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319A -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9319A KR20200019319A KR1020180094673A KR20180094673A KR20200019319A KR 20200019319 A KR20200019319 A KR 20200019319A KR 1020180094673 A KR1020180094673 A KR 1020180094673A KR 20180094673 A KR20180094673 A KR 20180094673A KR 20200019319 A KR20200019319 A KR 202000193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support unit
- opening
- unit
- rota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안전밸브장치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하측에 취수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유로상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승하강하며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는 밸브유닛, 길게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가 상기 개폐조절부와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홀이 형성된 레버, 상기 레버의 일측과 상기 본체 사이에서 상기 개폐조절부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일측에서 상기 레버와 고정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레버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방향으로 동작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통홀 내부에서 승하강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유닛을 고정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조절부가 상승하여 상기 밸브유닛의 유로가 개방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밸브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수기 및 정수기에 적용되어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고, 미사용 시 유로를 밀폐하여 잔류수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전하게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산업의 발달로 풍요로운 물질 문명의 혜택을 향유하고 있으나, 산업화에 따른 막대한 에너지의 소비와 물질 자원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지구의 환경은 날로 오염이 심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의 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공기와 물의 오염으로 인하여 인류 전체의 삶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생명에 직결되는 깨끗한 물의 공급은 우리의 생명을 지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이며, 이러한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는 우리의 생활에 있어 필수 생활용품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사무실이나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온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냉수와 온수로 나누어 공급할 수 있는 안전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안전밸브는 사용자가 취수 레버를 당기거나 밀어 냉수 및 온수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할수 있게 한다.
그러나, 온수의 경우 온도가 80도 이상의 고온이므로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으면 사용상의 부주의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안전밸브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밸브의 일 예로, 온수의 취수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취수 레버와, 취수 버튼 등을 구비하여 취수버튼의 동작 여부에 따라 레버가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으로 동작하여 유로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도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레버가 구동하여 온수가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레버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중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버튼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의도하지 않게 온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은 있으나, 취수 버튼을 사용하는 구조가 복잡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작하는 별도의 조작유닛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레버의 동작 시 유로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간단하게 조작유닛을 동작할 수 있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밸브장치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하측에 취수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유로상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승하강하며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는 밸브유닛, 길게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가 상기 개폐조절부와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홀이 형성된 레버, 상기 레버의 일측과 상기 본체 사이에서 상기 개폐조절부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일측에서 상기 레버와 고정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레버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방향으로 동작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통홀 내부에서 승하강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유닛을 고정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조절부가 상승하여 상기 밸브유닛의 유로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개폐조절부의 상측에 제1회전축을 가지며 결합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일부가 상기 밸브유닛의 상면에서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횡 방향을 따라 편향되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일측 끝단부가 상기 지지유닛의 일부를 감싸며 전방에 상기 지지유닛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레버 내부에서 상기 제1회전축이 관통하여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유닛은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유닛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 내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샤프트 및 상기 레버의 타측에서 적어도 일부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연통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면에 별도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레버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레버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경로 및 상기 제1경로에서 연속하여 상기 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레버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는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이 상기 레버와 상기 회전부재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횡 방향 움직임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밸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레버상의 조작유닛을 이용해 하부에 구비된 지지유닛을 레버와 선택적으로 고정 시킴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레버가 동작하더라도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조작유닛이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방향으로 연속하여 동작하며 지지유닛을 고정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조작유닛이 동작하여 지지유닛이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안전밸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안전밸브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안전밸브장치에서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안전밸브장치에서 회전부재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동작하여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도 4의 안전밸브장치에서 슬라이딩 샤프트와 지지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 도면;
도 7은 도 4의 안전밸브장치에서 걸림돌기가 제1경로 및 제2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의 안전밸브장치에서 지지유닛이 고정된 상태로 레버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은 도 8의 레버에 의해 개폐조절부가 상승하여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는 도 1의 안전밸브장치에서 지지유닛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레버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임
도 2는 도 1의 안전밸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안전밸브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안전밸브장치에서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안전밸브장치에서 회전부재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동작하여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도 4의 안전밸브장치에서 슬라이딩 샤프트와 지지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 도면;
