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092A -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 Google Patents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092A
KR20200017092A KR1020180092273A KR20180092273A KR20200017092A KR 20200017092 A KR20200017092 A KR 20200017092A KR 1020180092273 A KR1020180092273 A KR 1020180092273A KR 20180092273 A KR20180092273 A KR 20180092273A KR 20200017092 A KR20200017092 A KR 20200017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od
volume
pieces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036B1 (ko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filed Critical 이영숙
Priority to KR102018009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0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5Shampooing; Conditioning; Washing hair for hairdres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34Crown pa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2/003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2/006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wisting hair
    • A45D2019/005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에 있어서, (a)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을 세척하는 단계; (b) 볼륨감을 생성하기로 지정한 모근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위치하는 머리카락을 기 설정된 양만큼 잡아 머리카락 덩이를 형성하고, 머리카락 덩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4등분하여 올려 세우는 단계; (c) 헤어롯드를 4등분된 머리카락 덩이의 중앙에 맞추어 두피와 밀착되도록 구비시키되, 머리카락 덩이를 정수리 방향으로 모근 영역과 예각이 형성되도록 기울여, 헤어롯드가 모근 영역과 머리카락 덩이와 중첩되도록 하는 단계; (d) 헤어롯드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2 덩이씩 머리카락 덩이를 위치시키고, 머리카락 덩이가 서로 교차되어 헤어롯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말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각각의 머리카락 덩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말아 고정하는 단계; 및 (e) 퍼머약을 헤어롯드 외주면의 머리카락에 바르고, 열기구에 피시술자의 머리를 기 설정된 시간만큼 열에 노출시켜 퍼머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퍼머가 완료된 후, 헤어롯드가 배치되어 있던 지점의 머리카락 덩이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얽히어 피시술자의 모근 영역에 볼륨감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HAIR STYLING METHOD THAT INCREASES THE VOLUME}
본 발명은 헤어스타일링의 기법 중 머리카락의 특정 부분에 볼륨감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퍼머 시술이란 일반적으로 퍼머넌트웨이브(permanent wave)를 뜻하는 것으로 열 또는 화학약품의 작용을 통해 모발조직에 변화를 주어 머리카락이 장기간 웨이브(혹은 곱슬머리를 직모의 형태 변형)를 유지할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을 뜻한다.
또한, 시술 방법의 다양화와 응용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 스타일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많은 사람들이 퍼머 시술을 받고 있으며, 특히 머리카락이 얇아 헤어스타일의 볼륨감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입체적인 헤어스타일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하지만, 퍼머 시술을 받기 위해선 머리카락이 일정 수준의 길이나 량이 존재해야 하기에 일부 사람들은 퍼머 시술을 받기 어려운 문제점을 보유하고 있고, 볼륨감 형성을 위해 수행하는 퍼머의 경우 자연스러운 생머리 스타일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보유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697959 호 (명칭: 신부머리 업스타일링 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머리에 볼륨감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풍성한 볼륨감을 제공하거나, 부분 탈모를 앓고 있는 사용자들의 탈모가 진행되는 머리를 가릴 수 있는 퍼머 시술법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에 있어서, (a)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을 세척하는 단계; (b) 볼륨감을 생성하기로 지정한 모근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위치하는 머리카락을 기 설정된 양만큼 잡아 머리카락 덩이를 형성하고, 머리카락 덩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4등분하여 올려 세우는 단계; (c) 헤어롯드를 4등분된 머리카락 덩이의 중앙에 맞추어 두피와 밀착되도록 구비시키되, 머리카락 덩이를 정수리 방향으로 모근 영역과 예각이 형성되도록 기울여, 헤어롯드가 모근 영역과 머리카락 덩이와 중첩되도록 하는 단계; (d) 헤어롯드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2 덩이씩 머리카락 덩이를 위치시키고, 머리카락 덩이가 서로 교차되어 헤어롯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말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각각의 머리카락 덩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말아 고정하는 단계; 및 (e) 퍼머약을 헤어롯드 외주면의 머리카락에 바르고, 열기구에 피시술자의 머리를 기 설정된 시간만큼 열에 노출시켜 퍼머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퍼머가 완료된 후, 헤어롯드가 배치되어 있던 지점의 머리카락 덩이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얽히어 피시술자의 모근 영역에 볼륨감을 형성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머리에 볼륨감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풍성한 볼륨감을 제공하거나, 부분 탈모를 앓고 있는 사용자들의 탈모가 진행되는 머리를 가릴 수 있는 퍼머 시술법을 구현할 수 있다.
