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220B1 - 새로운 올림머리 시술방법 및 두발 구획도 - Google Patents

새로운 올림머리 시술방법 및 두발 구획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220B1
KR102008220B1 KR1020140056916A KR20140056916A KR102008220B1 KR 102008220 B1 KR102008220 B1 KR 102008220B1 KR 1020140056916 A KR1020140056916 A KR 1020140056916A KR 20140056916 A KR20140056916 A KR 20140056916A KR 102008220 B1 KR102008220 B1 KR 102008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head
hair
center
tiara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988A (ko
Inventor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이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희 filed Critical 이윤희
Priority to KR102014005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20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이 용이한 올림머리 시술방법 및 이에 기초가 되는 두발 구획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티아라존(2)이라는 부분을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토대부과 네이프 섹션을 분할하고 이를 기준으로 두발을 분획하여 시술함으로써 두발 분획의 기준점을 최소화하면서도 흐트러짐이 적고 초심자도 시술할 수 있는 올림머리 시술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티아라존을 기준으로 앞머리 섹션을 분할하고, 양쪽 이어포인트 연결선을 기준으로 토대부를 분할한 후 뒷머리 네이프 섹션으로 크게 세부분으로 분할하여 각 두발 부분을 목적에 따라 디테일하게 장식함으로써 결과물을 얻게 된다.