도 7은 도 4의 안전밸브장치에서 걸림돌기가 제1경로 및 제2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의 안전밸브장치에서 지지유닛이 고정된 상태로 레버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은 도 8의 레버에 의해 개폐조절부가 상승하여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는 도 1의 안전밸브장치에서 지지유닛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레버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장치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밸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며, 도 3은 도 1의 안전밸브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안전밸브장치에서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장치는 일반적인 온수의 공급이 가능한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 증에 적용되어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크게 밸브유닛(100), 레버(200), 지지유닛(300) 및 조작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유닛(100)은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 등에 부착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유로(112)가 형성되며 유로(112)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밸브유닛(100)은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유로(112)가 형성되고 일측에 취수구(114)가 형성되는 본체(110) 및 본체(110) 내부에서 유로(112)를 차단하며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조절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일반적인 형태의 취수 밸브로 구성되며, 일측이 별도의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에 구비된 탱크(미도시)와 연통되고, 타측에 상기 취수구(1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취수구(114)는 다양한 방향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물질이나 먼지의 유입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폐조절부(120)는 상기 본체(11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유로(112)의 개폐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본체(11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로(112)를 관통하며 차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타측은 상기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어 후술하는 상기 레버(200)와 결합되고, 상기 레버(2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본체(110)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조절부(120)는 길게 형성된 바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 별도의 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유로(112)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조절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유로(112)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조절부(120)는 별도의 스프링(122) 등이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로(112)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조절부(120)는 상기 본체(110)상에서 하부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유로(112)를 차단하는 상태로 유지되며 후술하는 상기 레버(200)에 의해 상승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유로(112)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유닛(100)은 상기 본체(110) 및 상기 개폐조절부(12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유로(112)가 개방되어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레버(200)는 상기 밸브유닛(100)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11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구성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개폐조절부(12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200)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개폐조절부(120)와 제1회전축(A)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상기 조작유닛(40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200)는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연통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210)에 상기 조작유닛(400)의 일부가 삽입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유닛(10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 끝단부 일부가 전방으로 개방된 개구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210)이 측면으로 노출 가능하도록 구성됩니다.
즉, 상기 레버(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통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210)과 연속된 일측 끝단부의 측면에 개구부(220)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지지유닛(300)이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20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20)에 상기 지지유닛(300)이 안착되어 챔버가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 끝단부에 횡 방향으로 상기 제1회전축(A)이 배치되어 상기 개폐조절부(120)와 힌지결합된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레버(200)와 상기 밸브유닛(100) 사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레버(200)의 구동 시 받침점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200)의 일측 끝단부 내에 배치되며, 횡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레버(200)의 일측과 상기 본체(110) 사이에서 상기 개폐조절부(12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상기 레버(200)의 일측에서 이탈되지 않고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밸브유닛(100)의 상면에서 상기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횡 방향을 따라 편향되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레버(200)에서 상기 개구부(220)를 통해 전방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300)의 움직임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200)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밸브유닛(100)의 상면에서 지지되어 상기 개폐조절부(120)가 상부로 당겨지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때,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레버(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레버(200)의 회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관통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310)는 상기 제1회전축(A)이 관통하여 상기 레버(200)와 상기 개폐조절부(120)가 간섭 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회전축(A)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부(310)는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레버(200)의 일측에서 이탈되지 않고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관통부(310)는 상하방향에 따른 슬릿형태 또는 상기 제1회전축(A)의 크기에 대응하는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면에 별도의 삽입홈(32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조작유닛(400)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홈(320)은 상기 연통홀(210)의 일측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슬라이딩 샤프트(410)가 상기 연통홀(210)을 관통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300)에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가 삽입되는 경우, 하부방향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상기 레버(200)에 대한 상대 회전의 움직임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3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200)를 동작하여 상기 개폐조절부(120)가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유닛(400)은 상기 레버(2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 개의 방향으로 연속하여 동작하며 일부가 상기 연통홀(210)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지지유닛(300)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유닛(400)은 상기 레버(200)의 내부에서 상기 연통홀(21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샤프트(410) 및 상기 레버(200)의 일측에서 동작하여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를 조작하는 회전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2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420)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별도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412)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는 상기 연통홀(210)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하강 시 상기 삽입홈(3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측 끝단부가 상기 삽입홈(3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제2탄성부재(414)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지지유닛(300)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탄성부재(414)는 상기 레버(200)의 하측 끝단부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300)이 상기 밸브유닛(100)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슬라이딩샤프트(410)가 하부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호 분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420)는 상기 레버(200)의 타측에 결합되며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방향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재(420)는 상기 레버(200)의 타측에서 제1방향(W1) 및 제2방향(W2)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를 가압하여 하강시킨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420)는 상기 제1방향(W1) 또는 상기 제2방향(W2)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연속적으로 동작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회전부재(4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버(200)의 타측을 감싸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형태로 배치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재(420)는 상기 레버(200)의 타측 끝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200)상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방향(W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20)가 상기 레버(20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W2)은 상기 레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방향이다.
