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649A - 전기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7649A KR20200017649A KR1020180092784A KR20180092784A KR20200017649A KR 20200017649 A KR20200017649 A KR 20200017649A KR 1020180092784 A KR1020180092784 A KR 1020180092784A KR 20180092784 A KR20180092784 A KR 20180092784A KR 20200017649 A KR20200017649 A KR 202000176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pot
- packing
- cooking
- heating
- separation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취사시 조리대상물의 전분 함량이 감소되면서도 간소한 구조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솥; 상기 수용공간이 조리대상물의 수용을 위한 상부측 조리영역과 가열수의 저수를 위한 하부측 저수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내솥 내부에 착탈되되, 하면부에 상기 저수영역의 가열수에 잠김되는 사이폰관이 구비된 분리판; 상기 분리판 및 상기 내솥 사이가 밀폐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에 장착되되 하단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배진 삽입유도부가 형성된 분리판패킹; 및 상기 저수영역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을 따라 상기 조리영역에 공급되도록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취사시 조리대상물의 전분 함량이 감소되면서도 간소한 구조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업소 및 가정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을 의미하며, 가열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내솥이 내장되며, 세척된 쌀이 내솥 내부에 투입되면 상기 가열부에 의해 내솥이 가열되며 취사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쌀 등의 곡물에는 전분 형태로 다량의 탄수화물이 저장되며, 이러한 탄수화물의 과다 흡수는 비만, 당뇨 등의 성인병을 비롯한 각종 심혈관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다이어트 등을 목적으로 낮은 전분 함량의 취사가 가능하도록,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의 하면부에 전자밸브를 장착하고, 내솥 내부에 가열수를 채워 가열한 후, 전자밸브를 개방하여 가열수를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전분을 분리하는 전기조리기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조리기는 전분이 용출된 가열수를 내솥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전자밸브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며, 내솥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별도의 수조가 요구되므로 부품의 구성 및 조립이 복잡화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전기조리기는 전분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이 내솥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내솥을 거쳐 수조로 배출되는 일방향 흐름을 가짐에 따라 조리시 소비되는 물의 양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취사 품질이 낮아 소비자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취사시 조리대상물의 전분 함량이 감소되면서도 간소한 구조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솥; 상기 수용공간이 조리대상물의 수용을 위한 상부측 조리영역과 가열수의 저수를 위한 하부측 저수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내솥 내부에 착탈되되, 하면부에 상기 저수영역의 가열수에 잠김되는 사이폰관이 구비된 분리판; 상기 분리판 및 상기 내솥 사이가 밀폐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에 장착되되 하단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배진 삽입유도부가 형성된 분리판패킹; 및 상기 저수영역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을 따라 상기 조리영역에 공급되도록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내솥을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의 일측에 사이폰관이 구비되므로 내솥의 가열에 따른 증기압력 변화만으로 가열수가 승강되어 조리대상물의 전분이 분리될 수 있어 다이어트, 식이요법 등을 위한 낮은 전분 함량의 취사가 가능하면서도 별도의 저수조나 밸브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컴팩트한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내솥 내주로부터 소정의 유격간격을 갖는 두께의 패킹몸체부 외주에 보조밀폐돌기가 다단 돌설되므로 내솥과의 마찰면적이 감소되어 분리판 패킹의 부드러운 삽입이 가능하면서도 복수 단의 보조밀폐돌기가 내솥의 내주에 밀착됨에 따라 분리판 및 내솥 사이가 안정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패킹몸체부의 내주에 돌설된 구속돌기를 통해 패킹지지부의 상단부가 구속되어 증기 압력으로 인한 분리판의 상향 유동이 방지됨과 동시에,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타공판의 테두리가 지지됨에 따라 분리판과 타공판의 마찰로 인한 마모 손상 및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패킹지지부의 상단부를 구속하는 구속돌기의 외측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연동돌기가 연결됨에 따라 구속돌기에 가해진 상측 방향의 압력이 패킹몸체부를 지지점으로 한 시소 운동을 통해 하측 방향의 압력으로 전환되어 연동돌기로 전달되므로 저수영역의 압력이 증가될수록 내솥 및 연동돌기의 밀착력이 증가될 수 있어 분리판패킹의 밀폐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분리판패킹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분리판패킹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분리판패킹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100)는 본체(60), 뚜껑(50), 내솥(10), 분리판(20), 분리판패킹(30), 타공판(70), 그리고 가열부(40a,4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60)의 내부에는 가열공간(d)이 형성되며, 상기 내솥(10)은 상부가 개구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열공간(d)에 착탈된다.
