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037A -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 Google Patents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037A
KR20200017037A KR1020180092145A KR20180092145A KR20200017037A KR 20200017037 A KR20200017037 A KR 20200017037A KR 1020180092145 A KR1020180092145 A KR 1020180092145A KR 20180092145 A KR20180092145 A KR 20180092145A KR 20200017037 A KR20200017037 A KR 20200017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catheter
bile duct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202B1 (ko
Inventor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2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2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1Multiple separate lum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71Liver; Hep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내부와 연통되는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이 형성된 관체,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관체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관체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안내부와 교차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CATHETER FOR INTRAHEPATIC DUCT CANNULATION}
본 발명은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 Endoscopic retrograde C holangiopancreatography)에 사용되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기술 및 의료기기의 발전에 따라 내시경 시술영역이 증가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 Endoscopic retrograde C holangiopancreatography)이 있다.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은 내시경을 이용한 담췌관조영술로, 담도계와 췌관을 관찰하며, 투시 하에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하고, 간내담관으로 직접 조영제를 투입하여 영상을 얻는 시술이다.
한편, 간내담관협착(intrahepatic bile duct stricture) 등의 병변이 발견되는 경우, 중요한 것은 해당 병변이 담관암(cholangiocarcinoma)에 의한 것인지를 감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담관내조직검사(endobiliary biopsy)가 시행될 수 있다. 담관내조직검사 방법으로는 크게 경피경간-간조직검사(percutaneous transhepatic liver biopsy) 및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을 이용한 조직검사 방법이 있다.
그러나, 경피경간-간조직검사로는 담관암 감별을 위한 조직채취가 어려우며,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을 이용한 조직검사의 경우, 간의 복잡한 해부학적 요인으로 인해 많은 시술경험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간내담관에 삽입되는 선단부 측이'X'자로 교차되는 두 개의 안내 통로를 구비하여, 두 개의 안내 통로를 통해 조직채취에 사용되는 유도선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는, 내부와 연통되는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이 형성된 관체,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관체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관체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안내부와 교차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소정 각도로 꺾인 제1 꺾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소정 각도로 꺾인 제2 꺾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관체의 폭방향을 따른 동일선상에 상기 제1 꺾임부 및 상기 제2 꺾임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1 꺾임부 또는 상기 제2 꺾임부로부터 상방으로는 X 자로 교차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체는, 볼록한 돔 형상으로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몸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는, 돔 형상의 정점을 지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는, 돔 형상의 정점을 지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는,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유도선이 상기 관체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선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유도선이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다가, 상기 유도선이 상기 제1 관통공 또는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선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여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내담관에 삽입되는 선단부 측이'X'자로 교차되는 두 개의 안내 통로를 구비하여, 우간관 또는 좌간관으로의 선택적 삽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관내조직검사에 있어서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시술자는 물론 환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를 이용한 조직채취 시술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를 이용한 조직채취시술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우간관에 병변 부위가 위치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를 이용한 조직채취 시술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유도선이 도 2에 도시된 제1 관통공을 통해 우간관으로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좌간관에 병변 부위가 위치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를 이용한 조직채취 시술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유도선이 도 2에 도시된 제2 관통공을 통해 좌간관으로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를 이용한 조직채취 시술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100)는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 Endoscopic retrograde C holangiopancreatography)에 적용될 수 있다.