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103A -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 - Google Patents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103A
KR20200019103A KR1020190099029A KR20190099029A KR20200019103A KR 20200019103 A KR20200019103 A KR 20200019103A KR 1020190099029 A KR1020190099029 A KR 1020190099029A KR 20190099029 A KR20190099029 A KR 20190099029A KR 20200019103 A KR20200019103 A KR 2020001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artificial stone
mixture
stone plate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353B1 (ko
Inventor
정명화
Original Assignee
정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화 filed Critical 정명화
Publication of KR2020001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85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the material being prearranged on a sheet, e.g. using a de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5Devices or processes for obtaining articles having a marble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moulding surfaces simulating natural effets, e.g. wood or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45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7Controlling the humidity during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2Feeding several successive layers, optionally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7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for decorative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 B28B7/348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of plastic material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2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 B29C67/243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67/244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by vibrating the composition before or during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적인 형상 및 색상의 문양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인조석 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워터젯을 포함하는 정밀 절삭도구를 통해 사전 제작된 고체 상태의 심볼문양 또는 패턴문양 또는 조합문양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시트의 표면에 접착하고, 상기 시트가 안착된 러버금형의 내측으로 레진(resin)이 혼합된 인조석 원료물질인 믹스쳐(mixture)를 투입한 후, 진공진동 단계에 의해 문양과 문양 사이의 공간에 믹스쳐를 치밀하게 채우며, 100 ∼ 140 ℃에서 10∼30분간 큐어링(Curing)에 의해 믹스쳐에 포함된 레진을 고형화한 후, 캘리브레이팅(Calibrating) 및 폴리싱(Polishing)에 의해 하부의 시트 및 상·하측 및 측면의 요철을 제거하여 인조석 판재를 구현하되, 상기 심볼문양 또는 패턴문양 또는 조합문양은 믹스쳐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인조석 판재를 관통하여 상·하측 또는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조합되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는 다양한 문양이 인조석 판재 전체를 관통하여 인조석 판재의 상·하측에 문양이 그대로 노출되는 구조로 구현되므로, 옆면 모서리가 노출되는 각종 상판 또는 수직/수평/경사 등 다양한 방식의 설치가 가능하여 모든 상판재에 사용가능하고, 러버금형을 통해 문양과 믹스쳐를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대량생산에 적합하여 동분야의 시장확대에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재질 또는 천연석 재질의 문양과 믹스쳐를 한번에 일체로 성형하는 방식으로서, 이질감이 없이 자연스러운 형태를 띠게 되어 디자인적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문양의 색상 변화 또는 탈락없이 인조석 판재의 수명이 연장되고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Artificial stone slab with pre-made solid state to be exposed in all directions pattern using for a cutting tool}
본 발명은 인조석 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형상 및 색상의 문양이 인조석 판재 전체를 관통하여 인조석 판재의 상·하측에 문양이 그대로 노출되는 구조로 구현되며, 동일한 재질 또는 천연석 재질의 문양과 믹스쳐를 한번에 일체로 성형되는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석이라고 하는 것은 천연 석분이나 광물등을 수지성분 또는 시멘트와 배합하고, 각종 안료 및 첨가제 등을 첨가하여 천연석의 질감을 구현한 인조 합성체를 말한다.
