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646A - electric cooker - Google Patents

electric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646A
KR20200017646A KR1020180092780A KR20180092780A KR20200017646A KR 20200017646 A KR20200017646 A KR 20200017646A KR 1020180092780 A KR1020180092780 A KR 1020180092780A KR 20180092780 A KR20180092780 A KR 20180092780A KR 20200017646 A KR20200017646 A KR 20200017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cooking
water
packing
electric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3659B1 (en
Inventor
이창룡
손현범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659B1/en
Priority to CN201910720806.0A priority patent/CN110811294B/en
Publication of KR2020001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6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6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electric cooker, which improves productivity with a simple structure while reducing the content of starch of an object to be cooked during cooking. The electric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ner pot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separation plat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inner pot to divide the accommodation space into an upper cooking area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cooked, and a lower water storage area for storing heated water, having a siphon pipe immersed in the heated water of the water storage area on a lower surface part thereof, and formed with an opening part to communicate the siphon pipe and the cooking area; a perforated plate upwardly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part, and having the object to be cooked, seated thereon; and a separation plate packing for sealing a gap between the separation plate and the inner pot by being mounted on an edge of the separation plate to rise the heated water along the siphon pipe by increasing a vapor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area when the inner pot is heated.

Description

전기조리기{electric cooker}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취사시 조리대상물의 전분 함량이 감소되면서도 간소한 구조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cooker which improves productivity with a simple structure while reducing the starch content of the cooking object when cooking.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업소 및 가정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을 의미하며, 가열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an electric cooker means an electric rice cooker, an electric pressure cooker, etc. used for cooking food in a business or at home, and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heating unit and a li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내솥이 내장되며, 세척된 쌀이 내솥 내부에 투입되면 상기 가열부에 의해 내솥이 가열되며 취사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pot is built in the main body, and when the washed rice is put into the inner pot, the inner pot is heated by the heating unit, and the cooking process may proceed.

이때, 쌀 등의 곡물에는 전분 형태로 다량의 탄수화물이 저장되며, 이러한 탄수화물의 과다 흡수는 비만, 당뇨 등의 성인병을 비롯한 각종 심혈관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large amount of carbohydrates are stored in the grains such as rice in the form of starch, and the excessive absorption of such carbohydrates may cause various cardiovascular problems including adult diseases such as obesity and diabetes.

이에, 다이어트 등을 목적으로 낮은 전분 함량의 취사가 가능하도록,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의 하면부에 전자밸브를 장착하고, 내솥 내부에 가열수를 채워 가열한 후, 전자밸브를 개방하여 가열수를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전분을 분리하는 전기조리기가 개발된 바 있다. Thus, the solenoid valve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pot to accommodate food, and the heating is performed by filling the heating water inside the inner pot so as to enable the cooking of low starch content for the purpose of dieting and the like. An electric cooker that separates starch as a method of discharge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종래의 전기조리기는 전분이 용출된 가열수를 내솥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전자밸브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며, 내솥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별도의 수조가 요구되므로 부품의 구성 및 조립이 복잡화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requires a separate device such as a solenoid valve for discharging the hot water eluted from the starch outside the inner pot, and requires a separate tank for collec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inner pot. There is a problem that assembly is complicated and productivity is lowered.

더욱이, 종래의 전기조리기는 전분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이 내솥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내솥을 거쳐 수조로 배출되는 일방향 흐름을 가짐에 따라 조리시 소비되는 물의 양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취사 품질이 낮아 소비자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Moreover, the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has a one-way flow in which water used for separating starch is introduced from outside the inner pot and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pot into the water tank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in cooking and lowers the overall cooking qualit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ustomer's satisfaction is lowered.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7874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874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취사시 조리대상물의 전분 함량이 감소되면서도 간소한 구조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cooker that improves productivity with a simple structure while reducing the starch content of the cooking object when cooking.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솥; 상기 수용공간이 조리대상물의 수용을 위한 상부측 조리영역과 가열수의 저수를 위한 하부측 저수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내솥 내부에 착탈되되, 하면부에 상기 저수영역의 가열수에 잠김되는 사이폰관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폰관 및 상기 조리영역이 상호 연통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분리판;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타공판; 및 상기 내솥의 가열시 상기 저수영역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을 따라 상승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에 장착되어 상기 분리판 및 상기 내솥 사이를 밀폐하는 분리판패킹을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ner pot formed receiving space therein; A siphon pipe is detached from the inner pot so that the receiving space is divided into an upper side cooking region for accommodating a cooking object and a lower side storage region for storing the heating water, and the subsidiary tube is immersed in the heating water of the storage region. A separation plate provided with an opening so that the siphon tube and the cooking reg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perforated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And a separator plate packing mounted on an edge of the separator plate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separator plate and the inner pot so that the steam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region is increased when the inner pot is heated so that the heated water rises along the siphon tube. Provide a cooker.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내솥을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의 일측에 사이폰관이 구비되므로 내솥의 가열에 따른 증기압력 변화만으로 가열수가 승강되어 조리대상물의 전분이 분리될 수 있어 다이어트, 식이요법 등을 위한 낮은 전분 함량의 취사가 가능하면서도 별도의 저수조나 밸브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컴팩트한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First, since the siphon tub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parating plate partitioning the inner pot up and down, the heating water is elevated only by the steam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the heating of the inner pot, so that the starch of the cooked object can be separated, so that the low starch for diet, diet,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ct product which is capable of cooking the contents bu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reservoir or a valve device.

둘째, 상기 조리대상물이 상기 사이폰관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 타공판의 평탄한 상면부에 안착되므로 가열수의 수위 상승시 개구부와 인접한 중앙부 및 외곽부에 배치된 조리대상물이 편차 없이 균일한 속도로 침수 및 조리될 수 있어 제품의 취사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Second, since the cooking object is seated on the flat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spaced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iphon tube, the cooking object disposed at the center and the outer portion adjacent to the opening at a uniform speed without deviation when heating water level rises. Can be submerged and cooked to improve the cooking quality of the product.

