100)의 타 부분을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2 롤(230)은 로프(100)를 지지하며, 로프(100)는 제2 롤(230)을 경유한다. 제2 롤(230)의 표면에는 그루브(groove)가 형성될 수 있으며, 로프(100)는 제2 롤(230)의 표면의 그루브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포텐셔미터(240)는 제2 롤(230)과 연결된다. 제2 포텐셔미터(240)는 제2 롤(23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의 직선 변위를 센싱한다. 제2 포텐셔미터(240)는 제2 롤(230)의 직선 변위를 센싱할 수 있다면,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PLG(250)는 제1 롤(210)과 연결된다. PLG(250)는 제1 롤(210)의 회전 속도를 센싱한다. 한편, PLG(250)는 제1 롤(210) 및 제2 롤(23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제1 롤(210) 및 제2 롤(23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프 센싱부를 경유하는 로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프의 장력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로프 센싱부(200)는 제1 포텐셔미터(220) 및 제2 포텐셔미터(240)를 이용하여 로프(100)의 장력을 센싱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로프(100)의 장력이 약할 경우, 로프(100)가 제1 롤(210) 및 제2 롤(230)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1 롤(210) 및 제2 롤(230)을 경유할 경우, 로프(100)는 제1 롤(210) 및 제2 롤(230) 각각의 표면을 따라 굴곡진 형태로 연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로프(100)의 장력이 상승할 경우, 로프(100)가 플랫(flat)해지면서, 로프(100)가 제1 롤(210) 및 제2 롤(23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해 제1 포텐셔미터(220) 및 제2 포텐셔미터(240)에서 제1 롤(210) 및 제2 롤(230)의 직선 변위를 센싱하고, 이에 관련된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로프 센싱부(200)는 제1 포텐셔미터(220) 및 제2 포텐셔미터(240)를 이용해 로프(100)의 장력에 의한 제1 롤(210) 및 제2 롤(230)의 직선 변위를 센싱하여, 로프(100)의 장력을 센싱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로프 센싱부(200)는 PLG(250)를 이용해 로프(100)의 이동 속도를 센싱한다.
구체적으로,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이 회전하여 로프(100)를 당기면, PLG(250)는 제1 롤(210) 및 제2 롤(23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를 센싱한다. 이로 인해 제1 롤(210) 및 제2 롤(23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를 기초하여 제1 롤(210) 및 제2 롤(230)을 경유하는 로프(100)의 이동 속도를 센싱한다.
즉, 로프 센싱부(200)는 PLG(250)를 이용해 제1 롤(210) 및 제2 롤(23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여, 로프(100)의 이동 속도를 센싱한다.
제어부(300)는 로프 센싱부(200),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과 연결된다.
제어부(300)는 로프 센싱부(200)의 제1 포텐셔미터(220) 및 제2 포텐셔미터(240)와 연결되며, 로프 센싱부(200)로부터 로프(100)의 장력값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제어부(300)는 로프 센싱부(200)의 PLG(250)와 연결되며, 로프 센싱부(200)로부터 로프(100)의 이동 속도값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제어부(300)는 로프 센싱부(200)가 센싱한 로프(100)의 장력 및 로프(100)의 이동 속도 각각에 기초하여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 각각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1을 참조하여, 제어부(300)의 제1 제어를 설명한다. 제어부(300)의 제1 제어는 스트립 이송 장치(1000)를 이용한 스트립 이송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의 제어부의 제1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300)는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을 구동하여 스트립(5) 및 로프(100)에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로프(100)를 이용해 스트립(5)을 이송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로프 센싱부(200)에 의해 로프(100)의 장력이 설정값 이상 상승한 것을 감지한다.
다음, 제어부(300)는 로프(100)의 장력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 알람(alarm)을 발생한다.
다음, 제어부(300)는 로프(100)의 장력이 설정값 이상이면,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의 회전을 멈춘다. 이때, 제어부(300)는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의 회전도 멈출 수 있다.
다음, 제어부(300)는 냉연 공정 라인에서 스트립(5)의 이송과 관련하여 발생된 문제가 작업자에 의해 해결된 후, 작업자에 의해 알람이 리셋(reset)되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스트립(5)의 이송과 관련하여 발생된 문제는 스트립(5)이 냉연 공정 라인의 굴곡진 부분에 끼이는 문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 알람이 리셋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300)는 로프(100)의 장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다음, 알람이 리셋된 경우, 제어부(300)는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 및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을 구동하여 로프(100)를 이용해 스트립(5)을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로 이송한다.
제어부(300)는 로프(100)가 제1 롤(210)을 통과하면 스트립(5)이 제1 롤(210)과 제2 롤(230) 사이로 진입하기 전에 제1 롤(210)과 제2 롤(230) 사이를 이격시켜 로프(100)에 연결된 스트립(5)이 제1 롤(210) 및 제2 롤(23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300)의 제1 제어는 스트립(5)의 이송 중 스트립(5) 및 로프(100)의 걸림 감지 제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5 및 도 1을 참조하여, 제어부(300)의 제2 제어를 설명한다. 제어부(300)의 제2 제어는 스트립 이송 장치(1000)를 이용한 스트립 이송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의 제어부의 제2 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300)는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을 구동하여 스트립(5) 및 로프(100)에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로프(100)를 이용해 스트립(5)을 이송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로프 센싱부(200)에 의해 로프(100)의 이동 속도를 감지한다.
다음, 제어부(300)는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을 동기화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로프(100)의 이동 속도와 동기화하여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다음, 제어부(300)는 로프 센싱부(200)에 의해 로프(100)의 장력이 상승하였는지 확인한다.
다음, 로프(100)의 장력이 상승한 경우, 제어부(300)는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킨다. 일례로, 제어부(300)는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의 회전 속도를 1%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다시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을 로프(100)의 이동 속도와 동기화 구동한다.
다음, 로프(100)의 장력이 상승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300)는 설정된 회전 속도로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을 구동한다. 일례로, 설정된 회전 속도로 인해 로프(100) 및 스트립(5)은 15mpm(meter per minute)의 이동 속도로 이송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로프(100)가 제1 롤(210)을 통과하면 스트립(5)이 제1 롤(210)과 제2 롤(230) 사이로 진입하기 전에 제1 롤(210)과 제2 롤(230) 사이를 이격시켜 로프(100)에 연결된 스트립(5)이 제1 롤(210) 및 제2 롤(23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300)의 제2 제어는 스트립(5)의 이송 중 스트립(5) 및 로프(100)의 이동 속도 제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송 장치(1000)는, 냉연 공정 라인의 수리 후에, 스트립(5)의 단부에 연결된 로프(100)의 장력 및 로프(100)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과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 사이에 위치하는 스트립(5)의 단부를 자동으로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로 용이하게 이송시켜 지지한다.
또한, 스트립 이송 장치(1000)는 제어부(300)가 로프 센싱부(200)가 센싱한 로프(100)의 장력 및 로프(100)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스트립(5)을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을 경유시킴으로써, 텐션 브라이들 롤들에 스트립(5)을 경유시키는 작업 시간을 최소화한다.
즉, 냉연 공정 라인의 수리 후, 로프(100)의 이동 속도에 동기화하여 스트립(5)을 로프(100)를 이용해 자동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스트립(5)을 용이하게 텐션 브라이들 롤들에 경유시키는 스트립 이송 장치(1000)가 제공된다.
또한, 냉연 공정 라인의 수리 후, 로프(100)의 장력 상승에 따라 자동으로 알람을 발생함으로써, 스트립(5)을 텐션 브라이들 롤들에 경유시키는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스트립 이송 장치(1000)가 제공된다.
본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10),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20), 스트립(5), 로프(100), 로프 센싱부(200), 제어부(300)