상기 인조석은 완제품의 특유한 강도와 색조를 가지고 있으며, 천연 대리석에 뒤떨어지지 않는 우아한 색조, 천연석보다 뛰어난 강도 및 낮은 흡수율과 내후성이 있어 천연 대리석과 차별화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조석은 지금까지 수천년동안 변함없이 천연화강석과 대리석의 표면 패턴을 보고 살아왔으며, 현존하는 모든 인조석도 여기서 한발짝도 더 앞서거나 변화하지 못했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조석을 성형하는 금형(1)의 바닥면(2)에 양각부(3)나 음각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한 후 상기 몰드(1)에 상기 인조석의 원료가 되는 원료혼합물(4)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문양을 형성하였으나, 이와 같은 인조석은 그 표면에 단순한 문양만을 형성할 뿐, 소비자의 구호에 맞는 더욱 다양한 형상 및 색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없으며, 문양을 바꾸기 위해서는 금형 전체를 새로이 제작해야 하므로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인조석의 일측을 절삭하고, 절삭된 부위에 문양을 결합시키는 방법도 시도되었으나, 이와 같이 제조된 인조석은 일정시간 사용시 결합부위의 탈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4222호(이하, '선행발명1'이라 함)에서는 금형 플레이트(5)의 바닥에 내부 금형(10)을 설치하고, 내부 금형(10)을 내부 충진물(11)로 채운 다음 상기 베이스 컴파운드(3)를 적재하여 압축 성형하는 제조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위 선행발명1은 내부금형에 의한 사전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제작방식이 상이하고,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7731호(이하, '선행발명2'라 함)에서는 이형필름을 이용한 복수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 성형물의 일부분(로고, 표면 장식무늬 등)을 자개로 이루어진 성형물을 구현하는 기술이 공지되었으나, 위 선행발명2 역시 자개의 특수성으로 인해 문양 형성에 제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형상 및 색상의 문양 또는 문자까지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문양이 인조석 판재의 두께 전체를 관통하도록 전방향으로 노출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실제 제품 제작시 모서리가 보이는 부분의 마감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 없이 일체로 성형되어 장시간 사용시에도 문양의 경계선에 어떠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높은 내후성을 갖는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조합되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는 워터젯을 포함하는 정밀 절삭도구를 통해 사전 제작된 고체 상태의 심볼문양 또는 패턴문양 또는 조합문양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시트의 표면에 접착하고, 상기 시트가 안착된 러버금형의 내측으로 레진(resin)이 혼합된 인조석 원료물질인 믹스쳐(mixture)를 투입한 후, 진공진동 단계에 의해 문양과 문양 사이의 공간에 믹스쳐를 치밀하게 채우며, 100 ∼ 140 ℃에서 10∼30분간 큐어링(Curing)에 의해 믹스쳐에 포함된 레진을 고형화한 후, 캘리브레이팅(Calibrating) 및 폴리싱(Polishing)에 의해 하부의 시트 및 상·하측 및 측면의 요철을 제거하여 인조석 판재를 구현하되, 상기 심볼문양 또는 패턴문양 또는 조합문양은 믹스쳐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인조석 판재를 관통하여 상·하측 또는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노출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는 다양한 문양이 인조석 판재 전체를 관통하여 인조석 판재의 상·하측에 문양이 그대로 노출되는 구조로 구현되므로, 옆면 모서리가 노출되는 각종 상판 또는 수직/수평/경사 등 다양한 방식의 설치가 가능하여 모든 상판재에 사용가능하고, 러버금형을 통해 문양과 믹스쳐를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대량생산에 적합하여 동분야의 시장확대에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재질 또는 천연석 재질의 문양과 믹스쳐를 한번에 일체로 성형하는 방식으로서, 이질감이 없이 자연스러운 형태를 띠게 되어 디자인적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문양의 색상 변화 또는 탈락없이 인조석 판재의 수명이 연장되고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인조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조석에 문양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제품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서 시트에 심볼문양이 접착되고, 러버금형에 안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러버금형에 믹스쳐가 투입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진공 진동 공정을 통해 믹스쳐가 가라앉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러버금형에서 제품이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심볼문양이 일체로 결합된 인조석 판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종 재질의 심볼문양이 적용되어 믹스쳐가 투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a 내지 10c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시트에 패턴문양 또는 조합문양이 접착되는 사시도와 그에 의해 생산된 제품의 사진,
도 11a 내지 11c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로, 시트에 제2패턴이 구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와 샘플 사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문양 제작단계(S10); 문양 셋팅단계(S20); 믹스쳐 혼합단계(S30); 믹스쳐 분배단계(S40); 진공진동 성형단계(S50); 판재 분리단계(S60); 큐어링단계(S70); 캘리브레이팅(Calibrating)단계(S80); 폴리싱(Polishing)단계(S90)의 공정이 순차적으로 거치며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이를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문양 제작단계(S10)는 워터젯(water-jet)을 포함한 정밀 절삭도구를 통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문양(30)을 준비하게 된다.
이때, 고체상태의 물품을 절삭할 수 있는 워터젯, 레이저가공기, 선반 등 다양한 정밀 절삭도구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워터젯에 의한 사전 가공방식을 채택하였다.
상기 문양은 도 4 내지 도 9의 심볼문양(30)(30a)(30b)과, 도 10a 내지 10c의 패턴문양(50) 또는 조합문양(60)으로 구분된다.