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은 내시경(10)을 이용한 담췌관조영술로, 투시 하에 내시경(10)을 십이지장(1)까지 삽입하고, 간내담관(6)으로 직접 조영제를 투입하여 영상을 얻는 시술이다. 간내담관(6)은 간(5)에서 분비된 쓸개즙이 십이지장(1)으로 배출되는 모든 경로를 일컫는다.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로부터 간내담관협착(intrahepatic bile duct stricture) 등의 병변이 발견되는 경우, 담관암(cholangiocarcinoma)에 의한 것인지 진단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담관내조직검사(endobiliary biopsy)가 시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100)는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시행 시, 담관내조직검사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100)는 조직 채취에 사용되는 유도선의 간내담관(6) 삽관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데, 크로스 교차되는 두 개의 유도 통로를 가져 유도선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선택적 삽관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10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100)(이하, 카테터)는 일단부에 제1 관통공(110) 및 제2 관통공(120)이 형성된 관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관체(101)는 인체 조직에 삽입 시,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유연성을 갖는 연질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관체(101)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제1 관통공(110) 및 제2 관통공(120)으로부터 각각 전체 길이로 연장되는 관로가 형성될 수 있다. 관체(101)는 이러한 관로에 의해 양측이 내부와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관체(101)는 도 2에 도시된 일측이 제1 관통공(110) 및 제2 관통공(120)에 의해 개방되고,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타측이 전체적으로 개방되거나, 관로와 통하는 일부가 개방되어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체(101)는 머리부(103) 및 몸통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103)는 내부 공간을 갖는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체(101)의 선단부를 구성하여, 정점부로부터 완경사를 이루는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103)는 제1 관통공(110) 및 제2 관통공(120)이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103)는 돔 형상의 정점을 지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제1 관통공(110) 및 제2 관통공(120)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머리부(103)는 제1 관통공(110) 및 제2 관통공(120)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면, 원통형, 삼각뿔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통부(105)는 일측이 머리부(103)로부터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105)는 일정 내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카테터(100)는 관체(101)의 내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1 안내부(113) 및 제2 안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내부(113) 및 제2 안내부(123)는 관체(10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내부(113) 및 제2 안내부(123)는 서로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내부(113) 및 제2 안내부(123)는 관체(10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도록 관체(101)의 내경보다 좁은 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안내부(113) 및 제2 안내부(123)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양측이 내부와 통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되어, 조직 채취에 사용되는 유도선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안내부(113)는 제1 관통공(110)으로부터 관체(101)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내부(113)는 일측이 제1 관통공(110)에 의해 개방되고, 타측 또한 개방되게 형성되어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내부(123)는 제2 관통공(120)으로부터 관체(101)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내부(123)는 일측이 제2 관통공(120)에 의해 개방되고, 타측 또한 개방되게 형성되어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내부(113) 및 제2 안내부(123)는 머리부(103)의 돔 형상의 정점을 지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내부(113) 및 제2 안내부(123)는 각각 제1 꺾임부(115) 및 제2 꺾임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내부(113)는 제1 관통공(110)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소정 각도로 꺾인 제1 꺾임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내부(113)는 제1 관통공(110)으로부터 연장되어 머리부(103)의 돔 형상의 정점을 지나는 중심축을 대각선 상으로 가로질러 형성되고, 제1 꺾임부(115)에 의해 관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꺾임부(115)는 제1 안내부(113)가 제1 관통공(1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다가, 제1 꺾임부(115)를 기준으로 하여 제2 관통공(120)과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각도로 꺾인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꺾임부(115)의 꺾이는 각도는 90도 초과 180 미만, 또는 120도 이상 150도 이하, 일례로 약 135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안내부(113)는 제1 꺾임부(115)로부터 하방으로는 제2 관통공(120)과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내부(123)는 제2 관통공(120)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소정 각도로 꺾인 제2 꺾임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내부(123)는 제2 관통공(120)으로부터 연장되어 머리부(103)의 돔 형상의 정점을 지나는 중심축을 대각선 상으로 가로질러 형성되고, 제2 꺾임부(125)에 의해 