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346A -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 Google Patents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346A
KR20200019346A KR1020180094731A KR20180094731A KR20200019346A KR 20200019346 A KR20200019346 A KR 20200019346A KR 1020180094731 A KR1020180094731 A KR 1020180094731A KR 20180094731 A KR20180094731 A KR 20180094731A KR 20200019346 A KR20200019346 A KR 20200019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cover
view
life jacke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진석
Original Assignee
김서현
하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현, 하진석 filed Critical 김서현
Priority to KR102018009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9346A/ko
Publication of KR2020001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346A/ko
Priority to KR1020210148661A priority patent/KR102357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B27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적인 경우 의자 등받이 덮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위급 상황 시에는 구명조끼로 가변될 수 있는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를 덮는 등받이 덮개에 있어서, 상기 의자 등받이 전면을 덮는 전면부; 상기 의자 등받이 후면을 덮는 후면부; 상기 의자 등받이의 상단에 걸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본 발명은 구명조끼로 가변 될 수 있는 의자 등받이 덮개에 관한 것으로, 일면으로는 의자 덮개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면으로는 구명조끼로 사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로 가변 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해상 선박등과 같이 대형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곳에서 구명물품을 일정 인원에 비례하도록 구비해야 하는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제에 따르기에는 선박의 제한된 면적과 수용규모에 있어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소화되거나 소형화 또는 가변되는 구명물품이 개발되어 왔는데, 이렇게 소형화 또는 가변되는 구명물품도 제한된 선박 면적에 적용되기 힘들다는 문제점과, 이렇게 개발된 구명 물품은 소형화 또는 간소화 될수록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인명구호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등록특허 제5,335,882호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비행기 의자용 시트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밑판에 구비되는 쿠션이 구명조끼로 가변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별도의 이동없이 신속하게 구명 조끼를 착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지만, 기존의 의자에 적용할 수는 없고 기존의 의자 전체를 교체해야 구명조끼를 구비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면으로는, 상기 미국 등록특허의 경우, 부력재를 의자의 쿠션으로 사용하고 목과 팔 부분이 들어갈 부분을 착용 전 해체해야 하기에 착용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기존에 비행기나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의자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면서, 구명조끼로 사용 시 누구나 손쉽게 직관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기존에 비행기나 선박에 기설치되어 있는 의자에 적용되어, 일상적으로 사용 시에는 의자 등받이 덮개로서 활용될 수 있고, 위급시에는 구명조끼로 가변될 수 있는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자 등받이를 덮는 등받이 덮개에 있어서, 상기 의자 등받이 전면을 덮는 전면부; 상기 의자 등받이 후면을 덮는 후면부; 상기 의자 등받이의 상단에 걸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존에 기설치되어 있는 항공기나 선박에도 간편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일상적인 사용 시에는 쿠션감을 줄 수 있는 의자 등받이 덮개로서 사용되다가, 위급시에는 간편하게 구명조끼로 가변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100, 이하 등받이 덮개)를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전면도(a) 및 후면도(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구명조끼 면을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전면도(a) 및 후면도(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100)를 의자에 체결시킨 상태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상적인 사용 시에는 비행기나 선박에 기설치되어 있는 의자의 등받이를 덮을 수 있는 덮개로 사용 될 수 있으나, 위급시에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몸에 착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로 활용될 수 있는 덮개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100, 이하 등받이 덮개)를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전면도(a) 및 후면도(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측면도는 우측면도이나, 좌측면도는 우측면도와 좌우대칭될 뿐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를 덮는 등받이 덮개(100)는 상기 의자 등받이 전면을 덮는 전면부(101), 상기 의자 등받이 후면을 덮는 후면부(103), 상기 의자 등받이의 상단에 걸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02), 및 상기 전면부(101), 후면부(103) 및 연결부(10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부력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110)는 고체형태의 부력체일 수 있다. 고체 형태의 부력체는 폴리에틸렌(PE)이나 PVC, NBR(Nitrile-butadiene rubber), EVA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발포성형시켜 형성된 폼 등의 발포성 수지를 판형상으로 가공하여 구비될 수 있다.
NBR(Nitrile-butadiene rubber)은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을 저온 유화중합법으로 만든 합성고무 제품으로서, NBR은 내유성이 우수하여 연료호스, 신발 밑창,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되며, PVC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PVC 개질제로도 사용될 수 있는 재질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는, 전면부(101), 연결부(102) 및 후면부(103)가 구분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는 사각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이러한 사각 판 형상이 펼쳐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부(102) 부분이 의자 등받이의 상단에 걸쳐지면, 자연스럽게 연결부(102) 부분이 구부러지면서 전면부(101)는 의자 등받이의 전면을 덮고, 후면부(103)는 의자 등받이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도 13 참조).