상기 심볼문양(30)(30a)(30b)은 특정한 형상을 이루도록 독립적으로 절삭가공된 것이고, 상기 패턴문양(50)은 시트(20) 전체 크기에 맞도록 특정한 직선상 또는 곡선상 하나의 패턴을 이루도록 절삭가공된 것이며, 상기 조합문양(60)은 복수의 조각이 단독 또는 조합하여 하나의 형상을 이루도록 절삭가공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각각의 도면 설명에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스쳐(40)와 동일 재질의 고체를 수압을 이용한 절삭기계인 워터젯에 의해 정밀 가공하여 원하는 심볼문양(30)을 완성한다.
상기 심볼문양(30)은 기호, 문자, 도형,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 및 갯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문자/캐릭터/로고/패턴 등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믹스쳐(40)와 다른 재질의 고체, 예를 들어 유리, 금속, 천연대리석, 화강석, 세라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종 재질에 의해 심볼문양(30a)을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종 재질인 경우 접합하는 부위의 결합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결합력강화를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필요한데, 이에 대해서는 도 9에서 후술한다.
상기 문양 셋팅단계(S20)는 도 4a와 같이, 시트(20)의 상측에 복수의 심볼문양(30)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시트(20)는 종이, 합성수지, 직물지 등 다양한 제품으로 구현되어 성형과정에서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21)에 의해 문양을 고정하는 역활을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인조석 판재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종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이 완료된 후 후술하는 캘리브레이팅 단계(S80)에서 제거되는 부위이다.
상기 믹스쳐 혼합단계(S30)는 인조석의 원료물질들을 믹싱기에서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믹스쳐(mixture)(4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믹스쳐(40)는 인조석 원료물질들의 혼합체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규사(Silica Sand) 또는 석영(Quartz) 90 중량%, 레진의 주성분인 폴리에스터 수지(Polyester resin) 7∼9 중량%, 기타 화학물질 1∼3 중량% 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분 및 배합비율 등은 당업계의 공지기술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믹스쳐 분배단계(S40)는 도 4b와 같이, 심볼문양(30)이 고정된 시트(20)를 러버금형(10)에 안착하고, 그 상측에서 믹스쳐(40)를 투입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믹스쳐(40)는 도 5와 같이, 심볼문양(30)의 상측을 덮을 정도로 투입되지만, 후술하는 진공진동 성형단계(S50)에서 믹스쳐(40)와 심볼문양(30)의 상측부분의 높이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기 진공진동 성형단계(S50)는 러버금형(10)을 진공챔버에 넣고 진동을 가해서 인접한 심볼문양(30)들 사이의 공간에 믹스쳐(40)가 치밀하게 메워 들어가, 도 6과 같은 인조석 판재(10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판재 분리단계(S60)는 성형이 완료된 인조석 판재(100)를 도 7과 같이 러버금형(10)에서 분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러버금형(10)은 탄성력있는 고무재질이므로 성형이 완료된 인조석 판재(10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큐어링(Curing) 단계(S70)에서는 분리된 인조석 판재(100)에 포함된 레진(resin)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100 ∼ 140 ℃에서 10∼30분간 굳혀주게 된다.
이어서, 상기 캘리브레이팅(Calibrating)단계(S80)에서는 인조석 판재(100)의 하부에 부착된 시트(20)를 제거하고, 상기 폴리싱(Polishing)단계(S90)에서는 인조석 판재(100) 상·하측 및 측면의 요철을 연마기 등을 통해 제거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여 도 8과 같이 심볼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100)를 완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문양 셋팅단계(S20)에서 시트(20)의 측면 모서리에 심볼문양(30)을 위치시킴으로써, 도 8의 확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형이 완료된 인조석 판재(10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도 정상적인 심볼문양(30) 또는 부분조각 심볼문양(30b)이 직접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옆면 모서리가 노출되는 각종 상판에 효과적인 디자인 포인트를 강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부분조각 심볼문양(30b)은 캘리브레이팅(Calibrating)단계(S80) 및 폴리싱(Polishing)단계(S90) 단계에서 정상적인 문양(30a)의 일측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인조석 판재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심볼문양(30)(30b)이 성형단계에서 믹스쳐(40)와 일체로 결합된 본 발명에서만 가능한 기술로서, 종래 문양접착식 인조석에서는 불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인조석 판재(100)에서 심볼문양(30)과 믹스쳐(40)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접합 부위가 견고하게 밀착되지만, 만일 이종 재질 심볼문양(30a)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접합부위의 밀착력이 떨어져,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고체화된 믹스쳐(40)에서 이종재질 심볼문양(30a)의 위치가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재질 심볼문양(30a)의 측면에 복수의 돌출부(31)를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이때, 이종 재질 심볼문양(30a)은 측면에 위치한 돌출부(31)에 의해 믹스쳐(40)와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충격이 있어도 정위치를 벗어나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조석 판재는 심볼문양(30)(30a)(30b)이 인조석 판재(100) 전체를 관통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므로, 인조석 판재(100)의 상·하측 또는 측면에 문양(30)(30a)(30b)이 그대로 노출되어, 특히 옆면 모서리가 노출되는 각종 상판 또는 수직/수평/경사판 등에 적용시 효과적인 장식미를 표출하게 된다.