관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꺾임부(125)는 제2 안내부(123)가 제2 관통공(12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다가, 제2 꺾임부(125)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관통공(110)과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각도로 꺾인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꺾임부(125)의 꺾이는 각도는 90도 초과 180 미만, 또는 120도 이상 150도 이하, 일례로 약 135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안내부(123)는 제2 꺾임부(125)로부터 하방으로는 제1 관통공(110)과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꺾임부(115) 및 제2 꺾임부(125)는 관체(101)의 폭방향을 따른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꺾임부(115) 및 제2 꺾임부(125)는 머리부(103) 및 몸통부(105)의 경계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내부(113) 및 제2 안내부(123)는 이와 같은 제1 꺾임부(115) 및 제2 꺾임부(125)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안내부(113) 및 제2 안내부(123)는 제1 꺾임부(115) 또는 제2 꺾임부(125)로부터 상방으로는'X' 자로 교차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안내부(113) 및 제2 안내부(123)는 유도선이 관체(101)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유도선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안내부(113) 및 제2 안내부(123)는 'X' 자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도선이 관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다가 유도선이 제1 관통공(110) 또는 제2 관통공(1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유도선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여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00)는 'X'자로 교차되는 두 개의 안내 통로를 구비하여, 유도선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선택적 삽관을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00)를 이용한 조직채취 시 유리한 효과에 대해 실제 시술 단계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를 이용한 조직채취시술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00)는 담관내조직검사를 위해 간내담관(6)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간략히 도시하였으나, 간내담관(6)은 실제로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며, 크게 우간관(Right hepatic duct)(7) 및 좌간관(Left hepatic duct)(9)으로 나뉠 수 있다. 담관내조직검사 시, 담관 내 병변부위의 조직 채취를 위해 유도선을 간내담관(6)에 삽관하여야 하는데, 간내담관(6)의 복잡한 구조에 의해 우간관(7) 또는 좌간관(9)으로의 선택적 삽관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00)는 'X'자로 교차되는 두 개의 안내 통로를 구비하여, 유도선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선택적 삽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a는 우간관에 병변 부위가 위치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를 이용한 조직채취 시술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유도선이 도 2에 도시된 제1 관통공을 통해 우간관으로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우간관(7)에 병변 부위가 위치하는 경우, 카테터(100)의 두 개의 안내 통로 중 우간관(7) 측으로 통하는 안내 통로를 통해 유도선(210)을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b를 참조하면, 우간관(7) 측으로의 유도선(210) 삽입이 필요한 경우, 제1 안내부(113)는 우간관(7) 측에 위치하는 제1 관통공(110)을 통해 유도선(210)이 관체(101)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유도선(210)을 안내할 수 있다. 시술자는 간내담관(6)에 삽입되는 관체(101)의 타측으로부터 유도선(210)을 진입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제1 안내부(113)로 유도선(210)을 진입시킴으로써 우간관(7) 측에 위치하는 제1 관통공(11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안내부(113)는 유도선(210)이 관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다가, 유도선(210)이 제1 관통공(110)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유도선(210)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여 안내할 수 있다.
도 7a는 좌간관에 병변 부위가 위치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를 이용한 조직채취 시술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유도선이 도 2에 도시된 제2 관통공을 통해 좌간관으로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좌간관(9)에 병변 부위가 위치하는 경우, 카테터(100)의 두 개의 안내 통로 중 좌간관(9) 측으로 통하는 안내 통로를 통해 유도선(210)을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b를 참조하면, 좌간관(9) 측으로의 유도선(210) 삽입이 필요한 경우, 제2 안내부(123)는 좌간관(9) 측에 위치하는 제2 관통공(120)을 통해 유도선(210)이 관체(101)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유도선(210)을 안내할 수 있다. 시술자는 간내담관(6)에 삽입되는 관체(101)의 타측으로부터 유도선(210)을 진입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제2 안내부(123)로 유도선(210)을 진입시킴으로써 좌간관(9) 측에 위치하는 제2 관통공(1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안내부(123)는 유도선(210)이 관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다가, 유도선(210)이 제2 관통공(120)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유도선(210)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여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100)는 간내담관(6)에 삽입되는 선단부 측이'X'자로 교차되는 두 개의 안내 통로를 구비하여, 우간관(7) 또는 좌간관(9)으로의 선택적 삽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관내조직검사에 있어서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시술자는 물론 환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십이지장
5: 간
6: 간내담관
7: 우간관
9: 좌간관
10: 내시경
100: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101: 관체