Claims (7)

  1.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 및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을 포함하는 냉연 공정 라인을 통하는 스트립을 이송하는 스트립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과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스트립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을 경유하는 로프;
    상기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과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로프의 장력 및 상기 로프의 이동 속도를 센싱하는 로프 센싱부;
    상기 로프 센싱부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장력 및 상기 로프의 이동 속도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 및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송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로프 센싱부는,
    상기 로프의 일 부분을 상측에서 가압하는 제1 롤;
    상기 제1 롤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롤의 직선 변위를 센싱하는 제1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상기 제1 롤과 이격되어 상기 로프의 타 부분을 하측에서 가압하는 제2 롤; 및
    상기 제2 롤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롤의 직선 변위를 센싱하는 제2 포텐셔미터
    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송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포텐셔미터 및 상기 제2 포텐셔미터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장력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 알람(alarm)을 발생하는 스트립 이송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프의 장력이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의 회전을 멈추는 스트립 이송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로프 센싱부는,
    상기 제1 롤 및 제2 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롤 및 상기 제2 롤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는 PLG(pulse logic generator)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 이송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LG와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이동 속도와 동기화하여 상기 전방 텐션 브라이들 롤 및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트립 이송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프의 장력이 상승하면 상기 후방 텐션 브라이들 롤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스트립 이송 장치.
KR1020180096199A 2018-08-17 2018-08-17 스트립 이송 장치 KR20200020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99A KR20200020461A (ko) 2018-08-17 2018-08-17 스트립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99A KR20200020461A (ko) 2018-08-17 2018-08-17 스트립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461A true KR20200020461A (ko) 2020-02-26

Family

ID=6963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199A KR20200020461A (ko) 2018-08-17 2018-08-17 스트립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04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2929A1 (de) 2020-02-19 2021-08-19 Hyundai Mobis Co., Ltd. Elektromechanische brems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2929A1 (de) 2020-02-19 2021-08-19 Hyundai Mobis Co., Ltd. Elektromechanische brems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2421B2 (en) Bonding machine for new and old SMT splicing belts
US68747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eling up in the proper position a hot-rolled strip in a reeling installation
CN101318365A (zh) 塑料加工方法及塑料加工系统
KR20200020461A (ko) 스트립 이송 장치
CA2398565C (en) Rolling strip material
EP1944258A3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inimizing waste during web splicing
CN1986209B (zh) 张力变动吸收装置
JP2007222918A (ja) 幅圧下プレス設備におけるスリップ検出方法およびスリップ防止方法
JPH069703B2 (ja) 圧延材誘導装置
JP5672646B2 (ja) 厚鋼板の停止位置制御方法
KR101585800B1 (ko) 이송 테이블의 이송 속도 제어 장치
JP5374261B2 (ja) ベルト脱索防止システム
CN101583441B (zh) 用于轧制带材用的机架的控制方法
US1727634A (en) Feeder
CN207592900U (zh) 一种板材切断设备
KR20180007851A (ko)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CN215657053U (zh) 一种钢卷带头定位装置
KR20090012261U (ko) 런 아웃 롤러 테이블 제어장치
CN101513959A (zh) 皮带自动纠偏装置
CN211587972U (zh) 一种热镀锌线光整机有带无带标定装置
CN214989087U (zh) 导布装置
JP5206127B2 (ja) プロセスライン駆動モータの非常停止方法および装置
JPS63149013A (ja) 巻取り機
CN112108522B (zh) 一种实现冷轧带钢头部平稳穿带的控制方法
CN112960443A (zh) 导布装置及导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