물론, 상기 제1방향(W1) 및 상기 제2방향(W2)은 본 실시예와 달리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이 각기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연속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작유닛(400)은 상기 제1방향(W1) 및 상기 제2방향(W2)을 따라 연속하여 움직임으로써 상기 레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회전부재(420)가 상기 레버(200)의 타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420)의 내측면과 상기 레버(200)의 외측면 일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420)와 상기 레버(200)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된 걸림돌기(424)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걸림돌기(424)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딩홈(2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424)는 상기 슬라이딩홈(230) 내부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슬라이딩홈(230)의 경로를 따라 상기 회전부재(420)가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홈(230)은 상기 회전부재(420)가 상기 제1방향(W1) 및 상기 제2방향(W2)을 따라 연속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각각에 대응하는 제1경로(232) 및 제2경로(234)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424)가 제1경로(232)를 따라 움직이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420)는 제1방향(W1: 도 5참조)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경로(234)를 따라 움직이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420)는 제2방향(W2: 도 6참조)으로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200)의 타측 외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420)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4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홈(230)은 상기 레버(20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1방향(W1)으로 제1경로(232)가 형성되고, 연속하여 상기 레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경로(2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420)를 제1방향(W1)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연속하여 상기 제2방향(W2)으로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424)가 상기 슬라이딩홈(23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부재(420)가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를 하강시킨다. 만약, 상기 회전부재(420)가 상기 슬라이딩홈(230)의 경로를 따라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레버(200)의 길이방향으로 하강이 불가능하게 되어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를 가압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20)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레버(200)의 타측에서 제1방향(W1) 및 제2방향(W2)으로 동작하여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의도하지 않게 상기 회전부재(42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부재(420)는 상기 레버(20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제1탄성부재(4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422)는 일반적인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200)상에서 제1방향(W1) 또는 제2방향(W2)으로 동작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422)가 상기 회전부재(420)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레버(200)가 상기 회전부재(420)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420)와 상기 레버(200)는 상술한 슬라이딩홈(230)과 상기 걸림돌기(424)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하더라도 이탈되지 않고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작유닛(400)은 상기 회전부재(420) 및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420)가 상기 제1방향(W1) 및 상기 제2방향(W2)을 따라 연속하여 동작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가 하강하여 상기 지지유닛(300)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지지유닛(300)이 상기 레버(200)와 고정된 상태로 함께 동작하여 받침 지점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20)가 상기 회전부재(420)을 상기 레버(200)에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422)가 횡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422)는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버(200)와 상기 회전부재(420)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재(4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20)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상기 레버(200)와 상기 회전부재(42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재(420)와 상기 레버(200)에는 각각 상기 제1탄성부재(422)의 양단이 결합 가능하도록 별도의 제1고정부(202) 및 제2고정부(426)가 형성되어 각각 홀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부(202)는 상기 레버(2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422)의 하측과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부(426)는 상기 회전부재(4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422)의 상측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202)와 상기 제2고정부(426)는 각각 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422)의 일부가 삽입 된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제1고정부(202)와 상기 제2고정부(426)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422)의 양단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420)가 상기 레버(200)를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202)와 상기 제2고정부(426)는 각각 상하방향에 따른 홀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420)가 횡 방향을 따라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탄성부재(422)의 양단이 이탈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재(422)는 양단이 각각 상기 회전부재(420)와 상기 레버(200)의 상부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420)가 제1방향(W1) 및 상기 제2방향(W2) 모두에 대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안전밸브장치에서 회전부재(420)가 제1방향(W1) 및 제2방향(W2)으로 동작하여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도 