또한, 상기 내솥(10)의 내주에는 걸림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내솥(10)의 하부 내주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협소화되어 형성된 단차부(11) 또는 내솥(10)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단차부(11)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이때, 상기 단차부(11)의 상면부(11a)는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배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내솥(10) 내부에 착탈되며, 상기 내솥(10)의 수용공간은 내부에 장착된 분리판(20)에 의해 조리대상물(r)이 수용되는 상부측 조리영역(b)과 가열수(w)가 저수되는 하부측 저수영역(c)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내솥(10)의 상부 내주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내솥(10)의 상부측 내경 미만이되 상기 단차부(11)의 최소내경부를 초과하는 외경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판(20)은 하면부가 상기 저수영역(c)과 대향되는 동시에 상면부가 상기 조리영역(b)의 하부를 커버하되, 상기 단차부(11)에 지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패킹지지부(21)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패킹지지부(21)에 밀폐성 소재로 구비된 분리판패킹(30)이 장착되어 상기 내솥(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 및 상기 분리판패킹(30)이 상기 단차부(11)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분리판(20)의 장착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11)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기 조리영역(b) 및 상기 저수영역(c)의 크기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20)의 중앙 하면부에는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w)에 잠김되는 중공형 사이폰관(2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 중공과 상기 조리영역(b)이 상호 연통되도록 개구부(26)가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폰관(25)은 상기 분리판(20)의 하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되,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26)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분리판(20) 및 상기 사이폰관(25) 간의 연결부는 밀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이폰관(25)은 상기 분리판(20)이 상기 내솥(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 중공과 상기 저수영역(c)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내솥(10)의 바닥부로부터 이격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 및 상기 내솥(10)의 바닥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 중공을 거쳐 상기 사이폰관(25)의 가열수가 상기 저수영역(c)으로 유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솥(10)의 내주에 단차부(11)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가 상기 내솥(10)의 바닥부에 지지되어 상기 분리판(20)의 장착위치가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 및 상기 내솥(10)의 바닥부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가열수가 사이폰관(25)의 내부 중공 및 상기 저수영역(c) 사이로 유동될 수 있도록 사이폰관(25)의 둘레에 복수의 홀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홀의 최상단 높이에 따라 저수영역(c)에서 조리영역(b)으로 상승 가능한 최대 가열수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에는 상기 사이폰관(25)의 외곽 영역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표면높이가 증가되는 배수유도면부(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유도면부(22)는 분리판(20)의 상면부에서 상기 개구부(26)의 테두리 및 상기 패킹지지부(21)의 하단 테두리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배수유도면부(22)는 상기 개구부(26)측으로 갈수록 표면높이가 낮아지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 라운드지게 함몰된 구배면, 단차지게 다단 함몰된 계단식 단차면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방사상으로 복수의 요철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배수유도면부(22)는 요철부 사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공판(70)은 상기 조리영역(b) 및 상기 사이폰관(25)이 상호 연통되되 상기 조리영역(b)에 수용된 조리대상물(r)의 하향 유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개구부(26)를 커버한다.