셋째, 전분을 함유한 가열수가 조리대상물 하부의 매쉬홀을 거쳐 타공판과 분리판 사이의 여유공간으로 수직 하강되므로 가열수의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며, 용출된 전분이 조리대상물 내부에서 유동되는 경로가 단축되므로 상기 조리대상물에 재흡수 또는 재흡착되는 전분량이 최소화되어 전분의 분리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Third, the heated water containing starch is vertically lowered to the free space between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separating plate through the mash hole at the bottom of the object to be cooked, so that the hot water can be discharged quickly. Therefore, the amount of starch to be reabsorbed or resorbed to the cooking object is minimized, thereby improv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starch.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3b and 3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3b and 3c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100)는 본체(60), 뚜껑(50), 내솥(10), 분리판(20), 분리판패킹(30), 타공판(70), 그리고 가열부(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o 3c, the electric cooker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60, the lid 50, the inner pot 10, the separator plate 20, the separator plate packing 30 ), The perforated plate 70, and the heating unit 40.

여기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60)의 내부에는 상기 내솥(10)이 착탈되는 가열공간(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솥(10)은 상부가 개구되되, 내부에 수용공간(a)이 형성된 용기형으로 구비된다. Here, referring to FIGS. 1 and 2, a heating space d in which the inner pot 10 is attached and detached is formed in the main body 60. In addition, the inner pot 10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a is formed therein.

또한, 상기 내솥(10)의 내주에는 걸림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내솥(10)의 하부 내주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협소화되어 형성된 단차부(11) 또는 내솥(10)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단차부(11)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Here, the lock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11 formed in the low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or a protrusion formed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this embodiment In the following, the lock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11 by way of example and will be described.

이때, 상기 단차부(11)의 상면부(11a)는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배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portion 11a of the step portion 11 is preferably formed to be gradient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oward the lower side.

한편,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내솥(10) 내부에 착탈되며, 상기 수용공간(a)은 상기 분리판(20)에 의해 조리대상물(r)이 수용되는 상부측 조리영역(b)과 가열수(w)가 저수되는 하부측 저수영역(c)으로 구획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ng plate 20 is detachable inside the inner pot 10, the receiving space (a) is the upper side cooking region (b) and the cooking object (r) is accommodated by the separating plate 20 and It may be partitioned into a lower side reservoir region c in which the heated water w is stored.

상세히,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내솥(10)의 상부 내주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내솥(10)의 상부측 내경 미만이되 상기 단차부(11)의 최소내경부를 초과하는 외경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separation plate 20 is provided to have an outer diameter that is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but exceeds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step portion 11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Is preferred.

이에 따라, 상기 분리판(20)은 하면부가 상기 저수영역(c)과 대향되는 동시에 상면부가 상기 조리영역(b)의 하부를 커버하되, 상기 단차부(11)에 지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a)에 장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parating plate 20 has a lower surface portion facing the water storage region c while an upper surface portion covers the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region b, and is supported by the step portion 11 so as to support the receiving space a. ) Can be mounted.

또한,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패킹지지부(21)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패킹지지부(21)에 밀폐성 소재로 구비된 분리판패킹(30)이 장착되어 상기 내솥(10)에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cking support portion 21 extending upwardly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separator 20, the separator plate 20 is a separating plate packing 30 provided with a sealing material in the packing support 21 Can be mounted to the inner pot (10).

이때,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 및 상기 분리판패킹(30)이 상기 단차부(11)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분리판(20)의 장착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11)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기 조리영역(b) 및 상기 저수영역(c)의 크기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the edge of the separator plate 20 and the separator plate packing 30 are supported by the stepped portion 11,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eparator plate 20 may be fixed, and the stepped portion 11 may be fixed. The size ratio of the cooking zone (b) and the reservoir region (c)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그리고, 상기 분리판(20)의 중앙 하면부에는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w)에 잠김되는 중공형 사이폰관(25)이 구비된다. In addition, a hollow siphon tube 25 that is immersed in the heating water w of the water storage region c is provided at the center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late 20.

이때, 상기 분리판(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 중공과 상기 조리영역(b)이 상호 연통되도록 개구부(26)가 관통 형성된다. In this case, an opening 26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eparator 20 so that the inner hollow of the siphon tube 25 and the cooking region 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사이폰관(25)은 상기 분리판(20)의 하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26)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분리판(20) 및 상기 사이폰관(25) 간의 연결부는 밀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iphon tube 2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late 2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may be coupled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26, but the separation pl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20 and the siphon tube 25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sealed.

그리고, 상기 사이폰관(25)은 상기 분리판(20)이 상기 내솥(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 중공과 상기 저수영역(c)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내솥(10)의 바닥부로부터 이격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iphon tube 25 has a lower end portion of the inner pot such that the inner hollow of the siphon tube 25 and the water storage region c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ile the separator 20 is mounted on the inner pot 10. It is preferable to extend to a length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10).

즉,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 및 상기 내솥(10)의 바닥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 중공을 거쳐 상기 사이폰관(25)의 가열수가 상기 저수영역(c)으로 유동될 수 있다. That is, the siphon tube 25 passes through the inner hollow of the siphon tube 25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and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0. The heated water of may flow into the reservoir region (c).

물론, 상기 내솥(10)의 내주에 단차부(11)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가 상기 내솥(10)의 바닥부에 지지되어 상기 분리판(20)의 장착위치가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when the step portion 11 is not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is support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0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eparation plate 20 is increased. It is also possible to be fixed.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 및 상기 내솥(10)의 바닥부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 중공 및 상기 저수영역(c) 사이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폰관(25)의 둘레에 복수의 홀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홀의 최상단 높이에 따라 상기 저수영역(c)에서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 가능한 최대 가열수량이 조절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and the bottom of the inner pot 1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eated water flows between the inner hollow of the siphon tube 25 and the water storage region (c).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e around the siphon tube 25, and the maximum amount of heating water that can rise from the water storage area c to the cooking area b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op height of the hole.

또한,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에는 상기 사이폰관(25)의 외곽 영역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표면높이가 증가되는 배수유도면부(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parating plate 2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rain induction surface portion 22 which increases the surface height toward the radially outward along the outer region of the siphon tube 25.

여기서, 상기 배수유도면부(22)는 분리판(20)의 상면부에서 상기 개구부(26)의 테두리 및 상기 패킹지지부(21)의 하단 테두리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Here, the drain guide portion 22 mean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dge between the edge of the opening 26 and the lower edge of the packing support 21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paration plate (20).

상세히, 상기 배수유도면부(22)는 상기 개구부(26)측으로 갈수록 표면높이가 낮아지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 라운드지게 함몰된 구배면, 단차지게 다단 함몰된 계단식 단차면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drain guide surface portion 22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side in a radial direction so that the surface height decreases toward the opening 26 side, a gradient surface recessed roundly, and a stepped step surface recessed stepwise. Can be.