이때, 사각 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의자 등받이의 전면이나 후면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던지 가능할 것이다. 특히, 디자인적이나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사각 판 형상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전면부(101), 후면부(103) 및 연결부(10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부력체(110-1 ~ 110-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력체(110-1 ~ 110-10)는, 구명조끼로 가변 시 부력을 제공해 줄 수도 있지만, 등받이로 활용 시 쿠션으로 역할을 하여 의자에 앉아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착석감을 향상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는, 상기 전면부(101)에 구비 시 좌우로 구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이를 착용한 사람이 물에서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구명조끼로부터 물이 빠르게 배수되어야, 사람을 끌어올릴 때 보다 적은 힘으로 가능해 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면부(101)에 구비되는 전면 부력체(110-1, 110-2)가 좌측으로 구비되는 제 1 부력체(110-1) 및 우측으로 구비되는 제 2 부력체(110-2)로 구분되고, 제 1 및 제 2 부력체(110-1, 110-2)의 사이에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로(112)를 형성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배수로(112)를 따라서 물이 쉽게 빠져나가면, 물에 빠져 있는 사람을 육지나 선박으로 끌어 올릴 때 보다 적은 힘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수 개의 부력체(110-1 ~ 110-10)는, 구부러져야 하는 위치에 따라서 나누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부(101)와 연결부(102)의 제 1 경계(120-1)는, 의자 등받이 상단에 의해서 구부러져야 하는 위치이다. 마찬가지로, 후면부(103)와 연결부(102)의 제 2 경계(120-2) 역시 의자 등받이 상단에 의해서 구부러져야 하는 위치이다.
제 1 경계(120-1)에서 잘 구부러질 수 있도록, 제 1 부력체(110-1)와 제 4 부력체(110-4)는 서로 나누어지도록 구비되며, 마찬가지로 제 2 부력체(110-2)와 제 5 부력체(110-5)는 서로 나누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제 2 경계(120-2)에서 잘 구부러질 수 있도록, 제 6 부력체(110-6)와 후면 부력체(제 9 부력체, 110-9)사이, 제 7 부력체(110-7)와 후면 부력체(제 9 부력체, 110-9)사이 및 제 8 부력체(110-8)와 후면 부력체(제 9 부력체, 110-9)사이는 나누어 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절개선(130)에 의해서 제 3 부력체(110-3) 및 전면 부력체(110-1, 110-2)사이, 제 4 및 제 10 부력체(110-4, 110-10)사이, 제 5 및 제 10 부력체(110-5, 110-10)사이, 제 6 및 제 7 부력체(110-6, 110-7)사이, 제 8 및 제 7 부력체(110-8, 110-7)사이가 나누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는, 구명조끼로 활용 시 착용자의 머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목구멍을 형성하도록 절개선(130)(예를 들면 'U'자형태)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130)에 의해서 개방되는 구멍을 통하여, 착용자가 머리를 통과시키고 목에 착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선(130)은, 일측은 남기고 나머지가 절개되는 형상을 제안한다. 왜냐하면, 절개되지 않는 부분이 고정되어 절개된 부분을 고정시키고, 절개된 부분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목 뒤부분을 받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개될 경우, 절개되지 않아 고정되는 영역에 의해 절개되어 개방되는 부분이 등받이 덮개(100)에 매달리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이렇게 개방되는 부분을 목받침부(140)라고 호칭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착용자가 구명조끼를 착용 시, 이러한 목받침부(140) 자체의 부력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머리나 목을 받칠 수 있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물에 떠있을 때에 편안한 자세를 취하여 오랫동안 생존이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절개되지 않은 부분은 착용자의 목 뒤부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받침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부력체(110-3, 110-10, 110-7)로 나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복수 개로 나뉘어진 부력체(110-3, 110-10, 110-7)는 위와 같이 개방되었을 때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구부러진 상태로 착용자의 목을 편안하게 바쳐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복수 개로 나뉘어진 부력체(110-3, 110-10, 110-7)는, 수평 방향으로 구분되도록 나뉘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목받침부(140)에 손잡이(111)를 더 구비하도록 제안한다. 이와 같은 손잡이(111)는 위급 상황 시,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이 손잡이(111)를 잡고 위쪽 방향으로 잡아 당길 경우, 본 등받이 덮개(100)가 의자 등받이로부터 손쉽게 벗겨지기 위함이다.