이때, 상기 타공판(70)에는 상기 조리대상물(r)의 입자가 걸림되도록 기설정된 직경 미만으로 복수의 매쉬홀(7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쉬홀(71)의 직경은 상기 조리대상물(r)의 종류에 따른 입자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쌀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3m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타공판(70)의 상면부에 상기 조리대상물(r)이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된 조리대상물(r)의 하향 유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폰관(25)의 가열수(w)가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기 조리영역(b)의 가열수(w)가 상기 사이폰관(25)으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공판(70)은 상기 개구부(26)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분리판(20)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공판(70)이 상기 분리판(20)으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분리판(2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이때, 상기 타공판(70)은 상기 내솥(10)의 상부 내경 미만이되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단 테두리측 내경을 초과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공판(70)은 중앙부에 평탄한 형상의 안착면부(70a)가 구비되되 상기 안착면부(70a)의 외곽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보강면부(70b)가 구비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판패킹(30)은 탄성적이면서도 고온에 안정한 소재인 실리콘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패킹몸체부(31), 삽입유도부(32), 구속돌기(37), 연동돌기(36), 그리고 보조밀폐돌기(31a,31b)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킹몸체부(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되, 상하방향 높이가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하방향 높이를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킹지지부(21)가 커버되어 상기 분리판(20)이 상기 내솥(10)의 내주면과 직접 접촉 없이 착탈될 수 있으므로 내솥(10) 코팅의 긁힘, 벗겨짐 등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몸체부(31)의 내주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 형성된 결속홈부(31c)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패킹지지부(21)에는 결속단(2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속단(21a)은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홈부(31c)는 상기 결속단(21a)에 대응되는 크기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결속단(21a)이 상기 결속홈부(31c)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분리판패킹(30)이 상기 패킹지지부(21)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패킹몸체부(31)의 내주와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외주가 상호 면접촉되되, 상기 결속단(21a) 및 상기 결속홈부(31c)가 형합되며 밀착되므로 상기 패킹몸체부(31) 및 상기 패킹지지부(21) 사이가 안정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돌기(37)는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단부가 구속되도록 상기 결속홈부(31c)의 상단부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속돌기(37)의 반경방향 내측단부에는 절곡연장부(37a)가 하향 연장되며, 상기 절곡연장부(37a)를 통해 상기 패킹지지부(21)의 내주가 지지됨에 따라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단부가 더욱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돌기(36)는 상기 패킹몸체부(31)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되, 반경방향 내측단부가 상기 구속돌기(37)의 반경방향 외측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동돌기(36)는 상기 패킹몸체부(31)의 외주 및 상기 내솥(10)의 내주 사이 간격을 초과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속돌기(37)의 상면부에는 상기 타공판(70)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평탄한 형상의 안착부(31d)가 구비되되, 상기 타공판(70)의 테두리는 상기 안착부(31d)에 안착되어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타공판(70)과 상기 분리판(20) 사이에 여유공간(b2)이 형성되어 상기 타공판(70)에 안착된 조리대상물(r)과 상기 개구부(26)가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패킹지지부(21) 및 상기 타공판(70)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소음 내지는 마모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유도부(32)는 상기 패킹지지부(21)의 하단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상기 패킹몸체부(31)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배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킹지지부(21)가 커버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판(20)이 상기 내솥(10)의 내주면과 직접 접촉 없이 착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솥(10)의 코팅이 긁힘, 벗겨짐 등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유도부(32)의 하단부가 상기 