이때, 상기 분리판(20)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방사상으로 복수의 요철부(23)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배수유도면부(22)는 요철부(23) 사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paration plate 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neven portions 23 radially for strength reinforcement, and the drain guide surface portion 22 may be formed along the uneven portions 23.

한편, 상기 타공판(70)은 상기 개구부(26)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면부에 상기 조리대상물(r)이 안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erforated plate 70 is spaced apart upward from the opening 26, the cooking object (r)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상세히, 상기 타공판(70)은 상기 내솥(10)의 상부 내경 미만이되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단 테두리측 내경을 초과하는 외경을 갖는 원형판재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a)에 삽입되고 상기 분리판(20)의 패킹지지부(21)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perforated plate 70 is provided with a circular plate having an outer diameter that is less than the upper inner diameter of the inner pot 10 but exceeds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edge side of the packing support 2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a) It may be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packing support 21 of the separating plate 20.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r)이 안착된 타공판(70)과 상기 배수유도면부(22) 사이에 여유공간(b2)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 free space b2 may be formed between the perforated plate 70 on which the cooking object r is seated and the drain guide surface portion 22.

이때, 상기 타공판(70)은 중앙부에 평탄한 형상의 안착면부(70a)가 구비되되 상기 안착면부(70a)의 외곽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보강면부(70b)가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perforated plate 70 is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portion 70a having a flat shape in the center portion, but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surface portion 70b that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70a.

그리고, 상기 타공판(70)에는 상기 조리대상물(r)의 입자가 걸림되도록 기설정된 직경 미만으로 복수의 매쉬홀(7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쉬홀(71)의 직경은 상기 조리대상물(r)의 종류에 따른 입자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쌀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3m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mesh holes 71 penetrate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70 to a diameter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diameter so as to catch the particles of the cooking object r.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mash hole 71 is preferably set in consideration of particle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oking object r, and may be set to 3 mm or less based on rice.

이에 따라, 상기 조리영역(b)에 수용된 조리대상물(r)의 하향 유동이 제한되되, 상기 가열수(w)가 유동되도록 상기 조리영역(b) 및 상기 사이폰관(25)의 내부 중공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ownward flow of the cooking object (r) accommodated in the cooking zone (b) is limited, and the inner hollow of the cooking zone (b) and the siphon tube (25) mutually so that the heated water (w) flows. Can be communicated.

한편, 상기 분리판패킹(30)은 탄성적이면서도 고온에 안정한 소재인 실리콘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패킹몸체부(31), 삽입유도부(32), 그리고 밀폐돌기(3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ng plate packing 30 may be provided with silicon, which is a material that is elastic and stable at high temperatures, and may include a packing body part 31, an insertion guide part 32, and a sealing protrusion 33. Can be.

여기서, 상기 패킹몸체부(31)는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링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패킹지지부(21) 및 상기 내솥(10) 내주 사이의 간격 이상의 반경방향 두께를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acking body portion 31 is provided in a ring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cking support 21,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terval between the packing support 21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or more It is preferred to have a thickness.

이에 따라, 상기 패킹몸체부(31)가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외주 및 상기 내솥(10) 내주 사이에서 압착되되 상기 패킹몸체부(31)의 내주 및 외주가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외주 및 상기 내솥(10) 내주에 면접촉되며 상기 수용공간(a)에 장착된 분리판(20) 및 상기 내솥(10) 내주 사이가 정확하게 밀폐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acking body portion 31 is compres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cking support portion 21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but the inner circumference and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cking body portion 31 ar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cking support portion 21. And the inner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may be accurately sealed between the separation plate 20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그리고, 상기 패킹지지부(21)에 의해 상하방향의 원통형으로 지지된 패킹몸체부(31)의 외면이 상기 내솥(10)의 내주를 따라 안내되므로 상기 분리판(20)이 비틀림 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ing body portion 31 supported by the packing support 21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u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the separation plate 20 is mounted in the correct direction without twisting. Can be.

또한, 상기 패킹몸체부(31)는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하방향 높이를 초과하는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상기 패킹몸체부(31)의 상단부에는 내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된 고정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cking body portion 31 is provided with a size exceed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packing support portion 21, the upper end of the packing body portion 31 extending to protrude upward of the packing support portion 21 The fixing groove 35 recessed radially out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may be formed.

상세히, 상기 타공판(70)은 상기 분리판(20) 및 상기 분리판패킹(30)이 상기 내솥(10)에 기장착된 상태에서 후속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나, 내솥(10)의 긁힘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분리판패킹(30)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분리판(20)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perforated plate 70 may be subsequently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separator plate 20 and the separator plate packing 30 are mounted on the inner pot 10, but preventing damage to the inner pot 10. Covered by the separation plate packing 30 so as to be mounted in a fixed state on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on plate 20.

즉, 상기 패킹지지부(21)에 상기 분리판패킹(30)이 결합되면, 상기 타공판(70)이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상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패킹지지부(21)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eparating plate packing 30 is coupled to the packing support 21, the perforated plate 7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separating plate packing 30 to be seated at the upper end of the packing support 21. Can be.

이때, 상기 타공판(70)의 테두리가 상기 고정홈(35)에 탄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타공판(70) 및 상기 분리판(20), 상기 분리판패킹(30)이 결합되어 상기 내솥(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eriphery of the perforated plate 7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5, the perforated plate 70, the separation plate 20, the separating plate packing 30 is coupled to the inner pot (10) Can be inserted into

또한, 상기 삽입유도부(32)는 상기 패킹지지부(21)의 하단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상기 패킹몸체부(31)의 하단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배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insertion guide portion 32 is formed to extend radially inwar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packing body portion 31 so as to project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acking support 21.

이에 따라, 상기 패킹지지부(21)가 커버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판(20)이 상기 내솥(10)의 내주면과 직접 접촉 없이 착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솥(10) 코팅의 긁힘, 벗겨짐 등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separating plate 20 may be detached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ot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packing support 21 is covered, damage such as scratching or peeling of the inner pot 10 coating may be prevented.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삽입유도부(32)의 하단부가 상기 내솥(10)의 상부 내경 미만으로 협소화됨에 따라 상기 분리판(20)의 장착시 상기 내솥(10)의 내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분리판패킹(30)이 상기 내솥(10)과의 마찰로 인한 말림, 벗겨짐 없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guide 32 is narrowed to less than the upper inner diameter of the inner pot 10, the separation plate packing 3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when the separation plate 20 is mounted. Due to the friction with the inner pot 10, it can be inserted smoothly without peeling off.

