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343A -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343A
KR20200019343A KR1020180094723A KR20180094723A KR20200019343A KR 20200019343 A KR20200019343 A KR 20200019343A KR 1020180094723 A KR1020180094723 A KR 1020180094723A KR 20180094723 A KR20180094723 A KR 20180094723A KR 20200019343 A KR20200019343 A KR 20200019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aper
sensor
prin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976B1 (ko
Inventor
임근화
박광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18009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9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2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width
    • B41J11/003Paper-size detection, i.e. automatic detection of the length and/or width of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Landscapes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프린팅작업을 위한 인쇄용지를 감지하는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를 제시하며,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폭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인쇄용지를 가이드하는 용지가이드; 상기 용지가이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 상기 용지감지센서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와 나란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용지감지센서와 함께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센서샤프트; 및 상기 센서샤프트를 상기 가이드샤프트와 함께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샤프트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INSTALLATION STRUCTURE FOR PAPER DETECTING SENSOR AND PRINTING APPARATUS INCLUDUNG THE SAM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인쇄장치에 설치되는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용지를 감지하는 용지감지센서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장치는 인쇄용지에 문자나 그래픽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인쇄장치는 플래튼롤러가 설치되어 인쇄용지를 이송하면서 플래튼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TPH(Thermal Print Head) 모듈을 통해 문자나 도형의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쇄장치는 인쇄용지의 유무나 인쇄용지의 종류 및 사이즈를 감지하는 용지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용지감지센서는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에 설치되어 이송경로를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인쇄용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인쇄장치는 용지감지센서가 쉽게 분리할 수 없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어서 용지감지센서를 보수하거나 교환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부품들을 모두 분해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4010호의 키오스크용 프린터가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용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롤형태의 용지를 피딩, 인쇄 및 커팅하여 배출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쇄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블럭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센서블럭이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센서블럭의 분리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센서블럭의 위치의 변경이 불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용지의 폭이 좁아질 경우에는 인쇄용지를 원활하게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인쇄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지감지센서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인쇄용지를 가이드하는 용지가이드와 함께 용지감지센서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용지감지센서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용지감지센서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프린팅작업을 위한 인쇄용지를 감지하는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로서,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폭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인쇄용지를 가이드하는 용지가이드; 상기 용지가이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 상기 용지감지센서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와 나란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용지감지센서와 함께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센서샤프트; 및 상기 센서샤프트를 상기 가이드샤프트와 함께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샤프트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고정부재는,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일단부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끼움홈; 상기 제1 끼움홈의 반대편에서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일부분이 개방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타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제2 끼움홈; 및 상기 한 쌍의 제2 끼움홈의 개방된 부분을 각각 차폐하면서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샤프트홀더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홀더는,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제2 끼움홈과 상기 센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타단부를 차폐하는 앵글형태의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끼움홈에 각각 끼워지고, 원호형태의 지지면이 형성되어 상기 센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체결되면서 상기 홀더본체를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홀더는, 상기 제2 끼움홈과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인쇄장치 하우징에 형성되는 센터링홈; 및 상기 홀더본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센터링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끼움홈을 차폐한 상태로 상기 홀더본체를 정위치시키는 센터링돌기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터링돌기는 