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651A -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 Google Patents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6651A KR20200016651A KR1020180091995A KR20180091995A KR20200016651A KR 20200016651 A KR20200016651 A KR 20200016651A KR 1020180091995 A KR1020180091995 A KR 1020180091995A KR 20180091995 A KR20180091995 A KR 20180091995A KR 20200016651 A KR20200016651 A KR 202000166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
- frame
- sensor
- drog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 B63B2708/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표류 부이는 부력을 갖는 부이 몸체, 상기 부이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통신 유닛, 전원유닛, GPS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부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해류를 따라 상기 부이를 표류시키는 통 형상을 갖는 드로그 몸체 및 상기 프레임을 상기 부이에 연결시키는 드로그 와이어를 포함하는 드로그; 상기 부이의 상기 전원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드로그를 통과하는 센서 케이블, 상기 센서 케이블에 복수개가 단속적으로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부이, 드로그 및 상기 센서 유닛이 바다에 투하되기 이전에는 상하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프레임들을 결합 시키고, 상기 부이, 드로그 및 상기 센서 유닛이 바다에 투하된 후에는 상하로 결합된 상기 프레임들 중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상기 드로그 및 상기 센서 케이블을 바다 속에 전개시키는 전개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해류를 따라 표류하면서 수심에 따른 수온을 센싱하기 위해 센서 케이블 및 센서 케이블에 장착된 센서를 포함하고, 특히 바다에 투하 전에는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의 드로그들이 접힌 상태로 임시 결합되고, 바다에 투하 후에는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의 센서 케이블의 엉킴을 방지하면서 드로그를 바다 속에서 자동 전개할 수 있는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류 부이(drift buoy)는 대양에서 수온, 기압, 풍속, 풍향, 해류 방향 등 종합적인 대양 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용도, 유류 유출, 해양 오염에 따른 기상 및 해양 자료 확보, 태풍의 경로 및 태풍 정보 확보 등과 같은 재난 상황 대비를 위해 각국에서 해양 또는 대양에 설치 및 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류 부이는 해류를 따라 이동되면서 다양한 자료를 확보하며, 이를 위해서 표류 부이는 다양한 전자 장비들이 탑재된 구형 부이, 부이에 연결되어 해류에 의하여 이동되는 드로그, 부이에 연결된 센서 케이블에 결합된 센서들을 포함한다.
부이에 연결되는 드로그는 해류에 의하여 저항력을 받을 수 있도록 약 70cm 내지 약 100cm의 직경을 갖고 약 10m 이상의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의 천 및 천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드로그는 국제적으로 협약된 규격에 의하여 형성된다.
바다 밖에서 드로그의 프레임들은 물에 용해되는 끈에 묶여 상호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고, 드로그가 바다로 투입되면 프레임들을 묶은 끈이 용해되면서 프레임들이 펼쳐지면서 드로그는 원기둥 형태가 된다.
그러나 드로그를 바다에 투입한 후 프레임들을 묶은 끈이 용해되지 않거나 프레임들이 동시에 풀어지면서 센서 케이블들이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표류 부이를 바다에 투입하면 회수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센서 케이블들이 엉키지 않게 표류 부이를 바다에 설치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부이 및 드로그를 바다에 투입할 때 길이가 매우 긴 센서 케이블들이 엉키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부이 및 드로그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킨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는 부력을 갖는 부이 몸체, 상기 부이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통신 유닛, 전원유닛, GPS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부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해류를 따라 상기 부이를 표류시키는 통 형상을 갖는 드로그 몸체 및 상기 프레임을 상기 부이에 연결시키는 드로그 와이어를 포함하는 드로그; 상기 부이의 상기 전원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드로그를 통과하는 센서 케이블, 상기 센서 케이블에 복수개가 단속적으로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부이, 드로그 및 상기 센서 유닛이 바다에 투하되기 이전에는 상하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프레임들을 결합 시키고, 상기 부이, 드로그 및 상기 센서 유닛이 바다에 투하된 후에는 상하로 결합된 상기 프레임들 중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상기 드로그 및 상기 센서 케이블를 바다 속에 전개시키는 전개 유닛을 포함한다.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의 상기 프레임은 곡면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관 형상을 갖는다.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의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어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하단과 대향하는 상단 중 상기 해수 유입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해수 유입홀을 막는 사이즈로 형성된 해수 유입 방지 돌기가 형성된다.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의 상기 전개 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하단으로부터 노출된 금속판,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상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전원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에 대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에 연결되어 상기 해수가 감지되면 상기 전자석에 제공되는 상기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해수 유입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의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중앙 부분을 향해 적어도 2개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어 상기 센서 케이블의 엉킴을 방지하는 센서 케이블 엉킴 방지 부재가 형성된다.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의 상기 드로그의 안쪽에는 상기 센서 케이블을 수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 케이블을 권취하는 윈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윈치가 배치되어 상기 드로그가 전개되기 이전에 상기 센서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윈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 케이블의 엉킴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는 부이 및 드로그를 바다에 투입할 때 길이가 매우 긴 센서 케이블들이 엉키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부이 및 드로그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이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로그의 프레임을 발췌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프레임에 결합된 제2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를 바다에 투하하기 이전에 드로그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개 유닛에 의하여 드로그의 프레임들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적층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개 유닛에 의하여 드로그의 프레임들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 진행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이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로그의 프레임을 발췌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프레임에 결합된 제2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를 바다에 투하하기 이전에 드로그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개 유닛에 의하여 드로그의 프레임들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적층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개 유닛에 의하여 드로그의 프레임들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 진행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류 부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이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는 부이(100), 드로그(200), 센서 유닛(300) 및 전개 유닛(400)을 포함한다.