내솥(10)의 상부 내경 미만으로 협소화됨에 따라 상기 분리판(20)의 장착시 상기 내솥(10)의 내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분리판패킹(30)이 상기 내솥(10)과의 마찰로 인한 말림, 벗겨짐 없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유도부(32)는 상기 패킹지지부(21) 및 상기 배수유도면부(22)의 연결부분에 형합되도록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유도부(32)가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측 패킹지지부(21)의 하단부를 감싸 밀착됨에 따라 내솥(10)과의 마찰시에도 분리판패킹(30) 및 분리판(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유도부(32)는 구배진 외면부가 상기 단차부(11)의 상면부(11a) 구배를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드되며 상기 단차부(11)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10)에 삽입된 분리판(20)을 하측으로 가압하기만 하면, 상기 삽입유도부(32)의 외면부 및 상기 단차부(11)의 상면부(11a)가 상호 형합되도록 밀착되어 상기 분리판(20)이 기울어짐 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판(20) 및 상기 단차부(11) 사이가 정확하게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킹몸체부(31)는 상기 내솥(10)의 내주로부터 소정의 유격간격을 갖도록 반경방향 두께가 상기 패킹지지부(21) 및 상기 내솥(10)의 상부 내주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되, 상기 보조밀폐돌기(31a,31b)는 상기 패킹몸체부(31)의 외주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밀폐돌기(31a,31b)는 반경방향 길이가 상기 패킹몸체부(31) 및 상기 내솥(10)의 상부 내주 사이의 간격을 초과하도록 구비되되,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판패킹(30) 및 상기 내솥(10) 간의 마찰면적이 감소되므로 상기 분리판(20)이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으면서도 복수 단의 보조밀폐돌기(31a,31b)가 내솥(10)의 내주에 밀착되므로 분리판(20) 및 내솥(10) 사이가 안정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밀폐돌기(31a,31b)는 상부측 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돌설길이가 증가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밀폐돌기(31a,31b)가 한쌍의 단으로 구비된 경우 상부측 단의 길이가 하부측 단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10)의 내경과 유사한 외경을 갖는 상기 보조밀폐돌기의 하부측 단(31b)을 통해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삽입 위치가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밀폐돌기의 상부측 단(31a)이 상기 내솥(10) 내주에 가압 밀착되므로 분리판패킹(30)의 장착 편의성 및 밀폐력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60)의 상부에는 일측에 관통부(50c)가 형성된 뚜껑(50)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뚜껑(50)은 상기 가열공간(d)이 커버되도록 상기 본체(6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뚜껑(50a)과, 상기 수용공간이 커버되도록 상기 외뚜껑(50a)의 하면부에 착탈되는 내뚜껑(50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50c)는 상기 외뚜껑(50a)의 증기배출부(51)와, 상기 증기배출부(51)와 연통되도록 상기 내뚜껑(50b)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홀(5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부(51)는 상기 연통홀(52)이 외부 대기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뚜껑(50a)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공간부를 의미하며, 상기 증기배출부(51)의 하단 테두리에는 외뚜껑(50a) 및 내뚜껑(50b) 사이의 증기 누설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통홀(52)의 외곽 영역에 밀착되는 밀폐패킹(51a)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증기배출부(51)에는 압력전환밸브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취사시 상기 내뚜껑(50b)에 의해 커버된 조리영역(b)은 상기 압력전환밸브장치(미도시)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부대기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부(40a,40b)는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w)가 상기 사이폰관(25)을 따라 상기 조리영역(b)에 공급되도록 상기 내솥(10)을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40a,40b)는 열판히터 내지는 유도가열장치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솥(10)의 바닥부가 가열되도록 상기 가열공간(d)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가열부(40a)와, 상기 내솥(10)의 측면부를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공간(d)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측면가열부(40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측면가열부(40b)는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상부측을 따라 상기 가열공간(d)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면가열부(40b)의 하단은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세히, 상기 내솥(10)에 물이 충진되면, 상기 내솥(10) 내부로 상기 분리판(20)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 및 상기 분리판패킹(30)이 상기 단차부(11)에 안착되어 상기 분리판(20)의 장착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가 상기 가열수(w)에 잠김된다.