또한, 의자 등받이에 효과적으로 고정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01)와 후면부(103)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체결밴드(201-1)를 더 구비하도록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급한 상황이 아니라 일상적인 경우 본 발명의 등받이 덮개(100)는 의자 등받이 덮개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해야만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하게 의자 등받이에 걸쳐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지 않고, 의자 등받이에 효과적으로 고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면부(101)와 후면부(103)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체결밴드(201-1)가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구명조끼로 활용 시에도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신체에 효과적으로 고정되기 위하여 제 1 체결밴드(201-1)가 요구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체결밴드(201-1)의 일단은 후면부(103)의 하단에 체결되고, 제 1 체결밴드(201-1)의 타단은 전면부(101)의 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101)는 후면부(103)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제 1 체결밴드(201-1)의 상기 일단은 후면부(103)의 하단 모서리에서부터 비스듬하게 대각선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의자 등받이의 측면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전면부(101)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라운드 처리 된 사각 형상의 모서리에 상기 제 1 체결밴드(201-1)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체결밴드(201-1)의 중간에 버클(202)을 구비한다. 이렇게 버클(202)이 구비되어, 착용자가 버클(202)의 탈착을 통하여 전면부(101)와 후면부(103)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구명조끼의 착용/해제 시 편하게 하기 위하여 버클(202)을 통하여 전면부(101)와 후면부(103)를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제 1 체결밴드(201-1)는, 전면부(101)의 좌측 일단, 우측 일단 각각에 하나씩 구비되어, 좌우를 모두 체결/고정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01)와 후면부(103)를 연결하기 위한 제 2 체결밴드(201-2)를 더 포함하도록 제안한다. 이와 같이 체결되는 제 2 체결밴드(201-2)는, 단순하게 의자 등받이에 고정되기 위함이 아니라, 구명조끼로 사용 시 착용자의 신체에 완벽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체결밴드(201-2)의 일단은, 후면부(103)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체결밴드(201-2)는 'Y' 형태의 두 갈래로 갈라져, 두 갈래로 갈라진 두 타단은 전면부(101) 하단의 좌우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이유는, 착용자의 사타구니에서부터 허벅지 방향으로 감싸도록 제 2 체결밴드(201-2)가 감싸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부력에 의해서 구명조끼가 위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데, 착용자의 사타구니 자체에서 바로 위를 향하는 힘이 가해지게 되면, 불편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체결밴드(201-1, 201-2)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의자 등받이 덮개로 활용되는 면을 뒤집어서 구명조끼로 활용하도록 제안한다. 왜냐하면, 단순하게 등받이 덮개로 활용할 때와 구명조끼로 활용할 때 필요한 구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들은 의자 등받이 덮개로 활용될 수 있는 면(이하, 등받이 면)을 설명한 것이며,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명조끼로 활용될 수 있는 면(이하, 구명조끼 면)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구명조끼 면을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전면도(a) 및 후면도(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측면도는 우측면도이나, 좌측면도는 우측면도와 좌우대칭될 뿐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구명조끼 면이 등받이 면과 반대되는 면이기 때문에 공통적인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명조끼 면이 등받이 면과 달라지는 구성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구명조끼 면의 등받이 덮개(100)는, 이하 설명의 편의 상 구명조끼(100')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구명조끼(100')의 면은, 형광 물질이 도포되거나 형광색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바다 등의 표류 시, 구명조끼(100')가 눈에 잘 띄기 위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명조끼(100')의 전면부(101), 연결부(102) 및 후면부(103) 중 적어도 하나에 손잡이(801-1, 801-2)를 형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람을 물에서 끌어올리기 위해서, 구명조끼(100') 면에 손잡이를 구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801-1, 801-2)를 구비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100')는, 좌우 양쪽으로 손잡이(801-1, 801-2)를 구비하도록 제안한다. 이는, 구명의 효율 및 편의를 위함이다. 즉, 양쪽의 손잡이(801-1, 801-2)을 양손으로 잡아 끌어 올릴 경우, 무거운 사람이라도 손쉽게 끌어 올려 구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손잡이(801-1, 801-2)는, 전면부(101), 연결부(102) 및 후면부(103) 전체에 걸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도시된 도면 참조). 왜냐하면, 표류하는 사람의 자세에 따라서 뒤에서 끌어당길 수도 있고, 앞에서 끌어당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선박에 있는 사람이 끌어 당길 때에는 위쪽 손잡이를 이용하면 편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손잡이(801-1, 801-2)는, 전면부(101), 연결부(102) 및 후면부(103) 전체에 걸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면 손잡이 영역(1101-1), 상부 손잡이 영역(1101-2) 및 후면 손잡이 영역(1101-3)으로 나누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도 11 참조).