여기서, 상기 삽입유도부(32)는 상기 패킹지지부(21)의 하단부에 형합되도록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유도부(32)가 상기 패킹지지부(21)의 하단부를 감싸 밀착됨에 따라 내솥(10) 및 패킹몸체부(31)의 마찰시에도 분리판(20)에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Here, the insertion guide portion 32 is more preferably provided to be molded to the lower end of the packing support 21, the inner pot 10 as the insertion guide 32 is wrapped close to the lower end of the packing support 21 ) And the state coupled to the separator 20 may be stably maintained even when the packing body portion 31 is rubbed.

이때, 상기 삽입유도부(32)는 구배진 외면부가 상기 단차부(11)의 상면부(11a) 구배를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드되며 상기 단차부(11)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리판(20)이 더욱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sertion guide portion 32 is smoothly slides along the gradient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a of the stepped portion 11 and may be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11 so that the separation plate 20 is further. Can be easily inserted

또한, 상기 내솥(10)에 삽입된 분리판(20)을 하측으로 가압하기만 하면, 상기 삽입유도부(32)의 외면부 및 상기 단차부(11)의 상면부(11a)가 상호 형합되도록 밀착되어 상기 분리판(20)이 기울어짐 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판(20) 및 상기 내솥(10) 내주 사이가 더욱 정확하게 밀폐될 수 있다. In addition, just pressing the separating plate 20 inserted into the inner pot 10 to the lower side,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32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1a) of the step portion 11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paration plate 20 may be fixed in the correct direction without tilting, and the separation plate 20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may be more accurately sealed.

그리고, 상기 밀폐돌기(33)는 상기 패킹몸체부(31)의 외주 상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분리판(20)의 삽입시 상기 내솥(10) 내주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 변형되며 하측 방향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내솥(10) 내주에 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aling protrusion 33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outwar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cking body portion 31, and is deformed upward by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when the separation plate 20 is inserted. 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by the restoring force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때, 상기 밀폐돌기(33)의 가압 변형에 따라 분리판패킹(30)의 내주 상단부(34)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공판(70)의 테두리가 구속되므로 상기 분리판(20) 및 상기 타공판(70)의 상향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circumferential upper end 34 of the separating plate packing 30 protrudes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deformation of the sealing protrusion 33 so that the edge of the perforated plate 70 is constrained so that the separating plate 20 and the The upward flow of the perforated plate 70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본체(60)의 상부에는 일측에 관통부(50c)가 형성된 뚜껑(50)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뚜껑(50)은 상기 가열공간(d)이 커버되도록 상기 본체(6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뚜껑(50a)과, 상기 수용공간(a)이 커버되도록 상기 외뚜껑(50a)의 하면부에 착탈되는 내뚜껑(50b)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60 is provided with a lid 50 formed with a through portion 50c on one side. In detail, the lid 5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60 so as to cover the heating space (d) and the outer lid 50a to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outer lid 50a to cover the receiving space (a) It includes an inner lid (50b) that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그리고, 상기 관통부(50c)는 상기 외뚜껑(50a)의 증기배출부(51)와, 상기 증기배출부(51)와 연통되도록 상기 내뚜껑(50b)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홀(52)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hrough part 50c has a communication hole 52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cover 50b to communicate with the vapor discharge part 51 of the outer lid 50a and the vapor discharge part 51. Include.

이때, 상기 증기배출부(51)는 상기 연통홀(52)이 외부 대기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뚜껑(50a)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공간부를 의미하며, 상기 증기배출부(51)의 하단 테두리에는 외뚜껑(50a) 및 내뚜껑(50b) 사이의 증기 누설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통홀(52)의 외곽 영역에 밀착되는 밀폐패킹(51a)이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steam discharge unit 51 refers to a space portion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outer cover 50a so that the communication hole 52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atmosphere, the lower end of the steam discharge unit 51 The edge is provided with an airtight packing 51a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reg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52 to prevent vapor leakage between the outer lid 50a and the inner lid 50b.

물론, 상기 증기배출부(51)에는 압력전환밸브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취사시 상기 내뚜껑(50b)에 의해 커버된 조리영역(b)은 상기 압력전환밸브장치(미도시)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부대기와 연통될 수 있다. Of course, the steam discharge unit 51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switching valve device (not shown), the cooking region (b) covered by the inner lid 50b when cooking is the pressure switching valve device (not shown) It can be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air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한편, 도 2 내지 3a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부(40)는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w)가 상기 사이폰관(25)을 따라 상기 조리영역(b)에 공급되도록 상기 내솥(10)을 가열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2 to 3a, the heating unit 40 is the steam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area (c) is increased so that the heating water (w) along the siphon tube 25, the cooking zone (b) The inner pot 10 is heated to be supplied to.

그리고, 상기 가열부(40)는 열판히터 내지는 유도가열장치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솥(10)의 바닥부가 가열되도록 상기 가열공간(d)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가열부(40a)와), 상기 내솥(10)의 측면부를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공간(d)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측면가열부(40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heating part 40 may be provided as a hot plate heater or a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the lower heating part 40a disposed below the heating space d so that the bottom part of the inner pot 10 is heated.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ide heating portion 40b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space (d) to heat the side portion of the inner pot (10).

여기서, 상기 측면가열부(40b)는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상부측을 따라 상기 가열공간(d)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면가열부(40b)의 하단은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Here, the side heating portion 40b is preferably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space (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packing 30, the lower end of the side heating portion (40b) It is located above the top of the separator plate packing 30.

상세히, 상기 내솥(10)에 물이 충진되면, 상기 분리판(20) 및 상기 타공판(7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 및 상기 분리판패킹(30)이 상기 단차부(11)에 안착되면, 상기 분리판(20)의 장착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가 상기 가열수(w)에 잠김된다. In detail, when the inner pot 10 is filled with water, the separator 20 and the perforated plate 70 are mounted. At this time, when the rim of the separator plate 20 and the separator plate packing 30 are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11,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eparator plate 20 is fixed and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is fixed. It is immersed in the heating water (w).

이때,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가 완전히 잠김된 상태에서만 물의 가열시 발생된 증기가 상기 저수영역(c) 내에 격리되어, 하부측 가열수(w)를 사이폰관(25)을 통해 밀어 올릴 수 있는 높은 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am generated during the heating of the water is isolated in the water storage area (c) only when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is completely locked, so that the lower side heated water w may be pushed up through the siphon tube 25. Can form high pressure.