이때,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가 완전히 잠김된 상태에서만 물의 가열시 발생된 증기가 상기 저수영역(c) 내에 격리되어, 하부측 가열수(w)를 사이폰관(25)을 통해 밀어 올릴 수 있는 높은 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판(70)은 테두리가 상기 안착부(31d)에 안착되어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공판(70)의 상면부에 상기 조리대상물(r)이 배치되되, 상기 뚜껑(50)이 닫힘되고 상기 본체(60)에 구비된 조작버튼(미도시)이 선택되면 조리대상물(r)의 취사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가열부(40a)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내솥(10)과 함께 상기 저수영역(c)에 수용된 가열수(w)가 가열되고, 가열수(w)의 온도가 끓는점 이상으로 상승되면 수증기가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 및 내솥(10) 사이가 상기 분리판패킹(30)에 의해 밀폐되되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가 가열수(w)에 잠김된 상태이므로 가열수(w)의 표면과 분리판(20)의 하면 사이에 대응되는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증가되면, 상기 분리판(20)의 하면부에 상측 방향의 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측 패킹지지부(21)가 상기 구속돌기(37) 및 상기 절곡연장부(37a)를 통해 구속되므로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로 인한 상측 방향의 압력이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단부를 통해 상기 구속돌기(37)의 일측(e)으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돌기(37)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상기 연동돌기(36)의 반경방향 내측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연동돌기(36)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속돌기(37)의 일측(e)으로 전달된 압력이 상기 패킹몸체부(31)의 상단부를 지지점(f)으로 한 시소 운동에 통해 하측 방향의 압력으로 전환되어 상기 연동돌기(36)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돌기(36)는 하향 회전되며, 상기 패킹몸체부(31)의 상단부측 지지점(f)으로부터 상향 배치된 상기 연동돌기(36)의 반경방향 외측단부(g)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내솥(10)의 내주에 압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 압력이 증가될수록 내솥(10) 및 연동돌기(36) 간 밀착력이 증가되어 상기 분리판(20) 및 내솥(10) 사이가 더욱 정확하게 밀폐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뚜껑(50)의 관통부(50c)를 통해 대기와 연통된 상기 조리영역(b)에는 대기압이 유지되며, 상기 개구부(26)를 통해 상기 조리영역(b)과 연통된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에도 대기압이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대기압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저수영역(c)과 상기 조리영역(b)의 압력차로 인해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w)가 상기 사이폰관(25)을 따라 상승되어 상기 조리영역(b)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는 표면 수위가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하강될 때까지만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수영역(c)의 수위가 사이폰관(25)의 하단부 높이 이하로 감소되면, 사이폰관(25)의 하단부와 수면 사이로 증기가 유동되어 상기 조리영역(b) 및 상기 저수영역(c) 간의 압력차가 제거되므로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된 가열수(w)가 다시 상기 저수영역(c)으로 하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 중 사이폰관(25)의 하단부로부터 상부측에 수용된 가열수만이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폰관(25)의 길이 및 상기 분리판(20)이 지지된 단차부(11)의 위치가 가열수의 승강시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여기서, 상기 단차부(11)의 위치는 상기 저수영역(c) 중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 테두리로부터 상부 외측에 대응되는 가용저수영역의 부피(c2)가 상기 사이폰관(25)의 부피(c3) 및 상기 조리영역(b)의 최대취반용수부피(b1)의 합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가용저수영역은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평면으로부터 상기 분리판(20)의 하면부 사이 영역 중 상기 사이폰관(25)의 외주로부터 상기 내솥(10)의 내주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최대취반용수부피(b1)는 상기 분리판(20) 상면부로부터 상기 조리영역(b)의 최대취반량에 대응되는 조리대상물(r)이 완전하게 잠김될 수 있는 수위까지의 부피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10)의 가열시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가 저수영역(c)의 가열수에 잠김된 상태에서, 조리대상물이 고온의 가열수(w)에 완전하게 잠겨 조리되도록 상기 가열수(w)가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 및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상부를 따라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뚜껑(50b)에 의해 상기 내솥(10)의 상단 개구가 커버됨에 따라 상승된 가열수(w)가 비산 배출되거나 외부 이물질이 상기 조리영역(b)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연통홀(52)을 통해 조리영역(b) 및 외부대기 간의 연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조리영역(b)의 하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저수영역(c)과 대향 배치된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의 하면부는 고온 가열된 수증기와 접촉되며,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는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된 가열수(w)와 접촉된다.