한편, 도 10a 내지 10c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시트(20)에 패턴문양(50) 또는 조합문양(60)을 접착하여 제작되는 인조석 판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패턴문양(5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왁 같이, 소비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미리 요청받아, 시트(20) 전체 크기에 맞도록 특정한 직선상 또는 곡선상 하나의 패턴을 이루도록 절삭가공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합문양(60)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각이 단독 또는 조합하여 하나의 형상을 이루도록 절삭가공된 것이다.
이때, 제1조합(60a)과 제2조합(60b) 및 제3조합(60c)은 서로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위치하여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특히 중앙의 제2조합에 특정한 색상을 부여하여 감각적인 미감을 표출할 수 있다.
이를 실제 제품에 구현한 것이 도 10c의 제품사진이다.
또한, 도 11a 내지 11c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에 의한 인조석 판재에 별도의 제2패턴(70)이 구현된 인조석 판재에 관한 것이다.
즉, 도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믹스쳐 분배단계(S40)후 진공진동 성형단계(S50) 이전 또는 이후 믹스쳐(40)가 고형화되기 전에,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일측 방향으로 전체를 가로지르는 골(42)을 형성하고, 상기 골(42)에 특정한 성분을 포함하여 별도의 질감을 표출하는 제2믹스쳐(41)가 투입되어 제2패턴(7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품의 견고성을 위해서는 진공진동 성형단계(S50) 이전에 골(42)을 형성하고 제2픽스쳐(41)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패턴(70)은 큐어링 단계에서 레진의 경화에 의해 믹스쳐(40)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심볼문양(30)과 함께 보다 차별화된 디자인 차별감을 부여하게 된다.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제작한 것이 도 11c의 샘플사진으로서, 골드(gold) 색상의 원료물질이 포함되어, 화려한 금맥 이미지를 표출한다.
본 발명은 미리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조합하는 방식으로서,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복수의 러버금형(10)을 연속하여 이송시키고, 분배기를 통해 러버금형(10)에 믹스쳐(40)를 공급함으로써 최소한의 시간에 많은 양의 인조석 판재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약 50배 정도로 생산효율이 대폭적으로 향상되어, 대량생산에 최적화된 기술이다.
본 발명의 인조석 판재(100)는 가로 1000×1800×10 이상의 규격으로 제작되며, 판재 한재당 당면적은 3㎡ 이상으로서, 주문에 따라 규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심볼문양이 들어간 인조석 판재(3㎡) 1장을 성형하는데, 종래에는 약 1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원발명이 적용되면 약 150초만에 인조석 판재의 성형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심볼문양(30)(30a)(30b) 또는 패턴문양(50) 또는 조합문양(60)은 믹스쳐(40)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인조석 판재(10)를 관통하여 상·하측 또는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방향으로 노출이 가능하여, 설치장소의 제약없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의 상승이 있다.