부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 몸체(110), 통신 유닛(120), 전원 유닛(125), GPS(130) 및 제어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부이(100)는 다양한 전자 장비들 또는 다양한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부이(100)에 배치된 전원 유닛(125)은, 예를 들어,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 또는 태양광, 파력, 조력 등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부이 몸체(110)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부이 몸체(110)는 구형 이외에 바람의 영향은 최소화하고 해류의 영향만으로 표류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기둥 형상을 갖는 부이 몸체(110)의 상단이 수면과 일치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로그의 프레임을 발췌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드로그(200, drogue)는 프레임(210), 드로그 몸체(220) 및 드로그 와이어(230)를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예를 들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드로그(200)는 5개의 프레임(210)을 포함하며, 5개의 프레임(210)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프레임(210)은, 예를 들어, 해수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는 소재, 예를 들어,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제1 프레임(212) 및 제2 프레임(214)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212)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212)은 속이 꽉찬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212)은 2개가 상호 대칭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14)은 속이 빈 관(pipe)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프레임(214)은 제1 프레임(212)과 마찬가지로 2개로 이루어진다.
제2 프레임(214)은 2개로 이루어진 제1 프레임(212)들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이로 인해 교대로 결합된 제1 프레임(212) 및 제2 프레임(214)들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1 프레임(212) 및 2 개의 제2 프레임(214)이 교대로 결합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제1 프레임(212) 및 제2 프레임(214)은 3개 이상이 교대로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프레임에 결합된 제2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프레임(214)의 하면에는 해수가 제2 프레임(214)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해수 유입 홀(215)이 형성되며, 제2 프레임(214) 중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에는 해수 유입 방지 돌기(217)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해수 유입 방지 돌기(217)의 사이즈는 해수 유입 홀(215)에 꼭맞게 결합되는 사이즈로 형성되며, 따라서 해수 유입 방지 돌기(217)의 위치는 해수 유입 홀(215)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제1 프레임(212)의 내측면으로부터 프레임(210)의 중앙 부분을 향해 플레이트 형상으로 돌출된 센서 케이블 엉킴 방지 부재(219)가 형성된다. 센서 케이블 엉킴 방지 부재(219)는 후술 될 센서 케이블이 바다속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 케이블 엉킴 방지 부재(219)는 적어도 2개가 제1 프레임(212)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3개의 센서 케이블 엉킴 방지 부재(219)가 제1 프레임(212)에 형성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드로그(200)의 드로그 몸체(220)는 천(cloth)을 원통 형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되며, 드로그 몸체(220)에는 다수개의 개구(222)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드로그(200)의 직경, 드로그(200)의 길이 등은 국제적으로 협약된 규격에 따라 가공된다.
드로그 몸체(220)는 5개의 프레임(210)의 내부에 삽입되며, 각 프레임(210)은 드로그 몸체(220)에 형성된 고리 등에 의하여 드로그 몸체(220)에 결합된다.