즉, 상기 분리판(20)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저수영역(c)과 상기 조리영역(b)으로 구획되되, 상기 저수영역(c)에서 고온 가열된 수증기의 열이 상기 분리판(20)의 전체면적을 통해 상기 조리영역(b)의 가열수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측면가열부(40b)를 통해 상기 조리영역(b)에 대응되는 내솥(10)의 상부측이 가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영역(b)의 가열수가 조리대상물(r)에 적합한 취사온도로 안정적으로 가열될 수 있어 제품의 가열효율 및 조리품질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승된 가열수(w)는 상기 개구부(26)를 통과하여 상기 조리영역(b)으로 공급되며,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 및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상부를 따라 충진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26)를 통과한 가열수(w)는 상기 개구부(26)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 타공판(70)과 상기 분리판(20) 사이의 여유공간(b2)에서 타공판(70)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넓게 분산되어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유공간(b2)의 가열수(w) 수위가 상기 타공판(70)의 표면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조리대상물(r)이 고온의 가열수(w)에 잠겨 조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공판(70)의 안착면부(70a)는 개구부(26)의 상부에 대향 배치되되, 상기 개구부(26)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안착면부(70a)를 통해 조리대상물(r)의 각 부분에 대한 최저침수수위가 균일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저침수수위는 조리대상물(r)에서 개구부(26)와 인접한 중앙부, 개구부(26)로부터 이격된 외곽부 등의 각 부분이 침수되는 가열수(w)의 최저 수위를 의미한다.
즉, 상기 안착면부(70a)의 평탄한 형상으로 인해 조리대상물(r) 각 부분이 동일한 높이범위에 배치되므로, 가열수(w)의 수위 증가시 조리대상물(r)의 중앙부와 외곽부가 편차 없이 균일한 속도로 침수 및 조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26)와 대향 배치된 타공판(70) 중앙부의 조리대상물(r)이 질어지는 등의 조리 편차가 최소화되고 상기 조리대상물(r)의 각 부분이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취사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b와 같이, 상기 조리대상물(r)이 상기 조리영역(b)으로 급수된 고온의 가열수에 잠김되면, 아밀로펙틴 등의 전분 구성 물질이 가열수(w)에 용출된다.
이때, 상기 가열수(w)의 가열시 발생된 수증기 중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을 증가시키는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기포 상태로 상기 사이폰관(25)을 따라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되며, 상기 여유공간(b2)을 거쳐 상기 조리대상물(r)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승된 기포가 상기 여유공간(b2)에서 분산되는 가열수(w)의 흐름을 따라 상기 타공판(70)의 전체면적으로 넓게 분산되어 상기 조리대상물(r)의 입자 사이를 통과하므로 상기 조리대상물(r)의 입자가 상기 기포의 운동 에너지에 의해 미세 진동되며 전분의 용출 과정이 촉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c와 같이, 상기 가열부(40a,40b)의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저수영역(c)의 수증기가 액화되어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대기압 이하로 감소되면, 상기 조리영역(b)의 가열수(w)가 저수영역(c)으로 배수되며 상기 용출된 전분이 상기 가열수(w)와 함께 상기 조리대상물(r)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대상물(r)은 매쉬홀(71)이 형성된 타공판(7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분리판(20) 및 상기 개구부(26)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상기 가열수(w)가 개구부(26)와 대향 배치된 조리대상물(r)의 중앙부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매쉬홀(71)을 통해 상기 여유공간(b2)으로 수직 하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수(w)가 상기 조리대상물(r) 내부에서 유동되는 경로가 단축되므로 상기 조리대상물(r)에 재흡수 내지 재흡착되는 전분량이 최소화되어 전분의 분리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유공간(b2)으로 하강된 가열수는 상기 배수유도면부(22)의 경사를 따라 개구부(26)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저수영역(c)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조리기(100)는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 증감에 따른 상기 조리영역(b)의 급배수가 반복되어 상기 조리대상물(r)의 전분이 분리되도록 상기 가열부(40a,40b)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6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40a,40b)는 상기 조리영역(b)의 급배수가 반복되도록 제어부(61)에 의해 전원이 제어된다.