Description

새로운 올림머리 시술방법 및 두발 구획도{HAIR STYLING METHOD}
본 발명은 올림머리 시술방법 및 올림머리 시술을 위한 두발 구획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실에서는 올림머리를 주문 받는 경우가 많다. 올림머리란 긴 머리 또는 짧은 머리를 가진 여자가 돌잔치 및 회갑잔치 등 특별한 행사날에 긴 머리 또는 짧은 머리를 특별하게 손질하여 두상에 알맞게 올려지도록 만든 헤어스타일을 말한다.
헤어스타일 디자이너 즉, 올림머리 시술자는 올림머리 시술시 자신의 손 기술에 의존하여 모발의 상태, 기본 헤어스타일, 모발 숱의 양 등을 고려하여 피시술자마다 다르게 모발을 분획하여 시술을 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올림머리를 시술하는 경우 다운 업(down up) 스타일, 중간 업(middle up) 스타일, 내림머리 스타일인지에 따라 두발을 분획하는 구획의 기준이 달라지므로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술자는 시술시마다 두발 분획 기준을 정하는데 곤란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특히, 두발을 소분획하여 시술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바 시술과정에서 너무 많은 방식과 기준 없는 구획 분할로 인한 혼돈과 두발 고정을 위한 핀 등의 도구가 상당히 많은 양으로 필요로 된다는 점에서 피시술자 역시 불편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4-0014791호
이에, 본 발명은 어떠한 경우에나 적용이 가능한 두발 분획도와 올림머리 스타일에 구애받지 않고 일관되고 간소화된 두발 분획화를 통해 용이한 올림머리 시술을 하는 방법과 이의 기초가 되는 두발 분획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운 업 스타일의 올림머리를 시술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가르마(1)를 타는 단계;
티아라존(2)을 잡아 티아라존과 양쪽 이어 포인트(5,6)를 연결하여 분할되는 앞머리 섹션(A)을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양쪽 이어 포인트(5,6)를 뒷머리 중심을 지나도록 연결하여 분할되는 토대부(B)를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나머지 네이프 섹션(C)의 모발을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토대부의 머리를 풀어 백 코밍(back combing)하여 볼륨을 살릴 수 있도록 묶어 고정하고, 네이프 섹션의 모발을 백코밍한 후 일부씩 말아 올려 고정시켜 장식한 후, 티아라존을 기준으로 분획된 앞머리를 정리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의 중간 업(middle up) 스타일의 올림머리를 시술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가르마(1)를 타는 단계;
티아라존(2)을 잡아 티아라존과 양쪽 이어 포인트(5,6)을 연결하여 분할되는 앞머리 섹션(A)을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양쪽 이어 포인트(5,6))와 티아라존 양 말단(3,4)) 사이 중앙점(8,9)을 잡고 이로부터 뒷목점(7)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뿔 부분 중 양쪽 이어 포인트를 뒷머리 중심을 지나도록 연결하여 형성되는 부분과 공통되는 부분인 토대부(B')를 분할하여 묶어두는 단계;
나머지 뒷머리 네이프 섹션(C')의 모발을 묶어두는 단계;
토대부(B')의 머리를 풀어 백 코밍(back combing)하여 아래로 묶어 고정하고, 뒷머리 네이프 섹션(C')의 모발을 백코밍한 후 일부씩 말아 토대부 방향 45도로 올려 고정시켜 장식한 후, 앞머리 섹션(A)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뒷머리 네이프 섹션(C')의 모발을 백코밍한 후 일부씩 말아 목부분을 향해 45도 내려 고정시키면서 장식하는 경우 내림머리 스타일로 마무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술시간이 매우 단축되고 안정적이고 반복적으로 올림머리 스타일이 얻어질 수 있으므로 시술자에게 용이하고 피시술자의 피로감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두발 구획도의 주요 부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다운 업 스타일의 올림머리 시술을 위한 두발 구획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운 업 스타일의 올림머리 시술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중간 업 스타일의 올림머리 시술을 위한 두발 구획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업 스타일의 올림머리 시술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림머리 스타일의 네이프 부분 모발의 마무리 시술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1, 도2 및 도4는 올림머리 시술을 위한 두발 구획도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기초로 시술시 반복가능하며 일정한 스타일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도면에 따른 두발 구획도를 기초로 한 올림머리 시술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 업(DOWN UP) 스타일의 올림머리 시술방법은 도2에 도시된 두발 구획도를 기초로 시술될 것인데, 하기와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도3):
가르마(1)를 타는 단계;
티아라존(2)을 잡아 티아라존과 양쪽 이어 포인트(5,6)를 연결하여 분할되는 앞머리 섹션(A)을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양쪽 이어 포인트(5,6)를 뒷머리 중심을 지나도록 연결하여 분할되는 토대부(B)를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나머지 네이프 섹션(C)의 모발을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토대부의 머리를 풀어 백 코밍(back combing)하여 볼륨을 살릴 수 있도록 묶어 고정하고, 네이프 섹션의 모발을 백코밍한 후 일부씩 말아 올려 고정시켜 장식한 후, 티아라존을 기준으로 분획된 앞머리를 정리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업(middle up) 스타일의 올림머리 시술방법은 도4에 도시된 두발 구획도를 기초로 시술될 것인데, 하기와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도5):
가르마(1)를 타는 단계;
티아라존(2)을 잡아 티아라존과 양쪽 이어 포인트(5,6)을 연결하여 분할되는 앞머리 섹션(A)을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양쪽 이어 포인트(5,6))와 티아라존 양 말단(3,4)) 사이 중앙점(8,9)을 잡고 이로부터 뒷목점(7)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뿔 부분 중 양쪽 이어 포인트를 뒷머리 중심을 지나도록 연결하여 형성되는 부분과 공통되는 부분인 토대부(B')를 분할하여 묶어두는 단계;
나머지 뒷머리 네이프 섹션(C')의 모발을 묶어두는 단계;
토대부(B')의 머리를 풀어 백 코밍(back combing)하여 아래로 묶어 고정하고, 뒷머리 네이프 섹션(C')의 모발을 백코밍한 후 일부씩 말아 토대부 방향 45도로 올려 고정시켜 장식한 후, 앞머리 섹션(A)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뒷머리 네이프 섹션(C')의 모발을 백코밍한 후 일부씩 말아 목부분을 향해 45도 내려 고정시키면서 장식하는 경우 내림머리 스타일로 마무리된다(도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티아라 존(2)은 양쪽 눈 눈동자의 중심을 두발 쪽으로 연장했을 때 페이스 라인과 정수리 사이 중간 라인과 만나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상기 이어 포인트는 귀의 위쪽 헤어라인이 시작되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상기 토대부는 뒤통수의 볼륨을 살리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풍성한 볼륨을 위해 백코밍(back combing)을 한다. 백코밍은 약 지름 2cm의 라운드로 일부 모발을 분리한 후 비늘뜨기로 가닥을 잡아 백콤(back comb)을 해주는데 백코밍의 길이는 3-4cm를 넘지 않도록 한다.
네이프 섹션의 모발은 뒷머리 헤어스타일을 결정한 후 다양하게 데코레이션(decoration)을 할 수 있는 부분으로 통상적으로 다운 업 스타일의 경우, 부채꼴 모양으로 전체 백코밍(back combing)하여 네이프 섹션 가운데에서 고무줄로 묶어 망을 씌워 아래를 향하게 한 후 묶은 매듭 부분으로 말아올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네이프 섹션에 볼륨이 생기고 형태가 잡히게 된다. 토대부분의 백코밍된 모발을 빗질하여 네이프 섹션에 묶여진 고무줄 바로 위로 고정시킨다. 고정 후 아래로 빠진 모발을 큰 사이즈의 핀컬핀을 이용하여 말아올려 컬을 연결한 다음 작은 사이즈의 핀컬핀으로 고정한 다음 좌우 균형감이 맞는 디자인이 완성되면 핀컬핀 부분에 검은 색의 실핀을 꽂아 마무리한다.
중간 업 스타일의 경우, 네이프 섹션의 데코레이션 모발을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서 전체적으로 백코밍한다. 토대부 모발에도 백코밍한 후 모발을 아래로 내려 핀으로 고정시킨 후 남은 모발 말단을 엄지손가락에 끼고 돌려 핀으로 고정된 부분의 볼륨이 낮아진 부분에 볼륨이 생기도록 고정시킨다. 네이프 섹션 모발을 일부씩 잡아 큰 사이즈의 핀컬핀으로 집은 후 이를 중심으로 말아 토대부 방향으로 45도 각도로 올려 고정시킨다. 작은 사이즈의 핀컬핀으로 고정부분을 잡은 후 실핀으로 마무리한다.
앞머리는 피시술자의 요구에 따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시술한다.
본 발명의 도2와 도4에 도시된 구획도를 따르면 티아라존과 이어포인트 및 뒷목점을 중심으로 하여 모발을 분획함으로서 모발 분획과 분획된 모발 집합을 처리하는데 전통적인 방법에 비해 매우 짧은 시간이 소요되면서도 헝클어짐이 적은 안정적인 업스타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큰 장점이 있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올림머리를 시술하는데에는 고정을 위한 핀이 많이 필요로 되고 뿐만 아니라 피시술자 모발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두발을 분획함으로써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는바 피시술자 및 시술자 모두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을 위한 기준점이 뚜렷하고 크게 3개의 구획으로 분획하여 시술한다는 점에서 시간의 단축과 시술의 용이성이 매우 증대되었다.
본 발명은 올림머리를 위해 누구에게나 적용가능한 두발 구획도를 제공함으로써 반복가능하고 안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용 시술자에게 종래 방법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우수한 시술시간 단축 효과 및 초심자에게도 일정한 수준의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1: 가르마
2: 티아라 존
3: 티아라 존의 왼쪽 포인트
4: 티아라 존의 오른쪽 포인트
5: 왼쪽 이어 포인트
6: 오른쪽 이어 포인트
7: 뒷목점(네이프 포인트)
8: 티아라존 왼쪽 포인트와 왼쪽 이어 포인트 간의 중간점
9: 티아라존 오른쪽 포인트와 오른쪽 이어 포인트 간의 중간점
10: 부호 8과 뒷목점 7을 이은 선이 양쪽 이어포인트를 이은 선과 만나는 점
11: 부호 9와 뒷목점 7을 이은 선이 양쪽 이어포인트를 이은 선과 만나는 점
A: 앞머리 섹션
B, B': 토대부 섹션
C, C': 네이프 섹션