상기 홀더본체의 둘레를 따라 원호형을 이루면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센터링홈은 상기 센터링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끼움홈의 외곽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 설치된 플래튼롤러에 의해 인쇄용지를 견인하면서 서멀헤드를 통해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경로를 향해 빛을 조사하면서 인쇄용지를 감지하는 용지감지센서;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폭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인쇄용지를 가이드하는 용지가이드; 상기 용지가이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 상기 용지감지센서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와 나란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용지감지센서와 함께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센서샤프트; 및 상기 센서샤프트를 상기 가이드샤프트와 함께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샤프트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용지감지센서가 결합되는 센서샤프트가 용지가이드가 결합되는 가이드샤프트와 함께 샤프트고정부재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인쇄장치 하우징에 결합되므로 용지감지센서의 위치변경 및 탈부착이 용이하며, 궁극적으로는 용지감지센서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샤프트고정부재를 구성하는 제2 끼움홈이 일부분이 개방된 홈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센서샤프트 및 가이드샤프트를 용이하게 제2 끼움홈에 결합할 수 있으며, 샤프트홀더가 제2 끼움홈을 차폐함에 따라 센서샤프트 및 가이드샤프트를 제2 끼움홈에 결합된 상태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샤프트홀더에 구비되는 지지돌기가 제2 끼움홈을 차폐하면서 센서샤프트 및 가이드샤프트를 지지하므로 센서샤프트 및 가이드샤프트가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샤프트홀더에 센터링홈 및 센터링돌기가 구성될 경우에는 홀더본체가 제2 끼움홈을 차폐한 상태로 정위치될 수 있으므로 체결부재를 분리하더라도 홀더본체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가 적용된 인쇄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의 요부를 발췌하여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샤프트홀더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샤프트홀더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센터링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가 적용된 인쇄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의 요부를 발췌하여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샤프트홀더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터링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장치(1)의 하우징(20)에 설치되어 인쇄용지를 감지하는 용지감지센서(10)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인쇄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감지센서(10)는 플래튼롤러(30)에 의해 인쇄용지를 견인하면서 서멀헤드(40)를 통해 프린팅작업을 수행하는 인쇄장치(1)에 설치되어 인쇄용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이송경로를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인쇄용지의 유무나 인쇄용지의 종류 및 사이즈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가이드(100), 가이드샤프트(200), 센서샤프트(300) 및 샤프트고정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지가이드(100)는 전술한 플래튼롤러(30)에 의해 견인되는 인쇄용지를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 후술되는 가이드샤프트(20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하우징(20)에 결합되며, 인쇄용지의 폭에 따라 이동하면서 인쇄용지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용지가이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장치 하우징(20)에 형성되는 가이드슬롯(2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가이드슬롯(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이동하면서 인쇄용지에 부합되는 폭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용지가이드(10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용지감지센서(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미도시된 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샤프트(200)는 용지가이드(100)를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가이드샤프트(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길이를 갖는 봉형태로 형성되어 용지가이드(100)가 끼워져 걸림으로써 용지가이드(100)의 이동경로를 이룰 수 있다.
센서샤프트(300)는 용지감지센서(10)를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센서샤프트(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길이를 갖는 봉형태로 형성되어 용지감지센서(10)가 끼워져 걸림으로써 용지감지센서(10)의 이동경로를 이룰 수 있으며, 전술한 가이드샤프트(200)와 나란한 상태를 이루면서 후술되는 샤프트고정부재(400)에 의해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용지감지센서(10)는 센서샤프트(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쇄용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지감지센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형성되는 센서슬롯(2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센서슬롯(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이동하면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는 원형의 단면을 이루는 봉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도시된 바와 달리 다각형의 단면을 이루는 봉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가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가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고정되면서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고정부재(400)는 센서샤프트(300)를 전술한 가이드샤프트(200)와 함께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용지감지센서(10)의 용이한 탈부착을 도모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고정부재(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끼움홈(410), 제2 끼움홈(420) 및 샤프트홀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끼움홈(410)은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의 양단부 중 일단부의 고정부위를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1 끼움홈(410)은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의 양단부에 각각 대응하는 단면을 이루는 한 쌍의 홈형태로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는 각각의 일단부가 한 쌍의 제1 끼움홈(410)에 