즉, 상기 제어부(61)를 통해 가열부(40)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수(w)가 가열 및 기화되어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증가되고, 상기 제어부(61)를 통해 가열부(40)의 전원이 차단되면 수증기가 액화되어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저하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61)에 의해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가열부(40a,40b)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이 반복됨에 따라 가열수(w)가 상기 조리영역(b)으로 급수되고, 급수된 가열수(w)가 상기 저수영역(c)으로 배수되는 과정이 반복되며, 상기 조리대상물(r)이 조리됨과 동시에 상기 조리대상물(r)에 함유된 전분이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솥(10)의 바닥부는 상기 사이폰관(25)과 대면되는 중앙부의 외곽 영역(19)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분이 용출된 고비중의 가열수(w)가 함몰된 부분에 수집되며, 후속 가열시 상기 조리영역(b)으로 공급되는 가열수(w) 내의 전분 함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내솥(10)의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20)의 일측에 상기 저수영역(c) 및 상기 조리영역(b)을 연결하는 상기 사이폰관(25)이 구비되므로 가열부(40a,40b)를 통한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 변화만으로도 가열수(w)가 조리영역(b) 및 저수영역(c)으로 상호 유동되며 상기 조리대상물(r)의 전분이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어트, 식이요법 등을 위한 낮은 전분 함량의 취사가 가능하면서도 가열수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저수조나 밸브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컴팩트한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찜조리와 달리, 상기 저수영역(c) 및 상기 조리영역(b) 간의 증기압력 차에 따라 가열수(w)가 상기 조리대상물(r)과 직접 접촉되도록 상승되므로 조리대상물(r)이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며 조리될 수 있어 제품의 조리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전기조리기
10: 내솥
11: 단차부 20: 분리판
25: 사이폰관 30: 분리판패킹
40a,40b: 가열부 50: 뚜껑
50c: 관통부 60: 본체
70: 타공판
11: 단차부 20: 분리판
25: 사이폰관 30: 분리판패킹
40a,40b: 가열부 50: 뚜껑
50c: 관통부 60: 본체
70: 타공판
Claims (9)
-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솥;
상기 수용공간이 조리대상물의 수용을 위한 상부측 조리영역과 가열수의 저수를 위한 하부측 저수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내솥 내부에 착탈되되, 하면부에 상기 저수영역의 가열수에 잠김되는 사이폰관이 구비된 분리판;
상기 분리판 및 상기 내솥 사이가 밀폐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에 장착되되 하단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배진 삽입유도부가 형성된 분리판패킹; 및
상기 저수영역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을 따라 상기 조리영역에 공급되도록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패킹은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패킹지지부와 면접촉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패킹몸체부와,
상기 패킹지지부의 상단부가 구속되도록 상기 패킹몸체부의 내주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된 구속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지지부에는 상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첩되어 결속단이 형성되되,
상기 패킹몸체부의 내주에는 상기 결속단이 삽입되는 결속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의 반경방향 내측단부에는 상기 패킹지지부의 내주가 지지되도록 하향 연장된 절곡연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상부에는 상기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타공판이 장착되되,
상기 구속돌기의 상면부에는 상기 타공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유도부는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 하단부에 형합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패킹의 외주에는 상기 내솥의 내주에 밀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 보조밀폐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밀폐돌기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의 단으로 구비되되, 상부측 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돌설길이가 증가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패킹은 내주에 상기 분리판의 상단부가 구속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속돌기가 돌설되되 외주에 상기 구속돌기와 연결되는 연동돌기가 돌설되고,