드로그 몸체(22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각 프레임(210)은 드로그 몸체(220)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드로그 몸체(220)에 프레임(210)이 결합된 상태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210) 및 부이(100)는 드로그 와이어(23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드로그 와이어(230)는 강성을 갖고 해수에 부식되지 않는 다양한 합성수지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센서 유닛(300)은 센서 케이블(310), 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센서 유닛(300)은 무게추(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무게추(330)는 센서 유닛(300)에 설치하지 않고 드로그(200)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센서 케이블(310)은 부이(100)의 내부에 형성된 전원 유닛(125) 및 제어 유닛(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센서 케이블(310)은 부이(100)로부터 드로그(200)를 통과하여 긴 길이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센서 케이블(310)은 약 100m 내지 약 200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320)는 센서 케이블(310)에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센서(320)는 수심에 따른 수온을 센싱하는 수온 센서 및 수심을 센싱하기 위한 수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센서(320)가 수온 센서 및 수압 센서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센서(320)는 수온 및 수압 이외에 다양한 물성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100)에 결합된 드로그(200)는 매우 큰 사이즈를 갖기 때문에 바다에 투하되기 이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이 상호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며, 매우 긴 길이를 갖는 센서 케이블도 권취된 상태로 보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그(200)의 프레임(210)들이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바다에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가 투하되었을 때 드로그(200)의 프레임(210)들 중 가장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210)이 나머지 프레임(210)들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센서 케이블도 순차적으로 풀리도록 하여 센서 케이블의 엉킴을 방지하면서 드로그(200)가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는 전개 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전개 유닛(400)은 부이(100), 드로그(200) 및 센서 유닛(300)이 바다에 투하되기 이전에는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210)들이 상호 임시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게 한다.
반면 전개 유닛(400)은 부이(100), 드로그(200) 및 센서 유닛(300)이 바다에 투하된 후에는 상하로 적층 결합된 프레임(210)들 중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210)을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드로그(200) 및 센서 유닛(300)이 바다속에서 전개되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전개 유닛(400)은 금속판(410), 전자석(420) 및 해수 유입 감지 센서(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개 유닛(400)을 구성하는 전자석(420) 및 해수 감지 센서(430)는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100)에 형성된 제어 유닛(140) 및 전원 유닛(1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자석(420) 및 전자석(420)에 흡인되는 금속판(410)을 사용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금속판(410) 대신 전자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개 유닛(400)은 앞서 도 3을 통해 도시 및 설명한 프레임(210)의 제2 프레임(214)의 내부에 배치된다.
전개 유닛(400)의 금속판(410)은 제2 프레임(214)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2 프레임(214)에는 금속판(410)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216)가 형성될 수 있다.
전자석(420)은 부이(100)로부터 제공된 전원에 의하여 금속판에 대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전원이 차단되면 흡인력이 소멸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전자석(420)은 제2 프레임(214)의 상단을 관통한 후 제2 프레임(214)에 고정되며, 전자석(420)은 제2 프레임(214)의 두께만큼 제2 프레임(21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해수 유입 감지 센서(430)는 해수 유입 홀(215)를 통해 제2 프레임(214)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면 해수를 감지하여 해수 유입 신호를 발생시키고, 해수 유입 신호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제어 유닛(140)은 전자석(420)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석(420)으로부터 발생되는 흡입력을 소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개 유닛에 의하여 드로그의 프레임들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적층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를 바다에 투하하기 이전에는 드로그(200)에 포함된 5개의 프레임(210)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적층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210)들을 적층함에 따라 가장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210)의 해수 유입 방지 돌기(217)는 그 위에 배치된 프레임(210)의 해수 유입 홀(215)에 결합된다.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가 바다에 투하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가장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210)에는 해수 유입이 없고 따라서 전자석(420)에는 전원이 제공되고 이로 인해 가장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210)에 포함된 전자석(420)은 그 위에 배치된 프레임(210)의 금속판(4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가 바다에 투하되기 이전에는 드로그(200)에 포함된 5개의 프레임(210)들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개 유닛에 의하여 드로그의 프레임들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 진행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가 준비된 상태에서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가 선박 또는 항공기를 통해 바다에 투입되면 드로그(200)에 포함된 프레임(210)들 중 가장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210) 중 제2 프레임(214)에 형성된 해수 유입 홀(215)로는 해수가 유입된다.