제각기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끼움홈(420)은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의 양단부 중 타단부의 고정부위를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제2 끼움홈(420)은 제1 끼움홈의 반대편에서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의 타단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끼움홈(4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원형의 단면을 이루면서 하단부가 개방된 한 쌍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는 전술한 제1 끼움홈(410)에 일단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타단부가 제2 끼움홈(42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제2 끼움홈(420)에 제각기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홀더(430)는 전술한 제2 끼움홈(420)의 개방된 부분을 차폐하면서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고정됨으로써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를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샤프트홀더(430)는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의 타단부를 제2 끼움홈(420)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홀더(4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431), 지지돌기(432) 및 체결부재(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본체(431)는 후술되는 체결부재(433)에 의해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제2 끼움홈(420)을 차폐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홀더본체(431)는 앵글형태를 이루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제2 끼움홈(420) 하단부의 개방된 부분과 측방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432)는 제2 끼움홈(420)에 수용된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홀더본체(431)에 돌출형성되어 제2 끼움홈(420)에 삽입되면서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의 타단부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돌기(432)는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에 대응하는 원호형의 단면을 갖는 지지면이 형성되어 홀더본체(431)에 한 쌍이 돌출형성되며, 홀더본체(431)의 고정에 의해 한 쌍의 제2 끼움홈(420)에 각각 끼워지면서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의 타단부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제2 끼움홈에 지지되면서 하단부가 지지돌기(432)에 의해 지지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33)는 홀더본체(431)를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로 구성되어 홀더본체(431)를 관통한 상태로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홀더본체(431)는 지지돌기(432)를 통해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의 타단부 하단을 지지한 상태로 체결부재(433)에 의해 고정되면서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를 하우징(2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에에 따른 샤프트홀더(430)는 센터링홈(434) 및 센터링돌기(4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터링홈(434) 및 센터링돌기(435)는 홀더본체(431)를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정위치시키면서 가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센터링홈(434)은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형성되며, 센터링돌기(435)는 홀더본체(431)에 돌출되어 센터링홈(434)에 삽입되면서 홀더본체(431)를 제2 끼움홈(420)을 차폐한 상태로 정위치시킬 수 있다.
즉, 홀더본체(431)는 제2 끼움홈(420)을 차폐하면서 센터링돌기(435)를 통해 센터링홈(434)에 끼워진 상태로 정위치되므로 체결부재(433)를 체결하기 이전이나 체결부재(433)를 분리한 후에도 하우징(2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센터링돌기(4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431)의 둘레를 따라 원호형을 이루면서 돌출될 수 있으며, 센터링홈(434)은 센터링돌기(435)에 대응하는 원호형을 이루면서 제2 끼움홈(42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홀더본체(431)는 센터링돌기(435)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면서 수직부(435a) 및 수평부(435b)가 구비되어 센터링홈(434)에 끼워짐에 따라 상하유동 및 좌우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정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에에 따른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10)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가이드샤프트(200) 및 센서샤프트(300)의 일단부를 제1 끼움홈(410)에 끼움 결합하고, 가이드샤프트(200) 및 센서샤프트(300)의 타단부를 홀더본체(431)의 지지돌기(432)에 안착시킨 후, 센터링돌기(435)를 센터링홈(434)에 끼워 결합한다.
이에 따라, 홀더본체(431)는 지지돌기(432)를 통해 제2 끼움홈(420)을 차폐한 상태로 정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체결부재(433)를 통해 홀더본체(431)를 인쇄장치의 하우징(20)에 고정함으로써 용지감지센서(10) 및 용지가이드(10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용지감지센서(10)를 하우징(20)에서 분리할 경우, 사용자는 체결부재(433)를 분리한다.
이때, 홀더본체(431)는 센터링돌기(435)를 통해 센터링홈(434)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우징(20)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홀더본체(431)를 센터링홈(434)에서 분리함으로써 센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200)를 제2 끼움홈(420) 및 제1 끼움홈(410)에서 분리한 후, 용지감지센서(10)를 센서샤프트(300)에서 분리함으로써 용지감지센서(10)의 탈착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10)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에 따르면, 용지감지센서(10)의 위치변경 및 탈부착이 용이하며, 궁극적으로는 용지감지센서(10)의 용이한 유지보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가이드샤프트(200) 및 센서샤프트(300)가 동일체를 이루면서 하나의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샤프트는 전술한 용지감지센서(10) 및 용지가이드(100)가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이 아닌 하나의 단일체를 이루는 제1 끼움홈(410) 및 제2 끼움홈(420)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면서 샤프트홀더(4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샤프트홀더(430)를 구성하는 지지돌기(432) 또한 한 쌍이 아닌 하나의 단일체를 이루면서 제2 끼움홈(420)에 끼워져 샤프트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샤프트(200) 및 센서샤프트(300)가 하나의 샤프트로 구성될 경우에는 구조가 좀 더 간소화되면서 용지감지센서(10)의 탈부착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인쇄장치
10 : 용지감지센서
20 : 인쇄장치 하우징
30 : 플래튼롤러