Claims (5)

  1. 가르마(1)를 타는 단계;
    눈동자 중심을 머리 위로 연장하여 페이스 라인과 정수리의 중간부와 만나는 부분인 티아라존(2)을 잡아 티아라존과 양쪽 이어 포인트(5,6)를 연결하여 분할되는 앞머리 섹션(A)을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양쪽 이어 포인트(5,6)를 뒷머리 중심을 지나도록 연결하여 분할되는 토대부(B)를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나머지 네이프 섹션(C)의 모발을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토대부의 머리를 풀어 백 코밍(back combing)하여 볼륨을 살릴 수 있도록 묶어 고정하고, 네이프 섹션의 모발을 백코밍한 후 일부씩 말아 올려 고정시켜 장식한 후, 티아라존을 기준으로 분획된 앞머리를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올림머리 시술방법.
  2. 가르마(1)를 타는 단계;
    눈동자 중심을 머리 위로 연장하여 페이스 라인과 정수리의 중간부와 만나는 부분인 티아라존(2)을 잡아 티아라존과 양쪽 이어 포인트(5,6)을 연결하여 분할되는 앞머리 섹션(A)을 분획하여 묶어두는 단계;
    양쪽 이어 포인트(5,6))와 티아라존 양 말단(3,4)) 사이 중앙점(8,9)을 잡고 이로부터 뒷목점(7)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뿔 부분 중 양쪽 이어 포인트를 뒷머리 중심을 지나도록 연결하여 형성되는 부분과 공통되는 부분인 토대부(B')를 분할하여 묶어두는 단계;
    나머지 뒷머리 네이프 섹션(C')의 모발을 묶어두는 단계;
    토대부(B')의 머리를 풀어 백 코밍(back combing)하여 아래로 묶어 고정하고, 뒷머리 네이프 섹션(C')의 모발을 백코밍한 후 일부씩 말아 토대부 방향 45도로 올려 고정시켜 장식한 후, 앞머리 섹션(A)을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올림머리 시술방법.