상기 연동돌기는 상기 구속돌기의 상방 가압시 하향 회전되어 상기 내솥 내주에 가압 밀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784A KR102203660B1 (ko) | 2018-08-09 | 2018-08-09 | 전기조리기 |
CN201910720649.3A CN110811293B (zh) | 2018-08-09 | 2019-08-06 | 电炊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2784A KR102203660B1 (ko) | 2018-08-09 | 2018-08-09 | 전기조리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7649A true KR20200017649A (ko) | 2020-02-19 |
KR102203660B1 KR102203660B1 (ko) | 2021-01-15 |
Family
ID=6966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2784A KR102203660B1 (ko) | 2018-08-09 | 2018-08-09 | 전기조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366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920297A (zh) * | 2020-08-28 | 2020-11-13 |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食物烹饪器及其烹饪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43950A (ja) * | 2005-11-29 | 2007-06-14 | Yamamoto Denki Kk | 液状食品の調理方法および液状食品調理器 |
KR20070078741A (ko) | 2006-01-27 | 2007-08-01 | 펜소닉 (에이치.케이.)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건강 밥솥 및 쌀의 녹말 제거 방법 |
JP2011174535A (ja) * | 2010-02-24 | 2011-09-08 | Kurabe Industrial Co Ltd | パッキン |
KR20130032705A (ko) * | 2011-09-23 | 2013-04-02 | 쿠쿠전자주식회사 | 압력지지보강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
KR20130103026A (ko) * | 2012-03-09 | 2013-09-23 | 주식회사 리홈쿠첸 | 전기압력밥솥의 패킹 구조체 |
-
2018
- 2018-08-09 KR KR1020180092784A patent/KR1022036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43950A (ja) * | 2005-11-29 | 2007-06-14 | Yamamoto Denki Kk | 液状食品の調理方法および液状食品調理器 |
KR20070078741A (ko) | 2006-01-27 | 2007-08-01 | 펜소닉 (에이치.케이.)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건강 밥솥 및 쌀의 녹말 제거 방법 |
JP2011174535A (ja) * | 2010-02-24 | 2011-09-08 | Kurabe Industrial Co Ltd | パッキン |
KR20130032705A (ko) * | 2011-09-23 | 2013-04-02 | 쿠쿠전자주식회사 | 압력지지보강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
KR20130103026A (ko) * | 2012-03-09 | 2013-09-23 | 주식회사 리홈쿠첸 | 전기압력밥솥의 패킹 구조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920297A (zh) * | 2020-08-28 | 2020-11-13 |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食物烹饪器及其烹饪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3660B1 (ko) | 2021-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15773A (en) | Steam oven | |
CN110811294B (zh) | 电炊具 | |
KR20200018152A (ko) | 전기조리기 | |
US9801491B2 (en) | Food cooking basket and corresponding cooking system | |
KR20100120124A (ko) | 액체 가열 장치 | |
JP6473245B2 (ja) | 容器に収容された食品を蒸気加熱および/または調理するための蒸気調理器付属装置 | |
EP1308114B1 (fr) | Cuiseur vapeur multifonctions à autonomie améliorée | |
KR102432516B1 (ko) |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 |
CN110811295A (zh) | 电炊具 | |
KR20200017649A (ko) | 전기조리기 | |
KR102203656B1 (ko) | 전기조리기 | |
US2882811A (en) | Coffee mushroom | |
KR102203658B1 (ko) | 전기조리기 | |
JP7225429B2 (ja) | 調理器具 | |
CN211559750U (zh) | 沥水组件及具有沥水组件的烹饪器具 | |
CN110811293B (zh) | 电炊具 | |
KR200387420Y1 (ko) | 압력 가마솥 | |
KR101281244B1 (ko) |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 |
JPH053167Y2 (ko) | ||
KR101720428B1 (ko) |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뚜껑 | |
KR102523956B1 (ko) | 자동압력조절모듈이 장착된 내솥 뚜껑을 구비한 전기밥솥 | |
US917056A (en) | Fireless cooker. | |
KR20130118128A (ko) | 조리용기의 증기회수식 덮개장치 | |
US1097711A (en) | Pot for coffee, &c. | |
CN213309005U (zh) | 一种可烹饪降糖饭的蒸汽饭煲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