40 : 서멀헤드
100 : 용지가이드
200 : 가이드샤프트
300 : 센서샤프트
400 : 샤프트고정부재
410 : 제1 끼움홈
420 : 제2 끼움홈
430 : 샤프트홀더
431 : 홀더본체
432 : 지지돌기
433 : 체결부재
434 : 센터링홈
435 : 센터링돌기
435a : 수직부
435b : 수평부

Claims (6)

  1.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프린팅작업을 위한 인쇄용지를 감지하는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로서,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폭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인쇄용지를 가이드하는 용지가이드;
    상기 용지가이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
    상기 용지감지센서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와 나란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용지감지센서와 함께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센서샤프트; 및
    상기 센서샤프트를 상기 가이드샤프트와 함께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샤프트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고정부재는,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일단부가 각각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끼움홈;
    상기 제1 끼움홈의 반대편에서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일부분이 개방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타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제2 끼움홈; 및
    상기 한 쌍의 제2 끼움홈의 개방된 부분을 각각 차폐하면서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샤프트홀더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홀더는,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제2 끼움홈과 상기 센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타단부를 차폐하는 앵글형태의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끼움홈에 각각 끼워지고, 원호형태의 지지면이 형성되어 상기 센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체결되면서 상기 홀더본체를 상기 인쇄장치의 하우징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홀더는,
    상기 제2 끼움홈과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인쇄장치 하우징에 형성되는 센터링홈; 및
    상기 홀더본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센터링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끼움홈을 차폐한 상태로 상기 홀더본체를 정위치시키는 센터링돌기를 더 포함하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돌기는 상기 홀더본체의 둘레를 따라 원호형을 이루면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센터링홈은 상기 센터링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끼움홈의 외곽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6. 하우징에 설치된 플래튼롤러에 의해 인쇄용지를 견인하면서 서멀헤드를 통해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경로를 향해 빛을 조사하면서 인쇄용지를 감지하는 용지감지센서;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폭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인쇄용지를 가이드하는 용지가이드;
    상기 용지가이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
    상기 용지감지센서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와 나란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용지감지센서와 함께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센서샤프트; 및
    상기 센서샤프트를 상기 가이드샤프트와 함께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샤프트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인쇄장치.
KR1020180094723A 2018-08-14 2018-08-14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 KR102183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23A KR102183976B1 (ko) 2018-08-14 2018-08-14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23A KR102183976B1 (ko) 2018-08-14 2018-08-14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343A true KR20200019343A (ko) 2020-02-24
KR102183976B1 KR102183976B1 (ko) 2020-11-27

Family

ID=6963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723A KR102183976B1 (ko) 2018-08-14 2018-08-14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9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86B1 (ko) * 2006-04-18 2007-07-10 (주)코아정보시스템 영수증 및 라벨 겸용 서멀 프린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86B1 (ko) * 2006-04-18 2007-07-10 (주)코아정보시스템 영수증 및 라벨 겸용 서멀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976B1 (ko)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99417B (zh) 布料打印、加热装置及保持构件、对布料赋予图像的方法
US8215763B2 (en) Printing apparatus
US8752835B2 (en) Pillow block for feed roller, and fee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pillow block
US8905535B2 (en) Dot-matrix printer
US2014001696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Drawing Image Forming Unit From Main Casing
KR20200019343A (ko) 인쇄장치용 용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장치
JP2005292612A (ja) 定着装置の位置調整方法及び位置調整装置
JP549453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画像形成装置の輸送用具
JP2018087396A (ja) 布地に印刷する装置
JP4710972B2 (ja) 画像形成装置
JP6578875B2 (ja) 印刷装置
US106983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604477B2 (en) Printer
JP5437005B2 (ja) 印字装置
US10809660B2 (en) Unit cas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114201A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202781A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roll body replacing method
JP5599050B2 (ja) 画像形成装置
JP5088199B2 (ja) スキャナ支持台、スキャナ、スキャナ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122554A (ja) 画像形成装置
JP6314536B2 (ja) 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CN110546011B (zh) 痕迹减轻装置
WO2009107292A1 (ja) プリンタ
JP5835649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11756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