  3. 삭제
  4. 가르마(1);
    눈동자 중심을 머리 위로 연장하여 페이스 라인과 정수리의 중간부와 만나는 부분인 티아라존(2);
    티아라존과 양쪽 이어 포인트(5,6)를 연결하여 분할되는 앞머리 섹션(A);
    양쪽 이어 포인트(5,6)를 뒷머리 중심을 지나도록 연결하여 분할되는 토대부(B);
    뒷머리 네이프 섹션(C)으로 구성되는 다운업 스타일의 올림머리 시술을 위한 두발 구획도.
  5. 가르마(1);
    눈동자 중심을 머리 위로 연장하여 페이스 라인과 정수리의 중간부와 만나는 부분인 티아라존(2);
    티아라존과 양쪽 이어 포인트(5,6)을 연결하여 분할되는 앞머리 섹션(A);
    양쪽 이어 포인트(5,6)와 티아라존 양 말단(3,4) 사이 중앙점(8,9)을 잡고 이로부터 뒷목점(7)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뿔 부분 중 양쪽 이어 포인트를 뒷머리 중심을 지나도록 연결하여 형성되는 부분과 공통되는 부분인 토대부(B');
    뒷머리 네이프 섹션(C')으로 구성되는 중간업 스타일의 올림머리 시술을 위한 두발 구획도.
KR1020140056916A 2014-05-13 2014-05-13 새로운 올림머리 시술방법 및 두발 구획도 KR10200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916A KR102008220B1 (ko) 2014-05-13 2014-05-13 새로운 올림머리 시술방법 및 두발 구획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916A KR102008220B1 (ko) 2014-05-13 2014-05-13 새로운 올림머리 시술방법 및 두발 구획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988A KR20150129988A (ko) 2015-11-23
KR102008220B1 true KR102008220B1 (ko) 2019-08-08

Family

ID=5484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916A KR102008220B1 (ko) 2014-05-13 2014-05-13 새로운 올림머리 시술방법 및 두발 구획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959B1 (ko) * 2016-11-24 2017-01-19 임순화 신부머리 업스타일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328A (ja) 2000-01-07 2001-07-17 Fuairudo Kk ヘア−スタイリ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791A (ko) 2002-08-12 2004-02-18 최봉영 헤어연출부재 및 그를 사용한 헤어스타일연출방법
KR101310617B1 (ko) * 2012-03-02 2013-10-14 홍성희 섹션존을 이용한 헤어커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328A (ja) 2000-01-07 2001-07-17 Fuairudo Kk ヘア−スタイリング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등분 섹션 비대칭 업스타일, 2013.01.23., on line*
로맨틱 브래드 up스타일, 2013.7.11., on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988A (ko) 201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89947A1 (en) Head covering and method
US5765571A (en) Foundation for a hair dressing
KR101697959B1 (ko) 신부머리 업스타일링 방법
KR102008220B1 (ko) 새로운 올림머리 시술방법 및 두발 구획도
US20180343947A1 (en) Hair band device
KR101433652B1 (ko) 펌제 또는 염색제의 도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펌 또는 염색 방법
US3292641A (en) Hair styling method for producing a smooth high hairdo
KR102164144B1 (ko) C컬과 롤 기술을 이용한 헤어스타일링 방법
US11197526B2 (en) Hair painting board and method therefor
RU2697497C1 (ru) Способ окрашивания волос (варианты)
KR101935998B1 (ko) 이질감이 줄어드는 붙임머리
KR102049017B1 (ko) 전통 머리형상 적용대상 제품의 쪽머리 형성방법
JP6946136B2 (ja) 頭髪改善方法
US20200245738A1 (en) Automatic Brush for Creating Waves in Hair and Related Devices and Systems
US20100000565A1 (en) Stylin Kombs
KR102136580B1 (ko) 볼륨감을 높이는 롤 헤어스타일링 방법
JP5248883B2 (ja) つけ睫毛の装着方法
RU202495U1 (ru) Инструмент колориста
RU2799302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стрижки
KR102331216B1 (ko) 가발용 헤어 캡 및 이를 구비한 가발
KR102013888B1 (ko) 붙임머리장식 시술방법
US2729218A (en) Hair blocking guide
US20230284762A1 (en) Hair coloring method
KR102372591B1 (ko) 사슬 땋기를 통한 붙임 머리 시술 방법
RU2804878C1 (ru) Способ окрашивания воло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