퍼머 시술을 받은 사용자는 볼륨감을 통해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구현하거나, 부분 탈모를 앓는 사람들은 자신의 머리를 자연스럽게 감출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의 볼륨생성 방식은 머리카락의 웨이브 형성만을 이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를 생머리로 가려 자연스러운 연출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을 시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 이다.
도 2a 및 도 2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이 시술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을 시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 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먼저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을 세척한다(S210).
이때, 볼륨감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드라이를 충분하게 수행할 필요가 있다.
피시술자의 모근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위치하는 머리카락으로 머리카락 덩이를 형성하고, 균등하게 4등분한다(S220).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볼륨감을 생성하기 위한 시술이 필요한 모근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위치한 머리카락을 기 설정된 양만큼 잡아 머리카락 덩이를 형성하고, 머리카락 덩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4등분하여 올려 세우게 된다.
예를 들어, 볼륨감을 형성하기 위한 모근 영역의 하단을 기준으로 약 1cm 가량 떨어진 위치한 머리카락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머리카락 덩이는 처음 2분할 이후, 각 분할된 머리카락 덩이를 추가로 2분할 하는 방식을 통해 4분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을 통해 4분할된 머리카락 덩이가 균등한 머리카락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시술이 필요한 모근 영역이나, 최초로 형성된 머리카락 덩이의 굵기가 기 설정된 넓이나 굵기보다 크다면, 머리카락 덩이를 6분할하여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만약, 머리카락 덩이를 6분할하여 시술을 수행하게 된다면, 그에 대응할 수 있는 크기의 헤어롯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단계(S220)를 통해 4등분한 머리카락 덩이를 헤어롯드에 교차하여 얽히도록 말아서 고정한다(S230).
헤어롯드를 4등분된 머리카락 덩이의 중앙에 맞추어 두피와 밀착되도록 구비시키되, 머리카락 덩이를 정수리 방향으로 모근 영역과 예각이 형성되도록 기울여, 헤어롯드가 모근 영역과 상기 머리카락 덩이와 중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단계(S230)에서 사용되는 헤어롯드의 크기는 모근 영역의 넓이, 머리카락 덩이의 길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모근 영역이 넓거나 머리카락 덩이의 길이가 길다면, 두꺼운 지름을 가지는 헤어롯드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추가 실시예로, 모근 영역이 기 설정된 넓이보다 넓으면, 상기 머리카락 덩이를 8분할하여 두 개의 헤어롯드를 이용하여 시술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헤어롯드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2 덩이씩 머리카락 덩이를 위치시키고, 각 머리카락 덩이가 헤어롯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말게 된다. 이때,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각각의 머리카락 덩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말아 고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좌측 머리카락 덩이를 시계방향으로 말았다면, 우측 머리카락 덩이는 반시계방향으로 말려지게 된다. 이때, 좌측 머리카락 덩이와 우측 머리카락 덩이가 헤어롯드의 중앙 부분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말아, 헤어롯드에 대한 머리카락 덩이 고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머리카락 덩이를 헤어롯드에 2바퀴 정도 말아 올리는 것을 추천하지만, 모근의 힘이 적은 경우 헤어롯드에 머리카락 덩이를 말아 올리는 횟수를 더 늘릴 수 있다.