해수 유입 홀(215)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면 해수 유입 감지 센서(430)로부터는 전자석(420)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센싱 신호가 발생된다. 이 센싱 신호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제어 유닛(140)은 전자석(420)에 제공되던 전원을 차단하고 이로 인해 전자석(420) 및 전자석(420)에 흡입력에 의하여 결합된 금속판(410)은 상호 분리되면서, 가장 하부에 배치된 드로그(200)의 프레임(210)은 나머지 프레임(210)들로부터 분리되면서 전개되며, 이로 인해 센서 케이블 역시 프레임(210)과 함께 전개된다.
가장 하부에 배치된 드로그(200)의 프레임(210)이 전개됨에 따라 그 상부에 배치된 프레임(210)으로도 해수가 유입되면서 분리되고,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5개의 프레임(210)들은 모두 전개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금속판, 전자석 및 해수 유입 감지 센서를 통해 드로그(200)의 프레임(210)들을 전개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 전자석, 금속판 및 해수 유입 감지 센서를 센서 케이블을 묶는 끈 등에 적용함으로써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가 바다에 투입되었을 때 프레임(210)보다 먼저 센서 케이블을 묶은 끈이 상호 분리되도록 하여 센서 케이블이 먼저 엉킴 없이 전개되도록 한 후 프레임(210)들이 순차적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는 케이스 및 윈치 케이블을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 및 설명된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는 부이(100), 드로그(200), 센서 유닛(300), 전개 유닛(400) 및 케이블 윈치(360)를 포함한다.
케이블 윈치(360)는 케이스(340) 및 윈치(350)를 포함한다.
케이스(340)는 윈치(350) 및 센서 케이블(310)을 수납하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윈치(350)는 케이스(340)의 내부에 배치된다. 윈치(350)는 센서 케이블(310)을 권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윈치(3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은 도 2에 도시된 부이(100)의 전원 유닛(125)으로부터 제공 받고 윈치(350)의 작동은 부이(100)의 제어 유닛(140)에 의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가 바다에 투하되기 이전에는 윈치(350)에 센서 케이블(310)이 권취된 상태이며,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500)가 바다에 투하된 후에는 윈치(350)에 권취된 센서 케이블(310)이 풀리기 때문에 센서 케이블(310)이 바다에 투하된 후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부이 및 드로그를 바다에 투입할 때 길이가 매우 긴 센서 케이블들이 엉키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부이 및 드로그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부이
200...드로그
300...센서 유닛 400...전개 유닛
300...센서 유닛 400...전개 유닛
Claims (6)
- 부력을 갖는 부이 몸체, 상기 부이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통신 유닛, 전원유닛, GPS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부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해류를 따라 상기 부이를 표류시키는 통 형상을 갖는 드로그 몸체 및 상기 프레임을 상기 부이에 연결시키는 드로그 와이어를 포함하는 드로그;
상기 부이의 상기 전원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드로그를 통과하는 센서 케이블, 상기 센서 케이블에 복수개가 단속적으로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부이, 드로그 및 상기 센서 유닛이 바다에 투하되기 이전에는 상하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프레임들을 결합 시키고, 상기 부이, 드로그 및 상기 센서 유닛이 바다에 투하된 후에는 상하로 결합된 상기 프레임들 중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상기 드로그 및 상기 센서 케이블을 바다 속에 전개시키는 전개 유닛을 포함하는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곡면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관 형상을 갖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어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하단과 대향하는 상단 중 상기 해수 유입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해수 유입홀을 막는 사이즈로 형성된 해수 유입 방지 돌기가 형성된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하단으로부터 노출된 금속판,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상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전원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에 대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에 연결되어 상기 해수가 감지되면 상기 전자석에 제공되는 상기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해수 유입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중앙 부분을 향해 적어도 2개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어 상기 센서 케이블의 엉킴을 방지하는 센서 케이블 엉킴 방지 부재가 형성된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그의 안쪽에는 상기 센서 케이블을 수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 케이블을 권취하는 윈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윈치가 배치되어 상기 드로그가 전개되기 이전에 상기 센서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윈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 케이블의 엉킴이 방지된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995A KR102088654B1 (ko) | 2018-08-07 | 2018-08-07 |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995A KR102088654B1 (ko) | 2018-08-07 | 2018-08-07 |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6651A true KR20200016651A (ko) | 2020-02-17 |