그리고, 상기 타공판(70)의 상면부에 상기 조리대상물(r)이 배치되되, 상기 뚜껑(50)이 닫힘되고 상기 본체(60)에 구비된 조작버튼(미도시)이 선택되면 조리대상물(r)의 취사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The cooking object r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70, and when the lid 50 is closed and 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60 is selected, the cooking object r is selected. ) Cooking process can be carried out.

즉, 상기 하부가열부(40a)가 작동되어 상기 내솥(10) 및 상기 저수영역(c)에 수용된 가열수(w)가 가열되고, 가열수(w)의 온도가 끓는점 이상으로 상승되면 수증기가 발생된다. That is, the lower heating unit 40a is operated to heat the heated water w accommodated in the inner pot 10 and the water storage area c,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water w rises above the boiling point, steam Is generated.

여기서, 상기 분리판(20)의 테두리 및 내솥(10) 사이가 상기 분리판패킹(30)에 의해 밀폐되되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가 가열수(w)에 잠김된 상태이므로 가열수(w)의 표면과 분리판(20)의 하면 사이 공간의 증기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Here, between the rim of the separation plate 20 and the inner pot 10 is sealed by the separation plate packing 30, but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is locked in the heating water (w), so that the heating water ( The vapor pressure of the space between the surface of w)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or 20 may be increased.

반면, 상기 뚜껑(50)의 관통부(50c)를 통해 대기와 연통된 상기 조리영역(b)에는 대기압이 유지되며, 상기 개구부(26)를 통해 상기 조리영역(b)과 연통된 사이폰관(25)의 내부에도 대기압이 유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tmospheric pressure is maintained in the cooking zone b communicated with the atmosphere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50c of the lid 50, and the siphon tube communicated with the cooking zone b through the opening 26. Atmospheric pressure is also maintained inside 25.

그리고,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대기압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저수영역(c)과 상기 조리영역(b)의 압력차로 인해 저수영역(c)의 가열수(w)가 사이폰관(25)을 따라 상승되어 상기 조리영역(b)에 공급될 수 있다. When the vapor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region c becomes high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the heating water w of the water storage region c becomes a siphon tub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storage region c and the cooking region b. It may rise along 25) and be supplied to the cooking zone b.

이때,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는 표면 수위가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하강될 때까지만 조리영역(b)으로 상승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수영역(c)의 수위가 사이폰관(25)의 하단부 높이 이하로 감소되면, 사이폰관(25)의 하단부와 수면 사이로 증기가 유동되어 상기 조리영역(b) 및 상기 저수영역(c) 간의 압력차가 제거되므로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된 가열수(w)가 다시 상기 저수영역(c)으로 하강된다.In this case, the heating water of the reservoir region c may be elevated to the cooking zone b until the surface water level drops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That is,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region c decreases below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steam flows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and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us the cooking region b and the reservoir region c. Sinc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is removed, the heating water w raised to the cooking zone b is lowered to the water storage zone c again.

이에 따라, 상기 저수영역(c) 중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로부터 하부에 대응되는 부피(c1)의 가열수는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되지 않고,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 중 사이폰관(25)의 하단부로부터 상부측에 수용된 가열수만이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폰관(25)의 길이 및 상기 분리판(20)이 지지된 단차부(11)의 위치가 가열수의 승강시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Accordingly, the heating water of the volume c1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among the storage region c does not rise to the cooking region b, and the heating of the storage region c does not occur. Only the heat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upper side from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in the water can be raised to the cooking zone (b), the length of the siphon tube 25 and the stepped portion (25) supported by the separation plate ( The position of 11) acts as the main variable when the heating water is elevated.

여기서, 상기 단차부(11)의 위치는 상기 저수영역(c) 중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 테두리로부터 상부 외측에 대응되는 가용저수영역의 부피(c2)가 상기 사이폰관(25)의 부피(c3) 및 상기 조리영역(b)의 최대취반용수부피(b1)의 합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osition of the step portion 11 is the volume c2 of the available reservoi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outer side from the lower edge of the siphon tube 25 of the reservoir region (c) is the volume of the siphon tube 25 Preferably, the sum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maximum water volume b1 of the cooking region b and the cooking region b.

상세히, 상기 가용저수영역은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평면으로부터 상기 분리판(20)의 하면부 사이 영역 중 상기 사이폰관(25)의 외주로부터 상기 내솥(10)의 내주 사이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In detail, the available reservoir region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10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iphon tube 25 amo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late 20 from a plan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It means the corresponding area.

그리고, 상기 최대취반용수부피(b1)는 상기 분리판(20) 상면부로부터 상기 조리영역(b)의 최대취반량에 대응되는 조리대상물(r)이 완전하게 잠김될 수 있는 수위까지의 부피를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maximum cooking water volume (b1) is a volume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parating plate 20 to the water level at which the cooking object (r)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cooking amount of the cooking zone (b) can be completely locked. it means.

이에 따라, 상기 내솥(10)의 가열시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가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에 잠김된 상태에서, 조리대상물이 고온의 가열수(w)에 완전하게 잠겨 조리되도록 상기 가열수(w)가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 및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상부를 따라 충진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inner pot 10 is he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is immersed in the heating water of the water storage region c, the cooking object is completely submerged in the high temperature heating water w to cook. The heated water w may be filled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2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parator plate packing 30.

이때, 상기 내뚜껑(50b)에 의해 상기 내솥(10)의 상단 개구가 커버됨에 따라 상승된 가열수(w)가 비산 배출되거나 외부 이물질이 상기 조리영역(b)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연통홀(52)을 통해 상기 조리영역(b) 및 외부대기 간의 연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upper opening of the inner pot 10 is covered by the inner lid 50b, the elevated heating water w is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or foreign matters from flowing into the cooking zone b. A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cooking region b and the external atmosphere may be main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52.

여기서,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조리영역(b)의 하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저수영역(c)과 대향 배치된다. 이때, 상기 분리판(20)의 하면부는 고온 가열된 수증기와 접촉되며,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는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된 가열수(w)와 접촉된다. Here, the separation plate 20 covers the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area b a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water storage area c.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eparation plate 20 is in contact with the steam heated at high temperature,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paration plate 20 is in contact with the heated water (w) raised to the cooking zone (b).