4의 안전밸브장치에서 슬라이딩 샤프트(410)와 지지유닛(3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 도면이며, 도 7은 도 4의 안전밸브장치에서 걸림돌기(424)가 제1경로(232) 및 제2경로(234)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안전밸브장치에서 상기 레버(200)를 동작하기 전에 상기 조작유닛(400)을 먼저 조작하여 상기 지지유닛(300)을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회전부재(420)를 그립하여 제1방향(W1)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딩홈(230)은 제1경로(232)가 상기 레버(200)의 둘레를 따라 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420)는 상기 레버(200)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420)는 상기 슬라이딩홈(230) 내에 배치된 상기 걸림돌기(424)가 상기 제1경로(232)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만큼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제2방향(W2)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만약 상기 회전부재(420)를 제1방향(W1)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홈(230)과 상기 걸림돌기(424)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420)는 제2방향(W2)인 하부로 이동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20)를 제1방향(W1)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424)가 상기 슬라이딩홈(23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방향(W2)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회전부재(420)를 제1방향(W1)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방향(W2)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424)가 상기 제2경로(234)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420)는 상기 레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420)가 상기 레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가 연동하여 함께 하강하며 일측 끝단부가 상기 지지유닛(300)의 삽입홈(320)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레버(200)상에서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기 레버(200)가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하여 상기 밸브유닛(100)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홈(230)은 상술한 상기 제1경로(232) 및 상기 제2경로(234)를 포함하며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424)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홈(230)은 상기 제1경로(232) 및 상기 제2경로(234)와 함께 별도의 제3경로(236)를 포함하며, 상기 제3경로(236)는 상기 제2경로(234)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경로(236)는 상기 제1경로(232)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2경로(234)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돌기(424)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200)를 동작하기 전에 상기 회전부제를 상기 제1방향(W1) 및 상기 제2방향(W2)으로 연속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지지유닛(300)이 상기 레버(200)상에서 고정되어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가 상기 지지유닛(3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200)가 동작하는 것을 살펴본다.
도 8은 도 4의 안전밸브장치에서 지지유닛(300)이 고정된 상태로 레버(200)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도 8의 레버(200)에 의해 개폐조절부(120)가 상승하여 유로(112)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지지유닛(300)이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에 의해 상기 레버(200)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200)를 동작하는 경우 상기 레버(200)는 상기 밸브유닛(100)의 상면에서 상기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레버(200)와 고정된 상태로 함께 회전하게 되며, 돌출된 일측이 상기 밸브유닛(100)의 상면과 접촉하여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유닛(100)의 상면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레버(200)가 상기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지지유닛(300)이 P1지점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반대방향으로 상기 개폐조절부(120)가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상기 레버(200)가 상기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지지유닛(300)이 함께 회전하며 P1지점을 받침점으로 하여 상기 개폐조절부(120)가 당겨 올려지게 된다.
상기 지지유닛(30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횡 방향을 따라 편향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레버(200)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돌출된 부분이 상기 밸브유닛(100)의 상면에서 P1지점을 가지며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유닛(100)의 내부에서 유로(112)가 개방되어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반대로 도 10를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200)를 회전시킨 상태이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지지유닛(300)이 상기 레버(200)와 고정되지 않고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및 승하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레버(2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돌출된 부분이 회전함에 따라 상부로 밀려 올라간다.
즉,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410)가 하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유닛(300)이 고정되지 않아 받침점인 P2가 결국 상기 제1회전축(A)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200)가 동작하더라도 상기 개폐조절부(120)가 승하강하지 않아 상기 유로(112)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정밸브장치는 상기 회전부재(420)를 동작하여 상기 지지유닛(300)을 상기 레버(200)상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지지유닛(300)의 고정 여부에 따라 상기 유로(112)의 개방 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300)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200)가 의도하지 않게 동작 하더라도 유로(112)가 개방되지 않아 온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부재(420)가 동작하는 상기 제1방향(W1) 및 상기 제2방향(W2) 중 적어도 어느 하는 상기 레버(200)의 동작과 상이한 방향으로 동작하여 의도하지 않게 상기 회전부재(420)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밸브유닛
110: 본체
120: 개폐조절부
200: 레버
210: 연통홀
220: 개구부
230: 슬라이딩홈
300: 지지유닛