103: 머리부
105: 몸통부
110: 제1 관통공
120: 제2 관통공
113: 제1 안내부
115: 제1 꺾임부
123: 제2 안내부
125: 제2 꺾임부
201: 유도선

Claims (9)

  1. 내부와 연통되는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이 형성된 관체;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관체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관체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안내부와 교차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소정 각도로 꺾인 제1 꺾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소정 각도로 꺾인 제2 꺾임부를 포함하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관체의 폭방향을 따른 동일선상에 상기 제1 꺾임부 및 상기 제2 꺾임부가 각각 형성되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1 꺾임부 또는 상기 제2 꺾임부로부터 상방으로는 X 자로 교차된 형상을 이루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볼록한 돔 형상으로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몸통부를 포함하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돔 형상의 정점을 지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는,
    돔 형상의 정점을 지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형성되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는,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유도선이 상기 관체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선을 안내하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유도선이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다가, 상기 유도선이 상기 제1 관통공 또는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선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여 안내하는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KR1020180092145A 2018-08-08 2018-08-08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KR102158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45A KR102158202B1 (ko) 2018-08-08 2018-08-08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45A KR102158202B1 (ko) 2018-08-08 2018-08-08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037A true KR20200017037A (ko) 2020-02-18
KR102158202B1 KR102158202B1 (ko) 2020-09-22

Family

ID=6963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45A KR102158202B1 (ko) 2018-08-08 2018-08-08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4191A1 (en) * 2022-08-23 2024-02-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annulation devices for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0163A (ja) * 2000-12-28 2002-07-16 Nippon Zeon Co Ltd ドレナージチューブ
KR20060092130A (ko) * 2005-02-15 2006-08-22 휴메드 주식회사 카테터
JP2011139936A (ja) * 2000-05-19 2011-07-21 Conmed Endoscopic Technologies Inc 斜めの案内ワイヤ出口がある多管腔型胆管カテーテル
JP2016537126A (ja) * 2013-11-21 2016-12-01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C R Bard Incorporated マルチ内腔構造を備える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9936A (ja) * 2000-05-19 2011-07-21 Conmed Endoscopic Technologies Inc 斜めの案内ワイヤ出口がある多管腔型胆管カテーテル
JP2002200163A (ja) * 2000-12-28 2002-07-16 Nippon Zeon Co Ltd ドレナージチューブ
KR20060092130A (ko) * 2005-02-15 2006-08-22 휴메드 주식회사 카테터
JP2016537126A (ja) * 2013-11-21 2016-12-01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C R Bard Incorporated マルチ内腔構造を備える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4191A1 (en) * 2022-08-23 2024-02-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annulation devices for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202B1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2793T3 (es) Cateter biliar de intercambio por parte de un solo operador.
US11020136B2 (en) Deflectable guide catheters and related methods
US8298178B2 (en) Rapid exchange catheter with depressable channel
US6398776B1 (en) Tubular medical device
JP2582146B2 (ja) 胆道系を内視鏡的‐経乳頭的にゾンデ検査する装置
US2009031264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ing Anatomic Structures
US20040073108A1 (en) Device for directing a wire guide
US20070265494A1 (en) Flexible and retractable endoscope elevator
JP6072371B2 (ja) 医療器具及び医療システム
JP2002514099A (ja) 一人の手術者により交換可能な胆管カテーテル
JP2006223338A (ja) カテーテル
US20080091067A1 (en) Multi-lumen catheter and endoscopic method
JP2011139936A (ja) 斜めの案内ワイヤ出口がある多管腔型胆管カテーテル
EP3845116B1 (en) Endoscope having multiple viewing directions
JP3651329B2 (ja) 内視鏡のアングル部
US20140350463A1 (en) Dual lumen pancreaticobiliary catheter and methods of cannulating the pancreaticobiliary system
US9468743B2 (en) Catheter for positioning a wire guide
CN101843948A (zh) 一种导线绞合解除装置
KR102158202B1 (ko) 간내담관 삽관용 카테터
JP6200627B2 (ja) カプセル内視鏡誘導用処置具
EP3034125A1 (en) Introduction assistance instrument with side hole
JP2011131047A (ja) 内視鏡誘導用管状部材
JP6023636B2 (ja) 胆道内視鏡システム
KR102593656B1 (ko) 의료용 카테터
JP7403617B1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