또한, 머리카락을 말아 올리는 방향에는 제한이 없으나, 4분할된 머리카락 덩이가 헤어롯드의 외주면의 중앙에서 교차하여 얽힐 수 있도록 당겨 모아서 헤어롯드에 감싸야 한다.
단계(S230)가 끝나면, 퍼머를 마무리 한다(S240).
종래의 방식과 같이 퍼머약을 헤어롯드 외주면의 머리카락에 바르고, 열기구에 피시술자의 머리를 기 설정된 시간만큼 열에 노출시킴으로써 퍼머를 마무리할 수 있다.
이를 완료함으로써, 헤어롯드가 배치되어 있던 지점의 머리카락 덩이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얽히어 피시술자의 모근 영역에 볼륨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피시술자의 머리에 볼륨감을 형성해야 하는 모근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단계(S220) 내지 단계(S230)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이 시술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살펴보면, 피시술자의 헤어스타일에서 볼륨감이 형성된 모근 영역(100)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도 2a 및 도 2b는 피시술자의 전면부에서 볼륨감이 형성된 모근 영역(100)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는 퍼머를 통해 볼륨감을 형성하기 때문에 해당 부위의 머리카락이 꼬여있을 수 밖에 없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볼륨감을 형성하는 경우, 머리카락의 내부에 웨이브가 형성되어 볼륨감이 형성되고 이를 생머리가 가려줌으로써,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 2c 및 도 2d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정수리가 납작하거나 머리숱이 적은 사람의 경우 모근 영역(100)의 인근에 위치한 머리카락을 이용하여 충분한 볼륨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볼륨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술될 모근 영역(100)으로부터 기 설정된 길이만큼 떨어진 영역에 형성된 머리카락을 기 설정된 양만큼 잡아 머리카락 덩이를 형성하고, 이를 4등분하여 올려 세운다.
이후 헤어롯드를 통해 4등분된 머리카락 덩이를 얽히도록 말아 올리고, 종래의 퍼머 기술을 적용하여 볼륨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모근 영역

Claims (7)

  1.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에 있어서,
    (a) 피시술자의 머리카락을 세척하는 단계;
    (b) 볼륨감을 생성하기로 지정한 모근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위치하는 머리카락을 기 설정된 양만큼 잡아 머리카락 덩이를 형성하고, 상기 머리카락 덩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4등분하여 올려 세우는 단계;
    (c) 헤어롯드를 4등분된 상기 머리카락 덩이의 중앙에 맞추어 두피와 밀착되도록 구비시키되, 상기 머리카락 덩이를 정수리 방향으로 상기 모근 영역과 예각이 형성되도록 기울여, 상기 헤어롯드가 상기 모근 영역과 상기 머리카락 덩이와 중첩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헤어롯드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2 덩이씩 상기 머리카락 덩이를 위치시키고, 상기 머리카락 덩이가 서로 교차되어 상기 헤어롯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말되, 상기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각각의 상기 머리카락 덩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말아 고정하는 단계; 및
    (e) 퍼머약을 상기 헤어롯드 외주면의 머리카락에 바르고, 열기구에 상기 피시술자의 머리를 기 설정된 시간만큼 열에 노출시켜 퍼머를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퍼머가 완료된 후, 상기 헤어롯드가 배치되어 있던 지점의 머리카락 덩이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얽히어 상기 피시술자의 모근 영역에 볼륨감을 형성하는 것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머리카락 덩이는 처음 2분할 이후, 각 분할된 머리카락 덩이를 추가로 2분할 하여 총 4분할된 머리카락 덩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근 영역의 넓이, 상기 머리카락 덩이의 굵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넓이나 굵기의 값보다 크다면, 상기 머리카락 덩이를 6분할 하는 것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모근 영역의 넓이, 상기 머리카락 덩이의 길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헤어롯드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근 영역이 기 설정된 넓이보다 넓으면, 상기 머리카락 덩이를 8분할하고, 두 개의 상기 헤어롯드를 이용하는 것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4분할된 상기 머리카락 덩이는 상기 헤어롯드의 외주면의 중앙에서 교차하여 얽힐 수 있도록 당겨 모아서 상기 헤어롯드에 감싸는 것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피시술자의 머리에 볼륨감을 형성해야 