310: 관통부
320: 삽입홈
400: 조작유닛
410: 슬라이딩 샤프트
414: 제2탄성부재
420: 회전부재
422: 제1탄성부재
110: 본체
120: 개폐조절부
200: 레버
210: 연통홀
220: 개구부
230: 슬라이딩홈
300: 지지유닛
310: 관통부
320: 삽입홈
400: 조작유닛
410: 슬라이딩 샤프트
414: 제2탄성부재
420: 회전부재
422: 제1탄성부재
Claims (11)
-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하측에 취수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유로상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승하강하며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는 밸브유닛;
길게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가 상기 개폐조절부와 힌지결합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홀이 형성된 레버;
상기 레버의 일측과 상기 본체 사이에서 상기 개폐조절부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일측에서 상기 레버와 고정되는 지지유닛;
상기 레버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방향으로 동작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통홀 내부에서 승하강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유닛을 고정하는 조작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조절부가 상승하여 상기 밸브유닛의 유로가 개방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개폐조절부의 상측에 제1회전축을 가지며 결합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일부가 상기 밸브유닛의 상면에서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횡 방향을 따라 편향되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일측 끝단부가 상기 지지유닛의 일부를 감싸며 전방에 상기 지지유닛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레버 내부에서 상기 제1회전축이 관통하여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 중 어느 하나를 우선하여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 내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샤프트; 및
상기 레버의 타측에서 적어도 일부가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연통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면에 별도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레버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은,
상기 레버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경로 및 상기 제1경로에서 연속하여 상기 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경로를 포함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레버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이 상기 레버와 상기 회전부재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횡 방향 움직임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673A KR102104831B1 (ko) | 2018-08-14 | 2018-08-14 |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JP2019148553A JP6800292B2 (ja) | 2018-08-14 | 2019-08-13 | ダブルロック構造の安全レバー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673A KR102104831B1 (ko) | 2018-08-14 | 2018-08-14 |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9319A true KR20200019319A (ko) | 2020-02-24 |
KR102104831B1 KR102104831B1 (ko) | 2020-04-29 |
Family
ID=6962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4673A KR102104831B1 (ko) | 2018-08-14 | 2018-08-14 |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800292B2 (ko) |
KR (1) | KR10210483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3510A (ko) * | 2002-07-03 | 2004-01-13 | 정낙원 |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꼭지 |
KR20090003551U (ko) * | 2007-10-12 | 2009-04-16 | 이성근 | 냉온수기용 안전코크 |
KR20090121763A (ko) * | 2008-05-23 | 2009-11-26 | 주식회사 진텍 | 냉온수기용 안전코크 |
-
2018
- 2018-08-14 KR KR1020180094673A patent/KR10210483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8-13 JP JP2019148553A patent/JP6800292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3510A (ko) * | 2002-07-03 | 2004-01-13 | 정낙원 |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꼭지 |
KR20090003551U (ko) * | 2007-10-12 | 2009-04-16 | 이성근 | 냉온수기용 안전코크 |
KR20090121763A (ko) * | 2008-05-23 | 2009-11-26 | 주식회사 진텍 | 냉온수기용 안전코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800292B2 (ja) | 2020-12-16 |
JP2020026316A (ja) | 2020-02-20 |
KR102104831B1 (ko) | 2020-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13490B2 (en) | Valve and reservoir(s) for pressurized fluid | |
US11346553B2 (en) | Gas valve unit | |
KR20180005788A (ko) | 밸브 | |
JP7462016B2 (ja) | ロックアウトタグアウト装置及びバルブ | |
KR101479295B1 (ko) | 가스밸브 안전장치 | |
US3988001A (en) | Variable flow control valve for use with dental syringes and the like | |
US9341312B2 (en) | Gas cylinder with hand wheel for actuating a residual pressure valve and a shut-off valve | |
KR20200019319A (ko) | 이중 잠금 구조의 안전레버장치 | |
US961738A (en) | Combined check and gate valve. | |
US5165443A (en) | Double block and vent valve system with improved flow handling feature | |
GB2499087A (en) | Gas pressure regulator with integrated over-pressure mechanism, including indicating and reset means | |
KR101974473B1 (ko) | 퓨즈콕 내장형 가스차단장치 | |
KR102048484B1 (ko) | 퓨즈콕 | |
KR20040043836A (ko) |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 |
KR100771132B1 (ko) | 본네트형 이중 나이프게이트 밸브 | |
KR102168176B1 (ko) | 슬라이드 밸브 | |
JP2009191985A (ja) | ガス栓用過流出防止弁装置 | |
JP5988633B2 (ja) | ガス栓 | |
US20240309956A1 (en) | Expansion valve comprising a movable slide | |
KR200213323Y1 (ko) | 밸브용 실링의 기밀구조 | |
KR20130132539A (ko) | 양정 편향 시스템을 포함한 가스 밸브 유닛 | |
KR102041711B1 (ko) | 긴급 차단 밸브 | |
KR101167725B1 (ko) | 밸브의 개폐핸들 잠금기구 | |
BR202019005915U2 (pt) |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válvula | |
JPH0237337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