즉, 상기 분리판(20)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a)이 상기 저수영역(c)과 상기 조리영역(b)으로 구획되되, 상기 저수영역(c)에서 고온 가열된 수증기의 열이 상기 분리판(20)의 전체면적을 통해 상기 조리영역(b)의 가열수에 전달될 수 있다. That is, the accommodation space (a) is partitioned into the water storage area (c) and the cooking area (b) through the separation plate 20, wherein the heat of the steam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in the water storage area (c) is separated.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plate 20 may be delivered to the heating water of the cooking zone (b).

이와 함께, 상기 측면가열부(40b)를 통해 상기 조리영역(b)에 대응되는 내솥(10)의 상부측이 가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영역(b)의 가열수가 조리대상물(r)에 적합한 취사온도로 안정적으로 가열될 수 있어 제품의 가열효율 및 조리품질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upper side of the inner pot 10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region b may be heated through the side heating part 40b. Accordingly, the heating water of the cooking zone (b) can be stably heated to a cooking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cooking object (r), so that the heating efficiency and cooking qual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상승된 가열수(w)는 상기 개구부(26)를 통과하여 상기 조리영역(b)으로 공급되며, 상기 분리판(20)의 상면부 및 상기 분리판패킹(30)의 상부를 따라 충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levated heating water (w) is supplied to the cooking zone (b) through the opening 26,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plate 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parator plate packing 30. It is filled.

이때, 상기 개구부(26)를 통과한 가열수(w)는 상기 개구부(26)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 타공판(70)과 상기 분리판(20) 사이의 여유공간(b2)에서 타공판(70)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넓게 분산되어 상승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ated water w passing through the opening 26 is punched in the free space b2 between the perforated plate 70 and the separation plate 20 spaced upwardly from the opening 26. The area corresponding to may be widely dispersed and raised.

그리고, 상기 여유공간(b2)의 가열수(w) 수위가 상기 타공판(70)의 표면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조리대상물(r)이 고온의 가열수(w)에 잠겨 조리될 수 있다. When the level of the heated water w of the clearance b2 is raised to the surface height of the perforated plate 70, the cooking object r may be cooked by being immersed in the heated water w of high temperature.

여기서, 상기 타공판(70)의 안착면부(70a)는 개구부(26)의 상부에 대향 배치되되, 상기 개구부(26)의 단면적을 초과하는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안착면부(70a)를 통해 조리대상물(r)의 각 부분에 대한 최저침수수위가 균일화될 수 있다. Here, the seating surface portion 70a of the perforated plate 70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26, provided with an area exceed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26, cooking objects through the seating surface portion (70a) The lowest flood level for each part of (r) can be made uniform.

이때, 상기 최저침수수위는 개구부(26)와 인접한 중앙부, 개구부(26)로부터 이격된 외곽부 등의 각 부분에 배치된 상기 조리대상물(r)이 침수되는 가열수(w)의 최저 수위를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lowest immersion level means the lowest level of the heating water (w) in which the cooking object (r) disposed in each portion, such as the central portion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26, the outer portion spaced from the opening portion 26, and the like. do.

즉, 상기 안착면부(70a)의 평탄한 형상으로 인해 조리대상물(r) 각 부분이 동일한 높이범위에 배치되므로, 가열수(w)의 수위 증가시 조리대상물(r)의 중앙부와 외곽부가 편차 없이 균일한 속도로 침수 및 조리될 수 있다. That is, since each part of the cooking object r is disposed in the same height range due to the flat shape of the seating surface part 70a, the central part and the outer part of the cooking object r are uniform without variation when the level of the heating water w is increased. Can be submerged and cooked at one speed.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26)와 대향 배치된 타공판(70) 중앙부의 조리대상물(r)이 질어지는 등의 조리 편차가 최소화되고 상기 조리대상물(r)의 각 부분이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취사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oking deviation such as the cooking object r in the center of the perforated plate 70 disposed opposite to the opening 26 is minimized, and each part of the cooking object r may be cooked uniformly. The cooking quality of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타공판(70)의 보강면부(70b)는 상기 패킹지지부(21)에 지지되는 테두리로부터 상기 안착면부(70a)의 테두리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보강면부(70b)를 통해 가열수(w) 및 증기의 열로 인한 안착면부(70a)의 형상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surface portion 70b of the perforated plate 70 means a portion corresponding between the edge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70a from the edge supported by the packing support portion 21, and through the reinforcement surface portion 70b. Shape deformation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70a due to heat of the heated water w and steam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전기조리기(100)는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 증감에 따른 상기 조리영역(b)의 급배수가 반복되어 상기 조리대상물(r)의 전분이 분리되도록 상기 가열부(40)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61)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cooker 100 is the heating unit 40 so that the starch of the cooking object (r) is separated by repeating the supply and drainage of the cooking zone (b)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vapor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area (c) The control unit 61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further.

즉, 상기 제어부(61)를 통해 가열부(40)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수(w)가 가열 및 기화되어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증가되고, 상기 제어부(61)를 통해 가열부(40)의 전원이 차단되면 수증기가 액화되어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저하된다. That is,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40 through the control unit 61, the heating water (w) is heated and vaporized to increase the vapor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region (c), heating through the control unit 61 When the power of the unit 40 is cut off, water vapor is liquefied, and the vapor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area c is lowered.

상세히,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대기압이상으로 증가되면 상기 저수영역(c)의 가열수가 상기 조리영역(b)으로 급수되고, 상기 조리대상물(r)이 고온의 가열수(w)에 잠김됨에 따라 아밀로펙틴 등의 전분 구성 물질이 가열수(w)에 용출된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S. 2 to 3B, when the vapor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region c is increased to an atmospheric pressure or higher, the heated water of the water storage region c is supplied to the cooking region b, and the cooking object r ) Is immersed in the hot water w, as the starch constituents such as amylopectin are immersed in the hot water w.

이때, 상기 가열수(w)의 가열시 발생된 수증기 중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을 증가시키는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기포 상태로 상기 사이폰관(25)을 따라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된다. 물론, 상기 저수영역(c)의 수위가 상기 사이폰관(25)의 하단부에 대응되도록 감소되면 조리영역(b)으로 유동되는 기포량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team generated during the heating of the heating water (w), except for the portion that increases the vapor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area (c) is raised to the cooking zone (b) along the siphon tube 25 in a bubble state. do. Of cours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region c is reduc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25, the amount of bubbles flowing into the cooking region b may be further increased.