KR102088654B1 KR102088654B1 (ko) | 2020-03-13 |
Family
ID=6967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1995A KR102088654B1 (ko) | 2018-08-07 | 2018-08-07 |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865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54687A (zh) * | 2021-06-19 | 2021-11-16 | 广州欧纳电子科技有限公司 | 线缆式温度观测链 |
CN114394199A (zh) * | 2022-01-27 | 2022-04-26 | 眼点(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水下多线缆稳定悬浮装置 |
CN118494673A (zh) * | 2024-07-18 | 2024-08-16 | 国家海洋技术中心 | 一种水下自动放缆装置及易布放潜标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2173B1 (ko) * | 2020-09-23 | 2021-03-04 |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 금속 증착 방법 |
KR102575377B1 (ko) * | 2021-04-19 | 2023-09-08 | (주)포스코이앤씨 | 광 섬유를 이용한 해수 온도 모니터링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6815A (ko) * | 2010-04-20 | 2011-10-26 | 한국수자원공사 | 수위연동형 수온 및 유속 모니터링 시스템 |
US20140348593A1 (en) * | 2011-09-16 | 2014-11-27 | Nigk Corporation | Underwater rising/falling device |
-
2018
- 2018-08-07 KR KR1020180091995A patent/KR1020886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6815A (ko) * | 2010-04-20 | 2011-10-26 | 한국수자원공사 | 수위연동형 수온 및 유속 모니터링 시스템 |
KR101089863B1 (ko) | 2010-04-20 | 2011-12-05 | 한국수자원공사 | 수위연동형 수온 및 유속 모니터링 시스템 |
US20140348593A1 (en) * | 2011-09-16 | 2014-11-27 | Nigk Corporation | Underwater rising/falling device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Motyzhev S,외, "NWE DEVELOPMENTS IN THE DRIFTER TECHNOLOGIES", TECO-2014(2014.07.07.) 1부.* * |
연구과제보고서, "친환경 소모성 표류형 부이 개발", 오션테크(주) 해양시스템연구소(2013.03.28.) 1부.* *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54687A (zh) * | 2021-06-19 | 2021-11-16 | 广州欧纳电子科技有限公司 | 线缆式温度观测链 |
CN114394199A (zh) * | 2022-01-27 | 2022-04-26 | 眼点(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水下多线缆稳定悬浮装置 |
CN114394199B (zh) * | 2022-01-27 | 2023-09-12 | 眼点(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水下多线缆稳定悬浮装置 |
CN118494673A (zh) * | 2024-07-18 | 2024-08-16 | 国家海洋技术中心 | 一种水下自动放缆装置及易布放潜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8654B1 (ko) | 2020-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16651A (ko) | 층별 수온 관측이 가능한 표류 부이 | |
US10375939B2 (en) | Retrieval system for underwater objects | |
JP5923169B2 (ja) | 通信ブイおよび展開の方法 | |
US20150344109A1 (en) | Controllable buoys and networked buoy systems | |
JP4779810B2 (ja) | 海中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海中センサ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 | |
US20220185436A1 (en) | Autonomous navigation type marine buoy and marine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 |
JP2009543147A (ja) | 深海ネットワークおよび配置装置 | |
CN107351992A (zh) | 一种基于无人机的智能水下救援方法及其系统 | |
JP7053774B2 (ja) | 無人飛行体を用いた水中調査システム及び水中調査方法 | |
Driscoll et al. | A 20 kW open ocean current test turbine | |
KR102129899B1 (ko) | 해양 등부표를 활용한 드론 격납 장치 및 방법 | |
JP5812486B2 (ja) | 溶断装置 | |
US9126658B1 (en) | Gear rescue system | |
JP2018096232A (ja) | 水中浮遊式の発電装置の曳航システムおよび水中浮遊式の発電装置の曳航方法 | |
JP6500294B2 (ja) | 繋留部材および潜水補助部材 | |
JP6354852B2 (ja) | 防護材設置方法及び防護材設置装置 | |
US20100311293A1 (en) | Water walking st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hoi et al. | Pinpoint and safe installation of a standalone seafloor observatory | |
JP6879062B2 (ja) | 発電装置の係留構造、発電装置の回収方法、および発電装置の配置方法 | |
KR101368592B1 (ko) |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 |
Wickham et al. | Scuba diving methods for fishing systems evaluation | |
CN104865596A (zh) | 用于拖缆的取回器系统 | |
Morris et al. | Selecting an acoustic release for a mooring or lander | |
JP6191035B2 (ja) | 投げ込み式波浪計測ブイ | |
KR102385248B1 (ko) | 서보모터를 이용한 소형 스마트 윈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