10 : 러버금형 20 : 시트
21 : 접착층 30,30a,30b : 심볼문양
31 : 돌출부 40 : 믹스쳐
41 : 제2믹스쳐 42 : 골
50 : 패턴문양 60 : 조합문양
60a : 제1조합 60b : 제2조합
60c : 제3조합 70 : 제2패턴
100 : 인조석 판재

Claims (5)

  1. 워터젯을 포함하는 정밀 절삭도구를 통해 사전 제작된 고체 상태의 심볼문양(30)(30a)(30b) 또는 패턴문양(50) 또는 조합문양(60)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시트(20)의 표면에 접착하고,
    상기 시트(20)가 안착된 러버금형(10)의 내측으로 레진(resin)이 혼합된 인조석 원료물질인 믹스쳐(mixture)(40)를 투입한 후, 진공진동 성형단계에 의해 문양과 문양 사이의 공간에 믹스쳐(40)를 치밀하게 채우며, 100 ∼ 140 ℃에서 10∼30분간 큐어링(Curing)에 의해 믹스쳐(40)에 포함된 레진을 고형화한 후, 캘리브레이팅(Calibrating) 및 폴리싱(Polishing)에 의해 하부의 시트(20) 및 상·하측 및 측면의 요철을 제거하여 인조석 판재(100)를 구현하되,
    상기 심볼문양(30)(30a)(30b) 또는 패턴문양(50) 또는 조합문양(60)은 믹스쳐(40)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인조석 판재(100)를 관통하여 상·하측 또는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조합되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문양(30)(30a)(30b)은 특정한 형상을 이루도록 독립적으로 절삭가공된 것이고,
    상기 패턴문양(50)은 시트(20) 전체 크기에 맞도록 특정한 직선상 또는 곡선상 하나의 패턴을 이루도록 절삭가공된 것이며,
    상기 조합문양(60)은 복수의 조각이 단독 또는 조합하여 하나의 형상을 이루도록 절삭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조합되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 판재에는 믹스쳐(40)를 투입한 후 진동진공 공정 이전 또는 이후 믹스쳐가 고형화되기 전에,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일측 방향으로 전체를 가로지르는 골(42)을 형성하고, 상기 골(42)에 특정한 성분을 포함하여 별도의 질감을 표출하는 제2믹스쳐(41)가 투입되어 제2패턴(7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조합되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문양(30)(30a)(30b) 또는 패턴문양(50) 또는 조합문양(60)은 믹스쳐(40)와 동일 재질 또는 유리, 금속, 천연대리석, 화강석, 세라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조합되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문양(30a)이 결합력 약화에 의해 위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양(30a)의 측면에는 복수의 돌출부(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조합되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
KR1020190099029A 2018-08-13 2019-08-13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 KR102327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4315 2018-08-13
KR1020180094315 2018-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103A true KR20200019103A (ko) 2020-02-21
KR102327353B1 KR102327353B1 (ko) 2021-11-17

Family

ID=6940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029A KR102327353B1 (ko) 2018-08-13 2019-08-13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047372A1 (ko)
KR (1) KR1023273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345A (ko) * 2007-01-26 2008-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갖는 인조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82858A (ko) * 2008-12-23 2009-07-31 한재우 판재 대리석의 장식 방법 및 장식 판재 대리석
KR20100064222A (ko) * 2008-12-04 2010-06-14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내부 금형을 이용한 수지계 강화 천연석의 제조방법
KR20140042543A (ko) * 2012-09-28 2014-04-07 손권백 건축용 석재패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석재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345A (ko) * 2007-01-26 2008-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양한 외관 디자인을 갖는 인조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64222A (ko) * 2008-12-04 2010-06-14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내부 금형을 이용한 수지계 강화 천연석의 제조방법
KR20090082858A (ko) * 2008-12-23 2009-07-31 한재우 판재 대리석의 장식 방법 및 장식 판재 대리석
KR20140042543A (ko) * 2012-09-28 2014-04-07 손권백 건축용 석재패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석재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47372A1 (en) 2020-02-13
KR102327353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534353A (en) Fractured block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047187A (en) Method of making ornamental pre-cast terrazzo panels with integral inlay design
KR20180019602A (ko) 베인을 포함한 인조석 슬래브 및 이의 제조 방법
US5185192A (en) Ornamental pre-cast terrazzo panels with integral inlay design
CN102667029A (zh) 机械固定的面砖
US6491852B1 (en) Method of making monolithic terrazzo floors having seamlessly integrated inlays
US1666232A (en) Method of making mosaics
US20050238856A1 (en) Decorative surface covering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KR20200019103A (ko) 절삭도구에 의해 사전 제작된 고체상태의 문양이 전방향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인조석 판재
US2007023148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stone
KR20140042543A (ko) 건축용 석재패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석재패널
US20030019571A1 (en) Decorative surface covering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920067B2 (en) Concrete decorative inlay process
KR100758801B1 (ko) 줄눈이 일체화된 인조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39519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CA2130256A1 (en) Process for tarsia-working of marble, granite, etc.
CN103711291B (zh) 高亮度高强度环保节材大理石线条及制作方法
KR100756297B1 (ko) 패턴이 형성된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2916B1 (ko) 내부 금형을 이용한 수지계 강화 천연석의 제조방법
KR100472016B1 (ko) 인조석을 접착, 경화하여 제조한 건축용 타일
KR100383321B1 (ko) 폐 스텐레스를 이용한 스텐타일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스텐타일
JPS6411441B2 (ko)
TWI644773B (zh) Colorful cement bri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10069434A (ko)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판넬과 조립식블록의제조방법 및 그 물건
JPH04117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