또한, 구명조끼(100')는 상술한 절개선(130)에 의해서 목받침부(140)가 개방되어 목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목받침부(140)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 및 제 2 고정부(701-1, 701-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고정부(701-1, 701-2)는, 벨크로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접착 시, 접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제 1 및 제 2 고정부(701-1, 701-2)가 고정될 때, 목받침부(140)가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목을 보다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어, 오랜 시간 표류하더라도 쉽게 지치지 않도록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100)를 의자에 체결시킨 상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덮개(100)는 의자 등받이에 안정적으로 착용되면서, 부력체 자체의 쿠션 효과로 의자의 착석감을 향상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기 상황 시에는 구명조끼로 사용되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4)

  1. 의자 등받이를 덮는 등받이 덮개에 있어서,
    상기 의자 등받이 전면을 덮는 전면부;
    상기 의자 등받이 후면을 덮는 후면부;
    상기 의자 등받이의 상단에 걸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체결밴드를 더 포함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밴드는,
    일단이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면부의 측면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밴드를 포함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밴드는,
    일단이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체결되고, 'Y'자 형태로 갈라지는 두 타단이 상기 전면부 하단의 좌우 각각에 체결되는 제 2 체결밴드를 포함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
KR1020180094731A 2018-08-14 2018-08-14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KR20200019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31A KR20200019346A (ko) 2018-08-14 2018-08-14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KR1020210148661A KR102357113B1 (ko) 2018-08-14 2021-11-02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31A KR20200019346A (ko) 2018-08-14 2018-08-14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473A Division KR20200019546A (ko) 2018-11-15 2018-11-15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KR1020200172501A Division KR20200142490A (ko) 2020-12-10 2020-12-10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KR1020210148661A Division KR102357113B1 (ko) 2018-08-14 2021-11-02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346A true KR20200019346A (ko) 2020-02-24

Family

ID=696371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731A KR20200019346A (ko) 2018-08-14 2018-08-14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KR1020210148661A KR102357113B1 (ko) 2018-08-14 2021-11-02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661A KR102357113B1 (ko) 2018-08-14 2021-11-02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19346A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280B2 (ja) 1991-02-18 2001-07-09 ミノルタ株式会社 新規ベンジルジフェニル化合物、このベンジルジフェニル化合物を用いた用いた感光体および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US5335882A (en) * 1993-05-10 1994-08-09 Frank Bonacci Combination seat cushion and life vest particularly adapted to an aircraft chair
JP3047321B2 (ja) 1996-11-06 2000-05-29 元旦ビューティ工業株式会社 建築物の外装構造
JP3047321U (ja) * 1997-09-19 1998-04-10 株式会社ジーエム 緊急器具収納用ベスト
US6089936A (en) * 1999-03-05 2000-07-18 Hoffman; Richard S. Personal floatation device
KR200261094Y1 (ko) * 2001-10-12 2002-01-19 정은수 발광표시기능을 갖는 야간안전조끼
KR200311482Y1 (ko) * 2003-01-29 2003-05-01 주식회사 듀죤의료기 온열조끼
WO2008017116A1 (en) * 2006-08-09 2008-02-14 Gregorich, Thomas Life vest
KR100850470B1 (ko) * 2008-01-04 2008-08-07 주식회사 디씨엔 조난신호 송출장치가 장착된 구명조끼
JP3185280U (ja) * 2013-05-30 2013-08-08 株式会社Fs・Japan 学校用震災津波対策避難ジャケット
KR101820361B1 (ko) * 2016-12-26 2018-02-28 하진석 구명부기 및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194A (ko) 2021-11-12
KR102357113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5207B2 (en) Wearable personal floatation boating cushion apparatus
GB2259237A (en) An item of swimming wear
US5335882A (en) Combination seat cushion and life vest particularly adapted to an aircraft chair
US3727249A (en) Foldable yoke life preserver
US9101815B2 (en) Watersport hiking support system
US3152343A (en) Foldable yoke life presservers
US20190061889A1 (en) Inconspicuous Flotation Apparatus
JP5798104B2 (ja) ライフセーブ機能を具えたバッグ
KR200388455Y1 (ko) 구명용 방수복
KR102357113B1 (ko)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KR20200019546A (ko)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EP3024347B1 (en) Clothing with inflation system
KR20200142490A (ko)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
US11214341B2 (en)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US3065476A (en) Foldable yoke life preserver
US6715149B2 (en) Captive shell dry-suit
CN102837810A (zh) 救生衣兼用坐垫
US8961253B1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with float chair and kayak mounting features
KR101120524B1 (ko) 구명대 일체형 의자
KR20200056599A (ko) 구명조끼 일체형 의자
JPH0529448U (ja) 救命胴衣及び椅子
JP2006230439A (ja) 防災津波座布団
EP0023430A1 (en) A safety garment
CA2358886C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construction method
JP3238316U (ja) 背中の保護機能付きウェットスーツまたはライフジャ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82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331

Effective date: 2021102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