여기서, 상기 조리영역(b)으로 상승되는 기포는 상기 여유공간(b2)을 거쳐 상기 조리대상물(r)로 유동되되, 상기 여유공간(b2)에서 분산되는 가열수(w)의 흐름을 따라 상기 타공판(70)의 전체면적으로 넓게 분산되어 상승될 수 있다. Here, the bubble rising to the cooking zone (b) is flowed to the cooking object (r) through the free space (b2), the flow along the flow of heated water (w) dispersed in the free space (b2) The entire area of the perforated plate 70 may be widely dispersed and raised.

그리고, 상기 타공판(70)의 전체면적으로 분산된 기포는 상기 조리대상물(r)의 입자 사이 공간을 따라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r)의 입자가 상기 기포의 운동 에너지에 의해 미세 유동되어 전분의 용출 과정이 촉진될 수 있다. The bubbles dispersed in the entire area of the perforated plate 70 may rise along the space between the particles of the cooking object r. Accordingly, the particles of the cooking object r may be microfluidized by the kinetic energy of the bubbles to facilitate the dissolution of starch.

한편, 도 3c와 같이,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이 감소되면, 상기 조리영역(b)의 가열수(w)가 상기 저수영역으로 배수되며 상기 용출된 전분이 상기 가열수(w)와 함께 상기 조리대상물(r)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c, when the vapor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area (c) is reduced, the heating water (w) of the cooking zone (b) is drained to the water storage area and the eluted starch is the heating water (w) With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cooking object (r).

이때, 상기 조리대상물(r)은 매쉬홀(71)이 형성된 타공판(7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분리판(20) 및 상기 개구부(26)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In this case, the cooking object r is supported by the perforated plate 70 in which the mesh hole 71 is formed, and is spaced apart upward from the separation plate 20 and the opening 26.

즉, 상기 가열수(w)가 개구부(26)와 대향 배치된 조리대상물(r)의 중앙부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매쉬홀(71)을 통해 상기 여유공간(b2)으로 수직 하강된다. That is, the heated water w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oking object r disposed opposite to the opening 26, and is vertically lowered into the free space b2 through the mesh hole 71. .

이에 따라. 상기 가열수(w)의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며, 상기 가열수(w)에 용출된 전분이 상기 조리대상물(r) 내부에서 유동되는 경로가 단축되므로 상기 조리대상물(r)에 재흡수 내지 재흡착되는 전분량이 최소화되어 전분의 분리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charge of the heating water (w) is possible quickly, and the path of the starch eluted in the heating water (w) flows in the cooking object (r) is shortened, so the absorption or resorption to the cooking object (r) The amount of starch to be minimized can improve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starch.

그리고, 상기 여유공간(b2)으로 하강된 가열수는 상기 배수유도면부(22)의 경사를 따라 개구부(26)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저수영역(c)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ed water lowered into the free space b2 may flow toward the opening 26 along the slope of the drain guide surface portion 22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water storage area c.

또한, 상기 제어부(61)에 의해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가열부(40)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이 반복됨에 따라 가열수(w)가 상기 조리영역(b)으로 급수되고, 급수된 가열수(w)가 상기 저수영역(c)으로 배수되는 과정이 반복되며, 상기 조리대상물(r)이 조리됨과 동시에 상기 조리대상물(r)에 함유된 전분이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power supply and shut-off of the heating unit 40 is repeated by the controller 61 in a predetermined cycle, the heating water w is supplied to the cooking region b, and the heated water w is supplied. The process of draining the water to the reservoir region c is repeated, and the starch contained in the cooking object r can be efficiently separated while the cooking object r is cooked.

이때, 상기 내솥(10)의 바닥부는 상기 사이폰관(25)과 대면되는 중앙부의 외곽 영역(19)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분이 용출된 고비중의 가열수(w)가 함몰된 부분에 수집되며, 후속 가열시 상기 조리영역(b)으로 공급되는 가열수(w) 내의 전분 함량이 감소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inner pot 1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the outer region 19 of the central portion facing the siphon tube 25 is radially outward. Accordingly, the starch is collected in the portion where the high specific gravity heated water w is eluted, and the starch content in the heated water w supplied to the cooking zone b may be reduced during subsequent heating.

이처럼, 상기 내솥(10)의 수용공간(a)을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20)의 일측에 상기 저수영역(c) 및 상기 조리영역(b)을 연결하는 상기 사이폰관(25)이 구비되므로 상기 가열부(40)를 통한 상기 저수영역(c)의 증기압력 변화만으로도 가열수(w)가 상기 조리영역(b) 및 상기 저수영역(c)으로 상호 유동되며 상기 조리대상물(r)의 전분이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As such, the siphon tube 25 connecting the reservoir region c and the cooking region b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20 partitioning the receiving space a of the inner pot 10 up and down. Therefore, the heating water w flows to the cooking zone b and the storage zone c only by a change in the vapor pressure of the storage zone c through the heating unit 40, Starch can be separated efficiently.

이에 따라, 다이어트, 식이요법 등을 위한 낮은 전분 함량의 취사가 가능하면서도 가열수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저수조나 밸브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컴팩트한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ct product that is capable of cooking low starch content for diet, diet, and the like, bu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reservoir or valve device for discharging the heated water.

또한, 찜조리와 달리, 상기 저수영역(c) 및 상기 조리영역(b) 간의 증기압력 차에 따라 가열수(w)가 상기 조리대상물(r)과 직접 접촉되도록 상승되므로 조리대상물(r)이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며 조리될 수 있어 제품의 조리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culinary cooking, the heating water (w) is raised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oking object (r)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in the steam pressure between the water storage area (c) and the cooking area (b) cooking object (r). It can be cooked with absorbing sufficient moisture to improve the cooking quality of the produc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기조리기 10: 내솥
11: 단차부 20: 분리판
25: 사이폰관 30: 분리판패킹
40: 가열부 50: 뚜껑
50c: 관통부 60: 본체
70: 타공판
100: electric cooker 10: inner pot
11: step 20: separation plate
25: siphon tube 30: separation plate packing
40: heating part 50: lid
50c: through part 60: main body
70: perforated plate