하는 상기 모근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b) 단계 내지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인,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KR1020180092273A 2018-08-08 2018-08-08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KR102098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273A KR102098036B1 (ko) 2018-08-08 2018-08-08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273A KR102098036B1 (ko) 2018-08-08 2018-08-08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092A true KR20200017092A (ko) 2020-02-18
KR102098036B1 KR102098036B1 (ko) 2020-04-07

Family

ID=6963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273A KR102098036B1 (ko) 2018-08-08 2018-08-08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0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206B1 (ko) * 2020-11-20 2021-10-13 강다현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두피교정 모발교정 방법, 그리고 그 두피 및 헤어케어 조성물
KR20220139562A (ko) 2021-04-08 2022-10-17 권기형 고둥 형상을 표현한 헤어 스타일링 방법
KR20240002379A (ko) 2022-06-29 2024-01-05 유현빈 고양이 몸무게별 권장 사료량을 알려주는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333A (ko) * 2013-07-31 2015-02-10 방서진 뜸 방식을 이용한 머리의 퍼머 시술법
KR20150117557A (ko) * 2014-04-10 2015-10-20 조정숙 머리카락 퍼머넌트 방법
KR101697959B1 (ko) 2016-11-24 2017-01-19 임순화 신부머리 업스타일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333A (ko) * 2013-07-31 2015-02-10 방서진 뜸 방식을 이용한 머리의 퍼머 시술법
KR20150117557A (ko) * 2014-04-10 2015-10-20 조정숙 머리카락 퍼머넌트 방법
KR101697959B1 (ko) 2016-11-24 2017-01-19 임순화 신부머리 업스타일링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206B1 (ko) * 2020-11-20 2021-10-13 강다현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두피교정 모발교정 방법, 그리고 그 두피 및 헤어케어 조성물
KR20220139562A (ko) 2021-04-08 2022-10-17 권기형 고둥 형상을 표현한 헤어 스타일링 방법
KR20240002379A (ko) 2022-06-29 2024-01-05 유현빈 고양이 몸무게별 권장 사료량을 알려주는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036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7092A (ko) 볼륨감을 높이는 헤어스타일링 방법
US3516420A (en) Combination hair curling and straightening iron
KR101697959B1 (ko) 신부머리 업스타일링 방법
US8069862B1 (en) Heat-less hair straightening device
EP3095345B1 (en) Method for applying a hair product
KR102164144B1 (ko) C컬과 롤 기술을 이용한 헤어스타일링 방법
JP6774373B2 (ja) ストレートパーマ方法
KR20130118480A (ko)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펌 또는 염색 방법
US5316025A (en) Method of set shaping hair
JP2017000305A (ja) 横波ウェーブパーマ方法
JP5941693B2 (ja) かつら用毛髪の製造方法、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KR102136580B1 (ko) 볼륨감을 높이는 롤 헤어스타일링 방법
JP6501310B2 (ja)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の施術方法
JP2548834Y2 (ja) ウィグおよびアクセサリーヘア
US1932519A (en) Method of waving human hair
US2232826A (en) Hair dressing
KR102008220B1 (ko) 새로운 올림머리 시술방법 및 두발 구획도
JP2013142209A (ja) かつら用毛髪の製造方法、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KR200304046Y1 (ko) 헤어성형부재
KR101245426B1 (ko) 퍼머용 롯드
JP3217835U (ja) パーマ用ロッド部材
DE822716C (de) Lockenwickler zum Herstellen von Haarlocken
US9877560B2 (en) Weighted hair devices and methods for elongating curly, coily and kinky hair
JP2003102533A (ja) ヘアーアイロン
KR20220001853U (ko) 웨이브 헤어스타일링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