Claims (9)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솥;
상기 수용공간이 조리대상물의 수용을 위한 상부측 조리영역과 가열수의 저수를 위한 하부측 저수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내솥 내부에 착탈되되, 하면부에 상기 저수영역의 가열수에 잠김되는 사이폰관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폰관 및 상기 조리영역이 상호 연통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분리판;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타공판; 및
상기 내솥의 가열시 상기 저수영역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을 따라 상승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에 장착되어 상기 분리판 및 상기 내솥 사이를 밀폐하는 분리판패킹을 포함하는 전기조리기.
Inner pot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receiving space is detached into the inner pot so as to be partitioned into the upper side cooking zone for receiving the cooking object and the lower side reservoir area for the storage of the heating water, the siphon pipe which is immersed in the heating water of the reservoir area in the lower portion A separation plate provided with an opening so that the siphon tube and the cooking reg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perforated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to the upper side and seating the cooking object; And
An electric cooker comprising a separating plate packing, which is attached to an edge of the separating plate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separating plate and the inner pot so that the steam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area is increased when the inner pot is heated, so that the heated water rises along the siphon tub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에는 상기 조리대상물의 입자가 걸림되도록 기설정된 직경 미만으로 복수의 매쉬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forated plate is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mesh holes penetrated to less than a predetermined diameter so as to catch the particles of the cooking o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은 중앙부에 상기 안착된 조리대상물의 최저침수수위가 균일화되도록 평탄한 형상의 안착면부가 구비되되, 상기 안착면부의 외곽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보강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forated plate is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having a flat shape so that the lowest immersion level of the cooked object seated at the center portion is uniform, and the reinforcing surface portion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테두리에는 상기 분리판패킹과 면접촉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타공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패킹지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edge of the separating plate is extended to the upper sid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parating plate packing,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ing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perforated plate is form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패킹에는 상기 패킹지지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부분의 내주를 따라 상기 타공판의 테두리가 탄발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parating plate packing is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perforated plate is inse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xtended portion so as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packing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패킹의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배진 삽입유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parating plate packing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clined radially inward direction toward the low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내주에는 상기 분리판의 장착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분리판패킹이 안착되는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ot is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to seat the separation plate packing to be fixed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eparation pla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폰관은 상기 분리판의 하면부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저수영역과 연통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내솥의 바닥부로부터 이격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iphon tube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separator, the lower end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torage area,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extend to a length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p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영역의 증기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가열수가 상기 사이폰관을 따라 상기 조리영역에 공급되도록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inner pot so that the steam pressure of the water storage region is increased to supply the heating water to the cooking zone along the siphon tube.
KR1020180092780A 2018-08-09 2018-08-09 electric cooker KR1022036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780A KR102203659B1 (en) 2018-08-09 2018-08-09 electric cooker
CN201910720806.0A CN110811294B (en) 2018-08-09 2019-08-06 Electric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780A KR102203659B1 (en) 2018-08-09 2018-08-09 electric c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646A true KR20200017646A (en) 2020-02-19
KR102203659B1 KR102203659B1 (en) 2021-01-15

Family

ID=6954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780A KR102203659B1 (en) 2018-08-09 2018-08-09 electric cook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3659B1 (en)
CN (1) CN11081129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5028A1 (en) 2017-08-09 2021-08-18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WO2020176477A1 (en) 2019-02-25 2020-09-03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11678765B2 (en) 2020-03-30 2023-06-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053A (en) * 1997-09-10 1999-03-23 Sharp Corp Rice cooker and high frequency heater
JP2007143950A (en) * 2005-11-29 2007-06-14 Yamamoto Denki Kk Fluid food cooking method and fluid food cooker
KR20070078741A (en) 2006-01-27 2007-08-01 펜소닉 (에이치.케이.)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Health rice cooker and method for removing starch in rice
KR20180023219A (en) * 2016-08-25 2018-03-0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Electric cook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27036A (en) * 1911-03-08 1911-07-24 Katharina Gebhardt Apparatus suitable for preparing extracts of coffee, tea and similar extracts, as well as fruit juices and others
CN101185555A (en) * 2006-11-16 2008-05-28 陈伟海 Siphoning type multifunctional household pot
CN102824101B (en) * 2011-06-17 2015-06-10 福库电子株式会社 Pressure support reinforced cover-sealing body and pressure cooker provided with the same
CN204105751U (en) * 2014-08-28 2015-01-21 李剑锋 A kind of vacuum coffee pot
CN205729054U (en) * 2016-05-09 2016-11-30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Food steamer and electric cooking appliance
CN205729045U (en) * 2016-05-09 2016-11-30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Food steamer and electric cooking appliance
CN206151865U (en) * 2016-07-14 2017-05-10 广东天际电器股份有限公司 Components of a whole that can function independently siph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kettle
FR3054116B1 (en) * 2016-07-22 2018-07-13 Seb Sa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COOKER
CN107660987A (en) * 2016-07-27 2018-02-0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A kind of siphon chaffy dish
CN206612560U (en) * 2016-12-26 2017-11-0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Saucepan and cooking appliance
CN207519990U (en) * 2017-04-14 2018-06-22 苏韩生 A kind of health care's p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053A (en) * 1997-09-10 1999-03-23 Sharp Corp Rice cooker and high frequency heater
JP2007143950A (en) * 2005-11-29 2007-06-14 Yamamoto Denki Kk Fluid food cooking method and fluid food cooker
KR20070078741A (en) 2006-01-27 2007-08-01 펜소닉 (에이치.케이.)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Health rice cooker and method for removing starch in rice
KR20180023219A (en) * 2016-08-25 2018-03-0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Electric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11294B (en) 2022-06-14
CN110811294A (en) 2020-02-21
KR102203659B1 (en)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5773A (en) Steam oven
KR20200017646A (en) electric cooker
US9801491B2 (en) Food cooking basket and corresponding cooking system
AU2017383228B2 (en) Modular steamer accessory for steam-heating and/or -cooking food contained in a container
JP7353391B2 (en) Cooking utensils, cooking accessories used in cooking utensils, and control methods
CN110811295B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102203661B1 (en) electric cooker
KR101044918B1 (en) A Cooking System by Steam
KR102203656B1 (en) electric cooker
AU2017320375A1 (en) Cooking appliance with steamer
JP7225429B2 (en) kitchenware
KR102203660B1 (en) electric cooker
CN211533921U (en) Cooking apparatus
KR102203658B1 (en) electric cooker
CN211534051U (en) Cooking utensil, cooking accessory for cooking utensil
US2088462A (en) Reservoir cooking utensil
KR200424566Y1 (en) Steam exhaust unit and receptacle having the same
CN110811293B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CN213640537U (en) Pressure low-sugar rice cooking utensil
CN213640538U (en) Pressure low-sugar rice cooking utensil
CN112006522A (en) Cooking appliance, cooking accessory for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CN217471711U (en) Electric steaming stove without smell channeling
CN220384864U (en) Cooking utensil
CN209915696U (en) Steam boiler
CN212037160U (en) Food steamer and cooking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